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722B1 -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용 기준점센서 세팅장치 - Google Patents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용 기준점센서 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722B1
KR101230722B1 KR1020100112187A KR20100112187A KR101230722B1 KR 101230722 B1 KR101230722 B1 KR 101230722B1 KR 1020100112187 A KR1020100112187 A KR 1020100112187A KR 20100112187 A KR20100112187 A KR 20100112187A KR 101230722 B1 KR101230722 B1 KR 101230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point
sensor
point sensor
amateu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0767A (ko
Inventor
신동익
정택명
Original Assignee
정택명
신동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택명, 신동익 filed Critical 정택명
Priority to KR1020100112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722B1/ko
Publication of KR20120050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 G01R31/346Testing of armature or field wind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01H1/00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of rotating mach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01H11/02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magnetic means, e.g. reluc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14Determining unbalance
    • G01M1/16Determining unbalance by oscillating or rotating the body to be tested
    • G01M1/22Determining unbalance by oscillating or rotating the body to be tested and converting vibrations due to unbalance into electric variables

Abstract

본 발명은 아마츄어의 하면에서 회전 기준점을 센싱하는 기준점센서의 설치 위치를 손쉽게 세팅할 수 있도록 하는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용 기준점센서 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용 지준점센서 세팅장치는, 아마츄어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돌출되는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회전지지부의 사이 하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전방측 상부에는 기준점센서가 설치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기준점센서의 하부측으로 상기 돌출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기준점센서의 설치 높이를 세팅하는 센서세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용 기준점센서 세팅장치{CONTROL POINT SENSOR SETTING APPARATUS FOR ARMATURE BALANCE TE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용 기준점센서 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마츄어의 하면에서 회전 기준점을 센싱하는 기준점센서의 설치 위치를 손쉽게 세팅할 수 있도록 하는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용 기준점센서 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마츄어(Armature)는 모터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하는 부분인 회전자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마츄어(1)는 회전축(2) 상에 적층된 다수의 코어(3)와 회전축(2)의 일측에 형성된 정류자(4) 및 상기 코어(3)에 권취되어 정류자(4)에 그 단부가 접합된 코일(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아마츄어(1)는 회전축(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 부품이므로, 그 회전축(2)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모두 동일한 질량을 가져야만 회전축(2)의 중심이 흔들리지 않고 회전할 수 있게 되지만, 그러나 아마츄어(1)의 제작 및 가공 시에 발생하는 오차나 배열의 불균형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회전축(2)을 중심으로 회전 시에 편하중으로 인한 무게 불균형, 즉 언밸런스 부분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아마츄어(1)의 무게 밸런스는 아마츄어(1)가 사용되는 모터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아마츄어(1)의 무게 분포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 모터의 진동 및 소음과 불규칙적인 회전의 원인이 됨과 동시에 고속회전을 방해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이 아마츄어에 언밸런스 부분이 발생되면 회전자가 진동하게 되므로, 언밸런스 부분의 언밸런스량을 보상 즉, 외주면의 다른 부분보다 무게가 가벼울 경우에는 가벼운 무게만큼 그 부분의 무게를 증가시켜야 하고, 외주면의 다른 부분보다 무게가 무거운 경우에는 무거운 무게만큼 그 부분의 무게를 감소시켜야 하는데, 이와 같은 아마츄어의 언밸런스 부분과 언밸런스량을 검사하는 장치를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라 한다.
