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323B1 -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323B1
KR101229323B1 KR1020110144546A KR20110144546A KR101229323B1 KR 101229323 B1 KR101229323 B1 KR 101229323B1 KR 1020110144546 A KR1020110144546 A KR 1020110144546A KR 20110144546 A KR20110144546 A KR 20110144546A KR 101229323 B1 KR101229323 B1 KR 101229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body member
vehicle
cov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태
배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to KR1020110144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1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01H2085/0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a binding post of a storage batt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배터리 터미널과 케이블 터미널이 장착되는 바디부재와, 힌지결합부에 의해 상기 바디부재와 힌지 결합하여 상기 바디부재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재의 상부 일측에는 내부에 삽입홈을 가지고 상하 개구되는 퓨즈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버스바에 의해 상기 배터리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퓨즈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PROTECTION CAP FOR BATTERY TERMINAL OF VEHICLE}
본 발명은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에 퓨즈가 구비되는 차량의 배터리 터미널을 보호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되는 각종 전장류의 부품은 크게 엔진의 시동계통에 연관되어 동력전달에 관여하는 전기 및 전자 시스템류의 부품과, 제동계통과 조향계통에 각각 연관되는 전자제어 시스템류의 부품, 및 전조등과 방향지시등류, 시인성 전기장치류의 부품 등 다양한 전장부품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의 각종 전장류 부품들은 와이어 하니스라고 지칭되는 전선을 매개로 배터리로부터 작동전원을 인가받도록 되어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와이어 하니스의 선단에는 배터리에 연결하기 위한 터미널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 터미널 장치는 배터리의 전극과 전장부품에 연결된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터리 터미널과, 배터리 터미널을 배터리의 전극에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감전사고 예방과 자가방전을 억제하기 위해 배터리 터미널에 부착되는 터미널 보호캡으로 구성된다.
도 1과 도 2는 이와 같이 배터리 터미널을 보호하도록 구비되는 종래의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을 도시한 것으로,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6548호(특허문헌 1)에 개시되었다. 여기서,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은 배터리의 배터리단자(1)에 체결되는 배터리터미널(10)과, 배터리터미널(10)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회전부(30)와, 회전부(30)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배터리단자(1)를 커버하는 커버부(50)를 포함한다.
이때, 배터리터미널(10)은 터미널몸체(11)와, 배터리단자(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터미널몸체(11)의 일단에 형성되는 양 단부(12)와, 양 단부(12)에 수평하게 체결되어 양 단부(12)를 조여서 배터리단자(1)에 터미널몸체(11)를 체결시키는 체결부(13)와, 터미널몸체(11)의 타측에 형성되어 배선이 연결되는 배선연결부(15)를 포함한다.
그리고, 터미널몸체(11)는 "U" 형상으로 제작되며, 체결부(13)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배선연결부(15)는 차량의 각종 부하인 전장품들과 연결된 배선과 연결되는 배선단자일 수 있다. 이때, 배선연결부(15)는 배선과 연결되는 단자(15a)에 수직하게 체결되는 볼트(15b) 및 너트(15c)로 구성된다.
체결부(13)는 양 단부(12)에 수평하게 관통되는 힌지볼트(13a)와, 힌지볼트(13a)와 결합되는 너트(13b)를 포함한다.
회전부(30)는 회전몸체(31)와, 회전몸체(31)의 일단에 형성되어 체결부(13)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힌지홀(33)과, 회전몸체(31)의 타단에 형성되어 커버부(50)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회전축(35)을 포함한다.
커버부(50)는 내부에 배터리단자(1)가 수용되는 수용공간(52)을 갖는 커버몸체(51)와, 커버몸체(51)의 후방부에 형성되어 회전부(30)와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회전홀(53)과, 수용공간(52)에 형성되어 체결부(13)에 락킹되는 락킹부(55)를 포함한다.
