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927B1 -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927B1
KR101225927B1 KR1020090129865A KR20090129865A KR101225927B1 KR 101225927 B1 KR101225927 B1 KR 101225927B1 KR 1020090129865 A KR1020090129865 A KR 1020090129865A KR 20090129865 A KR20090129865 A KR 20090129865A KR 101225927 B1 KR101225927 B1 KR 101225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aminated sheet
manufacturing
ink lay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2788A (ko
Inventor
이민호
이강엽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90129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927B1/ko
Publication of KR20110072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3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입체 질감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제조 방법은 (a) 캐리어 필름 상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하드 코팅층 상에 금속 잉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금속 잉크층 상에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접착제층에 ABS 시트를 접착하는 단계; (e) 상기 캐리어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 및 (f) 상기 캐리어 필름의 제거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하드 코팅층의 표면에 UV 경화형 잉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UV 경화형 잉크층은 잉크젯 방식에 의해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LAMINATED SHEET FOR AUTOMOBILE INTERNAL ATERIAL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AMINATED SHEET}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인쇄 및 표면 하드 코팅 처리 가공된 ABS 시트의 하드 코팅층 표면에 잉크젯 방식을 이용하여 UV 경화형 잉크층을 형성함으로써 입체 질감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서트용 데코레이션 시트는 자동차 내장재, 가전 제품의 케이스 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서트용 데코레이션 시트를 제작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그라비아 인쇄를 통해 다양한 무늬와 금속 질감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금속 질감, 특히 데코레이션 시트의 입체 질감을 효과적으로 부여할 수 없어 다른 방식으로 데코레이션 시트를 제작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최근 입체 표면 질감을 구현하는 방법으로 UV 경화형 잉크를 사용하여 실크 스크린 공법으로 인서트 시트를 제조하는 기술이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무늬마다 실크 스크린을 별도로 제작하여 시트 형태로 생산되므로, 인서트 성형 가공 시 롤 (Roll) 형태의 원단 피딩 (Feeding) 방식이 아니라 시트 (Sheet) 형태로 공급됨에 따라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입체 질감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서트 사출 가공 방식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입체 질감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BS 시트를 기반으로 하는 적층 시트 표면에 잉크젯 방식으로 UV 경화형 잉크층이 형성되어 입체 질감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제조 방법은 차례로 아크릴계 수지 용액에 알루미늄 페이스트가 첨가된 코팅액을 이용한 금속 잉크 처리, 및 표면 하드 코팅 처리된 ABS 시트 상의 하드 코팅층의 표면에 잉크젯 방식을 이용하여 UV 경화형 잉크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제조 방법은 (a) 캐리어 필름 상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하드 코팅층 상에 금속 잉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금속 잉크층 상에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접착제층에 ABS 시트를 접착하는 단계; (e) 상기 캐리어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 및 (f) 상기 캐리어 필름의 제거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하드 코팅층의 표면에 UV 경화형 잉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UV 경화형 잉크층은 잉크젯 방식 에 의해 인쇄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는 ABS 시트; 상기 ABS 시트 상에 적층되어 있는 접착제층; 상기 접착제층 상에 적층되어 있는 금속 잉크층; 상기 금속 잉크층 상에 적층되어 있는 하드 코팅층; 및 상기 하드 코팅층 상에 적층되어 있는 UV 경화형 잉크층을 포함하고, 상기 UV 경화형 잉크층은 잉크젯 방식으로 인쇄되어 돌출부 및 비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제조 방법은 잉크젯 방식의 인쇄법을 이용하여 UV 경화형 잉크층을 형성함으로써 하드 코팅층과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30㎛ 정도의 높이로도 구현이 가능하여, 기존 실크 스크린 방식을 이용한 UV 경화형 잉크층에 비하여 뛰어난 엠보 질감과 섬세한 무늬 표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는 UV 경화형 잉크층을 사용하므로,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내화학성, 내광성 등의 표면 물성이 우수하며, 잉크젯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롤(Roll) 형태로 생산이 가능하여 성형 사출 부품 제작 생산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적층 시트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는 ABS 시트(110), 접착제층(120), 금속 잉크층(130), 하드 코팅층(140) 및 UV 경화형 잉크층(150)을 포함한다.
ABS 수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시트(110)는 ABS 수지로 형성되며, 가공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또한 ABS 시트는 열적 유동성이 우수하여 적정 두께로 사출할 경우 게이트번(Gate Burn)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ABS 시트는 인터페시아, 기어박스, 도아가니쉬 등의 자동차 내장 부품으로 적용하 기에 적합하다.
