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809B1 - 전기자동차의 인렛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 인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809B1
KR101533809B1 KR1020140023790A KR20140023790A KR101533809B1 KR 101533809 B1 KR101533809 B1 KR 101533809B1 KR 1020140023790 A KR1020140023790 A KR 1020140023790A KR 20140023790 A KR20140023790 A KR 20140023790A KR 101533809 B1 KR101533809 B1 KR 101533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ocking member
press
connection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40023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8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접속부와, 일 측은 상기 접속부의 상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접속부의 상면을 개폐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타 측에 장착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접속부의 상면을 폐쇄할 때, 상기 커버부를 상기 접속부에 락킹시키는 락킹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커버부보다 강도가 큰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인렛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인렛{INLET DEVICE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전기자동차의 인렛 커버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하며, 내구성이 향상된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차량으로, 상기 배터리는 일정 시간 사용하게 되면 방전이 되고, 방전이 되면 차량을 주행할 수 없으므로 보통 방전이 되기 전에 충전하여 재사용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전기자동차에는 외부의 전원을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인렛(Inlet)이 구비되고, 상기 인렛에는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에 접속되는 접속단자, 전원단자, 접지단자 등 다수개의 단자들이 전선과 연결된 상태로 고정 결합되어 있다.
또한, 인렛에는 커버가 장착되고, 상기 커버는 충전부가 접속단자에 접속되기 전까지 인렛 내부를 보호하도록 인렛 상면을 폐쇄한다. 이러한 커버는 일 측이 힌지 결합되고, 타 측이 인렛 상면에 락킹(locking)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자세하게 도 1을 참고하며, 종래의 전기자동차의 인렛(10)은 커버(12) 타 측(14)에 형성된 락킹부재(18)를 포함한다. 상기 락킹부재(18)는 커버(12)가 락킹되는 전기자동차의 락킹면(미도시)의 상면에 설치된 샤프트(16)를 락킹부재(18)와 커버(12)의 타 측(14)의 단부 사이에 압입시켜 커버(12)가 전기자동차의 락킹면(미도시)의 상면에 락킹되게 한다.
그런데, 상기 락킹부재(18)는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의 사출품으로써 커버(12)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기자동차가 충전할 때마다, 락킹부재(18)와 샤프트(16)의 분리 및 체결이 반복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락킹부재(18)의 변형이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락킹부재(18)가 샤프트(16)를 압입하는 압입력이 떨어지므로 커버(12)의 락킹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락킹부재(18)가 파손될 경우 커버(12)를 새로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부재 교체 시,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커버의 파손 또는 변형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전기자동차의 인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의 교체 비용이 저감된 전기자동차의 인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인렛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접속부와, 일 측은 상기 접속부의 상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접속부의 상면을 개폐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타 측에 장착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접속부의 상면을 폐쇄할 때, 상기 커버부를 상기 접속부에 락킹시키는 락킹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커버부보다 강도가 큰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인렛의 커버부를 장시간 사용하는 동안 커버부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버부에 커버부보다 강도가 큰 재질로 형성된 락킹부재를 설치하여, 커버부와 락킹부재 사이에 압입되는 압입부재의 압입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락킹부재를 커버부보다 강도가 큰 재질로 형성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따라 커버부의 빈번한 사용에도 불구하고 락킹부재의 경도가 저하되지 않으므로 락킹부재와 커버부가 압입부재를 압입하는 압입력의 변화가 적다. 