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131B1 -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조정나사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유침형 솔레노이드 - Google Patents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조정나사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유침형 솔레노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131B1
KR101236131B1 KR1020117005528A KR20117005528A KR101236131B1 KR 101236131 B1 KR101236131 B1 KR 101236131B1 KR 1020117005528 A KR1020117005528 A KR 1020117005528A KR 20117005528 A KR20117005528 A KR 20117005528A KR 101236131 B1 KR101236131 B1 KR 101236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charge
case
adjustment
spring
solen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1244A (ko
Inventor
히로아키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filed Critical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1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01F7/1607Armatures entering the win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26Supporting or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27Assembling

Abstract

본 발명은 조정나사에 의해 조정한 조정 스프링의 탄성력에 오차를 발생시키지 않고 솔레노이드 내의 공기 배출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체 케이스(17) 내의 제1 공간(22)에 축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가동 철심(14)이 배치되고, 이 가동 철심(14)이 고정 자극부(13)에 흡인되는 방향으로 조정 스프링(26)으로 힘이 가해져 이 조정 스프링(26)의 탄성력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나사(27)를 가진 유침형 솔레노이드(11)의 조정나사 구조(15)에 있어서, 제1 공간(22)과 연통하는 후방부 케이스(25)의 개구 단부(30)에 대하여 착탈 자유롭게 밀봉하여 설치되는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구비하며, 공기 배출 플러그(32)는 조정나사(27)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33)와, 당해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케이스의 개구 단부(30)에 대하여 조정나사(27)의 이동방향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고정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착탈기구(40)를 가진다.

Description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조정나사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유침형 솔레노이드{ADJUSTING SCREW STRUCTURE FOR OIL IMMERSED SOLENOID AND OIL IMMERSED SOLENOID WITH SAME}
본 발명은 건설기계 등에 사용되는 밸브장치 등의 유압기기에 이용되는 유침형 솔레노이드(oil immersed solenoid)의 조정나사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유침형 솔레노이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일 예로서, 도 9에 나타낸 것이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압기기인 밸브장치(미도시) 안을 통과하는 작동유의 유압이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즉, 이 유침형 솔레노이드(1)는 명령 전기 신호(여자(勵磁) 전류)가 여자 코일(勵磁 coil)(2)에 공급되면, 고정 자극부(3)에는 이 명령 전기 신호의 크기에 따른 흡인력(도 9에 있어서의 왼쪽방향 흡인력)이 발생하여 고정 자극부(3)는 이 흡인력으로 가동 철심(4)을 흡인할 수 있다. 가동 철심(4)이 흡인되면, 가동 철심(4)에 설치되어 있는 로드(rod)(5)가 예를 들면 밸브장치(미도시)의 스풀(spool)(미도시)을 도 9에 있어서의 왼쪽방향으로 압압하고, 이 압압력은 스풀에 부여되어 있는 예를 들면 스프링(spring)력이나 파이롯(pilot)압에 기인하는 복원력(도 9에 있어서의 오른쪽방향의 복원력)과 균형을 이루고, 이 양측의 힘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에서 스풀이 정지한다. 이에 따라, 밸브장치 안을 통과하는 작동유를 명령 전기 신호에 비례하는 유압이나 유량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유침형 솔레노이드(1) 내의 공간(6)에 수용되어 있는 작동유 등의 오일에 공기나 기포가 존재하고 있으면, 가동 철심(4)의 이동 가속도에 대하여 불규칙한 변화를 일으키게 하여 가동 철심(4)이 채터링(chattering)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1) 내의 공간(6)에 존재하고 있는 공기나 기포를 빼내기 위하여, 도 9에 도시한 솔레노이드(1)의 후방부 개구부(7)를 밀봉하고 있는 후방부 금속물(8)에 조정나사(9)를 나사 결합하여 설치하고, 이 조정나사(9)를 풀어 빼냄으로써 솔레노이드(1) 내의 공기나 기포를 빼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유침형 솔레노이드(1)는 동일한 규격의 것이어도 솔레노이드(1) 자체의 개개의 특성이나 각각의 솔레노이드(1)를 구성하는 각 부품의 치수 편차에 따라 동일한 명령 전기 신호가 공급된 경우라도 고정 자극부(3)에 의한 흡인력에 편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밸브장치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압력이나 유량에 편차가 발생하여 그 압력이나 유량의 편차를 허용범위 내로 수용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편차의 허용범위는 일반적으로 좁아 각 부품의 치수 편차를 줄이는 데에도 일정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 스프링(10)을 설치하여서 이 조정 스프링(10)이 가동 철심(4)을 고정 자극부(3)의 흡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하고 있고, 이 탄성력(付勢力)을 조정나사(9)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미리 정해진 명령 전기 신호가 솔레노이드(1)에 공급된 때에, 그 명령 전기 신호에 비례하는 소정의 압력 또는 유량이 있고, 그 압력 또는 유량이 소정의 허용범위 내가 되도록 미리 또는 그때마다 조정 스프링(10)의 탄성력을 조정나사(9)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유침형 솔레노이드(1)의 다른 예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6-14041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일본 특개2006-140417호 공보
그러나, 도 9에 나타낸 종래의 유침형 솔레노이드(1)는 조정나사(9)를 푸는 것에 의해 솔레노이드(1) 내의 공간(6)에 존재하고 있는 공기나 기포를 빼낼 수가 있지만, 이 조정나사(9)를 풀면 조정나사(9)를 원래의 조정위치로 되돌리기 위하여, 조정나사(9)를 다시 조작하여 조정 스프링(10)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조정나사(9)를 원래의 조정위치로 확실하게 되돌릴 수가 없기 때문에, 조정나사(9)에 의해 재조정한 조정 스프링(10)의 탄성력과 원래의 탄성력 사이에 오차가 발생해버린다.
또한, 공기 빼기를 위하여 조정나사(9)를 후방부 금속물(8) 밖으로 빼내었을 경우에는, 조정 스프링(10)이 솔레노이드(1) 내에 잔존하지만, 솔레노이드(1) 내의 공기를 빼내기 위하여, 솔레노이드(1) 내에 오일을 공급하여 유출시킨 때에는 조정 스프링(10)이 나사공(8a)을 통과하여 솔레노이드(1)의 외부로 빠져버려 조정 스프링(10)을 분실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공기 빼기 후에 조정 스프링(10)을 나사공(8a)에서부터 삽입하여 솔레노이드(1) 내에 넣을 때에, 조정나사(9)와 나사공(8a)의 내면 사이에 조정 스프링(10)을 끼워버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유침형 솔레노이드(1)에서는, 예를 들면 출하하기 전의 동작 확인 작업에 있어서, 솔레노이드(1) 내의 공기나 기포가 완전하게 빠진 것을 확인한 후에, 조정나사(9)에 의해 조정 스프링(10)의 탄성력 조정작업을 행하는 것이 합리적인 작업순서이지만, 이들 작업순서를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작업성을 떨어뜨릴 경우가 있다.
