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746B1 -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746B1
KR102558746B1 KR1020220186341A KR20220186341A KR102558746B1 KR 102558746 B1 KR102558746 B1 KR 102558746B1 KR 1020220186341 A KR1020220186341 A KR 1020220186341A KR 20220186341 A KR20220186341 A KR 20220186341A KR 102558746 B1 KR102558746 B1 KR 102558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odor
reduction device
fixe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6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결가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결가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결가치
Priority to KR1020220186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7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8Ventilation of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관거 내부의 악취를 저감시키는 저감장치의 시공방법으로서, 지면을 굴착하여 상기 하수관거가 노출되도록 굴착공을 형성하는 굴착공형성단계와, 상기 굴착공에 작업보호관을 끼워 상기 굴착공의 내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이물질이나 토사가 노출된 상기 하수관거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작업보호관 체결단계와, 상기 작업보호관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작업보호관의 상부에 차단보호망을 설치하는 차단보호망 설치단계와, 상기 하수관거 내부의 악취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하수관거를 타공하여 관통공을 형성시키는 하수관거 관통공 형성단계와, 상기 하수관거 내부의 악취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하수관거에 저감장치를 설치하는 하수관거 저감장치 설치단계와, 상기 하수관거에 설치된 저감장치를 구동시키 상기 하수관거의 악취를 배출시키는 저감장치 시범구동단계와, 상기 굴착공에 설치된 상기 작업보호관을 분리하는 굴착공 작업보호관 분리철거단계와, 상기 작업보호관이 분리된 상기 굴착공에 흙을 투입하여 충진시키는 굴착공 매립단계로 이루어져, 상기 작업보호관과 상기 차단보호망에 의해 이물질이나 토사가 상기 굴착공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저감장치에 의해 상기 하수관거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저감시키도록 되고, 상기 하수관거 저감장치 설치단계에는 상황인지작업안내수단에 의해 현장의 작업상황을 파악하고, 위급상황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상황인지작업안내단계가 더 포함되어, 하수를 안내하는 하수관거에 악취 저감장치를 마련하여, 하수관거 내부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악취 유출에 따른 환경오염과 불쾌감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 { Odor reduction device for eco-friendly sewage pip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본 발명은 하수관거 기술 분야 중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를 안내하는 하수관거에 악취 저감장치를 마련하여, 하수관거 내부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악취 유출에 따른 환경오염과 불쾌감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합류식 하수관거는 각 가정이나 빌딩, 공장 등에서 발생한 하수를 이송하는 하수연결관과 도로를 따라 흐르는 우수를 집수하는 우수받이에 연결된 우수연결관이 연결된다.
이러한 하수관거는 하수와 우수 중에 혼재하고 있는 유기물질과 오염물질로 인하여 악취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통상적으로 하수관거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맨홀을 설치하게 되는데, 맨홀은 지중에 매설되며 상단이 개방되고 상류측 벽체에 상류측 하수관거가 연결되는 하수유입관이 형성되고 하류측 벽체에 하류측 하수관거가 연결되는 하수유출구가 형성된 맨홀본체와, 맨홀본체의 상단 개방부를 복개하는 맨홀덮개로 구성된다.
