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4357B1 - 가공 송배전 선로용 절연애자 - Google Patents

가공 송배전 선로용 절연애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4357B1
KR101374357B1 KR1020130100983A KR20130100983A KR101374357B1 KR 101374357 B1 KR101374357 B1 KR 101374357B1 KR 1020130100983 A KR1020130100983 A KR 1020130100983A KR 20130100983 A KR20130100983 A KR 20130100983A KR 101374357 B1 KR101374357 B1 KR 101374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iston
insulator
fixe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0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계훈
박용만
문병규
한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앤씨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앤씨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앤씨하이텍
Priority to KR1020130100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0Pin ins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0Pin insulators
    • H01B17/22Fastening of conductors to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2Single insulators consisting of two or more dissimilar insulating bod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라믹 재질로 된 본체, 제1 통기공이 형성되고 본체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실린더, 둘레에 실린더의 내면과 밀착되는 고무막이 구비되고 상하단으로 관통된 제2 통기공이 형성되며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한 사각기둥 형상의 피스톤,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에 설치되어 피스톤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탄성체, 하단은 피스톤에 고정되고 실린더의 상면을 관통하는 이동대, 이동대와 연결되어 회동하는 제1 회동대, 배전선을 감싸도록 체결하며 제1 회동대와 연결되되 제1 회동대로부터 회전하는 체결대, 피스톤으로부터 인출되어 실린더의 저면을 관통하고 완철의 고정홈에 삽탈되는 고정대를 갖춘 이동부, 일단은 실린더의 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완철에 고정설치된 제2 회동축에 설치되어 회동가능한 제2 회동대 및 원통 형상으로 일단이 실린더의 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완철의 상면과 이격되게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고무재질의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특징에 의하여 송배전선이 상방 또는 측방으로 이동가능하여 절연애자와 송배전선, 절연애자와 완철의 결합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이며 외력에 의해 증가한 송배전선의 장력을 절연애자의 회동으로 감쇄시킴으로써 장력에 의한 파손위험성을 줄이고 외력이 제거된 경우 절연애자의 복원이 용이하다.

Description

가공 송배전 선로용 절연애자{Insulators fo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가공 송배전 선로용 절연애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배전선에 상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송배전선과 절연애자의 체결부위가 충격을 받아 송배전선의 고정이 해제되거나 절연애자와 지지용 암(이하, '완철'이라 함)과의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송배전선이 탈선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가공 송배전 선로용 절연애자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승압과정을 거쳐 송전선 및 배전선을 통해 일반수용가로 공급된다. 송배전선에는 고압의 전기가 흐르기 때문에 지상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일반적으로 철탑 또는 전주의 상단 부분에 설치된 완철의 절연애자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송배전선은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비교적 안전하게 관리되나 선로 주위에 접근하여 크레인, 굴삭기, 사다리차 등을 이용한 작업시 작업부주의로 인해 송배전선에 직접적인 외력 또는 충격을 가할 수 있다. 송배전선은 절연애자를 매개로 완철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은 강한 외력 또는 충격이 송배전선에 가해질 경우 절연애자와 송배전선과의 결합이 해제되어 송배전선이 완철로부터 분리, 추락하거나 심한 경우 송배전선이 끊어지게 되어 단전 및 감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절연애자와 완철과의 결합이 해제될 수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특허 등록 제10-1112080호(2012.01.27.)에의한 "배전선의 탈선을 방지하는 절연애자"에 따르면 회동대를 설치하여 배전선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절연애자가 늘어나거나 회동함으로써 절연애자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였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이동대가 돌출되어 늘어난 상태에서 중량의 절연애자가 회동하면, 송배전선에 가해진 외력이 이동대를 거쳐가기 때문에 이동대가 휘어지거나 부러져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절연애자가 한번 늘어난 후 복원되지 않으므로 송배전선이 쳐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1112080호(2012. 01. 