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616B1 - 배전용 현수애자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용 현수애자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616B1
KR101545616B1 KR1020150054384A KR20150054384A KR101545616B1 KR 101545616 B1 KR101545616 B1 KR 101545616B1 KR 1020150054384 A KR1020150054384 A KR 1020150054384A KR 20150054384 A KR20150054384 A KR 20150054384A KR 101545616 B1 KR101545616 B1 KR 101545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clip
groove
pin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4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향숙
Original Assignee
(주)동부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부기술단 filed Critical (주)동부기술단
Priority to KR1020150054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4Chains; Multiple chain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수애자를 직렬로 접속하는데 이용하는 배전용 현수애자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절연체(21)에 설치되고, 중심에 가이드구멍(42)이 형성되는 핀(40); 핀(4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스페이서수납홈(46)이 저면 중앙에 형성되며, 스페이서수납홈(46)으로 이어진 클립출입구(48)가 일측에 형성되는 핀헤드부(44); 가이드구멍(42)으로 삽입되어 안내되고, 양단을 관통하는 통기공(52)이 중심에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잘록한 허리부(54)가 형성되는 슬라이드로드(50); 허리부(54)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스페이서수납홈(46)에 위치된 상태에서 티홈(34)의 바닥면을 향해 출몰되는 납작한 형태의 스페이서(56); 가이드구멍(42)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로드(50)에 돌출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60); 허리부(54)를 잡는 한 쌍의 환봉그립부(71)(72)가 끝부분에 원호모양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U"자 모양의 탄성클립(70); 환봉그립부(71)(72)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허리부(54)의 진입을 돕는 한 쌍의 역방향절곡부(71a)(72a); 탄성클립(70)의 측면 일부를 "ㄷ"자 모양으로 커팅해서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려서 형성하는 한 쌍의 탄성날개부(73)(74); 탄성날개부(73)(74)의 단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원호모양으로 각각 형성되고, 클립출입구(48)와 스페이서수납홈(46)이 만나는 모서리(46a)(46b)에 걸리는 한 쌍의 내면걸림부(73a)(74a)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전용 현수애자 연결장치{Coupling Apparatus for Power Distribution Suspension Insulator}
본 발명은 배전용 케이블을 공중에 매달기 위한 현수애자를 직렬로 접속하는데 이용하는 배전용 현수애자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수애자의 소켓과 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전용 현수애자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수애자는 가공전선을 지지하기 위한 고압용 애자의 한 가지로, 경질자기를 이용해서 접시모양 또는 종모양으로 성형된 절연체의 하부표면에 골을 형성하여 절연부의 누설 거리를 길게 연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현수애자는 사용 전압에 따라 적당한 개수를 직렬로 접속하여 지지물에 매달도록 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클레비스형, 볼소켓형, 퓨렛형 등과 같이 금속으로 된 연결금구가 시멘트에 의해 절연체 상하부에 부착되어 있다.
이중 볼소켓형의 연결금구로 이루어진 종래 현수애자의 일예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였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모양으로 된 절연체(11)의 상부에 씌워지는 캡(12)이 시멘트(16a)에 의해 부착되며, 중앙 상단에 티홈(14)이 형성된 소켓(13)이 캡(12)의 상단 꼭지부위에 일체로 형성되고, 티홈(14)의 개방된 부위에 형성된 출입구(14a) 상측에는 걸림턱(14b)이 형성되어 있었다.
또한, 출입구(14)의 반대편에는 티홈(14)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관통된 장방형구멍(13h)이 천공되고, 시멘트(16b)에 의해 절연체(11) 중심에 설치된 연결핀(15)의 하단에는 핀헤드부(15a)가 형성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 현수애자(10)를 직렬로 접속하는 경우 연결핀(15)의 하단부를 티홈(14)을 향해 옆으로 끼우면서 동시에 핀헤드부(15a)를 출입구(14a)를 통해 티홈(14)으로 삽입하게 되면, 핀헤드부(15a)가 티홈(14)에 걸리면서 연결핀(15)과 소켓(13)이 서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었다.
