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370B1 -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3370B1 KR101233370B1 KR1020080114262A KR20080114262A KR101233370B1 KR 101233370 B1 KR101233370 B1 KR 101233370B1 KR 1020080114262 A KR1020080114262 A KR 1020080114262A KR 20080114262 A KR20080114262 A KR 20080114262A KR 101233370 B1 KR101233370 B1 KR 1012333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lactic acid
- clay
- resin
- weight
- resin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은 (A) 제1 폴리유산 수지 80 내지 99.9 중량%, 및 (B) 제2 폴리유산 수지로 함침처리된 클레이 0.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리유산 수지와 제2 폴리유산 수지는 서로 다른 이성질체인 것이다.
상기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은 친환경 수지 조성물로서 내가수분해성,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모두 우수한 물성 밸런스를 가지며, 이에 따라 정밀 전기전자 부품, 사무기기, 자동차 정밀 부품, 잡화 등과 같이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요구되는 다양한 성형품에 적용될 수 있다.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클레이, 함침처리, 열가소성 수지, 내가수분해성, 기계적 강도, 내열성
Description
본 발명은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가수분해성,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모두 우수한 물성 밸런스를 가지는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까지 고분자 재료의 연구 방향은 강인한 특수용 고분자 재료의 개발 및 고분자 물질의 안전성에 관한 것이 주로 선도하였다. 그러나 범세계적으로 폐 고분자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환경 친화성 고분자 재료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환경 친화성 고분자는 크게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고분자로 분류된다. 환경 속에서 완전 생분해성을 갖는 고분자 재료는 주쇄 구조에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가능한 작용기가 포함되어 있다. 이 중에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고분자는 가공성이 우수하고 분해 특성의 조절이 용이하여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는데, 특히 폴리유산(polylactic acid, PLA)의 경우 전세계에 7만톤 규모 시장을 형성하고 있고, 식품 포장재 및 용기, 전자제품 케이스 등의 일반 플라스틱이 사용되었던 분야까지 그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현재까지 폴리유산 수지의 주된 용도는 폴리 유산의 생분해성 특성을 이용한 일회용 제품, 예를 들면 식품 용기, 랩, 필름 등이다. 폴리유산은 현재 미국의 Natureworks사에서 생산 중이다.
그러나 기존 폴리유산 수지는 성형성,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부족하여 박막제품의 경우 쉽게 파손되고, 온도에 대한 저항성이 낮아 외부온도가 섭씨 60℃ 이상 상승하면 성형 제품의 형태에 변형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폴리유산의 경우 내가수분해성이 낮아 고온 고습의 환경에서는 48시간 이상을 견디지 못하고 스스로 분해되어 버리는 단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4-250698호의 경우 층산규산염 존재 하에 폴리유산을 중합시켜 내열성 및 내충격성 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런 경우 폴리유산과 클레이간의 접착력에 문제가 있어 충격강도의 향상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클레이를 폴리유산의 핵제로 적용한 일본공개특허 제2007-091790호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클레이 자체의 핵제로서의 효율성이나 물성 향상은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내가수분해성,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모두 우수한 물성 밸런스를 가지는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열가소성 수지 얼로이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A) 제1 폴리유산 수지 80 내지 99.9 중량%, 및 (B) 제2 폴리유산 수지로 함침처리된 클레이 0.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리유산 수지와 제2 폴리유산 수지는 서로 다른 이성질체인 것인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 10 내지 90 중량% 및 열가소성 수지 1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열가소성 수지 얼로이 조성물을 제공한다.
기타 본 발명의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은 친환경 수지 조성물로서 내가수분해성,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모두 우수한 물성 밸런스를 가지며, 이에 따라 정밀 전기전자 부품, 사무기기, 자동차 정밀 부품, 잡화 등과 같이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요구되는 다양한 성형품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은 (A) 제1 폴리유산 수지 및 (B) 제2 폴리유산 수지로 함침처리된 클레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폴리유산 수지와 제2 폴리유산 수지는 서로 다른 이성질체이다.