게다가, 유침형 솔레노이드(1)에서는, 조정나사(9)를 풀어 공기 빼기를 행하면, 조정 스프링(10)의 조정이 필요해진다는 점과, 유침형 솔레노이드(1)가 밸브장치 등의 유압기기에 탑재된 상태에서는 조정 스프링(10)의 탄성력을 조정하기가 곤란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 유침형 솔레노이드(1)가 유압기기에 탑재된 상태로 조정나사(9)를 풀어 공기 빼기를 행하는 것은 곤란한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유침형 솔레노이드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정나사에 의해 조정한 조정 스프링의 탄성력에 오차를 일으키지 않고 솔레노이드 내의 공기 배출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조정 스프링의 탄성력 조정 및 공기 배출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조정나사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유침형 솔레노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조정나사 구조는, 케이스 내의 공간에 축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가동 철심이 배치되고, 이 가동 철심이 고정 자극부에 흡인되는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조정 스프링에 의해 힘이 가해지고 이 조정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나사를 가지는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조정나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의 공간과 연통하는 당해 케이스의 개구 단부에 대하여 착탈 자유롭게 밀봉하여 설치되는 공기 배출 플러그(air release plug)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 배출 플러그는 상기 조정나사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와, 당해 공기 배출 플러그를 상기 케이스의 개구 단부에 대하여 상기 조정나사의 이동방향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고정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착탈기구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조성나사 구조에 따르면, 조정나사를 죄는 방향 또는 푸는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조정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 조정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정함으로써 가동 철심을 고정 자극부측으로 향하게 하는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유침형 솔레노이드가 사용되는 예를 들면 밸브장치 안을 통과하는 작동유 등의 유압이나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배출 플러그를 푸는 것에 의해 케이스 내의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오일에 존재하는 공기나 기포를 케이스의 개구 단부 밖으로 빼낼 수 있다. 또한, 공기 배출 플러그는 케이스의 개구 단부에 설치하였을 때, 조정나사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고정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설치할 수 있는 점 및 공기 배출 플러그를 개구 단부에 대하여 착탈하여도 조정나사와 공기 배출 플러그의 위치관계가 변경되지 않는 점에 의해, 공기 배출 플러그를 재차 설치한 상태에서 조정나사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따라서, 조정나사로 조정한 조정 스프링의 탄성력에 오차가 일어나지 않아 다시 한 번 조정나사에 의한 조정작업이 불필요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조정나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착탈기구는 상기 공기 배출 플러그를 상기 케이스의 개구 단부 내에 나사 결합하여 설치하기 위한 착탈용 나사부와, 상기 공기 배출 플러그의 외주면에 형성한 링(ring)형 홈에 장착된 링형 실링부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 단부의 내주면에 링형으로 형성되어 개구측을 향하여 감에 따라 내경이 확대되는 형상이며, 상기 공기 배출 플러그를 상기 개구 단부의 고정위치에 설치했을 때, 상기 링형 실링부와 밀착하는 밀봉용 경사면과, 상기 공기 배출 플러그에 형성되어 당해 공기 배출 플러그를 풀었을 때, 상기 케이스 내의 공간과 상기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 배출공을 가진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착탈기구에 따르면, 상기 공기 배출 플러그를 케이스의 개구 단부 내에 착탈용 나사부에 의해 나사 결합하여 고정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이 고정위치에 설치한 상태에서 공기 배출 플러그의 외주면에 장착된 링형 실링부가 케이스의 개구 단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밀봉용 경사면과 밀착하고, 케이스 내의 공간을 밀봉하여 케이스 내의 오일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 내의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오일에 존재하는 공기나 기포를 빼낼 때는, 공기 배출 플러그를 푼다. 이 상태에서, 공기 배출 플러그에 형성된 공기 배출공은 케이스 내의 공간과 이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으므로 케이스 내의 공기 등을 이 공기 배출공으로 통과시켜 빼낼 수 있다. 더욱이, 밀봉용 경사면은 개구측을 향하여 내경이 확대되는 형상이므로 공기 배출 플러그를 풀면 밀봉용 경사면과 링형 실링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이 간극으로 케이스 내의 공기 등을 통과시켜 외부로 효율 높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공기 배출 플러그를 푸는 것만으로 충분하며, 공기 배출 플러그를 개구 단부 밖으로 빼내지 않고 케이스 내의 공기 등을 빼낼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 내의 조정 스프링이 오일과 함께 개구 단부 밖으로 유출되지 않아 분실 우려가 없다. 그리고, 작업자가 공기 배출 후 공기 배출 플러그를 케이스의 개구 단부에 죌 때, 조정나사와 개구 단부의 내면 사이에 조정 스프링을 끼워버리게 할 경우도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조정나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착탈기구는 상기 케이스의 개구 단부의 내주면에 링형으로 형성되고, 개구측을 향하여 감에 따라 내경이 확대되는 형상이며, 상기 밀봉용 경사면보다도 개구측의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 배출 플러그를 상기 케이스의 개구 단부 내에 나사 결합하여 죄어갈 때 상기 링형 실링부를 상기 링형 홈 내에 압입하는 압입용 경사면을 더 가진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착탈기구에 따르면, 공기 배출 플러그를 케이스의 개구 단부에 나사 결합하여 죄어가면, 케이스의 개구 단부의 내주면에 링형으로 형성된 압입용 경사면이 링형 홈 내에 장착된 링형 실링부를 이 링형 홈 내에 압입할 수 있다. 