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294B1 -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절전모드 수행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절전모드 수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294B1
KR101233294B1 KR1020050110478A KR20050110478A KR101233294B1 KR 101233294 B1 KR101233294 B1 KR 101233294B1 KR 1020050110478 A KR1020050110478 A KR 1020050110478A KR 20050110478 A KR20050110478 A KR 20050110478A KR 101233294 B1 KR101233294 B1 KR 101233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aving
power
procedure
modul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2799A (ko
Inventor
황홍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0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294B1/ko
Publication of KR20070052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2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6Control thereof using a low-power mode, e.g. standb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절전모드 수행방법이 개시된다. 본 화상형성장치는 절전모드 진입조건에 부합되는 상황 및 절전모드 이탈조건에 부합되는 상황이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모드판단부, 모드판단부에서 절전모드 진입조건에 부합되는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절전대상 모듈, 모듈의 절전순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절전수행 절차 정보가 기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수행절차 판단부, 및 수행절차 판단부에서 저장부에 절전수행 절차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설정된 절전수행 절차 정보에 따라 전원을 제어하여 모듈별로 절전을 수행하는 동작제어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각 모듈별로 사용자가 절전대상 모듈을 선택하고, 절전대상 모듈의 절전 순서 및 모듈별 절전수행 시 간격을 사용자가 지정함으로써 대기모드로 복귀하는 시간 단축 및 사용자 편의를 제공한다.
화상형성장치, 절전모드, 파워세이브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절전모드 수행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the power-saving mode performing method}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의 일예로서 레이져 프린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블럭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 수행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화상형성장치 210 : 표시부
220 : 입력부 230 : 저장부
240 : 모듈구동부 250 : 전원공급부
260 : 제어부 261 : 모드 판단부
263 : 수행절차 판단부 265 : 동작제어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절전모드 수행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 하게는 각 모듈별로 사용자가 절전대상 모듈을 선택하고, 절전대상 모듈의 절전 순서를 사용자가 지정하여, 절전모드 수행시 순차적으로 선택된 모듈의 절전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절전모드 수행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자체적으로 생성한 인쇄데이터나 외부로부터 전송된 인쇄데이터를 인쇄용지에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써, 현상제를 이용하여 인쇄용지에 인쇄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및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한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 MFP) 등을 들 수 있다. 그러한 화상형성장치는 주로 사무실에서 문서를 인쇄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무기기로, 수신된 인쇄 데이터의 처리 및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용지로의 실질적인 인쇄작업을 담당하는 인쇄엔진과, 전력을 공급해 주는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한다.
도 1에는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일예로서 레이져 프린터의 개략적인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레이져 프린터는, 인쇄엔진(10)과, 제어장치(20)와, 전원공급장치(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인쇄엔진(10)은 레이져 광을 발생시키는 노광장치(11)와, 레이져 광을 조사받아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13)과, 감광드럼(13)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롤러(15)와, 감광드럼(13) 표면에 형성되는 토너 화상을 용지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롤러(17)와, 용지 상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용지에 고착시키기 위한 정착유닛(19)을 포함한다.
이러한 레이져 프린터는 실질적인 인쇄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인쇄명령이 있으면 바로 인쇄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온에서 그 기능을 발휘하는 정착유닛(19) 등과 같은 장치들에 일정량의 전력이 공급되는 대기모드를 갖는다.
