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655B1 -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655B1
KR101236655B1 KR1020090123259A KR20090123259A KR101236655B1 KR 101236655 B1 KR101236655 B1 KR 101236655B1 KR 1020090123259 A KR1020090123259 A KR 1020090123259A KR 20090123259 A KR20090123259 A KR 20090123259A KR 101236655 B1 KR101236655 B1 KR 101236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ene
ethylene
weight
bis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3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6556A (ko
Inventor
주정혁
신희철
구명술
채병훈
김삼중
이석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to KR1020090123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6655B1/ko
Publication of KR20110066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6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itriles
    • C08L3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onitri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8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20 내지 70 중량%의 폴리에스테르, 20 내지 70 중량%의 폴리카보네이트, 1 내지 15 중량%의 충격보강제, 0.1 내지 10 중량%의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관능기를 갖는 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0.1 내지 10 중량%의 소광제를 포함한다.
저광택, 열가소성, 조성물

Description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LOW-GLOSS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카보네이트를 기초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내충격성,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면서 내후성, 내약품성을 향상시킨 수지 조성물로 통상 자동차 외장 부품, 또는 기타 전기전자 기기의 하우징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하지만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높은 표면 광택을 나타내는데, 이는 플라스틱 성형품의 장점이 되기도 하지만 특정 용도에서는 지나친 광택으로 말미암아 눈에 쉽게 피로를 주거나 시각 장애를 유발하는 등 단점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예들 들어 루프 랙, 도어핸들, 전기전자 하우징 등 용도에서는 시각 장애 효과의 제거 및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위하여 저광택의 표면이 요구된다. 따라서, 고광택 표면을 저광택으로 만들기 위하여 도장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는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며, 환경오염의 문제도 발생하기 때문에 수지 자체의 광택을 낮추어 도장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는 저광택 수지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상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실리카, 실리케이트 또는 알루미나 등의 무기 충전제를 첨가하여 수지 성형품의 표면 광택을 줄이는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실제로 그 소광 효과가 미미하고, 또한 소광 효과의 증대를 위해서 무기 충전재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경우 충격 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고 유동성도 급격히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계적 강도, 내열성, 가공성이 우수하면서도 저광택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20 내지 70 중량%의 폴리에스테르, 20 내지 70 중량%의 폴리카보네이트, 1 내지 15 중량%의 충격보강제, 0.1 내지 10 중량%의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관능기를 갖는 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0.1 내지 10 중량%의 소광제를 포함한다.
상기 소광제는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와 하기 화학식 6의 디에폭사이드를 중합하여 제조된 공중합체일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112009076703534-pat00001
상기 화학식 6에서, R1 내지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르본산, 디페닐에테르 디카르복실산, 디페닐 디카르복실산 및 디페닐설폰 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디카르복실산과, 에틸렌 글리콜, 트리메틸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헥사메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시크로 헥산 디메틸올, 2,2 비스(4-β하이드록시 페닐-페닐)-프로판, 4,4-비스-(β-하이드록시 에폭시)-디페닐 설폰 및 디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디올을 중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충격보강제는 메타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MB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스티렌(AES),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틸아크릴레이트(ASA),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EPDM),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스티렌-부타디엔(SB), 스티렌-이소프렌 고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EEA), 에틸렌-비닐알콜(EVOH) 공중합체, 실리콘-충격보강제가 코어이고 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쉘인 구조의 탄성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탄성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탄성체 및 나일론계 탄성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또는 윤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기계적 강도, 내열성, 가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소광효과도 우수하여, 상기 물성을 필요로 하는 도어핸들, 루프 랙 커버, 전기전자 하우징 등의 제품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화학식에서 수소 원자 또는 탄화수소기 등을 대표하여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영문자 "R"은 숫자로 표시되는 하첨자를 갖지만, 상기 "R"이 이 같은 하첨자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R"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화수소기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둘 이상의 "R"이 같은 숫자의 하첨자를 갖는다고 하여도, 이 "R"들은 같은 탄화수소기를 나타낼 수도 있고, 다른 탄화수소기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 둘 이상의 "R"이 서로 다른 숫자의 하첨자롤 갖는다고 하여도, 이 "R"들은 같은 탄화수소기를 나타낼 수도 있고, 다른 탄화수소기를 나타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20 내지 70 중 량%의 폴리에스테르, 20 내지 70 중량%의 폴리카보네이트, 1 내지 15 중량%의 충격보강제, 0.1 내지 10 중량%의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관능기를 갖는 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0.1 내지 10 중량%의 소광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각 성분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폴리에스테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르에스테르는 디카르복실산(Dicarboxylic acid)과 디올(Diol)을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3의 폴리에스테르는 하기 화학식 1의 디카르복실산과 하기 화학식 2의 디올을 중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76703534-pat00002
