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832B1 - 배터리 단자 커버 구조 - Google Patents

배터리 단자 커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832B1
KR101872832B1 KR1020160183891A KR20160183891A KR101872832B1 KR 101872832 B1 KR101872832 B1 KR 101872832B1 KR 1020160183891 A KR1020160183891 A KR 1020160183891A KR 20160183891 A KR20160183891 A KR 20160183891A KR 101872832 B1 KR101872832 B1 KR 101872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ide locking
locking portion
main body
u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보람
박민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60183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H01M2/30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4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comprising means for preventing corrosion, e.g. covers, enclosures filled with g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에 설치된 배터리를 커버하는 배터리 단자 커버 구조는, 내부에 복수의 단자 및 퓨즈가 설치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 상측에 설치되어 개폐 가능한 상측커버와, 일 단은 상기 메인바디 상측과 맞물리는 상기 상측커버 하면에 설치되고, 타 단은 상기 상측커버의 일 면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해제위치와, 상기 상측커버의 일 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해제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며, 상기 상측커버 및 상기 메인바디의 조립을 해제하는 커버측 락킹부 및 상기 메인바디 상측에서 상기 커버측 락킹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해제위치 시, 상기 커버측 락킹부가 해제되는 바디측 락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커버는, 상기 상측커버의 일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해제위치 시, 상기 상측커버의 일 면과 마주하는 상기 커버측 락킹부의 일 면과 면접하며, 상기 커버측 락킹부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단자 커버 구조{Terminal Covering Structure for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 단자 커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배터리 단자 커버의 상측커버와 메인바디를 락킹하는 락킹부재의 과변형을 방지하는 배터리 단자 커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배터리가 장착되어 차량의 시동 및 점화, 조명 및 기타 전장품의 전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배터리에는 배터리에 장착된 단자와, 와이어 등이 설치된 메인바디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배터리 단자 커버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배터리 단자 커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복수의 단자가 설치되어 있는 메인바디(12)와, 메인바디(12) 상에 설치되어 메인바디(12) 상측을 커버하는 상측커버(14) 등을 포함하고, 상측커버(14)는 상기 상측커버(14)의 일 면에 형성되며, 상측커버(14) 및 상기 메인바디(12)와 상측커버(14)의 조립 및 조립 해제를 안내하는 락킹부재(14)를 포함하고, 메인바디(12)는, 메인바디(12)이 일 면에 형성되며, 상기 락킹부재(14)가 상측커버(14) 및 메인바디(12)를 조립하는 조립위치에서 락킹부재(14)의 상태를 고정하는 상태고정부(18) 등을 포함한다.
상기 락킹부재(14)가 상측커버(14)와 메인바디(12)를 조립할 때, 락킹부재(14)와 상태고정부(18)가 걸림되며 조립된다. 보다 자세하게, 작업자가 상측커버(14)의 일 면에 형성된 락킹부재(14)를 상측커버(14) 방향으로 밀어 메인바디(12)의 상태고정부(18) 하면에 상태고정부(16)와 맞물리는 락킹부재(14)의 락킹턱이 맞물리도록 한다.
이때, 상측커버(14)와 메인바디(12)를 분리할 때, 작업자가 락킹부재(14)를 상측커버(14) 방향으로 밀어낸다. 이때, 작업자가 락킹부재(14)에 힘을 가하게 되는데, 상기 락킹부재(14)를 밀어내는 힘은 작업자의 주관적인 힘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락킹부재(14)를 과도하게 밀어낼 경우, 락킹부재(14)와 상측커버(14)의 일 면이 맞닿을 때까지 작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락킹부재(14)의 하단 부분이 백화가 발생하여 제품의 미관 및 기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다르게, 작업자가 락킹부재(14)를 상측커버(14)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면 락킹부재(14)의 락킹턱과 메인바디(12)의 상태고정부(18)의 체결이 해제되어 상측커버(14)와 메인바디(12)의 조립이 해제되게 된다.
