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026B1 - 다중 롤러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다중 롤러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026B1
KR101237026B1 KR20100113842A KR20100113842A KR101237026B1 KR 101237026 B1 KR101237026 B1 KR 101237026B1 KR 20100113842 A KR20100113842 A KR 20100113842A KR 20100113842 A KR20100113842 A KR 20100113842A KR 101237026 B1 KR101237026 B1 KR 101237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lind
opening
closing
binding
driv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13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2606A (ko
Inventor
최수윤
김종락
전병윤
Original Assignee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filed Critical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Priority to KR20100113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026B1/ko
Publication of KR20120052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02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 패널측에 설치되는 선루프의 전방과 후방측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방 및 폐쇄 동작하는 전방 롤러 블라인드와 후방 롤러 블라인드로 구성되는 다중 롤러 브라인드로서, 상기 전방 롤러 블라인드의 개방 및 폐쇄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구동 수단; 상기 후방 롤러 블라인드의 개방 및 폐쇄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구동 수단;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수단의 동작을 단속하는 스위치; 상기 전방 롤러 블라인드의 윈도우가 틸트업 되도록 하는 메카니즘 동작부; 및 상기 전방 롤러 블라인드와 상기 후방 롤러 블라인드의 개방 또는 폐쇄 동작 완료 시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수단으로의 전원 공급을 단속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다중 롤러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선루프에 배치되는 전방 롤러 블라인드와 후방 롤러 블라인드에 구동모터를 각각 연결하여 개방 및 폐쇄 동작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전방 롤러 블라인드에 연결되는 제1 구동수단에 의해 글래스의 틸트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롤러 블라인드{Multiple Roller Blind}
본 발명은 다중 롤러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선루프에 배치되는 전방 롤러 블라인드와 후방 롤러 블라인드에 구동모터를 각각 연결하여 개방 및 폐쇄 동작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전방 롤러 블라인드는 구동모터에 의해 글래스의 높이 조정이 가능한 다중 롤러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루프 패널에는 부분적으로 개방시키거나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는 선루프가 설치되어 있다.
선루프의 완전 개방 및 부분적인 개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차량 선루프에는 전방 롤러 블라인드와 후방 롤러 블라인드가 설치된다. 그리고, 전방 롤러 블라인드와 후방 롤러 블라인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하는 글래스가 설치된다. 이때, 전방 롤러 블라인드의 글래스와 후방 롤러 블라인드의 글래스는 개방 및 폐쇄 동작은 단일 모터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 롤러 블라인드와 후방 롤러 블라인드의 글래스는 동일한 높이로서 단차없이 설치되어 있어 전방 롤러 블라인드의 개방 동작시에는 글래스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이러한 동작을 위해 별도의 모터가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전방 롤러 블라인드와 후방 롤러 블라인드는 동시에 개방 및 폐쇄되지만 개별적으로 개방 및 폐쇄 동작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선루프에 배치되는 전방 롤러 블라인드와 후방 롤러 블라인드에 구동모터를 각각 연결하여 개방 및 폐쇄 동작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전방 롤러 블라인드는 구동모터에 의해 글래스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중 롤러 블라인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 패널측에 설치되는 선루프의 전방과 후방측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방 및 폐쇄 동작하는 전방 롤러 블라인드와 후방 롤러 블라인드로 구성되는 다중 롤러 브라인드로서, 상기 전방 롤러 블라인드의 개방 및 폐쇄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구동 수단; 상기 후방 롤러 블라인드의 개방 및 폐쇄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구동 수단;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수단의 동작을 단속하는 스위치; 상기 전방 롤러 블라인드의 윈도우가 틸트업 되도록 하는 메카니즘 동작부; 및 상기 전방 롤러 블라인드와 상기 후방 롤러 블라인드의 개방 또는 폐쇄 동작 완료 시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수단으로의 전원 공급을 단속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다중 롤러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상기 전방 롤러 블라인드의 개방 및 폐쇄 동작의 수행을 감지하는 제1 개폐센서 및 상기 후방 롤러 블라인드의 개방 및 폐쇄 동작의 수행을 감지하는 제2 개폐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폐 센서는 상기 루프 패널의 전방 및 중간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개폐 센서는 상기 루프 패널의 중간부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카니즘 동작부는 상기 루프 패널 양측의 가이드 레일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카니즘 동작부는 상기 루프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동작부 본체, 상기 동작부 본체 상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결속부, 상기 전방 롤러 블라인드의 글래스의 개방 및 폐쇄 동작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이동몸체 및 상기 이동몸체의 일측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결속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결속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부는 상기 결속로드가 삽입되는 결속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홈은 상기 결속부의 일측 하부에서 일측 상부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속홈은 상단은 개방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선루프에 배치되는 전방 롤러 블라인드와 후방 롤러 블라인드에 구동모터를 각각 연결하여 개방 및 폐쇄 동작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 롤러 블라인드에 연결되는 제1 구동모터에 의해 글래스의 높이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롤러 블라인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롤러 블라인드의 메카니즘 동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롤러 블라인드의 메카니즘 동작부의 동작 개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5는 도 3의 A 부분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결속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결속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롤러 블라인드의 메카니즘 동작부의 동작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롤러 블라인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롤러 블라인드의 메카니즘 동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롤러 블라인드의 메카니즘 동작부의 동작 개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롤러 블라인드(100)는 전방 롤러 블라인드(110)와 후방 롤러 블라인드(120), 제1 및 제2 개폐 센서(130a, 130b), 제어부(140), 메카니즘 동작부(150) 및 제1 및 제2 구동모터(M1, M2)를 포함한다.
