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459B1 -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 - Google Patents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0459B1 KR101230459B1 KR1020120076057A KR20120076057A KR101230459B1 KR 101230459 B1 KR101230459 B1 KR 101230459B1 KR 1020120076057 A KR1020120076057 A KR 1020120076057A KR 20120076057 A KR20120076057 A KR 20120076057A KR 101230459 B1 KR101230459 B1 KR 1012304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ipe
- support
- horizontal direction
- support body
- pedest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0—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alig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몸체(110)와; 상기 지지몸체(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도복장 강관(20)이 안착되는 받침대(120)와; 상기 도복장 강관(20)의 외경을 감싸면서 상기 받침대(120)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밴드(130)로 이루어지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110)의 하부는 교각(1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몸체(15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기후변화로 팽창 및 축소하는 도복장 강관에 따라서 받침부재가 자연스럽게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도복장 강관의 손상 및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충격이 발생할 경우 완충기능을 수행하여 도복장 강관의 균열 및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도복장 강관의 표면에 도포된 페인트가 벗겨지거나 손상되어 부식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후변화 및 외부충격 등이 발생할 경우 도복장 강관을 자연스럽게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변형 및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는 농업용수를 지정된 장소로 공급하기 위한 도복장 강관의 하부를 지지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본 발명자가 안출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92298호(2005.06.03) 및 제10-0954719호(2010.04.27)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교각에 견고하게 고정된 받침부재가 도복장 강관을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여름철 또는 겨울철과 같이 온도의 차이로 인해서 도복장 강관이 팽창 및 축소될 경우 받침부재가 교각에서 쉽게 뽑히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특히 도복장 강관이 기후변화로 팽창 및 축소하면서 받침부재와 마찰이 발생하여 도복장 강관의 표면에 도포된 페인트가 벗겨지거나 손상되어 부식으로 인한 내구성 및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또한, 도복장 강관을 교환 및 유지보수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길이와 위치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 조립이 불가능하여 시공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아울러 종래에는 기후변화는 물론 외부충격이 발생할 경우 완충기능이 마련되지 않으므로 도복장 강관이 쉽게 균열 및 파손되어 농업용수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없는 구조적인 한계를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기후변화가 발생할 경우 도복장 강관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변형 및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충격이 발생할 경우 완충기능을 수행하여 도복장 강관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는,
지지몸체(110)와; 상기 지지몸체(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도복장 강관(20)이 안착되는 받침대(120)와; 상기 도복장 강관(20)의 외경을 감싸면서 상기 받침대(120)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밴드(130)로 이루어지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110)는 교각(1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몸체(15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몸체(110)의 하부 양측면에는 제1지지대(14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몸체(150)의 상부 양측면에는 상기 제1지지대(140)의 직각방향이 되도록 제2지지대(160)가 형성되는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고정몸체(150)의 상부 중앙면에 안착되고 상기 지지몸체(110)의 하부 중앙면에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몸체(11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패드(170)가 포함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패드(170)는 합성수지, 강화고무, 폴리우레탄의 재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후변화로 팽창 및 축소하는 도복장 강관에 따라서 받침부재가 자연스럽게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도복장 강관의 손상 및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충격이 발생할 경우 완충기능을 수행하여 도복장 강관의 균열 및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도복장 강관의 표면에 도포된 페인트가 벗겨지거나 손상되어 부식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정 및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지몸체(110)와; 상기 지지몸체(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도복장 강관(20)이 안착되는 받침대(120)와; 상기 도복장 강관(20)의 외경을 감싸면서 상기 받침대(120)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밴드(130)로 이루어지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110)의 하부는 교각(1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몸체(15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몸체(110)가 상기 고정몸체(15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도복장 강관(20)이 기후변화로 팽창 또는 축소하거나 외부충격이 발생할 경우 자연스럽게 이동하여 과부하로 인한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받침대(120)는 내부에 도복장 강관이 안착될 수 있도록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 표면에는 도복장 강관(20)과 맞닿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의 패드(12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밴드(130)는 도복장 강관(20)의 외경을 감싸서 고정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지지몸체(110)의 하부 양측면에는 제1지지대(14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몸체(150)의 상부 양측면에는 상기 제1지지대(140)의 직각방향이 되도록 제2지지대(160)가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몸체(150)의 상부 중앙면에 안착되고 상기 지지몸체(110)의 하부 중앙면에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몸체(11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패드(17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지지대(140)와 제2지지대(160)는 상기 슬라이딩 패드(17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는 차단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150)는 교각(10)의 상부에 앵커 볼트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도복장 강관(20) 및 지지몸체(11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력을 확보한다.