[화학식 2]
Figure 112009076703534-pat00003
[화학식 3]
Figure 112009076703534-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환형 또는 사슬형의 탄화수소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방향족 또는 헤테로 방향족 고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카르복실산은 예를 들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르본산, 디페닐에테르 디카르복실산, 디페닐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페닐설폰 디카르복실산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에서, B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환형 또는 사슬형의 탄화수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올은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트리메틸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헥사메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시크로 헥산 디메틸올, 2,2 비스(4-β하이드록시 페닐-페닐)-프로판, 4,4-비스-(β-하이드록시 에폭시)-디페닐 설폰 또는 디에틸렌 글리콜일 수 있다. 상기 예와 같이 α,ω-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함량은 20 내지 70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중량%일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의 함량이 20중량% 미만이면, 기계적 강도 및 유동성이 저하될 수 있고, 70중량% 초과이면, 충격물성이 저하됨에 따라 원하는 물성을 얻기 어렵다.
폴리카보네이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르카보네이트는 예를 들어, 2가 페놀류 및/또는 카보네이트 전구체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분자량을 조절하는 분자량 조절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2가 페놀류는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09076703534-pat00005
상기 화학식 4에서, X는 작용기를 갖지 않는 직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렌기, 또는 설파이드, 에테르, 설폭사이드, 설폰, 케톤, 페닐, 이소부틸페닐, 나프틸과 같은 작용기를 포함하는 직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렌기를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 X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렌기일 수 있다. R1와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직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기를 나타낼 수 있다. n 및 m은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나프틸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4-이소부틸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에틸-1,1-비스(4-히드록 시페닐)프로판, 1-페닐-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나프틸-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2-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10-비스(4-히드록시페닐)데칸, 2-메틸-1,1-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펜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헥산, 2,2-비스(4-히드록시페닐)노난,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플루오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4-메틸-2,2-비스(4-히드록시페닐)펜탄, 4,4-비스(4-히드록시페닐)헵탄, 디페닐-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레소시놀(Resorcinol), 하이드로퀴논(Hydroquine), 4,4'-디히드록시페닐 에테르[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4,4'-디히드록시-2,5-디히드록시디페닐 에테르, 4,4'-디히드록시-3,3'-디클로로디페닐 에테르,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에테르, 1,4-디히드록시-2,5-디클로로벤젠, 1,4-디히드록시-3-메틸벤젠, 4,4'-디히드록시디페놀[p,p'-디히드록시페닐], 3,3'-디클로로-4,4'-디히드록시페닐, 1,1-비스(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1,1-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1,1-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1,1-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도데칸, 1,1-비스(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도데칸, 1,1-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데칸, 1,4-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4-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1,4-비스(4-히드록시페닐)이소부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메탄,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 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4,4'-티오디페놀[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폰],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설폰, 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설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4,4'-디히드록시벤조페논, 3,3',5,5'-테트라메틸-4,4'-디히드록시벤조페논, 4,4'-디히드록시 디페닐, 메틸히드로퀴논, 1,5-디히드록시나프탈렌, 및 2,6-디히드록시나프탈렌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중 대표적인 것은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 A)이다. 상기 2가 페놀류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해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는, 폴리카보네이트의 또 다른 단량체로서, 예를 들어, 포스겐(카보닐 클로라이드), 카보닐 브로마이드, 비스 할로 포르메이트, 디페닐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스겐(카보닐 클로라이드)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제조에 사용되는 모노머와 유사한 단일 작용성 물질(monofunctional compound)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일 작용성 물질은, 예를 들어, 페놀을 기본으로 하여 그 유도체들인 파라-이소프로필페놀, 파라-터트-부틸페놀(p-tert-butylphenol, PTBP), 파라-큐밀(cumyl)페놀, 파라-이소옥틸페놀, 및 파라-이소노닐페놀 또는 지방족 알콜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파라-터트-부틸페놀(PTBP)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일 수 있고, 메틸렌 클로라이드 용액에서 측정한 점도 평균 분자량(Mv)이 17,000 내지 40,000인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000 내지 30,000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분자량이 17,000 미만이면, 충격강도와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고, 상기 평균분자량이 40,000 초과이면, 용융점도의 상승으로 가공에 문제가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단일중합체(Homopolymer), 공중합체(Copolymer) 또는 이들의 블랜드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또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에스테르 전구체(Precursor), 예컨대 2관능 카르복실산 존재 하에 중합반응 시켜 얻어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가 공중합된 코폴리카보네이트로 일부 또는 전량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의 함량은 20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중량%일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의 함량이 20중량% 미만이면, 충격보강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70중량% 초과이면, 유동성이 저하될 수 있다.
