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489B1 - 편수관, 및 편수관과 이음관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편수관, 및 편수관과 이음관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489B1
KR101224489B1 KR1020100103012A KR20100103012A KR101224489B1 KR 101224489 B1 KR101224489 B1 KR 101224489B1 KR 1020100103012 A KR1020100103012 A KR 1020100103012A KR 20100103012 A KR20100103012 A KR 20100103012A KR 101224489 B1 KR101224489 B1 KR 101224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knitting
tube
packing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1519A (ko
Inventor
최동한
Original Assignee
(주)와이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디아이 filed Critical (주)와이디아이
Priority to KR1020100103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489B1/ko
Publication of KR20120041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2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used with 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or with reduction 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2Joints for pipes being spaced apart axially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 형태의 내주면과, 후방에서 전방으로 향하면서 그 직경이 감소하면서 경사진 형태의 외주면과, 후단에 상기 내주면과 직각을 이루는 관단 접촉면이 형성된 전방삽입용 몸체와 ; 편수관의 내부에 삽입 장착되기 위하여 상기 전방삽입용 몸체의 후단 내측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방삽입용 몸체 ; 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편수관, 및 편수관과 이음관의 연결구조{PIPE WITH MOUNTING MEMBER FOR END OF PIPE AND JOINTING STRUCTURE}
본 발명은 편수관에 관한 기술로서, 구체적으로는 편수관에 장착되어 편수삽입부를 이루게 되는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와, 이와 연관된 편수관, 및 이음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수도관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편수관의 조립 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편수관(10)과 제2편수관(20)은 서로 동일한 형태이며, 제1편수관(10)의 좌측 단부에는 제2편수관(20)이 삽입되기 위한 확관부(11)가 형성되며, 아울러 확관부(11)에는 수밀을 위한 패킹(30)이 장착되기 위한 패킹 장착부(12)가 더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제2편수관(20)의 우측 단부는 제1편수관(10)에 삽입되기 위한 형태를 가진 편수삽입부(23)를 이룬다. 이와 같은 편수삽입부(23)는 제2편수관(20)의 우측 단부가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제1편수관(10)의 우측 단부는 제2편수관(20)의 우측 단부와 동일한 형태이며, 제2편수관(20)의 좌측 단부는 제1편수관(10)의 좌측 단부와 동일한 형태이다.
이러한 연결 구조에 의하여 서로 조립되는 편수관의 연결 구조는 수밀용 패킹(30)에 의하여 편수관의 연결 부위로부터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편수관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편수관의 현장 맞춤
통상적으로 편수관은 4m 내지 6m 단위로 생산되며, 양단에 각각 확관부 및 편수삽입부의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편수관을 공장에서 출하된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현장 여건상 공장 출하된 편수관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확관부를 절단할 수는 없기 때문에 편수삽입부가 형성된 부위를 절단하게 되며, 이때의 절단은 편수관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각 형태로 절단되는 직각 절단이 된다.
이와 같이 직각 절단이 되면, 그 절단된 부위를 그라인딩 등으로 면취가공을 하여 다시 편수삽입부의 형태로 만들어주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면취가공을 현장에서 수행한다는 것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공사 기간을 장기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2) 편수관의 이탈 문제
편수관의 내부에 압력이 과다하게 걸릴 경우 편수관들이 서로 이탈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즉 제1편수관(10)과 제2편수관(20)이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편수관들의 내부에 과다한 유체 압력이 걸리면 제1편수관(10)과 제2편수관(20)을 서로 고정시키는 장치가 없다면 제1편수관(10)은 우측으로, 제2편수관(20)은 좌측으로 이동하여 서로 이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편수관들의 연결 구조에서는 편수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없다.
이러한 구조의 편수관들은 지중에 매설되거나 혹은 지상에 노출되어 설치되는 경우 등의 어떠한 경우에도 편수관들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59262호 "편수관용 일체형 압륜장치"(2004년 8월 6일 등록)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이 기존의 편수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압륜장치는 대부분 각각의 편수관과 체결되는 밴드 형태의 압륜부와 상기 압륜부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막대 형태의 지지대로 이루어진다. 보통 지지대는 2개가 마련되어 서로 반대 방향에 설치되게 된다.
