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032B1 - 정션박스 - Google Patents

정션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032B1
KR102132032B1 KR1020200022493A KR20200022493A KR102132032B1 KR 102132032 B1 KR102132032 B1 KR 102132032B1 KR 1020200022493 A KR1020200022493 A KR 1020200022493A KR 20200022493 A KR20200022493 A KR 20200022493A KR 102132032 B1 KR102132032 B1 KR 102132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housing
hook
junction box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6354A (ko
Inventor
최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00022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032B1/ko
Publication of KR20200056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션박스에 관한 것으로, 평면상 다각 형상인 배터리의 코너 부위에 접하는 하우징, 하우징을 상기 배터리의 일측면에 결속하는 제 1결합부, 및 하우징을 배터리의 일측면에 이웃한 타측면에 결속하는 제 2결합부를 포함하고, 하우징을 배터리의 상면에 놓음에 연동되어 동시에 제 1결합부와 제 2결합부에 의해 배터리에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정션박스의 하우징과 배터리를 2곳에서 결속하는데, 하우징을 배터리의 설정 위치로 내려놓는 동작에 연이어 2곳의 결속부위가 동시에 로킹(locking) 작동됨에 따라, 하우징과 배터리의 결합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션박스{JUNCTION-BOX}
본 발명은 정션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션박스의 하우징과 배터리를 2곳에서 결속하는데, 하우징을 배터리의 설정 위치로 내려놓는 동작에 연이어 2곳의 결속부위가 동시에 로킹(locking) 작동되어 하우징과 배터리의 결합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되고, 상호 로킹을 위한 부품수를 줄여 제조단가를 저감시키고자 하는 정션박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차량이 고급화되고 차량내부의 전기장치들이 복잡해짐에 따라 정션박스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정션박스는 여러 전장부품과 관련된 퓨즈를 집합시켜 놓은 것으로, 예를 들어 자동차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각종 전장부품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정션박스가 배터리와 직접 연결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정션박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커버는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한다. 커버의 내부에는 버스바, 터미널, 퓨즈 등이 구비된다.
정션박스가 배터리 상면에 요입되게 형성된 배터리시트에 얹어지고, 동시에 정션박스 내부에 안착된 터미널이 배터리에 구비된 단자와 결합되어 배터리로부터 차량 내부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터미널과 배터리단자 사이의 결합과 함께, 정션박스는 외곽에 형성된 마운팅브라켓에 의해 차량 내부에 장착된다. 즉, 마운팅브라켓에는 나사체결공이 형성되어 클립과 나사 결합된다. 클립은 케이블을 고정하고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차량내부에 안착된다. 따라서, 정션박스는 클립과 결합된 상태로 차량내부에 장착된다.
본 발명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55031호(발명의 명칭: 배터리용 퓨즈박스의 장착구조,2007.08.28. 등록)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정션박스는 배터리 상면에 마운팅 조립을 위해 적어도 2곳에서 별도로 체결 조립해야 함에 따라 조립 작업성이 저하되고, 조립에 따른 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션박스의 하우징과 배터리를 2곳에서 결속하는데, 하우징을 배터리의 설정 위치로 내려놓는 동작에 연이어 2곳의 결속부위가 동시에 로킹(locking) 작동되어 하우징과 배터리의 결합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정션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와 정션박스용 하우징의 결속부위 2곳이 동시에 로킹 작동되도록 구성을 단순화함으로써, 상호 로킹을 위한 부품수를 줄여 제조단가를 저감시키고자 하는 정션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션박스는: 평면상 다각 형상인 배터리의 코너 부위에 접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상기 배터리의 일측면에 결속하는 제 1결합부; 및 상기 하우징을 상기 배터리의 일측면에 이웃한 타측면에 결속하는 제 2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배터리의 상면에 놓여짐에 연동되어 동시에 상기 제 1결합부와 상기 제 2결합부에 의해 상기 배터리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 둘레면에서 탄성적으로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 1탄성플레이트; 상기 제 1탄성플레이트에서 상기 하우징 측으로 돌출되는 제 1걸림후크; 및 상기 배터리의 일측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걸림후크가 걸리도록 하는 제 1구속돌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 1걸림후크가 상기 제 1구속돌부를 지난 후 일정 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스토퍼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 둘레면에서 탄성적으로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 2탄성플레이트; 상기 제 2탄성플레이트에서 상기 하우징 측으로 돌출되는 제 2걸림후크; 및 상기 배터리의 타측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2걸림후크가 걸리도록 하는 제 2구속돌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 2걸림후크가 상기 제 2구속돌부를 지난 후 일정 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2스토퍼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션박스는 종래 기술과 달리 정션박스의 하우징과 배터리를 2곳에서 결속하는데, 하우징을 배터리의 설정 위치로 내려놓는 동작에 연이어 2곳의 결속부위가 동시에 로킹(locking) 작동되어 하우징과 배터리의 결합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와 정션박스용 하우징의 결속부위 2곳이 동시에 로킹 작동되도록 구성을 단순화함으로써, 상호 로킹을 위한 부품수를 줄여 제조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를 배터리에 마운팅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를 배터리에 마운팅한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를 배터리로부터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에 장착된 정션박스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에 장착된 정션박스의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에 정션박스를 마운팅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션박스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를 배터리에 마운팅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를 배터리에 마운팅한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를 배터리로부터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에 장착된 정션박스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에 장착된 정션박스의 측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에 정션박스를 마운팅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20)는 하우징(22), 제 1결합부(100) 및 제 2결합부(200)를 포함한다.