27) "배전선의 탈선을방지하는 절연애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절연애자를 완철에 회동가능하게 고정하고, 송배전선을 절연애자와 회동 및 이동가능하게 고정하여 송배전선에 상방 또는 측방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절연애자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된 송배전선이 상방 또는 측방으로 이동가능하여 절연애자와 송배전선 및 절연애자와 완철의 결합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이며, 외력에 의해 증가한 송배전선의 장력을 절연애자가 회동하여 감쇄시킴으로써 증가한 장력에 의한 절연애자와 송배전선 및 절연애자와 완철의 결합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외력이 제거됐을 때 절연애자의 위치가 복원되는 가공 송배전 선로용 절연애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라믹 이나 폴리머(이하, '세라믹'이라 함) 재질로 된 본체(10);와, 하면에 하나 이상의 제1통기공(21b)이 형성된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상기 본체(1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실린더(21)와, 둘레에 상기 실린더(21)의 내면과 밀착되는 고무재질의 고무막(22b)이 구비되고 상단에서 하단으로 관통된 하나 이상의 제2제2통기공(22a)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21)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한 사각기둥 형상의 피스톤(22)과, 상기 실린더(21)와 상기 피스톤(22) 사이에 설치되어 피스톤(22)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탄성체(28)와, 단면이 원기둥 형상으로 하단은 상기 피스톤(22)에 고정되고 실린더(21)의 상면을 관통하는 이동대(23)와, 단면이 원기둥 형상으로 상기 이동대(23)와 연결되어 회동하는 제1회동대(26)와, 송배전선(L)을 감싸도록 체결하며 상기 제1회동대(26)와 연결되되 상기 제1회동대(26)의 중심축 선상을 기준으로 상기 제1회동대(26)로부터 회전하는 체결대(24)와, 원기둥 형상으로 상기 피스톤(22)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실린더(21)의 저면을 관통하고 완철(1)의 고정홈(1a)에 삽탈되는 고정대(25)를 갖춘 이동부(20);와, 일단은 상기 실린더(21)의 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완철(1)에 고정설치된 제2회동축(1b)에 설치되어 회동가능한 제2회동대(30); 및 원통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실린더(21)의 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완철(1)의 상면과 이격되게 상기 본체(10)의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되, 상기 본체(10) 및 상기 이동부(20)가 일정각도 이상 회동하는 경우 상기 완철(1)의 상면과 접하여 완충하는 고무재질의 완충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송배전 선로용 절연애자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배전선에 상방 또는 측방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송배전선과 절연애자의 고정부분이 상방 또는 측방으로 이동하여 절연애자와 송배전선의 고정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켜 절연애자와 송배전선과의 고정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며, 이로 인해 절연애자와 완철과의 고정의 안정성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력에 의해 송배전선과 절연애자의 고정부분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완철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절연애자가 회동하여 장력에 의한 절연애자와 송배전선 및 완철과의 고정부분이 약화되거나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완충부재를 통해 절연애자의 회동시 절연애자의 본체가 완철과 접하는 것을 방지하고 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본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송배전선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절연애자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공 송배전 선로용 절연애자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공 송배전 선로용 절연애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공 송배전 선로용 절연애자는 세라믹 재질로 구성된 본체(10)와, 본체(10)에 내설되어 송배전선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절연애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이기 위한 이동부(20)와, 본체(10) 및 이동부(20)를 완철(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제2회동대(30)와, 본체(10) 및 이동부(20)가 회동되는 경우 본체(10)가 직접적으로 완철(1)에 접하지 않게 하며 본체(10) 및 이동부(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재(40)를 포함한다.
본체(10)의 경우 고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자외선, 먼지, 산업분진 및 염분 등 대기오염물의 영향과 기온변화의 차이로 인한 열적 스트레스, 바람, 눈, 얼음 등 기후변화에 의한 외적이 요인으로 인해 이종재료 간의 열적 팽창 및 수축 등의 기계적 스트레스를 받아 점차 열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내구성과 내오염성이 우수해야 한다. 따라서 본체(10)는 세라믹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머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본체(10)의 형상은 통상의 절연애자 형상으로 삿갓모양이 겹쳐진 형상이며, 그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에는 실린더(21)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하로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이동부(20)는 본체(10)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피스톤(22)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실린더(21)와, 실린더(21)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22)과, 피스톤(22)의 상면에 고정설치되어 피스톤(22)과 함께 상하운동을 하는 대략 원기둥 형태의 이동대(23)와, 이동대(23)의 끝단에 제1회동축(27)으로 연결되어 이동대(23)로부터 회동가능한 대략 원기둥 형태의 제1회동대(26)와, 제1회동대(26)의 상단에 구속되되 제1회동대(26)의 중심 선상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송배전선(L)을 체결하여 고정하는 체결대(24)를 포함한다.