여기서 맨홀덮개는 맨홀본체의 상단에 안착되는 철개지지링과, 철개지지링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철개로 구성되는바, 철개지지링과 철개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할 수밖에 없으므로 하수관거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그 틈새를 통해 방출되어 주변을 악취로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제10-1735790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를 안내하는 하수관거에 악취 저감장치를 마련하여, 하수관거 내부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악취 유출에 따른 환경오염과 불쾌감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수관거 내부의 악취를 저감시키는 저감장치의 시공방법으로서, 지면을 굴착하여 상기 하수관거가 노출되도록 굴착공을 형성하는 굴착공형성단계와, 상기 굴착공에 작업보호관을 끼워 상기 굴착공의 내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이물질이나 토사가 노출된 상기 하수관거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작업보호관 체결단계와, 상기 작업보호관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작업보호관의 상부에 차단보호망을 설치하는 차단보호망 설치단계와, 상기 하수관거 내부의 악취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하수관거를 타공하여 관통공을 형성시키는 하수관거 관통공 형성단계와, 상기 하수관거 내부의 악취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하수관거에 저감장치를 설치하는 하수관거 저감장치 설치단계와, 상기 하수관거에 설치된 저감장치를 구동시키 상기 하수관거의 악취를 배출시키는 저감장치 시범구동단계와, 상기 굴착공에 설치된 상기 작업보호관을 분리하는 굴착공 작업보호관 분리철거단계와, 상기 작업보호관이 분리된 상기 굴착공에 흙을 투입하여 충진시키는 굴착공 매립단계로 이루어져, 상기 작업보호관과 상기 차단보호망에 의해 이물질이나 토사가 상기 굴착공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저감장치에 의해 상기 하수관거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저감시키도록 되고, 상기 하수관거 저감장치 설치단계에는 상황인지작업안내수단에 의해 현장의 작업상황을 파악하고, 위급상황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상황인지작업안내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수관거 내부의 악취를 저감시키는 저감장치로서, 상기 하수관거에 형성되는 관통공과 연통되게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수관거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가이드관과, 상기 체결공에 끼움되어 고정되며, 하단부가 상기 관통공에 관통되게 끼움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의 하단부에 체결되어, 이물질이 상기 흡입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망과과 상기 가이드관에 체결되어 상기 하수관거 내부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악취배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악취배출부는, 상기 가이드관에 체결된 상기 흡입관에 하단부가 끼움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외부에 배치되는 악취배출관과, 상기 악취배출관에 체결되어 상기 하수관거 내부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팬과, 상기 악취배출관에 체결되어 상기 악취배출관에서 악취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입관의 저면에는 지지샤프트의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지지샤프트의 타단은 상기 하수관거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샤프트의 타단에는 상기 하수관거 내부의 악취를 감지한 후 감지신호를 상기 배출팬에 전달하는 감지센서가 더 체결되어,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제어밸브와 상기 배출팬이 구동하여 상기 하수관거 내부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하수관거 내부의 악취를 저감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은 하수를 안내하는 하수관거에 악취 저감장치를 마련하여, 하수관거 내부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악취 유출에 따른 환경오염과 불쾌감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의 차단보호관 및 차단보호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의 내진용탄성충격완충수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의 상황인지작업안내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의 상황인지작업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의 상황인지작업안내수단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의 차단보호관 및 차단보호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의 내진용탄성충격완충수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의 상황인지작업안내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의 상황인지작업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의 상황인지작업안내수단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악취 저감장치라 명명함)는 하수관거(100) 내부의 악취를 저감시키는 저감장치(10)로서, 이에 이와같은 저감장치(10)는 가이드관(20)과 흡입관(30)과 차단망(40)과 악취배출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관(20)은 상기 하수관거(100)에 형성되는 관통공(200)과 연통되게 체결공(21)이 형성되며, 상기 하수관거(100)에 끼움되어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관(20)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수관거(100)에 끼움된 후 나사체결 또는 부착되어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관(20)과 상기 하수관거(100) 사이에 오링들을 배치시키거나, 상기 가이드관(20)의 테두리 부분과 상기 하수관거(100) 사이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기밀을 유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흡입관(30)은 상기 체결공(21)에 끼움되어 고정되며, 하단부가 상기 관통공(200)에 관통되게 끼움된다.
상기 흡입관(30)은 상기 체결공(21)에 끼움된 후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차단망(40)은 상기 흡입관(30)의 하단부에 체결되어, 이물질이 상기 흡입관(3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차단망(40)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망이며, 상기 흡입관(30)의 하단부를 덮으면서 접착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악취배출부(50)는 상기 가이드관(20)에 체결되어 상기 하수관거(100) 내부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악취배출부(50)는 상기 가이드관(20)에 체결된 상기 흡입관(30)에 하단부가 끼움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외부에 배치되는 악취배출관(51)과, 상기 악취배출관(51)의 내면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하수관거(100) 내부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팬(52)과, 상기 악취배출관(51)에 체결되어 상기 악취배출관(51)의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함으로써, 상기 악취배출관(51)에서 악취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밸브(54)로 이루어진다.
상기 악취배출관(51)은 상기 흡입관(30)에 하단부가 끼움된 후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악취배출관(51)을 통해 악취가 포함된 하수관거(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배출팬(52)에 의해 하수관거(100)의 악취를 제거함으로써, 별도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약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친환경적이며,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께 된다.