상기 제2 폴리유산 수지로 함침처리된 클레이는 폴리유산 수지와의 흡착력을 향상시키며, 또한, 클레이 자체의 박리와 분산 등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키는 동시에 클레이 표면에 스테레오컴플렉스 형성을 유도하여 결정화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우수한 내열성, 기계적 강도 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1) 제1 및 제2 폴리유산 수지
일반적으로 생분해성 수지인 폴리유산 수지는 옥수수 전분을 분해하여 얻은 유산(lactic acid)을 모노머로 하여 에스테르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 상업적 구입이 용이하다.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L-폴리유산, D-폴리유산, 또는 L,D-폴리유산 구조가 존재하며, 이들 폴리유산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각각 다른 이성질체인 제1 폴리유산 수지와 제2 폴리유산 수지가 용융 혼합되어 스테레오컴플렉스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제1 폴리유산 수지가 L-폴리유산인 경우 제2 폴리유산 수지는 D-폴리유산이 되며, 제1 폴리유산 수지가 D-폴리유산인 경우 제2 폴리유산 수지는 L-폴리유산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폴리유산 수지로 L-폴리유산을 사용하고 클레이를 표면처리하기 위한 제2 폴리유산 수지로 D-폴리유산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클레이 표면에 D-폴리유산의 피막 형성으로 인한 스티레오컴플렉스 유도가 보다 물성 향상이 더 크다.
상기 L-폴리유산 수지는 95 중량% 이상의 L-이성질체를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98 내지 99.99 중량%의 L-이성질체 및 0.01 내지 2 중량%의 D-이성질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D-폴리유산 수지는 95 중량% 이상의 D-이성질체를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98 내지 99.99 중량%의 D-이성질체 및 0.01 내지 2 중량%의 L-이성질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L-폴리유산 수지가 95 중량% 이상의 L-이성질체를 포함하고, 상기 D-폴리유산 수지가 95 중량% 이상의 D-이성질체를 포함하는 경우, 내열성, 성형성 및 내가수분해성의 우수한 물성 밸런스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성형 가공이 가능하면 분자량이나 분자량 분포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0 g/mol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000 내지 500,000 g/mol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폴리유산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0 g/mol 이상인 경우 성형체의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의 밸런스 면에서 우수한 특징이 있다.
상기 (A) 제1 폴리유산 수지는 본 발명의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80 내지 99.9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99 중량%이다. 제1 폴리유산 수지의 함량이 80 내지 99.9 중량%일 경우,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친환경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2) 클레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클레이는 몬트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사포나이트, 벤토나이트, 아타풀자이트, 세피오라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층상 실리케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업적으로 유용한 몬트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버미큘라이트, 및 사포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층상 실리케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클레이는 나노 수준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1 내지 100nm의 평균입자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레이의 평균입자직경이 1 내지 100nm 인 경우 클레이 입자간 응집의 우려가 없으며, 기계적 물성 및 투명성의 밸런스 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클레이는 클레이층간 유기물의 침투가 용이하도록 유기 양이온과 같은 유기물질로 표면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양이온으로는 암모늄 이온, 4급 암모늄 이온, 포스포늄 이온 등의 오늄이온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클레이 표면에 제2 폴리유산 수지로 함침처리하여 클레이 표면에 존재하는 제2 폴리유산 수지와 기본수지로 쓰이는 제1 폴리유산 수지와의 스테레오컴플렉스를 형성시켜 클레이 표면의 강도를 극대화시켜 내열성 및 내가수분해성 등의 물성을 극대화시킨 것이다.
이러한 함침처리는 아래의 두 가지 방법 중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첫째, 하나의 예로 D,D-락타이드 단량체로부터 D-폴리유산 합성 시 클레이를 첨가하여 인시츄(in-situ)로 합성하여 폴리유산과 클레이간의 밀착성(wetting)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둘째, 제2 폴리유산 수지 및 클레이를 배치타입 믹서(batch-type mixer)를 이용하여 용융 혼합(melt mixing)하는 방법이다.
상기 첫번째 방법은 화학적 함침에 따른 방법으로서, 상기 두번째의 물리적 함침에 따른 방법과 비교하여, 스테레오컴플렉스가 클레이 표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폴리유산 수지와 클레이 간의 결합력이 보다 증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열성, 기계적 강도, 충격강도 등의 물성이 보다 우수하다.
상기 두번째의 물리적 함침에 따른 방법은 상기 첫번째 방법과 결정화도(X c )나 스테레오컴플렉스 비율(R sc/L )이 동등하지만, 컴파운딩시 클레이로부터 제2 폴리유산 수지가 쉽게 유리될 수 있어 폴리유산 수지와 클레이 간의 결합력이 상대적으로 약할 수 있어, 물성 향상이 첫번째 방법보다는 약하다.
