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176B1 - 충전 인렛 - Google Patents

충전 인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176B1
KR102183176B1 KR1020190079512A KR20190079512A KR102183176B1 KR 102183176 B1 KR102183176 B1 KR 102183176B1 KR 1020190079512 A KR1020190079512 A KR 1020190079512A KR 20190079512 A KR20190079512 A KR 20190079512A KR 102183176 B1 KR102183176 B1 KR 102183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protective cover
cover
housing
charg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환
이우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to KR1020190079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충전 인렛은 충전 아웃렛과 결합되는 충전부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탈착되어 상기 충전부를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충전부를 모두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바디; 상기 커버바디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충전부에 삽입되는 보호부; 및 상기 커버바디의 일 측에서 연장되고, 충전 인렛에 고정되는 락킹홀이 형성된 락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락킹홀은 충전 인렛의 일 측에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락핀에 체결 또는 해제되는 특징으로 하여, 별도의 추가 부품없이도 보호커버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하우징에 완전 체결여부를 확인가능 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충전 인렛{CHARGING INLE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 인렛을 보호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충전 인렛이다.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므로, 차량을 일정 시간 운행하게 되면 배터리가 방전되기 때문에 충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전기자동차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인렛이 차체에 형성되고, 충전 인렛 내부에는 충전 아웃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단자, 전원단자, 접지단자 등 다수의 단자들이 배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자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충전 인렛에는 보호커버가 장착되며, 보호커버는 비충전시 충전 인렛에 외부 불순물이 유입되거나 단자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만 보호커버는 충전 시에는 충전 인렛과 충전 아웃렛의 결합을 위해 분리되어야 하므로, 반복적인 탈착에 의해 충전 인렛과의 결합력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보호커버의 장착여부를 확인하기 번거로워 미완전 체결에 따라 임의로 충전 인렛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호커버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완전 체결여부를 확인 가능한 충전 인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충전 인렛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충전 아웃렛과 결합되는 충전부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탈착되어 상기 충전부를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하우징을 모두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바디; 상기 커버바디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충전부에 삽입되는 보호부; 및 상기 커버바디의 일 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락킹홀이 형성된 락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락킹홀은 충전 인렛의 일 측에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락핀에 체결 또는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핀은 일 측에 형성된 체결단이 상기 락킹홀에 삽입 체결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체결단이 상기 락킹홀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보호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 또는 분리가능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하우징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도, 상기 충전 인렛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탈되지 않도록 차체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의 일 측에 조립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접촉되어 상기 보호커버의 삽발력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는 그 형상이 상기 충전부의 외각과 동일하되, 상기 조절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바디에는 상기 조절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체크윈도우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보호부의 일 측에 접촉되어 상기 보호커버의 삽입력 대한 반발력을 발생시키는 접촉씰;과 상기 접촉씰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부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보호커버가 완전 체결되는 경우 상기 체크윈도우에 노출되는 체크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에는 상기 조절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홀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체크플레이트에는 돌출되어 상기 방지홀의 일 측에 접촉되는 방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부는 서로 다른 상기 충전 아웃렛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제1,2 충전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제1,2 충전부와 각각 결합되도록 상기 커버바디가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전부는 서로 다른 상기 충전 아웃렛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제1,2 충전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제1,2 충전부를 모두 덮도록 상기 커버바디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1,2 충전부에 각각 삽입되는 제1,2 보호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충전 인렛은 락핀에 체결 및 해제되는 락킹부를 구비하여, 비충전시 보호커버가 임의로 충전 인렛에서 이탈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며, 이에 따라 차량 운행 또는 외부 충력에 의해 단자 등 충전 인렛의 파손가능성을 절감시킨다.
이때 락핀은 충전 시 충전 아웃렛이 체결 또는 해제되는 구성으로, 별도의 잠금 장치를 필요로하지 않아 보호커버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충전 인렛 도어를 제외시킬 수 있어 원감를 절감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충전 인렛은 조절부의 체크플레이트의 일 면이 보호커버의 완전 체결에 따라 체크윈도우로 노출되는 구조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보호커버의 완전체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충전 인렛의 파손 가능성을 현저히 절감시키는 동시에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충전 인렛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보호커버 및 조절부의 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조절부의 분해 사시도.
