KR101238545B1 - 작업표시줄 상에 작업표시줄 버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작업표시줄 상에 작업표시줄 버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545B1
KR101238545B1 KR1020050108003A KR20050108003A KR101238545B1 KR 101238545 B1 KR101238545 B1 KR 101238545B1 KR 1020050108003 A KR1020050108003 A KR 1020050108003A KR 20050108003 A KR20050108003 A KR 20050108003A KR 101238545 B1 KR101238545 B1 KR 101238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kbar button
application
taskbar
rich presentation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8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4523A (ko
Inventor
데이비드 에이. 매튜스
마크 알. 리가메리
찰스 컴민스
제프리 더블유. 페티로스
알. 시암 쿠마르
찰스 더블유. 스타브
예밍 시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064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rich presentation taskbar button)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례에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을 디스플레이하고/하거나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창의 썸네일(thumbnail)을 사라지게 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상에 썸네일을 고정시키거나 썸네일을 사라지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각각의 작업표시줄 버튼들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며 작업표시줄 내의 복수의 작업표시줄 버튼을 디스플레이하고, 작업표시줄 버튼을 통합하고, 작업표시줄 내의 작업표시줄 버튼의 유형에 기초하여 오버플로우 내에 작업표시줄 버튼들을 배치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썸네일, 오버플로우, 동적인 정보

Description

작업표시줄 상에 작업표시줄 버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OF TASKBAR BUTTON INTERFACES}
도 1a는 컴퓨터 형태의 범용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1b 내지 도 1m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양태를 지원하는 범용 컴퓨터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디스플레이 상에 열린 창이 디스플레이된, 본 발명의 양태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3은 디스플레이 상에서 창이 최소화되거나 가려진,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4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 디스플레이된,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5는 창이 작업표시줄 버튼과 함께 디스플레이 상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컨트롤 인터페이스(control interface)를 포함한, 최소화되거나 가려진 창에 대응하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 디스플레이된,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7은 썸네일(thumbnail)이 어플리케이션 및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에 관련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8은 썸네일이 사라진,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9는 썸네일이 디스플레이 상에 고정된,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10은 열린 채로 고정된 썸네일이 닫히거나 사라진,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11은 썸네일이 닫히거나 사라진,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12는 다수의 썸네일이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된,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13은 커서로 작업표시줄 버튼을 호버링(hover)하여 썸네일을 디스플레이시키고 또 다른 썸네일은 사라지게 한,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14는 다수의 썸네일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된,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15는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고 사라지게 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
도 16은 디스플레이된 2개 이상의 썸네일을 이용하는 썸네일의 디스플레이를 지연시키는 또 다른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
도 17은 썸네일을 사라지게 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18a-18c는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과 함께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 디스플레이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a-19f는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과 함께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 디스플레이된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a-20e는 작업표시줄 버튼을 오버플로우(overflow)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과 함께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 디스플레이된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 디스플레이
302: "내 문서" 창
304: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
306: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307: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본 발명은 작업표시줄 버튼(taskbar button)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작업표시줄 버튼 내의 맞춤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상에서, 사용자는 전형적으로 어플리케이션들을 유지 및 이용하고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들을 제어하면서, 다수의 태스크를 수행시켜야 한다. 사용자는 전형적으로 디스플레이 상의 한정된 총 공간 내에서 이러한 수많은 태스크 모두 를 수행해야 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종종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면서 동시에 컴퓨터 태스크를 수행할 수 없다는 딜레마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은, 예를 들어 한정된 디스플레이 작업공간에 관한 문제 때문일 수 있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창을 작업표시줄에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함으로써,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상의 작업공간을 관리하는 것에 대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했다. 이 방법으로, 사용자는 창을 작업표시줄에 최소화하여, 창이 더 이상 디스플레이 상에 보이지 않게 함으로써, 넓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사용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을 이용가능하지만 볼 수는 없는 상태로 유지하면서, 메인 컴퓨터 태스크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어플리케이션 창이 최소화되면, 사용자는 우선 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창을 다시 열지 않고서는 더 이상 그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없다. 어플리케이션이 작업표시줄에 최소화되면, 결과적인 작업표시줄 버튼이 그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포함하게 된다. 사용자는 작업표시줄 버튼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무엇인지는 판정할 수 있지만, 작업표시줄에 최소화된 어플리케이션으로 태스크를 수행할 수는 없다. 그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그 어플리케이션 창을 다시 열어야만 한다. 열린 창 내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동작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 상의 작업공간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사용자는 다시 창을 닫아야 한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창을 열고(및 닫고)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데 요구되는 단계들을 수행하는 것으로 그의/그녀의 주의를 돌려야 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창이 다시 열리면, 열린 창에 의해 공간이 다시 점유되기 때문에, 사 용자는 추가적으로 열린 창을 관리하기 위해 활동을 중단해야 한다.
어플리케이션 창을 최소화하고, 그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고 싶을 때에 그 창을 다시 여는(및 닫는/최소화하는) 이 따분하고 시간 소모적인 방법으로부터 사용자 불만이 유발된다. 사용자는 창을 열고 닫기 위해, 그의/그녀의 컴퓨터 작업을 일시적으로 중지시켜야 한다. 이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상의 열린 창들을 관리하는 데 시간을 낭비함으로써 급격한 효율성의 저하를 가져온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작업공간을 낭비하지 않으면서 맞춤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편리한 어플리케이션 컨트롤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양태는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례에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리치 프리젠테이션 구성요소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동적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호작용적인 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interactive control display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는, 작업표시줄 버튼을 디스플레이하고 작업표시줄 버튼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창의 썸네일(thumbnail)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의 썸네일은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썸네일을 디스플레이 상에 고정시키거나 썸네일을 사라지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는, 썸네일이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작업표시줄 썸네일 컨텐츠를 수신하는 작업표시줄을 제공하고,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썸네일 컨텐츠에 기초하여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작업표시줄 상에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과 함께,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더 제공한다. 한 실시예에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과 동일한 크기로 디스플레이된다. 또 다른 예에서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보다 큰 크기로 디스플레이된다. 또 다른 예에서는, 작업표시줄 버튼들이 작업표시줄 버튼 통합에 의해 조합된다. 또한, 오버플로우 상에 작업표시줄 버튼들을 위치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도 제공된다.
본 발명의 양태는, 작업 공간을 절약하면서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컨트롤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작업표시줄은 전형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창, 폴더, 데이터 또는 데이터 프로세싱에 관련된 컴퓨터 상의 임의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작업표시줄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의 하단에 위치 하며, 다양한 컴퓨터 유틸리티(utility)에 대한 아이콘(ico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업표시줄은 일반적으로 작업표시줄 버튼을 포함한다. 작업표시줄 버튼은 어떤 창 또는 어플리케이션들이 컴퓨터 상에서 현재 활동중인지를 판정하기 위한 시각적인 수단을 제공하는 작업표시줄 내에 하우징(house)된 구성요소이다. 창 또는 어플리케이션들이 다양한 이유(예를 들어, 공간 절약)로 디스플레이 상에서 최소화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상에 열려있는 창을 단순히 검사해서는, 어느 어플리케이션이 컴퓨터 상에서 활동중인지를 항상 명확하게 알 수 없다.
전형적인 작업표시줄 버튼은 작업표시줄 내에 컴퓨터 상에서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이 컴퓨터 상에서 활동 중이지만 최소화된 창을 하고 있으면,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작업표시줄 버튼이 작업표시줄 내에 나타내질 수 있다.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 작업표시줄 버튼은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제공할 수 있다(즉,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이란 단어가 작업표시줄 버튼 내에 쓰여질 수 있음). 작업표시줄은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는 아이콘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자체에 대한 사용자 인식을 강화시키기 위해, 상표 또는 로고(logo)가 작업표시줄 버튼에 나타내질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작업표시줄 버튼을 클릭하거나 선택하면(즉, 예를 들어 작업표시줄 버튼 내의 임의의 위치를 클릭하면), 대응하는 창이 디스플에이 상에 복구된다. 창이 디스플레이 상에 이미 열려있지만 다 른 창에 의해 가려져 있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작업표시줄 버튼을 클릭하여 그 창을 디스플레이 전면으로 가져옴으로써,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창이 디스플레이 상의 다른 창의 앞에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작업표시줄 버튼을 다시 클릭하면, 창은 최소화되어 더 이상 디스플레이 상에 보이지 않게 된다. 그러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작업표시줄 버튼은 어플리케이션이 여전히 활동 중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시각적인 단서로서 작업표시줄 내에 남아 있은다.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그것 상에 쓰여있음) 및 선택적으로 상표 또는 로고를 포함하고, 창을 최소화하거나 최소화된 창을 여는 기능만을 제공하는 이 표준형 작업표시줄 버튼은 여기서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으로 언급되는데, 이는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이 단지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순한 텍스트 및 어플리케이션을 시각적으로 식별하는 선택적인 아이콘만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또한,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은 최소화된 창을 열고(또는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창을 최소화함)/열거나 창을 디스플레이 전면으로 가져오는 것 이외의 어떤 추가적인 기능도 제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 제공된다. 여기서 제공되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단순한 어플리케이션의 이름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아이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맞춤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일례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사용자에게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또는 기능을 제어하는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작업표시줄 버튼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예를 들어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애니메이션, 동적인 정보 또는 임의의 해당 정보를 수신 및 제공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지만,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작업표시줄 버튼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지는 않고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에게 정보 또는 데이터(예를 들어, 동적인 정보)를 제공하기만 하는 단방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단방향 인터페이스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그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사용자에게 출력을 제공하지 않는 단방향 인터페이스로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사용자로부터의 정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동작, 제어 또는 유지하기 위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이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양방향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거나 다른 한편으로 동작시키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에 데이터 또는 코맨드를 입력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은 정보, 컨트롤, 함수, 애니메이션 또는 임의의 해당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작업표시줄 버튼이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이름 및/또는 로고/아이콘 이상의 정보를 제공하고, 또한 단순히 최소화된 어플리케이션 창을 여는 것 이상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유형의 작업표시줄 버튼은 여기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으로 언급된다.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에 제공된 정보 또는 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작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은 관련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의 컨텐츠를 작성하고 작업표시줄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에 관련된 컨텐트를 수신하고,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그 컨텐츠를 갖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을 디스플레이한다.
일례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동적인 정보와 같은 리치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이 제공하는 아이콘 또는 정적인 텍스트 이외의 이러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유형의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다수의 아이콘, 상이한 크기의 아이콘, 특정한 텍스트 포매팅(text format), 애니메이션, 스크롤링 텍스트, 진행 기반(onging-basis)으로 갱신된 그리고 사용자에게 유용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적인 정보(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 등과 같은 매우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동적인 정보의 예는 상태 정보, 진행 미터(progress meter), 보안 정보, 일기 예보 정보, 스포츠 결과, 뉴스 이벤트, 경매 결과와 상태, 어플리케이션 상태 정보, 버디 리스트(buddy list)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다른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대한 컨트롤을 보유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또한 상호작용적인 컨트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양방향 인터페이스를 갖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의 일례이다. 예를 들어,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 컨트롤 아이콘, 버튼 또는 메뉴와 같은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 내의 대응하는 아이콘, 버튼 또는 메뉴 아이템의 활성화 또는 선택시에 프로세스가 호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 내에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컨트롤 버튼을 클릭하면,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원하는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의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에 관련될 수 있다.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은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매체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CD-ROM, MP3 등)을 통해 컴퓨터 상에서 음악을 재생하거나, 비디오,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그래픽 이미지 등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창은 사용자가 음악을 듣거나 비디오를 시청하는 등을 하고 싶을 때, 어플리케이션 창 내에 위치한 "재생" 버튼을 클릭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컨트롤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정지" 버튼을 눌러, 미디어의 재생을 정지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빨리 감기", "되감기", "일시정지"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창 내에 제공될 수 있는 어떤 컨트롤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창이 임의의 이유(예를 들어, 중첩된 창들에 의해 가려진 디스플레이 상의 공간 절약)로 최소화되거나 가려지면,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의 창은 더 이상 디스플레이 상에 보이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전형적인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이 이용된 경우에는, 전형적으로 사용자가 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이용할 수 없다. 그러므로,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이 이용된 경우,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예를 들어, 현재 재생중인 음악 트랙을 정지, 현재 음악 트랙을 빨리 감기, 다음 또는 이전 트랙으로 건너뛰기, 랜덤하게 재생(shuffle play)으로 전환 등]을 제어하길 원하는 사용자는 제어할 수 있게 되기 전에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창을 열거나 가려진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창으로 포커스(focus)를 가져와야 한다.
본 발명의 이 예의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에 관한 경우에서처럼 최소화된 창을 열 필요 없이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대응하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을 통해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창이 최소화됐을 때 트랜스포트 컨트롤(transport control)(즉, "정지", "재생", "빨리 감기", "되감기", "일시 정지", "녹화"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컨트롤은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을 통해 직접 실행될 수 있으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에서는 대응하는 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창을 열 필요가 없다.
또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데이터를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에 입력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또한 입력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원하는 텍스트를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에 직접 입력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에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다양한 이유로 사용자는 텍스트를 입력하길 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스턴트 메시징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통신할 때, 사용자는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창에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전형적인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창은 텍스트가 수신자에게 즉시 송신될 수 있게 하는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필드를 창 내에 포함한다. 그러나,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을 이용하고 있을 때,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창이 임의의 이유(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상의 공간 절약)로 최소화되면, 사용자는 인스턴트 메시징을 통한 진행중인 대화를 계속할 수 없게 된다. 사용자가 인스턴트 메시징을 통해 대화하길 원하면, 수신자에게로의 임의의 메시지를 입력하기 전에 사용자는 우선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창을 열어야 할 것이다. 이는,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만을 제공받는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예를 들어, 대응하는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 내에 디스플레이된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이란 단어)만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은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대화를 계속 하거나, 임의의 입력 메시지 또는 대화 스레드(thread)의 임의의 일부를 판독할 수 있게 하는 어떤 추가적인 기능도 제공하지 않을 것이다.