따라서, 압입부재가 커버부와 락킹부재 사이로 압입될 때 락킹부재의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전기자동차 인렛의 커버부에 장착되는 락킹부재를 커버부와 별도로 형성하여 락킹부재 파손 시, 락킹부재만을 교체하여 부재 교체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자동차의 인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인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영역을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커버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커버부에 락킹부재가 장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2의 커버부와 락킹부재가 장착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2의 락킹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면을 설명하기에 앞서, 전기자동차의 인렛의 커버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은 수동으로 개폐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인렛을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의 따른 구성은 자동으로 개폐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인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영역을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커버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커버부에 락킹부재가 장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2의 커버부와 락킹부재가 장착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미도시)의 인렛(100)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미도시)에 접속되는 접속단자(미도시)를 포함하는 접속부(120)와, 일 측은 접속부(120)의 상면에 힌지 결합되어 접속부(120)의 상면을 개폐하는 커버부(140)와, 커버부(140)의 타 측에 장착되고, 커버부(140)가 접속부(120)의 상면을 폐쇄할 때, 커버부(140)를 접속부(120)에 락킹시키는 락킹부재(1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120)는 전기자동차의 충전부가 장착되는 충전부분에 설치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접속부(120)의 내부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와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접속부(120)의 상면에는 커버부(140)가 설치되어 비 충전 시, 접속부(120) 내부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접속단자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커버부(140)는 접속단자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가 접속되는 충전 시에만 접속부(120)의 상면을 개방한다. 이를 위해 커버부(140)의 일 측은 접속부(120)의 상면에 힌지 결합되고, 타 측은 접속부(120)의 상면에서 탈착 가능하다. 즉, 커버부(140)의 일 측이 접속부(120)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커버부(140)가 접속부(120)의 상면을 개방하여도 접속부(1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커버부(140)에는 락킹부재(160)가 설치되어 커버부(140)가 접속부(120)의 상면을 폐쇄할 때, 커버부(140)의 타 측이 접속부(120)의 상면에 락킹(locking)되게 한다. 상기 락킹부재(160)는 커버부(140)가 접속부(120)의 상면을 폐쇄할 때, 접속부(120)의 상면에 설치된 압입부재(180)를 압입한다.
즉, 압입부재(180)는 락킹부재(160)와 접속부(120)의 상면 방향으로 굴곡된 커버부(140)의 타 측 단부(142) 사이에 억지 끼워진다. 이로 인해 커버부(140)가 폐쇄상태일 경우 압입부재(180)에 고정되면서, 커버부(140)의 타 측이 고정된다.
다시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전기자동차의 인렛(100)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보면, 락킹부재(160)는 커버부(140)보다 강도가 큰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락킹부재(160)는 금속, 철 등과 같은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커버부(140)는 플라스틱, 합성 수지 등의 연질의 재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락킹부재(160)를 커버부(140) 보다 강도가 큰 재질로 형성함에 따라 락킹부재(160)와 커버부(140)의 타 측 단부(142) 사이에 압입부재(180)가 억지 끼워질 때 발생하는 압입력에 의해 락킹부재(160)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커버부(140)의 타 측 단부(142)의 두께(T₁)는 락킹부재(160)의 두께(T₂)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140)는 플라스틱, 합성수지와 같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커버부(140)의 타 측 단부(142)와 락킹부재(160) 사이에 압입부재(180)가 압입될 때 발생하는 압입력이 커버부(140)의 타 측 단부(142)에 전달되어 커버부(140)의 타 측 단부(142)가 파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부(140)의 두께를 충분히 두껍게 형성하여 커버부(140)의 타 측 단부(142)와 락킹부재(160) 사이에 압입부재(180)가 압입될 때 발생하는 압입력에 커버부(140)의 타 측 단부(14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커버부(140)는 커버부(140)의 타 측 단부(142)와 이격되는 내측벽(144)을 더 포함한다. 상기 내측벽(144)은 커버부(140)의 타 측 단부(142)와 락킹부재(160) 사이로 압입부재(180)가 압입될 때, 커버부(140)의 타 측 단부(142)로 전달되는 압입력이 분산되게 하여 커버부(140)의 타 측 단부(142)로 과도한 힘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락킹부재(160)는 커버부(140)에서 탈착 가능하다. 즉, 전기자동차 인렛(10)을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락킹부재(160)의 텐션(tension)이 저하된다. 따라서 락킹부재(160)를 커버부(140)에서 교체하여 락킹부재(160)의 텐션을 유지하고, 커버부(140)의 타 측 단부(142)와 락킹부재(160) 사이에 위치하는 압입부재(180)를 압입하는 압입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락킹부재(160)가 커버부(140)에서 탈착되기 위해서, 상기 커버부(140)는 락킹부재(160)의 일 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146)이 형성된다. 이때, 락킹부재(160)는 고정홈(146)에 삽입되는 고정부(166)와 고정부(166)에서 접속부(120)의 상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결합부(162)를 포함한다.