실린더(21)는 통상적으로 엔진 등에 사용되어 피스톤의 왕복운동이 이루어지는 실린더와 그 기본적인 기능은 유사하다. 즉, 피스톤(22)이 내부에서 상하로 운동하기 위해 피스톤(22)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의 중공(21e)이 형성되어 있으며, 실린더의 외형은 사각 프레임 형상이거나 원통형상일 수도 있다. 실린더(21)의 상면에는 이동대(23)가 관통하는 제1관통구멍(21c)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제1통기공(21b) 및 고정대(25)가 관통하는 제2관통구멍(21d)이 형성되어 있다. 제1관통구멍(21c)은 실린더(21)의 상면에 실린더(21)의 외부와 중공(21e)을 관통하도록 이동대(23)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이를 통해 이동대(23)가 피스톤(22)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2관통구멍(21d)은 실린더(21)의 저면에 실린더(21)의 외부와 중공(21e)을 관통하도록 고정대(25)의 단면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고정대(25)가 제2관통구멍(21d)을 통해 상하로 이동한다.
여기서, 피스톤(22)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복수의 제2통기공(22a)이 형성된다. 즉, 제2통기공(22a) 및 제1통기공(21b)은 피스톤(22)이 실린더(21)의 중공(21e)에 밀착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경우 피스톤(22)의 이동에 의해 중공(21e)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피스톤(22)의 상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제2통기공(22a) 및 제1통기공(21b)이 너무 큰 경우 중공(21e) 내부의 공기가 너무 쉽게 배출되어 피스톤(22)이 중공(21e) 내부에서 큰 저항 없이 쉽게 움직이게 되며, 너무 작은 경우 중공(21e) 내부의 공기의 배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피스톤(22)의 움직임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2통기공(22a) 및 제1통기공(21b)는 피스톤(22)이 적당한 기압의 저항을 받으면서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피스톤(22)은 강도가 단단한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며 외면에는 고무재질로 형성된 얇은 고무막(22b)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22)은 중공(21e)의 외면과 밀착되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고무막(22b)과 중공(21e)의 외면과의 마찰력이 커 이동이 힘든 경우 또는 완벽하게 밀착되지 않는 경우 윤활유 등을 사용하여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고무막(22b)과 중공(21e)을 밀착시켜 공기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탄성체(28)는 대략 코일 스프링 등이 사용되고, 실린더(21)와 피스톤(22) 사이에 배치되되 실린더(21)의 중공(21e)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은 탄성체에 의해서 항상 하부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동대(23)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하단은 피스톤(22)의 상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단에는 제1회동대(26)가 고정설치된다. 이동대(23)는 송배전선(L)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가해진 외력을 제1회동대(26)를 통해서 피스톤(22)으로 전달하여 피스톤(22)이 상하로 이동하게 한다.
제1회동대(26)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하단은 이동대와 제1회동축(27)으로 연결되고, 상단은 체결대와 연결되되 제1회동대의 중심 선상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회동대(26)는 이동대로부터 회동가능하고 체결대로부터 회전가능하여 송배전선(L)의 측방에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제1회동대가 체결대로부터 회전하면서 이동대로부터 회동하기 때문에 전후좌우 어느 쪽이라도 대응가능하며, 제1회동대(26)에서 1차적으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체결대(24)는 제1회동대(26)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송배전선(L)을 체결하여 고정한다. 체결대(24)는 송배전선(L)을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적용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송배전선(L)을 관에 끼운 후 볼트 등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식을 들 수 있다.
고정대(25)는 막대형상으로 일단은 피스톤(22)의 하단에 고정되고 제2관통구멍(21d)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고정대(25)의 타단은 피스톤(22)의 상하 이동에 따라 완철(1)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1a)에 삽탈되어지며, 삽입된 경우 본체(10) 및 이동부(20)의 회동을 방지한다.
