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252B1 - 사료용 발효기 - Google Patents

사료용 발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252B1
KR101224252B1 KR1020120066518A KR20120066518A KR101224252B1 KR 101224252 B1 KR101224252 B1 KR 101224252B1 KR 1020120066518 A KR1020120066518 A KR 1020120066518A KR 20120066518 A KR20120066518 A KR 20120066518A KR 101224252 B1 KR101224252 B1 KR 101224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drying wind
wind
drying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기원
김경아
Original Assignee
김경아
변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아, 변기원 filed Critical 김경아
Priority to KR1020120066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7Electromagnetic heating, e.g. induction heating or heating using microwave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내부에 드럼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드럼 중심에는 스크루가 축 설치되어, 상기 드럼 내부로 재료를 공급하면서 스크루로 혼합한 후 배출시키는 한편, 상기 드럼 내부로 상기 재료를 발효시키기 위한 건조풍을 공급하고 배출시키는 사료용 발효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건조풍이 유입되는 제1 필터부; 상기 제1 필터부를 통해 유입되는 건조풍 중에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응축부; 및 상기 응축부를 통해 유입되는 건조풍을 일정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드럼으로 재순환시키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건조풍 재순환장치가 구성됨에 따라,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건조풍 중에 이물질, 악취 및 수분을 제거한 후 드럼 내부로 재순환시킴으로써, 건조풍의 활용이 더욱 원활해지는 사료용 발효기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사료용 발효기{Fermentation machine for fordder}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가축의 사료를 생산하기 위한 발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분리 수거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건조와 발효과정을 거쳐 동식물의 사료로 재활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이하, 재료라 통칭함)를 사료로 재활용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발효기가 제공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와 같은 발효기는 통상 드럼 형태로 형성되면서 그 상측에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한편, 내부에는 스크루가 설치되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 및 혼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발효기는 공급구를 통해 내부로 건조풍을 공급하고, 내부로 공급된 건조풍은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사료용 발효기에 의하면 드럼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공기 중에는 많은 량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를 드럼 내부로 재순환하지 못하고 외부로 방출시켜야 한다. 따라서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건조풍의 량만큼 공급구를 통해 건조된 따뜻한 바람을 계속해서 공급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종래 사료용 발효기는 내부로 공급되는 건조풍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냄새와 함께 건조된 사료의 분진이 배출될 뿐만 아니라, 각종 세균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료용 발효기는 건조풍이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의 표면에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발효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고, 그로 인해 생산성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사료용 발효기의 일측에는 내부의 건조풍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배출구는 공급구와 대등한 지름으로 형성되어 외부와 직접 관통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로 공급된 건조풍이 드럼 내부를 전체적으로 순환하기 전에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배출구를 통해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건조풍을 드럼 내부로 재순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사료용 발효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건조풍 중에 포함된 냄새와 분진 또는 각종 세균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사료용 발효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하여 드럼 내부 깊숙이 있는 수분까지 가열 및 증발시키면서 발효가 이루어지도록 한 사료용 발효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로 공급되는 건조풍이 원활하게 순환 후 배출되도록 한 사료용 발효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끼인 분진 등의 이물질을 간편하게 세척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사료용 발효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체 내부에 드럼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드럼 중심에는 스크루가 축 설치되어, 상기 드럼 내부로 재료를 공급하면서 스크루로 혼합한 후 배출시키는 한편, 상기 드럼 내부로 상기 재료를 발효시키기 위한 건조풍을 공급하고 배출시키는 사료용 발효기에 있어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건조풍이 유입되면서 상기 건조풍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제1 필터부; 상기 제1 필터부를 통해 유입되는 건조풍 중에 수증기를 응축시키고, 상기 수증기가 응축된 응결수를 호퍼 형태의 바닥 일측에 형성된 응결수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응축부; 및 상기 응축부를 통해 유입되는 건조풍을 일정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드럼으로 재순환시키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건조풍 재순환장치가 구성된다.