이와 같은 함침처리 방법에 의해 결정성이 향상된 제1 폴리유산 수지와 제2 폴리유산 수지와의 스테레오컴플렉스를 유도할 수 있어 물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의 (B) 제2 폴리유산 수지로 함침처리된 클레이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유산 수지와 클레이는 1: 0.5 내지 5의 중량비를 이루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4의 중량비를 이루는 것이 좋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1의 중량비를 이루는 것이 좋다. 제2 폴리유산 수지와 클레이의 중량비 가 1: 0.5 내지 5 인 경우, 제1 폴리유산 수지와의 결정화를 효과적으로 유도하며, 제1 폴리유산 수지 내로 분산이 잘 이루어진다.
상기 (B) 제2 폴리유산 수지로 함침처리된 클레이는 본 발명의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이다. 제2 폴리유산 수지로 함침처리된 클레이의 함량이 0.1 내지 20 중량%일 경우 기계적 강도 및 가공성이 우수하다.
(3) 충격보강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은 충격강도와 함께 점도 상승을 더욱 보강시킬 수 있도록 충격보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보강제는 폴리유산과 친화력이 우수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반응성 올레핀계 공중합체, 코어-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이소프렌 고무, 에틸렌/옥텐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의 삼원공중합체(EDPM) 등과 같은 올레핀계 고무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에 무수말레산(maleic anhydride),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glycidylmethacrylate), 옥사졸린(oxaxoline)과 같은 반응성 작용기들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0.1 내지 5 중량%로 그라프트된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에 반응성 작용기를 그라프트하는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쉘 공중합체는 디엔계 고무, 아크릴레이트계 고무 또는 실리콘계 고무 단량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중합한 후에, 그라프트 가능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C1-C8의 알킬기를 가진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류, C1-C8의 알킬기를 가진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무수말레인산, 및 C1-C4 알킬 또는 페닐 핵치환 말레이미드와 같은 불포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단량체를 고무질 중합체에 그라프트시켜 제조한다.
상기 고무는 본 발명에 따른 코어-쉘 그라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9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가 30 내지 9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경우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하고, 그 결과 우수한 충격 보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디엔계 고무로는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의 삼원공중합체(EPDM) 등이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고무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가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경화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메타크릴레 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또는 1,4-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알릴메타크릴레이트,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등이 있다.
상기 실리콘계 고무는 시클로실록산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헥사메틸시클로트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트리메틸트리페닐시클로트리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페닐시클로테트로실록산, 옥타페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1 종 이상은 경화제를 사용함으로써 실리콘계 고무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경화제로는 트리메톡시메틸실란, 트리에톡시페닐실란, 테트라메톡시실란, 또는 테트라에톡시실란이 있다.
상기의 C1-C8의 알킬기를 가진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또는 C1-C8의 알킬기를 가진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는 각각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의 에스테르류로서 1-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모노히드릴 알코올로부터 제조된 에스테르류이다.