즉, 상기 고정부(166)는 접속부(120)의 상면에 대해 좌, 우 방향(도 4의 방향 참고)으로 형성된다. 왜냐하면, 커버부(140)는 접속부(120)의 상면을 향하도록 상, 하로 이동하며 접속부(120)의 상면을 개폐하고, 결합부(162)는 커버부(14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고정부(166)가 접속부(120)의 상면에 대해 좌, 우 방향으로 형성되면 커버부(140)의 이동 방향과 수직하므로, 커버부(140)의 이동 방향에 관계없이 락킹부재(160)가 커버부(14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62)는 락킹부재(160)에서 커버부(140)의 타 측 단부(142)와 압입부재(180)를 압입하는 부재이다. 이때, 압입부재(180)는 원기둥의 샤프트로 형성되기 때문에 결합부(162)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왜냐하면, 커버부(140)의 타 측 단부(142)는 접속부(120)의 상면과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때, 결합부(162)를 커버부(140)의 타 측 단부(142)와 나란하게 형성할 경우 커버부(140)의 타 측 단부(142)와 결합부(162) 사이로 원형의 압입부재(180)가 압입되지 못하거나 압입부재(180)의 압입력에 의해 커버부(140)의 타 측 단부(142) 또는 결합부(162)가 파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부(162)를 압입부재(180)를 감싸며 지지하도록 곡면으로 형성하여 커버부(140)의 타 측 단부(142)와 결합부(162) 사이에 압입부재(180)가 압입될 때 과도한 힘이 발생하여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결합부(162)를 곡면으로 형성하여 결합부(162)와 커버부(140)의 타 측 단부(142) 사이에 압입부재(180)가 압입될 때, 커버부(140)의 타 측 단부(142)에 대해 좌, 우로 탄성 변형되게 한다. 이로 인하여 압입부재(180)가 용이하게 결합부(162)와 커버부(140)의 타 측 단부(142) 사이에 압입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락킹부재(160)는 고정부(166)와 결합부(162) 사이에 형성되며, 결합부(162)와 커버부(140)의 타 측 단부(142) 사이에 압입부재(180)가 압입되면, 결합부(162)의 탄성을 지지하는 지지부(16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64)는 고정부(166)의 단부에서 접속부(120) 상면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부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부(162)를 곡면으로 형성하여 결합부(162)와 커버부(140)의 타 측 단부(142) 사이에 압입될 때, 결합부(162)가 압입부재(180)가 압입되는 방향과 수직하게 탄성 변형된다. 이때, 지지부(164)는 결합부(162)의 탄성 변형을 지지하여 결합부(162)가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고정홈(146)은 고정부(166)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정부(166)와 지지부(164)의 일부 및 지지부(164)가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부(166)와 지지부(164)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또한 고정홈(146)은 커버부(140)의 타 측 단부(1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고정홈(146)이 커버부(140)의 타 측 단부(1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므로, 락킹부재(160)가 고정홈(146)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커버부(140)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도 2의 락킹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 7에서 설명되는 구성 중 도 2 내지 도 6에서 설명된 구성과 동일 부호인 구성은 앞서 설명된 구성과 동일 구성이라고 가정하며, 이에 따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락킹부재(260)는 지지부(264)가 고정부(266)의 중심에서 인접한 위치에서부터 접속부(120) 상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즉, 락킹부재(260)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와 같이 락킹부재(260)가 T-자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결합부(262)가 압입부재(180)를 압입할 때 발생하는 압입력이 고정부(266)의 좌, 우로 분산되어 락킹부재(26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락킹부재(260)의 변형에 따라 커버부(140)의 고정홈(246)도 변형된다. 즉, 락킹부재(260)가 T-자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고정홈(246) 또한 T-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락킹부재(160)를 커버부(140)보다 강도가 큰 재질로 형성하고, 커버부(140)에서 탈착 가능하게 형성함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인렛(100)의 커버부(140)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커버부(140)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커버부(140)를 연질의 재질로 형성하여 장시간 전기자동차의 인렛(100)의 커버부(140)를 사용하여도 락킹부재(160)의 텐션(tension)을 유지시켜 접속부(120)의 상면을 폐쇄할 때, 커버부(140)와 락킹부재(160) 사이에 압입되는 압입부재(180)를 압입하는 압입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락킹부재(160)가 파손되거나 변형될 경우 락킹부재(160)를 커버부(140)에서 분리한 후 새로운 락킹부재(160)를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부재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전기자동차의 인렛 120: 접속부
140: 커버부 142: 커버부의 타 측 단부
146: 고정홈 160: 락킹부재
162: 결합부 164: 지지부
166: 고정부 180: 압입부재

Claims (7)

  1.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접속부;
    일 측은 상기 접속부의 상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접속부의 상면을 개폐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타 측에 장착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접속부의 상면을 폐쇄할 때, 상기 커버부를 상기 접속부에 락킹시키는 락킹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커버부보다 강도가 큰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타 측 단부의 두께는 상기 락킹부재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인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커버부에서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인렛.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락킹부재의 일 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접속부의 상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인렛.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접속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부와 상기 접속부의 상면 방향으로 굴곡된 상기 커버부의 타 측 단부 사이에 압입되는 압입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인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압입부재는, 원통기둥의 샤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인렛.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상기 압입부재가 압입되면, 상기 결합부의 탄성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인렛.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압입부재를 감싸며 지지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인렛.