상기 제1 필터부는 상기 제1 필터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건조풍 중에 입자가 큰 이물질로부터 입자가 작은 이물질을 단계적으로 걸러내도록 메시의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제1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응축부는 상기 응축부 내부에 설치되고, 냉매를 순환시켜 상기 응축부 내부로 통과하는 건조풍으로부터 열을 흡수하기 위한 에버퍼레이터; 및 상기 응축부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에버퍼레이터를 순환하면서 상기 건조풍의 열을 흡수한 냉매를 압축시키고,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킨 후 팽창시켜 상기 에버퍼레이터로 재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가열부 내부에 설치되고, 전기에 의한 발열을 통해 통과하는 건조풍을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상기 가열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으로 재공급되는 건조풍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드럼과 연결되어 상기 건조풍 재순환장치로 순환하는 건조풍 중에 악취, 이물질 또는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제2 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필터부 내부로 미생물이 포함된 액상 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필터부와 연결되어 일부의 건조풍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되, 상기 배출되는 건조풍 중에 이물질과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제3 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드럼의 적어도 한 지점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드럼 내부의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장치는 상기 드럼의 관통된 부분을 커버하여 상기 드럼 내부에 저장된 재료의 출입을 차단하면서 마이크로 웨이브가 통과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구획판; 상기 구획판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장치에서 발생된 마이크로파가 드럼의 내측으로 고르게 전파될 수 있도록 전방이 넓고 후방이 좁게 형성된 하우징;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장치의 후방에 설치되는 냉각 팬; 및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장치의 일측에 설치되고, 열을 감지하여 상기 냉각 팬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공급되는 건조풍이 상기 드럼 내부를 통해 상기 본체 배면으로 배출되도록 하되, 상기 드럼과 상기 본체의 배면 사이에 건조풍이 경유하는 격리실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드럼과 격리실 사이에 건조풍이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다공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공판은 주름 형태로 형성되고, 구멍은 주름의 골과 마루 중 마루 상에 관통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건조풍이 공급되는 일측에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고,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많은 수의 구멍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격리실을 통해 상기 다공판 상측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 및 상기 격리실 하측으로부터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사료용 발효기에 의하면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건조풍 중에 이물질, 악취 및 수분을 제거한 후 드럼 내부로 재순환시킴으로써, 건조풍의 활용이 더욱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사료용 발효기에 의하면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건조풍 중에 냄새와 분진 또는 각종 세균을 제거함으로써, 작업 환경이 개선되고 위생적이며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사료용 발효기에 의하면 마이크로 웨이브가 드럼 내부 깊숙이 있는 수분까지 가열 및 증발시키면서 발효가 이루어짐으로써, 발효의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사료용 발효기에 의하면 다공판을 설치하여 드럼 내부로 건조풍이 원활하게 순환 후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건조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사료용 발효기에 의하면 상기 다공판에 쌓인 분진을 간편하게 세척함으로써, 건조풍의 배출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사료용 발효기가 도시된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사료용 발효기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사료용 발효기의 건조풍 재순환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사료용 발효기의 건조풍 재순환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사료용 발효기의 제2 필터부, 펌프 및 제3 필터부가 도시된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사료용 발효기의 제2 필터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사료용 발효기의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사료용 발효기의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9는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사료용 발효기의 다공판이 도시된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사료용 발효기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건조풍이 유입되는 제1 필터부(110), 상기 제1 필터부를 통해 유입되는 건조풍 중에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응축부(120) 및 상기 응축부를 통해 유입되는 건조풍을 일정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드럼으로 재순환시키는 가열부(130)를 포함하는 건조풍 재순환장치(100)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료용 발효기는 도 1 및 도 2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내부에 드럼(2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드럼(20) 중심에는 스크루(30)가 축 설치된다. 이때, 실시 예로서 상기 드럼(20) 내부로 건조풍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와 상기 드럼(20) 내부로 재순환된 건조풍을 공급하기 위한 또 다른 공급구는 본체(10)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드럼(20) 내부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드럼(20)으로부터 건조풍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는 본체(10)의 배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드럼(20) 내부로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는 상기 공급구와 반대인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드럼(20)으로부터 재료를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는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드럼(20)으로 건조풍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와 상기 드럼(20)으로부터 건조풍을 배출시켜 건조풍 재순환장치로 순환시키기 위한 배출구에는 각각 블로어를 설치하여 건조풍이 원활하게 순환하도록 한다.
