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951B1 - 개방식 발효조 발효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개방식 발효조 발효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951B1
KR101233951B1 KR1020100126611A KR20100126611A KR101233951B1 KR 101233951 B1 KR101233951 B1 KR 101233951B1 KR 1020100126611 A KR1020100126611 A KR 1020100126611A KR 20100126611 A KR20100126611 A KR 20100126611A KR 101233951 B1 KR101233951 B1 KR 101233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control device
screw
ope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9507A (ko
Inventor
김홍기
Original Assignee
김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기 filed Critical 김홍기
Priority to KR1020100126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951B1/ko
Publication of KR20120089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9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 C12M21/18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the use of free, immobilized or carrier-bound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3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4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press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oy Sauces And Products Related Thereto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식 발효조 발효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통주, 와인, 식초, 된장, 고추장 등 발효식품을 만드는 사용되는 개방식 발효조 안에 착탈식 발효제어장치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전통주, 와인, 식초, 된장, 고추장 등 발효식품을 만드는데 사용하는 항아리나 용기 등 개방식 발효조에 있어서, 조내 전료의 체적비와 농도를 균일하게 해주고 품온을 자연냉각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특장점이 있으며,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특별한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발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발효 효율이 높은 종래에 없던 착탈식 발효제어장치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방식 발효조 발효제어장치{fermenter control unit}
본 발명은 개방식 발효조의 발효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통주, 와인, 식초, 된장, 고추장 등 발효식품을 만드는 사용되는 개방식 발효조 안에 착탈식 발효제어장치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효조는 조내의 전료(前?)가 직접 대기와 접촉하는 개방식, 제균 필터 등에 의해 차단된 밀폐식의 2가지가 있다. 개방식은 재래의 발효조로서 막걸리, 청주, 와인, 된장, 간장 등 발효식품의 제조에 사용한다. 밀폐식에는 가열살균, 냉각, 통기, 교반을 위한 배관 또는 장치, 압력계 등의 계량기류가 부속되어 있으며 알코올, 아미노산, 항생물질의 제조 등 많은 발효공업에서 사용하고 있다.
전통주, 와인, 식초, 된장, 고추장 등 발효식품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종래의 개방식 발효조는 발효 효율이 낮고 발효제어가 어려운 단점이 있어 발효의 진행이 고르지 못한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통주, 와인, 식초, 된장, 고추장 등 발효식품을 만드는데 사용하는 개방식 발효조의 발효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는 조내의 전료가 직접 대기와 접촉하는 종래의 개방식 발효조의 발효 효율 향상과 발효제어를 목적으로 하며, 본 발명은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방식 발효조 안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는 착탈식 발효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특별한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발효 효율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효율적인 발효가 이루어지고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발효 효율이 높고 발효제어가 용이한 종래에 없던 착탁실 발효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통주, 와인, 식초, 된장, 고추장 등 발효식품을 만드는데 사용하는 항아리나 용기 등 개방식 발효조에 있어서, 조내 전료의 체적비와 농도를 균일하게 해주고 품온을 자연냉각시켜 줄 뿐만 아니라, 특별한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발효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된 속이 빈 파이프 형태의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손쉽게 장착할 수 있는 종래에 없던 착탈식 발효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개방식 발효조에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발효제어장치를 장착하면 특별한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발효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특장점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전매특허라 할 수 있는 전통주, 된장, 고추장, 간장 등 발효식품의 발효 효율을 높일 수 있어 식품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룩과 쌀과 물을 주원료로 하는 전통주의 안전양조를 가능하게 하여 양조산업 발전의 모태가 되는 가양주문화 발전과 전통주의 세계화에도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있고 농민주, 민속주, 특산주, 가양주 등 소규모 양조산업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개방식 발효조의 대략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발효제어장치를 장착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발효제어장치의 상세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발효제어장치의 다양한 형태를 설명한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효제어장치는 전통주, 와인, 식초, 된장, 고추장 등 발효식품을 만드는데 사용하는 개방식 발효조에 있어서,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된 속이 빈 형태의 항아리나 용기 등 조내의 전료가 직접 대기와 접촉하는 종래의 발효조의 발효효율 향상과 발효제어를 목적으로 하며, 본 발명은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방식 발효조 안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는 착탈식 발효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통주, 와인, 식초, 된장, 고추장 등을 발효시키는데 필요한 누룩이나 효모 등은 발효시 품온이 상승하고 가스가 발생되는 특징이 있으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발효조 밑에서부터 발효가 진행되는 하면발효를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하면발효의 특성으로 인해 조내 전료의 상하 온도차와 압력차와 농도차가 발생하고, 발효조 안에 들어있는 전료의 층이 두터워 전료의 표층부와 내부의 온도와 압력차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차이가 발효효율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종종 산패, 감패, 부패 등 안전발효를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종래의 개방식 발효조는 도1과 같이 전료(10)가 조내에 꽉 들어찬 상태에서 발효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어 발효시 발생하는 조내의 가스압력과 품온이 전료의 위쪽과 아래쪽, 전료의 표층부(20)와 내부(30)에 편차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전료 위쪽과 아래쪽의 농도 편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차이가 발효효율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특히 하면발효를 특징으로 하는 누룩과 효모의 특성상 전통주 양조를 할 때 이러한 편차로 인해 종종 산패, 감패, 부패 등 안전발효를 저해하는 이상발효의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발효제어장치(200)를 장착한 발효조는 도2와 같이 조내에 들어있는 전료의 체적비와 농도를 균일하게 해주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하부는 밀폐되고 상부는 개방된 속이 빈 파이프형태의 착탈식 발효제어장치(200)의 표면이 열전달 매개역할을 하여 발효시 발생되는 품온을 자연냉각시키는 기능을 하여 발효가 이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최적화 해주는 특장점을 지니고 있다.