그리고, 더욱 공기 배출 플러그를 죄어가면 공기 배출 플러그에 장착된 링형 실링부가 케이스의 개구 단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밀봉용 경사면과 밀착하여 케이스 내의 공간을 밀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링형 실링부가 링형 홈 밖으로 밀려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 배출 플러그를 케이스의 개구 단부에 설치할 수 있어 밀봉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배출 플러그를 케이스의 개구 단부 내에 죄어 설치할 때, 링형 실링부가 링형 홈 밖으로 밀려나와 끼어버리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조정나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착탈기구는 상기 케이스의 개구 단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압입용 경사면과 상기 밀봉용 경사면 사이에 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 배출 플러그의 축심과 대략 평행한 실링 지지면을 더 가진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착탈기구에 따르면, 공기 배출 플러그를 케이스의 개구 단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링형 홈 내의 링형 실링부는 밀봉용 경사면과 밀착하여 케이스 내의 공간을 밀봉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의 개구 단부의 내주면에 있어서, 이 밀봉용 경사면보다도 개구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실링 지지면은 공기 배출 플러그의 축심과 대략 평행하므르 이 실링 지지면과 공기 배출 플러그의 외주면의 간극의 간격이 공기 배출 플러그의 축심방향의 각 위치에 있어서 대략 일정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 내의 유압에 의해 링형 실링부가 링형 홈에서 외측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조정나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정 스프링이 코일 스프링(coil spring)이고, 이 조정 스프링의 기단부가 상기 조정나사의 선단부에 형성된 제1 스프링 설치대에 끼워 맞추어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조정 스프링의 선단부가 제2 스프링 설치대에 끼워 맞추어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 설치대 각각에는 상기 조정 스프링의 기단부 및 선단부가 벗어나는 방향의 이동을 멈추기 위한 걸림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들 제1 및 제2 스프링 설치대의 각각에 대하여 조정 스프링의 기단부 및 선단부가 벗어나는 방향의 이동을 멈추기 위한 걸림 볼록부를 형성하면, 이 걸림 볼록부에 의해 조정나사, 조정 스프링 및 제2 스프링 설치대를 서로 비교적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정나사, 조정 스프링, 및 제2 스프링 설치대를 서로 비교적 견고하게 연결시키면, 공기 배출 플러그를 케이스의 개구 단부 밖으로 빼냈을 때에도 이들 조정나사, 조정 스프링 및 제2 스프링 설치대가 각각 흩어지지 않아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공기 배출 작업 후에 공기 배출 플러그를 케이스의 개구 단부에 죄어 설치할 때, 조정나사와 개구 단부의 내면 사이에 조정 스프링을 끼워버리게 할 경우도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유침형 솔레노이드는 본 발명의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조정나사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침형 솔레노이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조정나사 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이 작용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조정나사 구조 및 유침형 솔레노이드에 따르면, 공기 배출 플러그는 케이스의 개구 단부에 설치했을 때 조정나사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고정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조정나사에 의해 조정한 조정 스프링의 탄성력에 오차를 일으키지 않고 공기 배출 플러그를 풀어 솔레노이드 내의 공기 배출을 행할 수 있다. 즉, 그 풀린 공기 배출 플러그를 케이스의 개구 단부에 설치했을 때, 원래의 위치로 되돌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조정나사에 의한 조정 스프링의 탄성력 조정작업 및 솔레노이드 내의 공기 배출 작업을 실제 작업에 있어서 편리한 순서로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유침형 솔레노이드가 밸브장치 등의 유압기기에 탑재된 상태에서는, 조정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정하기가 곤란하지만, 본 발명의 유침형 솔레노이드에서는 공기 배출을 행하여도 조정 스프링의 탄성력에 오차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그 곤란한 조정 스프링의 부세력을 조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 유침형 솔레노이드가 유압기기에 탑재된 상태에서 수고를 들이지 않고 공기 배출 플러그를 풀어 공기 배출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침형 솔레노이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동 실시예에 따른 유침형 솔레노이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동 실시예에 따른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조정나사 구조를 나타낸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동 실시예에 따른 동 조정나사 구조가 구비된 착탈구조(도 3의 A부)를 나타낸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동 실시예에 따른 동 조정나사 구조의 공기 배출 플러그를 풀어 공기 배출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동 실시예에 따른 동 조정나사 구조의 공기 배출 플러그를 죄어 가는 상태(도 5의 B부)를 나타낸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동 실시예에 따른 동 조정나사 구조의 조정나사에 형성된 제1 스프링 설치대를 나타낸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동 실시예의 조정나사 부착의 공기 배출 플러그를 후방부 케이스 밖으로 빼낸 상태를 나타낸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유침형 솔레노이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조정나사 구조(15) 및 이를 구비한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 1에 나타낸 유침형 솔레노이드(11)는 예를 들면 건설기계(미도시) 등에 사용되는 밸브장치(미도시) 등의 유체기기(유압기기)에 이용되며, 당해 밸브장치(미도시) 안을 통과하는 작동유 등 유체의 유압이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이 밸브장치는, 예를 들면 전자(電磁) 비례 릴리프 밸브이고, 유침형 솔레노이드(11)는 비례 솔레노이드이다.
이 도 1에 나타낸 유침형 솔레노이드(11)는 도 2에 나타낸 단자(16)를 통하여 명령 전기 신호(여자 전류)가 공급되는 여자 코일(12)과, 이 여자 코일(12)에 의해 자극(磁極)이 생성되는 고정 자극부(13)와, 이 고정 자극부(13)에 의해 흡인되는 가동 철심(14)과, 이 유침형 솔레노이드(11)의 조정나사 구조(1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도 1에 나타낸 여자 코일(12)은 도 2에 나타낸 단자(16)를 통하여 명령 전기 신호(여자 전류)가 공급되고, 이 명령 전기 신호에 따라 고정 자극부(13)에 자극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도 1에 나타낸 여자 코일(12)은 대략 짧은 원통(短圓筒)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그리고 여자 코일(12)은 금속제의 대략 짧은 원통형의 본체 케이스(17) 및 원고리형 요크(yoke)(18) 내측에 수용되어 있다.
이 명령 전기 신호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그 크기가 자유롭게 조정되어 여자 코일(12)에 공급되고, 이에 따라 고정 자극부(13)는 명령 전기 신호의 크기에 따른 흡인력(자극)을 발생할 수 있다.
고정 자극부(13)는 여자 코일(12)에 의해 자극이 생성되고, 이 자극에 따라 가동 철심(14)을 흡인(도 1에 있어서의 왼쪽방향 흡인력)할 수 있는 것이다. 이 흡인력은 여자 코일(12)에 공급되는 명령 전기 신호의 크기에 따른 크기이다.
고정 자극부(13)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짧은 원기둥 형상의 자성체이며, 여자 코일(12) 등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 자극부(13)의 외주면 중 선단부가 요크(18)의 내측에 배치되고, 대략 중앙부가 여자 코일(12)의 선단부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후단부가 짧은 원통형 제1 가이드(19)의 선단부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가이드(19)는 비자성체의 금속제이다.