제2회동대(30)는 본체(10) 및 이동부(20)를 제2회동축(1b)을 매개로 완철(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한다. 제2회동대(30)의 일단은 실린더(21)의 저면에 고정되며, 타단은 완철(1)에 고정설치된 원통형상의 제2회동축(1b)을 관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완충부재(40)는 완충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의 경사진 원통 또는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본체(10)의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실린더(21)의 저면에 고정설치된다. 또한 완충부재(40)의 타단은 완철(1)의 상면과 일정거리만큼 이격된다. 본체(10) 및 이동부(20)가 회동하는 경우 세라믹 재질로 된 본체(10)가 금속재질로 된 완철(1)의 모서리부분과 충돌하여 깨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 및 이동부(20)가 회동하여 완철(1)과 부딪쳐 충격을 받을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충격을 계속 받는 경우 본체(10)가 깨지거나 본체(10)와 이동부(20)의 결합이 약해져 본체(10)와 이동부(20)가 분리될 수도 있다. 완충부재(40)는 본체(10) 및 이동부(20)가 회동하는 경우 본체(10)가 완철(1)에 접하기 전에 먼저 완철(1)에 접하게 되어 본체(1)를 완철(1)과 충돌하지 않도록 하며, 또한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완충부재(40)와 완철(1)과의 충돌로 인한 충격이 본체(10)와 이동부(20)에 전해지는 것을 완화하여 준다. 또한 완충부재(40)는 실린더(21)의 저면에만 고정설치되어 충격이 직접적으로 본체(1)에 전해지지 않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송배전 선로용 절연애자의 동작을 설명한다.
굴삭기, 크레인 등을 이용한 작업 도중 작업자의 부주의로 송배전선(L)에 아래에서 위쪽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게 되는 경우 송배전선(L)에 가해진 외력은 체결대(24), 제1회동대(26) 및 이동대(23)를 통해 피스톤(22)에 전해지게 되고, 상기 외력에 의해 제1회동대(26)가 회동하면서 피스톤(22)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외력 방향으로 향하는 송배전선(L)의 장력과 상방으로 향하는 외력의 합력에 의해 체결대(24)의 위쪽 사선방향으로 힘이 가해지지만, 피스톤(22)이 좌우이동을 할 수 없고 상하이동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피스톤(22)의 상승은 중공(21e) 내부의 기압을 증가시키고, 증가된 기압 및 탄성체(28)에 의해 피스톤(22)의 상승동작은 완충작용을 받는다. 또한 증가된 중공(21e) 내부의 기압에 의해 내부의 공기가 제2통기공(22a) 및 제1통기공(21b)을 통해 중공(21e)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피스톤(22)의 상승동작은 계속 이루어진다. 피스톤(22)의 상승에 의해 송배전선(L)과 절연애자와의 연결부위에 가해지는 충격량이 감소되며, 이로 인해 송배전선(L)과 절연애자 및 절연애자와 완철(1)간의 결합이 안정성이 증가한다.