즉 막대 형태의 지지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한 쌍의 압륜부가 각각의 편수관을 고정시킴으로써 편수관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압륜장치는 편수관의 이탈을 방지한다는 목적에서는 타당하지만, 편수관 내부에 과도한 압력이 걸려 편수관의 이탈력이 클때 문제가 된다.
즉 과도한 이탈력이 발생할 때 밴드 형태의 압륜부에 국부적인 인장응력의 집중이 발생하여 밴드 형태의 압륜부가 타원 형태로 변형되는 것은 물론이며 지지대 역시 뒤틀리거나 휘게 된다.
이러한 압륜부의 형태 변형 내지 지지대의 형태 변형은 편수부와 그 이웃한 부위에 국부 압착을 가하는 등 편수관의 변형을 초래할 염려가 있으며, 아울러 시공 불량 내지 불량 제품의 시공으로 오인될 가능성이 높으며, 또한 미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편수관 내부에 걸리는 유체 압력의 과다 상승은 간헐적으로 발생되며, 따라서 유체 압력의 과다 상승이 발생됨에 따라 압륜부 내지 지지대의 변형은 더욱더 성장하게 된다.
또한 밴드 형태의 압륜부의 타원 형태로의 변형은, 편수관의 불규칙 압착 내지 국부적 압착을 초래하며, 또한 패킹 장착부의 국부적 압착 및 이로 인한 형태 변형을 초래하여 수밀 자체를 위협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편수삽입부의 현장 가공하는 대신에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를 간단히 장착하는 것만으로도 편수관을 다른 편수관 혹은 다른 이음관에 쉽게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박판 구조로 된 탄성부에 의하여 압륜 장치에 걸리는 인장력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어 압륜 장치의 뒤틀림이 방지되며, 탄성부에 의하여 형태 복원이 가능하여 형태 변형의 누적이 발생하지 않는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 장치를 구비한 편수관 연결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통 형태의 내주면과, 후방에서 전방으로 향하면서 그 직경이 감소하면서 경사진 형태의 외주면과, 후단에 상기 내주면과 직각을 이루는 관단 접촉면이 형성된 전방삽입용 몸체와 ; 편수관의 내부에 삽입 장착되기 위하여 상기 전방삽입용 몸체의 후단 내측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방삽입용 몸체 ; 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사상으로, 일측 단부에 다른 편수관이 삽입되기 위한 확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확관부에 패킹 장착을 위한 편수관용 패킹 장착부가 더 형성되며, 타측 단부는 내주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직각 관단이 형성된 편수관 ; 상기 편수관의 타측 단부에 장착되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가 장착된 편수관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사상으로, 일측 단부의 내부에 이음관용 패킹 장착부가 형성되는 이음관 ; 상기 이음관용 패킹 장착부에 장착되는 패킹 ; 일측 단부에 다른 편수관이 삽입되기 위한 확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확관부에 패킹 장착을 위한 편수관용 패킹 장착부가 더 형성되며, 타측 단부는 내주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직각 관단이 형성된 편수관 ; 상기 편수관의 타측 단부에 장착되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가 장착된 상기 편수관의 직각 관단이 상기 이음관에 장착된 상기 패킹을 지나면서 상기 이음관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수관과 이음관의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사상으로, 적어도 일측 단부에 이음관용 패킹 장착부가 형성되는 이음관 ; 상기 이음관용 패킹 장착부에 장착되는 패킹 ; 일측 단부에 다른 편수관이 삽입되기 위한 확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확관부에 패킹 장착을 위한 편수관용 패킹 장착부가 더 형성되며, 타측 단부는 내주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직각 관단이 형성된 편수관 ; 상기 편수관의 타측 단부에 장착되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 ; 상기 제1-1압륜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설되되 횡단면이 방사상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인 반원통 형태의 제1탄성부와, 상기 제1탄성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설되되 횡단면이 평판 형태이며 상기 제1-1압륜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반원통 형태의 제1-2압륜부와, 상기 제1-1압륜부의 원주방향 양단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제1-1체결부와, 상기 제1-2압륜부의 원주방향 양단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제1-2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 ; 횡단면이 평판 형태인 반원통 형태의 제2-1압륜부와, 상기 제2-1압륜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설되되 횡단면이 방사상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인 반원통 형태의 제2탄성부와, 상기 제2탄성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설되되 횡단면이 평판 형태인 반원통 형태의 제2-2압륜부와, 상기 제2-1압륜부의 원주방향 양단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제2-1체결부와, 상기 제2-2압륜부의 원주방향 양단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제2-2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분할 박판형 압륜구 ; 상기 제1-1체결부와 상기 