KR1020140023790A 2014-02-28 2014-02-28 전기자동차의 인렛 KR101533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790A KR101533809B1 (ko) 2014-02-28 2014-02-28 전기자동차의 인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790A KR101533809B1 (ko) 2014-02-28 2014-02-28 전기자동차의 인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3809B1 true KR101533809B1 (ko) 2015-07-03

Family

ID=53788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790A KR101533809B1 (ko) 2014-02-28 2014-02-28 전기자동차의 인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8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176B1 (ko) * 2019-07-02 2020-11-25 주식회사 유라 충전 인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631A (ko) * 2001-08-17 2003-02-25 만도공조 주식회사 벽걸이형 에어컨의 전면커버 조립구조
KR200418711Y1 (ko) * 2006-03-27 2006-06-1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프론트 커버 개폐장치
KR100855868B1 (ko) * 2007-04-19 2008-09-01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후크 보강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JP2012243447A (ja) * 2011-05-17 2012-12-10 Yazaki Corp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631A (ko) * 2001-08-17 2003-02-25 만도공조 주식회사 벽걸이형 에어컨의 전면커버 조립구조
KR200418711Y1 (ko) * 2006-03-27 2006-06-1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프론트 커버 개폐장치
KR100855868B1 (ko) * 2007-04-19 2008-09-01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후크 보강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JP2012243447A (ja) * 2011-05-17 2012-12-10 Yazaki Corp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176B1 (ko) * 2019-07-02 2020-11-25 주식회사 유라 충전 인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0433B2 (en) Waterproof structure for portion where members are tightened with screw
US7251409B2 (en) Cable strain relief design for limited space through-hole applications
RU2637809C2 (ru) Непроницаемый для окружающей среды корпус штекерного соединителя
JP2013534603A5 (ko)
US20170194080A1 (en) Grommet
KR101533809B1 (ko) 전기자동차의 인렛
US20060099049A1 (en) Fastener/stud retainer
US20160013584A1 (en) Structure of network connector
KR101215669B1 (ko) 자석이 구비된 파티션
DE50300921D1 (en) Runge
MX2021000877A (es) Ensamble de suspension.
WO2005023439A3 (en) Vibratory screen assemblies
JP6439547B2 (ja) 環状部材の固定構造及び電子キー
KR101912849B1 (ko) 배터리교체가 용이한 스킨케어용 휴대형 진동 마사지 장치
EP3444485A1 (en) Fastener and fastening arrangement
KR20190056022A (ko) 오버슬램범퍼
CN204144111U (zh) 一种方便拆卸的开关按钮
US10090654B1 (en) Junction box assembly with eyelet terminal cover retention system and removable eyelet terminal cover
US20160115979A1 (en) Fixture for a vehicle
CN107293880A (zh) 一种接线端子
KR101996445B1 (ko) 탈장착이 편리한 캡을 갖는 완속 충전 커플러
KR101690071B1 (ko) 억지끼움 개폐 구조를 갖는 소음 진동 방지형 맨홀
KR102085568B1 (ko) 도어 트림용 패스너 조립구조
CN210224395U (zh) 一种线束
KR101464103B1 (ko) 몰드물 고정용 패스너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