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080B1 - 자동차용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080B1
KR101230080B1 KR1020110005758A KR20110005758A KR101230080B1 KR 101230080 B1 KR101230080 B1 KR 101230080B1 KR 1020110005758 A KR1020110005758 A KR 1020110005758A KR 20110005758 A KR20110005758 A KR 20110005758A KR 101230080 B1 KR101230080 B1 KR 101230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undercover
ho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4410A (ko
Inventor
오준홍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5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080B1/ko
Publication of KR20120084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20Longitudinally-split sleeves, e.g. collet 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17Retention by friction only, e.g. using springs, resilient sleeves, tapers
    • B23B31/1177Retention by friction only, e.g. using springs, resilient sleeves, tapers using resilient metallic rings or sle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26Securing milling cutters to the driving spi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대용량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전자장치를 차량내에서 사용할 경우 전자장치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지 못함에 따라 전자장치가 제대로 구동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엔진룸내의 물기나 습기로 인해 배터리터미널이나 어테치터미널이 쉽게 부식되어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후미에 힌지부(210)가 구비되고, 바닥에는 배터리(100)의 "+"단자(110)가 끼워지는 관통공(220)이 구비되어 배터리(100)의 "+"단자(110) 상면에 놓이는 언더커버(200)와; 관통공(220) 위에 놓이도록 언더커버(200) 내에 설치되어 관통공(220)을 통해 끼워지는 "+"단자(110)에 결합되며, 일측단의 체결공이 있는 조임부(310)는 조임볼트(320)에 의해 구경이 조절되고 타측단은 고정볼트(330)에 의해 언더커버(200)에 고정되는 배터리터미널(300)과; 일단은 언더커버(200) 내에서 배터리터미널(300)의 고정볼트(330)에 함께 결합되고, 타단은 언더커버(2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시동케이블(900)이 접속되는 어테치터미널(400)과; 일단은 배터리터미널(300)의 고정볼트(330)에 함께 결합되고, 타단은 언더커버(200) 내의 타측 공간에 놓이도록 제1볼트(510)로 고정되며, 상면에 한개 또는 복수의 제1보조접속봉(520)이 구비된 제1부스바(500)와; 후미의 힌지(710)가 힌지부(210)에 결합되어 언더커버(200)에서 회전식으로 개폐되는 어퍼커버(700);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대용량의 전자장치에 배터리(100)의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음에 따라 전자장치의 작동을 원활하게 히고, 엔진룸내의 물기나 습기로 부터 배터리터미널(300), 어테치터미널(400) 등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battery 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배터리 상면에 어퍼커버로 개폐되는 언더커버를 설치한후 그 언더커버내에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는 예비 전원공급부를 설치하여 대용량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전자장치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배터리의 "+"단자나 배터리터미널, 어테치터미널이 엔진룸내의 물기나 습기로 부터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엔진의 시동장치나 점화장치의 전장품을 비롯하여 램프류, 에어컨장치 등 많은 전기장치가 있으며, 이러한 전기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으로 축전지와 알터네이터가 있다.
현재 배터리는 MF배터리(Maintenance Free Battery)가 많이 사용되는데 이 MF배터리는 자기방전이나 전해액의 감소를 적게하기 위한 배터리로서 충/방전시 황산의 영향을 적게받는 납과 저안티몬 합금 및 납과 칼슘합금의 극판을 사용하여 자기장전을 적게하고 촉매장치를 이용하여 전해액을 넣고 충전전류를 흘려 충전시 발생하는 수소가스 및 산소가스를 물로 환원하여 전해액의 감소를 최소화한 것으로 MF배터리의 특징은 증류수를 보충할 필요가 없으며 자기방전이 적기 때문에 장시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MF배터리에는 충전지시계(State of charge indicator)가 내장되어 있어 지시계의 상태를 보면 전해액부족, 충전부족을 색깔로 알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MF배터리의 양측에는 가스누출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충전과 방전시 전해액과 극판의 화학작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가스를 가스누출 구멍을 통해 방출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알터네이터(Alternator)는 벨트로 엔진과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되어 엔진의 회전력을 이용한 교류발전기로서 발생한 전류를 직류로 교환해서, 배터리, 점화장치, 조명장치 그 외의 전동기구에 공급하게 되며, 근래에는 자동차의 고급화로 전동기구가 증가하고 소요전력이 증대됨에 따라 알터네이터의 고속운전이 필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알터네이터의 비중도 커지게 된다.