이때 상기 고정몸체(150)의 양측면에는 고정공(151)이 형성되어 앵커 볼트가 관통하여 교각(10)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 패드(170)는 상기 제1지지대(140) 및 제2지지대(160)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도복장 강관(20)이 이동할 경우 상기 제1지지대(140) 및 제2지지대(160)의 간섭없이 상기 슬라이딩 패드(170)가 자연스럽게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패드(170)는 상기 지지몸체(110)와 고정몸체(150)의 사이에 위치하여 도복장 강관(20)이 기후변화로 팽창 및 축소할 경우 미끄럼운동을 통해서 수평방향으로 상기 지지몸체(110)와 도복장 강관(20)을 동시에 자연스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슬라이딩 패드(170)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완충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합성수지, 강화고무, 폴리우레탄의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 교각 20: 도복장 강관
100: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
110: 지지몸체
120: 받침대 121: 패드
130: 고정밴드
140: 제1지지대
150: 고정몸체 151: 고정공
160: 제2지지대
170: 슬라이딩 패드
100: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
110: 지지몸체
120: 받침대 121: 패드
130: 고정밴드
140: 제1지지대
150: 고정몸체 151: 고정공
160: 제2지지대
170: 슬라이딩 패드
Claims (4)
- 지지몸체(110)와; 상기 지지몸체(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도복장 강관(20)이 안착되는 받침대(120)와; 상기 도복장 강관(20)의 외경을 감싸면서 상기 받침대(120)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밴드(130)로 이루어지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110)의 하부는 교각(1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몸체(15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몸체(110)의 하부 양측면에는 제1지지대(14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몸체(150)의 상부 양측면에는 상기 제1지지대(140)의 직각방향이 되도록 제2지지대(160)가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150)의 상부 중앙면에 안착되고 상기 지지몸체(110)의 하부 중앙면에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몸체(11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패드(170)가 포함되는 특징으로 하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패드(170)는 합성수지, 강화고무, 폴리우레탄의 재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6057A KR101230459B1 (ko) | 2012-07-12 | 2012-07-12 |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6057A KR101230459B1 (ko) | 2012-07-12 | 2012-07-12 |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30459B1 true KR101230459B1 (ko) | 2013-02-06 |
Family
ID=47899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6057A KR101230459B1 (ko) | 2012-07-12 | 2012-07-12 |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045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67161B1 (ko) * | 2015-10-26 | 2017-08-10 | (주)에이치엔피테크 | 강관보조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
KR101847902B1 (ko) * | 2017-10-20 | 2018-04-11 |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 강재형 수로교 |
CN113699951A (zh) * | 2021-08-12 | 2021-11-26 | 王阳 | 一种园林绿化排水管固定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83826A (ja) * | 2004-12-28 | 2006-07-13 | Kurimoto Ltd | 配管支持装置 |
KR100925977B1 (ko) | 2007-11-21 | 2009-11-10 |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 슬라이딩 패드 반자동 삽입장치 |
-
2012
- 2012-07-12 KR KR1020120076057A patent/KR10123045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83826A (ja) * | 2004-12-28 | 2006-07-13 | Kurimoto Ltd | 配管支持装置 |
KR100925977B1 (ko) | 2007-11-21 | 2009-11-10 |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 슬라이딩 패드 반자동 삽입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67161B1 (ko) * | 2015-10-26 | 2017-08-10 | (주)에이치엔피테크 | 강관보조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
KR101847902B1 (ko) * | 2017-10-20 | 2018-04-11 |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 강재형 수로교 |
CN113699951A (zh) * | 2021-08-12 | 2021-11-26 | 王阳 | 一种园林绿化排水管固定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30459B1 (ko) |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 | |
US9771702B2 (en) | Manhole with height/inclination-adjustable manhole cover | |
US20170264089A1 (en) | Apparatus for relieving tension of electric cable | |
KR200473182Y1 (ko) | 구조물의 마찰 진자받침 | |
KR101103983B1 (ko) | 완충기구 및 이를 갖는 구조물 지지장치 | |
JP4556129B2 (ja) | 落橋防止装置 | |
KR102170121B1 (ko) | 마찰진자형 교량 면진 받침 | |
KR101440878B1 (ko) | 덮개판과 지지대가 구비된 구조물의 마찰 진자받침 | |
JP2012177255A (ja) | 落橋防止構造及び落橋防止装置 | |
KR101062220B1 (ko) | 교량용 내진 받침장치 | |
KR102077540B1 (ko) | 케이블 클리트 | |
KR101244717B1 (ko) | 충격 흡수 기능이 구비된 마찰 진자 받침 | |
JP6475993B2 (ja) | 落橋防止緩衝チェーン | |
JP2010189999A (ja) | 免震構造、及び免震構造を有する建物 | |
KR101374357B1 (ko) | 가공 송배전 선로용 절연애자 | |
ES2295952T3 (es) | Amortiguador de atraque. | |
KR101341845B1 (ko) | 고하중용 디스크받침 | |
JP2009286622A (ja) | ベルトコンベヤのガーダ支持構造 | |
JP5363877B2 (ja) | 構造物の滑り支承構造 | |
RU2662007C2 (ru) |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механических деталей | |
KR101784854B1 (ko) | 이중 중공축 지주를 구비하는 가드레일 | |
JP2019039274A (ja) | 道路橋伸縮装置用間詰め構造 | |
KR200471176Y1 (ko) | 지압판이 구비된 마찰진자 받침 | |
JP6534272B2 (ja) | 吊架線用制振装置 | |
KR200371648Y1 (ko) |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