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200B1 - 사료용 발효기 - Google Patents

사료용 발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200B1
KR101224200B1 KR1020110089426A KR20110089426A KR101224200B1 KR 101224200 B1 KR101224200 B1 KR 101224200B1 KR 1020110089426 A KR1020110089426 A KR 1020110089426A KR 20110089426 A KR20110089426 A KR 20110089426A KR 101224200 B1 KR101224200 B1 KR 101224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filter
feed
fermenter
load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아
변기원
Original Assignee
변기원
김경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기원, 김경아 filed Critical 변기원
Priority to KR1020110089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treating by application of heat, e.g. by means of potato coo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가축의 사료를 생산하기 위한 발효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무게의 변화를 감지하는 로드 셀; 및 상기 로드 셀에 의해 감지된 값을 표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재료와 함께 공급되는 수분의 증발량을 감지하여 건조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사료용 발효기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사료용 발효기{Fermentation machine for fordder}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가축의 사료를 생산하기 위한 발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분리 수거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건조와 발효과정을 거쳐 동식물의 사료로 재활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이하, 재료라 통칭함)를 사료로 재활용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발효기가 제공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와 같은 발효기는 통상 드럼 형태로 형성되면서 그 상측에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송풍구를 통해 내부로 바람을 공급하면서 내부에 설치된 스크루를 이용하여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 및 혼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사료용 발효기는 사용 중에 재료의 건조가 어느 정도 이루어졌는지를 알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재료의 건조 정도를 알기 위해서는 작동을 멈춘 후 내부의 재료를 직접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 사료용 발효기의 일측에는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배출구는 공급구와 대등한 지름으로 형성되어 외부와 직접 관통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로 공급된 건조풍이 드럼 내부 전체적으로 순환하기 전에 상기 배출구를 통해 쉽게 배출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사료용 발효기는 내부로 공급되는 바람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냄새와 함께 건조된 사료의 분진이 배출될 뿐만 아니라, 각종 세균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작동 중에도 실시간으로 수분의 증발량을 감지하여 건조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사료용 발효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로 공급되는 건조풍이 원활하게 순환 후 배출되도록 한 사료용 발효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끼인 분진 등의 이물질을 간편하게 세척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사료용 발효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로 공급된 건조풍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냄새와 분진 또는 각종 세균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사료용 발효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조풍으로서 냉풍이나 온풍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사료용 발효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 내부에 드럼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드럼 중심에는 스크루가 축 설치되며, 상기 드럼 내부로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와 상기 드럼 내부의 재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와 상기 드럼 내부로 건조풍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 및 드럼 내부의 건조풍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사료용 발효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공급된 재료의 무게를 감지하고, 상기 건조 과정에서 수분의 증발량에 따른 무게의 변화를 감지하는 로드 셀; 및 상기 로드 셀에 의해 감지된 값을 표시하여 상기 재료의 건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로드 셀의 메뉴얼을 설정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급구는 본체 상부의 일측으로부터 드럼 내부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본체 배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드럼과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의 배면 사이에 건조풍이 경유하도록 형성된 격리실; 및 상기 드럼과 격리실 사이에 건조풍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다공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공판은 공급구가 형성된 일측에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고,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많은 수의 구멍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격리실의 상측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 및 상기 격리실 하측으로부터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공판은 주름 형태로 형성되고, 구멍은 주름의 골과 마루 중 마루 상에 관통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어 건조풍을 배출하기 위한 흡입 블로어; 및 상기 흡입 블로어와 연결되며 배출되는 건조풍 중에 악취, 이물질 또는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 내부로 미생물이 포함된 액상 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와 연결되며 배출되는 건조풍 중에 이물질과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보조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급구에 연결되며 건조풍을 공급하기 위한 토출 블로어; 및 상기 공급구에 설치되는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사료용 