처음 시동을 걸때에는 배터리에 저장되어 있는 전기에너지를 끌어다가 사용하지만 일단 시동이 걸리면 알터네이터가 작동하는데 이 알터네이터는 운행중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생산함과 동시에 잉여에너지를 배터리에 저장하여 다음번 시동을 걸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1 에서와 같이 배터리(10)의 "+"단자(11)에 배터리터미널(20)을 접속한 상태에서 그 배터리터미널(20)의 일단에 어테치터미널(30)을 결합한 후 어테치터미널(30)에 시동케이블(40)을 접속하고, 시동케이블(40)은 스타트모터(도면중 미도시)에 연결되게 함으로써 배터리(10)의 전원이 스타트모터로 전달되어 시동이 걸리도록 한 것이고, 배터리터미널(20)과 어테치터미널(30)을 먼지나 이물질로 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별도의 커버(50)를 구비하였으나 이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근래에는 차량내에서 노트북이나, MP3, USB, EPS(이하 전자장치라 칭함)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접속장치가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접속장치는 모두 엔진룸에 설치된 릴레이 퓨즈박스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그런데 전자장치중 대용량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전자장치의 경우에는 퓨즈박스를 통해 공급받는 전원만으로는 부족하여 전자장치가 불안정하게 작동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자장치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배터리(10)의 전원을 직접 공급받아야 하나 종래 배터리(10)의 전원은 단순히 스타트모터에만 직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접속장치만이 설치되어 있어 배터리(10)의 전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배터리터미널(20)과 어테치터미널(30)을 먼지나 이물질로 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커버(50)를 씌워주는데 이는 커버(50)를 도 2에서와 같이 단순히 상면에서 덮어주는 것이므로 엔진룸내의 물기나 습기가 저면을 통하여 쉽게 침투할 수 있어 배터리터미널(20)과 어테치터미널(30)이 쉽게 부식되면서 배터리(10)의 전원이 안정적으로 공급되지 못하는 폐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의 전원을 직접 공급받는 보조 전원공급부를 다수 설치하여 대용량의 전자부품을 안정되게 차량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엔진룸내의 물기나 습기로 인하여 배터리터미널과 어테치터미널 등이 부식되는 것을 최소화 하여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후미에 힌지부가 구비되고, 바닥에는 배터리의 "+"단자가 끼워지는 관통공이 구비되어 배터리의 "+"단자 상면에 놓이는 언더커버와; 관통공 위에 놓이도록 언더커버 내에 설치되어 관통공을 통해 끼워지는 "+"단자에 결합되며, 일측단의 체결공이 있는 조임부는 조임볼트에 의해 구경이 조절되고 타측단은 고정볼트에 의해 언더커버에 고정되는 배터리터미널과; 일단은 언더커버 내에서 배터리터미널의 고정볼트에 함께 결합되고, 타단은 언더커버의 외부로 노출되어 시동케이블이 접속되는 어테치터미널과; 일단은 배터리터미널의 고정볼트에 함께 결합되고, 타단은 언더커버 내의 타측 공간에 놓이도록 제1볼트로 고정되며, 상면에 한개 또는 복수의 제1보조접속봉이 구비된 제1부스바와; 후미의 힌지가 힌지부에 결합되어 언더커버에서 회전식으로 개폐되는 어퍼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배터리의 "+"단자가 돌출될 수 있는 언더커버를 배터리 상면에 설치한 후 언더커버내에 배터리터미널, 어테치터미널은 물론 제1,2보조접속봉이 구비된 제1,2부스바를 설치하여 대용량의 전자장치에 배터리의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전자장치들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하고, 언더커버에 어퍼커버를 씌워 엔진룸의 물기나 습기로 인하여 배터리터미널, 어테치터미널 등의 부품이 부식되어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에 커버가 씌워지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종래 엔진룸에 설치된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에 커버가 씌워진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언더커버에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가 설치된 후 어퍼커버를 닫기 전의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언더커버에 배터리 접속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도 5 는 도 4 의 A-A선 단면도.
도 6 은 도 4 의 B-B선 단면도.