전방 롤러 블라인드(110)는 차량의 루프 패널측에 설치되는 선루프의 전방측에 설치된다. 전방 롤러 블라인드(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폐되는 제1 글래스(112)를 포함한다.
제1 글래스(112)는 전방 롤러 블라인드(110)의 양측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02)을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후방 롤러 블라인드(120)는 차량의 루프 패널측에 설치되는 선루프의 후방측에 설치된다. 후방 롤러 블라인드(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폐되는 제2 글래스(122)를 포함한다.
제2 글래스(122)는 후방 롤러 블라인드(120)의 양측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을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방 및 후방 롤러 블라인드(110, 120)의 제1 및 제2 글래스(112, 122)는 각각 제1 및 제2 구동모터(M1, M2)에 의해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구동모터(M1, M2)는 제1 및 제2 글래스(112, 122)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수단이다.
제1 및 제2 구동모터(M1, M2)는 사용자의 스위치(미도시) 조작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하면서 제1 및 제2 글래스(112, 122)가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제1 및 제2 구동모터(M1, M2)는 전방 및 후방 롤러 블라인드(110, 120)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므로, 전방 및 후방 롤러 블라인드(110, 12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개방 및 폐쇄 동작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구동모터(M1, M2)의 구동력을 제1 및 제2 글래스(112, 122)로 전달하여 각각의 글래스가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구성 요소로는 구동 와이어(미도시), 구동 롤러(미도시) 등이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는 롤러 블라인드의 동작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성과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 및 제2 글래스(112, 122)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때 글래스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 및 제2 개폐 센서(130a, 130b)가 설치된다.
제1 개폐 센서(130a)는 선루프의 전방 일측과 중간부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제1 글래스(112)의 후단을 감지한다.
제2 개폐 센서(130b)는 선루프의 중간부 일측과 후방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제2 글래스(122)의 선단을 감지한다.
제1 및 제2 개폐 센서(130a, 130b)는 감지 결과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이는 제어부(140)로 입력된다.
제어부(140)는 선루프의 전방측에 설치된 제1 개폐 센서(130a)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제1 글래스(112)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하여 별도의 스위치 조작이 있기 전까지 제1 구동모터(M1)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선루프의 중간부 일측에 설치된 제1 개폐 센서(130a)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제1 글래스(112)가 폐쇄된 것으로 판단하여 별도의 스위치 조작이 있기 전까지 제1 구동모터(M1)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선루프의 후방측에 설치된 제2 개폐 센서(130b)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제2 글래스(122)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하여 별도의 스위치 조작이 있기 전까지 제2 구동모터(M2)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선루프의 중간부 일측에 설치된 제2 개폐 센서(130b)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제2 글래스(122)가 폐쇄된 것으로 판단하여 별도의 스위치 조작이 있기 전까지 제2 구동모터(M2)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개폐 센서(130a, 130b)가 제1 및 제2 윈도우(112, 122)의 개방 및 폐쇄를 감지할 수 있다면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구동모터(M1)에서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제1 글래스(112)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 글래스(122)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글래스(112)를 틸트 업(tilt up) 즉, 높이를 상승시킨다.
제1 구동모터(M1)에 의해 이동하는 제1 글래스(112)는 메카니즘 동작부(150)에 의해 높이가 상승될 수 있다.
메카니즘 동작부(150)는 동작부 본체(152), 이동몸체(162) 및 결속로드(164)를 포함한다.
동작부 본체(152)는 대략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루프 패널에 설치되는 선루프의 내부 양측의 가이드 레일(102)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가이드 레일(102)은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동작부 본체(152)는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동작부 본체(152)의 이동 방향은 제1 글래스(112)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동작부 본체(152) 상에는 후술하는 이동몸체(162)와 결속되는 결속부(154)가 형성된다. 결속부(154)는 대략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동작부 본체(152) 상에서 수직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다만, 결속부(154)는 상하 이동하는 동안 동작부 본체(15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결속부(154)의 상단부는 제1 글래스(112)의 하부면에 밀접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결속부(154)의 상하 이동에 의해 제1 글래스(112)가 틸트업 될 수 있다.