발효기에 의하면 상기 로드 셀과 컨트롤러를 통해 수분의 증발량을 감지하여 재료의 건조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사료용 발효기에 의하면 상기 격리실과 다공판을 형성하여 드럼 내부로 건조풍이 원활하게 순환 후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건조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사료용 발효기에 의하면 상기 공급관과 배출관을 통해 상기 격리실과 다공판에 쌓인 분진을 간편하게 세척함으로써, 건조풍의 배출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사료용 발효기에 의하면 상기 흡입 블로어 및 필터를 통해 드럼 내부의 건조풍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냄새와 분진 또는 각종 세균을 제거함으로써, 작업 환경이 개선되고 위생적이며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사료용 발효기에 의하면 공급구에 토출 블로어를 연결하는 한편, 상기 공급구에 히터를 설치함으로써, 경우에 따라 뜨거운 건조풍과 차가운 건조풍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사료용 발효기가 도시된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사료용 발효기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사료용 발효기가 도시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사료용 발효기의 일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사료용 발효기의 다른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배출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사료용 발효기의 공기 배출 흐름이 도시된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사료용 발효기의 또 다른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사료용 발효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무게의 변화를 감지하는 로드 셀(100) 및 상기 로드 셀에 의해 감지된 값을 표시하는 컨트롤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사료용 발효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내부에 드럼(2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드럼(20) 중심에는 스크루(30)가 축 설치되며, 상기 드럼(20) 내부로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40)와 상기 드럼(20) 내부의 재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50)와 상기 드럼(20) 내부로 건조풍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60) 및 드럼(20) 내부의 건조풍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70)가 형성된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공급구(60)는 본체(10) 상부의 일측으로부터 드럼(20) 내부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70)는 본체(10) 배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투입구(40)는 상기 공급구(60)와 반대인 타측에 형성되고, 토출구(50)는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로드 셀(1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공급된 재료의 무게를 감지하고, 상기 건조 과정에서 수분의 증발량에 따른 무게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로드 셀(100)은 본체(10)의 바닥 중 네 귀퉁이에 각각 설치되어 무게의 변화를 정확하게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러(200)는 상기 로드 셀(100)에 의해 감지된 값을 표시하여 상기 재료의 건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로드 셀(100)의 메뉴얼을 설정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러(200)는 드럼(20)에 재료를 공급하기 전에 상기 로드 셀(100)에 의해 감지된 무게를 영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드럼(20) 내부에 재료를 공급한 후에 상기 로드 셀(100)에 의해 감지된 무게를 기준으로 정한 다음, 재료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수분의 증발량만큼 감소하는 무게를 감지하여 표시함으로써 재료의 건조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구(60)는 본체(10) 상부의 일측으로부터 드럼(20) 내부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70)는 본체(10) 배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드럼(20)과 본체(10) 배면 사이에는 건조풍이 경유하도록 격리실(300)을 형성하고, 상기 드럼(20)과 격리실(300) 사이에는 건조풍이 통과하도록 다공판(400)을 설치한다. 즉, 상기 공급구(4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구(70)를 통해 직접 배출되지 않고, 상기 다공판(400)과 격리실(300)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다공판(400)은 작은 구멍들로 구성되므로 건조풍이 쉽게 배출되지 못하고 드럼(20) 내부에 머무는 시간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건조된 재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다공판(400)은 예를 들어 상기 공급구(60)가 형성된 일측에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고,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많은 수의 구멍이 관통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공급구(60)를 통해 드럼(20) 일측으로 건조풍이 유입되면 일측의 다공판(400)을 통해서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일단 드럼(20) 하부의 재료를 경유하여 타측에 이르며, 이렇게 드럼(20)의 타측으로 이동한 건조풍은 그 위에 형성 다공판(400)의 많은 구멍을 통해 격리실(300)로 배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리실의 상측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500)이 형성되고, 상기 격리실(300) 하측에는 바닥에 모인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600)이 형성된다. 상기 공급관(500)과 배출관(600)은 건조풍과 함께 다공판(400)과 격리실(300) 내부에 쌓인 재료의 분진을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측에 물을 분사하여 다공판(400)을 세척한 후 격리실(300) 바닥에 흘러내린 세척물을 배출시킨다.
이때, 상기 다공판(400)은 주름 형태로 형성하면서 각 구멍은 주름의 골과 마루 중 마루 상에 관통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드럼(20) 내부의 온도와 외부의 온도 차에 의해 다공판(400)에 이슬이 맺힐 때 상기 이슬이 드럼(20)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좌우의 골을 따라 격리실(300)로 흘러내리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70)에는 격리실(300) 내부로 유입된 건조풍을 흡입하여 빨아내기 위한 흡입 블로어(700)가 설치되고, 상기 흡입 블로어(700)에는 필터(800)가 연결되어 배출되는 건조풍 중에 악취, 이물질 또는 세균을 제거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필터(8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취, 이물질 또는 세균 등을 단계적으로 제거하도록 활성탄이나, 부직포 등의 여과층을 하부로부터 상부로 쌓아 구성한다.
