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548B1 -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548B1
KR102529548B1 KR1020220142546A KR20220142546A KR102529548B1 KR 102529548 B1 KR102529548 B1 KR 102529548B1 KR 1020220142546 A KR1020220142546 A KR 1020220142546A KR 20220142546 A KR20220142546 A KR 20220142546A KR 102529548 B1 KR102529548 B1 KR 102529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
sewer pipe
discharge hose
removal device
fri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2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빈
Original Assignee
더죤환경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죤환경기술(주) filed Critical 더죤환경기술(주)
Priority to KR1020220142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5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 E03F9/002Cleaning sewer pipes by mechanical means
    • E03F9/005Apparatus for simultaneously pushing and rotating a cleaning device carried by the leading end of a cable or an assembly of r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관거 내부에 배치되는 퇴적물을 제거하도록 된 퇴적물 제거 방법으로서, 지면을 굴착하여 지중에 매설된 하수관거를 노출시키도록 굴착공을 형성시키는 퇴적물 제거장치 설치준비단계와, 상기 하수관거를 타공한 후 퇴적물 제거 장치로 상기 하수관거의 내부에 배치되는 퇴적물을 제거하도록 된 하수관거 퇴적물 처리단계와, 상기 굴착공을 매립하여 마감하는 하수관거 매립마감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수관거 퇴적물 처리단계에는 현장확인작업안내수단에 의해 현장의 작업상황을 파악하고, 위급상황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현장확인작업안내단계가 더 포함되어, 하수관거 내부의 퇴적물을 제거하는 제거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설치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제거시간을 단축시키게 됨과 아울러 요지보수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되며, 외측흡입부에 의해 퇴적물의 수거효율을 높이고 탄성마찰헤드가 마련되어 하수관거의 내면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Sewer pipe sediment removal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하수처리 기술 분야 중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관거 내부의 퇴적물을 제거하는 제거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설치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제거시간을 단축시키게 됨과 아울러 요지보수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되며, 외측흡입부에 의해 퇴적물의 수거효율을 높이고 탄성마찰헤드가 마련되어 하수관거의 내면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종말 처리시설의 처리효율은 하수관거를 통해 유입되는 유입수량 및 수질에 의해 결정된다. 하수관거는 주변의 토목구조물이나 건축물의 시공시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하여 손상될 수 있으며, 손상된 하수관거는 하수를 하수종말 처리시설로 온전히 이송하지 못하고 하수가 지하로 유입되어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손상된 하수관거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하수관거를 모니터링하고 하수관거의 상태에 따라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하수관거에 쌓인 퇴적물을 처리하여 수거하는 퇴적물 제거 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의 어려움이 있으며 제조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복잡한 구조로 인해 설치가 어려우며 기기장치들이 파손시 교체가 복잡하고 어려워 유지보수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됨과 아울러 유지보수에 따른 기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퇴적물을 수거하는 과정에서 하수관거의 내면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제10-118799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관거 내부의 퇴적물을 제거하는 제거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설치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제거시간을 단축시키게 됨과 아울러 요지보수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되며, 외측흡입부에 의해 퇴적물의 수거효율을 높이고 탄성마찰헤드가 마련되어 하수관거의 내면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수관거 내부에 배치되는 퇴적물을 제거하도록 된 퇴적물 제거 방법으로서, 지면을 굴착하여 지중에 매설된 하수관거를 노출시키도록 굴착공을 형성시키는 퇴적물 제거장치 설치준비단계와, 상기 하수관거를 타공한 후 퇴적물 제거 장치로 상기 하수관거의 내부에 배치되는 퇴적물을 제거하도록 된 하수관거 퇴적물 처리단계와, 상기 굴착공을 매립하여 마감하는 하수관거 매립마감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수관거 퇴적물 처리단계에는 현장확인작업안내수단에 의해 현장의 작업상황을 파악하고, 위급상황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현장확인작업안내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수관거 내부에 배치되는 퇴적물을 제거하도록 된 퇴적물 제거 장치으로서, 상기 하수관거에 형성되는 관통구에 일측이 인입되어 상기 하수관거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에 흡입구가 형성된 배출호스와, 상기 배출호스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수관거의 퇴적물을 펌핑하는 배출펌프와, 상기 