결속부(154)에는 후술하는 결속로드(164)가 삽입되는 결속홈(156)이 형성된다. 결속로드(164)의 결속홈(156)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결속부(154)가 상하로 이동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결속홈(156)은 결속부(154)의 하부에서 상부로 원호 형태로 형성된다. 즉, 결속홈(156)은 결속부(154)의 후방측 하부에서 결속부(154)의 전방측 상부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결속홈(156)의 상단측은 개방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결속로드(164)의 삽입 및 이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결속홈(156) 상에서의 결속로드(164)의 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결속홈(156)의 폭은 결속로드(164)의 외주면이 결속홈(156)의 내주면에 접촉할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몸체(162)는 가이드 레일(10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이동몸체(162)는 제1 글래스(112)와 연동하여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몸체(162)가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02)은 동작부 본체(152)가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02)과 동일하지만, 동작부 본체(152)와 이동몸체(162)를 위하여 별개의 가이드 레일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동몸체(162)에는 결속홈(156)에 삽입되는 결속로드(164)가 수평으로 설치된다.
결속로드(164)는 결속홈(156)의 개방 부위를 통해 삽입된 후, 계속적인 이동몸체(162)의 이동에 의해 결속로드(164)가 결속홈(156)을 따라 이동하면, 결속로드(164)에 의해 결속부(154)는 상승한다. 결속부(154)가 상승하면서 결속부(154) 상에 배치되어 있는 제1 글래스(112)를 상부로 틸팅시켜 높이를 상승시킨다. 또한, 동작부 본체(152)는 가이드 레일(102)을 따라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카니즘 동작부(150)는 제1 글래스(112)의 높이가 상승되도록 설치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제2 글래스(122)의 높이가 상승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선루프가 전방 롤러 블라인드(110)와 후방 롤러 블라인드(120)로 구성되어 있어, 전방 롤러 블라인드(110)의 제1 글래스(112)의 높이가 상승되도록 동작하지만, 선루프가 3개 이상의 롤러 블라인드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된 부호 104는 제1 글래스(112)의 선단에 연결되어 제1 글래스(112)를 이동시키는 캐리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차량을 운전중인 운전자는 차량 내부의 환기를 위해 차량의 선루프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탑승객의 요구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 롤러 블라인드(120)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전방 롤러 블라인드(110)의 개방이 선택되는 경우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롤러 블라인드의 메카니즘 동작부의 동작 개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와 도 5는 도 3의 A 부분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또한, 도 6과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결속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전방 롤러 블라인드(110)의 개방 조작을 선택하면, 제1 구동모터(M1)가 동작하여 이동몸체(162)가 가이드 레일(102)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동몸체(162)의 동작은 제1 글래스(112)의 이동에 선행한다. 이러한 이동몸체(162)의 동작을 위해 이동몸체(162)는 제1 구동모터(M1)와 별도의 와이어로서 연결될 수 있다.
이동몸체(162)가 이동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몸체(162)가 동작부 본체(152)의 위치에 도달하면, 이동몸체(162) 상의 결속로드(16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홈(156)으로 삽입된다.
이동몸체(162)의 계속적인 이동에 의해 결속로드(164)는 수평으로 이동한다. 수평 이동하는 결속로드(164)가 결속홈(156)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결속로드(164)는 상부에서 하부로 형성된 결속홈(156)의 일단을 통해 삽입된 후, 그 내주면 중 상부측 내주면과 접촉한다. 이때, 결속로드(164)는 이동몸체(162) 상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결속로드(164)의 계속적인 수평 이동 시, 결속로드(164)는 결속홈(156)을 따라 하부측으로 이동하는 대신 결속홈(156)의 상부측 내주면과 계속적으로 접촉하며 결속홈(156)이 형성되어 있는 결속부(154)가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도록 한다.