따라서,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에 의한 밸런스 검사 및 보정 공정이 아마츄어의 전체 제조공정에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런 밸런스 검사장치는 서보모터나 스테핑모터와 같은 구동모터의 풀리에 아마츄어를 벨트로 연결하고, 아마츄어 주변으로 언밸런스 부분과 언밸런스량을 측정하는 밸런스 측정부를 위치시켜, 진동측정센서와 기준점센서를 통하여 발생되는 진동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구동모터로 펄스(Pulse)를 출력하여 아마츄어를 기 설정된 소정 회전수로 회전시키면서 연산회로 및 프로그램을 통하여 언밸런스 부분과 그 양을 검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의 일예를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하여 그 구성과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 장치는 크게 회전구동부(10), 측정부(20), 및 회전지지부(30)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구동부(10)는 구동모터(12)의 회전력을 아마츄어(1)의 코어(3) 외주면으로 전달하는 벨트(16) 및 상기 벨트(16)가 권취되는 다수의 롤러(14)로 구성되고, 측정부(20)는 아마츄어(1)의 회전축(2) 양측단을 받쳐주는 한 쌍의 회전지지부(30)와 상기 각 회전지지부(30)가 설치된 진동블록(22)으로 부터 아마츄어(1)의 진동을 전달받는 무빙코일센서 등으로 이루어지는 진동측정센서(25)와, 상기 아마츄어(1)의 하면에 중앙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회전 기준점을 센싱하는 근접센서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준점센서(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지지부(30)는 진동블록(22) 상에 설치되는 브래킷(31)과 상기 브래킷(31)에 체결되는 브이블록(35) 및 아마츄어 지지구(40)로 구성되며, 브이블록(35)은 아마츄어(1)의 회전축(2)이 안착되는 양측면에 삽입홈(36)을 형성하여 원기둥형 사파이어(37)를 삽입한 후 볼트(38)를 체결함으로써 고속으로 회전하는 아마츄어의 회전축(2) 및 그와 접하는 브이블록(35)의 훼손 방지와 마모 및 마찰저항을 최소화하고, 아마츄어 지지구(40)는 브래킷(31)의 일측에 체결된 가이드(42)와 상기 가이드(42)에 의하여 안내되고 고정수단이 구비된 슬라이더(45) 및 슬라이더(45)에 체결된 지지봉(47)으로 구성되어 상기 브이블록(35)에 안착되는 아마츄어가 좌ㆍ우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아마츄어(1)의 회전축(2) 양측단을 지지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 장치를 통해, 직경이 다른 아마츄어를 세팅할 때 아마츄어의 하면에서 회전 기준점을 센싱하는 기준점센서의 위치를 아마츄어의 외주면에 1 내지 2 mm 이내로 근접도록 정밀하게 이동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 직경이 다른 아마츄어의 검사를 위한 검사장치의 세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기준점센서의 설치 위치를 손쉽게 세팅할 수 있도록 하는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용 기준점센서 세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마츄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모형을 양 회전 지지부에 장착하는 과정을 통해 기준점센서를 세팅한 다음, 모형을 분리하고 아마츄어을 장착함으로써, 기준점센서의 설치 위치를 손쉽게 세팅할 수 있도록 하는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용 기준점센서 세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마츄어을 양 회전 지지부에 장착한 후, 기준점 센서가 구비된 회전 원형봉을 회전시키는 과정만을 통해 기준점센서의 설치 위치를 손쉽게 세팅할 수 있도록 하는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용 기준점센서 세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용 지준점센서 세팅장치"는 아마츄어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돌출되는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회전지지부의 사이 하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전방측 상부에는 기준점센서가 설치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기준점센서의 하부측으로 상기 돌출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기준점센서의 설치 높이를 세팅하는 센서세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세팅부는, 상기 돌출부재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기준점센서가 설치되는 센서설치부와, 상기 센서설치부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한 쌍의 수직이동봉과, 상기 수직이동봉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재에 형성되는 수직이동공과, 상기 수직이동공에 관통되게 상기 돌출부재의 전면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나선공과, 상기 수평나선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직이동봉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센서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설치부는, 상기 한 쌍의 수직이동부가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기준점센서가 상면에 설치되는 센서설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설치부는, 상기 한 쌍의 수직이동봉이 하면의 전,후방에 장착되는 하판과 하판의 상부 양측에 관통홀이 형성된 측판으로 구성된 승강브라켓과, 상기 양 측판의 관통홀에 중심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 구비되고 전방에 함몰면이 형성되어 그 중앙에 상기 기준점센서가 설치되는 회전 원형봉과, 상기 일측의 중심 회전축을 90도 회전 고정시켜 기준점센서를 상부로 회전시키는 