특히, 도3과 같이 착탈식 발효제어장치(200) 외면에 장치한 요철이 있는 나선모양으로 구성된 스크류(40)는 발효시 발생되는 가스의 압력으로 술덧을 자연스럽게 유동시켜주는 작용을 함과 동시에 발효시 발생되는 가스의 원만한 방출작용과 가스발생에 따른 압력의 완충작용을 함으로써 발효작용을 최적화하는 특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속이 비어있는 발효제어장치(200) 내부(50)에는 필요시 얼음주머니나 냉각관, 끓인 물주머니나 히터 등 가열 또는 냉각장치를 삽입할 수 있는 특장점이 있고, 발효제어장치(200)의 표면이 열전달 매개역할을 하여 가열이나 냉각시 온도쇼크 최소화할 수 있는 특장점을 지니고 있다.
뿐만 아니라 도3과 같이 발효제어장치(200) 하부에 부력방지판(60)을 장치하여 전료(10)가 부력방지판(60)을 눌러주는 역할을 하여 발효시 발생되는 가스압력으로 발효제어장치(200)가 위쪽으로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있고, 부력방지판(60) 위쪽의 발효제어장치(200) 외부에는 요철이 있는 나선모양으로 구성된 스크류(40)를 장치하여 전료(10) 혼합 및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였고, 발효제어장치(200) 하단에는 핀을 끼워 고정할 수 있는 위치고정용 핀홀(70)을 장치하여 착탈과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발효제어장치(200) 상부에는 지렛대를 끼워 회전시킬 수 있는 지렛대홈(80)이 장치되어 있어 필요시 지렛대홈(80)에 지렛대를 끼우거나 회전용 전동기를 장치한 뒤 전료가 스크류를 따라 상승할 수 있도록 정회전시켜 전료를 혼합하거나 필요시 전료가 스크류를 따라 하강할 수 있도록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배출구(90)로 전료를 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특장점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발효제어장치(200)와 발효조의 체적비는 발효제어장치 15: 발효조 100(v/v)가 적당하며, 발효제어장치(200)의 형태는 도3과 같이 외부에 요철이 있는 나선모양으로 구성된 스크류(40)를 장치한 스크류형, 도4와 같이 원통형(300), 배가 볼록한 항아리형(400), 병 모양(500), 원통형(300) 외면에 스크류(40)를 장치한 원통스크류형, 볼록한 항아리형(400) 외면에 스크류(40)를 장치한 항아리 스크류형, 병 모양(500) 외면에 스크류(40)를 장치한 병모양 스크류형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발효제어장치(200)의 재질은 도기나 자기 등 도자기나 세라믹류, 스테인레스나 동과 같은 금속류, 유리, 플라스틱, 목재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재료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발효제어장치는 우리나라의 전매특허라 할 수 있는 전통주, 된장, 고추장, 간장 등 발효식품의 발효 효율을 높일 수 있어 식품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룩과 쌀과 물을 주원료로 하는 전통주의 안전양조를 가능하게 하여 양조산업 발전의 모태가 되는 가양주문화 발전과 전통주의 세계화에도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있고 농민주, 민속주, 특산주, 가양주 등 소규모 양조산업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100: 발효조
200: 착탈식 발효제어장치
300: 원통형 착탈식 발효제어장치
400: 항아리형 착탈식 발효제어장치
500: 병모양 착탈식 발효제어장치
10: 전료
20: 표층부
30: 내부
40: 스크류
50: 착탈식 발효제어장치 내부 공간
60: 부력방지판
70: 핀홀
80: 지렛대 홈
90: 전료배출구

Claims (3)

  1. 발효조 안에 있는 전료(10)의 체적비와 농도와 압력을 균일하게 해주는 역할과 발효시 발생하는 품온을 자연냉각시키고 가스를 원활하게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2와 같이 하부는 밀폐되고 상부는 개방된 속이 빈 파이프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있는 부력방지판(60) 위쪽 외부는 요철이 있는 나선모양의 스크류(40)로 구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발호제어장치 회전용 지렛대홈(80)이 장치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부력방지판(60)과 위치고정용 핀홀(70)을 장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발효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도3과 같이 나선형 홈이 파인 스크류형, 도4와 같은 원통형(300), 배가 볼록한 항아리형(400), 병 모양(500), 원통형(300) 외면에 스크류(40)를 장치한 원통스크류형, 볼록한 항아리형(400) 외면에 스크류(40)를 장치한 항아리 스크류형, 병 모양(500) 외면에 스크류(40)를 장치한 병모양 스크류형 등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발효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도자기류, 세라믹류, 금속류, 유리, 플라스틱, 목재 중 어느 하나의 재료로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발효제어장치.