이들의 구체예로서는 메타크릴산 메틸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틸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프로필에스테르를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메타크릴산 메틸에스테르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쉘 형태의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충격보강제는 본 발명의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는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충격보강제가 0.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경우 충격 보강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인장강도, 굴곡강도, 굴곡탄성률 등의 기계적 강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4) 기타 첨가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은 상기 충격보강제 외에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내가수분해제, 난연제, 난연보조제, 유무기 보강제, 이형제, 산화방지제, 충전제, 가소제, 착색제, 안정제, 활제, 정전기 방지제, 내후제, 자외선 차단제, 핵 형성제, 접착 조제, 점착제, 항균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상용화제, 염료, 무기물 첨가제, 계면활성제, 커플링제, 혼화제, 안료, 방염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페놀형, 포스파이드형, 티오에테르형, 또는 아민형 산화방지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후제로는 벤조페논형 또는 아민형 내후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형제로는 불소 함유 중합체, 실리콘 오일, 스테아릴산의 금속염, 몬탄산의 금속염, 몬탄산 에스테르 왁스, 또는 폴리에틸렌 왁스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착색제로는 염료 또는 안료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산화티탄 또는 카본블랙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충전제로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실리카, 마이카, 알루미나, 점토, 탄산칼슘, 황산칼슘, 또는 유리 비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충전제를 첨가할 경우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 등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핵 형성제로는 탈크 또는 클레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본 발명의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의 결정화도(X c )는 15 J/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정화도는 시차주사열량계(DSC)를 사용하여 250℃까지 10℃/min 으로 승온하면서 융점이 140 내지 170℃ 에서 발견되는 열량인 ΔHL(L-폴리유산의 결정피크)와 융점이 195 내지 250℃ 에서 발견되는 열량인 ΔHsc(스테레오컴플렉스의 결정피크)의 총량을 계산한 값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의 스테레오컴플렉스의 비율(R sc/L )은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테레오컴플렉스의 비율은 총 결정 중 스테레오컴플렉스 결정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하며, ΔHsc/(ΔHsc + ΔHL)×100 의 식에 따라 계산한 값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과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열가소성 수지 얼로이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나일론계 수지,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폴리옥시메틸렌,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분자량 조절제와 촉매의 존재하에서 디히드릭페놀과 포스겐이 반응하여 제조되거나, 또는 디히드릭페놀과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에스테르 상호교환반응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시 다관능성 방향족 화합물, 이관능성 카르복실산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디히드릭페놀은 비스페놀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 A'라고도 함)이다.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에,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 및 선택적으로 (메타)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단량체를 혼합물의 형태로 그라프트 공중합한 것이나, 또는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에 (메타)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의 단량체를 그라프트 공중합한 것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은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열가소성 수지 얼로이 조성물에 대하여 10 내지 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열가소성 수지는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열가소성 수지 얼로이 조성물에 대하여 10 내지 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친환경 목적에 부합하며, 열가소성 수지의 장점을 발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구성 성분과 기타 첨가제들을 동시에 혼합한 후에, 압출기 내에서 용융 압출하고 펠렛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한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기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은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중요시하게 요구되는 분야의 성형제품, 예를 들면, 자동차 부품, 기계부품, 전기전자 부품, 컴퓨터 등의 사무기기, 잡화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텔레비전, 컴퓨터, 프린터, 세탁기, 카셋트 플레이어, 오디오, 휴대폰 등과 같은 전기전자 제품의 하우징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의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각 구성 성분은 다음과 같다.
(1) 폴리유산 수지
L-폴리유산 수지로는 미국 NatureWorks LLC에서 제조된 4032D를 사용하였고, D-폴리유산 수지는 Purac사의 D,D-Lactide를 중량평균분자량 50,000 g/mol이 되도록 중합하여 사용하였다.
(2) 클레이
Southern Clay에서 입수한 Cloisite Na+와 Cloisite 30B(유기개질제 MT2EtOH: 메틸, 탈로우(tallow), 비스-2-하이드록시에틸, 4급 암모늄)를 사용하였다.
① 제조예 1
Cloisite 30B를 반응기에 넣고 Purac사에서 입수한 D,D-락타이드 단량체를 개환중합하여 D-폴리유산/클레이 마스터배치를 제조하였다.
상기 개환중합은 먼저 배치타입 믹서에 Cloisite 30B와 D,D-락타이드 단량체를 투입하여 180℃에서 약 5분간 혼합한 후 믹서에 연결된 이축 압출기에 바로 피딩(feeding)하여 반응압출한 압출물을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이때, 투입한 D,D-락타이드 단량체와 클레이는 최종 함침물에서 1:2.5의 중량비를 이루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중합용 촉매로는 스테너스 옥탄산(Sn(Oct)2)과 트리페닐포스파인(triphenylphosphine)을 동일 몰비로 섞어서 사용하였고 촉매 1몰당 500몰의 D,D-락타이드 단량체를 첨가하여 얻어진 D-폴리유산 및 클레이의 함침물은 D-폴리유산과 클레이가 1:2.5의 중량비를 이루었다.
상기 제조되어 나온 폴리머, 단량체, 및 클레이의 혼합물에서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기 위해 섭씨 100℃에서 진공건조 하였다.
② 제조예 2
D-폴리유산과 클레이가 1:2.5의 중량비가 되도록 각각을 배치타입 믹서(batch-type mixer)에 투입하여 이를 용융 혼합하여 마스터배치를 제조하였다.