또, 종래에는 핀헤드부(15a)의 저면과 티홈(14)의 바닥면 사이로 고정클립(17)을 끼워서 연결핀(15)의 소켓(13)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고 있었으며, 이와 같은 종래 고정클립(17)은 "W"자 모양으로 절곡되며, 양단에 형성된 후크부(17a)(17b)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각진 형태로 절곡되어 있었다.
종래 고정클립(17)을 핀헤드부(15a)와 티홈(14) 사이로 끼우는 과정은 연결핀(15)을 상측으로 당겨서 핀헤드부(15a)를 티홈(14)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킨 후 고정클립(17)을 이격된 공간을 통해 티홈(14)으로 삽입한 다음 고정클립(17)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부(17a)(17b)를 장방형구멍(13h)으로 밀어 넣어서 걸게 되면, 핀헤드부(15a)가 고정클립(17)의 높이에 의해 하강높이가 제한되면서, 더 이상 티홈(14)의 바닥쪽으로 내려오지 못하게 되고, 핀헤드부(15a)가 걸림턱(14b)에 걸리는 높이에 항상 머무르면서 티홈(14)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소켓(13)을 주조할 때 코어를 이용해서 장방형구멍(13h)도 함께 성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파팅라인에서 발생하는 버(burr)로 인해 장방형구멍(13h)을 균일하고 정밀한 형상으로 성형하기가 곤란하여 고정클립(17)의 후크부(17a)(17b)가 정확하게 걸리지 못하고 들뜨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 경우 센바람에 의해 현수애자(10)가 심하게 흔들리는 경우 고정클립(17)이 소켓(13)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또한, 고정클립(17) 끝에 형성된 후크부(17a)(17b)를 장방형구멍(13h)으로 진입시키기 위해 롱노즈 플라이어와 같이 끝이 가늘고 긴 도구를 이용해서 고정클립(17)의 양측면을 눌러서 오므린 상태에서 끼워야 하지만 낮은 높이로 된 고정클립(17)의 측면을 잡고서 작업하기에는 탄성과 미끄럼 때문에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또, 핀헤드부(15a)와 고정클립(17) 간에 유격을 둔 경우 종래에는 그 사이에 아무런 지지물이 없으므로, 현수애자(10)가 바람 등에 의해 심하게 흔들리는 경우 핀헤드부(15a)와 고정클립(17)이 부딪치면서 금속성 소음을 발생시키고, 그 충격으로 인한 피로가 현수애자(10)에 장기간 누적되면서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86-0007684호(1986.10.1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54758호(2000.05.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현수애자 간을 연결하고 있는 핀과 소켓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접속부위에서의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피로로 인한 현수애자의 수명단축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배전용 현수애자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배전용 현수애자 연결장치는 절연체에 설치되고, 중심에 가이드구멍이 형성되는 핀; 핀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가이드구멍이 중심으로 노출된 스페이서수납홈이 저면 중앙에 형성되며, 스페이서수납홈으로 이어진 클립출입구가 일측에 형성되는 핀헤드부; 가이드구멍으로 삽입되어 안내되고, 양단을 관통하는 통기공이 중심에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잘록한 허리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드로드; 허리부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스페이서수납홈에 위치된 상태에서 티홈의 바닥면을 향해 출몰되는 납작한 형태의 스페이서; 가이드구멍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로드에 돌출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 클립출입구를 통해 삽입되고, 허리부를 잡는 한 쌍의 환봉그립부가 끝부분에 원호모양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U"자 모양의 탄성클립; 환봉그립부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허리부의 진입을 돕는 한 쌍의 역방향절곡부; 탄성클립의 측면 일부를 "ㄷ"자 모양으로 커팅해서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려서 형성하는 한 쌍의 탄성날개부; 탄성날개부의 단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원호모양으로 각각 형성되고, 클립출입구와 스페이서수납홈이 만나는 모서리에 걸리는 한 쌍의 내면걸림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탄성클립의 환봉그립부와 결합되는 허리부가 슬라이드로드와 스페이서를 절삭가공할 때 함께 가공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정밀가공이 가능하여 물림이 정확하고, 흔들림에 의해 현수애자 접속부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탄성클립을 허리부에 물릴 때 탄성클립을 손으로 잡고 허리부를 향해 밀어 넣는 