이러한 이유로, 화상형성장치가 켜진 상태에서 장시간 사용하지 않으면 불필요한 전력낭비가 초래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화상형성장치는 일정시간 동안 인쇄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소비전력량을 줄이기 위해 대기모드에서 절전모드로 전환된다. 절전모드에서는 인쇄작업이 바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보다 작은 전력이 인쇄엔진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절전모드에서 대기모드로 다시 복귀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제어가 필요하기 때문에 대기모드로 복귀하기 위한 동작시간이 오래 걸린다. 또한, 절전모드 수행시 절전대상 모듈은 제품 출하시에 일률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상시 대기상태이길 원하는 모듈이 절전대상에 포함된 경우 절전모드 수행시 절전대상 모듈을 변경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각 모듈별로 사용빈도가 적은 모듈을 절전대상 모듈로 선택하고, 절전대상 모듈의 절전 순서를 사용자가 지정함으로써, 절전모드 수행시 순차적으로 선택된 모듈의 절전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절전모드 수행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절전모드 진입 조건에 부합되는 상황 및 상기 절전모드 이탈조건에 부합되는 상황이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모드판단부; 상기 모드판단부에서 상기 절전모드 진입조건에 부합되는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절전대상 모듈, 상기 모듈의 절전순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절전수행 절차 정보가 기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수행절차 판단부; 및 상기 수행절차 판단부에서 상기 저장부에 상기 절전수행 절차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설정된 상기 절전수행 절차 정보에 따라 상기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모듈별로 절전을 수행하는 동작제어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절전수행 절차 정보는 절전순서에 따른 모듈별 절전수행 시 간격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동작제어부는 모듈에 대한 전원/클럭 공급을 차단하거나 클럭을 낮추어 주어 모듈별로 순차적으로 절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절전모드 수행방법은, 소정시간 이상 동안 기능수행명령이 없으면 절전모드 진입조건에 부합하는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절전모드 상태에서 기능수행명령이 있으면 절전모드 이탈조건에 부합되는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절전모드 진입조건에 부합되는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절전대상 모듈, 모듈의 절전순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절전수행 절차 정보가 기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절전수행 절차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절전수행 절차 정보에 따라 전원을 제어하여 모듈별로 절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절전수행 절차 정보는 절전순서에 따른 모듈별 절전수행 시 간격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화상형성장치(200)는, 표시부(210), 입력부(220), 저장부(230), 모듈구동부(240), 전원공급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표시부(210)는 LCD 패널 등으로 구현되며, 화상형성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상황에 대한 정보, 시스템 정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표시한다.
입력부(220)는 화상형성장치(200)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에 대한 화상형성 지시, 및 절전모드 진입을 지시한다. 그리고, 입력부(220)의 키 버튼을 조작하여 사용자는 절전대상 모듈을 선택하고, 절전순서 및 모듈별 절전수행 시 간격을 설정한다.
저장부(230)는 화상형성장치(200)의 기능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각종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30)는 절전모드에서 절전을 위해 디폴트로 설정된 모듈,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절전수행 절차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절전수행 절차 정보는 입력부(230)에서 입력된 절전대상 모듈과 모듈의 절전순서 및 절전순서에 따른 모듈별 절전수행 시 간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모듈구동부(240)는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인쇄, 스캔, 팩스 등의 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모듈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모듈구동부(240)는 전원공급부(250)로부터 전원/클럭을 공급받아 인쇄, 스캔, 팩스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260)는 절전모드 진입 여부와 절전수행 절차가 저장부(230)에 존재하 는지 판단하며, 절전수행 절차에 따라 전원공급부(250)를 제어하여 각 모듈에 대해 절전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260)는 모드판단부(261), 수행절차 판단부(263), 및 동작제어부(265)를 포함한다.
모드판단부(261)는 대기모드 상태에서 절전모드 진입조건에 부합되는 상황 및 절전모드 이탈조건에 부합되는 상황이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이때, 입력부(220)에서 절전모드 진입이 지시되면 모드판단부(261)는 절전모드 진입조건에 부합되는 상황으로 판단한다. 또한, 대기모드에서 소정시간 이상 동안 인쇄 등의 기능수행명령이 없으면 절전모드로 진입가능하다. 그리고, 모드판단부(261)는 절전모드 상태에서 인쇄 등의 기능수행 명령이 있으면 절전모드 이탈조건에 부합되는 상황으로 판단한다.
수행절차 판단부(263)는 모드판단부(261)에서 절전모드 진입조건에 부합되는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절전수행 절차가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동작제어부(265)는 수행절차 판단부(263)로부터 저장부(230)에 절전수행 절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듈구동부(240) 및 전원공급부(2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수행 절차에 따라 각 모듈의 절전을 수행한다.
상세하게는, 절전수행 절차 정보에 절전대상 모듈과 절전순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동작제어부(265)는 모듈구동부(24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절전대상 모듈별로 전원/클럭 공급을 차단하거나 클럭을 낮추어 주도록 모듈구동부(240) 및 전원공급부(2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모듈별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순서 로 절전을 수행한다.
이때, 절전수행 절차 정보에 시 간격 정보가 더 포함된 경우, 지정된 시 간격을 두고 모듈별로 절전을 수행하고, 절전수행 절차 정보에 시 간격 정보가 미포함된 경우, 동일한 시 간격을 두고 모듈별로 절전을 수행한다.
그리고, 절전수행 절차 정보에 사용자가 지정한 절전순서가 미포함된 경우, 동작제어부(265)는 동시에 절전대상 모듈들에 전원/클럭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절전을 수행한다. 또한, 동작제어부(265)는 절전대상 모듈들 각각에 대해 동일한 시 간격으로 전원/클럭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모듈별로 순차적으로 절전수행이 가능하다.
