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174B1 - 조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조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174B1
KR101225174B1 KR1020100090719A KR20100090719A KR101225174B1 KR 101225174 B1 KR101225174 B1 KR 101225174B1 KR 1020100090719 A KR1020100090719 A KR 1020100090719A KR 20100090719 A KR20100090719 A KR 20100090719A KR 101225174 B1 KR101225174 B1 KR 101225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dder
starboard
ship
pin
deg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8712A (ko
Inventor
이태구
송인행
박형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0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174B1/ko
Publication of KR20120028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38Rudd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조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이 개시된다. 개시된 조타장치는, 프로펠러에 의해 추진력을 얻는 선박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방향타(rudder)와, 상기 방향타에 설치되어 상기 프로펠러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를 분산시키는 벌브와, 상기 선박의 우현에 해당하는 상기 벌브의 일측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우현 핀날개와, 상기 선박의 좌현에 해당하는 상기 벌브의 타측면에 설치된 좌현 핀날개와, 상기 우현 핀날개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와 상기 방향타의 일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팁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STEERING APPARATUS AND SHIP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선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프로펠러(propeller)를 회전시켜 추진력을 얻는다.
이러한 프로펠러는 선체의 선미측에 설치된다. 이 프로펠러는 유체 중에서 회전함에 따라 유체가 빨려지는 면과 유체가 방출되는 면의 압력차가 발생되며, 이에 따라 각 날개에 양력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프로펠러에서 발생된 양력은 선박의 추진력으로 작용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의 조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의 조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에는 선체의 진행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조타장치(10)를 갖는다. 조타장치(10)는 프로펠러의 후방에서 선체측에 설치된다. 조타장치(10)는 프로펠러의 후방에 진행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방향타(rudder)(12)를 포함한다.
한편, 종래에는 프로펠러의 허브에서 발생된 와류를 완화시키기 위해 프로펠러 축선의 연장선상에 위치된 방향타(12)에 벌브(bulb)(14)를 설치하고, 프로펠러의 후류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벌브(14)에 벌브 핀(16)을 설치한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벌브 핀(16)은 끝단에서 발생되는 와류에 의해 에너지가 손실되는 바, 벌브 핀(16)의 단부에 윙렛 플레이트(winglet plate)를 더 설치하여 와류 유동을 제어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벌브 핀(16) 및 이에 설치된 윙렛 플레이트는 끝단에서 생성되는 와류를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추가적인 추력을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본 실시예는 벌브 핀에 의해 발생되는 와류를 억제하여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며, 프로펠러 후류에 의한 추가적인 추력을 증가시키는 조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타장치는, 프로펠러에 의해 추진력을 얻는 선박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방향타(rudder)와, 방향타에 설치되어 프로펠러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를 분산시키는 벌브와, 선박의 우현에 해당하는 벌브의 일측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우현 핀날개와, 선박의 좌현에 해당하는 벌브의 타측면에 설치된 좌현 핀날개와 우현 핀날개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와 방향타의 일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팁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팁 플레이트는 원호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팁 플레이트는 우현 핀날개 중 최상부의 우현 핀날개와 방향타의 일측면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좌현 핀날개의 단부와 방향타의 타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 팁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팁 플레이트는 원호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우현 핀날개의 단부 및 좌현 핀날개의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원주방향으로 설치된 윙렛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좌현 핀날개는 방향타의 중심선에서 시계방향으로 45도 내지 135도 사이에 설치되고, 복수의 우현 핀날개 중 적어도 하나는 방향타의 중심선에서 시계방향으로 180도 내지 270도 사이에 설치되며, 적어도 다른 하나는 270도 내지 360도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타장치를 구비한 선박은 선체와, 선체에 설치되어 추진력을 발생하는 프로펠러와, 프로펠러의 후방에서 선체의 진행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선체에 설치된 전술된 조타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펠러의 후류에 의해 양력이 발생되는 부분에 팁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추가적인 추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벌브 핀에 의해 발생되는 와류를 억제하여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한 에너지 손실 중 일부를 회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의 조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의 조타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타장치를 갖는 선박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조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선체의 후방에서 계측한 프로펠러에 의해 발생하는 후류 유동 분포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조타장치의 변형예가 도시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조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조타장치의 변형예가 도시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조타장치가 도시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조타장치의 변형예가 도시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조타장치가 도시된 정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타장치를 갖는 선박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조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100)은 선체(102)와, 프로펠러(104)와, 조타장치(110)와, 방향타(112)와, 벌브(114)와 좌현 핀날개(116a), 우현 핀날개(116b, 116c) 및 팁 플레이트(11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선박(100)은 내부에 항해에 필요한 시설물 또는 저장공간 등이 형성된 선체(102)를 포함하며, 이 선체(102)의 선미부에는 단부에 프로펠러(104)를 갖는 추진축이 연장 설치된다.