배출호스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퇴적물을 흡입하는 외측흡입공들로 이루어진 외측흡입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호스에는 상기 하수관거의 내부에 배치되는 퇴적물과 마찰되어, 상기 퇴적물을 파쇄하는 퇴적물마찰파쇄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퇴적물마찰파쇄수단은, 상기 배출호스의 외면에 형성되는 나사공들과, 상기 배출호스에 상기 나사공에 일단이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볼트연결축과,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는 상기 볼트연결축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퇴적물과 마찰 및 걸림되는 탄성마찰헤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은 하수관거 내부의 퇴적물을 제거하는 제거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설치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제거시간을 단축시키게 됨과 아울러 요지보수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되며, 외측흡입부에 의해 퇴적물의 수거효율을 높이고 탄성마찰헤드가 마련되어 하수관거의 내면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의 배출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의 퇴적물마찰파쇄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의 탄성형마찰파쇄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의 현장확인작업안내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의 현장확인작업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의 현장확인작업안내수단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의 배출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의 퇴적물마찰파쇄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의 탄성형마찰파쇄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의 현장확인작업안내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의 현장확인작업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의 현장확인작업안내수단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퇴적물 제거 장치라 명명함)는 하수관거(100) 내부에 배치되는 퇴적물을 제거하도록 된 퇴적물 제거 장치(10)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퇴적물 제거 장치(10)는 배출호스(20)와 배출펌프(30)와 외측흡입부(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호스(20)는 상기 하수관거(100)를 타공하여 형성된 관통구에 일측이 인입되어 상기 하수관거(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에 흡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호스(2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배출펌프(30)는 상기 배출호스(20)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수관거(100)의 퇴적물을 펌핑하게 된다.
상기 배출펌프(30)는 지상의 지면에 배치시키게 된다.
상기 외측흡입부(40)는 상기 배출호스(20)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퇴적물을 흡입하는 외측흡입공(41)들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하수관의 퇴적물은 상기 배출호스(20)의 일단에 형성되는 흡입구로 흡입되어 배출됨과 아울러 상기 배출호스(20)의 외면에 형성되는 외측흡입공(41)들을 통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퇴적물의 하수에 의해 젖은 상태에서 흡입되어 배출된다.
상기 배출호스(20)에는 상기 하수관거(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퇴적물과 마찰되어, 상기 퇴적물을 파쇄하는 퇴적물마찰파쇄수단(50)이 더 마련된다.
상기 퇴적물마찰파쇄수단(50)은 상기 배출호스(20)의 외면에 형성되는 나사공(51)들과, 상기 배출호스(20)에 상기 나사공(51)에 일단이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볼트연결축(52)과, 상기 나사공(51)에 체결되는 상기 볼트연결축(52)의 타단에 부착되며, 상기 퇴적물과 마찰 및 걸림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탄성마찰헤드(53)로 이루어져, 상기 배출호스(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탄성마찰헤드(53)가 상기 하수관거(100)의 내면에 달라붙은 퇴적물에 걸림되거나 마찰되어 달라붙은 퇴적물을 탈거시킴과 아울러 하수관거(100)에 쌓인 퇴적물을 분쇄한 후 흡입하여 배출함으로써, 배출효율을 높이고 덩어리 형태의 퇴적물에 의해 상기 흡입구 및 상기 외측흡입공(41)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나사공(51)들에 상기 볼트연결축(52)과 상기 탄성마찰헤드(53)가 탈착가능하게 체결되어, 파손시 교체가 용이하므로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탄성마찰헤드(5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호스(20)의 일측을 상기 하수관거(100)에 인입시킨 후 밀거나 당기는 과정을 반복하여, 인입된 상기 배출호스(20)와 퇴적물이 마찰되어, 파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하수관거(100) 내부에 배치되는 퇴적물을 제거하도록 된 퇴적물 제거 방법은 지면을 굴착하여 지중에 매설된 하수관거(100)를 노출시키도록 굴착공을 형성시키는 퇴적물 제거장치(10) 설치준비단계(S1)와, 상기 하수관거(100)에 설치된 밸브를 잠가 퇴적물이 수거될 하수관거(100)에 하수의 유입을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하수관거(100)를 타공한 후 퇴적물 제거 장치(10)로 상기 하수관거(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퇴적물을 제거한 후 타공된 부분에 밀폐패널을 부착하여 폐쇄하는 하수관거(100) 퇴적물 처리단계(S2)와, 상기 굴착공을 매립하여 마감하는 하수관거 매립마감단계(S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수관거(100) 퇴적물 처리단계에는 현장확인작업안내수단(91)에 의해 현장의 작업상황을 파악하고, 위급상황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현장확인작업안내단계(S2-1)가 더 포함된다.