이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의 예에서, 사용자는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창을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상의 공간을 절약하거나, 보다 용이하게 다른 컴퓨터 태스크들을 수행하기 위해)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창은 디스플레이 상의 다른 창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창이 최소화된(또는 가려지면) 후, 대응하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 작업표시줄 내에 나타난다. 대응하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추가적인 기능이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 및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인스턴트 메시징 시스템에 관련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어플리케이션 자체의 이름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에 데이터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대화 스레드의 일부 및/또는 입력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사용자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에 텍스트를 입력하고,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자에게 결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수행하고 있는 프로세스의 진행 또는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예들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이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으로 최소됐을 때, 사용자는 창을 최대화할 필요없이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계속 제어할 수 있고, 또는 어플리케이션 창이 열려있지만 중첩된 창과 같은 또 다른 디스플레이 구성요소에 의해 가려져 있으면, 가리고 있는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제거할 필요없이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계속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사용자는 컴퓨터 태스크를 수행한다. 컴퓨터 태스크는 디스플레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열린 창을 요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워드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통해 워드 프로세싱(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과 같은 제1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킬 수 있다. 워드 프로세싱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문자를 타이핑하거나 기록된 자료를 편집할 수 있는 창을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나, 워드 프로세싱 프로그램에 관련된 창은 디스플레이 상의 실제 면적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상에 창을 디스플레이한 제2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활동중이면, 제1 어플리케이션의 창(들)과 제2 어플리케이션의 창(들) 사이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사용자의 제1 우선순위는 주요 컴퓨터 태스크를 완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포커스를 맞추고, 제2 어플리케이션의 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어플리케이션이 활동중이면, 사 용자는 또한 제2 어플리케이션의 창(들) 뿐만 아니라 임의의 추가적인 어플리케이션의 창(들)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주요 컴퓨터 태스크를 수행하는 동안, 제1 어플리케이션에서 작업하면서 모든 다른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른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 창이 최소화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 창을 가리기 위해 제1 어플리케이션 창에 포커스가 맞춰질 수 있다. 이 예에서, 사용자는 다른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 창에 액세스할 수 없는데, 이는 그들이 다른 창들에 의해 최소화되거나 가려져 있기 때문이다. 대신에, 다른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 창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최소화되거나 가려진)들은 작업표시줄 버튼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이 방식으로, 사용자는 다른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창을 참조하지 않고서도 주요 컴퓨터 태스크(예를 들어, 워드 프로세싱)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을 이용할 때, 사용자가 제2 어플리케이션 또는 창이 최소화되거나 가려진 임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거나 그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길 원하면, 전형적으로 사용자는 우선 관련 창을 열거나 그렇지 않으면 관련 창을 디스플레이 상에 전체 보기(full view)로 가져와야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수행하길 원하면, 전형적으로 사용자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창을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킨(예를 들어, 창을 최대화하거나 창의 디스플레이를 전면으로 가져옴) 후에, 전체적으로 보이고 액세스가능한 제2 어플리케이션의 창으로 제2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의 액세스가능한 창이 제1 어플리케이션의 창을 가 릴 수 있기 때문에, 제2 어플리케이션 상의 동작이 완료된 후 사용자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창을 닫거나 최소화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상의 공간을 자유롭게 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 내의 주요 컴퓨터 태스크를 계속 수행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창을 전면으로 가져와, 제2 어플리케이션의 창을 가릴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서, 사용자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창을 최소화되거나 가려진 채로 남겨놓으면서, 여전히 제2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본 발명의 관련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 상의 동작을 수행하기 전에 제2 어플리케이션의 창을 최대화하거나 디스플레이의 전면으로 가져올 필요가 없다. 이 방식으로, 제2 어플리케이션 상의 동작을 편리하게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다. 동시에, 사용자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주요 활동으로 빠르게 되돌아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에 창 스위칭 능력이 제공된다.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하는 것이 아닌 한 예에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미리결정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창 관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 내의 미리결정된 영역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이 현재 최소화되어 있거나 다른 한편으로 가려져 있으면, 사용자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 내의 미리결정된 영역을 클릭함으로써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에 관련된 창을 최대화하거나 다른 한편으로 뷰(view)로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결정된 영역을 클릭함으로써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에 관련된 최소화된 창을 최대화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창이 최대화된 경우에는, 아이콘을 클릭하여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창을 최소화하거나, 보여진 및 액세스가능한 창을 다른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들 뒤에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 내의 미리결정된 영역을 클릭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창을 최대화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일례에서, 미리결정된 영역은 스크린의 가장자리에 가장 근접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의 에지(edge)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는, 작업표시줄 버튼에 관련된 썸네일이 제공된다. 이 작업표시줄 버튼은 본 발명의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 또는 어플리케이션, 폴더 또는 디스플레이 구성요소에 관련된 임의의 작업표시줄 버튼일 수 있다. 선택된 작업표시줄 버튼에 관련된 창에 대응하는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창에 관련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창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창의 썸네일은 디스플레이 상의 어느 곳에나 나타날 수 있다. 사용자 편이를 위해, 어플리케이션 창의 썸네일은 관련 작업표시줄 버튼에 인접하게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자는 다양한 방식으로 관련 작업표시줄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작업표시줄 버튼 위를 커서로 호버링하여, 작업표시줄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작업표시줄 버튼에 버튼 또는 아이콘을 포함시켜, 버튼 또는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대응하는 썸네일을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낼 수 있다.
디스플레이된 썸네일은 수많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썸네일은 창의 클라이언트 영역 또는 전체 창(full window)의 축소 버전일 수 있다. 썸네일은 또한 사용자가 창을 용이하게 식별하게 하기 위한 타이틀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썸네일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썸네일은 또한 동적인 정보 또는 창의 컨텐츠를 반영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변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표시줄 버튼은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작업표시줄 버튼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썸네일의 컨텐츠를 구체화하는 작업표시줄 API에게 어플리케이션 내의 작성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썸네일의 컨텐츠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맞춤화되어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에 보다 관련된 향상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커서를 썸네일이 호출되었던 위치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면, 썸네일이 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서로 미리결정된 위치(예를 들어, 대응하는 작업표시줄 버튼)를 호버링하여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 경우, 커서를 미리결정된 위치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면 썸네일이 사라질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썸네일은 창과 같은 다른 디스플레이 구성요소와 충돌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는, 커서를 단지 그 영역으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썸네일이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썸네일이 디스플레이에 고정될 수 있다. 그 대신에, 커서가 다른 곳으로 이동된 후에도, 그리고 미 리결정된 위치 위를 호버링하지 않더라도, 썸네일이 보여진다. 이는 사용자가 한 창의 썸네일에 액세스하고 있으면서, 다른 창 내에서 작업할 수 있게 한다. 썸네일이 열려있을 때, 썸네일이 사라지는 것이 원해질 수 있다. "사라지게 한다"는 것은 썸네일이 가시적인 디스플레이로부터 제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썸네일이 "사라진" 후에는, 썸네일은 더 이상 디스플레이 상에 보이지 않는다. 열린 채로 고정된 썸네일이 사라지기를 원하면, 커서가 썸네일을 닫기 위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썸네일을 닫기 위한 썸네일 상의 영역(예를 들어, "닫기" 버튼)을 나타내어, 이 영역이 클릭될 때, 썸네일이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미리결정된 위치에의 커서로 썸네일 상을 호버링함으로써, 썸네일이 사라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과 같은 작업표시줄 버튼에 관련된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위치를 커서로 호버링하거나,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된 후에는 커서가 그 위치로부터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예에서는, 썸네일은 미리결정된 시간이 지나야지만 각각 디스플레이되거나 사라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어플리케이션 창에 관련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작업표시줄 버튼(들)의 크기 조정을 통해 작업표시줄 내의 다른 작업표시줄 버튼들에 기초하여 변화된다. 추가적인 작업표시줄 버튼들이 작업표시줄에 추가될 때,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작업표시줄 버튼들은 작업표시줄 상의 이용가능한 공간에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적인 작업표시줄 버튼 또는 이미 작업표시줄 상에 있는 작업표시줄 버튼들은 작업표시줄 상에 맞도록, 크기를 줄이거나 폭을 줄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작업표시줄 버튼은 작업표시줄 버튼 통합을 통해 다른 작업표시줄 버튼들과 함께 조합될 수 있는데, 즉, 작업표시줄 버튼은 다른 선택된 작업표시줄 버튼들과 함께 병합되어 병합된 작업표시줄 버튼들과 함께 한 개의 조합 작업표시줄 버튼을 형성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필요할 때, 작업표시줄 버튼은 "오버플로우" 위치, 예를 들어 메뉴 또는 작업표시줄 스크롤링 메커니즘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의 크기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변할 수 있다.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대략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와 같은 크기로 축소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작업표시줄 내의 각각의 작업표시줄 버튼들은 이에 따라 크기가 같아진다. 또 다른 예에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미리결정된 한계까지 축소될 수 있지만, 미리결정된 한계에 도달하면 크기가 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이 한계를 넘어서는 축소되지 않는다. 이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의 컨텐츠에 따라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 컨텐츠를 많이 포함할 때,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 지나치게 축소되는 것은 유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 지나치게 축소되는 것이 방지되어, 여전히 유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 다른 예에서는, 본 발명의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크기가 축소되지 않는다. 대신,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의 크기는 축소된다. 이 방식으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작업표시줄 상에 남아 있으면서 사용자에게 유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여전히 제공한다. 추가적인 작업표시줄 버튼이 작업표시줄에 추가되면,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이 축소되어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에 추가적인 공간이 제공된다.
또 다른 예에서는, 추가적인 작업표시줄 버튼이 작업표시줄에 추가되면,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을 작업표시줄에 맞추기 위해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 축소되지만,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작업표시줄 상의 다른(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들이 축소된 후에야만 축소된다.
축소되는 대신에,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작업표시줄 버튼 통합에 의해 다른 작업표시줄 버튼들과 함께 조합, 즉 다른 작업표시줄 버튼들과 함께 병합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다수의 작업표시줄 버튼들이 하나의 작업표시줄 버튼으로 됨으로써 작업표시줄 상의 공간이 절약된다. 일례에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다른 작업표시줄 버튼들을 조합 또는 통합하지 않는다. 작업표시줄 상의 공간은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들과 함께 조합 또는 통합함으로써 획득된다. 이 방식으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 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보호된다.
또 다른 예에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다른 작업표시줄 버튼들이 조합된 후에야만 작업표시줄 버튼 통합에 의해 다른 버튼들과 함께 조합될 수 있다. 이 방식에 의해, 공간이 한정되고, 다른 작업표시줄 버튼들의 조합에 의해 이미 최대 공간이 획득되기 전에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다른 작업표시줄 버튼들과 함께 조합되지 않을 것이다.
이와 달리, 추가적인 작업표시줄 버튼이 작업표시줄에 추가되면,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 작업표시줄 버튼 통합에 의해 다른 작업표시줄 버튼과 함께 조합됨으로써, 작업표시줄 상의 공간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오퍼레이팅 환경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태가 구현될 수 있는 적절한 오퍼레이팅 환경(100)의 예를 예시한다. 오퍼레이팅 환경(100)은 단지 적절한 오퍼레이팅 환경의 한 예이며 본 발명의 이용 또는 기능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과 함께 이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는 잘 알려진 컴퓨팅 시스템, 환경, 및/또는 구성은 퍼스널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시스템, 프로그램가능한 가전제품,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상기의 시스템 또는 장치 중의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분산형 컴퓨팅 환경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적절한 컴퓨팅 시스템 환경(100)의 예를 예시한다. 컴퓨팅 시스템 환경(100)은 단지 적절한 컴퓨팅 환경의 한 예이며 본 발명의 이용 또는 기능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컴퓨팅 환경(100)은 예시적인 운영 환경(100)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중의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에 관한 임의의 종속성 또는 요구사항을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은 수많은 다른 범용 또는 특수목적 컴퓨팅 시스템 환경 또는 구성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과 함께 이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는 잘 알려진 컴퓨팅 시스템, 환경, 및/또는 구성의 예로는, 퍼스널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시스템, 프로그램가능한 가전제품,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상기의 시스템 또는 장치 중의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분산형 컴퓨팅 환경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은 컴퓨터(110)의 형태의 범용 컴퓨팅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110)의 컴포넌트들로는, 프로세싱 유닛(120), 시스템 메모리(130), 및 시스템 메모리를 포함하는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를 프로세싱 유닛(120)에 연결시키는 시스템 버스(121)가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스템 버스(121)는 메모리 버스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 주변 버스 및 다양한 버스 아키텍처 중의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로컬 버스를 포함하는 몇 가지 유형의 버스 구조 중의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아키텍처는 산업 표준 아키텍처(ISA) 버스, 마이크로 채널 아키텍처(MCA) 버스, 인핸스드 ISA(Enhanced ISA; EISA) 버스, 비디오 일렉트로닉스 표준 어소시에이션(VESA) 국부 버스, 및 메자닌(Mezzanine) 버스로도 알려진 주변 컴포넌트 상호접속(PCI) 버스를 포함하지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터(110)는 전형적으로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둘다 포함한다.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포함 할 수 있고, RAM, ROM, EEPROM, 플래쉬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술,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k) 또는 다른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다른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110)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반송파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 등의 변조된 데이터 신호에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데이터를 구현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변조된 데이터 신호"라는 용어는 신호 내의 정보를 인코딩하는 방식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성을 설정 또는 변경시킨 신호를 의미한다. 예로서, 통신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유선 접속 등의 유선 매체와, 음향, RF, 적외선 및 기타 무선 매체 등의 무선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것들의 임의의 조합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시스템 메모리(130)는 ROM(131) 및 RAM(132) 등의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형태의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시동중과 같은 때에 컴퓨터(110) 내의 구성요소들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돕는 기본 루틴을 포함하는 기본 입출력 시스템(133; BIOS)은 일반적으로 ROM(131)에 저장된다. RAM(132)은 전형적으로 프로세싱 유닛(120)에 즉시 액세스할 수 있고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120)에 의해 현재 작동되는 데이터 및/또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예로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님) 도 1은 오퍼레이팅 시스템(134),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35), 다 른 프로그램 모듈(136), 및 프로그램 데이터(137)를 예시한다.
컴퓨터(110)는 또한 다른 분리형/비분리형, 휘발성/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지 예로서, 도 1은 비분리형 비휘발성 자기 매체로부터 판독하거나 그 자기 매체에 기록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40), 분리형 비휘발성 자기 디스크(152)로부터 판독하거나 그 자기 디스크에 기록하는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51), 및 CD-ROM 또는 기타 광 매체 등의 분리형 비휘발성 광 디스크(156)로부터 판독하거나 그 광 디스크에 기록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155)가 예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운영 환경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른 분리형/비분리형, 휘발성/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 플래쉬 메모리 카드, DVD(Digital versatile disk),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고체 RAM, 고체 ROM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41)는 전형적으로 인터페이스(140)와 같은 비분리형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 버스(121)에 접속되고,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51)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55)는 전형적으로 인터페이스(150)와 같은 분리형 메모리 인터페이스에 의해 시스템 버스(121)에 접속된다.
앞서 기술되고 도 1에 도시된 드라이브 및 그 관련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110)를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데이터의 저장을 제공한다. 도 1에서,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41)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44),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5), 다른 프로그램 모듈(146) 및 프로그램 데이터(147)를 저장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들 컴포넌트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34),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35), 다른 프로그램 모듈(136) 및 프로그램 데이터(137)와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오퍼레이팅 시스템(144),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5), 기타 프로그램 모듈(146) 및 프로그램 데이터(147)는 최소한 그들이 다른 복사본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서로 다른 번호가 부여되었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마우스, 트랙볼, 또는 터치 패드라 불리우는 포인팅 장치(161) 및 키보드(162)와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해 컴퓨터(110)에 코맨드 및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입력 장치는 마이크로폰, 조이스틱, 게임 패드, 위성 안테나, 스캐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입력 장치 및 그외의 입력 장치는 시스템 버스에 연결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종종 프로세싱 유닛(120)에 접속되지만, 병렬 포트, 게임 포트 또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와 같은 기타 인터페이스 및 버스 구조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다. 모니터(191) 또는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또한 비디오 인터페이스(190)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 버스(121)에 접속된다. 모니터 외에도, 컴퓨터는 또한 출력 주변 인터페이스(190)를 통해 접속될 수 있는 스피커(197) 및 프린터(196) 등의 기타 주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110)는 원격 컴퓨터(180)와 같은 하나 이상의 원격 컴퓨터로의 논리적 접속을 이용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원격 컴퓨터(180)는 퍼스널 컴퓨터, 서버, 라우터, 네트워크 PC, 피어(peer) 장치, 또는 기타 공통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으며, 비록 도 1에는 메모리 저장 장치(181)만이 예시되어 있지만, 컴퓨터(110)에 관하여 상술한 구성요소 중 다수 또는 모든 구성요소를 전형적으로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논리적 접속은 근거리 통신망(LAN; 171) 및 원거리 통신망 (WAN; 173)을 포함하지만, 그 외의 다른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네트워킹 환경은 사무실, 기업 광역 컴퓨터 네트워크, 인트라넷 및 인터넷에서 일반적인 것이다.