회전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원형봉의 중심에서 상기 기준점센서의 센싱면 까지의 길이는 회전 원형봉의 중심에서 외주면까지의 반지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 조작부는, 상기 일측의 중심 회전축에 직각으로 연결된 회전 레버축과; 상기 승강브라켓을 구성하는 일 측판의 외측에 상기 회전 레버축을 90도만 회전되게 단속하는 후방 돌출부 및 하부 돌출부와; 상기 후방 돌출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브라켓의 일 측판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장착되며 내부에 스프링이 장착된 스프링 홀더와, 이 스프링 홀더의 내부 외측에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어 상기 회전 레버축이 수평 상태를 유지할 경우 하부를 받혀주는 단속구로 구성된 후방 걸림부와; 상기 하부 돌출부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브라켓의 일 측판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장착되며 내부에 스프링이 장착된 스프링 홀더와, 이 스프링 홀더의 내부 외측에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어 상기 회전 레버축이 수직 상태를 유지할 경우 후방을 받혀주는 단속구로 구성된 하부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세팅부는, 상기 나선공의 상단 둘레로 상기 돌출부재에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수직이동봉의 둘레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센서설치부재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수직이동봉의 하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돌출부재에 형성되는 걸림통공과, 상기 걸림통공에 걸리도록 상기 수직이동봉의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기준점센서의 설치 위치를 손쉽게 세팅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 및 작동 상의 편리성이 현저히 증진되고 세팅시간이 현저히 줄어드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아마츄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모형을 양 회전 지지부에 장착하여 기준점센서를 세팅한 다음, 아마츄어를 장착하는 과정만으로 기준점센서의 설치 위치를 손쉽게 세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좀 더 빠른 시간에 기준점센서의 세팅을 완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마츄어을 양 회전지지부에 장착한 후, 기준점 센서가 구비된 회전 원형봉을 회전시키는 과정만을 통해 기준점센서의 설치 위치를 손쉽게 세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형이 없이도 기준점센서를 신속히 세팅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기준점센서 세팅장치가 구비된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1c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기준점센서 세팅장치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기준점센서 세팅장치를 통해 아마츄어의 세팅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도 1c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준점 센서를 세팅하는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기준점센서 세팅장치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기준점센서 세팅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기준점센서 세팅장치를 통해 아마츄어의 세팅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아마츄어를 올려놓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고,
도 7b는 아마츄어를 세팅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며,
도 7c는 도 7b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8은 아마츄어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종래의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0은 종래의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11은 종래의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의 요부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기준점센서 세팅장치가 구비된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1c는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기준점센서 세팅장치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기준점센서 세팅장치를 통해 아마츄어의 세팅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도 1c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준점 센서를 세팅하는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기준점센서 세팅장치는,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에 장착된 기준점센서(802)의 설치 높이를 손쉽게 세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기준점센서 세팅장치가 장착되는 아마츄어 밸런스 측정장치는, 본체(300)와, 상기 본체(300)에 설치되는 회전구동부(400)와, 상기 본체(300)의 상면에 구비되는 설치판(500)과, 상기 본체(300)와 설치판(500)의 사이에 설치되는 진동흡수부(600)와, 상기 설치판(500)의 상면에 구비되는 회전지지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구동부(400)는 상기 본체(300)의 상면 중앙부에 돌출되게 장착되는 돌출부재(401)와, 상기 돌출부재(401)의 