가동 철심(14)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짧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짧은 원통 형상의 제2 가이드(20) 내측에 배치되어 이 제2 가이드(20)의 내면을 따라 도 1에 있어서의 좌우의 각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즉, 가동 철심(14)은 고정 자극부(13)의 흡인력에 의해 도 1에 있어서의 왼쪽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이 부여된다. 그리고, 가동 철심(14)이 고정 자극부(13)에 흡인되면, 가동 철심(14)에 설치되어 있는 로드(rod)(21)가 예를 들면 밸브장치(미도시)의 스풀(spool)을 도 1에 있어서의 왼쪽방향으로 압압하고, 이 압압력은 스풀에 부여되어 있는 예를 들면 스프링력이나 파일롯압에 기인하는 복원력(도 1에 있어서의 오른쪽방향 복원력)과 균형을 이루고, 이 양측의 힘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에서 스풀이 정지한다. 이에 따라, 밸브장치 안을 통과하는 예를 들면 작동유를 명령 전기 신호에 비례하는 유압이나 유량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제2 가이드(20)의 외주면 중 선단부가 제1 가이드(19)의 후단부 내측에 배치되고, 대략 중앙부가 여자 코일(12)의 후단부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후단부가 본체 케이스(17)의 후단부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가이드(20)는 자성체의 금속제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자극부(13)는 제1 가이드(19)와 결합하고, 제1 가이드(19)는 제2 가이드(20)와 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고정 자극부(13)와 제2 가이드(20)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고정 자극부(13), 제1 가이드(19) 및 제2 가이드(20)에 의해 이들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공간(22) 내에 가동 철심(14)이 배치되고, 이 가동 철심(14)은 제1 공간(22) 내에서 도 1에 있어서의 좌우의 각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철심(14)에는 그 양단면에 개구하는 관통공(23) 및 조리개 구멍(23a)이 그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23) 및 조리개 구멍(23a)은 가동 철심(14)이 이동할 때에, 이 제1 공간(22) 내에 수용되어 있는 작동유 등의 오일을 통과시키고 그 유체저항을 이용하여 가동 철심(14)에 대해서 충격이 작은 원활한 동작을 행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철심(14)의 선단부에는, 제1 로드(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로드(21)는 고정 자극부(13)의 중심에 관통하여 형성된 중심공(24)에 축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삽입 통과하고, 선단부가 밸브장치(미도시)의 스풀 후단부와 맞닿는다. 또한, 고정 자극부(13)의 선단부(11a)는 밸브장치 측에 연결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가이드(20)의 후단부에는 대략 짧은 원통 형상의 후방부 케이스(후방부 금속물)(2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후방부 케이스(25)와 결합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19, 20) 및 고정 자극부(13)는 고정 너트(51)에 의해 본체 케이스(17)에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후방부 케이스(25)에는 유침형 솔레노이드(11)의 조정나사 구조(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후방부 케이스(25) 및 본체 케이스(17)는 유침형 솔레노이드(11)의 케이스를 구성하고 있다.
조정나사 구조(15)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자극부(13)가 가동 철심(14)을 흡인하는 흡인방향(도 1에 있어서의 왼쪽방향)으로 이 가동 철심(14)을 조정 스프링(26)으로 소망하는 힘(작업자에 의해 설정된 힘)으로 힘을 가하여, 가동 철심(14)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로드(21)가 밸브장치의 스풀을 압압하는 힘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조정 스프링(26)은 작업자가 조정나사(27)를 조작함으로써 조정 스프링(26)의 탄성력을 조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로드(21)에 의한 스풀에 대한 압압력을 조정하는 것은, 명령 전기 신호가 여자 코일(12)에 공급되었을 때, 밸브장치 안을 통과하는 작용유를 그 명령 전기 신호와 대응하는 소정의 유압이나 유량이 되도록 조정하기 위함이다.
이 조정나사 구조(1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짧은 원통 형상의 후방부 케이스(25)에 설치되어 있다. 이 후방부 케이스(25)의 내측에 형성된 제2 공간(28)은 이 후방부 케이스(25)에 형성되어 있는 중심공(29)을 통하여 제1 공간(22)과 연통함과 아울러, 후방부 케이스(25)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 단부(30)와 연통하고 있다. 이 개구 단부(30)에는 착탈용 나사부(31)를 통하여 착탈 자유롭게 밀봉하는 상태로 공기 배출 플러그(3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제1 공간(22)은 고정 자극부(13)에 형성되어 있는 중심공(24)을 통하여 밸브장치의 내부와 연통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밸브장치 내의 작동유가 중심공(24) 제1 공간(22), 중심공(29) 및 제2 공간(28)을 통하여 개구 단부(30) 내에 유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공기 배출 플러그(3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나사부(33)가 형성되고, 이 암나사부(33)에 조정나사(27)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 조정나사(27)의 선단부에는 제1 스프링 설치대(34)가 형성되고, 이 제1 스프링 설치대(34)에 조정 스프링(26)의 후단부가 끼워 맞춰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정 스프링(26)는 코일 스프링이며, 이 조정 스프링(26)의 선단부가 제2 스프링 설치대(35)에 끼워 맞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스프링 설치대(34, 35)의 각각에는 도 7 및 도 8의 부분 확대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 스프링(26)의 후단부 및 선단부가 벗어나는 방향의 이동을 멈추게 하기 위한 걸림 볼록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스프링 설치대(34)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 스프링(26)의 후단부가 장착되는 걸림 맞춤홈(37)이 원고리형으로 형성되고, 이 걸림 맞춤홈(37)의 후방부측 가장자리부에 플랜지부(38)가 형성되며, 걸림 맞춤홈(37)의 선단부 가장자리부에 원고리형 걸림 볼록부(36)가 형성되어 있다.
다만, 제2 스프링 설치대(35)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스프링 설치대(34)와 동동한 형상이므로 동등부분을 동일한 도면부호로 나타내고, 이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제2 스프링 설치대(35)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선단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제2 로드(45)의 후단부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 제2 로드(45)는 후방부 케이스(25)에 형성된 중심공(29)을 삽입 통과하고, 그 선단부가 가동 철심(14)과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39는 실링 너트(seal nut)이다. 이 실링 너트(39)는 조정나사(27)를 공기 배출 플러그(32)에 고정함과 아울러, 고정한 상태에서 조정나사(27)와 암나사부(33)의 간극을 밀봉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후방부 케이스(25)의 개구 단부(30)에 대하여 착탈 자유롭게 설치하기 위한 착탈기구(40)를 설명한다.
이 착탈기구(40)에 포함되는 공기 배출 플러그(32)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육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32a)를 가지며, 이 플랜지부(32a)의 선단측 면에 플러그 본체(41)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플러그 본체(41)의 선단부가 후방부 케이스(25)의 내주면과 착탈용 나사부(31)를 통하여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착탈용 나사부(31)는 플러그 본체(41)의 선단부에 형성된 착탈용 수나사부(31a)와, 후방부 케이스(25)의 내주면에 형성된 착탈용 암나사부(31b)로 이루어져 있다.