제2-1체결부를 서로 체결하기 위한 제1체결수단 ; 상기 제1-2체결부와 상기 제2-2체결부를 서로 체결하기 위한 제2체결수단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가 장착된 상기 편수관의 타측 단부가 상기 이음관에 장착된 상기 패킹을 지나면서 상기 이음관에 삽입되며 ; 상기 제1-1압륜부와 상기 제2-1압륜부가 상기 편수관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장착되며 ; 상기 제1-2압륜부와 상기 제2-2압륜부가 상기 이음관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장착되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편수관과 이음관의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편수관의 편수삽입부가 현장 절단된 경우 다시 편수삽입부의 현장 가공하는 대신에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를 간단히 장착하는 것만으로도 편수관을 다른 편수관 혹은 다른 이음관에 쉽게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1,2분할 박판형 압륜구 및 이를 체결하는 제1,2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며, 아울러 그 조립이 매우 간단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박판 구조로 된 탄성부에 의하여 압륜 장치에 걸리는 인장력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어 압륜 장치의 뒤틀림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편수관의 이탈에 따라 수축하는 탄성부가 마련되어, 유체 압력이 클 경우에는 탄성부가 신장되며, 유체 압력이 낮은 경우에는 탄성부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도록 하여, 형태 변형의 누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편수관과 편수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인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가 장착된 편수관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편수관이 다른 편수관에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이음관에 의하여 한 쌍의 편수관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제1실시예의 박판형 압륜장치가 편수관 및 이음관에 조립된 상태의 개념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주요부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압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A-A기준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B-B기준 단면도,
도 13은 다른 실시예인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정면도,
도 15는 도 14의 C-C기준 단면도,
도 16은 또다른 실시예인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정면도,
도 18은 또다른 실시예인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의 분리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조립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정면도,
도 21은 도 20의 D-D 기준 단면도,
도 22는 도 20의 E-E 기준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인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본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300)는 전방삽입용 몸체(310)와 후방삽입용 몸체(32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전방삽입용 몸체(310)는 원통 형태의 내주면(311)과, 후방에서 전방으로 향하면서 그 직경이 감소되면서 경사진 형태의 외주면(312)과, 후단에 상기 내주면(311)과 직각을 이루는 관단 접촉면(313)이 형성된다.
아울러 관단 접촉면(313)의 폭방향 중앙부를 따라 후광전협 형태(후방이 넓고 전방이 좁은 형태)의 완충홈(313a)이 형성되어 있다.
후방삽입용 몸체(320)는 전방삽입용 몸체(310)의 후단 내측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후방삽입용 몸체(320)는 원통형 형태이되 후단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홈(3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방삽입용 몸체(320)의 외주면에는 그 주면을 따라 복수의 압입용 돌기(3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가 장착된 편수관의 단면도이다.
편수관(400)은 그 일측 단부에 다른 편수관이 삽입되기 위한 확관부(410)가 형성되며, 아울러 확관부(410)에는 패킹 장착을 위한 편수관용 패킹 장착부(411)가 더 형성된다.
아울러 편수관(400)의 타측 단부는 현장 맞춤을 위하여 현장에서 직각 절단되어 있는 상태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편수관(400)의 타측 단부는 공장에서 출하시 도 4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편수관(400)의 타측 단부의 관단 구조는 그 내주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구조이므로 직각 관단(420)이라 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직각 관단(420)이 형성된 편수관(400)의 타측 단부에 상기의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300)가 장착된다.
이때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300)의 후방삽입용 몸체(320)가 편수관(400)의 타측 단부 내부로 삽입되며 아울러 전방 삽입용 몸체(310)의 관단 접촉면(313)이 편수관(400)의 직각 단부(420)와 접하게 된다.