L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이용되는 경우, 컴퓨터(1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어댑터(170)를 통해 LAN(171)에 접속된다. W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이용되는 경우, 컴퓨터(110)는 전형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WAN(173)을 통해 통신을 구축하기 위한 모뎀(172) 또는 기타 수단을 포함한다. 내장형 또는 외장형일 수 있는 모뎀(172)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60) 또는 기타 적절한 메커니즘을 통해 시스템 버스(121)에 접속될 수 있다. 네트워크 환경에서, 컴퓨터(110)에 관하여 설명된 프로그램 모듈 또는 그 일부분은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예로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님), 도 1은 메모리 장치(181)에 상주하는 원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85)을 예시한다. 도시된 네트워크 접속은 예시적인 것이며, 컴퓨터들간의 통신 링크를 구축하는 다른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시된 네트워크 접속은 예시적인 것이며, 컴퓨터들 간의 통신 링크를 구축하는 다른 수단이 이용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TCP/IP, 이더넷, FTP, HTTP 및 이와 유사한 것들과 같은 다양한 잘 알려진 프로토콜 중 임의의 것이 존재한다는 것이 가정되며,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서버 구성 내에서, 사용자가 웹 기반 서버로부터의 웹 페이지를 검색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웹 페이지 상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조작하는 데, 다양한 종래의 웹 브라우저 중 임의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맞춤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작업표시줄 버튼에 제공된다. 작업표시줄 버튼 내의 맞춤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지정될 수 있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표시줄이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포함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이 컨텐츠를 작성하고, 디스플레이를 위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에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또는 보다 단순하게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코드 세그먼트(들)가, 하나 이상의 코드 세그먼트(들)가 제공하는 함수와 대화하거나 그것에 액세스하게 하기 위한 임의의 메커니즘, 프로세서, 프로토콜로서 보여질 수 있다. 이와 달리,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는 다른 컴포넌트(들)의 하나 이상의 메커니즘(들), 메소드(들), 함수 호출(들), 모듈(들) 등에 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시스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메커니즘(들), 메소드(들), 함수 호출(들), 모듈(들), 객체(들) 등으로도 보여질 수 있다. 상기 문장 내의 "코드 세그먼트"란 용어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 또는 코드 라인(code line)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며, 적용된 언어 또는 코드 세그먼트가 개별적으로 컴파일되는지, 코드 세그먼트가 소스(source), 중간매체 또는 객체 코드로 제공되는지, 코드 세그먼트가 런타임 시스템 또는 프로세스에서 이용되는지, 그들이 같은 메커니즘 상에 또는 다른 메커니즘 상에 위치하는지 또는 다수의 기기에 분산되어 있는지, 또는 코드 세그먼트에 의해 표현된 기능 전체가 소프트웨어로, 전체가 하드웨어로,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되는지에 상관없이, 예를 들어 코드 모듈, 객체, 서브루 틴, 함수 등을 포함한다.
의도적으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도 1b 또는 도 1c 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여질 수 있다. 도 1b는 제1 및 제2 코드 세그먼트들이 대화하는 관로(conduit)인 인터페이스1 을 예시한다. 도 1c는 시스템의 제1 및 제2 코드 세그먼트들이 매체 M을 통해 대화하게 하는 인터페이스 객체 I1 및 I2(제1 및 제2 코드 세그먼트의 일부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음)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도 1c의 도면에서, 인터페이스 객체 I1 및 I2가 같은 시스템의 개별적인 인터페이스라고 고려될 수 있으며, 또한 객체 I1 및 I2와 매체 M을 합한 것이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고 고려될 수도 있다. 도 1b 및 도 1c는 양방향 흐름 및 흐름의 양측 상의 인터페이스들을 도시하고 있지만, 어떤 구현은 단방향의 정보 흐름만을 갖거나(또는 아래 설명된 바와 같이 정보 흐름이 없음) 한쪽에만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도 있다.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엔트리 지점, 메소드, 함수, 서브루틴, 원격 절차 호출, COM 인터페이스와 같은 용어들은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이러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의 양태는 제1 코드 세그먼트가 제2 코드 세그먼트에 정보(여기서 "정보"는 포괄적으로 데이터, 코맨드, 요청 등을 포함함)를 전송하는 방법, 제2 코드 세그먼트가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및 구조, 순서(sequence), 구문론, 조직화, 스킴, 시간 및 정보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 정보가 정의된 방식으로 인터페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한, 기반 전송 매체는 인터페이스의 동작에 (매체가 유선, 무선 또는 이 둘의 조합인지에 상관없 이)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정보가 다른 메커니즘(예를 들어, 코드 세그먼트들 간의 정보 흐름으로부터 분리된 버퍼, 파일 등에 배치된 정보)을 통하거나 하나의 코드 세그먼트가 단순히 제2 코드 세그먼트에 의해 수행되는 함수에 액세스할 때처럼 아무것도 통하지 않고 전달될 수 있을 때, 정보는 전통적인 의미에서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임의의 또는 모든 이러한 양태들은, 예를 들어 코드 세그먼트들이 느슨하게 연결되거나 긴밀하게 연결된 구성 내의 시스템의 일부인지에 따라 주어진 상황에 중요할 수 있으므로, 이 리스트는 예시적인 것일 뿐 제한적인 것은 아니어야 한다.
이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에 대한 의도는 당업자들에게는 알려져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의 상술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그러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식들이 존재하며, 특별히 배제하지 않는 한, 이 출원 명세서의 끝에 기재된 청구항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다른 방식들은 도 1b 및 1c의 단순한 도면보다 정교하거나 복잡하게 보일 수 있지만,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유사한 함수를 수행하여 전반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이루어낼 수 있다. 이제 소정의 예시적인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의 상이한 구현이 간략하게 설명될 것이다.
A. 인수분해(factoring)
하나의 코드 세그먼트로부터 다른 코드 세그먼트로의 통신은 다수의 분리된 통신으로 쪼개짐으로써, 간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도 1d 및 1e에 개략적으로 나타나있다. 그러므로, 수학적으로 24를 2*2*3*2로 나타낼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도 1b 및 1c의 인터페이스 기능은 동일한 결과를 이루어낼 수 있도록 인수분해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1의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기능은, 동일한 결과를 얻으면서, 인터페이스의 통신이 인터페이스 A, 인터페이스 B, 인터페이스 C 등의 다수의 인터페이스로 변환되도록 세분될 수 있다. 도 1e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I1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은 동일한 결과를 얻으면서 다수의 인터페이스 I1a, I1b, I1c로 세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코드 세그먼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코드 세그먼트의 인터페이스 I2는 다수의 인터페이스 I2a, I2b, I2c 등으로 인수분해될 수 있다. 인수분해될 때, 제1 코드 세그먼트에 포함된 인터페이스의 개수가 제2 코드 세그먼트에 포함된 인터페이스의 개수와 일치할 필요는 없다. 도 1d 또는 도 1e의 경우에, 인터페이스 1 및 I1의 인터페이스들의 기능적 취지는 각각 도 1b 및 도 1c에서와 같다. 인터페이스의 인수분해는 또한 결합적 속성, 교환적 속성 및 다른 수학적 속성들을 따르므로, 인수분해를 인식하기 어렵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의 순서는 중요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함수는 인터페이스에 도달하기 전에, 코드 또는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일부에 의해 행해지거나 시스템의 개별적인 컴포넌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게다가, 프로그래밍 기술에 능숙한 사람들은 동일한 결과를 이루어내는 상이한 함수 호출을 만드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B. 재정의
몇몇의 경우에, 여전히 의도한 결과를 이루어내면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의 소정의 양태(예를 들어, 매개변수)들을 무시, 추가 또는 재정의할 수 있다. 이는 도 1f 및 도 1g에 예시된다. 예를 들어, 도 1b의 인터페이스 1의 인터페이스는 함수 호출 Square(input, precision, output)를 포함하며, input, precision, output의 3개의 매개변수를 포함하는 호출은 제1 코드 세그먼트로부터 제2 코드 세그먼트로 발행된다.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매개변수 precision이 주어진 시나리오에서 중요하지 않으면, 이것은 무시되거나 심지어는 무의미한(이 경우) 매개변수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중요하지 않은 추가적 매개변수가 추가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서든, 제2 코드 세그먼트에 의해 입력이 square된 후 출력이 반환되는 한, suaqre의 기능은 달성될 수 있다. precision은 몇몇 다운스트림 또는 컴퓨팅 시스템의 다른 일부에는 의미 있는 매개변수일 수 있지만, 일단 square를 계산하기 위한 작은 목적을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다고 인식되면, 그것은 대체되거나 무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한 precision 값을 전달하는 대신, 생일날짜와 같은 무의미한 값이 결과에 불리하지 않게 전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I1은 인터페이스 I1'로 대체되고, 매개변수들이 무시되거나 인터페이스에 매개변수들이 추가되도록 재정의된다. 인터페이스 I2는 마찬가지로 인터페이스 I2'로 재정의되고, 불필요한 매개변수들 또는 다르게 처리될 수 있는 매개변수들이 무시되도록 재정의될 수 있다. 본원에서 주요 쟁점은, 몇몇 경우에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는 매개변수와 같은 소정의 목적을 위해 불필요한 것들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따라서 그들은 무시되거나 재정의되거나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해 다르게 처리될 수 있다는 것이다.
C. 인라인 코딩(inline coding)
2개의 개별적인 코드 모듈의 몇몇 기능 또는 모든 기능들을 병합함으로써 그들 간의 "인터페이스"는 형태를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b 및 도 1c의 기능은 각각 도 1h 및 도 1i의 기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h에서, 이전의 도 1b의 제1 및 제2 코드 세그먼트는 그들 둘 다를 포함하는 모듈로 병합된다. 이 경우에, 코드 세그먼트들은 여전히 서로 대화할 수 있지만, 인터페이스는 단일 모듈에 보다 적절한 형태로 적응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공식적인 Call 및 Return 문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지만, 인터페이스 I1의 인터페이스에 따른 유사한 프로세싱 또는 응답(들)은 여전히 효력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도 1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c의 인터페이스 I2의 일부(또는 전체)는 인터페이스 I1에 인라인으로 쓰여 인터페이스 I1''를 형성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I2는 I2a 및 I2b로 나뉘어지고, I2a의 인터페이스부는 인터페이스 I1과 함께 인라인으로 코딩되어, 인터페이스 I1''을 형성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1c로부터의 인터페이스 I1가 함수 호출 square(input, out)을 수행하는 것을 고려해 보자[함수 호출 square(input, out)는 인터페이스 I2에 의해 수신되며, input에 전달된 값을 제2 코드 세그먼트로 처리한 후 output으로 square된 결과를 전달함]. 이러한 경우에, 제2 코드 세그먼트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싱(입력을 square함)은 인터페이스에의 호출 없이 제1 코드 세그먼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D. 분리(divorce)
한 코드 세그먼트로부터 다른 코드 세그먼트로의 통신은 통신을 다수의 분리 된 통신들로 쪼갬으로써 간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것은 도 1j 및 1k에 개략적으로 나타나있다. 도 1j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코드 조각(들)이 제공되어, 인터페이스 1의 제1 인터페이스 상에서 통신을 변형시키고, 이 경우에 인터페이스 2A, 인터페이스 2B, 인터페이스 2C인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에 그들을 맞춘다. 이것은, 예를 들어 이 경우에 인터페이스 2A, 인터페이스 2B, 인터페이스 2C인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변형된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아닌 인터페이스1 프로토콜에 따른 오퍼레이팅 시스템과 함께 통신하도록 설계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기반에서 행해질 수 있다. 제2 코드 세그먼트에 의해 이용되는 본래 인터페이스가 더 이상 제1 코드 세그먼트에 의해 이용되는 인터페이스와 호환되지 않도록 변형되므로, 이에 따라 종래 인터페이스와 새로운 인터페이스들을 호환시키는 매개체가 이용된다는 것이 특징이다. 마찬가지로, 도 1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I1으로부터의 통신을 수신하기 위한 분리 인터페이스 DI1, 및 예를 들어 DI2와 함께 동작하도록 재설계된 인터페이스 I2a 및 I2b에 인터페이스 기능을 전송하기 위한 분리 인터페이스 DI2를 구비한 제3 코드 세그먼트가 도입될 수 있는데, 이것은 동일한 기능적 결과를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DI1 및 DI2는 함께 동작하여, 도 1c의 인터페이스 I1 및 I2의 기능이 새로운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 변형되지만, 같거나 유사한 기능적 결과를 제공한다.
E. 재작성(rewriting)
가능한 또 다른 변경물은 인터페이스 기능을 다른 어떤 것으로 바꾸도록 코드를 동적으로 재작성하기 위한 것이지만 전반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이루어낸다. 예를 들어, 중간 언어(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 IL, 자바 바이트코드 등)로 표현된 코드 세그먼트가 JIT(Just-in-Time) 컴파일러 또는 실행 환경에서 인터프리터(interpreter; .Net 프레임워크, 자바 런타임 환경 또는 다른 유사한 런타임 유형 환경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같은 것)에 제공되는 시스템이 존재할 수 있다. JIT 컴파일러는 제1 코드 세그먼트로부터 제2 코드 세그먼트로 통신을 동적으로 변형시키도록, 즉 제2 코드 세그먼트(본래 제2 코드 세그먼트 또는 상이한 제2 코드 세그먼트)가 요청할 수 있는 상이한 인터페이스에 그들을 맞추도록 작성될 수 있다. 이것은 도 1l 및 도 1m에 제시된다. 도 1l에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접근법은 앞서 설명된 분리 시나리오와 유사하다. 이것은,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기반이 상이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도록 변형된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아닌 인터페이스1 프로토콜에 따른 오퍼레이팅 시스템과 통신하도록 설계된 곳에서, 행해질 수 있다. JIT 컴파일러는 설치된 기초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새로운 인터페이스로의 진행중인 통신을 맞추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m에 제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들)를 동적으로 재작성하는 이 접근법은 인터페이스(들)를 동적으로 분할하거나, 다른 한편으로 변형시키는데도 적용될 수 있다.
상이한 실시예들에의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또는 그와 유사한 결과를 이루어내기 위한 앞서 설명된 시나리오는 다양한 방식[순차적으로 및/또는 병렬로, 또는 다른 간섭 코드(intervening code)들과 함께]으로 조합될 수도 있다는 것이 또한 주의된다. 그러므로, 앞서 제시된 상이한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지 않으며, 도 1b 및 1c에 제시된 일반적인 시나리오와 같은 또는 등가의 시나리오를 생성하도록 섞이거나 매치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구조와 같이, 여기에 설명되지 않을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취지 및 영역에 의해 제시되는 인터페이스와 같거나 유사한 기능을 이루어내는 다른 유사한 방식이 존재한다는 것이 또한 주의되는데, 즉, 그것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터페이스 가치에 기초가 되는 인터페이스에 의해 제시되는 기능 및 그 인터페이스에 의해 이용되는 유익한 결과임이 주의된다.
도 2는 열린 창을 갖는 디스플레이(201)를 예시한다. 디스플레이(201)는 컴퓨터용 저장 사이트에 대한 창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저장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폴더에 대한 창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예에서, 그 폴더는 디스플레이(201) 상에서 "내 문서" 창(202) 내에 디스플레이된 "내 문서" 폴더이다. "내 문서" 창(202)은 다른 열린 창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려져 있다. 도 2 내에 예시된 다른 열린 창들에는 미디어 플레이어 창(204)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려진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창(203), 및 인스턴트 메시징 창(205)이 포함된다. 디스플레이(201) 상의 각각의 창들은 대응하는 작업표시줄 버튼에 관련된다. 이 예에서, 각각의 작업표시줄 버튼들은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이다. 이 예에서의 각각의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들은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 또는 폴더 이름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내 문서" 창은 "내 문서"라는 이름을 디스플레이하는 "내 문서"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206)과 관련되고,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창(203)은 "마이크로소프트 워드"라는 이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207)과 관련되며, 미디어 플레이어 창(204)은 "윈도우 미디어"라는 이름을 디 스플레이하는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208)과 관련되고, 인스턴트 메시징 창(205)은 "인스턴트 메시징"이란 이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209)과 관련된다.