것으로도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취급이 간단하여 조립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기존과 같이 소켓에 장방형구멍을 가공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주조작업 및 주조금형을 간소화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허리부에 탄성클립이 결합된 상태에서 스페이서의 저면과 티홈의 바닥면 간에 유격이 있는 경우 스페이서가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티홈의 바닥면에 항상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흔들리는 현수애자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슬라이드로드를 통해 스프링으로 전달해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탄성클립을 허리부에 결합할 때 탄성날개부에 형성된 내면걸림부가 스페이서수납홈과 클립출입구가 만나는 모서리에 걸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클립을 더욱 견고하고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라이드로드의 중심에 형성된 통기공에 의해 슬라이드로드가 가이드구멍에서 움직일 때 통기공을 통해 공기소통이 가능하므로, 가이드구멍 내부에 부압이 걸리거나 공기가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여 슬라이드로드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현수애자 연결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현수애자 연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단면사시도
도 5는 종래 고정클립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상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을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10을 상측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클립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클립을 보인 평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체(21)의 상부에 씌워져 부착되는 캡(30)의 상단 꼭지부위에 소켓(31)이 형성되고, 티홈(34)이 상기 소켓(31)의 중앙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티홈(34)의 개방된 부위에 형성된 헤드출입구(32) 상측에 헤드걸림턱(33)이 형성된다.
상기 절연체(21)에 설치되고, 중심에 가이드구멍(42)이 형성되는 핀(40); 핀(4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가이드구멍(42)이 중심으로 노출된 스페이서수납홈(46)이 저면 중앙에 형성되며, 스페이서수납홈(46)으로 이어진 클립출입구(48)가 일측에 형성되는 핀헤드부(44)을 포함한다.
상기 핀(40)과 핀헤드부(44)는, 예를 들면 금속 환봉을 수치제어 선반이나 복합가공기와 같은 절삭가공기에서 서로 일체형으로 가공해서 만들 수 있으며, 절삭가공시에 가이드구멍(42), 스페이서수납홈(46), 클립출입구(48)도 가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 핀(40)과 핀헤드부(44)는, 다른 예로 다이캐스트 성형이나 인베스트먼트 주조, 사형주조에 의해 성형한 다음 탈형 후 가이드구멍(42), 스페이서수납홈(46), 클립출입구(48)를 별도의 절삭가공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구멍(42)으로 삽입되어 안내되고, 양단을 관통하는 통기공(52)이 중심에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잘록한 허리부(54)가 형성되는 슬라이드로드(50); 허리부(54)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스페이서수납홈(46)에 위치된 상태에서 티홈(34)의 바닥면을 향해 출몰되는 납작한 형태의 스페이서(56); 가이드구멍(42)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로드(50)에 돌출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슬라이드로드(50)와 스페이서(56)는, 예를 들면 금속 환봉을 수치제어 선반, 캠식 자동선반 등과 같은 절삭가공기에서 서로 일체형으로 가공해서 만들 수 있으며, 절삭가공시에 통기공(52)과 허리부(54)도 절삭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60)은,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직사각 또는 원형단면의 강선을 나선형으로 말아서 성형한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꼭 이러한 스프링의 종류에 한정하지 않으며, 장구스프링, 원추형스프링 등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클립출입구(48)를 통해 삽입되고, 허리부(54)를 잡는 한 쌍의 환봉그립부(71)(72)가 끝부분에 원호모양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U"자 모양의 탄성클립(70); 환봉그립부(71)(72)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허리부(54)의 진입을 돕는 한 쌍의 역방향절곡부(71a)(72a)를 포함한다.