상기 ABS 시트(110)는 200㎛ 내지 80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500㎛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BS 시트의 두께가 200㎛ 미만인 경우에는 사출 작업 시 게이트번(Gate Burn)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80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롤(Roll) 권취 및 가공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접착제층
ABS 시트(110) 상에 적층되어 있는 접착제층(120)은 아크릴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에스테르계 접착제, 폴리아마이드계 접착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접착제 등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혼합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층(120)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수지를 용액화하여 그라비아 코팅 방식으로 코팅하여 형성되거나, 압출 공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120)은 1㎛ 내지 1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층(120)의 두께가 1㎛ 미만인 경우에는 추후 착색필름과의 접착 시에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1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블로킹(Blocking)이 발생하여 롤(Roll) 권취 및 가공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금속 잉크층
접착제층(120) 상에 적층되어 있는 금속 잉크층(130)은 적층 시트에서 외관의 장식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금속 잉크층(130)은 휘도감이 좋아 자동차 내장재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상기 금속 잉크층(130)은 1㎛ 내지 1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잉크층이 1㎛ 미만의 두께를 갖는 경우 금속의 휘도감을 재현할 수 없고, 금속 잉크층이 10㎛를 초과하는 두께를 갖는 경우 롤 가공시 용제 미건조로 인해 블로킹(blocking)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금속 잉크층(130)은 아크릴계 수지가 메틸에틸케톤에 용해되어 있는 아크릴계 수지 용액에 알루미늄 페이스트(Paste)가 첨가된 코팅액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코팅액으로는 고형분 30중량% 내지 50중량%인 아크릴계 수지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루미늄 페이스트가 1중량부 내지 10중량부로 첨가된 것을 제시할 수 있다. 알루미늄 페이스트의 첨가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금속의 휘도감을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접착력이 저하되어 박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하드 코팅층
금속 잉크층(130) 상에 적층되어 있는 하드 코팅층(140)은 코팅액을도포 및 경화시켜 형성된다. 이때,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액은 코팅 처리가 용이하고, 도막 형성 후 도막 강도와 성형 가공성이 우수해야 하며, 메틸에틸케톤과 같은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한 수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코팅액으로는 고형분이 30~50중량%인 아크릴계 수지가 메틸에틸케톤에 용해되어 있는 아클릴계 수지 코팅액을 제시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 코팅액은 소광제 및 경화제 중 하나 이상의 물질이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소광제는 실리카계 소광제가 이용될 수 있으며,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소광제 및 경화제는 아크릴계 수지 코팅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1~5중량부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광제 및 경화제 각각이 1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하드코팅층(140)의 소광 효과 및 경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이들이 각각 5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하드코팅층의 물성을 변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하드 코팅층(140)은 1㎛ 내지 2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팅층이 1㎛ 미만의 두께로 형성될 경우, 적층 시트의 표면 물성, 즉 스크래치, 도막 강도, 내후성, 내열성 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하드 코팅층이 20㎛를 초과하는 두께로 형성될 경우 성형 및 사출에서 딥 드로잉(deep drawing) 가공시 크랙의 발생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UV 경화형 잉크층
UV(Ultra Violet Rays) 경화형 잉크층(150)은 하드 코팅층(140) 표면에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시트에 표면 질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UV 경화형 잉크층(150)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액으로는 아크릴계 모노머, 아크릴계 올리고머, AIBN (Azoisobutylonitrile)이나 BPO (Ben zoil peroxide)와 같은 광 개시제 및 안료로 구성되는 코팅액이 이용될 수 있다.
하드 코팅층(140) 표면에 상기 코팅액을 인쇄하면 UV 광에 의해 광개시제인 AIBN나 BPO가 1차 활성화 되고, 모노머간 라디칼 중합에 의해 경화되는 메커니즘으로 UV 경화형 잉크층(150)이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코팅액의 인쇄는 잉크젯 방식이 이용된다. 국부적인 잉크 분사를 이용하는 잉크젯 방식을 통하여 UV 경화형 잉크층(150)에는 돌출부 및 비돌출부를 구비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표면 질감을 부여하게 된다.
