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293B1 - 하수관로 퇴적토 준설공법 및 준설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로 퇴적토 준설공법 및 준설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23293B1 KR101223293B1 KR1020120120572A KR20120120572A KR101223293B1 KR 101223293 B1 KR101223293 B1 KR 101223293B1 KR 1020120120572 A KR1020120120572 A KR 1020120120572A KR 20120120572 A KR20120120572 A KR 20120120572A KR 101223293 B1 KR101223293 B1 KR 1012232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gie
- pipe
- sewer pipe
- cradle
- sedi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claims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5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0 scra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10—Wheeled apparatus for emptying sewers or cesspoo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28—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cleaning watercourses or other way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10—Pipelines for conveying excavate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과 맨홀의 사이에 제1,2윈치의 와이어가 연결되도록 가이드관의 내부에 견인줄과 견인구를 삽입하여 하수관로에 투입하는 견인줄 설치단계와, 맨홀의 상부에 설치된 제1,2윈치의 측면에 거치대를 설치하여 거치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거치대 설치단계와, 제1,2윈치의 와이어에 제1대차를 연결하여 하수관로의 바닥면에 최초 응고된 퇴적물을 파쇄하는 퇴적토 파쇄단계와, 제1대차를 분리한 다음 제2대차를 연결하여 잔여 퇴적토를 차집관로로 모아주는 잔여 퇴적토 수거단계 및 차집관로에 모여진 퇴적토를 준설차량의 저장탱크로 흡입 및 배출한 다음 작업을 정리하는 마무리단계로 작업을 진행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거치대 고정수단과 퇴적물 파쇄수단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잔여 퇴적물 수거수단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거치대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대차의 측면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제1대차의 A - 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대차의 측면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2윈치의 와이어에 작업길이표시부가 표시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3: 차집관로 4: 퇴적토
10: 거치대 고정수단 11,12: 제1,2윈치
13: 거치대 14: 프레임
15: 삽입구멍 16: 보조프레임
17: 로울러 18: 고정볼트
19: 지지대 20: 퇴적물 파쇄수단
21: 제1대차 22: 몸체
22a: 파이프 22b: 무게추
23: 블레이드 24: 와이어 연결구
30: 잔여 퇴적물 수거수단 31: 제2대차
32: 몸체 32a,32b: 제1,2수집날개
33: 블레이드 33a: 측면 프레임
34: 와이어 연결구 40: 준설수단
41: 준설차량 42: 흡입호스
43: 저장탱크 50: 작업길이표시부
W: 와이어
Claims (9)
- 하수관로(1)의 맨홀(2) 양측면에 제1,2윈치(11)(12)를 설치하고, 상기 제1,2윈치(11)(12)의 측면에 거치대(13)를 밀착시킨 다음 맨홀(2)의 내부에 거치대(13)를 일단을 삽입하여 거치대(13)의 상/하부에 형성된 로울러(17)의 높낮이를 조절하되, 상기 거치대(13)의 하부에 형성된 로울러(17)가 하수관로(1)의 바닥에 위치되도록 거치대(13)의 양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구멍(15) 중 어느 한 곳에 지지대(19)를 삽입하여 거치대(13)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지지대(19)의 양단부는 맨홀(2)의 외측 지면에 밀착되어 거치대(13)가 맨홀(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거치대(13)의 로울러(17)에 제1,2윈치(11)(12)의 와이어(W)를 연결시키는 거치대 설치단계;
상기 제1,2윈치(11)(12)의 와이어(W)를 제1대차(21)의 양단부에 연결하고, 상기 제1,2윈치(11)(12)를 작동시키면 제1대차(21)의 전면에 형성된 원뿔형태의 블레이드(23)가 하수관로(1) 바닥에 응고된 퇴적토(4)를 파쇄하는 퇴적토 파쇄단계;