이때 절개홈(321)은, 편수관(400)의 내경에 다소 오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절개홈(321)을 내측으로 굽혀 후방삽입용 몸체(320)가 편수관(400)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압입용 돌기(322)는, 후방삽입용 몸체(320)가 편수관(400)에 삽입된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300)는 매우 간편한 방식으로 편수관(400)의 직각 관단(420)이 형성된 타측 단부에 장착되며, 아울러 압입 방식에 의하여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300)가 장착된 편수관(400)를 도 5와 같이 다른 편수관(400)의 확관부(410)에 삽입한다.
이때 다른 편수관(400)의 편수관 패킹 장착부(411)에는 미리 패킹(600)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삽입 과정에서 전방삽입용 몸체(310)의 외주면(312)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패킹(600)을 이탈시키거나 손상시키지 않는다.
아울러 전방삽입용 몸체(310)의 완충홈(313a)은 전방삽입용 몸체(310)가 패킹(600)과 만날 때 전방삽입용 몸체(310)의 형태가 조금 변형되어, 구체적으로는 외주면(312)이 완충홈(313a)에 의하여 완충되면서 축경되는 형태가 되도록 변형되어, 패킹(600)에 과도한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300)는 편수관의 직각 절단면을 다시 가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편수관의 현장 시공을 매우 간편히 하게 된다.
이와 같은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300)는 "KS M 3401 수도용 경질염화비닐관"(약칭으로 "HI-VP관"이라고도 함.)뿐만 아니라 모든 관에 적용가능하며, 모든 관종의 이음에 편수식 이음관을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다.
즉 HI-VP관 뿐만 아니라 코팅 강관, 주철관 등 현장에서 가공이 불가능한 타관종에도 본 고안이 적용되어 편수 삽입식 이음공법으로 관들을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강관, 주철관 등 관단 부식이 우려되는 경우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의 관단 접촉면에 방청 처리를 하여 편수관에 장착하면 방식 기능도 함께 가질 수 있다.
아울러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300)는 편수관의 재질과 유사한 위생 재질의 플라스틱 사출로 쉽게 저렴한 가격에 제작될 수 있다.
도 6은 이음관에 의하여 한 쌍의 편수관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음관(500)는 2개의 편수관(400)이 연결되기 위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이음관(500)의 양측 단부에 이음관용 패킹 장착부(510)가 각각 형성된다.
아울러 이음관용 패킹 장착부(510)에는 수밀을 위한 패킹(600)이 마련된다.
아울러 이음관(500)에 삽입되는 편수관(400)의 타측 단부에는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300)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음관(500)은 두 개의 편수관(400)을 연결하도록 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3개 또는 4개 이상의 편수관(400)을 연결할 수 있는 구조의 이음관(500)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에 의하여 이음관과 편수관이 연결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제1실시예의 박판형 압륜장치가 편수관 및 이음관에 조립된 상태의 개념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주요부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압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의 정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A-A기준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B-B기준 단면도이다.
본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는 크게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100)와, 제2분할 박판형 압륜구(200)와,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110)와 제2분할 박판형 압륜구(120)를 서로 체결하기 위한 볼트, 너트 등의 제1,2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100)의 형태와 제2분할 박판형 압륜구(200)의 형태는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100)를 위주로 설명하며, 제2분할 박판형 압륜구(200)에 대한 설명은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100)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100)는 제1-1압륜부(110), 제1-1경사부(120), 제1중간부(130), 제1-2경사부(140), 제1-2압륜부(150), 제1-1체결부(160), 제1-2체결부(170)로 이루어진다.
제1-1압륜부(110), 제1-1경사부(120), 제1중간부(130), 제1-2경사부(140), 제1-2압륜부(160)가 차례대로 연속하여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반원통 형태를 가진다. 즉 제1-1압륜부(110)의 길이방향 일측에 제1-1경사부(120)가 확관되면서 형성되며, 제1-1경사부(120)의 길이방향 일측에 제1중간부(130)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형성되며, 제1중간부(130)의 길이방향 일측에 제1-2경사부(140)가 축관되면서 형성되며, 제1-2경사부(140)의 길이방향 일측에 제1-2압륜부(150)가 형성된다.