한편, 송배전선(L)에 외력이 이동대로 전달될 때 송배전선(L)이 사선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데 이때 체결대(24)가 꺾이려는 힘이 이동대(23)로 전달되기 때문에 체결대(24)와 이동대(23) 사이에 집중응력이 발생하여 크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체결대(24)와 이동대(23) 사이가 끊어져 파손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송배전선(L)이 사선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제1회동대(26)가 회동하기 때문에 체결대(24)와 이동대(23) 사이에 집중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체결대(24)와 이동대(23) 사이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송배전선(L)이 상부 사선 방향이 아닌 송배전선(L)의 측 방향에서 힘이 가해질 경우에는 체결대(24)가 제1회동대(26)로로부터 회전하면서 송배전선(L)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제1회동대(26)가 회동하기 때문에 송배전선(L)의 측 방향에서 힘이 가해지더라도 절연애자의 연결부위에 가해지는 충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체결대(24)와 이동대(23) 사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배전선(L)과 절연재자, 절연애자와 완철 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피스톤(22)의 상승에 의해 피스톤(22)에 고정설치된 고정대(25)도 상승하게 되며, 고정대(25)의 상승에 의해 고정대(25)와 완철(1)에 형성된 고정홈(1a)과의 결합이 해제되게 된다. 본체(10) 및 이동부(20)의 회동을 방지하고 있던 고정대(25)의 삽입이 해제되면 본체(10) 및 이동부(20)는 회동가능하게 되며, 송배전선(L)에 상방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송배전선(L)의 장력이 증가하게 되고, 증가된 장력에 의해 본체(10) 및 이동부(20)는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회동은 증가된 장력을 감소시켜 장력에 의해 송배전선(L)과 절연애자 및 절연애자와 완철(1)간의 결합이 약해지거나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 및 이동부(20)가 회동하게 되면 실린더(21)의 하단에 본체(10)의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완충부재(40)의 말단이 본체(10)보다 먼저 완철(1)의 상면과 접하게 된다. 완충부재(40)는 본체(10)가 완철(1)과 접하는 것을 방지하며, 본체(10) 및 이동부(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또한 완충부재(40)는 실린더(21)의 하단에 설치되어 완충부재(40)를 통한 직접적인 충격이 본체(10)에 전해지지 않고 실린더(21)에만 전해지게 하여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10)를 보다 안정적으로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송배전선(L)에 외력이 제거되면, 피스톤(22)은 탄성체(28)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이때, 피스톤(22)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고정대(25)가 기울어진 완철(1)의 상면을 밀어서 완철(1)을 똑바로 세우고 고정대(25)는 고정홈(1a)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따라서, 늘어진 절연애자를 탄력있게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송배전선(L)이 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완철 1a; 고정홈
1b; 제2회동축 10; 본체
20; 이동부 21; 실린더
21b; 제1통기공 21c; 제1관통구멍
21d; 제2관통구멍 21e; 중공
22; 피스톤 22a; 제2통기공
22b; 고무막 23; 이동대
24; 체결대 25; 고정대
26; 제1회동대 27; 제1회동축
28; 탄성체 30; 제2회동대
L; 송배전선

Claims (1)

  1. 철탑의 상단에 설치되어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송배전하는 가공 송배전선을 고정시키는 가공 송배전 선로용 절연애자에 있어서,
    세라믹 재질로 된 본체(10);
    저면에 하나 이상의 제1통기공(21b)이 형성된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상기 본체(1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실린더(21)와, 둘레에 상기 실린더(21)의 내면과 밀착되는 고무재질의 고무막(22b)이 구비되고 상단에서 하단으로 관통된 하나 이상의 제2 통기공(22a)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21)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한 사각기둥 형상의 피스톤(22)과, 상기 실린더(21)와 상기 피스톤(22) 사이에 설치되어 피스톤(22)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탄성체(28)와, 단면이 원기둥 형상으로 하단은 상기 피스톤(22)에 고정되고 실린더(21)의 상면을 관통하는 이동대(23)와, 단면이 원기둥 형상으로 상기 이동대(23)와 연결되어 회동하는 제1 회동대(26)와, 송배전선(L)을 감싸도록 체결하며 상기 제1 회동대(26)와 연결되되 상기 제1 회동대(26)의 중심축 선상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회동대(26)로부터 회전하는 체결대(24)와, 원기둥 형상으로 상기 피스톤(22)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실린더(21)의 저면을 관통하고 완철(1)의 고정홈(1a)에 삽탈되는 고정대(25)를 갖춘 이동부(20);
    일단은 상기 실린더(21)의 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완철(1)에 고정설치된 제2 회동축(1b)에 설치되어 회동가능한 제2 회동대(30); 및
    원통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실린더(21)의 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완철(1)의 상면과 이격되게 상기 본체(10)의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되, 상기 본체(10) 및 상기 이동부(20)가 일정각도 이상 회동하는 경우 상기 완철(1)의 상면과 접하여 완충하는 고무재질의 완충부재(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송배전 선로용 절연애자.