여기서, 커버몸체(51)는 수용공간(52)을 이용하여 배터리단자(1)를 덮어서 커버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홀(53)은 일측이 개구된 "C" 형상으로 되어 회전부(30)의 회전축(35)에 끼워지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락킹부(55)는 원통형상으로 제작되며 내부에 내측돌기(55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내측돌기(55a)는 배선연결부(15)의 볼트(15b)의 나사산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커버몸체(51)는 회전부(30)의 회전축(35)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배터리단자(1)를 커버하면서, 락킹부(55)의 락킹에 의해 커버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체결부(13)에 락킹되도록 수용공간(52)의 일측에는 쐐기형상의 걸림돌기(57a)를 갖는 보조락킹부(57)가 형성되며, 걸림돌기(57a)가 터미널몸체(11)의 외측에 걸림으로써 보조락킹부(57)에 의해 커버몸체(51)는 커버된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은, 단순히 배터리단자(1)의 상부를 커버몸체(51)가 덮는 구조로서 수밀성에 취약하며, 따라서 우천시나 세차시에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의 내부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침투하여, 배터리터미널과 배터리단자 사이에 접촉불량을 발생시킴으로써, 각종 전장부품의 작동불능을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전장부품에 과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배터리의 일측에 별도의 차량용 퓨즈박스가 구비되었고,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에는 퓨즈가 구비되지 않았으므로, 배터리 터미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새로운 전기회로의 추가에 어려움이 있다.
특허문헌 1 :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6548호(2009.07.0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 내부로 수분과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배터리 터미널의 일측에 퓨즈가 구비되어 별도의 1개 회로를 용이하게 추가 구성할 수 있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배터리 터미널과 케이블 터미널이 장착되는 바디부재와, 힌지결합부에 의해 상기 바디부재와 힌지 결합하여 상기 바디부재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재의 상부 일측에는 내부에 삽입홈을 가지고 상하 개구되는 퓨즈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버스바에 의해 상기 배터리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퓨즈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퓨즈고정부의 하단 개구부에 실링커버가 구비되어, 습기와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된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연결된 전선이 상기 실링커버를 지나 상기 퓨즈에 접속되도록, 상기 실링커버의 일측에 전선삽입홀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실링커버의 일측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퓨즈고정부의 하단 개구부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 결합되는 고정돌기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바디부재의 상부를 덮을 때 수밀을 위해, 상기 힌지결합부와 인접하는 상기 바디부재의 일측 모서리 상단에는 제1결합돌부가 상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힌지결합부와 인접하는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 모서리 하단에는 상기 제1결합돌부가 대응 결합하도록 제1결합홈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재는, 케이블 터미널의 외측을 개폐하도록 케이블 터미널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의 상단에는 제2결합돌부가 상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 일측에는 상기 제2결합돌부가 대응 결합하도록 제2결합홈부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바디부재에서 상기 힌지결합부의 반대편 모서리와 상기 개폐부의 반대편 모서리에는 하단 테두리를 따라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바디부재의 상부를 덮을 때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이 상기 단턱에 지지된다.
이때, 상기 제1결합홈부 또는 상기 제2결합홈부에 실링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에 의하면, 바디부재와 커버부재의 결합시 바디부재의 결합돌부가 커버부재의 결합홈부에 대응 결합됨으로써, 바디부재와 커버부재 결합시 수밀성이 향상되어, 배터리 단자와 배터리 터미널의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배터리 터미널과 케이블 터미널의 조기 부식을 방지하여, 배터리에서 전기부품으로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재에 별도의 퓨즈가 구비됨으로써, 과전류 차단 기능을 가진 별도의 전기회로를 용이하게 추가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외부의 수분이나 이물질이 퓨즈와 접촉하지 못하도록 바디부재의 하단에 실링커버가 구비됨에 따라, 퓨즈의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커버부재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커버부재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바디부재의 장착홈에 배터리 터미널과 케이블 터미널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의 저면도.