③ 제조예 3
제조예 1에서 D,D-락타이드 단량체 대신 L,L-락타이드 단량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④ 제조예 4
제조예 2에서 D-폴리유산 대신 L-폴리유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3) 충격보강제
MRC의 223-A(methyl methacrylate-butadiene ethylacrylate copolymer)를 충격보강제로 사용하였다.
(4)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일본 테이진(Teijin)사의 PANLITE L-1250WP 수지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A) 제1 폴리유산 수지(L-폴리유산 수지) 85 중량% 및 (B) 제조예 1에 따라 제2 폴리유산 수지(D-폴리유산 수지)로 함침처리된 클레이 15 중량%를 80℃에서 진공 하에 4 시간 건조시킨 후, 통상의 이축 압출기에서 180℃의 온도범위로 압출한 후, 압출물을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A) 제1 폴리유산 수지(L-폴리유산 수지) 90 중량% 및 (B) 제조예 1에 따라 제2 폴리유산 수지(D-폴리유산 수지)로 함침처리된 클레이 10 중량% 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A) 제1 폴리유산 수지(L-폴리유산 수지) 95 중량% 및 (B) 제조예 1에 따라 제2 폴리유산 수지(D-폴리유산 수지)로 함침처리된 클레이 5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A) 제1 폴리유산 수지(L-폴리유산 수지) 90 중량% 및 (B) 제조예 2에 따라 제2 폴리유산 수지(D-폴리유산 수지)로 함침처리된 클레이 10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A) 제1 폴리유산 수지(L-폴리유산 수지) 45 중량%, (B) 제조예 1에 따라 제2 폴리유산 수지(D-폴리유산 수지)로 함침처리된 클레이 5 중량%, 및 (D)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50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C) 충격보강제를 더 포함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C) 충격보강제는 (A) 제1 폴리유산 수지 및 (B) 제2 폴리유산 수지로 함침처리된 클레이의 총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A) 제1 폴리유산 수지(L-폴리유산 수지) 95 중량% 및 (B') 클레이 5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A) 제1 폴리유산 수지(L-폴리유산 수지) 90 중량% 및 (B) 제조예 3에 따라 제2 폴리유산 수지(L-폴리유산 수지)로 함침처리된 클레이 10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A) 제1 폴리유산 수지(L-폴리유산 수지) 90 중량% 및 (B) 제조예 4에 따라 제2 폴리유산 수지(L-폴리유산 수지)로 함침처리된 클레이 10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펠렛을 80℃에서 4 시간 이상 건조 후, 6 Oz의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230℃, 금형온도 80℃, 성형사이클을 60초로 설정하고, ASTM 덤벨시험편 사출성형하여 물성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물성시편은 아래의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열변형온도(HDT): ASTM D648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2) 인장강도: ASTM D638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3) 굴곡강도: ASTM D790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4) 굴곡탄성율: ASTM D790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5) IZOD 충격강도: ASTM D256에 준하여 측정하였다(시편 두께 1/4").
6) 내가수분해성; 굴곡 시편을 사용하여, 80℃, 95% RH에서 120시간 동안 항온항습기(thermo-hygrostat)내에 방치한 후 굴곡강도를 측정하고, 방치하기 전 굴곡강도에 대한 백분율(%)로 내가수분해성을 측정하였다.
7) ΔHL: 140 내지 170℃ 에서 발견되는 L-폴리유산 결정의 융점 피크(peak)에 해당하는 열량을 나타낸다.
8) TL: ΔHL 피크가 나타나는 온도를 나타낸다.
9) ΔHsc: 195 내지 250℃ 에서 발견되는 스테레오컴플렉스 결정의 융점 피크에 해당하는 열량을 나타낸다.
10) Tsc: ΔHsc 피크가 나타나는 온도를 나타낸다.
11) X c : TA instrument사의 시차주사열량계(DSC)를 사용하여 각각의 시편에서 표면을 피하고 중심(core) 부위의 최소 5mg 정도 취한 후 250℃까지 10℃/min 으로 승온하면서 융점이 140 내지 170℃ 에서 발견되는 열량인 ΔHL(L-폴리유산의 결정피크)와 융점이 195 내지 250℃ 에서 발견되는 열량인 ΔHsc(스테레오컴플렉스의 결정피크)의 총량을 계산하여 나타낸 것이다.