이 공기 배출 플러그(32)에 의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착탈용 나사부(31)에 의해 후방부 케이스(25)에 대하여 나사 결합해가면, 플랜지부(32a)의 정면이 후방부 케이스(25)의 개구 단부(30)의 선단면에 맞닿고, 이로써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후방부 케이스(25)의 개구 단부(30)에 설치한 고정위치의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후방부 케이스(25)의 개구 단부(30)에 대하여 조정나사(27)의 이동방향(진퇴하는 방향)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고정위치로 위치 결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도 3의 A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배출 플러그(32)의 플러그 본체(41)의 외주면에는 플랜지부(32a)와 간격을 두고 오링(O-ring) 등의 링형 실링부(42)가 장착되어 있다. 이 링형 실링부(42)는 플러그 본체(41)의 외주면에 형성된 링형 홈(43) 내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 본체(41)에 있어서, 링형 실링부(42)와 착탈용 수나사부(31a)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배출공(4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 배출공(44)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풀어 후방부 케이스(25)에 나사 결합시킨 상태에서, 후방부 케이스(25) 내의 제2 공간(28)과, 이 유침형 솔레노이드(11)의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공기 배출공(44)은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풀은 상태에서, 제1 및 제2 공간(22, 28) 및 중심공(29)과, 솔레노이드(11)의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부 케이스(25)의 개구 단부(30)의 내주면에는, 후방부 케이스(25)의 내측에서부터 차례로 밀봉용 경사면(46), 실링 지지면(47) 및 압입용 경사면(48)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밀봉용 경사면(46) 및 압입용 경사면(48)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의 개구 단부(30)의 내주면에 링형으로 형성되고, 개구측을 향하여 감에 따라 내경이 넓어지는 형상이며, 압입용 경사면(48)은 밀봉용 경사면(46)보다도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압입용 경사면(48)의 소직경 둘레부는 밀봉용 경사면(46)의 대직경 둘레부와 대략 동일한 직경이다. 그리고, 이 밀봉용 경사면(46)의 대직경 둘레부와 대략 동일한 직경 치수이며, 밀봉용 경사면(46)과 압입용 경사면(48) 사이에 실링 지지면(4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링 지지면(47)은 공기 배출 플러그(32)의 축심과 대략 평행한 짧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밀봉용 경사면(46), 및 압입용 경사면(48)은 공기 배출 플러그(32)의 축심에 대하여 약 15°(예를 들면 10°~ 20°)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개구 단부(30)의 소정의 고정위치에 설치한 상태에서, 밀봉용 경사면(46)은 링형 실링부(42)와 밀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링 지지면(47)은 간극을 두고 플러그 본체(41)의 외주면부(49)와 서로 마주 보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실링 지지면(47)이 마주 보는 플러그 본체(41)의 외주면부(49)는 링형 실링부(42)가 장착되어 있는 링형 홈(43)과 플랜지부(32a)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입용 경사면(48)은 도 6(도 5의 B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후방부 케이스(25)의 개구 단부(30) 내에 나사 결합하여 죄어갈 때, 링형 실링부(42)와 맞닿아서 이 링형 실링부(42)를 링형 홈(43) 내에 압입해 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후방부 케이스(25)의 개구 단부(30) 내에 죄어갈 때, 링형 실링부(42)가 링형 홈(43) 밖으로 밀려나 링형 실링부(42)가 후방부 케이스(25)의 후단부와 플랜지부(32a) 사이에 끼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 1 등에 나타낸 유침형 솔레노이드(11) 및 조정나사 구조(15)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 도 1에 나타낸 유침형 솔레노이드(11)는 예를 들면 유압기기인 밸브장치(미도시) 안을 통과하는 작동유 등 유체의 유압이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 유침형 솔레노이드(11)는 명령 전기 신호(여자 전류)가 여자 코일(12)에 공급되면, 고정 자극부(13)에는 이 명령 전기 신호의 크기에 따른 흡인력(도 1에 있어서의 왼쪽방향 흡인력)이 발생하고, 고정 자극부(13)는 이 흡인력으로 가동 철심(14)을 흡인할 수 있다.
가동 철심(14)이 흡인되면, 가동 철심(14)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로드(21)가 그 밸브장치(미도시)의 스풀을 도 1에 있어서의 왼쪽방향으로 압압하고, 이 압압력은 스풀에 부여되어 있는 예를 들면 스프링력이나 파일롯압에 기인하는 복원력(도 1에 있어서의 오른쪽방향의 복원력)과 균형을 이루어 이 양쪽의 힘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에서 스풀이 정지한다. 이에 따라 밸브장치 안을 통과하는 작동유를 명령 전기 신호에 비례하는 유압이나 유량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나타낸 유침형 솔레노이드(11)는 동일한 규격의 것이라도 솔레노이드(11) 자체의 개개의 특성이나 각각의 솔레노이드(11)를 구성하는 각 부품의 치수 편차에 따라, 동일한 명령 전기 신호가 공급된 경우에도 작동유의 압력이나 유량에 편차가 생기고, 그 압력이나 유량의 편차를 허용범위 내로 수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 1에 나타낸 조정나사(27)를 죄는 방향 또는 푸는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조정 스프링(26)의 탄성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 조정 스프링(26)의 탄성력을 조정함으로써 가동 철심(14)을 고정 자극부(13) 측을 향하게 하는 방향(도 1에 있어서의 왼쪽방향)의 가해지는 힘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유침형 솔레노이드(11)가 사용되는 예를 들면 밸브장치 안을 통과하는 작동유 등의 유압이나 유량이 소정의 허용범위 내가 되도록 미리 또는 그때마다 조정나사(27)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유침형 솔레노이드(11) 내의 제1 공간(22)에 수용되어 있는 작동유 등의 오일에 공기나 기포가 존재하고 있으면, 가동 철심(14)의 이동 가속도에 대해서 불규칙한 변화를 일으키게 하여 가동 철심(14)이 채터링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11) 내의 제1 공간(22)에 존재하고 있는 공기나 기포를 빼내기 위하여,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가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푸는 것에 의해 제1 공간(22)에 수용되어 있는 오일에 존재하는 공기나 기포를 도 5의 파선(波線)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 본체(41) 내의 제2 공간(28) 및 공기 배출공(44)을 통과시켜 후방부 케이스(25)의 개구 단부(30) 밖으로 빼낼 수 있다.
그리고, 이 제1 공간(22) 내에 존재하는 공기 등을 빼낼 때는,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11)의 선단부(11a)에서 작동유 등의 오일을 공급하여, 제1 공간(22) 내에 존재하는 공기 등을 후방부 케이스(22)의 개구 단부(30)로부터 유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공기 배출 플러그(3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부 케이스(25)의 개구 단부(30)에 설치하였을 때, 플랜지부(32a)가 개구 단부(30)의 선단과 맞닿아서 위치결정이 되므로 조정나사(27)의 이동방향(진퇴방향)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고정위치에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개구 단부(30)에 대하여 착탈하여도 조정나사(27)와 공기 배출 플러그(32)의 위치관계가 변경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개구 단부(30)의 소정의 고정위치에 설치하면, 조정나사(27)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풀어 공기 배출을 행하여도, 조정나사(27)로 조정한 조정 스프링(26)의 탄성력에 오차가 발생하지 않아 다시 한 번 조정나사(27)에 의한 조정작업이 불필요해진다.