이하, 본 발명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커버부재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이하, '보호캡')(100)은, 후술하는 배터리 터미널(410)과 케이블 터미널(431,432)이 장착되는 바디부재(200)와, 바디부재(20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바디부재(200)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재(300)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바디부재(200)의 상측 표면에는 배터리 터미널(410)과 케이블 터미널(431,432)이 장착될 수 있도록 낮게 단차진 장착홈(210)이 형성되고, 장착홈(210)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퓨즈(500)가 장착되도록 퓨즈고정부(220)가 바디부재(20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이때, 퓨즈고정부(220)는 내부에 삽입홈(221)이 형성되고 상하 개구된 블록 형상으로서, 퓨즈고정부(220)의 상단은 바디부재(200)의 상부로 연장되고, 하단은 바디부재(200)의 하부로 연장되어 폭이 확장 형성된다.
또한, 장착홈(210)의 타측에는 원형의 삽입공(230)이 관통 형성되며, 이 삽입공(230)을 통해 바디부재(200)의 하단으로부터 배터리 단자(미도시)가 끼워져 돌출된다.
바디부재(200)의 다른 일측,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터미널(431,432)의 와이어 하네스(미도시) 결합부가 위치되는 쪽에 개폐부(240)가 전후방향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 개폐부(240)는 제1케이블 터미널(431)에 와이어 하네스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시에는 힌지부(241)를 중심으로 개폐부(240)를 회동시켜 열어서 제1케이블 터미널(43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다음 와이어 하네스를 제1케이블 터미널(431)에 결합하고, 개폐부(240)를 닫을 때에는 개폐부(240)의 선단에 마련되는 결합부(242)를 바디부재(200)의 측벽 모서리에 끼워 고정시킨다.
커버부재(300)는 내부에 공간부(310)가 형성되고 하단이 개구된 함체형으로서, 힌지결합부에 의해 바디부재(20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며, 공간부(310)를 이루는 커버부재(300)의 측벽에는 강도보강을 위해 테두리를 따라 복수의 보강리브(311)가 서로 이격하여 커버부재(30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힌지결합부는 바디부재(200)의 일측에 구비되는 힌지축부(250)와, 커버부재(300)의 일측에 구비되는 힌지축수용부(320)를 포함하한다.
즉, 커버부재(300)의 힌지축수용부(320)와 바디부재(200)의 힌지축부(250)가 힌지 결합함으로써, 커버부재(300)는 바디부재(200)에 대하여 상하방향 회동 가능하고, 커버부재(300)의 회동에 의해 바디부재(200)의 상측이 개폐되는 것이다. 여기서, 전술한 구성과는 반대로, 바디부재(200)의 일측에 힌지축수용부(320)가 구비되고, 커버부재(300)의 일측에 힌지축부(250)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커버부재(300)가 회동하여 바디부재(200)의 상측을 덮어서 결합되었을 때, 바디부재(200)와 커버부재(300) 간의 수밀성 향상을 위해, 바디부재(200)의 상단 테두리 일측에는 결합돌부(261,262)가 형성되고, 커버부재(300)의 하단 테두리 일측에는 결합홈부(331,332)가 형성되며, 커버부재(300)의 결합홈부(331,332)에 바디부재(200)의 결합돌부(261,262)가 대응 결합하게 된다.
일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결합부와 인접하는 바디부재(200)의 일측 모서리 상단, 즉, 바디부재(200)의 힌지축부(250)가 구비되는 쪽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제1결합돌부(261)가 상향 돌출형성되고, 개폐부(24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제2결합돌부(262)가 상향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힌지결합부와 인접하는 커버부재(300)의 일측 모서리 하단, 즉, 커버부재(300)의 힌지축수용부(320)가 구비되는 쪽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제1결합홈부(331)가 단차 형성되고, 바디부재(200)와 커버부재(300)의 결합시 바디부재(200)의 개폐부(240) 상단과 맞닿는 커버부재(300)의 하단 부분 테두리를 따라 제2결합홈부(332)가 단차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부재(300)가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바디부재(200)를 덮게 되면, 바디부재(200)의 제1,제2결합돌부(261,262)는 커버부재(300)의 제1,제2결합홈부(331,332)에 각각 대응 결합되며, 제1,제2결합돌부(261,262)가 제1,제2결합홈부(331,332)의 측벽에 밀착됨에 따라 수분 및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제2결합홈부(331,332)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고무나 실리콘 등 탄성재질의 실링부재(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바디부재(200)와 커버부재(300)의 결합력에 의해 실링부재가 탄성 변형되면서 제1,제2결합돌부(261,262)에 밀착됨에 따라 실링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보이게 된다.