도 3은 디스플레이 상의 창들을 최소화한 예를 예시한다. 도 3 내에, 소정의 창들을 포함한 디스플레이(301)가 예시되어 있다. 2개의 창이 디스플레이(301) 상에 열린 채로 볼 수 있게 예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볼 수 있는 창들은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창(303)이 "내 문서" 창(302)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창(303)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려진 폴더[이 경우에는 "내 문서" 창(302)]에 관련된 창이다. "내 문서" 창(302)은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304)에 관련되어 있으며,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창은 또한 대응하는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305)에 관련되어 있다.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창 및 인스턴트 메시징 창은 최소화됐기 때문에 도 3에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306) 및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307)에 대응하는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들이 도 3에 예시된 디스플레이(301)의 작업표시줄 내에 보여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의 디스플레이의 예를 예시한다.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사용자에게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또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능력을 제공하는,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들 또는 정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401)는 열린 창들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파일 폴더[예를 들어, "내 문서" 창(402)] 및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창(403)이 디스플레이(401) 상에 나타나 있다. 각각의 창들, 즉 "내 문서" 창(402) 및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창(403)은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각각 참조번호(404) 및 참조번호(405)]에 관련되어 있다.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404 및 405)은 디스플레이(401)의 작업표시줄 내에 예시되어 있다. 이외에,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406) 및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407)에 대한 작업표시줄 버튼들도 작업표시줄 내에 나타나 있다. 도 4가 예시하는 바와 같이,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406) 및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407)에 관련된 작업표시줄 버튼들은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들이다.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또는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창들은 최소화됐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나있지 않는다. 그러나, 각각의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406 및 407)들은 작업표시줄 내에 보인다.
이 예에서,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406)의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기능에 대한 컨트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406)은 선택시에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동작을 수행시키는 버튼들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406)은 트랜스포트 컨트롤(즉, "재생", "정지", "빨리 감기", "되감기" 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트랜스포트 컨트롤을 위한 버튼은 재생(410), 트랙 되돌려 감기 또는 다시 재생(409), 트랙 빨리 감기 또는 건너뛰기(411), 일시정지(408) 또는 정지(412) 등을 위한 버튼들을 포함한다. 도 4는 단지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구성요소의 유형에 대한 예일 뿐이다.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의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406)은 녹화 또는 스캔과 같은 수많은 다른 컨트롤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또한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407)도 예시한다. 이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진행중인 기반 상에서 정보가 갱신되는 동적인 정보 유형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다수의 사용자 간의 텍스트 정보를 포함한다.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407)은 대화 스레드(conversation thread)의 일부를 제공한다. 이 예에서,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창이 보이지 않도록 최소화되어 있지만, 사용자는 관련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407) 내에서 입력되는 메시지를 읽을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인스턴트 메시징의 창이 최소화되어 있어도, 작업표시줄 버튼 내의 입력되는 메시지의 디스플레이를 판독하고, 응답으로 작업표시줄 버튼 내에 다이얼로그(dialog) 또는 텍스트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는 또 다른 사용자와 계속 대화할 수 있다. 도 4는 작업표시줄 버튼(407) 내에 진행중인 대화의 예를 예시한다.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407)은 데이터를 동적으로 바꿈으로써(즉, 대화 절차로서 대화 내의 메시지 라인을 갱신함)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정보를 제공한다.
또 다른 예에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정보, 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 또는 대응하는 창이 최소화되거나 중첩하는 창에 의해 가려질 때만 갱신되는 동적인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이 컴퓨터 상에서 여전히 활성화되어 있지만 미디어 플레이어 창이 디스플레이 상에 보이지 않도록, 미디어 플레이어 창은 최소화(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상의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될 수 있다.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창이 최소화되면, 도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 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는,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창은 디스플레이 상에 남아 있지만 다른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들에 의해 가려진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려진 어플리케이션 창에 관련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도 또한 구성요소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사용자가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 내의 대응하는 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클릭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예를 들어, 재생, 정지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트랜스포트 컨트롤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예에서,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창이 디스플레이에 복원되면(예를 들어,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 상의 미리결정된 위치를 클릭함으로써),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으로 변환될 수 있다.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창이 최소화되거나 디스플레이 상의 중첩하는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다른 창들)에 의해 가려지면,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은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예에서, 창이 최소화되거나, 다른 디스플레이 구성요소에 의해 가려지거나, 다른 방식으로 액세스 불가능하게 되더라도, 사용자는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을 계속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창들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의 예를 예시한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501)는 다수의 창을 포함한다. "내 문서" 창(502)은 디스플레이(501) 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며, 작업표시줄 내의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506)에 관련되어 있다. 폴더[예를 들어, "내 문서" 창(502)]에 관련된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506)은 폴더의 이름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506)을 클릭하면 폴더 창(이 예에서는 "내 문서" 창)이 최소화된다. 창이 이미 최소화되 있을 때는,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506)를 클릭하면, 창이 디스플레이/데스크탑에 복원된다.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창(506)도 또한 디스플레이(501) 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며, 작업표시줄 내의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507)에 관련되어 있다.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507)은 또한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경우에,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507)은 "마이크로소프트 워드"란 단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5는 또한 디스플레이(501) 상에 디스플레이된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504)의 창도 예시한다.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작업표시줄 버튼(508)은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의 모양을 하고 있는데, 즉 작업표시줄 버튼(508)은 단지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즉, "윈도우 미디어")의 이름만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외에, 작업표시줄 버튼은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을 돕는 로고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달리, 작업표시줄 버튼(508)은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일 수 있으며,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트랜스포트 컨트롤과 같은 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 예에서,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504)에 관련된 작업표시줄 버튼(508)은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 모양을 하고 있으며, 창(504)이 디스플레이(501) 상에 열려있을 때 대응하는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의 이름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로고 이상의 정보는 포함하지 않는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서(505)는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창(504)의 최소화 버튼(509) 상에 위치하고 있다. 최소화 버튼(509)이 활성화되거나 선택되면, 창(504)은 디스플레이(501) 상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지만 작업표시줄 버튼(508)은 작업표시줄 내에 남아 있을 것이다.
도 6은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창이 최소화된 이후의 도 5에 예시된 디스플레이를 예시한다. 도 6에서, 디스플레이(601)는 열린 창들을 포함한다. 컴퓨터 상의 폴더에 대한 창[예를 들어, "내 문서" 창(602)]이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나있으며, 대응하는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605)에 관련되어 있다. "내 문서" 창은 또한 디스플레이(601) 상에 열린 채로 볼 수 있는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창(603)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려져 있다.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창(603)은 또한 작업표시줄 내에 디스플레이된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606)에 관련되어 있다.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창(도시되지 않음)은 최소화됐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상에 보이지 않는다. 이 예에서, 커서(604)로 최소화 창 상자를 클릭함으로써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창이 최소화된다.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작업표시줄 버튼(607)은 여전히 작업표시줄 내에 나타나있지만, 도 6의 예에 예시된 작업표시줄 버튼(607)은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607)으로 변환되어 있다. 이 예의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607)은 갱신될 수 있는 동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이 경우에,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607)에 제공된 동적인 정보는 재생되고 있는 음악의 아티스트의 이름 및 트랙 번호이다.
이 예에서,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607)은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리치 프리젠테이션 정보를 포함하며, 진행중인 기반 상에서 갱신될 수 있다. 도 6이 예시하는 바와 같이, 이 예에서 아티스트의 이름 및 트랙 번호가 작업표시줄 버튼 내에 제공된다. 이 정보는 아티스트뿐만 아니라 트랙이 바뀔 때마다 갱신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구현을 예시한다. 그러나,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 임의의 강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작업표시줄 버튼들은 썸네일 디스플레이에 관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 및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썸네일의 디스플레이를 예시한다. 도 7이 예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701)는 열린 창을 디스플레이한다. 폴더에 대한 창[예를 들어, "내 문서" 창(702)]이 디스플레이(701) 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며, 이것은 대응하는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705)에 관련되어 있다.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창(703)도 또한 디스플레이(701) 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며, 또한 이것은 대응하는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706)에 관련되어 있다.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이 최소화되어 있기 때문에,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창은 디스플레이(701) 상에 나타나있지 않는다. 그러나,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대응하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707)은 디스플레이(701)의 작업표시줄 내에 나타나있다. 이 예의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707)은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예를 들어, 트랜스포트 컨트롤들)를 포함한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은 이 예에서,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707)은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데, 즉 미디어를 재생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버튼들을 제공한다.
커서(704)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707) 상의 미리결정된 위치 위를 호버링하면, 썸네일(708)이 디스플레이된다. 썸네일(708)은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도 7에 예시된 예에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707) 상의 미리결정된 위치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707) 측 상이다. 이 예의 썸네일(708)은 이 예의 풀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full media player application)의 축소 버전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썸네일은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임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 대응하는 썸네일은 스트림 정보, 앨범 삽화, 심상(visualization), 비디오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썸네일의 컨텐츠는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컨텐 츠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지정되거나 허가되어, 작업표시줄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에 나타내질 수 있다. 썸네일의 컨텐츠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지정되면,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은 대응하는 썸네일의 컨텐츠를 작업표시줄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에 구체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결과적인 썸네일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맞춤화되거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는 강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썸네일이 사라진 것을 예시한다. 도 8이 예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801)는 열린 창들을 포함한다. 폴더 창[예를 들어, 이 예에서 "내 문서" 창(802)]이 디스플레이(801) 상에 나타나있으며, 이것은 대응하는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805)에 관련된다. "내 문서" 창(802)은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창(803)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려져 있다.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창(803)은 또한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806)과 관련되어 있다. 도 7의 예에서 처럼,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창은 최소화되어 있거나 다른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들 뒤에 디스플레이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창은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창(8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 있다. 그러나,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807)은 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들을 제공한다. 이 예에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807)이 트랜스포트 컨트롤을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 내의 대응하는 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선택함으로써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예의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807) 내의 상호작용적인 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통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801) 상에 풀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창을 열지 않고서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커서(804)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807) 상의 미리결정된 위치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되었는데, 여기서 미리결정된 위치는, 예를 들어 커서가 미리결정된 위치 위를 호버링하면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썸네일이 제공되는 위치이다. 도 8은 커서(804)가 미리결정된 위치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된 후 썸네일이 사라져, 디스플레이(801) 상의 공간이 절약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커서가 미리결정된 영역으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된 후에도, 썸네일이 디스플레이 상에 볼 수 있게 남아 있길 바랄 수 있다. 도 9는 커서가 미리결정된 위치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된 후에도 썸네일이 디스플레이 상에 볼 수 있게 남아 있도록 하기 위해, 썸네일을 고정시키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9는 열린 창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901)를 예시한다. 폴더 창[예를 들어, "내 문서" 창(902)]이 디스플레이(901) 상에 나타나있으며, 이것은 대응하는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905)에 관련된다.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창(803)이 또한 디스플레이(901) 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며 이것은 "내 문서" 창(902)을 부분적으로 가리고 있다.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창(903)은 작업표시줄 내에 나타나있는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906)과 관련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의 예에서 처럼,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창은 최소화되거나 다른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들에 의해 가려져서 디스플레이(901) 상에서 볼 수 없다. 그러나,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907)은 작업표시줄 내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907)이 상호작용적인 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는 열려 있는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창으로 디스플레이(901) 상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서도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또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907)은 상호작용적인 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로서의 트랜스포트 컨트롤들을 포함한다.
도 9가 예시하는 바와 같이, 썸네일(908)을 열기 위해 커서(904)가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907) 상의 미리결정된 위치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된다. 그러나, 썸네일이 열린 채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썸네일(908)은 디스플레이(901) 상에 열린 채로 볼 수 있게 남아 있다. 썸네일을 고정하는 것은 다양한 기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아이콘 또는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클릭하거나 메뉴 상의 옵션을 선택함으로써 썸네일이 열린 채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뉴를 풀다운(pull down)하거나 오른쪽 클릭 등을 행함으로써 메뉴가 호출될 수 있다. 원한다면, 썸네일은 디폴트로 열린 채로 고정될 수도 있다. 썸네일(908)이 열린 채로 고정되어 있을 때, 커서는 썸네일(908)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디스플레이 상의 어느 위치로든 이동될 수 있는데, 즉 커서가 작업표시줄 버튼(907)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되어도 썸네일(908)은 열린 채로 남아 있다. 썸네일이 열린 채로 고정되어 있을 때는, 커서가 썸네일을 열기 위한 미리결정된 위치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되더라도, 사용자는 썸네일에 포함된 추가적인 정보에의 액세스를 계속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컴퓨터 상의 다른 프로젝트 상에서 작업하면서,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재생되는 비디오를 보길 원할 수 있다. 비디오의 썸네일 버전은 디스플에이 상에 열린 채로 고정된 썸네일 상에서 재생될 수 있다.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907)은 사용자에게, 비디오를 시청하면서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킬 수 있는 컨트롤(따라서 비디오의 재생/정지/검색/등)을 제공한다. 동시에, 어플리케이션의 소형 버전이 풀 사이즈 창의 반대로서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상의 공간을 절약하게 된다.
도 9는 또한 열린 채로 고정된 썸네일을 사라지게 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썸네일은 닫기 버튼(909)을 포함할 수 있다. 썸네일(908)을 닫기 위해 커서(904)는 썸네일(908)의 닫기 버튼(909)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썸네일(908)을 닫기 위해 닫기 버튼(909)이 선택 또는 클릭될 수 있다.
도 10은 열린 채로 고정된 썸네일을 닫는 것을 예시한다. 도 10이 예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001)는 열린 창들을 포함한다. 폴더 창[예를 들어, "내 문서" 창(1002)]은 대응하는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1005)과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워드 프로세싱 창(1003)이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며, 이것은 "내 문서" 창(1002)을 부분적으로 가린다. 워드 프로세싱 창(1003)은 작업표시줄 내의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1006)에 관련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의 예에서 처럼,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창은 최소화되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901) 상에 나타나지 않는다.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창은 대응하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007)에 관련되어 있는데, 이 버튼(1007)은 사용자가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007) 내의 컨트롤을 선택함으로써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작업표시줄 버튼(1007) 내의 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는 트랜스포트 컨트롤들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통해, 사용자는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창을 열므로써 디스플레이(1001) 상의 여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썸네일(1008)이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며, 열린 채로 고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커서(1004)가 작업표시줄 버튼(1007) 내의 미리결정된 위치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되더라도, 썸네일(1008)은 디스플레이(1001) 상에 디스플레이된 채로 남아 있다.
이 예에서, 커서(1004)가 닫기 버튼(1009)을 선택하기 위해 이용된다. 닫기 버튼(1009)이 선택(예를 들어, 클릭)되면, 썸네일은 닫혀서 더 이상 디스플레이(1001) 상에서 볼 수 없다.
도 11은 썸네일이 닫히거나 사라진 후의 도 10의 예를 예시한다. 이전의 예들에서와 같이, 도 11은 폴더 창[예를 들어, "내 문서" 창(1102)] 및 "내 문서" 창(1102)을 부분적으로 가리는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창(1103)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1101)를 예시한다. "내 문서" 창(1102) 및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창(1103) 둘 다는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에 관련된다(각각 참조번호(1105) 및 참조번호(1106)].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썸네일(도시되지 않음)은, 커서(1104)가 썸네일(도시되지 않음)의 닫기 상자를 선택함으로써 사라지거나 닫혔다. 이 예에서, 썸네일을 닫는 것은, 대응하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107)에 영향을 주지 않는데, 이 버튼(1107)은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예를 들어, 트랜스포트 컨트롤)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외에, 다수의 작업표시줄 버튼으로부터의 썸네일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2는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창(1203)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려진 폴더 창["내 문서" 창(1202)]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1201)를 예시한다. "내 문서" 창(1202) 및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창(1203)은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에 관련된다(각각 참조번호(1105) 및 참조번호(1106)]. 도 12에 예시된 예에서,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창 및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창은 최소화되어, 디스플레이(1201) 상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지만,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은 작업표시줄에 관련 작업표시줄 버튼[각각 참조번호(1207) 및 참조번호(1208)]을 갖는다.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은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의 컨트롤을 제공하는 상호작용적인 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제공하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207)에 관련되어 있다.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207) 내의 상호작용적인 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선택(예를 들어, 클릭)함으로써, 사용자는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그것의 동작 또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도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208)에 관련되어 있다.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208)은, 사용자가 인스턴트 메시징을 통해 텍스트를 입력하고 입력된 텍스트를 송신할 수 있게 하는 상호작용적인 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들을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208)을 통해 제공한다. 또한, 이벤트가 일어날 때마다 주기적으로 수정되는 동적인 정보(즉, 갱신되는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 경우에, 인스턴트 메시징을 통한 대화의 대화 스레드는 사용자가 송신한 최종 메시지를 포함하도록 갱신된다.