하우징(22)은 버스바, 퓨즈 및 릴레이 등이 장착되고, 배터리(10)의 상측에 놓여진 채 배터리(1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게 된다.
특히, 배터리(10)는 평면상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배터리(10)는 평면상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우징(22)은 배터리(10)의 상측면의 코너(corner) 부위에 놓여진 채 배터리(10)와 연결된다. 아울러, 하우징(22)은 장착된 버스바, 퓨즈 및 릴레이 등을 보호하기 위해 캡(24)에 의해 상측이 덮여진다. 물론, 하우징(22)과 캡(24)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제 1결합부(100)는 배터리(10)의 설정된 상면 코너에 위치한 하우징(22)을 배터리(10)의 일측 둘레면에 결속하는 역할을 하고, 제 2결합부(200)는 배터리(10)의 설정된 상면 코너에 위치한 하우징(22)을 배터리(10)의 타측 둘레면에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하우징(22)은 배터리(10)의 상면에 놓여짐에 연동되어 동시에 제 1결합부(100)와 제 2결합부(200)에 의해 배터리(10)에 결속된다.
즉, 하우징(22)이 배터리(10)의 상면의 설정 위치로 놓여지는 동작에 연동되어 제 1결합부(100)에 의해 배터리(10)의 일측 둘레면에 결속됨과 동시에 제 2결합부(200)에 의해 배터리(10)의 타측 둘레면에 결속된다.
이로 인해, 정션박스(20)의 하우징(22)을 배터리(10)에 결속하는 조립 과정이 용이하고, 결속하는 시간이 단축된다.
한편, 제 1결합부(100)는 제 1탄성플레이트(110), 제 1걸림후크(120) 및 제 1구속돌부(130)를 포함한다.
아울러, 제 2결합부(200)는 제 2탄성플레이트(210), 제 2걸림후크(220) 및 제 2구속돌부(23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하우징(22)이 배터리(10)의 상면에 놓여지면서, 제 1탄성플레이트(110)와 제 2탄성플레이트(210)는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진 후 배터리(10)에 동시에 결속된다.
더욱 상세히, 제 1결합부(100)의 제 1탄성플레이트(110)는 하우징(22)의 일측 둘레면에서 탄성적으로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된다. 물론, 제 1탄성플레이트(110)는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제 1걸림후크(120)는 제 1탄성플레이트(110)에서 하우징(22) 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제 1걸림후크(120)는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제 1구속돌부(130)는 배터리(10)의 일측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어, 제 1걸림후크(120)를 따라 이동된 후 제 1걸림후크(120)에 걸리게 된다. 그래서, 하우징(22)이 배터리(10)로부터 배터리(10)의 상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물론, 제 1구속돌부(130)는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제 1탄성플레이트(110)는, 제 1걸림후크(120)가 제 1구속돌부(130)에 견고하게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강을 위해 외측면에 제 1보강리브(112)를 돌출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결합부(200)의 제 2탄성플레이트(210)는 하우징(22)의 일측 둘레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웃한 하우징(22)의 타측 둘레면에서 탄성적으로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된다. 물론, 제 2탄성플레이트(210)는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제 2걸림후크(220)는 제 2탄성플레이트(210)에서 하우징(22) 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제 2걸림후크(220)는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제 2구속돌부(230)는 배터리(10)의 타측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어, 제 2걸림후크(220)를 따라 이동된 후 제 2걸림후크(220)에 걸리게 된다. 그래서, 하우징(22)이 배터리(10)로부터 배터리(10)의 상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물론, 제 2구속돌부(230)는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제 2탄성플레이트(210)는, 제 2걸림후크(220)가 제 2구속돌부(230)에 견고하게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강을 위해 외측면에 제 2보강리브(212)를 돌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10)는 제 1걸림후크(120)가 제 1구속돌부(130)를 타고 이동된 후 일정 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스토퍼(140)를 돌출 형성한다. 즉 제 1걸림후크(120)는 상측이 제 1구속돌부(130)에 접하여 지지되고, 하측이 제 1스토퍼(140)에 접하여 지지됨으로써, 정션박스(20)의 하우징(22)은 흔들림이 방지되고, 배터리(10)에 견고하게 결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제 1스토퍼(14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배터리(10)는 제 2걸림후크(220)가 제 2구속돌부(230)를 타고 이동된 후 일정 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2스토퍼(240)를 돌출 형성한다. 즉 제 2걸림후크(220)는 상측이 제 2구속돌부(230)에 접하여 지지되고, 하측이 제 2스토퍼(240)에 접하여 지지됨으로써, 정션박스(20)의 하우징(22)은 흔들림이 방지되고, 배터리(10)에 견고하게 결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제 2스토퍼(24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때, 제 1스토퍼(140)와 제 2스토퍼(240)는 배터리(10)의 둘레면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비연속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구속돌부(130)와 제 2구속돌부(230)는 배터리(10)의 둘레면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비연속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배터리 20: 정션박스
22: 하우징 24: 캡
100: 제 1결합부 110: 제 1탄성플레이트
120: 제 1걸림후크 130: 제 1구속돌부
140: 제 1스토퍼 200: 제 2결합부
210: 제 2탄성플레이트 220: 제 2걸림후크
230: 제 2구속돌부 240: 제 2스토퍼