도 7a,7b는 본 발명에 따라 터미널 접속장치가 배터리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7a는 어퍼커버가 열린 상태이고, 7b는 어퍼커버가 닫힌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언더커버에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가 설치된 후 어퍼커버를 닫기 전의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언더커버에 배터리 접속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이며, 도 5 는 도 4 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 은 도 4 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7a,7b는 본 발명에 따라 터미널 접속장치가 배터리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7a는 어퍼커버가 열린 상태이고, 7b는 어퍼커버가 닫힌 상태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후미에 힌지부(210)가 구비되고, 바닥에는 배터리(100)의 "+"단자(110)가 끼워지는 관통공(220)이 구비되어 배터리(100)의 "+"단자(110) 상면에 놓이는 언더커버(200)와; 관통공(220) 위에 놓이도록 언더커버(200) 내에 설치되어 관통공(220)을 통해 끼워지는 "+"단자(110)에 결합되며, 일측단의 체결공이 있는 조임부(310)는 조임볼트(320)에 의해 구경이 조절되고 타측단은 고정볼트(330)에 의해 언더커버(200)에 고정되는 배터리터미널(300)과; 일단은 언더커버(200) 내에서 배터리터미널(300)의 고정볼트(330)에 함께 결합되고, 타단은 언더커버(2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시동케이블(900)이 접속되는 어테치터미널(400)과; 일단은 배터리터미널(300)의 고정볼트(330)에 함께 결합되고, 타단은 언더커버(200) 내의 타측 공간에 놓이도록 제1볼트(510)로 고정되며, 상면에 한개 또는 복수의 제1보조접속봉(520)이 구비된 제1부스바(500)와; 후미의 힌지(710)가 힌지부(210)에 결합되어 언더커버(200)에서 회전식으로 개폐되는 어퍼커버(7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배터리(100)의 "+"단자(110)에 배터리터미널(300)을 접속하고 그 배터리터미널(300)에 어테치터미널(400)을 접속한 상태에서 어테치터미널(400)에 스타트모터(도면중 미도시)와 결합된 시동케이블(900)이 접속되게 하여 배터리(100)의 전원을 이용하여 스터트모터를 구동시키고, 배터리터미널(300)과 어테치터미널(400)을 커버로 씌워 보호토록 한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언더커버(200)내에 배터리(100)의 전원을 직접 공급받는 예비 전원공급부를 구비하여 차량내에서 사용하는 전자부품에 전원을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배터리터미널(300)과 어테치터미널(400)을 언더커버(200)상면에 설치하고, 그 언더커버(200)에 어퍼커버(700)를 덮어서 배터리터미널(300)과 어테치터미널(400)을 외부에 전혀 노출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엔진룸 내부의 습기나 물기 등에 의해 배터리터미널(300)과 어테치터미널(400)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터리(100)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관통공(220)이 형성된 언더커버(200)를 구비하여 배터리(100)의 "+"단자(110)상면에 놓이게 하여 관통공(220)속으로 "+"단자(110)가 언더커버(200)내로 돌출되게 한다.
이후 배터리터미널(300)을 관통공(220)을 통해 돌출된 "+"단자(110)에 결합시키는데 배터리터미널(300)의 타측단은 고정볼트(330)에 의해 언더커버(200)에 고정되는 것이고. 배터리터미널(300)의 일측단에는 체결공(도면중 미도시)이 구비된 조임부(31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임볼트(320)를 조여주면 배터리터미널(300)은 "+"단자(110)에 견고하게 물리어 유동되지 않는 것이다.
여기서 배터리터미널(300)의 조임부(310)는 체결공이 비스듬히 위를 향하도록 경사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체결공구를 이용하여 조임볼트(320)를 체결시 다른 부품의 간섭을 받지 않고 조임볼트(320)를 체결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언더커버(200)의 관통공(220)내에는 배터리터미널(300)이 "+"단자(110)에 접속된후 유동되지 않도록 유동방지용 걸림부(221)를 형성함으로써 즉, 걸림부(221)가 배터리터미널(300)양 측면에 밀착되어 배터리터미널(300)이 "+"단자(110)에 더욱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배터리터미널(300)을 언더커버(200)에 설치한후 시동케이블(900)이 접속되는 어테치터미널(400)을 언더커버(200)내에 설치하는 것으로 어테치터미널(400)의 일단을 배터리터미널(300)을 언더커버(2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330)를 이용하여 언더커버(200)에 설치한다.