또, 탄성클립(70)의 측면 일부를 "ㄷ"자 모양으로 커팅해서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려서 형성하는 한 쌍의 탄성날개부(73)(74); 탄성날개부(73)(74)의 단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원호모양으로 각각 형성되고, 클립출입구(48)와 스페이서수납홈(46)이 만나는 모서리(46a)(46b)에 걸리는 한 쌍의 내면걸림부(73a)(74a)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클립(70)은 "U"자 모양의 절곡부(75)를 가지며, 절곡부(75) 하측 모서리를 평평하게 커팅한 경사진 면취부(76)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클립(70)에 포함되는 환봉그립부(71)(72), 역방향절곡부(71a)(72a), 탄성날개부(73)(74), 내면걸림부(73a)(74a)는, 예를 들면 스프링강판을 일정한 폭으로 슬리팅 한 후 롤에 감아서 절곡과 부분펀칭, 커팅 등의 프레스 공정을 거쳐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0은 현수애자를 나타낸 것이고, 23과 24는 시멘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애자(20)를 핀(40)과 소켓(31)를 이용해서 직렬로 연결하는 경우 핀(40)의 중심에 형성된 가이드구멍(42)으로 스프링(60)을 집어넣은 다음 슬라이드로드(50)를 가이드구멍(42)으로 삽입해서 스프링(60)을 압축하게 되면, 슬라이드로드(50)의 하단에 형성된 스페이서(56)가 핀헤드부(44)에 형성된 스페이서수납홈(46)으로 진입된다.
이때 슬라이드로드(50) 중심에 형성된 통기공(52)은 슬라이드로드(50)가 가이드구멍(42)으로 진입될 때 가이드구멍(42)에 잔류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작용을 하여 공기압축으로 인해 슬라이드로드(50)에 가해지는 진입저항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56)가 스프링(60)의 반발력에 의해 스페이서수납홈(46)으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핀(40)의 하단부와 핀헤드부(44)을 소켓(31)에 형성된 헤드출입구(32)를 통해 티홈(34)으로 집어넣고 잡고 있던 손을 놓게 되면, 슬라이드로드(50)가 스프링(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이드구멍(42)을 따라 안내되면서 스페이서(56)가 티홈(34)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된다.
이때 슬라이드로드(50)의 하단부에 형성된 잘록한 허리부(54)도 스페이서수납홈(46)으로 노출되는데, 이 상태에서 탄성클립(70)을 헤드출입구(32)와 클립출입구(48)를 통해 스페이서수납홈(46)으로 넣어서 노출된 허리부(54)에 결합하게 되면, 탄성클립(70)이 스페이서수납홈(46)과 스페이서(56) 사이에 개재되어 걸림작용을 하기 때문에 스페이서(56)가 스페이서수납홈(46)으로 진입할 수 없어 아래쪽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56)가 핀헤드부(44) 밑으로 더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핀헤드부(44)의 두께에 스페이서(56)의 돌출두께가 더해지면서 핀헤드부(44)가 헤드걸림턱(33)에 걸려 티홈(34)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게 되고, 핀(40)과 소켓(31)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탄성클립(70)을 허리부(54)에 끼울 때 환봉그립부(71)(72)의 단부에 형성된 역방향절곡부(71a)(72a)가 허리부(54)에 제일 먼저 접촉되면서 그 사이가 벌어지게 되고, 환봉그립부(71)(72)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리는 작용을 하여 결과적으로 허리부(54)가 환봉그립부(71)(72)에 부드럽게 진입되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 환봉그립부(71)(72)와 허리부(54)의 중심이 일치되는 순간 환봉그립부(71)(72)가 탄성클립(7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허리부(54)의 외경을 감싸는 형태로 잡게 된다.
이때 환봉그립부(71)(72)가 슬라이드로드(50)의 하단부와 스페이서(56)의 상면 사이에 위치되어 걸리면서 스페이서(56)가 스페이서수납홈(46)으로 진입되지 못하게 된다.