상기 건조풍 재순환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터부(110), 응축부(120) 및 가열부(1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필터부(110)는 상기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건조풍이 유입되면서 상기 건조풍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필터부(110)는 실시 예로서 상기 제1 필터부(110) 내부를 통과하는 건조풍 중에 입자가 큰 이물질로부터 입자가 작은 이물질을 단계적으로 걸러내도록 메시의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필터(111)가 설치된다.
상기 응축부(120)는 상기 제1 필터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건조풍 중에 수증기를 응축시키면서 상기 수증기가 응축된 응결수를 호퍼 형태의 바닥 일측에 형성된 응결수 배출구(121)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응축부(120)는 실시 예로서 상기 응축부(120) 내부에 설치되면서 냉매를 순환시켜 상기 응축부(120) 내부로 통과하는 건조풍으로부터 열을 흡수하기 위한 에버퍼레이터(122)와 상기 응축부(120) 외부에 설치하되, 상기 에버퍼레이터(122)를 순환하면서 상기 건조풍의 열을 흡수한 냉매를 압축시키고,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킨 후 팽창시켜 상기 에버퍼레이터로 재공급하는 실외기(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열부(130)는 상기 응축부(120)를 통해 유입되는 건조풍을 일정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드럼(20)으로 재순환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열부(130)는 실시 예로서 상기 가열부(130) 내부에 설치되면서 전기에 의한 발열을 통해 통과하는 건조풍을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히터(131)와 상기 가열부(130)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드럼(20)으로 재공급되는 건조풍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히터(13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20)과 연결되어 상기 건조풍 재순환장치(100)로 순환하는 건조풍 중에 악취, 이물질 또는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제2 필터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드럼으로부터 제2 필터부(200)가 연결되어 배출되는 건조풍 중에 악취, 이물질 또는 세균을 제거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필터부(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취, 이물질 또는 세균 등을 단계적으로 제거하도록 활성탄이나, 부직포 등의 여과층을 하부로부터 상부로 쌓아 구성한다. 한편, 제2 필터부(200)에는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기 위한 블로어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필터부(200) 내부로 미생물이 포함된 액상 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미생물이 포함된 액상 물질은 악취를 제거하고 유해균을 제거하기 위한 것인데, 예를 들어 홍색유황세균이나 녹색유황세균과 같은 광합성균이 포함된 액상 물질을 공급하면 악취 제거는 물론이고 살모넬라나 대장균 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락토바실러스플랜타륨이나 락토바실러스에시토필러스와 같은 유산균은 악취를 제거하고 각종 병원균을 제거하고, 바실러스써브틸러스와 같은 바실러스균은 유기물 분해 및 유해균 억제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필터부(200)와 연결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건조풍 중에 이물질과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제3 필터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3 필터부(400)는 상기 제2 필터(200)에서 미처 거르지 못한 물질을 한 번 더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미생물이 포함된 액상 물질이 제2 필터부(200)로 공급도는 경우 설치하여 미생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20)의 적어도 한 지점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드럼(20) 내부의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장치(500)는 통상의 전자렌즈에 설치되는 것과 같이 수분을 통해 재료를 가열하는 것이다.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장치(500)는 실시 예로서 상기 드럼(200)의 관통된 부분을 커버하여 상기 드럼(20) 내부에 저장된 재료의 출입을 차단하면서 마이크로 웨이브가 통과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구획판(510)과 상기 구획판(510)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장치(500)에서 발생된 마이크로파가 드럼(20)의 내측으로 고르게 전파될 수 있도록 전방이 넓고 후방이 좁게 형성된 하우징(520)과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장치(500)의 후방에 설치되는 냉각 팬(530) 및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장치(500)의 일측에 설치되고, 열을 감지하여 상기 냉각 팬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획판(510)은 마이크로 웨이브가 원활하게 통과하면서 드럼(20) 내부의 재료나 수분 또는 이물질이나 습기 등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은 물론이고, 후술하는 하우징(520)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센서(540)는 예를 들어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장치(500)에서 발열되는 온도가 예를 들어 160℃ 이상이면 상기 냉각 팬(530)을 구동시키고, 