충격보강제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충격보강제는 메타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MB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스티렌(AES),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틸아크릴레이트(ASA),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EPDM),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스티렌- 이소프렌-스티렌(SIS), 스티렌-부타디엔(SB), 스티렌-이소프렌 고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EEA), 에틸렌-비닐알콜(EVOH) 공중합체, 실리콘-충격보강제가 코어이고 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쉘인 구조의 탄성체, 폴리테레프탈레이트계 탄성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탄성체 및 나일론계 탄성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수지 외에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어떠한 수지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화합물 중에서는 코어-쉘 타입의 충격보강제가 바람직하다. 코어-쉘 타입의 충격보강제에서, 코어 부분은 연질인 고무 상태일 수 있고, 쉘 부분은 경질인 수지 상태일 수 있으며, 고무상 탄성체 자체가 분말상(입자 상태)인 그래프트 고무상 탄성체가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충격보강제의 함량은 1 내지 15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중량%일 수 있다. 충격보강제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 향상이 미미할 수 있고, 15 중량% 초과이면, 다른 기계적 물성이 상당히 저하될 수 있다.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관능기를 갖는 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관능기를 갖는 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5]
Figure 112009076703534-pat00006
상기 화학식 5에서, R1 및 R3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환형 또는 사슬형 탄화수소일 수 있다.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환형 또는 사슬형 탄화수소일 수 있고, 선택적으로 황(S), 산소(O), 질소(N) 등의 비탄소 원소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x, y 및 z는 평균중합도로서 각각 2 내지 30,000을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5에서, R1은 알킬이고, R2는 글리시딜이며, R3은 메틸인, 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에틸렌-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틸렌-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15 내지 30중량%의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단위, 5 내지 12중량%의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단위 및 58중량% 내지 80중량%의 에틸렌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공중합체는 충격보강제 및 소광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또 R2 및 R3를 포함하는 세번째 반복단위 구조로 인하여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카르복실 말단기와 반응하여, 카르복실 말단기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내가수분해성을 향상시키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관능기를 갖는 상기 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함량은 0.1 내지 10중량%일 수 있다. 상기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 향상이 미미할 수 있고, 10중량% 초과이면, 다른 기계적 물성이 상당히 저하될 수 있다.
소광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소광제는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에 에폭사이드계 전해질인 디에폭사이드를 첨가하고 중합하여 제조된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디에폭사이드는 하기 화학식 6의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6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는 미국특허공보 US 2,890,209호를 참조할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112009076703534-pat00007
상기 화학식 6에서, R1 내지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디에폭사이드는 알킬기에 포함된 탄소 원자의 전체 개수가 12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R1 내지 R6가 수소원자와 메틸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저광택 충전제용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와 관련하여서는 미국특허 제5,536,780호에 게재된 내용이 참조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는 총 함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또는 푸마로니트릴 등과 같은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를 5 내지 3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들은 유화중합, 괴상중합, 현탁중합, 괴상-현탁중합 또는 용액중합 등의 방법으로 중합될 수 있다.