상기 배출호스(20)에는 상기 하수관거(100)의 내면에 달라붙은 퇴적물을 탈거시킴과 아울러 파쇄시키도록 탄성형마찰파쇄수단(60)이 더 마련되고, 상기 탄성형마찰파쇄수단(60)은, 상기 배출호스(20)의 외면에 부착되는 연결고정링(61)과, 상기 연결고정의 외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연결브라켓(62)과, 상기 연결브라켓(62)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파쇄모터(63)와, 상기 파쇄모터(63)의 회전축에 일단이 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파쇄모터(63)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퇴적물을 파쇄시키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파쇄날개(64)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파쇄날개(64)의 외면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마찰핀(70)들의 일단을 더 부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마찰핀(70)들이 상기 퇴적물과 마찰되어, 탈거효율 및 파쇄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호스(20)에는 외면에 상기 외측흡입공(41)과 연통되게 관구조로 형성되고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간격노즐의 일단을 부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탄성간격노즐이 퇴적물과 마찰되어 탈거효율 및 파쇄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호스(20)에는 외면에 바이브레이터인 진동기(80)를 더 부착하거나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진동기(80)의 진동이 상기 배출호스(20)를 통해 퇴적물에 전달되어, 상기 퇴적물의 분쇄효율을 높이고, 상기 배출호스(20)가 이동시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수관거(100)를 타공한 후 퇴적물 제거 장치로 상기 하수관거(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퇴적물을 제거하도록 된 하수관거 퇴적물 처리단계(S2)에는 현장확인작업안내수단(90)에 의해 현장의 작업상황을 파악하고, 위급상황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현장확인작업안내단계(S2-1)가 더 추가된다.
상기 현장확인작업안내수단(90)은, 지면에 배치되는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과,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의 상면부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가이드샤프트(92)와, 상기 가이드샤프트(92)에 관통되게 끼움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샤프트(92)를 따라 안내되는 제1패널이송모듈(931)과 제2패널이송모듈(932)과 제3패널이송모듈(933)로 이루어진 이송모듈부(93)와,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93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승강안내유닛(941)과, 제1패널이송모둘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932)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승강안내유닛(942)과, 상기 제2승강안내유닛(942)과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승강안내유닛(943)으로 이루어진 승강안내부(94)와,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93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1회전모듈유닛(951-1)이 나사체결된 제1회전안내유닛(951)들과, 제2패널이송모듈(932)이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2회전모듈유닛(952-1)이 나사체결된 제2회전안내유닛(952)들과, 제3패널이송모듈(933)이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3회전모듈유닛(953-1)이 나사체결된 제3회전안내유닛(953)들로 이루어진 회전안내부(95)와, 상기 제1회전모듈유닛(951-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회전모듈유닛(952-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회전모듈유닛(953-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상황촬영유닛(963)들로 이루어진 상황촬영부(96)와,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승강안내부(94) 및 상기 회전안내부(9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하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제3상황촬영유닛(963)들의 촬영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97)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97)에서 전달되는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제3상황촬영유닛(963)들의 촬영정보를 송신하는 송,수신부(98)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97)의 신호를 전달받아 음성을 안내하거나 알람을 발생시키는 상태안내스피커(99)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은 금속재로 형성된 패널구조로 이루어지며, 지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931)과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932)과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패널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샤프트(92)에 관통되게 끼움되도록 이송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승강안내유닛(941)과 상기 제2승강안내유닛(942)과 상기 제3승강안내유닛(943)은 실린더이며, 상기 제1회전안내유닛(951)과 상기 제2회전안내유닛(952)과 제3회전안내유닛(953)은 모터이며, 상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상황촬영유닛(963)은 카메라이다.