또, 탄성날개부(73)(74) 끝에 형성된 내면걸림부(73a)(74a)는 환봉그립부(71)(72)가 허리부(54)에 결합될 때 스페이서수납홈(46)과 클립출입구(48)가 만나는 모서리(46a)(46b)에 걸리면서 탄성클립(70)이 스페이서수납홈(46)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더욱이 탄성날개부(73)(74) 끝에 형성된 내면걸림부(73a)(74a)는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원호형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모서리(46a)(46b)을 부드럽게 타고 넘어가는데 도움이 된다.
또, 탄성클립(70)의 절곡부(75) 하측에 형성된 면취부(76)는 핀(40)이 회전되거나 전후좌우로 요동칠 때 티홈(34)의 내측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허리부(54)에 탄성클립(70)을 결합한 상태에서 스페이서(56) 저면과 티홈(34)의 바닥면 간에 유격이 있는 경우에는 슬라이드로드(50)가 스프링(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밀리면서 스페이서(56)가 티홈(34)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있게 되는데, 이 경우 서로 접속된 현수애자(20)가 바람 등에 의해 흔들려서 관절이 꺾이는 형태로 움직일 경우 슬라이드로드(50)를 통해 스프링(60)으로 힘이 전달되면서 완충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한편, 현수애자(20)의 연결부위를 서로 분리하는 경우에는 송곳이나 호스후크, 일자드라이버 또는 십자드라이버와 같이 가늘고 긴 도구를 이용해서 탄성클립(70)의 중앙에 형성된 절곡부(75)에 건 다음 인출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탄성클립(70) 사이가 벌어지면서 허리부(54)에서 이탈되고, 내면걸림부(73a)(74a)가 모서리(46a)(46b)를 타고 넘으면서 탄성날개부(73)(74)가 서로 오므라드는 과정을 통해 이탈되어 분리된다.
이와 같이 탄성클립(70)이 제거된 상태에서 핀헤드부(44)를 티홈(34)의 바닥면에 밀착시키게 되면, 슬라이드로드(50)가 가이드구멍(42)으로 진입되면서 스프링(60)이 압축되고, 스페이서(56)는 스페이서수납홈(46)으로 진입되어 핀헤드부(44)가 헤드출입구(32)를 통해 인출할 수 있는 높이로 되어 핀(40)과 소켓(31)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슬라이드로드(50)를 핀(40)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슬라이드로드(50) 중심에 형성된 통기공(52)을 통해 안팎의 공기가 소통되면서 가이드구멍(42) 내부에 부압이 형성되거나 공기가 압축되는 것이 방지되어 슬라이드로드(50)를 가이드구멍(42)으로부터 무난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20 : 현수애자 21 : 절연체
23,24 : 시멘트 30 : 캡
31 : 소켓 32 : 헤드출입구
33 : 헤드걸림턱 34 : 티홈
40 : 핀 42 : 가이드구멍
44 : 핀헤드부 46 : 스페이서수납홈
46a,46b : 모서리 48 : 클립출입구
50 : 슬라이드로드 52 : 통기공
54 : 허리부 56 : 스페이서
60 : 스프링 70 : 탄성클립
71,72 : 환봉그립부 71a,72a : 역방향절곡부
73,74 : 탄성날개부 73a,74a : 내면걸림부
75 : 절곡부 76 : 면취부

Claims (1)

  1. 절연체(21)의 상부에 씌워져 부착되는 캡(30)의 상단 꼭지부위에 소켓(31)이 형성되고, 티홈(34)이 상기 소켓(31)의 중앙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티홈(34)의 개방된 부위에 형성된 헤드출입구(32) 상측에 헤드걸림턱(33)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21)에 설치되고, 중심에 가이드구멍(42)이 형성되는 핀(40);
    상기 핀(4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구멍(42)이 중심으로 노출된 스페이서수납홈(46)이 저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서수납홈(46)으로 이어진 클립출입구(48)가 일측에 형성되는 핀헤드부(44);
    상기 가이드구멍(42)으로 삽입되어 안내되고, 양단을 관통하는 통기공(52)이 중심에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잘록한 허리부(54)가 형성되는 슬라이드로드(50);
    상기 허리부(54)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수납홈(46)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티홈(34)의 바닥면을 향해 출몰되는 납작한 형태의 스페이서(56);
    상기 가이드구멍(42)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로드(50)에 돌출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60);
    상기 클립출입구(48)를 통해 삽입되고, 상기 허리부(54)를 잡는 한 쌍의 환봉그립부(71)(72)가 끝부분에 원호모양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U"자 모양의 탄성클립(70);
    상기 환봉그립부(71)(72)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허리부(54)의 진입을 돕는 한 쌍의 역방향절곡부(71a)(72a);
    상기 탄성클립(70)의 측면 일부를 "ㄷ"자 모양으로 커팅해서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려서 형성하는 한 쌍의 탄성날개부(73)(74); 및
    상기 탄성날개부(73)(74)의 단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원호모양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클립출입구(48)와 스페이서수납홈(46)이 만나는 모서리(46a)(46b)에 걸리는 한 쌍의 내면걸림부(73a)(74a)를 포함하는 배전용 현수애자 연결장치.