또한, 상기 필터(800)는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로 미생물이 포함된 액상 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8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미생물이 포함된 액상 물질은 악취를 제거하고 유해균을 제거하기 위한 것인데, 홍색유황세균이나 녹색유황세균과 같은 광합성균이 포함된 액상 물질을 공급하면 악취 제거는 물론이고 살모넬라나 대장균 등이 억제되는 것이다. 또한, 락토바실러스플랜타륨이나 락토바실러스에시토필러스와 같은 유산균은 악취를 제거하고 각종 병원균을 제거하며, 바실러스써브틸러스와 같은 바실러스균은 유기물 분해 및 유해균 등이 억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미생물이 포함된 액상 물질은 상기 펌프(810)를 이용하여 필터(800) 상부로 공급한다.
아울러, 상기 필터(800)와 연결되며 배출되는 건조풍 중에 이물질과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보조 필터(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보조 필터(800')는 상기 필터(800)에서 미처 걸러되지 못한 물질을 한 번 더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미생물이 포함된 액상 물질이 필터로 공급되는 경우 설치하여 미생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구(60)에는 상온의 건조풍을 강제로 공급하기 위한 토출 블로어(900a)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공급구(60)에는 히터(900b)를 설치하여 공급되는 건조풍의 온도를 뜨겁게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재료를 신속히 건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히터(900b)를 가동시켜 뜨거운 바람을 원활하게 공급하는 한편, 건조가 완료된 재료를 배출하기 전에는 상기 히터(900b)의 가동을 정지시켜 상온의 바람을 공급하여 재료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로드 셀(100)과 컨트롤러(200)를 통해 수분의 증발량을 감지하여 재료의 건조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더욱 편리하다.
또한, 상기 격리실(300)과 다공판(400)을 형성하여 드럼(20) 내부로 건조풍이 원활하게 순환 후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건조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상기 공급관(500)과 배출관(600)을 통해 상기 격리실(300)과 다공판(400)에 쌓인 분진을 간편하게 세척함으로써 건조풍의 배출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흡입 블로어(700) 및 필터(800)를 통해 드럼(20) 내부의 건조풍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냄새와 분진 또는 각종 세균을 제거함으로써, 작업 환경이 개선되고 위생적이며 친환경적인 사료용 발효기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급구(60)에 토출 블로어(900a)를 연결하는 한편, 상기 공급구(60)에 히터(900b)를 설치함으로써, 경우에 따라 뜨거운 건조풍과 차가운 건조풍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100: 로드 셀
200: 컨트롤러
300: 격리실
400: 다공판
500: 공급관
600: 배출관
700: 흡입 블로어
800: 필터 800': 보조 필터
810: 펌프
900a: 토출 블로어 900b: 히터

Claims (11)

  1. 삭제
  2. 본체(10)의 내부에 드럼(2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드럼(20)의 중심에는 스크루(30)가 축 설치되며, 상기 드럼(20) 내부로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40)와, 상기 드럼(20) 내부의 재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50)와, 상기 드럼(20) 내부로 건조풍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60) 및 상기 드럼(20) 내부의 건조풍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70)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공급된 재료의 무게를 감지하고, 상기 건조 과정에서 수분의 증발량에 따른 무게의 변화를 감지하는 로드 셀(100); 및 상기 로드 셀(100)에 의해 감지된 값을 표시하여 상기 재료의 건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로드 셀(100)의 메뉴얼을 설정하기 위한 컨트롤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 사료용 발효기에 있어서,
    상기 공급구(60)는 본체(10) 상부의 일측으로부터 드럼(20) 내부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70)는 본체(10) 배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드럼(20)과 상기 배출구(70)가 형성된 본체의 배면(10) 사이에 건조풍이 경유하도록 형성된 격리실(300); 및
    상기 드럼(20)과 격리실(300) 사이에 건조풍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다공판(4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발효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400)은 공급구(60)가 형성된 일측에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고,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많은 수의 구멍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발효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격리실(300)의 상측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500); 및
    상기 격리실(300) 하측으로부터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6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발효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400)은 주름 형태로 형성되고, 구멍은 주름의 골과 마루 중 마루 상에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발효기.