제1-1압륜부(110)와 제1-2압륜부(16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횡단면이 평판 형태를 가진다. 즉 제1-1압륜부(110)와 제1-2압륜부(160)는 제2분할 박판형 압륜구(200)와 조합되어 밴드 형태의 압륜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제1-2압륜부(160)는 제1-1압륜부(1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제1-1경사부(120), 제1중간부(130), 제1-2경사부(140)는 그 횡단면이 방사상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지면서 제1탄성부를 형성하게 된다.
제1탄성부는 본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가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반원통 형태의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100)는 정확한 180°의 원호각을 가지는 반원통 형태는 아니며, 약 170°~178°의 원호각을 가지는 반원통 형태이다. 이는 제1-1압륜부(110) 및 제1-2압륜부(150)가 편수관의 외주면을 압착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제1-1압륜부(110)의 원주방향 양단에는 방사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제1-1체결부(160)가 연장 형성되며, 제1-1체결부(160)에는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1-2압륜부(150)의 원주방향 양단에는 방사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제1-2체결부(170)가 연장 형성되며, 제1-2체결부(160)에는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제1-1압륜부(110)에는 다수의 제1-1협지편(111)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2압륜부(1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관용 패킹 장착부(510)와의 간섭 구조에 의하여 좌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별도로 협지편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제1-2압륜부(150)가 이음관용 패킹 장착부(510)로부터 조금 이격되어 장착되는 경우 제1편수관(10)이 그 이격된 거리만큼 슬라이딩될 수가 있기 때문에 제1편수관(10)의 축방향 신축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100)와 완전히 동일한 형태로 제2분할 박판형 압륜구(200)가 제공된다.
즉 제2분할 박판형 압륜구(200)는, 제1-1압륜부(110), 제1-1협지편(111), 제1-1경사부(120), 제1중간부(130), 제1-2경사부(140), 제1-2압륜부(150), 제1-1체결부(160), 제1-2체결부(170)와 대응하여, 제2-1압륜부, 제2-1협지편, 제2-1경사부, 제2중간부, 제2-2경사부, 제2-2압륜부, 제2-1체결부, 제2-2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100)는 하나의 강판을 판재 성형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즉 하나의 강판(두께 약 2mm)을 적절한 크기로 재단하여 일정한 형태를 형성한 후 펀칭 등에 의하여 제1-1체결부 내지 제1-2체결부 각각의 볼트구멍 및 제1-1협지편을 형성하고, 디프 드로잉 등에 의하여 제1탄성부(즉 제1-1경사부, 제1중간부, 제1-2경사부 ) 등을 형성한 것이다.
제2분할 박판형 압륜구(200) 또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1,2분할 박판형 압륜구(100,200)가 제조된 후, 이를 편수관(400)과 이음관(500)에 조립한다.
도 7과 같이 편수관(100)을 이음관(500)에 삽입한 상태에서 본 압륜장치가 조립된다.
이하에서는 이음관(500)의 좌측 단부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1-1압륜부(110) 및 제2-1압륜부가 편수관(4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장착되며, 제1-2압륜부(150) 및 제2-2압륜부가 이음관(5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장착된 후, 제1체결수단이 제1-1체결부(160)와 제2-1체결부를 체결하며, 제2체결수단이 제1-2체결부(170)와 제2-2체결부를 서로 체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2체결수단은 체결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다.
제1,2체결수단의 체결력에 의하여 제1-1압륜부(110)의 제1-1협지편(111)과 및 제2-1압륜부의 제2-1협지편이, 제1-2압륜부(150)와 제2-2압륜부가 편수관의 외주면을 강력하게 압착하면서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본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가 설치되면, 편수관이 이음관에 연결된 부위가 본 압륜장치에 의하여 대부분 감싸인 구조로 되므로 그 외관이 매우 미려하게 된다.
아울러 본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는 매우 간단한 제조 공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조립이 매우 간단하다.
또한 이렇게 조립된 상태에서 편수관 내부의 유체압력이 상승할 경우 편수관의 이탈력에 의하여 제1-1압륜부(110)와 제1-1경사부(120)의 경사각, 제1-1경사부(120)와 제1중간부(130)의 경사각, 제1중간부(130)와 제1-2경사부(140)의 경사각이 작아지면서 본 압륜 장치의 전체적인 길이가 신장된다.