감지된 온도가 160℃ 이하면 상기 냉각 팬(530)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은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장치(500)는 드럼(20)의 외면을 따라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공급되는 건조풍이 상기 드럼(20) 내부를 통해 상기 본체 배면으로 배출되도록 하되, 상기 드럼(20)과 상기 본체(10)의 배면 사이에 건조풍이 경유하는 격리실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드럼과 격리실 사이에 건조풍이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다공판(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본체(10)의 일측 상부를 통해 드럼(20) 내부로 공급되는 건조풍이 본체(10) 후방을 통해 직접 배출되지 않고, 상기 다공판(600)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인데, 상기 다공판(600)은 작은 구멍들로 구성되므로 건조풍이 쉽게 배출되지 못하고 드럼(20) 내부에 머무는 시간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건조된 재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공판(6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다공판(600)에 형성된 구멍은 주름의 골과 마루 중 마루 상에 관통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건조풍이 공급되는 일측에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고,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많은 수의 구멍이 관통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드럼(20) 내부의 온도와 외부의 온도 차에 의해 다공판(600)의 외면에 이슬이 맺힐 때 상기 이슬이 드럼(20)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좌우의 골을 따라 격리실로 흘러내린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리실을 통해 상기 다공판(600) 상측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700) 및 상기 격리실 하측으로부터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급관(700)과 배출관(800)은 건조풍과 함께 다공판(600)과 격리실 내부에 쌓인 재료의 분진을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측에 물을 분사하여 다공판(600)을 세척한 후 격리실 바닥에 흘러내린 세척물을 배출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건조풍 중에 이물질, 악취 및 수분을 제거한 후 드럼(20) 내부로 재순환시킴으로써, 건조풍의 활용이 더욱 원활해질 뿐만 아니라,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건조풍 중에 냄새와 분진 또는 각종 세균을 제거함으로써, 작업 환경이 개선되고 위생적이며 친환경적이다.
또한, 마이크로 웨이브가 드럼(20) 내부 깊숙이 있는 수분까지 가열 및 증발시키면서 발효가 이루어짐으로써, 발효의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다공판(600)을 설치하여 드럼(20) 내부로 건조풍이 원활하게 순환 후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건조 효율이 더욱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다공판에 쌓인 분진을 간편하게 세척함으로써, 건조풍의 배출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0: 건조풍 재순환장치 110: 제1 필터부
111: 필터 120: 응축부
121: 응결수 배출구 122: 에버퍼레이터
123: 실외기 130: 가열부
131: 히터 132: 센서
200: 제2 필터부
300: 펌프
400: 제3 필터부
500: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장치 510: 구획판
520: 하우징 530: 냉각팬
540: 센서
600: 다공판
700: 공급관
800: 배출관

Claims (12)

  1. 삭제
  2.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드럼(20)의 중심에 스크루(30)가 축 설치되어, 상기 드럼(20) 내부로 재료를 공급하면서 스크루(30)로 혼합한 후 배출시키는 한편, 상기 드럼(20)의 내부로 상기 재료를 발효시키기 위한 건조풍을 공급하고 배출시키는 사료용 발효기에 있어서,
    상기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건조풍이 유입되면서 상기 건조풍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제1 필터부(110); 상기 제1 필터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건조풍 중에 수증기를 응축시키고, 상기 수증기가 응축된 응결수를 호퍼 형태의 바닥 일측에 형성된 응결수 배출구(121)로 배출시키는 응축부(120); 상기 응축부(120)를 통해 유입되는 건조풍을 일정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드럼(20)으로 재순환시키는 가열부(130);를 포함하는 건조풍 재순환장치(100)를 구비하며,
    상기 건조풍 재순환장치(100)의 제1 필터부(110)는,
    상기 제1 필터부(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건조풍 중에 입자가 큰 이물질로부터 입자가 작은 이물질을 단계적으로 걸러내도록 메시의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필터(11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발효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드럼(20)의 중심에 스크루(30)가 축 설치되어, 상기 드럼(20) 내부로 재료를 공급하면서 스크루(30)로 혼합한 후 배출시키는 한편, 상기 드럼(20)의 내부로 상기 재료를 발효시키기 위한 건조풍을 공급하고 배출시키는 사료용 발효기에 있어서,