도 5 (a) 및 도 5 (b)는 도 1의 Ⅴ-Ⅴ 방향 단면도에 락핀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의 보호커버와 조절부의 조립 과정을 확대 도시한 Ⅵ-Ⅵ 방향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보호커버와 조절부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c)는 도 1의 보호커버가 하우징에 체결 과정을 도시한 Ⅷ-Ⅷ 방향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충전 인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보호커버 및 조절부의 다른 방향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a) 및 도 5 (b)는 도 1의 Ⅴ-Ⅴ 방향 단면도에 락핀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보호커버와 조절부의 조립 과정을 확대 도시한 Ⅵ-Ⅵ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보호커버와 조절부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1의 보호커버가 하우징에 체결 과정을 도시한 Ⅷ-Ⅷ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충전 인렛(10)은 충전 아웃렛과 결합되는 충전부(110)가 형성된 하우징(100) 및 상기 하우징(100)에 탈착되어 상기 충전부(110)를 보호하는 보호커버(200)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커버(200)는 상기 충전부(110)를 모두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바디(210), 상기 커버바디(210)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충전부(110)에 삽입되는 보호부(220) 및 상기 커버바디(210)의 일 측에서 연장되고, 충전 인렛(10)에 고정되는 락킹홀(231)이 형성된 락킹부(230)를 포함하며, 충전 인렛(10)의 일 측에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락핀(400)에 체결 또는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호커버(200)는 상기 하우징(100)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도, 상기 충전 인렛(1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충전 인렛(10)에 연결되는 연결부(240)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호부(220)의 일 측에 조립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일 측에 접촉되어 상기 보호커버(200)의 삽발력을 조절하는 조절부(300)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보호부(220)는 형상이 상기 충전부(110)의 외각과 동일하되, 상기 조절부(300)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슬라이드부(22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0)은 충전 아웃렛이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충전부(110)가 형성되며, 차체에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충전부(110)는 서로 다른 충전 아웃렛이 결합되는 제1 충전부(110)와 제2 충전부(110)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완속 충전과 급속 충전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의 충전 아웃렛을 하나의 충전 인렛(10)에 체결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하우징(100)은 충전부(110)에 충전 아웃렛이 보다 정확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충전 아웃렛의 형상에 대응하여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홈의 내부에는 단자들이 배치된다.
보호커버(200)는 커버바디(210)와, 충전부(110)에 삽입되는 보호부(220)와, 충전 인렛(10)에 고정되는 락킹부(230)를 포함하여 비충전 시 충전부(110)의 외측에 배치되어 불순물 유입을 방지하고, 외력에 의한 파손 등 손상가능성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또한 차체의 일 측에 고정되는 연결부(240)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250)가 더 형성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킨다.
커버바디(210)는 충전부(110)의 외측을 모두 덮도록 형성되되, 충전 인렛(10)과 차체에 형성된 충전 도어와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커버바디(210)는 보호커버(200)가 하우징(100)에 완전 체결되는 최외측에 배치되어 일차적으로 충전부(110)를 보호한다.
또한 보호커버(200)가 하우징(100)에 완전 체결되는 경우 체크윈도우(211)의 일 측면이 커버바디(210) 외측면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조절부(300)의 위치에 대응하여 체크윈도우(211)가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호커버(200)의 완전 체결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한다.
보호부(220)는 커버바디(210)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고, 보호커버(200)가 하우징(100)에 장착됨에 따라 충전부(110)에 삽입되어 차량 운행 또는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한다. 따라서 보호부(220)는 그 형상이 충전부(110)의 외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충전부(110)가 제1,2 충전부(111,112)(110)로 형성되는 경우, 각 형상에 맞는 제1,2 보호부(221,222)로 형성되어 각각의 충전부(1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부(220)의 일 측에는 조절부(300)의 이동 경로가 되는 슬라이드부(22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슬라이드부(223)는 조절부(3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드로드(2231)와, 조절부(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홀(2232)로 형성된다.
슬라이드로드(2231)는 접촉씰(310)과 충전부(110)가 접촉됨에 따라 체크플레이트(320)가 미리 정해진 방향(위치)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보호커버(200)의 완전 체결에 따라 노출부(324) 체크윈도우(211)를 통해 정확히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슬라이드로드(2231)는 체크윈도우(211)의 위치에 대응하여 보호커버(200)의 삽입방향을 따라 보호부(220)의 일 측에 형성되며, 체크플레이트(320)의 슬라이드가이드(322)가 조립될 수 있도록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슬라이드부(223)는 반드시 보호부(220)의 일 측에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보호커버(200) 장착 시 커버바디(210)와 맞닿은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슬라이드부(223)의 위치에 대응하여 슬라이드부(223)와 조절부(30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야 한다.