이렇게 본 압륜 장치가 신장되는 경우에도 원주 방향 전체에 걸쳐 인장력이 골고루 분산되므로 본 압륜 장치의 형태가 뒤틀리지 않게 된다.
아울러 다시 편수관 내부의 유체압력이 하강할 경우 강판에 의하여 제조된 본 제1,2분할 박판형 압륜구(100)의 탄성복원력에 따라 제1-1압륜부(110)와 제1-1경사부(120)의 경사각, 제1-1경사부(120)와 제1중간부(130)의 경사각, 제1중간부(130)와 제1-2경사부(140)의 경사각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본 압륜 장치의 전체적인 길이가 원래 상태로 복원된다.
따라서 유체압력의 잦은 상승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본 압륜 장치는 자신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이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인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정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C-C기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가 도 10의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제1탄성부에 절개구멍(131)이 형성된다는 점이다. 물론 본 실시예의 제2분할 박판형 압륜구 또한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10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절개구멍(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절개구멍(131)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형태이다.
본 박판형 압륜장치가 편수관의 이탈력에 따라 뒤틀림 등이 발생되지 않기 위하여는 원주방향을 따라 균일한 인장력이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는 가급적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박판형 압륜장치, 특히 제1탄성부의 종단면 구조는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1탄성부(구체적으로는 제1-1경사부, 제1중간부, 제1-2경사부)가 디프 드로잉 과정에서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는 디프 드로잉은 강판의 두께가 줄어드는 만큼 그 면적이 넓어지게 되므로, 디프 드로잉에 따른 면적 증가율이 동일하지 않다면 강판의 두께 변화도 동일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제1-1경사부, 제1중간부, 제1-2경사부의 면적 증가율이 상이하다면 그 두께 변화 또한 상이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디프 드로잉 직전에 미리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구멍(131)을 형성하다면 디프 드로잉에 의한 면적 증가율을 거의 일치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원주방향으로 균등한 두께를 가지게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6은 또다른 실시예인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의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가 도 13의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제1탄성부에 형성된 절개구멍(131)의 형성 방향이 박판형 압륜구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형태의 절개구멍(131)은 탄성부에 더욱 강한 신축력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8은 또다른 실시예인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19는 도 18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20은 도 19의 정면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D-D 기준 단면도이며, 도 22는 도 20의 E-E 기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는 3개의 부품이 용접에 의하여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형태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는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100)는, 제1탄성부용 박판(100a)와 제1-1압륜용 후판(100b)와 제1-2압륜용 후판(100b)로 이루어진다.
물론 제2분할 박판형 압륜구(200) 또한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100)와 대응되어 제2탄성부용 박판과, 제2-1압륜용 후판과, 제2-2압륜용 후판으로 이루어진다.
제1탄성부용 박판(100a)은 반원통 형태의 제1-1압륜 접합부(120a)와, 제1-1경사부(120), 제1중간부(130), 제1-2경사부(140), 반원통 형태의 제1-2압륜 접합부(140a)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1탄성부용 박판(100a)은 하나의 강판의 판재 성형에 의하여 제작되며, 제1탄성부(120, 130, 140)의 양측에 제1-1,2압륜 접합부(120a, 140a)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이다.
제1-1압륜용 후판(100b)은 제1탄성부용 박판(100a)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제1-1압륜부(110)와 제1-1체결부(160)로 이루어진다.