이에 따라, 조정나사(27)에 의한 조정 스프링(26)의 탄성력 조정작업 및 솔레노이드(11) 내의 공기 배출 작업을 실제의 작업에 있어서 편리한 순서로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유침형 솔레노이드(11)가 밸브장치 등의 유압기기에 탑재된 상태에서는 조정 스프링(26)의 탄성력을 조정하기가 곤란하지만, 본 실시예의 유침형 솔레노이드(11)는 공기 배출을 행하여도 조정 스프링(26)의 탄성력에 오차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조정 스프링(26)의 탄성력을 조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 유침형 솔레노이드(11)에 따르면, 유압기기에 탑재된 상태에서 수고를 들이지 않고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풀어 공기 배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라고,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조정나사 구조(15)에 포함되는 착탈기구(40)에 따르면,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후방부 케이스(25)의 개구 단부(30) 내에 착탈용 나사부(31)에 의해 나사 결합하여 소정의 고정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소정의 고정위치에 설치한 상태에서, 공기 배출 플러그(32)의 외주면에 장착된 링형 실링부(42)가 후방부 케이스(25)의 개구 단부(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밀봉용 경사면(46)과 밀착하고 후방부 케이스(25) 내의 제2 공간(28)을 밀봉하여 이 후방부 케이스(25) 내의 오일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밀봉용 경사면(46)은 개구 단부(30)의 개구측을 향하여 내경이 넓어지는 형상이므로,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풀면, 밀봉용 경사면(46)과 링형 실링부(42)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이 간극으로 제1 및 제2 공간(22, 28) 내의 공기 등을 통과시켜 외부로 효율 높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공간(22, 28) 내의 공기 등을 빼낼 때에는,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푸는 것만으로 충분하고,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개구 단부(30) 밖으로 빼낼 필요가 없다. 따라서, 후방부 케이스(25) 내의 조정 스프링(26) 및 제2 스프링 설치대(35)가 오일과 함께 개구 단부(30) 밖으로 유출되지 않아 분실 염려가 없다. 그리고, 작업자가 공기 배출 작업 후에,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케이스의 개구 단부(30)에 죌 때, 조정나사(27)와 개구 단부(30)의 내면 사이에 조정 스프링(26)을 끼워버리게 할 경우도 없다.
그리고, 이 착탈기구(40)에 따르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가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후방부 케이스(25)의 개구 단부(30) 내에 나사 결합하여 죄어가면, 후방부 케이스(25)의 개구 단부(30)의 내주면에 링형으로 형성된 압입용 경사면(48)이 공기 배출 플러그(32)에 장착된 링형 실링부(42)를 링형 홈(43) 내에 압입할 수 있다. 그리고, 게다가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죄어가고,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소정의 고정위치까지 죄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배출 플러그(32)에 장착된 링형 실링부(42)가 후방부 케이스(25)의 개구 단부(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밀봉용 경사면(46)과 밀착하여 후방부 케이스(25) 내의 제2 공간(28)을 밀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링형 실링부(42)가 링형 홈(43) 밖으로 밀려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후방부 케이스(25)의 개구 단부(30)에 설치할 수 있어 밀봉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후방부 케이스(25)의 개구 단부(30)에 설치하여, 링형 홈(43) 내의 링형 실링부(42)가 밀봉용 경사면(46)과 밀착하고 후방부 케이스(25) 내의 제2 공간(28)을 밀봉한 상태에서, 실링 지지면(47)은 플러그 본체(41)의 외주면부(49)와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함과 아울러 이들 실링 지지면(47) 및 플러그 본체(41)의 외주면부(49)가 공기 배출 플러그(32)의 축심과 대략 평행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실링 지지면(47)과 플러그 본체(41)의 외주면부(49)의 간극의 간격이 공기 배출 플러그(32)의 축심 방향의 각 위치에 있어서 대략 일정해지므로, 후방부 케이스(25)의 제2 공간(28) 내의 유압에 의해 링형 실링부(42)가 링형 홈(43) 내에서 외측으로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나사(27)의 제1 스프링 설치대(34) 및 제2 스프링 설치대(35)의 각각에는, 조정 스프링(26)의 후단부 및 선단부가 벗어나는 방향의 이동을 멈추기 위한 걸림 볼록부(3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걸림 볼록부(36)에 의해서 조정나사(27), 조정 스프링(26) 및 제2 스프링 설치대(35)를 서로 비교적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정나사(27), 조정 스프링(26) 및 제2 스프링 설치대(35)를 서로 비교적 견고하게 연결시키면,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후방부 케이스(25)의 개구 단부(30) 밖으로 빼냈을 때에도 이들 조정나사(27), 조정 스프링(26) 및 제2 스프링 설치대(35)가 각각 흩어지지 않아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공기 배출 작업 후에,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후방부 케이스(25)의 개구 단부(30)에 죄어 고정할 때, 조정나사(27)와 개구 단부(30)의 내면 암나사부(33) 사이에 조정 스프링(26)을 끼워버리게 할 경우도 없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나사(27), 공기 배출 플러그(32), 가동 철심(14), 제1 및 제2 로드(21, 45)가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 유침형 솔레노이드(11)의 구조가 간단해진다. 그리고, 공기 배출 작업 및 조정나사(27)를 조작하여 가동 철심(14)에 대한 탄성력 조정작업을 할 때, 작업자는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향하여 이들 양측의 작업을 동일한 자세로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
다만,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부 케이스(25)의 개구 단부(30)의 내주면에 밀봉용 경사면(46), 실링 지지면(47) 및 압입용 경사면(48)을 형성함과 아울러 공기 배출 플러그(32)에 공기 배출공(44)을 형성하였지만, 이들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 제1 및 제2 공간(22, 28) 내의 공기나 기포를 뺄 때에는,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풀어 착탈용 나사부(31)의 간극 밖으로 공기 등을 빼낼 수도 있고, 공기 배출 플러그(32)를 후방부 케이스(25) 밖으로 빼내어 공기 등을 빼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 스프링(26)은 가동 철심(14)이 고정 자극부(13)에 흡인되는 방향으로 이 가동 철심(14)에 힘을 가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하였지만, 이를 대신하여 그 흡인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동 철심(14)에 힘을 가하는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할 수도 있다.