  6. 청구항 3항 또는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20) 내부의 온도와 외부의 온도 차에 의해 다공판(400)에 맺힌 이슬이 상기 드럼(20)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좌우의 골을 따라 격리실(300)로 흘러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사료용 발효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70)에 연결되어 건조풍을 배출하기 위한 흡입 블로어(700); 및
    상기 흡입 블로어(700)와 연결되며 배출되는 건조풍 중에 악취, 이물질 또는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8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발효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필터(800) 내부로 미생물이 포함된 액상 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8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발효기.
  9. 청구항 8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810)에 의하여 공급되는 미생물은 홍색유황세균이나 녹색유황세균과 같은 광합성균과, 락토바실러스플랜타륨이나 락토바실러스에시토필러스와 같은 유산균과, 바실러스써브틸러스와 같은 바실러스균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발효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필터(800)와 연결되며 배출되는 건조풍 중에 이물질과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보조 필터(8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발효기.
  11. 삭제
KR1020110089426A 2011-09-05 2011-09-05 사료용 발효기 KR101224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426A KR101224200B1 (ko) 2011-09-05 2011-09-05 사료용 발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426A KR101224200B1 (ko) 2011-09-05 2011-09-05 사료용 발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4200B1 true KR101224200B1 (ko) 2013-01-21

Family

ID=47842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426A KR101224200B1 (ko) 2011-09-05 2011-09-05 사료용 발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2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123B1 (ko) * 2014-03-12 2015-10-21 박성규 사료용 발효건조기
KR20200076839A (ko) 2018-12-20 2020-06-30 변기원 습기 및 압력 배출구조를 갖는 발효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2898A (ja) * 2000-09-28 2002-04-09 Sumitomo Heavy Ind Ltd 内部混合型発酵乾燥機の発酵乾燥方法
JP2002143897A (ja) 2000-11-10 2002-05-21 Sumitomo Heavy Ind Ltd 発酵乾燥機
JP2009101325A (ja) 2007-10-25 2009-05-14 Taiko Kikai Industries Co Ltd 生ごみの真空乾燥装置
KR101047834B1 (ko) 2009-02-13 2011-07-08 (주)성운프렌트 펠렛 제조용 원료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2898A (ja) * 2000-09-28 2002-04-09 Sumitomo Heavy Ind Ltd 内部混合型発酵乾燥機の発酵乾燥方法
JP2002143897A (ja) 2000-11-10 2002-05-21 Sumitomo Heavy Ind Ltd 発酵乾燥機
JP2009101325A (ja) 2007-10-25 2009-05-14 Taiko Kikai Industries Co Ltd 生ごみの真空乾燥装置
KR101047834B1 (ko) 2009-02-13 2011-07-08 (주)성운프렌트 펠렛 제조용 원료 건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123B1 (ko) * 2014-03-12 2015-10-21 박성규 사료용 발효건조기
KR20200076839A (ko) 2018-12-20 2020-06-30 변기원 습기 및 압력 배출구조를 갖는 발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773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E102010017103B4 (de) Kontrollierte Entfeuchtung in einer Waschgut-Behandlungsmaschine
KR101498027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E102010017104A1 (de) Active Entfeuchtung in Waschgut-Behandlungsgeräten
DE102007062069B4 (de) Trockner mit Sicherheitsfunktion
CN202671922U (zh) 冷凝式干衣机
KR101118714B1 (ko) 음식 폐기물의 재활용이 가능한 음식물 처리기
KR101224200B1 (ko) 사료용 발효기
CN205991575U (zh) 一种水洗式空气净化新风装置
KR101224286B1 (ko) 사료용 발효기
CN107374069A (zh) 鞋子的快速加热烘干设备
CN209991670U (zh) 一种热风循环烘箱用除味装置
KR102255835B1 (ko)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DE102010030441B4 (de) Verfahren zur Bestimmung von wäschespezifischen Eigenschaften in einem Wäschebehandlungsgerät und hierfür geeignetes Wäschebehandlungsgerät
KR101224252B1 (ko) 사료용 발효기
JP2014014476A (ja) 衣類乾燥機
KR101467775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0427847Y1 (ko) 음식물처리기
KR10182697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응축장치
DE69916006T2 (de) Wäschetrommeltrockner mit Abluft
KR20230151590A (ko) 건조통 착탈과 악취제거 및 트윈건조 기능의 빌트-인형 음식물 처리기
KR200422494Y1 (ko) 위생 의류건조기
CN211284185U (zh) 一种固液混合有机垃圾的综合处理装置
CN211112802U (zh) 一种干燥鞋袜用装置
JP4579881B2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