    상기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건조풍이 유입되면서 상기 건조풍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제1 필터부(110); 상기 제1 필터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건조풍 중에 수증기를 응축시키고, 상기 수증기가 응축된 응결수를 호퍼 형태의 바닥 일측에 형성된 응결수 배출구(121)로 배출시키는 응축부(120); 상기 응축부(120)를 통해 유입되는 건조풍을 일정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드럼(20)으로 재순환시키는 가열부(130);를 포함하는 건조풍 재순환장치(100)를 구비하며,
    상기 드럼(20)과 연결되어 상기 건조풍 재순환장치(100)로 순환하는 건조풍 중에 악취, 이물질 또는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제2 필터부(200)와;
    상기 제2 필터부(200) 내부로 미생물이 포함된 액상 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발효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부(200)와 연결되어 일부의 건조풍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되, 상기 배출되는 건조풍 중에 이물질과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제3 필터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발효기.
  8. 삭제
  9.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드럼(20)의 중심에 스크루(30)가 축 설치되어, 상기 드럼(20) 내부로 재료를 공급하면서 스크루(30)로 혼합한 후 배출시키는 한편, 상기 드럼(20)의 내부로 상기 재료를 발효시키기 위한 건조풍을 공급하고 배출시키는 사료용 발효기에 있어서,
    상기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건조풍이 유입되면서 상기 건조풍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제1 필터부(110); 상기 제1 필터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건조풍 중에 수증기를 응축시키고, 상기 수증기가 응축된 응결수를 호퍼 형태의 바닥 일측에 형성된 응결수 배출구(121)로 배출시키는 응축부(120); 상기 응축부(120)를 통해 유입되는 건조풍을 일정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드럼(20)으로 재순환시키는 가열부(130);를 포함하는 건조풍 재순환장치(100)를 구비하며,
    상기 드럼(20)의 적어도 한 지점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드럼(20) 내부의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장치(500);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장치(500)는,
    상기 드럼(20)의 관통된 부분을 커버하여 상기 드럼(20)의 내부에 저장된 재료의 출입을 차단하면서 마이크로 웨이브가 통과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구획판(510)과;
    상기 구획판(510)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장치(500)에서 발생된 마이크로파가 드럼(20)의 내측으로 고르게 전파될 수 있도록 전방이 넓고 후방이 좁게 형성된 하우징(520)과;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장치(500)의 후방에 설치되는 냉각 팬(530)과;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장치(500)의 일측에 설치되고, 열을 감지하여 상기 냉각 팬(53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5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발효기.
  10.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드럼(20)의 중심에 스크루(30)가 축 설치되어, 상기 드럼(20) 내부로 재료를 공급하면서 스크루(30)로 혼합한 후 배출시키는 한편, 상기 드럼(20)의 내부로 상기 재료를 발효시키기 위한 건조풍을 공급하고 배출시키는 사료용 발효기에 있어서,
    상기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건조풍이 유입되면서 상기 건조풍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제1 필터부(110); 상기 제1 필터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건조풍 중에 수증기를 응축시키고, 상기 수증기가 응축된 응결수를 호퍼 형태의 바닥 일측에 형성된 응결수 배출구(121)로 배출시키는 응축부(120); 상기 응축부(120)를 통해 유입되는 건조풍을 일정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드럼(20)으로 재순환시키는 가열부(130);를 포함하는 건조풍 재순환장치(100)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10)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공급되는 건조풍이 상기 드럼(20) 내부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배면으로 배출되도록 하되, 상기 드럼(20)과 상기 본체(10)의 배면 사이에 건조풍이 경유하는 격리실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드럼(20)과 격리실 사이에 건조풍이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다공판(6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발효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600)은 주름 형태로 형성되고, 구멍은 주름의 골과 마루 중 마루 상에 관통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건조풍이 공급되는 일측에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고,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많은 수의 구멍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발효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격리실을 통해 상기 다공판(600) 상측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700)과;
    상기 격리실 하측으로부터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8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발효기.