한편, 바디부재(200)에서 제1,제2결합돌부(261,262)가 형성되지 않는 테두리 부분의 하단에는 단턱(270)이 형성되고, 결합시 커버부재(300)에서 제1,제2결합홈부(331,332)가 형성되지 않는 하단 테두리 부분이 이 단턱(270)에 지지된다.
즉, 도 4의 경우를 예로 들면, 바디부재(200)에서 힌지축부(250)의 반대편과, 개폐부(240)의 반대편에는 하단 테두리를 따라 단턱(270)이 형성되고, 결합시 이에 대응되는 커버부재(300)의 하단 부분이 이 단턱(270)에 지지되어 바디부재(200)의 측벽(201)과 커버부재(300)의 측벽(301)이 밀착됨으로써, 수분 및 이물질의 침투가 방지된다.
커버부재(300)가 회동하여 바디부재(200)를 덮을 때, 커버부재(300)의 록킹부(340)가 바디부재(200)의 수용부(280)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록킹(locking)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수용부(280)는 바디부재(200)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소정거리 이격하여 형성되는데, 힌지축부(250)의 반대편 하단 모서리 중앙에서 외측으로 소정거리 이격한 후 상향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향 절곡된 수용부(280)의 내측에는 걸림돌기(미도시)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록킹부(340)는 커버부재(300)의 일측에서 상향 절곡 형성되는데, 힌지축수용부(320)의 반대편 하단 모서리 중앙에서 상향 절곡 형성되고, 록킹부(340)의 상단은 외측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며, 록킹부(340) 상단 외측에는 전술한 수용부(280)의 걸림돌기와 대응하는 복수의 걸림턱(341)이 형성된다.
커버부재(300)의 회동에 의한 바디부재(200)와의 결합시, 커버부재(300)의 록킹부(340)는 수용부(280)의 내측과 바디부재(200)의 측벽(201) 사이 이격공간으로 삽입되며, 록킹부(340)의 상단이 외측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져서 형성됨에 따라 수용부(280) 삽입시 록킹부(340)는 탄성 변형된다.
이때, 록킹부(340)의 걸림턱(341)에 수용부(280)의 걸림돌기가 걸려서 지지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걸림턱(341)이 걸림돌기를 가압함으로써, 커버부재(300)가 바디부재(200)에 고정되는 것이다. 록킹 해제시에는 록킹부(340)를 눌러서 걸림돌기와 걸림턱(341)을 분리시키고, 커버부재(300)를 위쪽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언록킹이 이루어진다.
한편, 록킹부(340)의 양측에 이격하여 수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350)는 록킹부(340)의 결합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며, 록킹시 수용부(280)의 양측에 위치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바디부재의 장착홈에 배터리 터미널과 케이블 터미널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바디부재(200) 상측의 장착홈(210)에 배터리 터미널(410)이 안착되는데, 이 배터리 터미널(410)은 전체적으로 "U" 자 형태이며, 삽입공(230)을 통해 삽입된 배터리 단자가 끼워지는 끼움구멍(411)을 가진다.
그리고, 배터리 터미널(410)의 일측에는 끼움구멍(411)을 조여서 배터리 단자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420)가 구비되며, 이 체결부재(420)는 조절부재(421)를 조이거나 풀 때, 끼움구멍(411)을 조이거나 풀게 된다.