방지홀(2232)은 슬라이드로드(2231)의 일 측을 관통 형성되며, 체크플레이트(320)에 형성된 방지돌기(323)와 맞닿아 조절부(300)가 소정 거리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보호커버(200)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체크플레이트(320)의 일 측에 형성된 노출부(324) 체크윈도우(211)로 노출될 수 있도록 방지홀(2232)은 체크윈도우(211)의 위치에 대응하여 커버바디(210)의 내측면에서 슬라이드로드(2231)를 따라 미리 정해진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락킹부(230)는 커버바디(210)의 일 측에서 연장되고, 충전 인렛(10)의 일 측에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락핀(400)의 일 단이 체결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락핀(400)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관통된 락킹홈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락핀(400)의 일 단은 비충전 시 제1 위치(A)로 이동하여 락킹홀(231)의 내측에 체결되어 보호커버(200)를 고정하고, 충전을 위한 경우 제2 위치(B)로 이동하여 락킹홀(231)의 외측에 배치되어 보호커버(20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 후 다시 제1 위치(A)로 이동하여 충전 아웃렛의 일 측에 체결된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보호커버(200)는 종래 구성을 활용하여 별도의 잠금 구조 설계없이도 보호커버(200)가 하우징(100)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며, 이에 따라 충전 인렛(10) 도어를 제외할 수 있어 원가 절감 효과를 갖는다.
연결부(240)는 차체와 커버바디(210) 각각에 고정되는 고정부(241)와, 각 고정부(241)를 연결하는 연장부(242)로 형성되어, 보호커버(200)가 하우징(100)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도 충전 인렛(1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보호커버(200)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부(241)는 차체와 커버바디(210) 각각에 형성된 홈 또는 홀에 억지 끼움방식으로 끼워진다. 따라서 고정부(241)의 크기는 홈 또는 홀보다 크게 형성되되 일 방향으로 절개되어 절개된 부분을 중심으로 탄성 변형되어 홈 또는 홀에 고정된다.
연장부(242)는 차체와 커버바디(210) 각각에 고정된 고정부(241)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다만 일예의 연결부(240)의 연장부(242)는 차체에 고정되는 하나의 고정부(241)에서 연장되고, 일 측에서 분기되어 커버바디(210)에는 두 개의 고정부(241)가 형성되도록 하여 보호커버(200)가 하우징(100)에서 분리된 때보다 안정적으로 차체에 매달려 있도록 한다.
파지부(250)는 커버바디(210)의 일 측에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그 형상이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의 파지부(250)는 커버바디(210)의 외측면 즉, 보호부(220)가 형성된 면의 반대측면에서 연장되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조절부(300)는 보호커버(200)의 삽입방향에 대향하여 반발력을 발생시키는 접촉씰(310)과 접촉씰(310)의 반발력에 의해 이동하는 체크플레이트(320)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조절부(300)는 보호커버(200)가 하우징(100)에 장착 시 접촉씰(310)의 간섭되는 정도에 따라 보호커버(200)의 삽발력(결합력)이 발생 및 조절되며, 이와 함께 이동되는 체크플레이트(320)에 의해 보호커버(200)의 완전 체결여부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의 조절부(300)는 보호부(220)의 일 측에 형성된 슬라이드부(223)에 조립되고, 보호커버(200)가 하우징(100)에 장착되는 경우 충전부(110)의 일 측에 접촉되어 별도의 접촉구조 및 수용공간을 형성하지 않아도 동일한 목적이 달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접촉씰(310)이 충전부(110)의 일 측에 접촉되는 일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접촉씰(310)은 체크플레이트(320)에 보다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요입된 조립홈(311)과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삽발력을 발생시키는 접촉단(312)으로 형성되며, 보호커버(200)가 삽입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삽발력 및 반발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접촉단(312)은 보호커버(200) 장착 시 충전부(110)와 가장 먼저 접촉되는 가이드면(3121)과 삽발력(결합력) 및 반발력을 발생시키는 접촉면(3122)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접촉씰(310)의 접촉단(312)은 보호커버(200)가 삽입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보호커버(200) 삽입 시 슬라이드부(223)에서 돌출되어 충전부(110)와 접촉된다.