Claims (2)

  1. 평면상 다각 형상인 배터리의 코너 부위에 접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상기 배터리의 일측면에 결속하는 제 1결합부; 및 상기 하우징을 상기 배터리의 일측면에 이웃한 타측면에 결속하는 제 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배터리의 상면에 놓여짐에 연동되어 동시에 상기 제 1결합부와 상기 제 2결합부에 의해 상기 배터리에 결속되며,
    상기 제 1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 둘레면에서 탄성적으로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 1탄성플레이트; 상기 제 1탄성플레이트에서 상기 하우징 측으로 돌출되는 제 1걸림후크; 및 상기 배터리의 일측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걸림후크가 걸리도록 하는 제 1구속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 1걸림후크가 상기 제 1구속돌부를 지난 후 일정 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스토퍼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제 2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 둘레면에서 탄성적으로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 2탄성플레이트; 상기 제 2탄성플레이트에서 상기 하우징 측으로 돌출되는 제 2걸림후크; 및 상기 배터리의 타측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2걸림후크가 걸리도록 하는 제 2구속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탄성플레이트는, 상기 제 2걸림후크가 상기 제 2구속돌부에 견고하게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강을 위해 외측면에 제 2보강리브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 2걸림후크가 상기 제 2구속돌부를 지난 후 일정 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2스토퍼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KR1020200022493A 2020-02-24 2020-02-24 정션박스 KR102132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493A KR102132032B1 (ko) 2020-02-24 2020-02-24 정션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493A KR102132032B1 (ko) 2020-02-24 2020-02-24 정션박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563A Division KR102088885B1 (ko) 2018-11-14 2018-11-14 정션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354A KR20200056354A (ko) 2020-05-22
KR102132032B1 true KR102132032B1 (ko) 2020-07-08

Family

ID=70914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493A KR102132032B1 (ko) 2020-02-24 2020-02-24 정션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0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734B1 (ko) 2014-12-30 2015-08-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블록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181U (ko) * 2008-07-24 2010-02-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734B1 (ko) 2014-12-30 2015-08-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354A (ko)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2443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US9438018B2 (en) Junction box
US9331462B2 (en) Junction box
JP5580058B2 (ja) 電気接続箱の固定構造
US9142828B2 (en) Fuse unit for vehicles
KR101405623B1 (ko) 자동차용 전장박스
WO2014181654A1 (ja) 電気接続箱
WO2014199576A1 (ja) バッテリーセンサの位置決め具、これを備えるバッテリーセンサアッセンブリ、及びバッテリーセンサ
US8474645B2 (en) Waterproof case
KR102132033B1 (ko) 정션박스
KR102132032B1 (ko) 정션박스
KR102132031B1 (ko) 정션박스
KR102088885B1 (ko) 정션박스
US20130327566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0755031B1 (ko) 배터리용 퓨즈박스의 장착구조
KR200444213Y1 (ko) 배터리용 퓨즈박스의 결합구조
KR200439567Y1 (ko) 정션박스의 상부커버 배수구조
JP2009112077A (ja) 車載用の電気接続箱
JP5566066B2 (ja) 電気接続箱
JP6238873B2 (ja) 電気接続箱
KR101001887B1 (ko) 차량용 박스
US10636605B2 (en) Fusible link unit
JP6904988B2 (ja) 電気接続箱
KR102338384B1 (ko) 배터리 퓨즈박스
JP4023238B2 (ja) ヒューズ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