또한, 배터리 터미널(410)의 일단에는 와이어 하네스가 결합되는 제1케이블 터미널(431)이 제1고정부재(441)에 의해 상측에 고정되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케이블 터미널(432)이 제2고정부재(442)에 의해 제1케이블 터미널(431)의 상측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1케이블 터미널(431)에 와이어 하네스 결합시 개폐부(240)를 전후방향으로 회동시켜 용이하게 와이어 하네스를 결합시킬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때, 제1,제2케이블 터미널(431,432)은 차량의 각종 부하인 전장품들에 연결된 전선으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하여, 배터리에서 각 전장부품들로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장착홈(210)의 일측에 형성되는 퓨즈고정부(220)의 삽입홈(221)에 퓨즈(500)가 삽입·장착되며, 이 퓨즈(500)는 버스바(Busbar)(450)에 의해 배터리 터미널(4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버스바(450)는 일단이 제1고정부재(441)에 의해 제1케이블 터미널(431)의 상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퓨즈고정부(220)의 일측에 절개 형성되는 슬릿(미도시)를 통해 퓨즈(500)의 일측에 접속된다.
이때, 퓨즈(500)는 배터리 터미널(410)과 제1케이블 터미널(431)을 통해 과전류가 공급될 때 회로를 차단시켜 퓨즈(500)에 연결된 전기부품으로 과전류의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의 저면도이다.
바디부재(200)의 저면에는 강도보강을 위해 격자형리브(202)가 형성된다.
그리고, 바디부재(200)의 저면 일측에는 퓨즈고정부(220)가 하향 연장되어 폭이 확장된 하단 개구부(290)가 위치하는데, 이 개구부(290)는 퓨즈(500)가 장착된 삽입홈(221)과 상하방향으로 연통한다.
따라서, 이 개구부(290)를 통해 습기 및 이물질이 삽입홈(221)으로 침투하여 퓨즈(500)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또는 실리콘 등 탄성재질의 실링커버(600)가 개구부(290)에 결합된다.
이때, 실링커버(600)의 일측에는 걸림홈(610)이 형성되고, 개구부(290)의 일측에는 고정돌기(291)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실링커버(600)의 걸림홈(610)에 대응 결합된다. 즉, 개구부(290)에 실링커버(600) 결합시 실링커버(600)가 탄성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실링커버(600)가 탄성 변형되면서 고정돌기(291)를 넘어서 삽입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실링커버(600)의 걸림홈(610)에 고정돌기(291)가 걸려서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실링커버(600)의 일측에는 전선삽입홀(620)이 관통 형성되는데, 이 전선삽입홀(620)을 통해 외부의 전선이 퓨즈(500)로 연결된다. 즉, 별도의 차량용 퓨즈박스를 거치지 않고도, 보호캡(100)에 구비되는 퓨즈(500)에 의해 과전류가 차단되는 전기회로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보호캡 200 : 바디부재
210 : 장착홈 220 : 퓨즈고정부
230 : 삽입공 240 : 개폐부
250 : 힌지축부 261 : 제1결합돌부
262 : 제2결합돌부 270 : 단턱
280 : 수용부 290 : 개구부
300 : 커버부재 310 : 공간부
320 : 힌지축수용부 331 : 제1결합홈부
332 : 제2결합홈부 340 : 록킹부
350 : 가이드부 410 : 배터리 터미널
431 : 제1케이블 터미널 432 : 제2케이블 터미널
450 : 버스바 500 : 퓨즈
600 : 실링커버 610 : 걸림홈
620 : 전선삽입홀

Claims (8)

  1. 배터리 터미널(410)과 케이블 터미널(431,432)이 장착되는 바디부재(200)와, 힌지결합부(242)에 의해 상기 바디부재(200)와 힌지 결합하여 상기 바디부재(200)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재(300)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재(200)의 상부 일측에는 내부에 삽입홈(221)을 가지고 상하 개구되는 퓨즈고정부(2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21)에는 버스바(450)에 의해 상기 배터리 터미널(4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퓨즈(50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퓨즈고정부(220)의 하단 개구부(290)에 실링커버(600)가 구비되어, 습기와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
  3. 청구항 2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연결된 전선이 상기 실링커버(600)를 지나 상기 퓨즈(500)에 접속되도록, 상기 실링커버(600)의 일측에 전선삽입홀(6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링커버(600)의 일측에는 걸림홈(610)이 형성되고, 상기 퓨즈고정부(220)의 하단 개구부(290)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610)에 대응 결합되는 고정돌기(291)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300)가 상기 바디부재(200)의 상부를 덮을 때 수밀을 위해, 상기 힌지결합부(242)와 인접하는 상기 바디부재(200)의 일측 모서리 상단에는 제1결합돌부(261)가 상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힌지결합부(242)와 