종래의 실크스크린 방식의 UV 경화형 잉크층의 경우 시트 형태로 구현되어표면 질감이 저하되고, 생산성이 현저히 낮은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 잉크젯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롤 형태로 생산이 가능하며, 30㎛ 정도의 두께로도 구현이 가능하여, 뛰어난 엠보 질감과 섬세한 무늬 표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적층 시트 제조 방법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ABS 시트 상에 금속 잉크 처리(금속 잉크층) 및 표면 하드 코팅 처리(하드 코팅층)된 적층 시트 표면에, 아크릴계 모노머, 아크릴계 올리고머, 광개시제 및 안료를 포함하는 코팅액을 이용하여 잉크젯 방식을 인쇄한 후, UV 경화시킴으로써 국부적인 인쇄 분사에 의한 돌출부와 비돌출부를 구비하는 UV 경화형 잉크층을 형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제조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f는 도 2에 도시된 적층 시트 제조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적층 시트 제조 방법을 설명 함에 있어, 도 3a 내지 도 3f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제조 방법은 하드 코팅층 형성 단계(S210), 금속 잉크층 형성 단계(S220), 접착제층 형성 단계(S230), ABS 시트 접착 단계(S240), 캐리어 필름 제거 단계(S250) 및 UV 경화형 잉크층 형성 단계(S260)를 포함한다.
우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드 코팅층 형성 단계(S210)에서는 캐리어(Carrier) 필름(310) 상에 하드 코팅층(320)을 형성한다.
하드 코팅층(320)은 고형분이 30~50중량%인 아크릴계 수지 코팅액을 이용하여 1㎛ 내지 20㎛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캐리어 필름(310)은 내열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 Ethylene Terephthalate)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ABS 시트 상에 직접 금속 잉크층 및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지 않고, 캐리어 필름(310)을 이용하는 이유는 ABS 시트의 내화학성이 매우 취약하기 때문이다. 즉, ABS 시트의 취약한 내화학성으로 인하여, ABS 시트 상부에 금속 잉크층 및 하드 코팅층을 형성할 경우 용제(MEK, 톨루엔)로 인해 ABS 시트가 녹아 내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ABS 시트는 0.5mm 정도로 매우 두껍기 때문에 직접 인쇄 및 코팅 가공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캐리어 필름에 하드코팅층, 금속 잉크층 및 접착제층을 형성한 후, ABS 시트에 하드코팅층 등을 전사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잉크층 형성 단계(S220)에서는 상기 하드 코팅층(320) 상에 금속 잉크층(330)을 형성한다.
금속 잉크층(330)은 고형분 30중량% 내지 50중량%인 아크릴계 수지 용액에 알루미늄 페이스트(Paste)가 아크릴계 수지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로 첨가된 코팅액을 이용하여 1㎛ 내지 1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금속 잉크층(330)을 형성하기 전에, 하드 코팅층(320) 상에 아크릴계성분으로 1~2㎛ 두께의 프라이머층을 미리 형성하여, 하드 코팅층(320)과 금속 잉크층(330)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층 형성 단계(S230)에서는 금속 잉크층(330) 상에 접착제층(340)을 형성한다.
접착제층(340)은 아크릴계 접착제, 에스테르계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용액화하여 그라비아 코팅 방식, 압출 공법 등을 이용하여 1㎛ 내지 1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ABS 시트 접착 단계(S240)에서는 접착제층(340)에 ABS 시트(350)를 접착한다.
ABS 시트(350)의 접착은 200㎛ 내지 800㎛ 두께를 갖는 ABS 시트(350)를 접착제층(340)에 맞닿도록 적층한 후, 가열 및 합지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필름 제거 단계(S250)에서는 ABS 시트(350) 접착 후 캐리어 필름(310)을 제거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캐리어 필름(310) 상에 하드 코팅층(320)을 형성하기 전에 이형층(미도시)을 먼저 형성하여, 본 단계의 캐리어 필름(310)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UV 경화형 잉크층 형성 단계(S260)에서는 캐리어 필름(310)의 제거에 의해 노출되는 하드 코팅층(320)의 표면에 UV 경화형 잉크층(360)을 형성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UV 경화형 잉크층(360)은 아크릴계 모노머, 아크릴계 올리고머, AIBN (Azoisobutylonitrile), BPO (Ben zoil peroxide) 등과 같은 광 개시제 및 안료로 구성되는 코팅액을 잉크젯 방식에 의해 인쇄한 후, 자외선을 이용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잉크젯 방식을 통하여 UV 경화형 잉크층(360)에는 돌출부 및 비돌출부를 구비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표면 질감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 도 2 및 도 3a 내지 제 3f에 도시된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적층 시트를 제조한 예는 다음과 같다.