KR1020100126611A 2010-12-13 2010-12-13 개방식 발효조 발효제어장치 KR101233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611A KR101233951B1 (ko) 2010-12-13 2010-12-13 개방식 발효조 발효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611A KR101233951B1 (ko) 2010-12-13 2010-12-13 개방식 발효조 발효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9507A KR20120089507A (ko) 2012-08-13
KR101233951B1 true KR101233951B1 (ko) 2013-02-18

Family

ID=46874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611A KR101233951B1 (ko) 2010-12-13 2010-12-13 개방식 발효조 발효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9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5626A (ko) 2022-05-03 2023-11-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전통장 발효온도 제어를 위한 스마트 발효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541B1 (ko) * 2012-12-24 2013-04-03 김성현 곡물 숙성 발효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626B1 (ko) 2003-05-27 2005-06-22 문인술 발효식품의 가스배출장치
KR200392398Y1 (ko) 2005-05-16 2005-08-17 홍종만 유기농 배치
KR100758653B1 (ko) 2006-05-22 2007-09-13 강상갑 과일주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626B1 (ko) 2003-05-27 2005-06-22 문인술 발효식품의 가스배출장치
KR200392398Y1 (ko) 2005-05-16 2005-08-17 홍종만 유기농 배치
KR100758653B1 (ko) 2006-05-22 2007-09-13 강상갑 과일주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5626A (ko) 2022-05-03 2023-11-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전통장 발효온도 제어를 위한 스마트 발효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9507A (ko) 2012-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625586U (zh) 一种用于鲜啤酒生产的微酿设备
KR101233951B1 (ko) 개방식 발효조 발효제어장치
WO2022016989A1 (zh) 一种具有优异热交换性能的牛奶发酵罐
CN105238639A (zh) 简易果酒发酵系统
CN204174194U (zh) 一种制造蒸馏酒的制酒装置
CN210826163U (zh) 一种大米原料反应式发酵罐
CN109182120A (zh) 一种发酵装置
KR200465740Y1 (ko) 개방식 발효조 발효제어장치
CN202457890U (zh) 一种无胆直热纳米电热膜加热体饮水机
CN203079950U (zh) 一种小型保温发酵罐
KR20150124596A (ko) 다목적 발효기
CN204625587U (zh) 一种鲜啤酒微酿设备
CN104152337A (zh) 一种制造蒸馏酒的制酒装置
CN204138666U (zh) 恒温厌氧反应装置
CN207918850U (zh) 一种生物发酵罐
KR101534075B1 (ko) 혐기성 발효 용기
CN206970630U (zh) 一种控温控光的细胞培养装置
CN206033711U (zh) 一种白酒生产用具有搅拌功能的酿酒装置
CN209481676U (zh) 一种发酵装置
CN204211745U (zh) 一种高效实用的细菌培养液体发酵罐
CN201567333U (zh) 菌剂发酵罐
CN111838312A (zh) 一种具有优异热交换性能的牛奶发酵罐
CN207828236U (zh) 一种便于控温的甜酒发酵装置
KR20150101573A (ko) 가정식 발효기
CN204569930U (zh) 离位灭菌发酵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