상기 소광제의 함량은 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중량%일 수 있다. 소광제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소광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10중량% 초과이면, 충격강도와 내열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기타 첨가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계열 수지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산화방지제 또는 윤활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스파이트 계열, 티오에스테르 계열의 산화방지제와 스테아레이트계 또는 지방산계가 사용될 수 있으며,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1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실시예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과 함량으로 원료 물질을 혼합하여, 230~260℃의 온도에서 이축 용융 혼련 압출기로 혼련 압출하여 성형용 팰렛을 제조하였다. 상기 팰렛을 100℃에서 6시간 열풍 건조한 후, 250~270℃의 온도로 사출 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1 2 3
폴리에스테르 55.5 54.3 53.1
폴리카보네이트 37 36.2 35.4
충격보강제 3.5 3.5 3.5
에틸렌-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3 3 3
본 발명에 따른 소광제 1 3 5
폴리에스테르는 삼양사가 제조한 TRIBIT 1700S를 사용하였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삼양사가 제조한 TRIREX 3022PJ를 사용하였다. 충격보강제는 Mitsubishi Rayon사에서 제조한 W450A를 사용하였다. 이는 아크릴 고무가 코어이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쉘인 구조의 충격보강제이다. 에틸렌-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Dupont사에서 제조한 Elvaloy PTW를 사용하였다. 이는 전체 공중합체 100 중량%에 대하여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5중량%를 관능기로 갖는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이다. 소광제는 미국 Chemtura사의 Blendex BMAT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전술한 실시예의 소광제의 효과 비교하기 위하여, 소광제를 제외한 하기 표 2와 같은 조성과 함량으로 원료 물질을 혼합하여, 230~260℃의 온도에서 이축 용융 혼련 압출기로 혼련 압출하여 성형용 팰렛을 제조하였다. 상기 팰렛을 100℃에서 6시간 열풍 건조한 후, 250~270℃의 온도로 사출 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구분 비교예
1 2 3
폴리에스테르 56.1 55.5 53.1
폴리카보네이트 37.4 37 35.4
충격보강제 3.5 3.5 3.5
에틸렌-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3 3 3
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1 5
폴리에스테르는 삼양사가 제조한 TRIBIT 1700S를 사용하였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삼양사가 제조한 TRIREX 3022PJ를 사용하였다. 충격보강제는 Mitsubishi Rayon사에서 제조한 W450A를 사용하였다. 이는 아크릴 고무가 코어이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쉘인 구조의 충격보강제이다. 구형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는 Ganz Chemical사에서 제조한 Ganzpearl GM-0600을 사용하였다. 이는 디비닐벤젠,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가교제를 전체 중량 대비 0.1 내지 20중량% 사용하여 중합한 평균입경 1~15㎛의 크기를 갖는 구형의 입자이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3에 기재하였다. 표면 광택도는 ASTM D-523에 의한 60˚각도에서 측정 하였고, 흐름성은 ASTM D-1238에 의한 250℃, 5kg 하중 조건에서의 용융지수(Melt Index)를 측정하였으며, 열변형온도는 ASTM D-648에 의한 18.6kgf/㎠조건에서 측정하였다. 그리고, 인장강도는 ASTM-D638에 의거하여 50mm/min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인장강도(kgf/㎠) 546 547 548 543 545 549
광택도(%) 32 16 8 60 43 31
흐름성(g/10min) 19 17 16 20 19 19
열변형온도(℃) 88 88 90 90 87 80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수지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3의 수지 조성물과 비슷한 인장강도와 흐름성을 가지면서 소광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광택도가 작다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소광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비교예 1의 조성물에 비해 비슷한 열변형온도를 가지면서 소광 효과가 우수하며. 비교예 2 내지 3의 조성물에 비해 열변형온도는 증가하면서 소광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20 내지 70 중량%의 폴리에스테르;
    20 내지 70 중량%의 폴리카보네이트;
    1 내지 15 중량%의 충격보강제;
    0.1 내지 10 중량%의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관능기를 갖는 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3 내지 10 중량%의 소광제를 포함하는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상기 충격보강제는 메타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MB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스티렌(AES),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틸아크릴레이트(ASA),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EPDM),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스티렌-부타디엔(SB), 스티렌-이소프렌 고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EEA), 에틸렌-비닐알콜(EVOH) 공중합체, 실리콘-충격보강제가 코어이고 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쉘인 구조의 탄성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탄성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탄성체 및 나일론계 탄성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소광제는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와 하기 화학식 6의 디에폭사이드를 중합하여 제조된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6]
    Figure 112012094097961-pat00008
    (상기 화학식 6에서, R1 내지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르본산, 디페닐에테르 디카르복실산, 디페닐 디카르복실산 및 디페닐설폰 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디카르복실산;과