제1-2압륜용 후판(100c)은 제1탄성부용 박판(100a)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제1-2압륜부(150)와 제1-2체결부(17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1압륜부(110)의 외주면에 제1-1압륜 접합부(120a)가 저항 용접 등에 의하여 면접촉되면서 일체로 형성되며, 제1-2압륜부(150)의 외주면에 제1-2압륜 접합부(140a)가 저항 용접 등에 의하여 면접촉되면서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박판형 압륜구를 이용하면 제1탄성부용 박판(100a)에 의한 신축성은 물론이며, 제1-1압륜용 후판(100b) 내지 제1-2압륜용 후판(100c)에 의한 견고한 클램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 110 : 제1-1압륜부
111 : 제1-1협지편 120 : 제1-1경사부
130 : 제1중간부 131 : 절개구멍
140 : 제1-2경사부 150 : 제1-2압륜부
160 : 제1-1체결부 170 : 제1-2체결부
300 :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 310 : 전방삽입용 몸체
320 : 후방삽입용 몸체
400 : 편수관 410 : 확관부
411 : 편수관용 패킹 장착부 420 : 직각 관단
500 : 이음관 510 : 이음관용 패킹 장착부
600 : 패킹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일측 단부에 다른 편수관이 삽입되기 위한 확관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확관부(410)에 패킹 장착을 위한 편수관용 패킹 장착부(411)가 더 형성되며, 타측 단부는 내주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직각 관단(420)이 형성된 편수관(400) ;
    원통 형태의 내주면과, 후방에서 전방으로 향하면서 그 직경이 감소하면서 경사진 형태의 외주면과, 후단에 상기 내주면과 직각을 이루는 관단 접촉면이 형성된 전방삽입용 몸체(310)와 상기 전방삽입용 몸체(310)의 후단 내측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편수관(400)의 직각 관단(420)의 내부에 삽입 장착되는 후방삽입용 몸체(320)가 일체로 형성되는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300)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가 장착된 편수관.
  6. 일측 단부의 내부에 이음관용 패킹 장착부(510)가 형성되는 이음관(500) ;
    상기 이음관용 패킹 장착부(510)에 장착되는 패킹(600) ;
    일측 단부에 다른 편수관이 삽입되기 위한 확관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확관부(410)에 패킹 장착을 위한 편수관용 패킹 장착부(411)가 더 형성되며, 타측 단부는 내주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직각 관단(420)이 형성된 편수관(400) ;
    원통 형태의 내주면과, 후방에서 전방으로 향하면서 그 직경이 감소하면서 경사진 형태의 외주면과, 후단에 상기 내주면과 직각을 이루는 관단 접촉면이 형성된 전방삽입용 몸체(310)와 상기 전방삽입용 몸체(310)의 후단 내측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편수관(400)의 직각 관단(420)의 내부에 삽입 장착되는 후방삽입용 몸체(320)가 일체로 형성되는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300)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가 장착된 상기 편수관(400)의 직각 관단(420)이 상기 이음관(500)에 장착된 상기 패킹(600)을 지나면서 상기 이음관(500)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수관과 이음관의 연결구조.
  7. 일측 단부의 내부에 이음관용 패킹 장착부(510)가 형성되는 이음관(500) ;
    상기 이음관용 패킹 장착부(510)에 장착되는 패킹(600) ;
    일측 단부에 다른 편수관이 삽입되기 위한 확관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확관부(410)에 패킹 장착을 위한 편수관용 패킹 장착부(411)가 더 형성되며, 타측 단부는 내주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직각 관단(420)이 형성된 편수관(400) ;
    원통 형태의 내주면과, 후방에서 전방으로 향하면서 그 직경이 감소하면서 경사진 형태의 외주면과, 후단에 상기 내주면과 직각을 이루는 관단 접촉면이 형성된 전방삽입용 몸체(310)와 상기 전방삽입용 몸체(310)의 후단 내측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편수관(400)의 직각 관단(420)의 내부에 삽입 장착되는 후방삽입용 몸체(320)가 일체로 형성되는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300) ;
    횡단면이 평판 형태인 반원통 형태의 제1-1압륜부와, 상기 제1-1압륜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설되되 횡단면이 방사상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인 반원통 형태의 제1탄성부와, 상기 제1탄성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설되되 횡단면이 평판 형태이며 상기 제1-1압륜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반원통 형태의 제1-2압륜부와, 상기 제1-1압륜부의 원주방향 양단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제1-1체결부와, 상기 제1-2압륜부의 원주방향 양단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제1-2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100) ;
    횡단면이 평판 형태인 반원통 형태의 제2-1압륜부와, 상기 제2-1압륜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설되되 횡단면이 방사상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인 반원통 형태의 제2탄성부와, 상기 제2탄성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설되되 횡단면이 평판 형태인 반원통 형태의 제2-2압륜부와, 상기 제2-1압륜부의 원주방향 양단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제2-1체결부와, 상기 제2-2압륜부의 원주방향 양단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제2-2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분할 박판형 압륜구(200) ;
    상기 제1-1체결부와 상기 제2-1체결부를 서로 체결하기 위한 제1체결수단 ;
    상기 제1-2체결부와 상기 제2-2체결부를 서로 체결하기 위한 제2체결수단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가 장착된 상기 편수관(400)의 직각 관단(420)이 상기 이음관(500)에 장착된 상기 패킹(600)을 지나면서 상기 이음관(500)에 삽입되며 ;
    상기 제1-1압륜부와 상기 제2-1압륜부가 상기 편수관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장착되며 ;
    상기 제1-2압륜부와 상기 제2-2압륜부가 상기 이음관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장착되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편수관과 이음관의 연결구조.