KR1020130100983A 2013-08-26 2013-08-26 가공 송배전 선로용 절연애자 KR101374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983A KR101374357B1 (ko) 2013-08-26 2013-08-26 가공 송배전 선로용 절연애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983A KR101374357B1 (ko) 2013-08-26 2013-08-26 가공 송배전 선로용 절연애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4357B1 true KR101374357B1 (ko) 2014-03-17

Family

ID=50648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0983A KR101374357B1 (ko) 2013-08-26 2013-08-26 가공 송배전 선로용 절연애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43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616B1 (ko) 2015-04-17 2015-08-21 (주)동부기술단 배전용 현수애자 연결장치
KR101618038B1 (ko) 2016-01-25 2016-05-04 (주)한맥이엔지 가공배전선로의 지지형 애자
CN114421417A (zh) * 2021-12-08 2022-04-29 河南平高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三支柱绝缘子组件及gil
KR102515392B1 (ko) * 2022-04-22 2023-03-29 주식회사 양일테크 송배전선 단선 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422B1 (ko) 2010-05-18 2010-12-21 주식회사 거창전력 가공 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KR20110011549U (ko) * 2010-06-08 2011-12-14 박승규 이물질에 의한 단락 방지 기능을 구비한 현수 애자
KR101112080B1 (ko) * 2011-09-15 2012-02-24 (주)우전엔지니어링 배전선의 탈선을 방지하는 절연애자
KR101293716B1 (ko) * 2013-01-22 2013-08-06 주식회사 이린 특고압 배전 가공전선의 연결애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422B1 (ko) 2010-05-18 2010-12-21 주식회사 거창전력 가공 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KR20110011549U (ko) * 2010-06-08 2011-12-14 박승규 이물질에 의한 단락 방지 기능을 구비한 현수 애자
KR101112080B1 (ko) * 2011-09-15 2012-02-24 (주)우전엔지니어링 배전선의 탈선을 방지하는 절연애자
KR101293716B1 (ko) * 2013-01-22 2013-08-06 주식회사 이린 특고압 배전 가공전선의 연결애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616B1 (ko) 2015-04-17 2015-08-21 (주)동부기술단 배전용 현수애자 연결장치
KR101618038B1 (ko) 2016-01-25 2016-05-04 (주)한맥이엔지 가공배전선로의 지지형 애자
CN114421417A (zh) * 2021-12-08 2022-04-29 河南平高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三支柱绝缘子组件及gil
CN114421417B (zh) * 2021-12-08 2024-04-05 河南平高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三支柱绝缘子组件及gil
KR102515392B1 (ko) * 2022-04-22 2023-03-29 주식회사 양일테크 송배전선 단선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2080B1 (ko) 배전선의 탈선을 방지하는 절연애자
KR101374357B1 (ko) 가공 송배전 선로용 절연애자
KR101365654B1 (ko) 특고압 배전 가공전선의 연결애자
KR101149831B1 (ko) 송전탑 애자 교체용 송전선 지지장치
CN105599783B (zh) 钩缓装置及钩高调节限位装置
CN205130955U (zh) 一种地铁列车用受流器
KR101345718B1 (ko) 특고압 전기 배전선 절연애자
KR101399043B1 (ko) 가공 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CA2974994A1 (en) Utility tower lifting device
CN107339515B (zh) 一种防涡流复合材料穿墙套管法兰片
KR20130046859A (ko)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횡진 제한 장치
CN101852410A (zh) 一种抗震侧壁安装支架
KR101112078B1 (ko) 특고압 전기의 송배전선 설치형 절연애자
KR101079762B1 (ko) 다수 배전선 간 합선을 방지하는 완철형 지지대
KR101819205B1 (ko) 가공배전선로의 지지형 애자구조
KR101446932B1 (ko) 배전선의 탈선을 방지하는 절연애자
KR101326881B1 (ko) 배전선의 탈선을 방지하는 절연애자
KR101618038B1 (ko) 가공배전선로의 지지형 애자
CN206233846U (zh) 塔形绝缘梯
CN104948654A (zh) 降低噪音结构
CN205335796U (zh) 输电线路风偏防御装置
CN208088143U (zh) 一种用于桥梁施工的顶推装置
KR101083415B1 (ko) 감전예방 배전용 지지 완철
KR101293716B1 (ko) 특고압 배전 가공전선의 연결애자
CN109779379B (zh) 一种电力电网电线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