이때, 상측커버(14)와 메인바디(12)의 조립 해제가 아닌 상태에서 인위적인 힘에 의해 락킹부재(14)를 당기게 되면 상측커버(14)와 락킹부재(14)가 분리되므로 락킹부재(14)가 파손 및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터리 캡 단자를 커버하는 커버의 상측커버와 메인바디의 조립을 위한 락킹부재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는 배터리 단자 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차량에 설치된 배터리를 커버하는 배터리 단자 커버 구조에 있어서, 내부에 복수의 단자 및 퓨즈가 설치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 상측에 설치되어 개폐 가능한 상측커버와 일 단은 상기 메인바디 상측과 맞물리는 상기 상측커버 하면에 설치되고, 타 단은 상기 상측커버의 일 면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해제위치와, 상기 상측커버의 일 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해제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며, 상기 상측커버 및 상기 메인바디의 조립을 해제하는 커버측 락킹부 및 상기 메인바디 상측에서 상기 커버측 락킹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해제위치 시, 상기 커버측 락킹부가 해제되는 바디측 락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커버는, 상기 상측커버의 일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해제위치 시, 상기 상측커버의 일 면과 마주하는 상기 커버측 락킹부의 일 면과 면접하며, 상기 커버측 락킹부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배터리 단자 커버의 조립 및 조립 해제 시, 작업자가 작업자의 주관적인 힘을 제한함으로써, 상측커버와 메인바디를 락킹하는 커버측 락킹부에 과도한 힘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커버측 락킹부의 파손 및 변형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캡 단자 커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배터리 단자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절단선 Ⅴ-Ⅴ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절단선 Ⅵ-Ⅵ에 따른 단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터리 단자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절단선 Ⅴ-Ⅴ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절단선 Ⅵ-Ⅵ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터리 단자 커버 구조는 차량에 설치된 배터리 캡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배터리 단자 커버 구조는 내부에 복수의 단자 및 퓨즈 등이 설치된 메인바디(120)와, 메인바디(120) 상측에 설치되어 개폐 가능한 상측커버(140)와, 일 단은 메인바디(120) 상측과 맞물리는 상측커버(140) 하면에 설치되고, 타 단은 상측커버(140)의 일 면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해제위치(도 5 참고)와, 상기 상측커버(140)의 일 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해제위치(도 6 참고) 사이에서 회동하며, 상측커버(140) 및 메인바디(120)의 조립을 해제하는 커버측 락킹부(160)와, 메인바디(120) 상측에서 커버측 락킹부(160)를 향해 연장 형성되며, 제1 해제위치 시, 커버측 락킹부(160)가 해제되는 바디측 락킹부(180)를 포함한다.
구성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커버측 락킹부(160)의 일 단은 상측커버(140)의 하측과 인접한 단부인 예를 들고, 커버측 락킹부(160)의 타 단은 상측커버(140)의 상측과 인접한 단부인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상기 커버측 락킹부(160) 일 단 및 타 단의 위치는 변경 가능하다.
이때, 상측커버(140)는, 상기 상측커버(140)의 일 면에 형성되며, 제1 해제위치 시, 상측커버(140)의 일 면과 마주하는 커버측 락킹부(160)의 일 면과 면접하며, 커버측 락킹부(160)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변형방지부(150)에 의하여 커버측 락킹부(160)를 상측커버(140) 일 면 방향으로 밀 때, 작업자가 커버측 락킹부(160)를 상측커버(140) 일 면 방향으로 과도하게 밀어 커버측 락킹부(160)와 상측커버(140)의 일 면이 충돌하여 부재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커버측 락킹부(160)가 과도하게 회동하는 것을 막아 커버측 락킹부(160)의 파손 및 변형을 최소화하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 변형방지부(150)는, 커버측 락킹부(160)의 일 단 및 커버측 락킹부(160)의 타 단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소정 간격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Rib)일 수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측 락킹부(160)와 변형방지부(150) 사이에는 간극(G)이 형성된다. 상기 간극(G)은 커버측 락킹부(160)가 제1 해제위치일 때, 작업자가 커버측 락킹부(160)를 상측커버(140) 방향으로 밀어내는 공간이다. 상기 간극(G)에 의해, 커버측 락킹부(160)의 소성변형을 방지하고, 커버측 락킹부(160)의 변형량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커버측 락킹부(160)가 조립되면, 커버측 락킹부(160)와 바디측 락킹부(180)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커버측 락킹부(160)는 바디측 락킹부(180)의 상단에 걸림되는 제1 걸림턱(162)을 포함하고, 바디측 락킹부(180)는 상기 제1 걸림턱(162)의 상면과 접하는 제2 걸림턱(182)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의 배터리 단자 커버(100)의 제1 해제위치로의 구동 과정을 살펴보면, 작업자는 커버측 락킹부(160)의 상측을 잡아 상측커버(140)의 일 면을 향해 누른다.