상기 흡입관(30)의 저면에는 지지샤프트(31)의 일단이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지지샤프트(31)의 타단은 상기 차단망(40)을 관통한 후 상기 하수관거(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샤프트(31)의 타단에는 상기 하수관거(100) 내부의 악취를 감지한 후 감지신호를 상기 배출팬(52)에 전달하는 감지센서(55)가 더 부착되거나 나사체결되어, 상기 감지센서(55)의 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제어밸브(54)와 상기 배출팬(52)이 구동하여 상기 하수관거(100) 내부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하수관거(100) 내부의 악취를 저감시키도록 된다.
즉, 상기 감지센서(55)의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제어밸브(54)가 구동하여 상기 악취배출관을 개방시키게 됨과 아울러 배출팬(52)이 구동되어, 상기 하수관거(100)의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악취배출관(51)에는 필터인 정화장치를 더 체결하여 악취를 정화시킨 후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악취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악취에 의해 하수관거(100)의 내면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하수관거(100) 내부의 악취를 저감시키는 저감장치(10)의 시공방법은 지면을 굴착하여 상기 하수관거(100)가 노출되도록 굴착공(300)을 형성하는 굴착공(300)형성단계(S1)와, 상기 굴착공(300)에 작업보호관(60)을 끼워 상기 굴착공(300)의 내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이물질이나 토사가 노출된 상기 하수관거(1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작업보호관(60) 체결단계(S2)와, 상기 작업보호관(6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작업보호관(60)의 상부에 차단보호망(70)을 설치하는 차단보호망(70) 설치단계(S3)를 거치게 된다.
상기 작업보호관(60)은 상기 굴착공(300)에 억지끼움되며, 상측 외면에 플랜지날개를 나사체결하여, 지면에 상기 플랜지날개가 걸림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차단보호망(70)은 상기 작업보호관(60)의 상부를 덮으면서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작업보호관(60)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수관거(100)의 일부가 인입되도록 인입홈을 더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하수관거(100) 내부의 악취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하수관거(100)를 타공하여 관통공(200)을 형성시키는 하수관거(100) 관통공(200) 형성단계(S4)와, 상기 하수관거(100) 내부의 악취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하수관거(100)에 저감장치(10)를 설치하는 하수관거(100) 저감장치(10) 설치단계(S5)와, 상기 하수관거(100)에 설치된 저감장치(10)를 구동시키 상기 하수관거(100)의 악취를 배출시키는 저감장치(10) 시범구동단계(S6)를 거치게 된다.
이후, 상기 굴착공(300)에 설치된 상기 작업보호관(60)을 분리하는 굴착공(300) 작업보호관(60) 분리철거단계(S7)와 상기 작업보호관(60)이 분리된 상기 굴착공(300)에 흙을 투입하여 충진시키는 굴착공(300) 매립단계(S8)를 거침으로써, 일련의 과정을 마치게 된다.
이때, 상기 작업보호관(60)과 상기 차단보호망(70)에 의해 이물질이나 토사가 상기 굴착공(3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저감장치(10)에 의해 상기 하수관거(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저감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하수관거(100) 배출장치 설치단계(S5) 이후에는 지진에 따른 진동이나 충격이 상기 하수관거(100)에 전달되는 것을 완충시키도록 상기 하수관거(100)에 내진용탄성충격완충수단(80)이 더 설치하는 내진용탄성충격완충수단(80) 설치단계(S5-2)가 더 추가된다.
상기 내진용탄성충격완충수단(80)은 상기 하수관거(100)에 끼움된 후 부착되어 고정되는 내진보강관(81)과, 상기 내진보강관(81)의 외면에 일단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탄성완충스프링(82)과, 상기 탄성완충스프링(82)의 타단에 내면이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내진완충패널(83)과, 상기 내진완충패널(83)의 외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며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완충패널(84)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완충스프링(82)과 상기 탄성완충패널(84)의 탄성에 의해 지진에 따른 진동이나 충격이 상기 하수관거(100)에 전달되는 것을 완충시키도록 됨과 아울러 상기 하수관거(100)를 지지하여 외력에 의해 이동되거나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다.