상기 제1대차(21)에서 와이어(W)를 분리한 다음 제2대차(31)의 양단부에 와이어(W)를 연결하고, 상기 제1,2윈치(11)(12)를 작동시키면 제2대차(31)의 전면에 형성된 블레이드(33)와 양측면에 돌출된 수집날개(33b)가 하수관로(1)의 중앙 및 양측면에 쌓여있는 잔여 퇴적토를 차집관로(3)로 모아주는 잔여 퇴적토 수거단계; 및
상기 차집관로(3)에 모여진 퇴적토(4)는 준설차량(41)에 연결된 흡입호스(42)를 통해 저장탱크(43)로 저장되고, 상기 퇴적토(4)의 제거작업이 완료되면 장비를 철수시키는 마무리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퇴적토 준설공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3)는 복수의 프레임(14)이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14)의 양측면에 삽입구멍(15)을 형성하되, 상기 삽입구멍(15)은 상부에서 하부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수관로(1)의 깊이에 따라서 거치대(13)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삽입구멍(15)에 지지대(19)가 삽입되며, 상기 거치대(13)의 상/하부에 보조프레임(16)이 전면으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보조프레임(16)의 내측에 로울러(17)가 축으로 고정되며, 상기 보조프레임(16)의 상부 내측에 고정볼트(18)가 결합되어 로울러(17)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퇴적토 준설공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대차(21)는 원형의 파이프(22a)가 상부와 하부에 적층되어 몸체(22)를 형성하고, 상기 파이프(22a)의 내부에 복수의 무게추(22b)가 삽입되어 내부가 밀폐되며, 상기 몸체(22)의 전면에 원뿔모양으로 이루어진 블레이드(23)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블레이드(23)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제1대차(21)가 회전을 하더라도 블레이드(23)가 항상 동일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블레이드(23)의 중앙과 몸체(22)의 후면에 와이어 연결구(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와이어(W)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퇴적토 준설공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대차(31)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몸체(32)의 전면에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블레이드(33)가 결합되고, 상기 블레이드(33)의 측면에 측면 프레임(33a)이 결합되며, 상기 몸체(32)의 양측면에 제1,2수집날개(32a)(32b)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33)의 전면과 몸체(32)의 후면에 와이어 연결구(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와이어(W)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퇴적토 준설공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날개(32a)는 몸체(32)의 양측면에 위치하면서 몸체(32)의 상측에 제1,2수집날개(32a)(32b)가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집날개(32a)는 후면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수집날개(32b)는 전면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퇴적토 준설공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 퇴적토 수거단계에서 제2대차(31)가 하수관로(1)를 따라서 이동하는 과정을 10~20m를 기준으로 제1윈치(11)에서 제2윈치(12) 방향으로 이동했다가 다시 제1윈치(11) 방향으로 복귀하고, 다시 제2윈치(12) 방향으로 배수의 길이만큼 이동했다가 복귀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퇴적토 준설공법.
-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대차(31)가 하수관로(1)를 따라서 이동시 좌/우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2윈치(11)(12)의 와이어(W)에 일정길이마다 작업길이표시부(50)를 형성하여 작업자가 작업길이표시부(50)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제2대차(31)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작업을 연속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퇴적토 준설공법.
- 맨홀(2)의 양측면에 제1,2윈치(11)(12)가 설치되고, 상기 제1,2윈치(11)(12)의 일측에 거치대(13)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거치대(13)의 상/하부에 형성된 로울러(17)에 와이어(W)를 연결하되, 상기 거치대(13)는 하수관로(1)의 깊이에 따라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복수의 삽입구멍(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구멍(15) 중 어느 한 곳에 지지대(19)를 삽입하여 맨홀(2)의 외측 지면에 밀착되어 거치대(13)가 맨홀(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거치대 고정수단(10);