커서(1204)가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207) 위를 호버링되어,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1209)이 디스플레이(1201) 상에 나타난다. 썸네일은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임의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썸네일은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재생중인 비디오의 축소 버전, 연주하는 음악가의 이름, 음악 또는 미디어 재생에 관련된 시각적인, 또는 임의의 다른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내의 화살표가 나타내는 것처럼, 커서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207)으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3은 커서가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207)으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된 후의 도 2 내에 예시된 예를 예시한다. 도 13의 예에서, 디스플레이(1301)는 폴더 창[예를 들어, "내 문서" 창(1302)] 및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창(1303)을 포함한다. "내 문서" 창(1302)은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1305)에 관련되어 있으며,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창(1303)은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1306)에 관련되어 있다. 이외에,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은 작업표시줄 내의 관련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307)을 가지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대응하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308)을 갖는다. 도 13이 예시하는 바와 같이,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및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들 각각은 대응하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 내의 컨트롤들을 선택함으로써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308)은 또한 동적인 정보(즉, 수정된 정보 및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정보)도 포함한다. 도 13의 예에서,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은 "재생", "빨리 감기" 등과 같은 트랜스포트 컨트롤들을 포함하는 컨트롤 버튼(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308)은 대화 스레드의 일부를 포함한다.
커서(1304)는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307)으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됐다. 그러므로,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썸네일이 사라져서, 디스플레이(1301) 상에서 더 이상 볼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커서(1304)가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308)으로 이동되어,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1309)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다수의 썸네일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썸네일이 고정되면, 커서가 대응하는 작업표시줄 버튼으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된 후에도, 썸네일은 디스플레이된 채로 남아 있을 수 있다. 도 14는 폴더 창[예를 들어, "내 문서" 창(1402)] 및 중첩하는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창(1403)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1401)를 예시한다. 이외에,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및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활성화되어 있지만 축소화되어 있다.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된 작업표시줄 버튼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내 문서" 창(1402)은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1405)에 관련되어 있고,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창(1403)은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1408)에 관련되어 있으며,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은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407)에 관련되어 있고,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408)에 관련되어 있다.
도 14는 디스플레이(104) 상에 고정되어 있는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1409)을 예시한다. 커서가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408) 위를 호버링함으로써,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썸네일(1410)이 디스플레이(1401)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마찬가지로,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썸네일(1410)도 고정되어 있어서, 커서(1404)가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대응하는 작업표시줄 버튼(1408)으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되더라도, 그것은 디스플레이된 채로 남아 있는다. 도 14에 예시된 예에서,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및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모두는 열린 채로 디스플레이(1401) 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되고 사라질 때, 썸네일 또는 썸네일의 디스플레이가 우발적으로 또는 너무 빨리 사라질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도 15는 썸네일 또는 썸네일의 디스플레이가 우발적으로 또는 너무 빨리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의 예를 예시한다. 단계(1500)에서 커서가 위치되고, 단계(1501)에서 썸네일이 호출되기 위한 미리결정된 위치로 커서가 이동되었는지가 판정된다. 미리결정된 위치는 디스플레이의 어느 곳에나 위치될 수 있지만, 대응하는 작업표시줄 버튼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서가 적절한 위치에 있으면[단계(1501)의 "예" 브렌치(branch)], 커서가 적절한 위치에 있는 동안 미리결정된 지연기간이 경과됐는지가 더 판정된다. 지연기간은 사용자 선호도 또는 개인적인 상황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커서가 썸네일을 열기 위한 위치에 위치한 후 충분한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시스템은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되어야할 때를 나타내는 지연기간이 경과하거나[단계(1502)의 "예" 브렌치], 커서가 그 위치로부터 다른 곳(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아야할 곳을 나타내는)으로 다시 이동될[단계(1503)] 때까지 기다린다. 커서가 미리결정된 시간 동안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위치에 위치해 있으면,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된다[단계(1503)].
도 15는 또한 썸네일이 우발적으로 또는 너무 빨리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의 예를 나타낸다.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된 후, 커서가 위치되고[단계(1504)], 커서가 썸네일이 호출되기 위한 위치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되었는 지가 판정된다[단계(1505)]. 커서가 썸네일을 호출하기 위한 위치에 남아 있으면[단계(1505)의 "아니오" 브렌치], 썸네일은 디스플레이된 채로 남아 있다. 커서가 썸네일을 호출하기 위한 위치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되면, 커서가 썸네일을 호출하기 위한 위치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된 동안 미리결정된 지연기간이 경과됐는지가 우선 판정된다. 예를 들어, 이 지연기간은 특정 상황에서 개별적인 사용자의 선호도 또는 요구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커서가 썸네일을 호출하기 위한 위치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된 후 충분한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시스템은 커서가 썸네일을 호출하기 위한 위치로부터 떨어진 곳에 썸네일이 사라져야하는 때를 나타내는 지정된 시간 동안 남아 있을 때까지 기다린다[단계(1506)의 "예" 브렌치]. 이와 달리, 시스템은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된 채로 남아 있어야하는 지연기간이 경과되기 전에, 커서가 썸네일을 호출하기 위한 위치상으로 다시 움직여올 때까지 기다린다[단계(1506)의 "아니오" 브렌치]. 커서가 적어도 썸네일을 호출하기 위한 위치로부터 떨어진 곳으로 지정된 지연기간 동안 이동해 있으면, 썸네일은 사라진다[단계(1507)].
도 16은 썸네일의 디스플레이를 지연시키기 위한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 제1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경우에는, 썸네일의 너무 빠르거나 원하지 않거나 불리한 디스플레이를 방지하기 위해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지연되지만, 다른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경우에는 지연되지 않는다. 이는 사용자가 일련의 어플리케이션의 썸네일 및 그들의 작업표시줄 버튼을 빠르게 훑어볼 수 있게 한다. 이 예에서, 커서는 썸네일을 호출하기 위한 위치에[ 단계(1601)]에 위치할 수 있다[단계(1600)]. 예를 들어, 커서는 작업표시줄 버튼 상의 미리결정된 위치 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현재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다른 썸네일이 없으면[단계(1602)의 "아니오" 브렌치], 미리결정된 지연기간이 경과됐는지가 판정된다[단계(1603)]. 예를 들어, 이 시간은 특정 상황에서의 사용자 선호도 또는 요구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커서가 충분한 시간 동안 썸네일을 호출하기 위한 위치에 남아 있으면[단계(1603)의 "예" 브렌치],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된다[단계(1604)]. 이와 달리, 커서가 또 다른 썸네일을 호출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될 때, 적어도 하나의 다른 썸네일이 이미 디스플레이 상에 있으면[단계(1602)의 "예" 브렌치], 미리결정된 지연기간을 기다리지 않고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된다[단계(1602) 및 단계(1604)의 "예" 브렌치]. 도 16의 예에서,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된 후, 커서가 위치되고[단계(1605)], 커서가 썸네일을 호출하기 위한 위치(예를 들어, 대응하는 작업표시줄 버튼)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되면[단계(1606)의 "예" 브렌치], 썸네일은 사라질 수 있다.
도 17은 썸네일이 사라지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 커서가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위치(예를 들어, 작업표시줄 버튼 내)에 있음으로써, 썸네일이 이미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단계(1700)에서 커서가 위치된다. 커서가 그 위치(예를 들어, 작업표시줄 버튼)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되면[단계(1701)의 "예" 브렌치], 디스플레이된 다른 썸네일이 적어도 하나 있는지가 우선 판정된다[단계(1702)]. 디스플레이된 다른 썸네일이 없으면[단계(1702)의 "아니오" 브렌치](즉, 당면한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된 마지막 썸네일임), 시스템은 커서가 썸네일이 사라지기 전 미리결정된 지연기간 동안 그 위치로부터 다른 곳에 남아 있을 때까지 기다린다[단계(1703)의 "예" 브렌치]. 그러나, 커서가 그 위치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했을 때 또 다른 썸네일이 열려 있으면[단계(1702)의 "예" 브렌치], 썸네일은 지연 없이 사라진다[단계(1704)]. 이 예에서, 임의의 선행 썸네일이 닫힌 후 마지막 썸네일이 닫히기 전까지 지연이 일어난다. 이는 필요한 곳에서 썸네일이 닫히는 것에 빠르게 응답하면서 또한 썸네일이 우발적으로 또는 너무 빨리 닫히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작업표시줄 버튼의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작업표시줄 버튼들이 작업표시줄에 나타나있을 때, 사용가능한 총 공간에 작업표시줄 버튼 모두를 수용하기 위해 작업표시줄 버튼들의 크기 또는 컨텐츠가 바뀔될 수 있다. 도 18a-c는 크기에 기초하여 작업표시줄 버트들의 크기를 조정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8a는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인 폴더 작업표시줄 버튼[예를 들어, "내 문서" 작업표시줄 버튼(1801)], 또한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인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802), 및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인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803)의 3개의 작업표시줄 버튼을 포함하는 작업표시줄의 예를 예시한다. 이 예에서, 3개의 작업표시줄 버튼 모두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작업표시줄에 존재한다. 그러므로, 3개의 작업표시줄 버튼 각각은 풀사이즈(full-size)이며, 각각은 다른 작업표시줄 버튼들과 대략 같은 크기이다.
도 18b는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추가적인 작업표시줄 버튼(1807)(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 더 추가된 도 18a의 작업표시줄 버튼을 예시하는데, 여기서 도 18a의 작업표시줄 버튼은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인 폴더 작업표시줄 버튼[예를 들어, "내 문서" 작업표시줄 버튼(1804)], 또한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인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805), 및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인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806)을 포함한다. 작업표시줄 내의 사용가능한 총 공간 내에 추가적인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807)을 수용하기 위해, 각각의 작업표시줄 버튼의 크기가 줄어든다. 도 18b에 예시된 예에서, 4개의 결과적인 작업표시줄 버튼 각각은 도 18a의 예에서의 각각의 작업표시줄 버튼들 보다 크기는 작지만, 도 18b의 예에서의 각각의 다른 작업표시줄 버튼들과는 크기가 대략 동일하다. 이 예에서, 각각의 작업표시줄 버튼들의 크기는 동일하게 줄어들므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의 크기도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과 동일한 비율로 줄어든다.
도 18c는 작업표시줄 버튼들의 크기가 조정되는 또 다른 예를 예시한다. 이 예에서, 추가적인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811)이 작업표시줄 내의 이미 존재하는 작업표시줄 버튼들에 추가된다. 즉,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및 그것의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181)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 폴더 작업표시줄 버튼[예를 들어, "내 문서" 작업표시줄 버튼(1808)](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809)(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 및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810)(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이미 작업표시줄 내에 존재한다. 이 예에서, 다른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예를 들어, 작업표시줄 버튼(1810)]은 크기가 줄어들지 않지만, 추가적인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811)을 공간에 수용하기 위해, 보통의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들은 크기가 줄어든다. 도 18c가 예시하는 바와 같이,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인 "내 문서" 작업표시줄 버튼(1808) 및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809)은 크기가 줄어들지만,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인 미디어 플레이어 작업표시줄 버튼(1810)은 크기가 줄어들지 않는다. 이 예에서의 추가적인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811)은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되어 있으며, 또한 맞춤형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도 18c가 예시하는 바와 같이,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즉,"내 문서" 작업표시줄 버튼(1808) 및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809)]은 보다 작은 형태로 디스플레이되고,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즉, 미디어 플레이어 작업표시줄 버튼(1810) 및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811)]은 풀사이즈로 디스플레이된다. 이 예에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의 크기는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의 크기를 희생시키면서 유지된다.
추가적인 작업표시줄 버튼이 도 18a-c의 작업표시줄에 추가될 때,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의 크기를 줄일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예에서(도시되지 않음),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의 크기가 줄어들기 전에,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들의 크기는 특정 최소 임계치까지 줄어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의 크기는, 작업표시줄 버튼 내에 정보가 유용할 수 있을 때까지 줄어들 수 있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에 너무 작은 한 비제한적인 작업표시줄 버튼의 예는 심지어 작업표시줄 버튼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는 이름 또는 로고를 제공하기에도 공간이 부족한 작업표시줄 버튼이다. 그러므로, 이 예에서, 각각의 작업표시줄 버튼의 크기는 우선순위 스킴(priority scheme)에 따라 줄어든다. 한 예에서, 우선순위 스킴은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에 우선순위를 줌으로써,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을 넘어 그들의 본래 크기를 유지하게 한다.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의 크기가 더 줄어들면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으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을 정도로 줄어든 후에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의 크기가 줄어들기 시작한다.
또 다른 예에서(예시되지 않음),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의 크기는 모든 다른 작업표시줄 버튼(즉,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에 대한 비율로 줄어들거나, 다른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이 크기가 더 줄어들면 작업표시줄 버튼의 정보가 무의미해질 때까지 줄어든 후에 줄어들 것이지만, 그러나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의 크기는 그들이 충분한 정보 또는 제어 기능을 제공할 때까지만 줄어들 것이다. 이시점에서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의 크기가 더 이상 줄지 않는다.
이외에, 작업표시줄 버튼들은 작업표시줄 내의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예를 들어 작업표시줄 버튼 통합을 통해 병합될 수 있다. 본원에 이용된 바와 같은, "작업표시줄 버튼 통합"이란 용어는 복수의 작업표시줄 버튼들이 단일 작업표시줄 버튼으로 조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2개 이상의 작업표시줄 버튼으로부터의 정보가 단일 작업표시줄 버튼으로 배치되면, 작업표시줄 내에 다른 디스플레이 항목을 위한 공간이 생겨난다. 그러므로, 특히 작업표시줄 내에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하면, 복수의 작업표시줄 버튼들이 작업표시줄 버튼 통합을 통해 조합될 수 있다. 도 19a 내지 도 19f는 작업표시줄 버튼 통합의 예를 예시한다. 도 19a는 3개의 작업표시줄 버튼을 포함하는 작업표시줄의 예를 예시한다. 이 예에서는, 폴더 작업표시줄 버튼[예를 들어, "내 문서" 작업표시줄 버튼(1901)] 및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902)이 나타나있다. "내 문서" 작업표시줄 버튼(1901) 및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902) 둘 다는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이다. 이 예에서는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제3 작업표시줄 버튼(1903)도 나타나있다. 도 19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작업표시줄 버튼(1903)은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다. 이 예에서, 작업표시줄 상에는 3개의 작업표시줄 버튼 모두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있다. 그 결과, 3개의 작업표시줄 버튼 모두가 각각 풀사이즈로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도 19b는 작업표시줄 내에 작업표시줄 버튼을 디스플레이한 또 다른 예를 예시한다. 도 19b 내의 작업표시줄은 도 19a에 나타낸 3개의 어플리케이션 및 창들 즉, "내 문서" 작업표시줄 버튼,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작업표시줄 버튼 및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에 대한 작업표시줄 버튼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 19b에는 추가적인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906)이 작업표시줄에 추가되어 있다. 이 예에서, 이 추가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906)은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것이다. 작업표시줄 버튼 통합이 수행되어,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906)의 추가가 수용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도 19a에 예시된 것과 같은 단순한 폴더 작업표시줄 버튼["내 문서" 작업표시줄 버튼(1901)]은 도 19a에 예시된 것과 같은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902)과 함께 통합되어, 폴더(예를 들어, "내 문서")와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을 통합하는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1904)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작업표시줄 상에 미디어 플레이어 작업표시줄 버튼(1905,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 및 새롭게 추가된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906,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 각각을 풀사이즈로 디스플레이하기에 적절한 공간이 생긴다. 도 19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들은 작업표시줄 버튼 통합을 통해 조합되지만,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들은 작업표시줄 버튼 통합을 통해 조합되지 않는다. 이와 달리, 추가적인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 작업표시줄에 추가됐을 때(도시되지 않음),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들도 작업표시줄 버튼 통합에 의해 조합될 수 있지만,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들이 이미 작업표시줄 버튼 통합에 의해 조합된 이후에만 조합된다. 이 방식으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에 우선순위가 주어져서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들 모두가 이미 작업표시줄 버튼 통합에 의해 조합될 때까지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 작업표시줄 버튼 통합에 의해 조합될 수 있는 때)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 보존된다.