12) R sc/L : 총 결정중 스테레오컴플렉스 결정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며, ΔHsc/(ΔHsc + ΔHL)×100 의 식에 따라 계산한 값이다.
[표 1]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1 폴리유산 수지와 제2 폴리유산 수지를 서로 다른 이성질체인 것을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6은 제1 폴리유산 수지와 제2 폴리유산 수지를 같은 이성질체인 것을 사용한 비교예 2 및 3과 비교하여 내열성, 충격강도 및 기계적 물성뿐만 아니라 결정화도 및 스테레오컴플렉스 비율 모두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클레이 표면에 스테레오컴플렉스를 유도하여 클레이를 효과적인 핵제로 적용하여 결정화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상기 비교예 2 및 3은 모두 스테레오컴플렉스를 형성하지 못하므로 특별히 결정화도(X c )에 기여하지 못하며, 따라서 전반적인 물성 수준이 함침처리하지 않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미미하게 향상될 뿐이다.
한편, 제조예 1에 따라 클레이 표면에 D-폴리유산 수지를 인시츄(in-situ)로 합성한 실시예 1 내지 3은 제조예 2에 따라 배치타입 믹서를 이용하여 용융 혼합한 실시예 4와 비교하여 내열성, 충격강도, 및 기계적 물성이 보다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4의 단순한 용융혼련은 D-폴리유산과 클레이간의 표면간의 함침만 향상될 뿐이므로 스테레오컴플렉스 형성에 어느 정도 기여를 하겠지만 전반적인 클레이 분산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D-폴리유산이 클레이 표면의 많은 면적에 피막을 형성하지 못하며 박피와 분산을 거의 유도하지 못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함침처리된 실시예 1 내지 4 모두 결정화도나 스테레오컴플렉스 비율에 있어서는 거의 동등수준이지만, 중합을 통한 화학적 함침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은 단순 물리적 함침에 따른 실시예 4와 비교하여 내열성, 충격강도, 및 기계적 물성이 보다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물리적 함침의 경우는 컴파운딩시 클레이로부터 D-폴리유산이 쉽게 유리될 수 있으나 화학적 함침의 경우는 스테레오 컴플렉스가 클레이 표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좀 더 수지와 클레이간의 결합력이 증대된다.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클레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전반적인 물성, 특히 내가수분해성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결정성 역시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4)
- (A) 제1 폴리유산 수지 80 내지 99.9 중량%, 및(B) 제2 폴리유산 수지로 함침처리된 클레이 0.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고,상기 제1 폴리유산 수지와 제2 폴리유산 수지는 서로 다른 이성질체이고,상기 (B) 제2 폴리유산 수지로 함침처리된 클레이는 제2 폴리유산 수지와 클레이가 1:1 내지 4의 중량비로 이루어지는 것인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1 폴리유산 수지는 L-폴리유산 수지이고, 상기 제2 폴리유산 수지는 D-폴리유산 수지인 것인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L-폴리유산 수지는 95 중량% 이상의 L-이성질체를 포함하고, 상기 D-폴리유산 수지는 95 중량% 이상의 D-이성질체를 포함하는 것인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함침처리는 상기 클레이 표면에 상기 제2 폴리유산 수지를 인시츄(in-situ)로 합성하여 수행되는 것인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함침처리는 상기 제2 폴리유산 수지 및 클레이를 배치타입 믹서(batch-type mixer)를 이용하여 용융 혼합하여 수행되는 것인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클레이는 몬트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사포나이트, 벤토나이트, 아타풀자이트, 세피오라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층상 실리케이트인 것인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클레이의 평균입자직경이 1 내지 100nm 인 것인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은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충격보강제 0.01 내지 3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충격보강제는 올레핀계 고무 중합체에 무수말레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및 옥사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반응성 작용기가 그라프트된 반응성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 중합체에 불포화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코어-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내후제, 이형제, 착색제, 자외선 차단제, 충전제, 핵 형성제, 가소제, 접착 조제, 점착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5항 또는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의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제 1 항 내지 제5항 또는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의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 10 내지 90 중량% 및열가소성 수지 1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열가소성 수지 얼로이 조성물.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나일론계 수지,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폴리아세탈,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열가소성 수지 얼로이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4262A KR101233370B1 (ko) | 2008-11-17 | 2008-11-17 |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 |
PCT/KR2009/006764 WO2010056089A2 (ko) | 2008-11-17 | 2009-11-17 |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4262A KR101233370B1 (ko) | 2008-11-17 | 2008-11-17 |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5270A KR20100055270A (ko) | 2010-05-26 |