이 프로펠러(104)는 선체(102)의 내부에 설치된 주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프로펠러(104)는 회전하면서 양력을 발생시키고, 이와 같이 발생된 양력은 선박(100)을 추진시키는 추진력으로 작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프로펠러(104)는 좌현에서 우현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프로펠러(104)의 정방향 회전이라 한다. 즉, 프로펠러(104)의 정방향 우현 회전은 선박(100)의 전방에서 선미를 바라보는 축에 대하여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선박의 후방에서 선수를 바라보는 축에 대하여 시계방향의 회전을 말한다.
또한, 선박(100)에는 선체(102)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조타장치(110)를 포함한다.
조타장치(110)는 프로펠러(104)의 후방에 선체(102)측에 설치되며, 프로펠러(104)에 의해 추진력을 얻는 선박(100)의 진행방향을 조정한다.
이를 위해 조타장치(110)는 선체(102)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방향타(rudder)(112)를 포함한다.
그리고 방향타(112)에는 벌브(114)가 설치된다. 이 벌브(114)는 프로펠러(104) 축선의 연장선상에 위치되며, 프로펠러(104)에 의해 발생된 후류를 분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벌브(114)는 프로펠러(104)의 허브 부분의 와류를 분산시켜 유선과 압력 분포를 개선하여 추진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한편, 벌브(114)에는 회전성분을 갖는 후류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추진력을 얻기 위한 복수의 핀날개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선박의 우현에 해당하는 벌브(114)의 일측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우현 핀날개(116b, 116c)와, 선박의 좌현에 해당하는 벌브(114)의 타측면에 설치된 좌현 핀날개(116a)를 포함할 수 있다. 우현 핀날개(116b, 116c)는 선박의 우현 방향 쪽 벌브(114)의 일측면에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설치되며, 좌현 핀날개(116a)는 선박의 좌현 쪽 벌브(114)의 타측면에 설치된다.
우현 핀날개(116b, 116c)는 선박(100)의 후방에서 선수를 바라보는 축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고 선박(100)의 전방에서 선미를 바라보는 축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좌현 핀날개(116a)는 선박(100)의 후방에서 선수를 바라보는 축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고 선박(100)의 전방에서 선미를 바라보는 축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한다.
도 4는 선박(100)의 전방에서 선미를 바라볼 때의 방향타(112)의 정면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 4에서, 방향타(112)를 기준으로 좌측은 선박(100)의 우현 방향이고, 우측은 선박(100)의 좌현 방향이다.