상부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벨트(402)와, 상기 돌출부재(401)의 후방측에 장착되고 상기 벨트(402)를 아마츄어의 상부측에 가압되게 밀착된 상태로 회전시키는 벨트작동부(403)와, 상기 벨트작동부(403)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04)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지지부(700)는 상기 설치판(500)의 상면 양측에 한 쌍이 이격된 상태로 서로 대응되게 장착되는 것으로, 아마츄어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돌출되는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회전지지부(700)는, 상기 설치판(500)의 상면에 장착되고 후방측에 중앙에 설치홈(701a)이 형성되는 고정블록(701)과, 상기 설치홈(701a)의 내측에 구비되는 진동블록(702)과, 상기 고정블록(701)과 진동블록(702)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연결부(703)와, 상기 진동블록(702)의 상단에 장착되고 아마츄어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브이블록(704)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아마츄어 밸런스 측정장치는, 상기 양 회전지지부(700)의 사이인 아마츄어의 하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돌출부재(401)의 전방측 상부에 설치되어 아마츄어의 회전기준점을 감지하는 기준점센서(802)와 상기 각각의 고정블록(701)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각각의 진동블록(702)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측정센서(801)로 구성된 측정부(80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기준점센서 세팅장치는,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점센서(802)의 설치 높이를 손쉽게 세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술한 일예의 아마츄어 밸런스 측정장치에만 국한되게 장착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예의 아마츄어 밸런스 측정장치에도 호환되게 장착이 가능한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같은 역할을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기준점센서 세팅장치는, 아마츄어(A)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돌출되는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회전(700)지지부()의 사이 하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전방측 상부에는 기준점센서(802)가 설치되는 돌출부재(401)와, 상기 기준점센서(802)의 하부측으로 상기 돌출부재(401)에 설치되고 상기 기준점센서(802)의 설치 높이를 세팅하는 센서세팅부(1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준점센서(802)는 근접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아마츄어의 회전 기준점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센서세팅부(100)는, 상기 기준점센서(802)의 설치 높이를 세팅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센서세팅부(100)는, 상기 돌출부재(401)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기준점센서(802)가 상면에 설치되는 센서설치부(101)와, 상기 센서설치부(101)의 하면 양측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한 쌍의 수직이동봉(201)과, 상기 수직이동봉(201)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재(401)에 형성되는 수직이동공(202)과, 상기 수직이동공(202)에 관통되게 상기 돌출부재(401)의 전면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나선공(203)과, 상기 수평나선공(203)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직이동봉(201)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센서고정나사(204)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설치부(101)는 그 상면에 기준점센서(802)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수직이동부(201)가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기준점센서(802)가 상면에 설치되는 센서설치부재(102)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이동봉(201)은 상기 센서설치부재(102)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수직이동공(202)은 상기 수직이동봉(201)이 상기 돌출부재(401)를 통해 상하로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나선공(203)은 상기 센서고정나사(204)가 나사결합되어 그 끝단이 상기 수직이동봉(201)에 맞닿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센서고정나사(204)는 수평나선공(203)을 통해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수직이동봉(201)의 일면을 수평으로 가압하여 상기 수직이동봉(201)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센서세팅부(100)는 상기 나선공의 상단 둘레로 상기 돌출부재(401)에 형성되는 삽입홈(205)과, 상기 수직이동봉(201)의 둘레로 상기 삽입홈(205)에 삽입되어 상기 센서설치부재(102)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스프링(206)과, 상기 수직이동봉(201)의 하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돌출부재(401)에 형성되는 걸림통공(207)과, 상기 걸림통공(207)에 걸리도록 상기 수직이동봉(201)의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턱(208)을 더 포함한다.