KR1020150054384A 2015-04-17 2015-04-17 배전용 현수애자 연결장치 KR101545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384A KR101545616B1 (ko) 2015-04-17 2015-04-17 배전용 현수애자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384A KR101545616B1 (ko) 2015-04-17 2015-04-17 배전용 현수애자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616B1 true KR101545616B1 (ko) 2015-08-21

Family

ID=54061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384A KR101545616B1 (ko) 2015-04-17 2015-04-17 배전용 현수애자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6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938B1 (ko) * 2018-05-16 2019-08-08 한국전력공사 회전방지용 아이쇄클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358B1 (ko) 2012-07-02 2012-08-16 (주)대림엠이씨 설치가 용이한 송전용 가공전선 절연애자
KR101374357B1 (ko) 2013-08-26 2014-03-17 주식회사 에스앤씨하이텍 가공 송배전 선로용 절연애자
JP2014194891A (ja) 2013-03-29 2014-10-0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送電用がいしの保護カバ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358B1 (ko) 2012-07-02 2012-08-16 (주)대림엠이씨 설치가 용이한 송전용 가공전선 절연애자
JP2014194891A (ja) 2013-03-29 2014-10-0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送電用がいしの保護カバー
KR101374357B1 (ko) 2013-08-26 2014-03-17 주식회사 에스앤씨하이텍 가공 송배전 선로용 절연애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938B1 (ko) * 2018-05-16 2019-08-08 한국전력공사 회전방지용 아이쇄클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56148B2 (ja) シェービングブレードカートリッジ
EP2899737B1 (en) Electromagnetic relay
US3336666A (en) Insulation cutting tool
US20040166708A1 (en) Snap fitting electrical connector
DK156862B (da) Kontaktfatning med fjederboejle
JPS6143406Y2 (ko)
KR101901803B1 (ko)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KR101545616B1 (ko) 배전용 현수애자 연결장치
EP3259813A1 (en) Cable stripping tool
CN113613844B (zh) 尾柄折断去除工具及尾柄折断去除方法
US20180226776A1 (en) Cable Stripping Tool
JP2007276024A (ja) 遠隔操作用ヤットコに用いるアダプタ
JP2013198180A (ja) 間接活線用先端工具
KR100821720B1 (ko) 전선용 분기 슬리브
KR101229584B1 (ko) 호스클램프
JP5960233B2 (ja) 間接活線工事用コッター及び間接活線工事用アダプタ
JP2010098841A (ja) パッキン取付治具
JP5869021B2 (ja) 縁線接続用補助装置
KR20140028814A (ko) 조가선 고정부재와 이것을 구비한 케이블 행거
KR102090130B1 (ko) 체결장치
KR200264976Y1 (ko) 스냅링 및 스냅링 플라이어
JP4370174B2 (ja) Laコネクタ用着脱工具
US1821486A (en) Battery terminal clamp
JP2008178181A (ja) 高圧絶縁カバー
KR102187075B1 (ko) 와이어 서브 툴 및 와이어 서브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