상기 제1,2윈치(11)(12)의 와이어(W)를 제1대차(21)의 양단부에 형성된 와이어 연결구(24)에 연결하되, 상기 제1대차(21)는 원형의 파이프(22a)가 상부와 하부에 적층되어 몸체(22)를 형성하고, 상기 파이프(22a)의 내부에 복수의 무게추(22b)가 삽입되어 내부가 밀폐되며, 상기 몸체(22)의 전면에 원뿔모양으로 이루어진 블레이드(23)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블레이드(23)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제1대차(21)가 회전을 하더라도 블레이드(23)가 항상 동일한 위치를 유지하면서 하수관로(1)의 바닥에 응고된 퇴적토(4)를 파쇄하는 퇴적토 파쇄수단(20);
상기 제1대차(21)에서 와이어(W)를 분리한 다음 제2대차(31)의 양단부에 형성된 와이어 연결구(34)에 와이어(W)를 연결하되, 상기 제2대차(31)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몸체(32)의 전면에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블레이드(33)가 결합되고, 상기 블레이드(33)의 측면에 측면 프레임(33a)이 결합되며, 상기 몸체(32)의 양측면에 제1,2수집날개(32a)(32b)가 돌출형성되어 하수관로(1)의 중앙과 양측면에 쌓여 있는 잔여 퇴적토(4)를 차집관로(3)로 모아주는 잔여 퇴적토 수거수단(30); 및
상기 차집관로(3)에 모여진 퇴적토(4)는 준설차량(41)에 연결된 흡입호스(42)를 통해 저장탱크(43)에 저장되는 준설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퇴적토 준설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윈치(11)(12)의 와이어(W)에 일정 길이마다 작업길이표시부(50)를 형성하여 제2대차(31)의 이동거리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퇴적토 준설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0572A KR101223293B1 (ko) | 2012-10-29 | 2012-10-29 | 하수관로 퇴적토 준설공법 및 준설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0572A KR101223293B1 (ko) | 2012-10-29 | 2012-10-29 | 하수관로 퇴적토 준설공법 및 준설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23293B1 true KR101223293B1 (ko) | 2013-01-16 |
Family
ID=47842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0572A KR101223293B1 (ko) | 2012-10-29 | 2012-10-29 | 하수관로 퇴적토 준설공법 및 준설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3293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669555A (zh) * | 2013-12-09 | 2014-03-26 | 上海浦东新区公路建设发展有限公司 | 管道疏通装置 |
KR101387699B1 (ko) * | 2013-11-13 | 2014-04-21 | 한빛테크원 (주) | 배수로 슬러지 준설 재활용 설비와 준설 재활용 공법 |
CN103741787A (zh) * | 2014-01-29 | 2014-04-23 | 郑波 | 地下管道清淤机构及其管道清淤的方法 |
CN104818768A (zh) * | 2015-03-31 | 2015-08-05 | 宁波杭州湾新区祥源动力供应有限公司 | 一种用于工厂雨水污水管道的疏通装置 |
CN105780916A (zh) * | 2016-04-26 | 2016-07-20 | 北京东方园林生态股份有限公司 | 一种水利预埋管道的防堵装置 |
CN110700396A (zh) * | 2019-10-17 | 2020-01-17 |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 管道沉积物破碎疏通及清淤装置 |
KR102529548B1 (ko) * | 2022-10-31 | 2023-05-08 | 더죤환경기술(주) |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 |
KR102529549B1 (ko) * | 2022-10-31 | 2023-05-08 | 더죤환경기술(주) | 하수관거의 악취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 |
KR102560593B1 (ko) * | 2022-07-21 | 2023-07-28 | 주식회사 우진이엔씨 | 교량 신축이음부에 적용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00003491A (ko) * | 1988-08-08 | 1990-03-26 | 빈무연 | 유압식 자동 준설기 |
KR940010193U (ko) * | 1992-10-30 | 1994-05-23 | 박원선 | 차집관로 준설장치 |
KR950006166A (ko) * | 1993-08-19 | 1995-03-20 | 이근호 | 준설기 |
KR20050100586A (ko) * | 2005-09-29 | 2005-10-19 |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 펌프장 협잡물 처리장치 |