이때, 상측커버(140)의 일 면과 커버측 락킹부(160) 사이에 형성된 간극(G)만큼 커버측 락킹부(160)가 탄성 변형되므로, 커버측 락킹부(160)의 변형 정도가 제한되어 커버측 락킹부(160)의 변형 및 파손을 최소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커버측 락킹부(160)를 누르면 상측커버(140)의 일 면과 대향하는 커버측 락킹부(160)의 일면은 상측커버(140)의 일 면과 접할 수 있다. 이때, 커버측 락킹부(160)의 일 면이 상측커버(140)의 일 면과 직접 접해 커버측 락킹부(160)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측커버(140)의 일면에 상, 하 방향을 따라 리브 형상의 변형방지부(150)를 마련하여 커버측 락킹부(160)와 상측커버(140)가 접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버측 락킹부(160)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이후, 커버측 락킹부(160)의 누름을 해제하면, 커버측 락킹부(160)가 상기 간극(G)만큼 복원되며, 상기 과정에서 커버측 락킹부(160)의 제1 걸림턱(162)과 제2 걸림턱(182)이 상, 하로 맞물리며 커버측 락킹부(160)와 바디측 락킹부(180)가 조립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배터리 단자 커버(100)의 상측커버(140)는, 상기 상측커버(140)의 일 면보다 커버측 락킹부(160)와 인접한 전면(前面)의 일 단에서 상측커버(140)의 일 면과 나란하게 커버측 락킹부(160)를 향해 연장 형성되며, 커버측 락킹부(160)이 상측커버(14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지는 제2 해제위치 시, 커버측 락킹부(160)의 타 단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회동제한부(170)를 포함한다.
즉, 도 4 및 도 6를 참고하면, 상측커버(140)의 일 면에는 커버측 락킹부(160)가 설치되는 설치홈(130)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커버측 락킹부(160)는 상측커버(140)의 일 면에서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메인바디(120)와 상측커버(140)를 조립 및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측커버(140)의 일 면은 설치홈(130)의 내측면인 예를 들고, 상측커버(140)의 전면(前面)은 설치홈(130)의 외측면인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상기 예시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커버측 락킹부(160)는, 상기 커버측 락킹부(160)의 일 면에서 상측커버(140)의 전면(前面)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제2 해제위치 시, 회동제한부(170)와 면접하는 락킹부측 회동제한부(190)를 포함한다.