캐리어 필름으로 50㎛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SH71S, SKC 제조)을 이용하였다. 상기 필름의 한쪽 면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고형분 함량이 35중량%가 되도록 아크릴계 수지를 메틸에틸케톤에 용해시킨 용액 100 중량부에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2 중량부를 혼합하여 10㎛ 두께로 도막을 형성하였다.
하드 코팅층 상부에 금속 잉크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고형분 35중량%인 아크릴계 수지 용액에 알루미늄 페이스트 5중량부가 되도록 코팅액을 형성하였다. 상기 코팅액을 그라비아 코팅 방법으로 2㎛ 두께로 도막을 형성하였다.
금속 잉크층 상부에는 고형분 35중량%가 되도록 폴리에스터계 접착 수지를 메틸에틸케톤에 용해시킨 접착 용액을 제작한 후, 접착 용액 100중량부에 이소시아네트 경화제 0.6중량부를 혼합하여 2㎛ 두께로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500㎛ 두께의 ABS 시트 (MA221, LG 화학 제조)를 준비하여 상기 접착제층까지 형성된 필름 상에 준비된 ABS 시트를 필름의 접착제층과 맞닿도록 적층하고 가열 및 합지시킨 후 캐리어 필름을 박리하여 제거하였다.
캐리어 필름의 제거를 통하여 노출되는 하드 코팅층 표면에 UV 경화형 잉크를 사용하여 잉크젯 방식으로 인쇄하여 UV 경화형 잉크층을 형성함으로써 최종 적층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제조 방법은 잉크젯 방식의 인쇄법을 이용하여 UV 경화형 잉크층을 형성함으로써 하드 코팅층과 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뛰어난 엠보 질감과 섬세한 무늬 표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제조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도 2에 도시된 적층 시트 제조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Claims (21)

  1. 차례로 아크릴계 수지 용액에 알루미늄 페이스트가 첨가된 코팅액을 이용한 금속 잉크 처리, 및 표면 하드 코팅 처리된 ABS 시트 상의 하드 코팅층의 표면에 잉크젯 방식을 이용하여 돌출부와 비돌출부를 갖는 UV 경화형 잉크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V 경화형 잉크층은 아크릴계 모노머, 아크릴계 올리고머, 광 개시제 및 안료를 포함하는 코팅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제조 방법.
  3. (a) 캐리어 필름 상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하드 코팅층 상에, 아크릴계 수지 용액에 알루미늄 페이스트가 첨가된 코팅액을 이용하여 금속 잉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금속 잉크층 상에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접착제층에 ABS 시트를 접착하는 단계;
    (e) 상기 캐리어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 및
    (f) 상기 캐리어 필름의 제거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하드 코팅층의 표면에 UV 경화형 잉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UV 경화형 잉크층은 잉크젯 방식에 의해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UV 경화형 잉크층은 아크릴계 모노머, 아크릴계 올리고머, 광 개시제 및 안료를 포함하는 코팅액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개시제는 AIBN(Azoisobutylonitrile) 또는 BPO(Ben zoil perox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제조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팅층은 고형분이 30~50중량%인 아크릴계 수지 코팅액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 코팅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광제 1~5중량부 또는 경화제 1~5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제조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팅층은 1~20㎛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제조 방법.
  9. 삭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 용액은 고형분이 30~5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제조 방법.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페이스트는 상기 아크릴계 수지 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제조 방법.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잉크층은 1㎛ ~ 10㎛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제조 방법.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아크릴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에스테르계 접착제, 폴라아마이드계 접착제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접착제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제조 방법.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그라비아 코팅법 또는 압출 공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제조 방법.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1㎛ ~ 10㎛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제조 방법.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BS 시트는 200㎛ ~ 800㎛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제조 방법.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제조 방법.
  1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잉크층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하드 코팅층 상에 아크릴계성분으 로 1~2㎛ 두께의 프라이머층을 미리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ㅇ르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제조 방법.