또한, 상기 제1회전모듈유닛(951-1)과 상기 제2회전모듈유닛(952-1)과 제3회전모듈유닛(953-1)은 원형 또는 사각의 패널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상황촬영유닛(963)들은 상기 제1승강안내유닛(941)과 상기 제2승강안내유닛(942)과 상기 제3승강안내유닛(943)의 구동에 의해 높이를 변경할 수 있으며, 지면이나 지상의 현장상황이나 위험요소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97)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송,수신부(98)로 수신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상태안내스피커(99)를 제어하여 음성을 송출시키거나 알람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상기 촬영정보를 통해 현상의 위험상황을 인지한 후 상기 상태안내스피커(99)를 통해 위험신호를 송출하여 현장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97)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송,수신부(98)로 수신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승강안내부(94) 및 상기 회전안내부(95)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상황촬영유닛(96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퇴적물 제거 장치 20 : 배출호스
30 : 배출펌프 40 : 외측흡입부
41 : 외측흡입공 50 : 퇴적물마찰파쇄수단
51 : 나사공 52 : 볼트연결축
53 : 탄성마찰헤드 60 : 탄성형마찰파쇄수단
61 : 연결고정링 62 : 연결브라켓
63 : 파쇄모터 64 : 탄성파쇄날개
70 : 마찰핀 80 : 진동기
90 : 현장확인작업안내수단 91 : 연결고정모듈유닛
92 : 가이드샤프트 93 : 이송모듈부
931 : 제1패널이송모듈 932 : 제2패널이송모듈
933 : 제3패널이송모듈 94 : 승강안내부
941 : 제1승강안내유닛 942 : 제2승강안내유닛
943 : 제3승강안내유닛 95 : 회전안내부
951 : 제1회전안내유닛 951-1 : 제1회전모듈유닛
952 : 제2회전안내유닛 952-1 : 제2회전모듈유닛
953 : 제3회전안내유닛 953-1 : 제3회전모듈유닛
96 : 상황촬영부 961 : 제1상황촬영유닛
962 : 제2상황촬영유닛 963 : 제3상황촬영유닛
97 : 제어부 98 : 송,수신부
99 : 상태안내스피커

Claims (2)

  1. 하수관거 내부에 배치되는 퇴적물을 제거하도록 된 퇴적물 제거 방법으로서,
    지면을 굴착하여 지중에 매설된 하수관거를 노출시키도록 굴착공을 형성시키는 퇴적물 제거장치 설치준비단계와, 상기 하수관거를 타공한 후 퇴적물 제거 장치로 상기 하수관거의 내부에 배치되는 퇴적물을 제거하도록 된 하수관거 퇴적물 처리단계와, 상기 굴착공을 매립하여 마감하는 하수관거 매립마감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수관거 퇴적물 처리단계에는 현장확인작업안내수단에 의해 현장의 작업상황을 파악하고, 위급상황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현장확인작업안내단계가 더 포함되는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퇴적물 제거 장치는 상기 하수관거에 형성되는 관통구에 일측이 인입되어 상기 하수관거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에 흡입구가 형성된 배출호스와,
    상기 배출호스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수관거의 퇴적물을 펌핑하는 배출펌프와,
    상기 배출호스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퇴적물을 흡입하는 외측흡입공들로 이루어진 외측흡입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호스에는 상기 하수관거의 내부에 배치되는 퇴적물과 마찰되어, 상기 퇴적물을 파쇄하는 퇴적물마찰파쇄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퇴적물마찰파쇄수단은,
    상기 배출호스의 외면에 형성되는 나사공들과,
    상기 배출호스에 상기 나사공에 일단이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볼트연결축과,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는 상기 볼트연결축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퇴적물과 마찰 및 걸림되는 탄성마찰헤드로 이루어지며,
    탄성파쇄날개의 외면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마찰핀들의 일단을 더 부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마찰핀들이 상기 퇴적물과 마찰되도록 하고,
    상기 배출호스에는 외면에 바이브레이터인 진동기를 더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진동기의 진동이 상기 배출호스를 통해 퇴적물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방법.