    에틸렌 글리콜, 트리메틸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헥사메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시크로 헥산 디메틸올, 2,2 비스(4-β하이드록시 페닐-페닐)-프로판, 4,4-비스-(β-하이드록시 에폭시)-디페닐 설폰 및 디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디올을 중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 또는 윤활제를 더 포함하는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0090123259A 2009-12-11 2009-12-11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236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259A KR101236655B1 (ko) 2009-12-11 2009-12-11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259A KR101236655B1 (ko) 2009-12-11 2009-12-11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556A KR20110066556A (ko) 2011-06-17
KR101236655B1 true KR101236655B1 (ko) 2013-02-22

Family

ID=4439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259A KR101236655B1 (ko) 2009-12-11 2009-12-11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66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950A (ko) * 2018-04-30 2019-11-07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19212222A1 (ko) * 2018-04-30 2019-11-07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356B1 (ko) 2017-12-29 2019-10-07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375478B1 (ko) * 2021-09-01 2022-03-18 주식회사 한나노텍 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75476B1 (ko) * 2021-09-01 2022-03-18 주식회사 한나노텍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6780A (en) * 1993-08-20 1996-07-16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low gloss resins
KR0152498B1 (ko) * 1989-11-17 1998-10-15 아더 엠. 킹 저광택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JP2009521538A (ja) * 2005-12-22 2009-06-04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低光沢熱可塑性物品
KR100915409B1 (ko) 2006-11-21 2009-09-03 주식회사 삼양사 내광성이 우수한 저광택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2498B1 (ko) * 1989-11-17 1998-10-15 아더 엠. 킹 저광택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US5536780A (en) * 1993-08-20 1996-07-16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low gloss resins
JP2009521538A (ja) * 2005-12-22 2009-06-04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低光沢熱可塑性物品
KR100915409B1 (ko) 2006-11-21 2009-09-03 주식회사 삼양사 내광성이 우수한 저광택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950A (ko) * 2018-04-30 2019-11-07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19212222A1 (ko) * 2018-04-30 2019-11-07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337560B1 (ko) 2018-04-30 2021-12-10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556A (ko) 201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174B1 (ko) 내화학성 및 충격 특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236655B1 (ko)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11801386B (zh) 热塑性树脂组合物和使用该热塑性树脂组合物的模制品
KR102138701B1 (ko) 내화학성, 기계적 물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고광택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EP1529810A1 (en) Modified weatherable polyester molding composition
TW200844178A (en)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 having improved toughness at low temperatures and surface appearance
CN106232717B (zh) 高热聚碳酸酯组合物
JPH11181268A (ja)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20070070686A (ko)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210001616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H11181265A (ja) 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
KR101145834B1 (ko)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10168297A (ja)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2055592B1 (ko) 내화학성, 내열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050110062A (ko)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303030B1 (ko) 내스크래치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251561B1 (ko) 내충격성 및 유동성이 뛰어나고, 치수안정성 및 열노화 특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KR102489738B1 (ko) 내화학성 및 흑색도가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H11349798A (ja)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WO1998017725A1 (en) 1,4-cyclohexanedimethanol based polyester blends
KR102036651B1 (ko) 투명성 및 내화학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808298B1 (ko) 내화학성이 우수한 친환경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3400743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31083B1 (ko) 고용융장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43896B1 (ko)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