상기 삽입홈(205)은 탄성스프링(206)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탄성스프링(206)은 상기 센서설치부재(102)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모형(M)의 외주면에 기준점센서(802)의 상면이 밀착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걸림통공(207)은 상기 수직이동봉(201)의 하단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걸림턱(208)이 걸리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턱(208)은 상기 수직이동봉(201)의 하단이 상기 걸림통공(207)에 걸리어 상기 수직이동공(20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기준점세서 세팅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에 센서설치부재(102)가 탄성스프링(206)에 의해 돌출부재(401)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마츄어의 직경보다 2 mm정도 더 큰 직경을 갖는 모형(M)을 상기 기준점센서(802)의 상면에 올려놓고 하부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모형(M)의 회전축이 상기 양측의 회전지지부(700)에 위치되게 한다. 이렇게 모형(M)의 회전축이 상기 브이블록(704)의 상면에 위치된 상태가 되면 상기 센서설치부재(102)와 수직이동봉(201)이 하부측으로 이동되면서 탄성스프링(206)이 가압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센서고정나사(204)를 수평나선공(203)에 나사결합하여 상기 수직이동봉(201)을 고정하게 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고정나사(204)에 의해 수직이동봉(201)이 고정된 상태에서 모형(M)을 브이블록(704)에서 제거하고 진동을 측정하고자 하는 실제 아마츄어를 브이블록(704)에 배치시킨다. 이때, 실제 아마츄어(A)는 모형(M)보다 2 mm 정도 작은 직경을 가짐으로, 상기 기준점센서(802)의 상면에 1 mm정도 이격된 상태로 아마츄어(A)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간편하게 아마츄어(A)의 하부에 이격되게 기준점센서(802)를 세팅한 상태로 벨트작동부(403)의 구동을 통해 벨트(402)를 아마츄어의 상부측에 가압되게 밀착된 상태로 회전시키면, 상기 브이블록(704)에 지지된 아마츄어가 회전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아마츄어(A)가 안정적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기준점센서(802)는 아마츄어(A)의 회전 기준점을 감지하게 되고, 진동측정센서(801)는 이 회전 기준점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아마츄어(A)의 진동을 측정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기준점센서 세팅장치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기준점센서 세팅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기준점센서 세팅장치를 통해 아마츄어의 세팅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아마츄어를 올려놓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고, 도 7b는 아마츄어를 세팅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며, 도 7c는 도 7b의 C-C선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기준점센서 세팅장치는, 센서설치부(101)를 제외하고 타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함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기준점센서 세팅장치를 구성하는 센서설치부(101)는, 상기 한 쌍의 수직이동봉(201)이 하면의 양측에 장착되는 하판(103a)과 하판(103a)의 상부 양측에 관통홀(103c)이 형성된 측판(103b)으로 구성된 승강브라켓(103)과, 상기 양 측판(103b)의 관통홀(103c)에 중심 회전축(104a)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 구비되고 전방에 함몰면(104b)이 형성되어 그 중앙에 상기 기준점센서(802)가 설치되는 회전 원형봉(104)과, 상기 일측의 중심 회전축(104a)을 90도로 회전 고정시켜 기준점센서(802)를 상부로 회전시키는 회전 조작부(105)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원형봉(104)의 중심에서 상기 기준점센서(802)의 센싱면까지의 길이(L)는 회전 원형봉(104)의 중심에서 외주면까지의 반지름(R)보다 작게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회전 원형봉(104)의 중심에서 상기 기준점센서(802)의 전면까지의 길이(L)는 회전 원형봉(104)의 중심에서 외주면까지의 반지름(R)보다 1mm 정도로 작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기준점센서(802)와 아마츄어(A)의 근접 거리를 1mm 정도로 유지되게 하는데, 그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 조작부(105)는, 실제 아마츄어(A)를 상기 기준점센서(802)의 상면에 올려놓고 하부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아마츄어(A)의 회전축이 상기 양측의 회전지지부(700)에 위치되게 한 후, 센서고정나사(204)를 수평나선공(203)에 나사결합하여 승강브라켓(103)의 하부에 구비된 수직이동봉(201)을 고정한 다음, 상기 회전 원형봉(104)을 90도 회전시켜 기준점센서(802)가 아마츄어와 1mm 정도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회전 조작부(105)는, 상기 일측의 중심 회전축(104a)에 직각으로 연결된 회전 레버축(105a)과, 상기 승강브라켓(103)을 구성하는 일 측판(103b)의 외측에 상기 회전 레버축(105a)을 90도만 회전되게 단속하는 후방 돌출부(105b) 및 하부 돌출부(105c)와, 상기 후방 돌출부(105b)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평 상태를 유지할 경우 하부를 받혀주어 회전 레버축(105a)의 회전을 방지하는 후방 걸림부(105d)와, 상기 하부 돌출부(105c)의 후방에 구비되어 회전 레버축(105a)이 수직 상태를 유지할 경우 후방을 받혀주어 회전 레버축(105a)의 회전을 방지하는 하부 걸림부(105h)를 포함한다.