도 19c는 작업표시줄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또 다른 예를 예시한다. 이 예에서, 이미 단순한 및/또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을 포함하고 있는 작업표시줄에 추가적인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909)이 추가된다. 이 예에서,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들이 작업표시줄 버튼 통합에 의해 조합되고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들도 작업표시줄 버튼 통합에 의해 조합되어, 작업표시줄 상의 모든 작업표시줄 버튼들을 수용하기 위한 적절한 공간이 제공된다. 도 19c가 예시하는 바와 같이, 도 19a에 예시된 것과 같은 폴더 창(예를 들어, "내 문서" 창)에 관련된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1901) 및 도 19a에 예시된 것과 같은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작업표시줄 버튼(1902)이 작업표시줄 버튼 통합에 의해 조합되어, 도 19c 내의 단일 작업표시줄 버튼(1907)을 형성한다. 또한, 도 19b에 예시된 것과 같은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905) 및 도 19b에 예시된 것과 같은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906)이 작업표시줄 버튼 통합에 의해 조합되어, 도 19c 내에 예시된 단일 작업표시줄 버튼(1908)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들이 작업표시줄 버튼 통합에 의해 조합되거나 하나의 작업표시줄 버튼[예를 들어, 작업표시줄 버튼(1907)]으로 병합되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들도 작업표시줄 버튼 통합에 의해 조합되거나 또 다른 작업표시줄 버튼[예를 들어, 작업표시줄 버튼(1908)]으로 병합되어, 추가적인 작업표시줄 버튼(1909)을 추가하기 위한 공간을 만든다.
도 19d는 작업표시줄 버튼을 디스플레이한 또 따른 예를 예시한다. 이 예에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 작업표시줄 버튼 통합에 의해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과 함께 조합된다. 도 19d가 예시하는 바와 같이, 또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추가적인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912)이 작업표시줄에 추가된다. 모든 작업표시줄 버튼을 수용하기 위한 작업표시줄 상의 공간을 만들기 위해, 작업표시줄 버튼은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인지 또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인지에 상관없이, 작업표시줄 버튼 통합에 의해 조합된다. 예를 들어, 도 19d에 예시된 바와 같이,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912)이 작업표시줄에 추가된다. 단순한 폴더 작업표시줄 버튼[예를 들어, 도 19a에 예시된 것과 같은 "내 문서" 작업표시줄 버튼(1901)]이 작업표시줄 버튼 통합에 의해 도 19a의 단순한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902)과 함께 통합된다. 이외에, 도 19b의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905)은 작업표시줄 버튼 통합에 의해 "내 문서" 작업표시줄 버튼(1901) 및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902)과 함께 통합되어, "내 문서" 작업표시줄 버튼,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작업표시줄 버튼 및 미디어 플레이어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을 통합한 단일 작업표시줄 버튼(1910)을 형성한다(도 19d). 상기 예에서와 같이, 이 예에서의 "내 문서" 작업표시줄 버튼과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인 반면, 미디어 플레이어 작업표시줄 버튼은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다. 이 예에서, 작업표시줄 버튼은, 각각의 작업표시줄 버튼들이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인지 또는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인지에 상관없이 작업표시줄 버튼 통합에 의해 조합된다.
도 19e는 2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작업표시줄 버튼들이 단일 작업표시줄 버튼에 조합되어 메뉴에 디스플레이된 작업표시줄 버튼 통합의 또 다른 예를 예시한다. 도 19e가 예시하는 바와 같이,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921)은 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작업표시줄 내에 나타나있다. 또한,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또 다른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922)이 작업표시줄에 나타나있다. 작업표시줄(1920)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단일 작업표시줄 버튼이다. 이 예에서, 작업표시줄 버튼(1920)은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및 폴더(예를 들어, "내 문서" 폴더)를 나타낸다. 커서(1924)는 메뉴(1923)를 활성화시킨다. 도 19c의 예에서와 같이,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들은 통합되지만,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들은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들과 함께 병합 또는 통합되지 않는다. 오히려, 단지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들만이 통합된다. 이 예에서, 통합된 작업표시줄 버튼(1920) 내의 화살표(1925)에 의해 메뉴(1923)가 활성화되어 있다는 것이 나타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통합된 작업표시줄 버튼에 포함된 모든 어플리케이션의 메뉴가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다.
도 19f는 작업표시줄 통합의 또 다른 예를 예시한다. 이 예에서, 어떤 추가적인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1932)이 작업표시줄에 추가되어,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들이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과 같은 다른 유형의 작업표시줄 버튼과 함께 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예에서는,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들과 함께 조합 또는 통합되어, 단순한 통합된 작업표시줄 버튼(1930)을 형성한다. 상기 예에서와 같이, 통합된 작업표시줄 버튼(1930)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메뉴(1933)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커서(1934)가 이용될 수 있다. 이 예에서, 폴더,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및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은 통합된 작업표시줄 버튼(1930)에 포함되어, 커서(1934)에 의해 활성화되면 나타나는 메뉴(1933) 내에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작업표시줄 버튼(1930)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들의 메뉴(1933)에 대한 디스플레이는 작업표시줄 버튼(1930) 내의 미리결정된 영역 또는 아이콘일 수 있다. 이 예에서는, 화살표(1935)로 미리결정된 영역이 나타나있다.
이와 달리, 작업표시줄 버튼들을 수용하기 위한 작업표시줄 상의 공간을 만들기 위해, 작업표시줄 버튼들이 오버플로우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0a-c는 오버플로우 내에 배치된 작업표시줄 버튼의 예를 예시한다. 도 20a는 3개의 작업표시줄 버튼["내 문서" 작업표시줄 버튼(2001),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작업표시줄 버튼(2002) 및 미디어 플레이어 작업표시줄 버튼(2003)]을 포함하는 작업표시줄을 예시한다. 상기 예에서와 같이, "내 문서" 작업표시줄 버튼(2001) 및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작업표시줄 버튼(2002)은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이고, 미디어 플레이어 작업표시줄 버튼(2003)은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다.
도 20b는 작업표시줄 버튼이 작업표시줄에 추가된 예를 예시한다. 이 예에서, 단순한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작업표시줄 버튼(2004) 및 미디어 플레이어 작업표시줄 버튼(2005)과 같은 작업표시줄 버튼들은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새롭게 추가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2006)과 함께, 각각 작업표시줄 내에 풀사이즈로 디스플레이된 채로 남아 있다. 태스크바 상에 작업표시줄 버튼 모두를 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내 문서" 작업표시줄 버튼[도 20a 내의 참조번호(2001)]이 화살표(2010)로 나타낸 것과 같은 오버플로우 내에 배치된다.
도 20d는 오버플로우 내의 어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를 예시한다. 이 예에서, 오버플로우 내에 존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미리결정된 영역 위에서 커서(2017)가 활성화되어 있다. 도 20d가 예시하는 바와 같이,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2015)이 이미 다른 작업표시줄 버튼들을 포함하고 있는 작업표시줄에 추가된다. 새로운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을 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작업표시줄 버튼들이 원하는 우선순위로 오버플로우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들이 오버플로우 내에 배치되기 이전에,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들이 오버플로우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예에서, "내 문서" 폴더에 관련된 작업표시줄 버튼이 우선 오버플로우 내에 배치되고, 후에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 작업표시줄에 추가되므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작업표시줄 밖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오버플로우 내에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의 메뉴(2018)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미리결정된 영역(2016, 도 20d에 화살표로 표시됨) 위에서 커서(2017)가 활성화되어 있다. 이 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메뉴(2018) 상의 "내 문서"의 리스팅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폴더가 오버플로우 내에 존재한다.
도 20e는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들이 오버플로우 내에 배치되는 또 다른 예가 예시된다. 이 예에서, 또 다른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2021)이 작업표시줄에 추가된다. 작업표시줄 버튼 모두를 디스플레이할 충부한 공간이 작업표시줄 내에 없기 때문에, 또 다른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이 오버플로우 내에 배치되게 된다. 커서(2022)가 미리결정된 영역에서 활성화됨으로써, 오버플로우 메뉴(2023)가 액세스될 수 있다. 당면한 예에서, 커서(2022)는 화살표(2012)로 지정된 미리결정된 영역에 위치한다. 그 후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이 예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및 파일 폴더가 오버플로우 내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뉴(2023)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20c는 또한 작업표시줄 상에 보다 많은 작업표시줄 버튼들이 추가된 오버플로우 내에 배치된 작업표시줄 버튼들을 예시한다. 이 예에서, 새로운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2009)이 작업표시줄에 추가된다. 그 결과, 또 다른 작업표시줄 버튼이 오버플로우에 배치되게 된다. 이 경우에, 2중 화살표(2011)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순한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작업표시줄 윈도우[도 20b 내의 참조번호(2004)]가 오버플로우 내에 배치되게 된다.
이 예에서 오버플로우에 배치될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은 특정한 상황에서의 사용자 선호도 또는 요구에 따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미디어 플레이어 작업표시줄 버튼 또는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작업표시줄 버튼과 같은)은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예를 들어, "내 문서" 작업표시줄 버튼 및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작업표시줄 버튼)보다 더 보존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들이 우선적으로 오버플로우 내에 배치된다. 작업표시줄에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이 하나도 없는 후에야만,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 오버플로우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 모두가 이미 오버플로우 내에 배치된 후에야만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 오버플로우 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양태들이 수많은 형태 및 실시예를 취할 수 있음이 이해된다. 본원에 제시된 실시예들은 발명을 제한하기보다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취지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형물들이 만들어질 수 있음이 인식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상기 개시 내용은 광범위하게 변형, 수정 및 대체되도록 의도되며, 몇몇 경우에서 본 발명의 몇몇 특징들은 다른 특징들의 대응하는 이용을 벗어나지 않게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들이 본 발명의 영역에 일관되도록 광범위하게 해석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은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42)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에서, 작업표시줄(taskbar) 상에 작업표시줄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으로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rich presentation taskbar button)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생성은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독립적으로 발생하고, 상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내의 복수의 기능의 컨트롤을 가능하게 함 - ;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 내에 디스플레이될 적어도 일부(portion)의 대화 스레드(conversation thread)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일부의 대화 스레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됨 - ;
    상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을 상기 작업표시줄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일부의 대화 스레드는 상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 상에 디스플레이됨 - ; 및
    상기 대화 스레드와 관련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썸네일 컨텐츠 정보를 나타내는 썸네일을 상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에 근접하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instant messaging application)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일부의 대화 스레드는 하나 이상의 가장 최근에 수신된 메시지(received message) 및 가장 최근에 전송된 메시지(sent message)를 설명하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고 아웃고잉 인스턴트 메시지(outgoing instant message)에 포함될 텍스트를 수신하는데 이용가능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컨트롤하는데 이용가능한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성요소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커서(cursor)가 상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 상의 사전결정된 위치 위를 호버링(hover)할 때 수행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가 상기 사전결정된 위치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된 썸네일이 사라지는(dismissing)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가 상기 사전결정된 위치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된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된 채로 남아 있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사전결정된 디스플레이 구성요소가 선택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된 썸네일이 사라지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존의 디스플레이된 작업표시줄 버튼과 함께 상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존의 디스플레이된 작업표시줄 버튼은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simple taskbar button)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실질적으로 상기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과 동일한 크기로 디스플레이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은 상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보다 작은 크기로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과 상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상기 작업표시줄에 디스플레이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들이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상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 디스플레이되면, 상기 적어도 2개의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들은 작업표시줄 버튼 통합(taskbar button consolidation)에 의해 조합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이 디스플레이될 때, 적어도 하나의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이 오버플로우 메뉴(overflow menu)에 배치되게 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창(window)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볼 수 없을 때만, 상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창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볼 수 있으면, 상기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창을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 대신에 상기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창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거하는 단계 이후, 상기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 대신에 상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창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 대신에 상기 단순한 작업표시줄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가 실행되는 경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과 독립적으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내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컨트롤을 가능하게 함 - ;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 내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는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되며,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최근에 수신된 메시지를 포함함 - ;
    상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상기 메시지를 포함함 - ;
    상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으로 입력되고,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전송될 아웃고잉 메시지를 설명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썸네일 컨텐츠 정보를 나타내는 썸네일을 상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에 근접하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22.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에서,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 - 상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제공되는 대화 스레드의 일부와 함께 조합하여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대화 스레드를 설명하는 썸네일은 상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에 근접하게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아웃고잉 인스턴트 메시지에 포함될 텍스트 입력(textual input)을 수신함 - 을 포함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 내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대화 스레드는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인스턴트 메시지가 수신되고 전송됨에 따라 상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 내에서 동적으로 갱신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창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또 다른 디스플레이 구성요소에 의해 가려지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이고, 상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텍스트 입력을 수신 및 디스플레이하는 상호작용적인 컨트롤 디스플레이 구성요소(interactive control display element)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리치 프리젠테이션 작업표시줄 버튼은 입력 메시지(incoming message)의 적어도 일부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KR1020050108003A 2004-12-08 2005-11-11 작업표시줄 상에 작업표시줄 버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방법 및 시스템 KR101238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006,751 2004-12-08
US11/006,751 US7665031B2 (en) 2004-12-08 2004-12-08 Method and system of taskbar button interfa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523A KR20060064523A (ko) 2006-06-13
KR101238545B1 true KR101238545B1 (ko) 2013-02-28

Family

ID=35841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8003A KR101238545B1 (ko) 2004-12-08 2005-11-11 작업표시줄 상에 작업표시줄 버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4) US7665031B2 (ko)
EP (1) EP1669848B1 (ko)
JP (2) JP4911962B2 (ko)
KR (1) KR101238545B1 (ko)
CN (1) CN1786906B (ko)
AU (2) AU2005229691B2 (ko)
BR (1) BRPI0504834A (ko)
CA (1) CA2525444C (ko)
MX (1) MXPA05012068A (ko)
RU (1) RU2416817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1259B2 (en) * 2006-01-03 2012-04-03 Apple Inc. Remote content updates for portable media devices
US7724716B2 (en) 2006-06-20 2010-05-25 Apple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831199B2 (en) 2006-01-03 2010-11-09 Apple Inc. Media data exchange, transfer or deliver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7490295B2 (en) * 2004-06-25 2009-02-10 Apple Inc. Layer for accessing user interface elements
US8302020B2 (en) 2004-06-25 2012-10-30 Apple Inc. Widget authoring and editing environment
US8566879B2 (en) * 2004-09-28 2013-10-22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ng video content
US7706637B2 (en) * 2004-10-25 2010-04-27 Apple Inc. Host configured for interoperation with coupled portable media player device
US20060129946A1 (en) * 2004-12-15 2006-06-15 Idealab, Inc. Seamless activation of a GUI window in a computing environment
EP1834477A4 (en) * 2005-01-05 2016-12-28 Hillcrest Lab Inc SCALING AND LAYOUT METHODS AND SYSTEMS FOR HANDLING ONE OR MORE OBJECTS
US7593782B2 (en) 2005-01-07 2009-09-22 Apple Inc. Highly portable media device
US8341541B2 (en) * 2005-01-18 2012-12-25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ly browsing of open windows
US7552397B2 (en) * 2005-01-18 2009-06-23 Microsoft Corporation Multiple window behavior system
US7426697B2 (en) * 2005-01-18 2008-09-16 Microsoft Corporation Multi-application tabbing system
US7747965B2 (en) * 2005-01-18 2010-06-29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acity of multiple windows while browsing