11: 유침형 솔레노이드
11a: 선단부
12: 여자 코일
13: 고정 자극부
14: 가동 철심
15: 조정나사 기구
16: 단자
17: 본체 케이스
18: 요크(yoke)
19: 제1 가이드
20: 제2 가이드
21: 제1 로드
22: 제1 공간
23: 관통공
23a: 조리개 구멍
24, 29: 중심공
25: 후방부 케이스
26: 조정 스프링
27: 조정나사
28: 제2 공간
30: 개구 단부
31: 착탈용 나사부
31a: 착탈용 수나사부
31b: 착탈용 암나사부
32: 공기 배출 플러그
32a, 38 : 플랜지부
33: 암나사부
34: 제1 스프링 설치대
35: 제2 스프링 설치대
36: 걸림 볼록부
37: 맞춤홈
39: 실링 너트
40: 착탈기구
41: 플러그 본체
42: 링형 실링부
43: 링형 홈
44: 공기 배출공
45: 제2 로드
46: 밀봉용 경사면
47: 실링 지지면
48: 압입용 경사면
49: 외주면부
51: 고정 너트

Claims (6)

  1. 케이스 내의 공간에 축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가동 철심이 배치되고, 상기 가동 철심이 고정 자극부에 흡인되는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조정 스프링으로 힘이 가해지고 상기 조정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나사를 가진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조정나사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의 공간과 연통하는 케이스의 개구 단부에 대하여 착탈 자유롭게 밀봉하여 설치되는 공기 배출 플러그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 배출 플러그는 상기 조정나사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공기 배출 플러그를 상기 케이스의 개구 단부에 대하여 상기 조정나사의 이동방향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고정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착탈기구를 가지며,
    상기 착탈기구는,
    상기 공기 배출 플러그를 상기 케이스의 개구 단부 내에 나사 결합하여 설치하기 위한 착탈용 나사부와,
    상기 공기 배출 플러그의 외주면에 형성한 링형 홈에 장착된 링형 실링부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 단부의 내주면에 링형으로 형성되어 개구측을 향하여 감에 따라 내경이 확대되는 형상이며, 상기 공기 배출 플러그를 상기 개구 단부의 고정위치에 설치했을 때, 상기 링형 실링부와 밀착하는 밀봉용 경사면과,
    상기 공기 배출 플러그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배출 플러그를 풀었을 때, 상기 케이스 내의 공간과 상기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 배출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조정나사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기구는,
    상기 케이스의 개구 단부의 내주면에 링형으로 형성되어 개구측을 향하여 감에 따라 내경이 확대되는 형상이며, 상기 밀봉용 경사면보다도 개구측의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 배출 플러그를 상기 케이스의 개구 단부 내에 나사 결합하여 죄어갈 때 상기 링형 실링부를 상기 링형 홈 내에 압입하는 압입용 경사면을 더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조정나사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기구는,
    상기 케이스의 개구 단부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압입용 경사면과 상기 밀봉용 경사면 사이에 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 배출 플러그의 축심과 평행한 실링 지지면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조정나사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스프링이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조정 스프링의 기단부가 상기 조정나사의 선단부에 형성된 제1 스프링 설치대에 끼워 맞추어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조정 스프링의 선단부가 제2 스프링 설치대에 끼워 맞추어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 설치대의 각각에는 상기 조정 스프링의 기단부 및 선단부가 벗어나는 방향의 이동을 멈추기 위한 걸림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조정나사 구조물.
  5. 청구항 제1항의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조정나사 구조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침형 솔레노이드.
  6. 삭제
KR1020117005528A 2008-09-11 2009-08-26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조정나사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유침형 솔레노이드 KR1012361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33896A JP5150425B2 (ja) 2008-09-11 2008-09-11 油浸型ソレノイドの調整ネジ構造及びそれを備える油浸型ソレノイド
JPJP-P-2008-233896 2008-09-11
PCT/JP2009/004110 WO2010029695A1 (ja) 2008-09-11 2009-08-26 油浸型ソレノイドの調整ネジ構造及びそれを備える油浸型ソレノイ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244A KR20110051244A (ko) 2011-05-17
KR101236131B1 true KR101236131B1 (ko) 2013-02-21

Family

ID=42004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528A KR101236131B1 (ko) 2008-09-11 2009-08-26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조정나사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유침형 솔레노이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05874B2 (ko)
EP (1) EP2325851B1 (ko)
JP (1) JP5150425B2 (ko)
KR (1) KR101236131B1 (ko)
CN (1) CN102150224B (ko)
WO (1) WO20100296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0424B2 (ja) * 2008-09-11 2013-02-2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油浸型ソレノイド
JP5150425B2 (ja) 2008-09-11 2013-02-2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油浸型ソレノイドの調整ネジ構造及びそれを備える油浸型ソレノイド
KR200459709Y1 (ko) * 2009-12-08 2012-04-12 신영제어기 주식회사 직동형 전자 밸브
KR101138808B1 (ko) 2010-05-12 2012-05-11 주식회사 득인기공 비례제어 밸브용 잔류공기 배출장치
JP5750454B2 (ja) * 2011-01-06 2015-07-22 日立建機株式会社 履帯式走行装置を備えた作業機の油圧駆動装置
JP2012151300A (ja) * 2011-01-19 2012-08-09 Kawasaki Heavy Ind Ltd 油浸型ソレノイド
WO2013112128A1 (en) * 2012-01-23 2013-08-01 Fmc Technologies, Inc. Force multiplying solenoid valve
US20140000396A1 (en) * 2012-06-28 2014-01-02 Custom Tranz Inc. dba Valve Body Pro Transmission solenoid assembly having a monolithic bushing
JP5890276B2 (ja) * 2012-08-10 2016-03-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磁ソレノイド
DE102013001425B4 (de) * 2013-01-28 2019-07-11 Thomas Magnete Gmbh Durch einen Elektromagneten betätigtes Gerät mit gekapselter Gewindeverbindung
CN103556669A (zh) * 2013-10-15 2014-02-05 徐州徐工挖掘机械有限公司 一种液压挖掘机回转能量回收控制装置
DE102017205992A1 (de) * 2017-04-07 2018-10-11 Robert Bosch Gmbh Sensorträger für eine Druckmesszelle und korrespondierende Drucksensoreinheit und korrespondierende Fluidbaugruppe
EP3759380A4 (en) * 2018-02-28 2021-11-24 Davis, Edward P MANUAL OVERRIDE SYSTEM FOR MAGNETIC ACTUATED VALVES
US11047499B2 (en) 2018-02-28 2021-06-29 Edward P. Davis Valve actuation conversion kit
JP6746646B2 (ja) 2018-08-30 2020-08-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液路装置
DE112019004948T5 (de) * 2018-11-16 2021-07-22 Hitachi Astemo, Ltd. Solenoidmechanismus und Hochdruckkraftstoffpumpe
JP7381243B2 (ja) * 2019-08-05 2023-11-15 カヤバ株式会社 ソレノイド、電磁弁、及び緩衝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40Y2 (ja) 1989-12-07 1996-01-29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ソレノイド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5111A (en) * 1969-02-20 1971-02-23 Swan A Pearson Solenoid-actuated pilot valve