본 실시예에서 좌현 핀날개(116a)는 선박(100)의 전방에서 선미를 바라보는 축을 기준으로 방향타(112)의 중심선에서 시계방향으로 45 도 내지 135도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좌현 핀날개(116a)는 하나가 설치될 수 있으며, 벌브(114)의 측면에 방향타(112)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좌현 핀날개(116a)는 선박(100)의 전방에서 선미를 바라보는 축을 기준으로 방향타(112)의 중심선에서 시계방향으로 90도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우현 핀날개(116b, 116c)는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우현 핀날개(116b, 116c) 중 적어도 하나는 선박(100)의 전방에서 선미를 바라보는 축을 기준으로 방향타(112)의 중심선에서 시계방향으로 180도 내지 270도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적어도 다른 하나는 270도 내지 360도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우현 핀날개(116b, 116c)는 2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선박(100)의 전방에서 선미를 바라보는 축을 기준으로 방향타(112)의 중심선에서 시계방향으로 240도, 300도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우현 핀날개(116b, 116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와 방향타(112)의 일측면 사이에는 팁 플레이트(118)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팁 플레이트(118)는 원호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면의 형상이 수중익형(hydrofoil)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팁 플레이트(118)는 프로펠러의 후류의 반경 방향 성분에 의해 양력을 받게 되며, 이 양력을 이용하여 추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팁 플레이트(118)는 상, 하측 면의 압력차에 의해 끝단에서 생성되는 와류를 억제할 수 있으며, 와류 생성에 따른 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선체의 후방에서 계측한 프로펠러에 의해 발생하는 후류 유동 분포도이다. 도 5에서 좌측은 선박의 좌현 방향의 후류 유동 분포이며, 우측은 선박의 우현 방향의 후류 유동 분포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프로펠러(104)가 선박(100)의 후방에서 선수를 바라보는 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회전할 경우, 방향타(112)에는 동심원 안쪽을 도는 좌우대칭의 소용돌이 및 프로펠러(104)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류가 발생하며, 이러한 소용돌이나 회전류는 우현측 상부에 상승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팁 플레이트(118)는 핀날개 끝단에 연결되어 유동 흐름을 차단하여 핀날개 양면의 압력 차이에 의해 개방된 끝단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와류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우현측 상부에 발생하는 상승류와 팁 플레이트가 형성하는 받음각(Angle of attack)에 따라 부가 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팁 플레이트(118)는 도 4와 같이 우현 핀날개(116b, 116c) 중 최상부의 우현 핀날개(116c)와 방향타(112)의 일측면 사이에 설치된다.
프로펠러(104)의 후류에 의한 부가 추력이 발생할 수 있는 구간은 선박(100)의 전방에서 선미를 바라보는 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300도 내지 360도 사이에 가장 크게 발생함을 알 수 있다(도 5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300도 내지 360도 사이).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팁 플레이트(118)는 선박(100)의 전방에서 선미를 바라보는 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약 300도 위치에 설치된 우현 핀날개(116c)의 단부와 벌브(114) 상부의 방향타(112) 일측면 사이에 설치되며, 이에 따라 프로펠러(104)의 후류를 이용하여 부가 추력으로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우현 핀날개(116b)의 단부에는 윙렛 플레이트(117)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윙렛 플레이트(117)는 우현 핀날개(116b)에 대해 직교방향 또는 원주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우현 핀날개(116b)에 의해 발생되는 와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윙렛 플레이트(117)는 우현 핀날개(116b)의 단부에서 정회전방향 또는 역회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거나, 양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우현 핀날개(116b)의 단부에서 정회전방향과 역회전방향의 양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제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조타장치의 변형예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본 변형예는 우현 하부에 위치된 우현 핀날개(116b)의 단부에 윙렛 플레이트(117b)를 설치함과 아울러좌현 핀날개(116a)의 단부에도 윙렛 플레이트(117a)를 더 설치한 형태이다. 이 윙렛 플레이트(117a, 117b)는 우현 핀날개(116b) 및 좌현 핀날개(116a)에 대해 직교방향 또는 원주방향으로 설치되어핀날개(116a, 116b)의 단부에서 발생되는 와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조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조타장치(210), 방향타(212), 벌브(214), 좌현 핀날개(216a), 우현 핀날개(216b, 216c), 팁 플레이트(218)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우현 핀날개 중 최상부 우현 핀날개와 방향타의 일측면 사이에 팁 플레이트를 설치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팁 플레이트(218)가 복수의 우현 핀날개(216b, 216c)의 끝단과 방향타(212) 일측면을 연결하여 설치된 경우이다.