US7478326B2 (en) * 2005-01-18 2009-01-13 Microsoft Corporation Window information switching system
US20060236269A1 (en) * 2005-04-18 2006-10-19 Amir Born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isplaying calendar information to a user
US7673255B2 (en) 2005-04-22 2010-03-02 Microsoft Corporation Interface and system for manipulating thumbnails of live windows in a window manager
US7856470B2 (en) * 2005-05-27 2010-12-21 Microsoft Corporation Accepting an invitation sent to multiple computer systems
US8300841B2 (en) 2005-06-03 2012-10-30 Apple Inc. Techniques for presenting sound effects on a portable media player
US7930369B2 (en) 2005-10-19 2011-04-19 Apple Inc. Remotely configured media device
US7752556B2 (en) 2005-10-27 2010-07-06 Apple Inc. Workflow widgets
US7600190B2 (en) * 2005-11-15 2009-10-06 Mitac Technology Corp. Window switching method and system
US7707514B2 (en) 2005-11-18 2010-04-27 Apple Inc. Management of user interface elements in a display environment
US8654993B2 (en) * 2005-12-07 2014-02-18 Apple Inc. Portable audio device providing automated control of audio volume parameters for hearing protection
US7882448B2 (en) * 2005-12-29 2011-02-01 Sap Ag Taskbar configuration tool for computer systems
US7509588B2 (en) 2005-12-30 2009-03-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US8255640B2 (en) 2006-01-03 2012-08-28 Apple Inc. Media device with intelligent cache utilization
US20070166683A1 (en) * 2006-01-05 2007-07-19 Apple Computer, Inc. Dynamic lyrics display for portable media devices
US7595810B2 (en) 2006-03-22 2009-09-29 Apple Inc. Methods of manipulating a screen space of a display device
US8358273B2 (en) * 2006-05-23 2013-01-22 Apple Inc. Portable media device with power-managed display
KR20080009415A (ko) * 2006-07-24 2008-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백그라운드 태스크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이동통신 단말기
US10503342B2 (en) * 2006-08-04 2019-12-10 Apple Inc. User interface spaces
US20080052642A1 (en) * 2006-08-24 2008-02-28 David Frederick Champion Personalized, dynamic, application selection interface
US10313505B2 (en) * 2006-09-06 2019-06-04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displaying widgets
US7853972B2 (en) * 2006-09-11 2010-12-14 Apple Inc. Media preview user interface
US8090130B2 (en) * 2006-09-11 2012-01-03 Apple Inc. Highly portable media devices
US8341524B2 (en) * 2006-09-11 2012-12-25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local search capabilities
US7729791B2 (en) 2006-09-11 2010-06-01 Apple Inc. Portable media playback device including user interface event passthrough to non-media-playback processing
US8519964B2 (en) 2007-01-07 2013-08-27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user navigations of graphical objects on a touch screen display
US7844915B2 (en) 2007-01-07 2010-11-30 Apple Inc.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scrolling operations
US20080168478A1 (en) 2007-01-07 2008-07-10 Andrew Platze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Scrolling
US20080168402A1 (en) 2007-01-07 2008-07-10 Christopher Blumenberg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Gesture Operations
WO2008090902A1 (ja) * 2007-01-25 2008-07-31 Sharp Kabushiki Kaisha マルチウィンドウ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並びに情報処理装置
US7589629B2 (en) * 2007-02-28 2009-09-15 Apple Inc. Event recorder for portable media device
US8702505B2 (en) 2007-03-30 2014-04-22 Uranus International Limited Method, apparatus, system, medium, and signals for supporting game piece movement in a multiple-party communication
US8627211B2 (en) 2007-03-30 2014-01-07 Uranus International Limited Method, apparatus, system, medium, and signals for supporting pointer display in a multiple-party communication
US7765266B2 (en) 2007-03-30 2010-07-27 Uranus International Limited Method, apparatus, system, medium, and signals for publishing content created during a communication
US7765261B2 (en) 2007-03-30 2010-07-27 Uranus International Limited Method, apparatus, system, medium and signals for supporting a multiple-party communication on a plurality of computer servers
US8060887B2 (en) * 2007-03-30 2011-11-15 Uranus International Limited Method, apparatus, system, and medium for supporting multiple-party communications
US7950046B2 (en) 2007-03-30 2011-05-24 Uranus International Limited Method, apparatus, system, medium, and signals for intercepting a multiple-party communication
US9954996B2 (en) * 2007-06-28 2018-04-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onversation management for incoming instant messages
US8954871B2 (en) 2007-07-18 2015-02-10 Apple Inc. User-centric widgets and dashboards
US8522247B2 (en) * 2007-07-30 2013-08-27 Novell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dicating usage of system resources using taskbar graphics
US8619038B2 (en) 2007-09-04 2013-12-31 Apple Inc. Editing interface
JP4794580B2 (ja) * 2008-01-07 2011-10-1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1488989A (zh) * 2008-01-18 2009-07-22 德信智能手机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在手机上管理任务的方法
US8490019B2 (en) * 2008-01-29 2013-07-16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ing thumbnail copies of each running item from one or more applications
US20090199127A1 (en) * 2008-01-31 2009-08-06 Microsoft Corporation Previewing target display areas
US8645827B2 (en) 2008-03-04 2014-02-04 Apple Inc. Touch event model
US8416196B2 (en) 2008-03-04 2013-04-09 Apple Inc. Touch event model programming interface
US8717305B2 (en) 2008-03-04 2014-05-06 Apple Inc. Touch event model for web pages
US8327286B2 (en) * 2008-03-13 2012-12-04 Microsoft Corporation Unifying application launchers and switchers
US9003315B2 (en) 2008-04-01 2015-04-07 Litl Llc System and method for streamlining user interaction with electronic content
US8612888B2 (en) 2008-04-01 2013-12-17 Litl,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igital media content
US20090322790A1 (en) * 2008-04-01 2009-12-31 Yves Behar System and method for streamlining user interaction with electronic content
US8624844B2 (en) 2008-04-01 2014-01-07 Litl Llc Portable computer with multiple display configurations
US10162477B2 (en) 2008-07-23 2018-12-25 The Quantum Group, Inc.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fast navigation
US8762884B2 (en) * 2008-07-23 2014-06-24 The Quantum Group, Inc.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fast navigation
US10375223B2 (en) * 2008-08-28 2019-08-06 Qualcomm Incorporated Notifying a user of events in a computing device
US8819585B2 (en) * 2008-10-27 2014-08-26 Microsoft Corporation Child window surfacing and management
US8499254B2 (en) * 2008-10-27 2013-07-30 Microsoft Corporation Surfacing and management of window-specific controls
KR101019335B1 (ko) * 2008-11-11 2011-03-07 주식회사 팬택 제스처를 이용한 이동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20100146449A1 (en) * 2008-12-09 2010-06-10 Michael William Brow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ement of application switching in an electronic device
US20100153884A1 (en) * 2008-12-12 2010-06-17 Yahoo! Inc. Enhanced web toolbar
US20100201617A1 (en) * 2009-02-06 2010-08-12 Inventec Corporation Real-time Translation display interfa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1277051B1 (ko) * 2009-02-13 2013-06-2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구동중인 어플리케이션 표시 방법과 그를 위한 터치 스크린단말기,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5133919B2 (ja) * 2009-02-19 2013-01-30 株式会社沖データ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装置
US9311112B2 (en) * 2009-03-16 2016-04-12 Apple Inc. Event recognition
US8566045B2 (en) 2009-03-16 2013-10-22 Apple Inc. Event recognition
US9684521B2 (en) 2010-01-26 2017-06-20 Apple Inc. Systems having discrete and continuous gesture recognizers
US8285499B2 (en) 2009-03-16 2012-10-09 Apple Inc. Event recognition
US8566044B2 (en) 2009-03-16 2013-10-22 Apple Inc. Event recognition
US8700776B2 (en) * 2009-03-23 2014-04-15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a conversation in a hosted conversation system
US20100281409A1 (en) * 2009-04-30 2010-11-04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notifications within a communications device
US20130024818A1 (en) * 2009-04-30 2013-01-24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Tasks Within a Computing Device
US9602444B2 (en) 2009-05-28 2017-03-21 Google Inc. Participant suggestion system
US9021386B1 (en) 2009-05-28 2015-04-28 Google Inc. Enhanced user interface scrolling system
US8527602B1 (en) 2009-05-28 2013-09-03 Google Inc. Content upload system with preview and user demand based upload prioritization
US20110010656A1 (en) * 2009-07-13 2011-01-13 Ta Ke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user interface
CN102023848A (zh) * 2009-09-10 2011-04-2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任务栏按钮的管理方法及装置
US20110113352A1 (en) * 2009-11-06 2011-05-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web page rendering
US20110109634A1 (en) * 2009-11-06 2011-05-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information rendering 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177298B2 (en) * 2009-12-15 2015-1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bbreviated user interface for instant messaging to minimize active window focus changes
US10397639B1 (en) 2010-01-29 2019-08-27 Sitting Man, Llc Hot key systems and methods
KR101690786B1 (ko) * 2010-02-12 201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
CN102200875B (zh) * 2010-03-26 2013-01-09 宏碁股份有限公司 窗口切换方法及系统
US10788976B2 (en) 2010-04-07 2020-09-2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with multiple pages
US20110252349A1 (en) * 2010-04-07 2011-10-13 Imran Chaudhri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US9823831B2 (en) 2010-04-07 2017-11-2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US9052926B2 (en) * 2010-04-07 2015-06-0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US20130061164A1 (en) * 2010-04-30 2013-03-07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using super taskbar to control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
CN102236510B (zh) * 2010-04-30 2016-01-0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利用超级任务栏控制即时通信软件的方法及设备
US9026935B1 (en) * 2010-05-28 2015-05-05 Google Inc. Application user interface with an interactive overlay
US9380011B2 (en) 2010-05-28 2016-06-28 Google Inc. Participant-specific markup
US8552999B2 (en) 2010-06-14 2013-10-08 Apple Inc. Control selection approximation
US9766903B2 (en) * 2010-08-18 2017-09-19 Red Hat, Inc. Inline response to notification messages
JP5635850B2 (ja) * 2010-09-16 2014-12-03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120078878A1 (en) * 2010-09-28 2012-03-29 Microsoft Corporation Optimized lazy query operators
KR101832463B1 (ko) * 2010-12-01 2018-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US8745505B2 (en) * 2010-12-10 2014-06-03 Mitel Networks Corporation Web based desktop environment
KR20120089782A (ko) 2010-12-15 2012-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의 메시지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방법
US8689123B2 (en) 2010-12-23 2014-04-0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reporting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8612874B2 (en) 2010-12-23 2013-12-17 Microsoft Corporation Presenting an application change through a tile
US20120185805A1 (en) * 2011-01-14 2012-07-19 Apple Inc. Presenting Visual Indicators of Hidden Objects
US20120185798A1 (en) * 2011-01-14 2012-07-19 Louch John O Application view region
US9298363B2 (en) 2011-04-11 2016-03-29 Apple Inc. Region activation for touch sensitive surface
US9104307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9043410B2 (en) * 2011-08-15 2015-05-26 Skype Retrieval of stored transmissions
US20130057587A1 (en) 2011-09-01 2013-03-07 Microsoft Corporation Arranging tiles
TWI475470B (zh) * 2011-09-07 2015-03-01 Acer Inc 電子裝置及應用程式操作方法
US10031646B2 (en) * 2011-09-07 2018-07-24 Mcafee, Llc Computer system security dashboard
US9146670B2 (en) 2011-09-10 2015-09-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gressively indicating new content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CN103019573A (zh) * 2011-09-21 2013-04-03 宏碁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及应用程序操作方法
US11301345B2 (en) * 2011-11-30 2022-04-12 Red Hat, Inc. Desktop sound source discovery
US8935610B2 (en) 2011-12-08 2015-01-13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minimized navigation bar for expanded communication service
CN102521108A (zh) * 2011-12-15 2012-06-27 华为技术有限公司 网页系统中执行任务时实时监控的方法和装置
US9223472B2 (en) 2011-12-22 2015-12-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losing applications
US20130219299A1 (en) 2012-02-16 2013-08-22 Gface Gmbh Live bar
US9530272B2 (en) 2012-02-22 2016-12-27 Zotobi Management Ltd.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multiple activities
JP5810996B2 (ja) * 2012-03-21 2015-11-11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携帯端末
US8745540B2 (en) * 2012-04-13 2014-06-03 Apollo Education Group, Inc. Accordion style bread crumbing for mobile applications
US9851893B2 (en) * 2012-04-17 2017-12-26 Zotobi Management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graphical user interfaces to a user
CN103377026B (zh) * 2012-04-24 2016-01-1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快捷面板显示方法及装置
EP2902894B1 (en) * 2012-08-28 2019-11-13 EIZO Corporation Display control method, computer program, display control device and image display system
KR20140035038A (ko) * 2012-09-13 201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아이콘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US10269179B2 (en) 2012-10-05 2019-04-23 Elwha Llc Displaying second augmentations that are based on registered first augmentations
US10180715B2 (en) * 2012-10-05 2019-01-15 Elwha Llc Correlating user reaction with at least an aspect associated with an augmentation of an augmented view
US10713846B2 (en) 2012-10-05 2020-07-14 Elwh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augmentation data
CN103729106B (zh) * 2012-10-10 2019-03-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网页缩略图展示方法和装置
US10019135B1 (en) * 2012-10-18 2018-07-10 Sitting Man, Llc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onstraining a communication exchange
CN103809993B (zh) * 2012-11-13 2017-02-2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利用图标动态展示业务流程的方法及装置
USD736251S1 (en) * 2012-11-15 2015-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D736252S1 (en) * 2012-11-15 2015-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KR102183071B1 (ko) 2012-12-06 2020-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2741192A3 (en) * 2012-12-06 2016-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or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3024606B (zh) * 2012-12-10 2016-02-10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网络视频播放器中添加扩展应用的方法和装置
AU350231S (en) * 2013-01-05 2013-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for an electronic device
AU350315S (en) * 2013-01-05 2013-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For An Electronic Device
US9639964B2 (en) 2013-03-15 2017-05-02 Elwha Llc Dynamically preserving scene elements in augmented reality systems
US9477404B2 (en) 2013-03-15 2016-10-2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US20140298258A1 (en) * 2013-03-28 2014-10-02 Microsoft Corporation Switch List Interactions
CN103246425B (zh) * 2013-05-22 2016-03-23 天脉聚源(北京)传媒科技有限公司 一种图标合拢的方法及装置以及图标展开的方法及装置
US9575620B2 (en) * 2013-05-29 2017-02-21 Here Global B.V.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raphically enhancing the user interface of a device
US9870115B2 (en) * 2013-06-07 2018-01-1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ultiple displays
US9733716B2 (en) 2013-06-09 2017-08-15 Apple Inc. Proxy gesture recognizer
US20150012842A1 (en) * 2013-07-02 2015-01-08 Google Inc. Communication window display management
CN104298417A (zh) * 2013-07-19 2015-01-2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移动终端管理应用程序的视图的方法及装置
US20150046812A1 (en) * 2013-08-12 2015-02-12 Google Inc. Dynamic resizable media item player
KR102153366B1 (ko) 2013-08-30 2020-10-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화면 전환 방법 및 장치
WO2015050345A1 (en) * 2013-10-01 2015-04-09 Lg Electronics Inc. Control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849675B (zh) 2013-10-30 2019-09-24 苹果公司 显示相关的用户界面对象
CN104598097A (zh) * 2013-11-07 2015-05-0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即时通信im窗口的排序方法和装置
KR102192155B1 (ko) * 2013-11-12 2020-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50169146A1 (en) * 2013-12-13 2015-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applications on a mobile terminal
US9736544B2 (en) * 2013-12-23 2017-08-15 Sony Corporation Media player in quick menu
EP3091428B1 (en) * 2013-12-26 2019-07-31 Yulong Computer Telecommunication Scientific (Shenzhen) Co., Ltd. Terminal operating method and terminal
CN104869465B (zh) * 2014-02-26 2018-09-1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播放控制方法和装置
US9681086B2 (en) 2014-03-12 2017-06-13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ing playback in widget after app is backgrounded