상기 후방 걸림부(105d)는, 상기 회전 레버축(105a)이 회전되는 과정에서는 회전 레버축(105a)의 회전 누름에 의해 걸림을 해제하였다가 회전 레버축(105a)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 회전 레버축(105a)을 하부를 받혀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후방 돌출부(105b)의 하부에 구비되며, 일 측판(103b)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장착되며 내부에 스프링(105f)이 장착된 스프링 홀더(105e)와, 이 스프링 홀더(105e)의 내부 외측에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어 상기 회전 레버축(105a)이 수평 상태를 유지할 경우 하부를 받혀주는 단속구(105g)를 포함한다. 즉 상기 단속구(105g)는 상기 스프링(105f)에 의해 일,타측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홀더(105e)는 나사체결 또는 억지끼워맞춤으로 상기 측판(103b)에 관통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 걸림부(105h)는, 상기 회전 레버축(105a)이 회전되는 과정에서는 회전 레버축(105a)의 회전 누름에 의해 걸림을 해제하였다가 회전 레버축(105a)이 수직 상태를 유지하면 회전 레버축(105a)을 하부를 받혀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 돌출부(105c)의 후방에 구비되며, 일 측판(103b)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장착되며 내부에 스프링(105j)이 장착된 스프링 홀더(105i)와, 이 스프링 홀더(105i)의 내부 외측에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어 상기 회전 레버축(105a)이 수평 상태를 유지할 경우 하부를 받혀주는 단속구(105k)를 포함한다. 즉 상기 단속구(105k)는 상기 스프링(105f)에 의해 일,타측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홀더(105i)는 나사체결 또는 억지끼워맞춤으로 상기 측판(103b)에 관통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기준점세서 세팅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에 승강브라켓(103)과 회전 원형봉(104)이 탄성스프링(206)에 의해 돌출부재(401)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가 되며, 승강 브라켓(103)의 일측에 구비된 회전 레버축(105a)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에 따라 회전 원형봉(104)의 원형의 외주면이 상부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마츄어(A)를 상기 기준점센서(802)의 상면에 올려놓고 하부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아마츄어(A)의 회전축이 상기 양측의 회전지지부(700)에 위치되게 한다. 이렇게 아마츄어 회전축이 상기 브이블록(704)의 상면에 위치된 상태가 되면 상기 회전 원형봉(104)과 승강브라켓(103) 및 수직이동봉(201)이 하부측으로 이동되면서 탄성스프링(206)이 가압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센서고정나사(204)를 수평나선공(203)에 나사결합하여 상기 수직이동봉(201)을 고정하게 된다.