한편, 동작제어부(265)는 수행절차 판단부(263)로부터 저장부(230)에 절전수행 절차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절전수행 절차 설정 여부를 표시부(210)에 표시한다. 이때, 절전수행 절차 설정에 대한 입력이 없으면, 동작제어부(265)는 저장부(230)를 참조하여, 디폴트로 설정된 절차에 따라 절전을 수행한다.
그리고, 입력부(220)로부터 절전수행 절차의 설정이 입력되면, 동작제어부(265)는 절전수행 절차를 저장부(230)에 저장하고, 모듈구동부(240) 및 전원공급부(2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설정된 절차에 따라 모듈에 대한 절전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 수행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인쇄가 바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모듈구동부(250)로 전원이 공급되는 대기모드 상태이다(S310).
이어, 모드판단부(261)는 절전모드 진입조건에 부합되는 상황이 발생했는지 판단한다(S320). 여기서, 모드판단부(261)는 입력부(220)에서 절전모드 진입이 지시되면 절전모드 진입조건에 부합되는 상황으로 판단한다. 또한, S310단계에서 소정시간 이상 동안 인쇄 등의 기능수행명령이 없으면 절전모드로 진입가능하다.
그리고, 모드판단부(261)에서 절전모드 진입조건에 부합되는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수행절차 판단부(263)는 기설정된 절전수행 절차 정보가 저장부(230)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330). 여기서, 절전수행 절차 정보는 입력부(220)에서 사용자가 키 버튼을 조작하여 입력된 절전대상 모듈과 모듈의 절전순서 및 절전순서에 따른 모듈별 절전수행 시 간격으로 저장부(230)에 저장된다.
이어, 기설정된 절전수행 절차 정보가 존재하면, 동작제어부(265)는 수행절차에 따라 모듈구동부(240) 및 전원공급부(24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각 모듈에 대해 절전을 수행한다(S340). 즉, 저장부(230)를 참조하여, 절전수행 절차에 따라 모듈구동부(240)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절전대상 모듈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상세하게는, 절전수행 절차 정보에 절전대상 모듈과 절전순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동작제어부(265)는 모듈구동부(24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절전대상 모듈별로 전원/클럭 공급을 차단하거나 클럭을 낮추어 주도록 모듈구동부(240) 및 전원공급부(2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모듈별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순서로 절전을 수행한다.
이때, S330단계에서 절전수행 절차 정보에 시 간격 정보가 더 포함된 경우, 지정된 시 간격을 두고 모듈별로 절전을 수행하고, 절전수행 절차 정보에 시 간격 정보가 미포함된 경우, 동일한 시 간격을 두고 모듈별로 절전을 수행한다.
그리고, S330단계에서 절전수행 절차 정보에 사용자가 지정한 절전순서가 미포함된 경우, 동작제어부(265)는 동시에 절전대상 모듈들에 전원/클럭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절전을 수행한다. 또한, 동작제어부(265)는 절전대상 모듈들 각각에 대해 동일한 시 간격으로 전원/클럭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모듈별로 순차적으로 절전수행이 가능하다.
한편, 수행절차 판단부(263)로부터 기설정된 절전수행 절차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동작제어부(265)는 절전수행 절차 설정 여부를 판단한다(S350). 여기서, 동작제어부(265)는 절전수행 절차 설정 여부를 표시부(210)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절전수행 절차 설정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입력부(220)로부터 입력된 절전수행 절차 설정에 대한 정보가 없으면, 동작제어부(265)는 디폴트로 설정된 절차에 따라 모듈에 대한 절전을 수행한다(S360).