여기서 언더커버(200)의 일측에는 지지턱(231)이 구비된 장착부(230)를 형성함으로써 어테치터미널(400)의 타단을 장착부(230)에 안착시키면 지지턱(231)이 어테치터미널(400)의 양단을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어테치터미널(400)을 설치시 또는 어테치터미널(400)에 시동케이블(900)을 접속시 어테치터미널(4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언더커버(200)내에 배터리터미널(300)과 어테치터미널(400)을 설치한후 배터리(100)의 전원을 인가받는 제1부스바(500)를 언더커버(200)에 설치하는 것으로 즉, 제1부스바(500)의 일단은 배터리터미널(30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330)에 결합되게 하고, 타단은 제1볼트(510)에 의해 언더커버(200)의 고정되게 하는데 여기서 제1부스바(500)에는 제1보조접속봉(52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제1보조접속봉(520)에 전자장치가 접속되는 접속장치를 연결하면 배터리(100)의 전원이 제1부스바(500)를 통해 제1보조접속봉(520)에 전달되면서 전자장치를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부스바(500)에 구비되는 제1보조접속봉(520)은 한개 뿐만 아니라 두개 이상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언더커버(200)내에는 제1부스바(500)와 연결되는 제2보조접속봉(620)이 구비된 제2부스바(600)를 제2볼트(610)로 설치하는데 제1부스바(500)와 제2부스바(600)는 일정 암페어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면 단락되는 퓨즈(800)로 연결하여 제2부스바(600)의 제2보조접속봉(62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장치를 과전류로 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언더커버(200)내에 배터리(100)의 전원을 인가받는 제1보조접속봉(520)이 구비된 제1부스바(500)와 제2보조접속봉(620)이 구비된 제2부스바(600)를 설치함으로써 차량내에서 컴퓨터, MP3, USB 등의 전자장치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언더커버(200)내에 배터리터미널(300), 어테치터미널(400), 제1부스바(500), 제2부스바(600)등 여러 가지의 부품들을 설치한 후 이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언더커버(200)에 어퍼커버(700)를 설치하는데 언더커버(200)의 후미에는 힌지부(210)가 구비되어 있고, 어퍼커버(700)의 후미에는 힌지부(210)에 결합되는 힌지(71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어퍼커버(700)를 언더커버(200)에서 회전식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언더커버(200)의 선단에는 걸림턱(240)이 형성되고, 어퍼커버(700)의 선단에는 걸림턱(240)에 끼워지는 걸림공(721)이 구비된 걸림구(720)가 탄력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어퍼커버(700)를 닫아줄 경우에는 어퍼커버(700)로 언더커버(200)의 상면을 덮어 걸림공(721)속으로 걸림턱(240)이 끼워져 걸리면 어퍼커버(700)가 결합되는 것이고, 반대로 어퍼커버(700)를 열어 줄 경우에는 탄성체인 걸림구(720)를 누르면 걸림턱(240)이 걸림공(721)에서 이탈됨에 따라 어퍼커버(700)를 열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어퍼커버(700)는 언더커버(200)에 결합시 약 15°정도 경사지게 결합되게 하므로서 어퍼커버(700)를 닫아 언더커버(200)에 밀착시 어테치터미널(400)에 접속된 시동케이블(900)이 어퍼커버(700)에 눌리지 않아 전원이 스타트모터에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언더커버(200)내의 배터리(100)의 "+"단자(110)는 물론 배터리터미널(300), 어테치터미널(400), 제1,2부스바(500)(600), 제1,2보조접속봉(520)(620)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완전히 가려 줄 수 있으므로 물기나 습기등으로 인해 부식될 우려가 극히 적어 배터리(100)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배터리 110 : "+" 단자
200 : 언더커버 210 : 힌지부
220 : 관통공 221 : 걸림부
230 : 장착부 231 : 지지턱
240 : 걸림턱 300 : 배터리터미널
310 : 조임부 320 : 조임볼트
330 : 고정볼트 400 : 어테치터미널
500,600 : 제1,2부스바 510,610 : 제1,2볼트
520,620 : 제1,2보조접속봉 700 : 어퍼커버
710 : 힌지 720 : 걸림구
721 : 걸림공 800 : 퓨즈
900 : 시동케이블

Claims (5)

  1. 자동차의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후미에 힌지부(210)가 구비되고, 바닥에는 배터리(100)의 "+"단자(110)가 끼워지는 관통공(220)이 구비되어 배터리(100)의 "+"단자(110) 상면에 놓이는 언더커버(200)와;
    관통공(220) 위에 놓이도록 언더커버(200) 내에 설치되어 관통공(220)을 통해 끼워지는 "+"단자(110)에 결합되며, 일측단의 체결공이 있는 조임부(310)는 조임볼트(320)에 의해 구경이 조절되고 타측단은 고정볼트(330)에 의해 언더커버(200)에 고정되는 배터리터미널(300)과;
    일단은 언더커버(200) 내에서 배터리터미널(300)의 고정볼트(330)에 함께 결합되고, 타단은 언더커버(2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시동케이블(900)이 접속되는 어테치터미널(400)과;
    일단은 배터리터미널(300)의 고정볼트(330)에 함께 결합되고, 타단은 언더커버(200) 내의 타측 공간에 놓이도록 제1볼트(510)로 고정되며, 상면에 한개 또는 복수의 제1보조접속봉(520)이 구비된 제1부스바(500)와;
    후미의 힌지(710)가 힌지부(210)에 결합되어 언더커버(200)에서 회전식으로 개폐되는 어퍼커버(70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언더커버(200) 내의 공간에는 제2보조접속봉(620)이 구비된 제2부스바(600)를 제2볼트(610)로 설치하고,
    제1부스바(500)와 제2부스바(600)는 일정 암페어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면 단락되는 퓨즈(800)로 연결하여
    다양한 예비 전원공급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배터리터미널(300)의 조임부(310)는,