KR1020120066518A 2012-06-21 2012-06-21 사료용 발효기 KR101224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518A KR101224252B1 (ko) 2012-06-21 2012-06-21 사료용 발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518A KR101224252B1 (ko) 2012-06-21 2012-06-21 사료용 발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4252B1 true KR101224252B1 (ko) 2013-01-22

Family

ID=4784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518A KR101224252B1 (ko) 2012-06-21 2012-06-21 사료용 발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2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340B1 (ko) * 2018-03-23 2019-10-01 배인수 사료 제조용 미생물 고체 발효기
CN110897179A (zh) * 2019-12-02 2020-03-24 江苏昌浩水产科技有限公司 一种水产饲料制备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359B1 (ko) * 1992-12-29 1998-06-15 윤종용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0290027B1 (ko) * 1999-01-30 2001-05-15 정귀자 음식물 쓰레기의 소멸화장치
KR100298293B1 (ko) * 1998-08-05 2001-11-30 박종일 유기성폐기물을이용한발효,건조방법및장치
KR20060057501A (ko) * 2004-11-23 2006-05-26 이지엠테크 주식회사 제 처리의 병행 처리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분해소멸화 처리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359B1 (ko) * 1992-12-29 1998-06-15 윤종용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0298293B1 (ko) * 1998-08-05 2001-11-30 박종일 유기성폐기물을이용한발효,건조방법및장치
KR100290027B1 (ko) * 1999-01-30 2001-05-15 정귀자 음식물 쓰레기의 소멸화장치
KR20060057501A (ko) * 2004-11-23 2006-05-26 이지엠테크 주식회사 제 처리의 병행 처리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분해소멸화 처리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340B1 (ko) * 2018-03-23 2019-10-01 배인수 사료 제조용 미생물 고체 발효기
CN110897179A (zh) * 2019-12-02 2020-03-24 江苏昌浩水产科技有限公司 一种水产饲料制备装置
CN110897179B (zh) * 2019-12-02 2021-05-18 江苏昌浩水产科技有限公司 一种水产饲料制备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474B1 (ko) 연속 가열 건조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118714B1 (ko) 음식 폐기물의 재활용이 가능한 음식물 처리기
KR101557338B1 (ko) 음식물 처리기
KR20150098455A (ko) 공기순환식 다기능 건조장치
KR101224252B1 (ko) 사료용 발효기
KR10130667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3010710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224286B1 (ko) 사료용 발효기
KR101831188B1 (ko) 악취제거설비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및 분뇨 처리 시스템
KR100893632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200097033A (ko)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KR101224200B1 (ko) 사료용 발효기
KR10182697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응축장치
KR200427847Y1 (ko) 음식물처리기
KR101046211B1 (ko) 침출수 처리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KR2014003512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1678734B1 (ko) 음식물쓰레기의 제습 처리기
KR20110108585A (ko) 슬러지 건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 시스템
KR101176373B1 (ko) 탈취 냉각탑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 장치
KR100882750B1 (ko)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01826973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262928B1 (ko) 친환경 공법을 이용한 유기계 폐기물의 발효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100107990A (ko) 유기성폐기물 처리장치
KR100949794B1 (ko) 유기성 폐기물 냉풍제습 건조장치
JP3182728B2 (ja) 飲食ごみの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