DE2639274B2 (de) 1976-09-01 1978-08-24 Binder Magnete Gmbh, 7730 Villingen Elektromagnet mit Ankerschwingungsdämpfung
US4339109A (en) * 1979-04-04 1982-07-13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valve unit
JPS59159402A (ja) * 1983-03-02 1984-09-10 Nissan Motor Co Ltd 流量制御用ソレノイド
DE3317226A1 (de) * 1983-05-11 1984-11-15 bso Steuerungstechnik GmbH, 6603 Sulzbach Betaetigungsmagnet
JPS6144811A (ja) 1984-08-10 1986-03-04 Ss Pharmaceut Co Ltd 徐放性ジクロフエナクナトリウム製剤
JPS6144811U (ja) * 1984-08-28 1986-03-25 シ−ケ−デイコントロ−ルズ株式会社 油浸型ソレノイド
JPS61168214A (ja) 1985-01-21 1986-07-29 Diesel Kiki Co Ltd 電磁比例ソレノイド
US4603832A (en) * 1985-06-07 1986-08-05 Evolutionary Concepts, Inc. Solenoid actuator with bleed screw
JPS63145078A (ja) 1986-12-10 1988-06-17 Casio Comput Co Ltd 感熱複写方法および装置
JPS6448005A (en) 1987-08-19 1989-02-22 Mitsubishi Rayon Co Copying device
JPH0423289Y2 (ko) * 1987-09-18 1992-05-29
JPH0277376U (ko) 1988-12-01 1990-06-13
US4954799A (en) * 1989-06-02 1990-09-04 Puritan-Bennett Corporation Proportional electropneumatic solenoid-controlled valve
JPH0380172A (ja) 1989-08-23 1991-04-04 Sumitomo Electric Ind Ltd 被覆炭素繊維強化複合材料
DE4021623A1 (de) 1990-07-06 1992-01-09 Bosch Gmbh Robert Stelleinrichtung
DE4021624A1 (de) 1990-07-06 1992-01-09 Bosch Gmbh Robert Stelleinrichtung
US5204652A (en) * 1990-11-20 1993-04-20 National Irrigation Specialists, Inc. Adjustable bleed system for a universal solenoid for fluid control valves
JP2965757B2 (ja) 1991-08-22 1999-10-18 シャープ株式会社 冷凍冷蔵庫
JPH0552460U (ja) * 1991-12-17 1993-07-13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ソレノイド
DE9200549U1 (ko) 1992-01-18 1992-03-19 Binder Magnete Gmbh, 7730 Villingen-Schwenningen, De
IT1260476B (it) * 1992-05-28 1996-04-09 Dispositivo azionatore a comando elettromagnetico in particolare per valvole ed applicazioni elettroidrauliche
JPH062620A (ja) 1992-06-19 1994-01-11 Honda Motor Co Ltd 内燃エンジンの蒸発燃料処理装置
DE4438158A1 (de) 1993-10-27 1995-05-04 Thomas Magnete Gmbh Elektro-Hubmagnet
JP2943046B2 (ja) 1994-04-30 1999-08-30 油研工業株式会社 電磁石装置
US5611370A (en) * 1994-11-10 1997-03-18 Saturn Electronics & Engineering, Inc. Proportional variable force solenoid control valve and transmission fluid control device
FR2728721B1 (fr) 1994-12-27 1997-03-14 Europ Propulsion Actionneur magnetique a entrefers multiples
US5899436A (en) * 1997-08-15 1999-05-04 Borg-Warner Auomotive, Inc. Dual gain pressure control solenoid having one bobbin with two individually wound coils, a high force coil and a low force coil for improving transfer function
US6050542A (en) * 1998-06-03 2000-04-18 Snap-Tite Technologies, Inc. Low power solenoid proportional valve
JP3631904B2 (ja) * 1998-06-30 2005-03-23 日信工業株式会社 電磁弁
US6056264A (en) * 1998-11-19 2000-05-02 Cummins Engine Company, Inc. Solenoid actuated flow control valve assembly
DE19907732B4 (de) * 1999-02-23 2008-08-28 Bosch Rexroth Aktiengesellschaft Hydraulisches Magnetventil
US6460567B1 (en) * 1999-11-24 2002-10-08 Hansen Technologies Corpporation Sealed motor driven valve
JP4329250B2 (ja) * 2000-09-20 2009-09-09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式アクチュエータの製造方法
US7063511B2 (en) * 2003-07-28 2006-06-20 Delphi Technologies, Inc. Integrated control valve for a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JP4515127B2 (ja) 2004-03-26 2010-07-28 株式会社ケーヒン リニアソレノイドバルブ
JP2006140417A (ja) 2004-11-15 2006-06-01 Kayaba Ind Co Ltd 油浸型プッシュプルソレノイド
CN101185229A (zh) 2005-05-31 2008-05-21 美蓓亚株式会社 长比例行程执行电动机
DE102006014020A1 (de) * 2006-01-17 2007-07-19 Robert Bosch Gmbh Polrohr
JP4072865B2 (ja) * 2006-03-02 2008-04-09 株式会社カワサキプレシジョンマシナリ 弁装置
DE102006021927A1 (de) 2006-05-11 2007-11-15 Robert Bosch Gmbh Elektromagnet
US20080216899A1 (en) * 2007-02-28 2008-09-11 Alejandro Moreno Dimensional tolerance stack component and assembly compliant design
JP5125441B2 (ja) * 2007-11-21 2013-01-23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リニアソレノイド装置および電磁弁
DE102008035332A1 (de) * 2008-07-29 2010-02-04 Robert Bosch Gmbh Hubmagnetanordnung und Ventilanordnung
JP5150425B2 (ja) 2008-09-11 2013-02-2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油浸型ソレノイドの調整ネジ構造及びそれを備える油浸型ソレノイド
JP5442980B2 (ja) * 2008-11-06 2014-03-19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ソレノイ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40Y2 (ja) 1989-12-07 1996-01-29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ソレノイ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9695A1 (ja) 2010-03-18
US8505874B2 (en) 2013-08-13
US20110168933A1 (en) 2011-07-14
CN102150224B (zh) 2012-11-28
JP5150425B2 (ja) 2013-02-20
CN102150224A (zh) 2011-08-10
EP2325851B1 (en) 2016-11-09
KR20110051244A (ko) 2011-05-17
JP2010067857A (ja) 2010-03-25
EP2325851A4 (en) 2014-06-18
EP2325851A1 (en)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131B1 (ko) 유침형 솔레노이드의 조정나사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유침형 솔레노이드
KR101937753B1 (ko) 핀치 밸브
JP5150424B2 (ja) 油浸型ソレノイド
US9677683B2 (en) Solenoid valve assembly for a seat of a vehicle
KR20140054508A (ko)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의 코일조립체와 전자제어유닛의 조립 구조
KR20140010251A (ko) 전자 비례 감압 밸브
JP2007153328A (ja) ブレーキ用流体のリザーバ、及びこのリザーバを支持装置に取り付けるための取付け装置
US10090092B2 (en) Solenoid valve for hydraulic control
JP2015021529A (ja) 電磁ブレーキ装置
WO2012098627A1 (ja) 油浸型ソレノイド
JP2010106981A (ja) 手動ブレーキ解放機構を有する無励磁作動形電磁ブレーキ付モータ
KR20140137040A (ko) 솔레노이드 밸브
JP6206050B2 (ja) 電磁弁
JP7163699B2 (ja) スプール弁、及びスプール弁装置
KR20080082214A (ko) 일체형 로드를 구비한 솔레노이드
US9852834B2 (en) Adjustable center pole
JPH0442617Y2 (ko)
JP2014173612A (ja) 油圧制御弁
JP2009188340A (ja) 電磁プランジャ
KR20070016552A (ko) 릴레이 스위치
TW201702451A (zh) 縫紉機的壓腳
JP2006090376A (ja) 防振ゴム固定構造
KR20110040038A (ko) 분리 모듈타입 솔레노이드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