KR20160140932A (ko) * 2014-04-04 2016-12-07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확장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표시 및 콘텐트 전송
EP3126942A4 (en) * 2014-04-04 2017-03-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xpandable application representation activity levels and desktop representation
EP3126969A4 (en) 2014-04-04 2017-04-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xpandable application representation
WO2015149346A1 (en) * 2014-04-04 2015-10-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xpandable application representation and taskbar
CN105378582B (zh) 2014-04-10 2019-07-23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计算设备的可折叠壳盖
EP3129847A4 (en) 2014-04-10 2017-04-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lider cover for computing device
GB2525198A (en) * 2014-04-15 2015-10-21 Ibm Controlling an application instance us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50350141A1 (en) 2014-05-31 2015-12-03 Apple Inc. Message user interfaces for capture and transmittal of media and location content
US9785340B2 (en) * 2014-06-12 2017-10-10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ly navigating between applications with linked content o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US9648062B2 (en) 2014-06-12 2017-05-09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tasking o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US9874995B2 (en) * 2014-06-25 2018-01-23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aintaining context for maximize interactions on grid-based visualizations
US10824291B2 (en) 2014-07-31 2020-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windows by using work group
USD761838S1 (en) * 2014-08-28 2016-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671275B2 (en) * 2014-09-04 2020-06-02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improving single-handed operation of devices
US20160077709A1 (en) * 2014-09-12 2016-03-17 Microsoft Corporation Actionable item switcher
US10860675B2 (en) * 2014-09-19 2020-12-08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Informational tabs
KR102335373B1 (ko) * 2014-12-18 2021-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P3484134B1 (en) 2015-02-02 2022-03-23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establishing a relationship and connection between two devices
CN104750358A (zh) * 2015-03-09 2015-07-01 深圳市艾优尼科技有限公司 一种终端
CN104750359A (zh) * 2015-03-09 2015-07-01 深圳市艾优尼科技有限公司 一种动态信息播放窗口的控制方法
US10489013B2 (en) * 2015-03-17 2019-11-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lligent taskbar shortcut menu for webpage control
USD865809S1 (en) 2015-05-29 2019-11-05 Avision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37827S1 (en) 2015-05-29 2019-01-08 Avision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9257S1 (en) * 2015-07-01 2016-10-18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9258S1 (en) * 2015-07-01 2016-10-18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70010762A1 (en) * 2015-07-10 2017-01-1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ntrolling application windows with a hover pop-up panel
US20170185261A1 (en) * 2015-12-28 2017-06-29 Htc Corporation Virtual reality device, method for virtual reality
KR102547115B1 (ko) * 2016-06-03 2023-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725761B2 (en) 2016-06-10 2020-07-28 Apple Inc. Providing updated application data for previewing applications on a display
US10747467B2 (en) 2016-06-10 2020-08-18 Apple Inc. Memory management for application loading
US10520979B2 (en) * 2016-06-10 2019-12-31 Apple Inc. Enhanced application preview mode
DK201670595A1 (en) 2016-06-11 2018-01-22 Apple Inc Configuring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1816325B2 (en) * 2016-06-12 2023-11-14 Apple Inc. Application shortcuts for carplay
US10732996B2 (en) 2016-09-23 2020-08-04 Apple Inc. Dynamic function row constraints
US10261667B2 (en) 2016-09-23 2019-04-16 Apple Inc. Dynamic function row item discovery and context
US10394449B2 (en) * 2016-09-23 2019-08-27 Apple Inc. Dynamic function row management
US10223128B2 (en) 2016-09-23 2019-03-05 Apple Inc. Booting and power management
CN108021141B (zh) * 2016-10-31 2021-07-16 武汉众宇动力系统科技有限公司 无人机控制终端及无人机动力监控系统操作界面显示方法
US10698565B2 (en) 2016-12-06 2020-06-30 The Directv Group, Inc. Context-based icon for control via a touch sensitive interface
US11076042B2 (en) * 2017-02-27 2021-07-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Favorite-object display method and terminal
CN107153537B (zh) * 2017-04-01 2020-10-16 北京安云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多任务界面的信息展现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D876479S1 (en) * 2017-04-17 2020-02-25 Samsung Display Co., Ltd. Combined display device and screen with an icon
US10466889B2 (en) 2017-05-16 2019-11-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ccessing notifications
US11314391B2 (en) * 2017-09-08 2022-04-2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Navigation bar controlling method and terminal
CN109710343B (zh) * 2017-10-25 2023-01-17 北京众纳鑫海网络技术有限公司 计算机桌面的窗口切换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N108304226A (zh) * 2017-12-28 2018-07-20 天津麒麟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Linux下自动处理异常的任务栏插件式加载方法
CN108200288B (zh) * 2018-01-02 2021-07-16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装置
US11966578B2 (en) * 2018-06-03 2024-04-23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video with user interface navigation
KR102473081B1 (ko) * 2018-07-11 2022-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기능 수행 방법
CN109358927B (zh) * 2018-09-21 2020-05-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程序显示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11068140B2 (en) * 2019-01-04 2021-07-20 Servicenow, Inc. Intelligent overflow menu
US10795532B1 (en) 2019-03-14 2020-10-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active graphical user interface thumbnail
US20200319845A1 (en) * 2019-04-08 2020-10-08 Rovi Guides, Inc. Automated content on a vehicle in motion
CN110069183A (zh) * 2019-04-29 2019-07-30 上海盛付通电子支付服务有限公司 用于呈现信息的方法和装置
US11675476B2 (en) 2019-05-05 2023-06-1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idgets
US11863700B2 (en) 2019-05-06 2024-01-02 Apple Inc. Providing user interfaces based on use contexts and managing playback of media
CN110162371B (zh) * 2019-05-24 2024-05-14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0262720B (zh) * 2019-06-21 2021-06-08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浮窗的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0830645B (zh) * 2019-09-24 2021-05-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操作方法和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US11138912B2 (en) * 2019-10-01 2021-10-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screen modes on a bendable computing device
CN110795220B (zh) * 2019-10-25 2022-04-22 北京浪潮数据技术有限公司 一种任务合并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795194B (zh) * 2019-10-31 2021-09-07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桌面显示控制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5315685A (zh) 2020-02-03 2022-11-08 苹果公司 光标与触摸屏用户界面的集成
US11416127B2 (en) 2020-03-10 2022-08-1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pplications
US11745585B2 (en) * 2020-04-20 2023-09-05 Thinkware Corporation Vehicle infotainment apparatus using widge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2306224A (zh) * 2020-04-30 2021-02-02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人机交互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11513667B2 (en) 2020-05-11 2022-11-2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audio message
CN112148162B (zh) * 2020-09-18 2021-11-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图标排列方法、装置、用户终端及存储介质
US11392279B2 (en) * 2020-11-16 2022-07-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tegration of personalized dynamic web feed experiences into operating system shell surfaces
US11625160B2 (en) * 2020-12-31 2023-04-11 Google Llc Content navigation method and user interface
CN112835665A (zh) * 2021-02-03 2021-05-25 广东中兴新支点技术有限公司 任务栏应用的动态预览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US11966573B2 (en) * 2021-06-02 2024-04-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emporarily hiding user interface elements
CN117806516A (zh) * 2021-09-22 2024-04-02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悬浮窗显示方法及电子设备
US11880554B2 (en) * 2021-10-20 2024-01-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verflow application tool for computing devices
CN114327725B (zh) * 2021-12-28 2024-03-22 珠海豹趣科技有限公司 应用于Windows10系统的个性化任务栏显示方法及装置
US11842028B2 (en) 2022-05-06 2023-12-1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updating a session region
US20230367440A1 (en) * 2022-05-10 2023-11-1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Notifications and Application Inform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682A (ko) * 1999-09-14 2000-09-05 김홍일 윈도우즈 작업표시줄을 활용한 실시간 정보서비스 시스템
KR20010091362A (ko) * 2000-03-15 2001-10-23 박수원 윈도우 작업표시줄의 아이콘단추를 이용한 정보 표시방법
KR20020000311A (ko) * 2000-06-23 2002-01-05 안재문 인터넷 접속 및 정보검색용 정보바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6795A (en) * 1989-03-15 1994-01-04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d executing defaults in a window based display system
JPH0511962A (ja) * 1990-10-10 1993-01-22 Fuji Xerox Co Ltd ウインドウ管理装置
US5412776A (en) * 1992-12-23 1995-05-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generating a hierarchical window list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5499334A (en) * 1993-03-01 1996-03-1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window configuration of inactive programs
EP0717344B1 (en) * 1994-12-13 2001-10-31 Microsoft Corporation Taskbar with start menu
US5617526A (en) * 1994-12-13 1997-04-01 Microsoft Corporation Operating system provided notification area for displaying visual notifications from application programs
JPH09128192A (ja) * 1995-10-26 1997-05-16 Brother Ind Ltd マルチ画面表示制御装置
US6006252A (en) * 1996-10-08 1999-12-21 Wolfe; Mark A.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relating to a network resource
AU6792898A (en) * 1997-03-31 1998-10-22 Ttsi (Technical Telephone Systems, Inc.) Computer-telephony integration employing an intelligent keyboard and method for same
US6385662B1 (en) * 1997-10-03 2002-05-07 Ericsson Inc.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using a personal communication assistant
WO1999031571A1 (en) * 1997-12-16 1999-06-24 Microsoft Corporation Soft input panel system and method
US6072486A (en) * 1998-01-13 2000-06-0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customizing a deskbar
US6160554A (en) * 1998-03-19 2000-12-12 Hewlett Packard Company Computer file content preview window
US7346850B2 (en) * 1998-06-12 2008-03-18 Cygnus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iconic software environment management
JP2001042989A (ja) * 1999-07-27 2001-02-16 Fujitsu Ltd ウィンドウ制御装置および記録媒体
US6691162B1 (en) * 1999-09-21 2004-02-10 America Online, Inc. Monitoring users of a computer network
US6630943B1 (en) 1999-09-21 2003-10-07 Xsid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complementary user interface on a display surface
US6677964B1 (en) * 2000-02-18 2004-01-13 Xsid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complementary user interface on a display surface
US6756999B2 (en) * 2000-04-06 2004-06-29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lustering and grouping taskbar buttons
US6917373B2 (en) * 2000-12-28 2005-07-12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 sensitive labels for an electronic device
US6781611B1 (en) * 2000-06-28 2004-08-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navigating between applications, documents, and files
AU2002226886A1 (en) * 2000-11-09 2002-05-21 Change Tools, Inc. A user definable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AU2002232542A1 (en) * 2000-11-13 2002-05-21 Xsid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complementary user interface on a display surface
JP2002259009A (ja) * 2001-02-27 2002-09-13 Nissin Systems Co Ltd ツールバー表示方法及びその記録媒体
US6907447B1 (en) * 2001-04-30 2005-06-14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stant message notification
US20020163545A1 (en) * 2001-05-01 2002-11-07 Hii Samuel S. Method of previewing web page content while interacting with multiple web page controls
US7346855B2 (en) * 2001-12-21 2008-03-1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between multiple computer applications
US6901558B1 (en) * 2002-01-09 2005-05-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status of background worker threads
US7010755B2 (en) 2002-04-05 2006-03-07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desktop manager
US7127685B2 (en) * 2002-04-30 2006-10-24 America Online, Inc. Instant messaging interface having a tear-off element
US20030210265A1 (en) * 2002-05-10 2003-11-13 Haimberg Nadav Y. Interactive chat messaging
US20040024822A1 (en) * 2002-08-01 2004-02-05 Werndorfer Scott M.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udio and graphical animations in an instant messaging environment
US7913183B2 (en) 2002-10-08 2011-03-2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oftware application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7176943B2 (en) * 2002-10-08 2007-02-13 Microsoft Corporation Intelligent windows bumping method and system
US7493573B2 (en) * 2003-02-07 2009-02-17 Sun Microsystems, Inc. Scrolling vertical column mechanism for cellular telephone
US7343567B2 (en) 2003-04-25 2008-03-1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user information in an interactive display
US7412491B2 (en) * 2003-04-30 2008-08-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instant messaging systems
US20050055405A1 (en) * 2003-09-04 2005-03-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status information for instant messaging users
US7480863B2 (en) * 2003-11-26 2009-01-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and intelligent hover assistance
CA2727763C (en) * 2003-12-01 2013-09-10 Research In Motion Limited Previewing a new event on a small screen device
US8418067B2 (en) * 2004-01-15 2013-04-09 Microsoft Corporation Rich profile communication with notifications
US9819624B2 (en) * 2004-03-31 2017-11-14 Google Inc. Displaying conversations in a conversation-based email system
US7634742B2 (en) * 2004-04-07 2009-12-15 Adobe Systems Incorpor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buttons and toolbars
US20060085758A1 (en) * 2004-10-18 2006-04-20 Dan Backus Desktop alert management
US20070094342A1 (en) * 2005-10-24 2007-04-26 Bostick James E Detachable control window for instant messaging chats
US7814425B1 (en) * 2005-12-30 2010-10-12 Aol Inc. Thumbnail image preview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682A (ko) * 1999-09-14 2000-09-05 김홍일 윈도우즈 작업표시줄을 활용한 실시간 정보서비스 시스템
KR20010091362A (ko) * 2000-03-15 2001-10-23 박수원 윈도우 작업표시줄의 아이콘단추를 이용한 정보 표시방법
KR20020000311A (ko) * 2000-06-23 2002-01-05 안재문 인터넷 접속 및 정보검색용 정보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15686A1 (en) 2017-11-02
US20100077338A1 (en) 2010-03-25
JP5362798B2 (ja) 2013-12-11
CA2525444A1 (en) 2006-06-08
US8656300B2 (en) 2014-02-18
AU2005229691A1 (en) 2006-06-22
JP2006164290A (ja) 2006-06-22
EP1669848B1 (en) 2014-12-31
EP1669848A3 (en) 2012-06-06
CN1786906A (zh) 2006-06-14
KR20060064523A (ko) 2006-06-13
EP1669848A2 (en) 2006-06-14
CA2525444C (en) 2015-03-17
US7665031B2 (en) 2010-02-16
US20140195962A1 (en) 2014-07-10
MXPA05012068A (es) 2007-12-11
US20060123353A1 (en) 2006-06-08
CN1786906B (zh) 2011-07-13
JP4911962B2 (ja) 2012-04-04
AU2011200136B2 (en) 2014-07-10
US9710133B2 (en) 2017-07-18
AU2005229691B2 (en) 2010-10-14
JP2012048731A (ja) 2012-03-08
RU2005138104A (ru) 2007-06-20
RU2416817C2 (ru) 2011-04-20
AU2011200136A1 (en) 2011-02-03
BRPI0504834A (pt) 200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8545B1 (ko) 작업표시줄 상에 작업표시줄 버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방법 및 시스템
US11238412B2 (en) Multimedia calendar
KR101255432B1 (ko) 탭형 브라우저 내에서 탭을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7735019B2 (en)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al context within an actively scrolling view pane
US75811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window grouping and management
US9003298B2 (en) Web page application controls
JP4920161B2 (ja) 情報の周辺アウェアネスを自動的に提供するシステムおよび動的オブジェクトを提供する方法
US8843858B2 (en) Optimization schemes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s through gesture or touch
US7478326B2 (en) Window information switching system
EP2810150B1 (en) Dynamic extension view with multiple levels of expansion
US20100146431A1 (en) Object picker with window splitter
KR20070108176A (ko) 페이지 매겨진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이와 대화하기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20185798A1 (en) Application view region
KR20100083777A (ko) 포털 페이지에서 트리거 이벤트에 응답하여 캡쳐된 포틀릿 사용의 요약
WO2013138052A1 (en) Web page application controls
KR100977967B1 (ko) 사용자 인터랙션 기법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다양한 정보 아이템들로 또는 최소화된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AU2014240365B2 (en) Method and system of taskbar button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