인접하는 상기 커버부재(300)의 일측 모서리 하단에는 상기 제1결합돌부(261)가 대응 결합하도록 제1결합홈부(3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재(200)는, 케이블 터미널(431)의 외측을 개폐하도록 케이블 터미널(431)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240)의 상단에는 제2결합돌부(262)가 상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재(300)의 하단 일측에는 상기 제2결합돌부(262)가 대응 결합하도록 제2결합홈부(3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재(200)에서 상기 힌지결합부(242)의 반대편 모서리와 상기 개폐부(240)의 반대편 모서리에는 하단 테두리를 따라 단턱(270)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300)가 상기 바디부재(200)의 상부를 덮을 때 상기 커버부재(300)의 하단이 상기 단턱(270)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홈부(331) 또는 상기 제2결합홈부(332)에 실링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
KR1020110144546A 2011-12-28 2011-12-28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 KR101229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546A KR101229323B1 (ko) 2011-12-28 2011-12-28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546A KR101229323B1 (ko) 2011-12-28 2011-12-28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9323B1 true KR101229323B1 (ko) 2013-02-04

Family

ID=47898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546A KR101229323B1 (ko) 2011-12-28 2011-12-28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3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22309A1 (fr) * 2021-04-27 2022-10-28 Psa Automobiles Sa Boitier de protection de connecteurs electriqu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1751A (ja) 1997-07-15 1999-02-12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ッテリー搭載用電気接続箱
JP2004134278A (ja) 2002-10-11 2004-04-30 Yazaki Corp 電源供給ボックス
JP2010083164A (ja) 2008-09-29 2010-04-15 Yazaki Corp バッテリターミナル用カバー
KR20120084410A (ko) * 2011-01-20 2012-07-3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1751A (ja) 1997-07-15 1999-02-12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ッテリー搭載用電気接続箱
JP2004134278A (ja) 2002-10-11 2004-04-30 Yazaki Corp 電源供給ボックス
JP2010083164A (ja) 2008-09-29 2010-04-15 Yazaki Corp バッテリターミナル用カバー
KR20120084410A (ko) * 2011-01-20 2012-07-3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22309A1 (fr) * 2021-04-27 2022-10-28 Psa Automobiles Sa Boitier de protection de connecteurs electriques
WO2022229520A1 (fr) * 2021-04-27 2022-11-03 Psa Automobiles Sa Boitier de protection de connecteurs electriqu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5396B2 (ja) 電気接続箱
JP5194609B2 (ja) 機器用コネクタ
US9438018B2 (en) Junction box
US9331462B2 (en) Junction box
WO2011129336A1 (ja) コネクタ
EP2244344B1 (en) Waterproof structure of electric junction box
PT894328E (pt) Caixa de fusiveis para automoveis
US9142828B2 (en) Fuse unit for vehicles
KR101272555B1 (ko) 배터리 퓨즈 터미널 장치
JP2009124874A (ja) 電気接続箱
KR20210111929A (ko) 차량의 배터리용 퓨즈 박스
KR101229323B1 (ko)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보호캡
KR200439567Y1 (ko) 정션박스의 상부커버 배수구조
JP2002330529A (ja) 電源分配ボックス
KR20120126383A (ko) 배터리 터미널 보호용 캡
JP2020031517A (ja) 電気接続箱
KR200451607Y1 (ko) 배터리 터미널용 캡
KR102132033B1 (ko) 정션박스
JP4116728B2 (ja) 電子機器ケースのシール構造
US10636605B2 (en) Fusible link unit
KR200414929Y1 (ko) 방수형 접지 단자함
JP6904988B2 (ja) 電気接続箱
KR102132032B1 (ko) 정션박스
KR102132031B1 (ko) 정션박스
KR102088885B1 (ko) 정션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