다음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브라켓(103)의 일측에 구비된 회전 레버축(105a)을 수직의 상태로 회전시켜 회전 레버축(105a)을 수직 상태로 고정시키게 되면, 회전 원형봉(104)의 전방 함몰면(104b)에 설치된 기준점센서(802)가 상부로 회전되어 아마츄어의 하부에 1mm 정도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아마츄어(A)를 장착한 후, 기준점 센서가 구비된 회전 원형봉(104)을 회전시키는 과정만을 통해 기준점센서(802)의 설치 위치를 손쉽게 세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모형이 없이도 기준점센서를 세팅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 센서세팅부
101 : 센서설치부
102 : 센서설치부재
103 : 승강브라켓
103a : 하판 103b : 측판
103c : 관통홀
104 : 회전 원형봉
104a : 중심 회전축 104b : 함몰면
105 : 회전 조작부
105a : 회전 레버축
105b : 후방 돌출부
105c : 하부 돌출부
105d : 후방 걸림부 105e : 스프링 홀더
105f : 스프링 105g : 단속구
105h : 하부 걸림부 105i : 스프링 홀더
105j : 스프링 105k : 단속구
201 : 수직이동봉 202 : 수직이동공
203 : 수평나선공 204 : 센서고정나사
205 : 삽입홈 206 : 탄성스프링
207 : 걸림통공 208 : 걸림턱
300 : 본체
400 : 회전구동부
401 : 돌출부재 402 : 벨트
403 : 벨트작동부
404 : 구동모터
500 : 설치판
600 : 진동흡수부
700 : 회전지지부
701 : 고정블록 701a : 설치홈
702 : 진동블록
703 : 탄성연결부
704 : 브이블록
800 : 측정부
801 : 진동측정센서 802 : 기준점센서

Claims (6)

  1. 아마츄어(A)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돌출되는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회전지지부(700)의 사이 하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전방측 상부에는 기준점센서(802)가 설치되는 돌출부재(401)와;
    상기 기준점센서(802)의 하부측으로 상기 돌출부재(401)에 설치되고, 상기 기준점센서(802)의 설치 높이를 세팅하는 센서세팅부(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용 기준점센서 세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세팅부(100)는,
    상기 돌출부재(401)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기준점센서(802)가 설치되는 센서설치부(101)와,
    상기 센서설치부(101)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한 쌍의 수직이동봉(201)과,
    상기 수직이동봉(201)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재(401)에 형성되는 수직이동공(202)과,
    상기 수직이동공(202)에 관통되게 상기 돌출부재(401)의 전면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나선공(203)과,
    상기 수평나선공(203)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직이동봉(201)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센서고정나사(2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용 기준점센서 세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설치부(101)는,
    상기 한 쌍의 수직이동부(201)가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기준점센서(802)가 상면에 설치되는 센서설치부재(1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용 기준점센서 세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설치부(101)는, 상기 한 쌍의 수직이동봉(201)이 하면의 전,후방에 장착되는 하판(103a)과 하판(103a)의 상부 양측에 관통홀(103c)이 형성된 측판(103b)으로 구성된 승강브라켓(103)과, 상기 양 측판의 관통홀(103c)에 중심 회전축(104a)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 구비되고 전방에 함몰면(104b)이 형성되어 그 중앙에 상기 기준점센서(802)가 설치되는 회전 원형봉(104)과, 상기 일측의 중심 회전축(104a)을 90도 회전 고정시켜 기준점센서(802)를 상부로 회전시키는 회전 조작부(105)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원형봉(104)의 중심에서 상기 기준점센서(802)의 센싱면 까지의 길이(L)는 회전 원형봉(104)의 중심에서 외주면까지의 반지름(R)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용 기준점센서 세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조작부(105)는,
    상기 일측의 중심 회전축(104a)에 직각으로 연결된 회전 레버축(105a)과;
    상기 승강브라켓(103)을 구성하는 일 측판(103b)의 외측에 상기 회전 레버축(105a)을 90도만 회전되게 단속하는 후방 돌출부(105b) 및 하부 돌출부(105c)와;
    상기 후방 돌출부(105b)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브라켓(103)의 일 측판(103b)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장착되며 내부에 스프링(105f)이 장착된 스프링 홀더(105e)와, 이 스프링 홀더(105e)의 내부 외측에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어 상기 회전 레버축(105a)이 수평 상태를 유지할 경우 하부를 받혀주는 단속구(105g)로 구성된 후방 걸림부(105d)와;
    상기 하부 돌출부(105c)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브라켓(103)의 일 측판(103b)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장착되며 내부에 스프링(105j)이 장착된 스프링 홀더(105i)와, 이 스프링 홀더(105i)의 내부 외측에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어 상기 회전 레버축(105a)이 수직 상태를 유지할 경우 후방을 받혀주는 단속구(105k)로 구성된 하부 걸림부(105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용 기준점센서 세팅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세팅부(100)는,
    상기 나선공의 상단 둘레로 상기 돌출부재(401)에 형성되는 삽입홈(205)과,
    상기 수직이동봉(201)의 둘레로 상기 삽입홈(205)에 삽입되어 상기 센서설치부재(102)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스프링(206)과,
    상기 수직이동봉(201)의 하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돌출부재(401)에 형성되는 걸림통공(207)과,
    상기 걸림통공(207)에 걸리도록 상기 수직이동봉(201)의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턱(20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용 기준점센서 세팅장치.