-
2012
- 2012-10-29 KR KR1020120120572A patent/KR10122329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00003491A (ko) * | 1988-08-08 | 1990-03-26 | 빈무연 | 유압식 자동 준설기 |
KR940010193U (ko) * | 1992-10-30 | 1994-05-23 | 박원선 | 차집관로 준설장치 |
KR950006166A (ko) * | 1993-08-19 | 1995-03-20 | 이근호 | 준설기 |
KR20050100586A (ko) * | 2005-09-29 | 2005-10-19 |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 펌프장 협잡물 처리장치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7699B1 (ko) * | 2013-11-13 | 2014-04-21 | 한빛테크원 (주) | 배수로 슬러지 준설 재활용 설비와 준설 재활용 공법 |
CN103669555A (zh) * | 2013-12-09 | 2014-03-26 | 上海浦东新区公路建设发展有限公司 | 管道疏通装置 |
CN103741787A (zh) * | 2014-01-29 | 2014-04-23 | 郑波 | 地下管道清淤机构及其管道清淤的方法 |
CN103741787B (zh) * | 2014-01-29 | 2015-11-18 | 北京奇思恒通工程技术有限公司 | 地下管道清淤机构及其管道清淤的方法 |
CN104818768A (zh) * | 2015-03-31 | 2015-08-05 | 宁波杭州湾新区祥源动力供应有限公司 | 一种用于工厂雨水污水管道的疏通装置 |
CN104818768B (zh) * | 2015-03-31 | 2017-01-04 | 宁波杭州湾新区祥源动力供应有限公司 | 一种用于工厂雨水污水管道的疏通装置 |
CN105780916A (zh) * | 2016-04-26 | 2016-07-20 | 北京东方园林生态股份有限公司 | 一种水利预埋管道的防堵装置 |
CN105780916B (zh) * | 2016-04-26 | 2018-04-17 | 北京东方园林生态股份有限公司 | 一种水利预埋管道的防堵装置 |
CN110700396A (zh) * | 2019-10-17 | 2020-01-17 |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 管道沉积物破碎疏通及清淤装置 |
KR102560593B1 (ko) * | 2022-07-21 | 2023-07-28 | 주식회사 우진이엔씨 | 교량 신축이음부에 적용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
KR102529548B1 (ko) * | 2022-10-31 | 2023-05-08 | 더죤환경기술(주) |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 |
KR102529549B1 (ko) * | 2022-10-31 | 2023-05-08 | 더죤환경기술(주) | 하수관거의 악취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3293B1 (ko) | 하수관로 퇴적토 준설공법 및 준설장치 | |
US9770741B1 (en) | Pipe cleaning apparatus | |
CN108442443B (zh) | 一种基于水下机器人的水下孔洞清淤方法及系统 | |
KR101030055B1 (ko) | 상하수도관 내부의 수분 및 퇴적물 준설장치 및 공법 | |
CN108842844B (zh) | 接地极埋设车 | |
CN106337493A (zh) | 地下排水管沟疏捞装置及其疏捞方法 | |
US20180009011A1 (en) | Dripless expanding tubes for combination truck | |
JP6661101B2 (ja) | 中空杭内面の付着物除去装置および付着物除去方法 | |
KR101170515B1 (ko) | 하수관거의 준설토 준설장치 및 방법 | |
KR101279239B1 (ko) | 하수관로 퇴적토 준설공법 및 준설장치 | |
CN110385318B (zh) | 管涵淤堵疏通机器人及疏通方法 | |
JP5245503B2 (ja) | 中空杭内面の付着物除去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用いた中空杭内面の付着物除去方法 | |
KR102608799B1 (ko) | 발전소 취수구 준설용 공압 교란 방식의 무인 드레저 | |
KR101208228B1 (ko) | 하수관 퇴적물 세정장치 및 준설공법 | |
EP3943671B1 (en) | Method and system of dredging of an underground conduit | |
CN205894262U (zh) | 无需中断通水的小污染低成本倒虹吸管清淤装置 | |
CN210564523U (zh) | 一种综采工作面末采机械淸煤装置 | |
CN201372434Y (zh) | 旋转射流冲击式沉拔桩机 | |
JP4205698B2 (ja) | 横坑堆積土砂の排出工法 | |
KR101387699B1 (ko) | 배수로 슬러지 준설 재활용 설비와 준설 재활용 공법 | |
CN110593342B (zh) | 一种带清污导槽的清污机 | |
CN211922946U (zh) | 一种下水井管道清淤捞渣设备 | |
JP2004169400A (ja) | 排水路の泥状堆積物の排除方法及びその装置 | |
CN106049660B (zh) | 无需中断通水的小污染低成本倒虹吸管清淤装置及方法 | |
JP2020045761A (ja) | 中空杭内面の付着物除去装置および付着物除去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11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3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