KR1020100103012A 2010-10-21 2010-10-21 편수관, 및 편수관과 이음관의 연결구조 KR101224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012A KR101224489B1 (ko) 2010-10-21 2010-10-21 편수관, 및 편수관과 이음관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012A KR101224489B1 (ko) 2010-10-21 2010-10-21 편수관, 및 편수관과 이음관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519A KR20120041519A (ko) 2012-05-02
KR101224489B1 true KR101224489B1 (ko) 2013-01-22

Family

ID=46262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012A KR101224489B1 (ko) 2010-10-21 2010-10-21 편수관, 및 편수관과 이음관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4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812A (ko) 2019-01-29 2020-08-06 곽종국 직경이 다른 관을 연결하는 엘보형 편수관
KR20200093811A (ko) 2019-01-29 2020-08-06 곽종국 직경이 다른 관을 연결하는 편수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46997B (zh) * 2021-12-30 2023-11-10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加强密封性的负压引流管连接装置
CN114776902A (zh) * 2022-05-23 2022-07-22 华夏天地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污水排水管道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2461A (ja) * 1996-10-17 1998-05-15 Kubota Corp ポリオレフィン系管の離脱防止継手
KR19980033513U (ko) * 1996-12-07 1998-09-05 박병재 플라스틱 튜브 어셈블리
KR100596742B1 (ko) * 2003-11-14 2006-07-07 이승도 관 접속구조
KR20080072421A (ko) * 2007-02-02 2008-08-06 최윤경 배관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2461A (ja) * 1996-10-17 1998-05-15 Kubota Corp ポリオレフィン系管の離脱防止継手
KR19980033513U (ko) * 1996-12-07 1998-09-05 박병재 플라스틱 튜브 어셈블리
KR100596742B1 (ko) * 2003-11-14 2006-07-07 이승도 관 접속구조
KR20080072421A (ko) * 2007-02-02 2008-08-06 최윤경 배관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812A (ko) 2019-01-29 2020-08-06 곽종국 직경이 다른 관을 연결하는 엘보형 편수관
KR20200093811A (ko) 2019-01-29 2020-08-06 곽종국 직경이 다른 관을 연결하는 편수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519A (ko) 201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489B1 (ko) 편수관, 및 편수관과 이음관의 연결구조
KR101227003B1 (ko) 설치 준비된 파이프 커플링의 제조 방법
KR100923709B1 (ko)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
KR100981565B1 (ko) 파이프 접속용 조인트
KR101224490B1 (ko) 엘보형 편수이음관, 및 편수이음관의 연결구조
FI125207B (fi) Menetelmä kiinnityskauluksen muodostamiseksi ja laippaliitos
CN104344127A (zh) 易于部件组装的触发插入式导管连接装置
KR200318911Y1 (ko) 파이프 고정 장치
KR101267263B1 (ko)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
KR100931920B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
JP2008208898A (ja) ホース接続のフランジ式コネクタ
KR102229309B1 (ko) 플렉시블 조인트의 연결구 결합구조
KR101709723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1279933B1 (ko) 합성수지관용 클램프
JP5791005B2 (ja) 管継手用ロックリング
JP2015166601A (ja) 変換継手
KR20080080738A (ko) 체결구를 구비한 합성수지 연결관
CN203907083U (zh) 一种新型卡箍接头
JP4718310B2 (ja) 管体の継手構造および継手装置
JPH10311469A (ja) ルーズフランジ式管継手
KR102264914B1 (ko) 관 연결 방법
WO2019230398A1 (ja) パイプ連結具及びパイプ連結方法
JP2001099360A (ja) 継手一体型ステンレススチール製波状管
CN201137783Y (zh) 管道连接件
KR20120007827U (ko) 배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