다시 말해 접촉단(312)은 충전부(110)의 일 측이 테이퍼진 가이드면(3121)에 접촉되며 점진적으로 탄성 변형되고, 이에 따라 접촉면(3122)이 충전부(110)의 일 측에 밀착되어 삽발력(결합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삽발력의 반대되는 방향으로 반발력이 발생되어 체크플레이트(320)가 바디커버 즉, 체크윈도우(211) 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보호커버(200)가 하우징(100)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도 접촉단(312)과 충전부(110)의 접촉부분에서 탈거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발력이 발생되고 그에 따라 체크플레이트(320)가 커버바디(210)의 내측면으로 이동하면서 노출부(324) 체크윈도우(211)에서 분리되어 반복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보호커버(200)의 완전 체결여부는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체크플레이트(320)는 접촉실에 형성된 조립홈(311)과 결합되는 조립홀(321)과, 슬라이드로드(2231)를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드가이드(322)와, 방지홀(2232)에 걸림 고정되는 방지돌와, 체크윈도우(211)의 일 측으로 노출되는 노출부(324)로 형성된다.
조립홀(321)은 접촉씰(310)에 의해 발생되는 반발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접촉단(312)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접촉씰(310)의 일 단에 형성된 조립홈(311)과 결합된다. 따라서 체크플레이트(320)와 접촉씰(310)은 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물성을 필요로하므로, 별물로 형성되어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드가이드(322)는 슬라이드로드(2231)를 따라 체크플레이트(320)가 이동 가능하도록 양 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체크플레이트(32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하여 각 측면에서 돌출되어 방지돌기(32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방지돌기(323)는 체크플레이트(320)가 슬라이드부(223)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테이퍼진 돌기로 형성되어, 슬라이드부(223)에 결합시에는 돌출된 부분이 탄성 변형되면서 억지 끼움 결합되고, 방지홀(2232)이 형성된 위치에서 탄성 변형된 방지돌기(323)가 복원되면서 방지돌기(323)의 일 측면에 방지홀(2232)의 일 면이 걸림 결합되어 조절부(300)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노출부(324)는 체크플레이트(320)의 일 측면 중 체크윈도우(211)에 노출되는 일 면을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의하였다. 노출부(324)는 접촉씰(310)에서 발생되는 반발력에 의해 보호커버(200)가 하우징(100)에 완전 체결되는 경우 체크윈도우(211)에 노출되며, 보호커버(200)가 하우징(100)에서 탈거되는 경우 반발력에 의해 체크윈도우(211)에서 분리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보호커버(200)의 완전 체결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노출부(324)은 보호커버(200)와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충전 인렛(10)은 설계에 맞춰 보다 용이하게 보호커버(200)의 삽발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설계 변경 시 발생되는 비용을 절감시키며, 노출부(324)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보호커버(200)의 완전 체결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보호커버(200)의 임의적 분리를 방지하고
이에 따라 차량 운행 및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충전부(110)에 발생될 수 있는 손상가능성을 현저히 감소시켜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시키는 동시에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된다.