즉, 상측커버(140)와 메인바디(120)가 조립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커버측 락킹부(160)를 상측커버(14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과도하게 당기면, 상기 제1 걸림턱(162)과 제2 걸림턱(182)의 조립된 상태가 어긋나게 된다. 이로 인해, 커버측 락킹부(160)와 바디측 락킹부(180)의 조립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락킹부측 회동제한부(190)가 상측커버(140)에 형성된 회동제한부(170)의 단부에 걸림된다. 이로 인해 커버측 락킹부(160)가 상측커버(140)와 멀어지는 각도가 제한됨에 따라 작업자가 과도한 힘으로 커버측 락킹부(160)를 상측커버(140)와 멀어지도록 당겨 커버측 락킹부(160)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터리 단자 커버(100)의 조립 및 조립 해제 시, 작업자가 작업자의 주관적인 힘을 제한함으로써, 상측커버(140)와 메인바디(120)를 락킹하는 커버측 락킹부(160)에 과도한 힘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커버측 락킹부(160)의 파손 및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배터리 단자 커버
120: 메인바디
140: 상측커버
150: 변형방지부
160: 커버측 락킹부
170: 회동제한부
180: 바디측 락킹부
190: 락킹부측 회동제한부

Claims (4)

  1. 차량에 설치된 배터리를 커버하는 배터리 단자 커버 구조에 있어서,
    내부에 단자 및 퓨즈가 설치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 상측에 설치되어 개폐 가능한 상측커버;
    일 단은 상기 메인바디 상측과 맞물리는 상기 상측커버 하면에 설치되고, 타 단은 상기 상측커버의 일 면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해제위치와, 상기 상측커버의 일 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해제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며, 상기 상측커버 및 상기 메인바디의 조립을 해제하는 커버측 락킹부; 및
    상기 메인바디 상측에서 상기 커버측 락킹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해제위치 시, 상기 커버측 락킹부가 해제되는 바디측 락킹부; 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커버는,
    상기 상측커버의 일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해제위치 시, 상기 상측커버의 일 면과 마주하는 상기 커버측 락킹부의 일 면과 면접하며, 상기 커버측 락킹부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커버는,
    상기 상측커버의 일 면보다 상기 커버측 락킹부와 인접한 전면(前面) 일 단에서 상기 상측커버의 일 면과 나란하게 상기 커버측 락킹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해제위치 시, 상기 커버측 락킹부 타 단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회동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단자 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부는,
    상기 커버측 락킹부의 일 단 및 상기 커버측 락킹부의 타 단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소정 간격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단자 커버.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측 락킹부는,
    상기 커버측 락킹부의 일 면에서 상기 상측커버의 전면(前面)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 해제위치 시, 상기 회동제한부와 면접하는 락킹부측 회동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단자 커버.

KR1020160183891A 2016-12-30 2016-12-30 배터리 단자 커버 구조 KR101872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891A KR101872832B1 (ko) 2016-12-30 2016-12-30 배터리 단자 커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891A KR101872832B1 (ko) 2016-12-30 2016-12-30 배터리 단자 커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832B1 true KR101872832B1 (ko) 2018-06-29

Family

ID=62780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891A KR101872832B1 (ko) 2016-12-30 2016-12-30 배터리 단자 커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8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8900A (ja) * 2006-04-14 2007-11-01 Yazaki Corp 電気接続箱
KR20120084410A (ko) * 2011-01-20 2012-07-3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
JP6004189B2 (ja) * 2013-06-04 2016-10-05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8900A (ja) * 2006-04-14 2007-11-01 Yazaki Corp 電気接続箱
KR20120084410A (ko) * 2011-01-20 2012-07-3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
JP6004189B2 (ja) * 2013-06-04 2016-10-05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3297B2 (en) Connector
US5800208A (en) Movable connector-mounting construction
US7029328B1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US4797512A (en) Branch wire protector
US5876244A (en) Connector cover
US10714869B2 (en) Connector
EP3457501B1 (en) A connector housing comprising a cover
JP6243220B2 (ja) 電気接続箱
CN101523676A (zh) 螺纹式缆线密封装置
JP7207233B2 (ja) コネクタ
US10153464B2 (en) Battery cover
US20190312374A1 (en) Connector assembly with locking feature
US6196858B1 (en) Circuit breaking device
JP2021034237A (ja) コネクタ
KR20180076697A (ko) 부싱단자용 절연커버
KR101872832B1 (ko) 배터리 단자 커버 구조
WO2019239685A1 (ja) 電気接続箱
US20030045150A1 (en) Socket for a contamination-protected plug connection as well as plug connection
KR20090116771A (ko) 밀봉가능한 전기 커넥터
CN110383595B (zh) 连接器
JP2008235070A (ja) コネクタ
JP3960259B2 (ja) コネクタの接続構造
KR102183176B1 (ko) 충전 인렛
JP2006324069A (ja) 端子カバー
CN104012191A (zh) 用于容纳电子装置的壳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