KR1020100112187A 2010-11-11 2010-11-11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용 기준점센서 세팅장치 KR101230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187A KR101230722B1 (ko) 2010-11-11 2010-11-11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용 기준점센서 세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187A KR101230722B1 (ko) 2010-11-11 2010-11-11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용 기준점센서 세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767A KR20120050767A (ko) 2012-05-21
KR101230722B1 true KR101230722B1 (ko) 2013-02-07

Family

ID=46268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187A KR101230722B1 (ko) 2010-11-11 2010-11-11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용 기준점센서 세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7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0273A (ja) * 2002-06-13 2004-01-22 Nagahama Seisakusho:Kk 動釣合い試験機
JP2005181093A (ja) * 2003-12-19 2005-07-07 Shonan Shimadzu Kk 動釣合試験機
KR20080037604A (ko) * 2005-08-26 2008-04-30 티센크룹 에그엠 게엠베하 균형 장치가 제공되며 로터를 포함하는 샘플 상에 진동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0273A (ja) * 2002-06-13 2004-01-22 Nagahama Seisakusho:Kk 動釣合い試験機
JP2005181093A (ja) * 2003-12-19 2005-07-07 Shonan Shimadzu Kk 動釣合試験機
KR20080037604A (ko) * 2005-08-26 2008-04-30 티센크룹 에그엠 게엠베하 균형 장치가 제공되며 로터를 포함하는 샘플 상에 진동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767A (ko) 201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2978B1 (ko)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
JP5393475B2 (ja) ロープ検査装置
JP3867594B2 (ja) 制振装置の性能評価装置および性能評価方法
JP2654467B2 (ja) ふるい分け機
CN115342973B (zh) 一种动平衡测试实验系统
KR100732009B1 (ko) 진원도 측정장치
KR101230722B1 (ko) 아마츄어 밸런스 검사장치용 기준점센서 세팅장치
JP2007263975A (ja) 落下試験装置及び落下試験方法
JP5301354B2 (ja) 姿勢制御装置
US47917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y of cassette pulley
JPH0815073A (ja) 動釣合試験機およびその測定方法
CN115183941B (zh) 转子动态平衡重心测定装置
JP2008089467A (ja) タイヤ試験機の精度検査方法
CN114778052A (zh) 抗震性检测装置
CN210375055U (zh) 曳引机自动检测装置
WO2018100641A1 (ja) 動釣合い試験機
CN208635966U (zh) 叶轮静平衡调试机的调试机构
JP2013032209A (ja) ナット定量供給装置
US5058429A (en) Apparatus for measuring an unbalance of a rotary member
KR101306016B1 (ko) 질량 특성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CN112525462A (zh) 跌落试验机
CN110595412A (zh) 曳引机自动检测装置
JP2694597B2 (ja) 不釣合修正機構付遠心分離機
JP2008217581A (ja) 円板状体の繰出し装置
JP3668712B2 (ja) 測定並びに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