결속부(154)의 상승에 의해 제1 글래스(112)의 후단이 상승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제1 구동모터(M1)의 계속적인 동작에 의해 동작부 본체(152)가 가이드 레일(102)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롤러 블라인드의 메카니즘 동작부의 동작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제1 구동모터(M1)에 의해 동작부 본체(152)가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동작부 본체(152)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제1 글래스(112)도 이동하게 되고, 제1 글래스(112)의 이동에 의해 전방 롤러 블라인드(110)는 개방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선루프에 배치되는 전방 롤러 블라인드와 후방 롤러 블라인드에 구동모터를 각각 연결하여 개방 및 폐쇄 동작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전방 롤러 블라인드는 구동모터에 의한 글래스의 틸트 업에 의해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다중 롤러 블라인드
110: 전방 롤러 블라인드
120: 후방 롤러 블라인드
130a, 130b: 제1 및 제2 개폐 센서
140: 제어부
150: 메카니즘 동작부

Claims (9)

  1. 차량의 루프 패널측에 설치되는 선루프의 전방과 후방측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방 및 폐쇄 동작하는 전방 롤러 블라인드와 후방 롤러 블라인드로 구성되는 다중 롤러 브라인드로서,
    상기 전방 롤러 블라인드의 개방 및 폐쇄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구동 수단;
    상기 후방 롤러 블라인드의 개방 및 폐쇄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구동 수단;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수단의 동작을 단속하는 스위치;
    상기 루프 패널 양측의 가이드 레일 상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전방 롤러 블라인드의 윈도우가 틸트업 되도록 하는 메카니즘 동작부; 및
    상기 전방 롤러 블라인드와 상기 후방 롤러 블라인드의 개방 또는 폐쇄 동작 완료 시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수단으로의 전원 공급을 단속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다중 롤러 블라인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롤러 블라인드의 개방 및 폐쇄 동작의 수행을 감지하는 제1 개폐센서 및
    상기 후방 롤러 블라인드의 개방 및 폐쇄 동작의 수행을 감지하는 제2 개폐센서를 더 포함하는 다중 롤러 블라인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 센서는 상기 루프 패널의 전방 및 중간부에 각각 배치되는 다중 롤러 블라인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폐 센서는 상기 루프 패널의 중간부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다중 롤러 블라인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카니즘 동작부는 상기 루프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동작부 본체,
    상기 동작부 본체 상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결속부,
    상기 전방 롤러 블라인드의 글래스의 개방 및 폐쇄 동작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이동몸체 및
    상기 이동몸체의 일측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결속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결속 로드를 포함하는 다중 롤러 블라인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결속로드가 삽입되는 결속홈을 포함하는 다중 롤러 블라인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홈은 상기 결속부의 일측 하부에서 일측 상부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중 롤러 블라인드.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홈은 상단은 개방 형성되는 다중 롤러 블라인드.
KR20100113842A 2010-11-16 2010-11-16 다중 롤러 블라인드 KR101237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13842A KR101237026B1 (ko) 2010-11-16 2010-11-16 다중 롤러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13842A KR101237026B1 (ko) 2010-11-16 2010-11-16 다중 롤러 블라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606A KR20120052606A (ko) 2012-05-24
KR101237026B1 true KR101237026B1 (ko) 2013-02-26

Family

ID=46269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13842A KR101237026B1 (ko) 2010-11-16 2010-11-16 다중 롤러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0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6131A (zh) * 2017-05-24 2017-09-19 苏州晓炎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应急逃生汽车天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6352A (en) * 1994-07-05 2000-05-02 Asc Incorporated Sunroof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and control system for operating a sunroof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6352A (en) * 1994-07-05 2000-05-02 Asc Incorporated Sunroof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and control system for operating a sunroof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606A (ko)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50211B1 (en) Roof Apparatus
JP4303762B2 (ja) アウタスライド式サンルーフ装置
JP3547479B2 (ja) 自動開閉サンシェードを具備したサンルーフ装置及びこの制御方法
EP2151340B1 (en) Opening and closing control apparatus for roof panel for vehicle
JP2002370538A (ja) 開放可能な車両ルーフ
KR101237026B1 (ko) 다중 롤러 블라인드
JP4524790B2 (ja) 車両ルーフ開口用のスライドルーフリッド
CN102126420A (zh) 具有一种导风元件的敞篷车
KR101466467B1 (ko) 선루프용 개폐장치
CN103832251A (zh) 车辆用天窗装置
JP5402883B2 (ja) パワーウィンドウ装置
JP4234455B2 (ja) 車両及び屋根組立体
JP5194085B2 (ja) サンルーフ装置
JP4671774B2 (ja) 高速鉄道車両のパンタグラフ遮音板昇降装置
JP2010144333A (ja) ドア開閉検出装置
JP6069033B2 (ja) サンルーフ装置
JP4413654B2 (ja)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2005212614A (ja) サンルーフ装置
WO2018051319A1 (en) Cabin for industrial vehicle comprising an extractable side ladder to allow access to said cabin
JP3561830B2 (ja) 車両用サンルーフ装置
KR100967636B1 (ko) 썬루프용 디플렉터 조립체
JP2009197542A (ja) 自動車用ウィンドウガラスの昇降制御方法
JP4923433B2 (ja) 車両用サンルーフ装置
KR101278219B1 (ko) 광역 개방공간 타입 선루프장치
JP2009274604A (ja) 自動車のサンルー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