    체결공이 비스듬히 위를 향하도록 경사형으로 형성하여 조임볼트(320)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언더커버(200)의 관통공(220) 내에는 배터리터미널(300)의 유동방지용 걸림부(221)를 형성하고,
    언더커버(200)의 일측에는 어테치터미널(400)의 양단을 지지해주고 유동을 방지해 주는 지지턱(231)이 양단에 구비된 장착부(23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언더커버(200)의 선단에는 걸림턱(240)을 형성하고,
    어퍼커버(700)의 선단에는 걸림턱(240)에 끼워지는 걸림공(721)이 구비된 걸림구(720)를 탄력적으로 형성하여
    어퍼커버(700)의 닫힘상태가 유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
KR1020110005758A 2011-01-20 2011-01-20 자동차용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 KR101230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758A KR101230080B1 (ko) 2011-01-20 2011-01-20 자동차용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758A KR101230080B1 (ko) 2011-01-20 2011-01-20 자동차용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410A KR20120084410A (ko) 2012-07-30
KR101230080B1 true KR101230080B1 (ko) 2013-02-05

Family

ID=46715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758A KR101230080B1 (ko) 2011-01-20 2011-01-20 자동차용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0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092U (ko) 2016-10-11 2018-04-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조립체
KR20180059987A (ko) 2016-11-28 2018-06-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용 버스바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연결유니트
JP7453055B2 (ja) 2020-05-15 2024-03-19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のカバ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323B1 (ko) * 2011-12-28 2013-02-04 주식회사 인팩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
DE102015201881A1 (de) * 2015-02-04 2016-08-1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 Verbindungseinrichtung
KR101872832B1 (ko) * 2016-12-30 2018-06-2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배터리 단자 커버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9171A (ja) 2001-03-26 2002-10-04 Yazaki Corp バッテリカバー
KR100792416B1 (ko) 2006-09-20 2008-01-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스프링 레버 타입의 축전지 단자 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9171A (ja) 2001-03-26 2002-10-04 Yazaki Corp バッテリカバー
KR100792416B1 (ko) 2006-09-20 2008-01-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스프링 레버 타입의 축전지 단자 접속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092U (ko) 2016-10-11 2018-04-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조립체
KR20180059987A (ko) 2016-11-28 2018-06-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용 버스바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연결유니트
JP7453055B2 (ja) 2020-05-15 2024-03-19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のカ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410A (ko) 201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0080B1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
CN101099249B (zh) 电池组及机动车辆
US9533639B2 (en) High voltage connector system and method
CN105848969B (zh) 用于车辆的微混合动力电池模块
KR101198623B1 (ko) 조립성을 향상한 배터리 모듈
JP2012130108A (ja) 電源装置
US20130330594A1 (en) Manufacturing service disconnect that is part of busbar
US20170105306A1 (en) Switch Box
JP4113756B2 (ja) 電源供給ボックス
CN107210415B (zh) 电池模块汇流条连接组件
JP2004080841A (ja) 電気接続箱のバスバー構造
US20150151697A1 (en) Fuse circuit body for vehicle
US9508518B2 (en) Fuse unit
CN105206766B (zh) 一种防失电抛锚的汽车组合电池
CN207753229U (zh) 一种金属锁紧式连接器
KR20200001869U (ko) 배터리용 단자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대용량 배터리
US7358702B2 (en) Storage battery with auxiliary terminals
JP2002280083A (ja) 電流センサの取り付け構造
JP2012038643A (ja) バッテリ直付けヒューズ
CN109742284B (zh) 一种可拆卸式汽车能源电池
KR100628659B1 (ko) 차량용 배터리와 워터히터콘트롤박스 전원공급구조
KR101052774B1 (ko) 자동차의 축전지 케이블과 시동 및 충,방전 케이블의 연결장치
CN219163617U (zh) 电池包
CN219651130U (zh) 一种新能源汽车配电盒及新能源汽车
CN219144352U (zh) 一种新型电池系统承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