  2. 삭제
KR1020220142546A 2022-10-31 2022-10-31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 KR102529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546A KR102529548B1 (ko) 2022-10-31 2022-10-31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546A KR102529548B1 (ko) 2022-10-31 2022-10-31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548B1 true KR102529548B1 (ko) 2023-05-08

Family

ID=86381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2546A KR102529548B1 (ko) 2022-10-31 2022-10-31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5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768B1 (ko) * 2023-06-14 2024-04-09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내진기능이 향상된 매설 상하수도관 보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8415A (ko) * 2010-12-31 2012-07-10 주식회사 호서텔넷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방법 및 송출시스템
KR101187998B1 (ko) 2012-01-19 2012-10-08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하수관거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23293B1 (ko) * 2012-10-29 2013-01-16 박용규 하수관로 퇴적토 준설공법 및 준설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8415A (ko) * 2010-12-31 2012-07-10 주식회사 호서텔넷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방법 및 송출시스템
KR101187998B1 (ko) 2012-01-19 2012-10-08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하수관거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23293B1 (ko) * 2012-10-29 2013-01-16 박용규 하수관로 퇴적토 준설공법 및 준설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768B1 (ko) * 2023-06-14 2024-04-09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내진기능이 향상된 매설 상하수도관 보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9548B1 (ko)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
KR102529549B1 (ko) 하수관거의 악취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
CN105822347B (zh) 一种隧道虹吸排水系统及其建造方法
US5996621A (en) Circulating drainage system for sewage pipe installation work
CN107511371B (zh) 一种管状监测仪器清淤设备
KR20110024145A (ko) 지반 개량용 천공장치와 그 시공방법 및 시공관리 시스템
KR102563909B1 (ko) 하수관거 내부의 퇴적물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N210238548U (zh) 一种深基坑用井管的安装装置
KR20110004264U (ko) 굴삭 공사에 수반되는 지하 수위 저하용 진공 펌프 배수 장치
KR101596895B1 (ko) 해양 구조물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922777B1 (ko) 수중로보트준설기를 이용한 차집관거 준설공법
KR102558747B1 (ko) 내진 기능을 갖춘 하수관거의 유독가스 배출 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211368754U (zh) 一种施工现场基坑用排水装置
KR100833027B1 (ko)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EP2456926B1 (en) A collecting system and method for unclogging and repairing a clogged drain
CN213776806U (zh) 一种基于物联网的雨污管网封堵设备
KR100862166B1 (ko) 개착식 하상여과공법을 이용한 집수시스템
CN213985831U (zh) 一种倾斜式水采样环境监测装置
CN209339302U (zh) 一种用于排水管道检查井的清淤疏通装置
KR102641895B1 (ko) 하수관거의 침하 예방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558746B1 (ko)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0371274Y1 (ko) 소구경 지하수 심정용 그라우팅 겸용 양수 파이프 장치
CN109440906A (zh) 一种应用于垃圾填埋场的渗沥液提升井
US11608722B2 (en) Sectional pumping apparatus for well case
KR102556262B1 (ko) 자동 통풍기능을 갖춘 하수관거용 자동 통풍장치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