한편, 우현 핀날개(216b, 216c)들을 팁 플레이트(218)로 연결 설치하면, 도 5의 후류 유동 분포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력의 발생이 큰 반시계 방향의300도 내지 360도의 후류 유동뿐만 아니라 240도 내지 300도의 후류 유동을 이용하여 추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좌현 핀날개(216a)는 선박(100)의 전방에서 선미를 바라보는 축을 기준으로 방향타(212)의 중심선에서 시계방향으로 45 도 내지 135도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우현 핀날개(216b, 216c)는 2개가 설치되며, 선박(100)의 전방에서 선미를 바라보는 축을 기준으로 방향타(212)의 중심선에서 시계방향으로 240도, 300도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조타장치의 변형예가 도시된 도면으로, 좌현 핀날개(216a)의 단부에 윙렛 플레이트(217)를 더 설치한 형태이다.
이외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조타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9를 참조 하면, 조타장치(310), 방향타(312), 벌브(314), 좌현 핀날개(316a), 우현 핀날개(316b, 316c), 팁 플레이트(318), 보조 팁 플레이트(319)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우현 핀날개(316b, 316c) 중 최상부에 설치된 우현 핀날개(316c)의 단부와 방향타(312)의 일측면 사이에 팁 플레이트(318)를 설치하고, 좌현 핀날개(316a)의 단부와 방향타(312)의 타측면 사이에 보조 팁 플레이트(319)를 설치한 형태이다.
보조 팁 플레이트(319)는 선박(100)의 전방에서 선미를 바라보는 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0도 내지 90도 사이에 설치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0도 내지 90도 사이의 후류 유동을 이용하여 추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더불어, 보조 팁 플레이트(319)는 원호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면의 형상이 수중익형(hydrofoil)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조타장치의 변형예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하부의 우현핀 날개(316b)의 단부에 윙렛 플레이트(317)를 더 설치한 형태이다.
이외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조타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조타장치(410), 방향타(412), 벌브(414), 좌현 핀날개(416a), 우현 핀날개(416b, 416c), 윙렛 플레이트(417a, 417b, 417c)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팁 플레이트나 보조 팁 플레이트를 설치하지 않고 좌현 핀날개(416a)와 우현 핀날개(416b, 416c)의 단부에 각각 윙렛 플레이트(417a, 417b, 417c)를 설치한 형태이다.
본 실시예에서, 핀날개의 위치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프로펠러(104)에서 발생된 후류를 이용하여 추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조타장치(410)는 프로펠러(104)에서 발생된 후류에 의해 추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각각의 윙렛 플레이트(417a, 417b, 417c)의 길이 및 폭 등을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펠러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은 선박의 후방에서 선미를 바라보는 축을 중심으로 프로펠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프로펠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진 경우, 각각의 핀 날개 및 이들에 설치되는 팁 플레이트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좌, 우 대칭으로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선박 102 : 선체
104 : 프로펠러 110 : 조타장치
112 : 방향타 114 : 벌브
116a : 좌현 핀날개 116b, 116c : 우현 핀날개
118 : 팁 플레이트

Claims (10)

  1. 프로펠러에 의해 추진력을 얻는 선박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방향타(rudder)와;
    상기 방향타에 설치되어 상기 프로펠러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를 분산시키는 벌브와;
    상기 선박의 우현에 해당하는 상기 벌브의 일측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우현 핀날개와;
    상기 선박의 좌현에 해당하는 상기 벌브의 타측면에 설치된 좌현 핀날개와;
    상기 우현 핀날개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와 상기 방향타의 일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팁 플레이트와;
    상기 우현 핀날개의 단부 및 상기 좌현 핀날개의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원주방향으로 설치된 윙렛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팁 플레이트는 원호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팁 플레이트는 상기 우현 핀날개 중 최상부의 우현 핀날개와 상기 방향타의 일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타장치.
  4. 프로펠러에 의해 추진력을 얻는 선박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방향타(rudder)와;
    상기 방향타에 설치되어 상기 프로펠러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를 분산시키는 벌브와;
    상기 선박의 우현에 해당하는 상기 벌브의 일측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우현 핀날개와;
    상기 선박의 좌현에 해당하는 상기 벌브의 타측면에 설치된 좌현 핀날개와;
    상기 우현 핀날개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와 상기 방향타의 일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팁 플레이트와;
    상기 좌현 핀날개의 단부와 상기 방향타의 타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 팁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팁 플레이트는 상기 우현 핀날개 중 최상부의 우현 핀날개와 상기 방향타의 일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팁 플레이트는 원호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타장치.