KR101233370B1 true KR101233370B1 (ko) | 2013-02-15 |
Family
ID=42279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14262A KR101233370B1 (ko) | 2008-11-17 | 2008-11-17 |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337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9652B1 (ko) * | 2012-06-21 | 2014-06-18 |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 내열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유산 스테레오 콤플렉스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방법 |
KR101569247B1 (ko) | 2013-06-19 | 2015-11-13 |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 결정화 속도가 향상된 폴리유산 스테레오 복합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방법 |
KR102103524B1 (ko) * | 2013-10-25 | 2020-04-22 |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 폴리유산-폴리아미드 얼로이 수지 조성물 |
KR101737208B1 (ko) * | 2015-07-20 | 2017-05-17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물성이 제어된 친환경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CN112646334B (zh) * | 2020-11-27 | 2022-09-02 | 宁波工程学院 | 一种高强度耐热改性聚乳酸及其制备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39270A (ja) * | 2003-11-05 | 2005-06-02 |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 ポリ乳酸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成形体 |
JP2007314670A (ja) | 2006-05-26 | 2007-12-06 | Kaneka Corp | ポリ乳酸系樹脂発泡粒子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8031376A (ja) | 2006-07-31 | 2008-02-14 | Mitsui Chemicals Inc | 乳酸系樹脂組成物、成形体、熱成形体および熱成形体の製造方法 |
JP2008248162A (ja) | 2007-03-30 | 2008-10-16 | Teijin Ltd | ステレオコンプレックスポリ乳酸フィルム |
-
2008
- 2008-11-17 KR KR1020080114262A patent/KR10123337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39270A (ja) * | 2003-11-05 | 2005-06-02 |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 ポリ乳酸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成形体 |
JP2007314670A (ja) | 2006-05-26 | 2007-12-06 | Kaneka Corp | ポリ乳酸系樹脂発泡粒子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8031376A (ja) | 2006-07-31 | 2008-02-14 | Mitsui Chemicals Inc | 乳酸系樹脂組成物、成形体、熱成形体および熱成形体の製造方法 |
JP2008248162A (ja) | 2007-03-30 | 2008-10-16 | Teijin Ltd | ステレオコンプレックスポリ乳酸フィル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5270A (ko) | 2010-05-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62387B1 (ko) |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 |
KR101277726B1 (ko) | 천연섬유 강화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
KR101233373B1 (ko) |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 |
KR100989116B1 (ko) | 환경친화성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 |
EP2186846B1 (en) | Natural Fiber-Reinforced Polylactic Acid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Made Using the Same | |
KR101277718B1 (ko) |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 |
EP2099863B1 (en) | Polyester molding compositions | |
JP5008843B2 (ja) | ポリカーボネート組成物、物品及び製造方法 | |
KR101225948B1 (ko) |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 |
WO2007015448A1 (ja) |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 |
KR101233370B1 (ko) |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스테레오컴플렉스 수지 조성물 | |
KR101067141B1 (ko) | 친환경 수지 조성물 | |
JP5272283B2 (ja) |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 |
KR20090073847A (ko) | 클레이 강화 폴리아미드-폴리유산 복합 수지 조성물 | |
KR100949377B1 (ko) |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 |
KR100616723B1 (ko) | 재생 폴리아미드 나노복합체 조성물 | |
JP2011246558A (ja) | ポリ乳酸樹脂組成物、成形品、携帯電話機用卓上ホルダー、携帯電話機の内部シャーシ部品、電子機器用筐体及び電子機器用内部部品 | |
JPH10298419A (ja) | 溶着性能に優れ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溶着した成形品 | |
KR20100000782A (ko) | 생분해성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 |
KR20110054400A (ko) |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
KR101233371B1 (ko) |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 |
EP2202272B1 (en) | Polyhydroxy alkano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made using the same | |
JP2008280527A (ja) | 軟質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 |
KR20110059357A (ko) | 폴리히드록시 알카노에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 |
JP2010184966A (ja) |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樹脂成形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