  19. ABS 시트;
    상기 ABS 시트 상에 적층되어 있는 접착제층;
    상기 접착제층 상에, 아크릴계 수지 용액에 알루미늄 페이스트가 첨가된 코팅액이 경화되어 형성되어 있는 금속 잉크층;
    상기 금속 잉크층 상에 적층되어 있는 하드 코팅층; 및
    상기 하드 코팅층 상에 적층되어 있는 UV 경화형 잉크층을 포함하고,
    상기 UV 경화형 잉크층은 잉크젯 방식으로 인쇄되어 돌출부 및 비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잉크층과 상기 하드 코팅층 사이에 적층되어, 상기 금속잉크층과 상기 하드 코팅층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프라이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기재된 적층 시트를 이용하여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
KR1020090129865A 2009-12-23 2009-12-23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225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865A KR101225927B1 (ko) 2009-12-23 2009-12-23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865A KR101225927B1 (ko) 2009-12-23 2009-12-23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788A KR20110072788A (ko) 2011-06-29
KR101225927B1 true KR101225927B1 (ko) 2013-01-24

Family

ID=44403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865A KR101225927B1 (ko) 2009-12-23 2009-12-23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9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362A (ko) * 2018-04-12 2019-10-22 정민호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 또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의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
KR20190119357A (ko) * 2018-04-12 2019-10-22 정민호 부분 박리문양을 형성하는 필름 및 부분 박리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2016A (ko) * 2010-07-30 2012-02-09 (주)엘지하우시스 자동차 내장재용 인서트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2100671B1 (ko) * 2016-11-04 2020-04-14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차량용 내장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1478A (ja) * 1998-03-16 1999-11-24 Pacific Ind Co Ltd 車両用樹脂製金属調加飾部品の製造方法
JP2004059810A (ja) 2002-07-30 2004-02-26 Toppan Forms Co Ltd 紫外線硬化型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およびこれを用いた印字シート
JP2008149554A (ja) * 2006-12-18 2008-07-03 Mitsubishi Materials Corp 貴金属積層シート
KR20090130080A (ko) * 2007-03-30 2009-12-17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인서트 성형용 필름 및 그를 사용한 수지 성형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1478A (ja) * 1998-03-16 1999-11-24 Pacific Ind Co Ltd 車両用樹脂製金属調加飾部品の製造方法
JP2004059810A (ja) 2002-07-30 2004-02-26 Toppan Forms Co Ltd 紫外線硬化型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およびこれを用いた印字シート
JP2008149554A (ja) * 2006-12-18 2008-07-03 Mitsubishi Materials Corp 貴金属積層シート
KR20090130080A (ko) * 2007-03-30 2009-12-17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인서트 성형용 필름 및 그를 사용한 수지 성형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362A (ko) * 2018-04-12 2019-10-22 정민호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 또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의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
KR20190119357A (ko) * 2018-04-12 2019-10-22 정민호 부분 박리문양을 형성하는 필름 및 부분 박리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
KR102036367B1 (ko) 2018-04-12 2019-10-24 정민호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 또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의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036365B1 (ko) 2018-04-12 2019-10-24 정민호 부분 박리문양을 형성하는 필름 및 부분 박리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788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3799B1 (ko) 엠보싱 장식 사출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
JP5606626B2 (ja) 自動車内装材用インサート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25927B1 (ko)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0888656B1 (ko) 인몰드 성형용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합성수지 제품과 금속판의 제조방법
JP6438590B2 (ja) 真空熱成形用デコレーションシート、及びこれを使用して形成された物品、真空熱成形用デコレーション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3154509A (ja) 熱転写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91596B2 (ja) 部分マットハードコート転写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588057B2 (ja) 樹脂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091255A (ja) 熱転写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66539A (ja) アクリル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とアクリルインサート成形品製造用シート
JP2017132267A (ja) 加飾熱可塑性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作製するための方法
JP5194681B2 (ja) エンボス加飾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325886B1 (ko) 자동차 내장재용 인서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0906747B1 (ko) 인몰드 성형용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 제품과 금속판의 제조방법
JP2017177729A (ja) 加飾シート及び加飾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CN104203572B (zh) 模内转移膜和制造所述膜的方法
US9321940B2 (en) Decorative sheet for decorating a surface of a three-dimensional molded material,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decorating the surface of the molded material using the same
JP3710858B2 (ja) 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サートフィルム
JP5741995B2 (ja) 転写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30186B2 (ja) 転写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93607B2 (ja) 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47416B1 (ko) 데코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72731B1 (ko) 성형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3차원 오버레이 성형용 시트
KR102670244B1 (ko) 플라스틱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JP5950189B2 (ja) 熱転写インクシートおよび熱転写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