그리고, 입력부(220)로부터 절전수행 절차의 설정이 입력되면, 동작제어부(265)는 절전수행 절차 정보를 저장부(230)에 저장하고, 모듈구동부(240) 및 전원공급부(2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설정된 절차에 따라 모듈에 대한 절전을 수행한다. 여기서, 절전수행 절차 정보에는 입력부(220)에서 사용자가 키 버튼을 조작하여 입력된 절전대상 모듈과 모듈의 절전순서 및 절전순서에 따른 모듈별 절전수행 시 간격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어, 절전모드 상태에서 절전모드 이탈조건에 부합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절전모드에서 이탈한다(S370). 즉, S340단계 및 S360단계에서 인쇄, 팩스 등의 기능수행 명령이 있으면, 절전모드에서 이탈하여 기능수행을 위해 대기모드로 전환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모듈별로 사용자가 절전대상 모듈을 선택하고, 절전대상 모듈의 절전 순서 및 모듈별 절전수행 시 간격을 사용자가 지정함으로써 대기모드로 복귀하는 시간을 단축한다. 또한, 사용자가 절전수행 절차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함으로서, 사용자의 이용빈도에 따라 효율적으로 모듈별 절전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절전모드 진입조건에 부합되는 상황 및 상기 절전모드 이탈조건에 부합되는 상황이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모드판단부;
    상기 모드판단부에서 상기 절전모드 진입조건에 부합되는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복수의 절전대상 모듈, 상기 복수의 절전대상 모듈의 절전순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절전수행 절차 정보가 기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수행절차 판단부; 및
    상기 수행절차 판단부에서의 판단 결과, 저장부에 상기 절전수행 절차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설정된 상기 절전수행 절차 정보에 따라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절전대상 모듈을 순차적으로 절전시키는 동작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전수행 절차 정보는 상기 절전순서에 따른 상기 모듈별 절전수행 시 간격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절전모드 진입조건에 부합되는 상황 및 상기 절전모드 이탈조건에 부합되는 상황이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모드판단부;
    상기 모드판단부에서 상기 절전모드 진입조건에 부합되는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복수의 절전대상 모듈, 상기 복수의 절전대상 모듈의 절전순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절전수행 절차 정보가 기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수행절차 판단부; 및
    상기 수행절차 판단부에서의 판단 결과, 저장부에 상기 절전수행 절차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설정된 상기 절전수행 절차 정보에 따라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절전대상 모듈을 순차적으로 절전시키는 동작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제어부는,
    상기 모듈에 대한 전원/클럭 공급을 차단하거나 클럭을 낮추어 주어 상기 모듈별로 순차적으로 절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삭제
  5. 소정시간 이상 동안 기능수행명령이 없으면 절전모드 진입조건에 부합하는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절전모드 상태에서 상기 기능수행명령이 있으면 상기 절전모드 이탈조건에 부합되는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절전모드 진입조건에 부합되는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복수의 절전대상 모듈, 상기 복수의 절전대상 모듈의 절전순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절전수행 절차 정보가 기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절전수행 절차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절전수행 절차 정보에 따라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절전대상 모듈을 순차적으로 절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절전수행 절차 정보는 상기 절전순서에 따른 상기 모듈별 절전수행 시 간격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모드 수행방법.
KR1020050110478A 2005-11-18 2005-11-18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절전모드 수행방법 KR101233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478A KR101233294B1 (ko) 2005-11-18 2005-11-18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절전모드 수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478A KR101233294B1 (ko) 2005-11-18 2005-11-18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절전모드 수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799A KR20070052799A (ko) 2007-05-23
KR101233294B1 true KR101233294B1 (ko) 2013-02-15

Family

ID=38275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478A KR101233294B1 (ko) 2005-11-18 2005-11-18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절전모드 수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2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4876A (ja) * 1995-02-23 1996-09-13 Fujitsu Ltd 電子装置
JP2002052784A (ja) * 2000-08-04 2002-02-1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4876A (ja) * 1995-02-23 1996-09-13 Fujitsu Ltd 電子装置
JP2002052784A (ja) * 2000-08-04 2002-02-1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799A (ko) 200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0069B1 (en) Power supply controlling method and printer adopting the power supply controlling method
JP4866870B2 (ja) 画像処理装置
US835180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determining section that makes a determination when the apparatus transitions to a power saving mode of whether an image can be formed
US8537378B2 (en) Image forming device, image forming method, printer driver program, and image forming system
KR101236392B1 (ko)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호스트장치 및 그 절전모드제어방법
JP2008065470A (ja) 画像記録装置用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JP201002327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156624A (ja) 複合機、複合機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US7190472B2 (en) Image output apparatus capable of switching states, and image output method, storage medium and program therefore
JP2006350715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5742274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制御方法、画像形成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233294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절전모드 수행방법
JP5136032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186089A (ja) 情報処理装置
KR20190136533A (ko)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 제어 방법
JP2006268117A (ja) プリントシステム
JP200602366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71412A (ja)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072626A (ja) プリントシステム
JP2009259138A (ja) 印刷制御装置、印刷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5029065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2006248054A (ja) 画像形成装置
US2023032497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6582430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2023030561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