  6. 삭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현 핀날개는 상기 방향타의 중심선에서 시계방향으로 45도 내지 135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우현 핀날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방향타의 중심선에서 시계방향으로 180도 내지 270도 사이에 설치되며, 적어도 다른 하나는 270도 내지 360도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타장치.
  8. 선체와;
    상기 선체에 설치되어 추진력을 발생하는 프로펠러와;
    상기 프로펠러의 후방에서 상기 선체의 진행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선체에 설치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타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우현 핀날개의 단부 및 상기 좌현 핀날개의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원주방향으로 설치된 윙렛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좌현 핀날개는 상기 방향타의 중심선에서 시계방향으로 45도 내지 135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우현 핀날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방향타의 중심선에서 시계방향으로 180도 내지 270도 사이에 설치되며, 적어도 다른 하나는 270도 내지 360도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100090719A 2010-09-15 2010-09-15 조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225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719A KR101225174B1 (ko) 2010-09-15 2010-09-15 조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719A KR101225174B1 (ko) 2010-09-15 2010-09-15 조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712A KR20120028712A (ko) 2012-03-23
KR101225174B1 true KR101225174B1 (ko) 2013-01-22

Family

ID=46133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719A KR101225174B1 (ko) 2010-09-15 2010-09-15 조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1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5292A (en) 1979-11-22 1981-06-22 Mitsubishi Heavy Ind Ltd Stern reaction fin device and its mounting method
JPS5887698U (ja) * 1981-12-08 1983-06-1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フイン付バルブ
JPS59190095A (ja) * 1983-04-14 1984-10-2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KR970006656Y1 (ko) * 1991-03-11 1997-07-01 오오바 히로시 비 대칭 리액션핀을 구비한 선박용 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5292A (en) 1979-11-22 1981-06-22 Mitsubishi Heavy Ind Ltd Stern reaction fin device and its mounting method
JPS5887698U (ja) * 1981-12-08 1983-06-1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フイン付バルブ
JPS59190095A (ja) * 1983-04-14 1984-10-2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KR970006656Y1 (ko) * 1991-03-11 1997-07-01 오오바 히로시 비 대칭 리액션핀을 구비한 선박용 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712A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38783B1 (en) Twin skeg ship
JP6160804B2 (ja) 二枚舵システム及び二枚舵システムを装備した船舶
EP3266698B1 (en) Asymmetric wake generating vortex generator for reducing propeller noise and vibration
KR101425369B1 (ko) 핀 구조물을 갖는 덕트형 선체 부가물
JP2014040169A (ja) 二重反転プロペラ推進方式の船舶
JP2014073815A5 (ko)
JP5453625B2 (ja) 二軸推進器付船舶
JP2019112054A (ja) 海洋船舶
US20130102209A1 (en) Propulsion device and ship using the same
KR20160031790A (ko) 선박용 추진 조향 시스템 및 그 선박용 추진 조향 시스템의 전가동러더
JP2012006556A (ja) ツインスケグ船
KR101225174B1 (ko) 조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US20160325810A1 (en) Propulsion device for proximity twin-screw vessel having shaft bracket and ship
KR101225177B1 (ko) 프로펠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50132922A (ko) 선미부 전류고정날개
WO2021014919A1 (ja) 船尾フィン
JP6475436B2 (ja) 3翼式舵及び3翼式舵付き船舶
JP6554743B2 (ja) 近接二軸船のフィン付舵、船舶
JP2010234924A (ja) 船舶用の舵及び船舶
JP6380848B2 (ja) 船舶
CN104229109A (zh) 扩散型端板螺桨
JP2006123849A (ja) 船舶用舵装置
JP2002178991A (ja) 船舶用高揚力舵
KR20110019271A (ko) 프로펠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4703244B2 (ja) 舶用一軸二舵システムおよび一軸二舵船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