10 충전 인렛
100 하우징 110 충전부 111 제1 충전부
112 제2 충전부 120 락핀 121 체결단
200 보호커버 210 커버바디 211 체크윈도우
220 보호부 221 제1 보호부 222 제2 보호부
223 슬라이드부 2231 슬라이드로드 2232 방지홀
230 락킹부 231 락킹홀
240 연결부 241 연장부 242 고정부
250 파지부
300 조절부 310 접촉씰 311 조립홈
312 접촉단 3121 가이드면 3122 접촉면
320 체크플레이트 321 조립홀 322 슬라이드가이드
323 방지돌기 324 노출부
A 제1 위치 B 제2 위치

Claims (9)

  1. 충전 아웃렛과 결합되는 충전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탈착되어 상기 충전부를 보호하는 보호커버;및
    상기 보호커버의 일 측에 조립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접촉되어 상기 보호커버의 삽발력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충전부를 모두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바디;
    상기 커버바디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충전부에 삽입되는 보호부; 및
    상기 커버바디의 일 측에서 연장되고, 충전 인렛에 고정되는 락킹홀이 형성된 락킹부;를 포함하며,
    충전 인렛의 일 측에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락핀에 체결 또는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인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핀은
    일 측에 형성된 체결단이 상기 락킹홀에 삽입 체결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체결단이 상기 락킹홀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보호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 또는 분리가능 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인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하우징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도, 상기 충전 인렛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탈되지 않도록 차체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인렛.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그 형상이 상기 충전부의 외각과 동일하되, 상기 조절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인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바디에는
    상기 조절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체크윈도우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보호부의 일 측에 접촉되어 상기 보호커버의 삽입력 대한 반발력을 발생시키는 접촉씰;과
    상기 접촉씰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부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보호커버가 완전 체결되는 경우 상기 체크윈도우에 노출되는 체크플레이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인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에는 상기 조절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체크플레이트에는 돌출되어 상기 방지홀의 일 측에 접촉되는 방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인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서로 다른 상기 충전 아웃렛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제1,2 충전부로 형성되고,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제1,2 충전부와 각각 결합되도록 상기 커버바디가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인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서로 다른 상기 충전 아웃렛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제1,2 충전부로 형성되고,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제1,2 충전부를 모두 덮도록 상기 커버바디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1,2 충전부에 각각 삽입되는 제1,2 보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인렛.
KR1020190079512A 2019-07-02 2019-07-02 충전 인렛 KR102183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512A KR102183176B1 (ko) 2019-07-02 2019-07-02 충전 인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512A KR102183176B1 (ko) 2019-07-02 2019-07-02 충전 인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176B1 true KR102183176B1 (ko) 2020-11-25

Family

ID=73645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512A KR102183176B1 (ko) 2019-07-02 2019-07-02 충전 인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1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61809A (zh) * 2021-07-12 2021-10-29 刘普斌 带保护盖的取电装置和带监控的电动自动车充电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497A (ja) * 1994-07-19 1996-02-02 Yazaki Corp コネクタ蓋開閉構造
KR101533809B1 (ko) * 2014-02-28 2015-07-0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자동차의 인렛
JP2015193315A (ja) * 2014-03-31 2015-11-0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給電口構造
KR20180100761A (ko) * 2017-03-02 2018-09-12 주식회사 캠스 전기차용 충전포트 장치
KR101982805B1 (ko) * 2017-12-21 2019-05-28 주식회사 유라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497A (ja) * 1994-07-19 1996-02-02 Yazaki Corp コネクタ蓋開閉構造
KR101533809B1 (ko) * 2014-02-28 2015-07-0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자동차의 인렛
JP2015193315A (ja) * 2014-03-31 2015-11-0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給電口構造
KR20180100761A (ko) * 2017-03-02 2018-09-12 주식회사 캠스 전기차용 충전포트 장치
KR101982805B1 (ko) * 2017-12-21 2019-05-28 주식회사 유라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61809A (zh) * 2021-07-12 2021-10-29 刘普斌 带保护盖的取电装置和带监控的电动自动车充电设备
CN113561809B (zh) * 2021-07-12 2023-09-29 刘普斌 带保护盖的取电装置和带监控的电动自动车充电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1056B2 (en) Connector
KR101063212B1 (ko) 차량의 노이즈 제거용 커넥터
EP2127039B1 (en) High voltage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6760147B2 (ja) シールド端子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CN103384946B (zh) 连接器
EP1100160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camming system
EP2579395A2 (en) Power connector system
CN113258355B (zh) 连接器组件
US10266059B1 (en) Industrial socket
TW201240228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KR20170031621A (ko)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을 구비한 직각 커넥터
US10971851B2 (en) Miniaturized connector with a terminal holding member
US8317548B2 (en) Electrical connector
JP7207233B2 (ja) コネクタ
CN113594746B (zh) 带盖连接器
KR102183176B1 (ko) 충전 인렛
KR101850445B1 (ko) 방수 커넥터
JP7189822B2 (ja) コネクタ構造
JP2015109147A (ja) 電気コネクタ、ハーネス、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KR20210001980A (ko) 피드백을 갖는 정합 보조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CN104183957B (zh) 连接器
EP3553896B1 (en) Connector
US10128605B2 (en) Connector
EP4071940B1 (en) Connector
CN114784549A (zh) 一种三极插座保护结构和三极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