여기서, 상기 악취배출관(51)의 외면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지지핀을 일단을 부착하거나 용접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지중에 매립되는 지지핀에 의해 상기 악취배출관(51)의 지지력이 향상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악취배출관(51)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악취배출관(51)의 외면에는 바이브레이터인 진동기를 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진동기의 진동이 상기 악취배출관(51) 및 상기 악취배출관(51)의 내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에 전달되어 이물질의 탈거효율을 높여, 악취배출관(51)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물질 제거에 따른 유지보수에 빠른 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수관거(100) 저감장치(10) 설치단계(S5)에는 상황인지작업안내수단(90)에 의해 현장의 작업상황을 파악하고, 위급상황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상황인지작업안내단계(S5-1)가 더 포함된다.
상기 상황인지작업안내수단(90)은, 상기 하수관거(100)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연결고정모듈유닛(91)과,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의 상면부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가이드샤프트(92)와, 상기 가이드샤프트(92)에 관통되게 끼움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샤프트(92)를 따라 안내되는 제1패널이송모듈(931)과 제2패널이송모듈(932)과 제3패널이송모듈(933)로 이루어진 이송모듈부(93)와,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93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승강안내유닛(941)과, 제1패널이송모듈(931)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932)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승강안내유닛(942)과, 상기 제2승강안내유닛(942)과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승강안내유닛(943)으로 이루어진 승강안내부(94)와,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93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1회전모듈유닛(951-1)이 나사체결된 제1회전안내유닛(951)들과, 제2패널이송모듈(932)이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2회전모듈유닛(952-1)이 나사체결된 제2회전안내유닛(952)들과, 제3패널이송모듈(933)이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3회전모듈유닛(953-1)이 나사체결된 제3회전안내유닛(953)들로 이루어진 회전안내부(95)와, 상기 제1회전모듈유닛(951-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회전모듈유닛(952-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회전모듈유닛(953-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상황촬영유닛(963)들로 이루어진 상황촬영부(96)와,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승강안내부(94) 및 상기 회전안내부(9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하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제3상황촬영유닛(963)들의 촬영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97)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97)에서 전달되는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제3상황촬영유닛(963)들의 촬영정보를 송신하는 송,수신부(98)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97)의 신호를 전달받아 음성을 안내하거나 알람을 발생시키는 상태안내스피커(99)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은 금속재로 형성된 패널구조로 이루어지며, 지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931)과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932)과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패널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샤프트(92)에 관통되게 끼움되도록 이송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승강안내유닛(941)과 상기 제2승강안내유닛(942)과 상기 제3승강안내유닛(943)은 실린더이며, 상기 제1회전안내유닛(951)과 상기 제2회전안내유닛(952)과 제3회전안내유닛(953)은 모터이며, 상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상황촬영유닛(963)은 카메라이다.
또한, 상기 제1회전모듈유닛(951-1)과 상기 제2회전모듈유닛(952-1)과 제3회전모듈유닛(953-1)은 원형 또는 사각의 패널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상황촬영유닛(963)들은 상기 제1승강안내유닛(941)과 상기 제2승강안내유닛(942)과 상기 제3승강안내유닛(943)의 구동에 의해 높이를 변경할 수 있으며, 지면이나 지상의 현장상황이나 위험요소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97)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송,수신부(98)로 수신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상태안내스피커(99)를 제어하여 음성을 송출시키거나 알람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상기 촬영정보를 통해 현상의 위험상황을 인지한 후 상기 상태안내스피커(99)를 통해 위험신호를 송출하여 현장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97)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송,수신부(98)로 수신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승강안내부(94) 및 상기 회전안내부(95)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상황촬영유닛(96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저감장치 20 : 가이드관
21 : 체결공 30 : 흡입관
31 : 지지샤프트 40 : 차단망
50 : 악취배출부 51 : 악취배출관
52 : 배출팬 54 : 제어밸브
55 : 감지센서 60 : 작업보호관
70 : 차단보호망 80 : 내진용탄성충격완충수단
81 : 내진보강관 82 : 탄성완충스프링
83 : 내진완충패널 84 : 탄성완충패널
90 : 상황인지작업안내수단 91 : 연결고정모듈유닛
92 : 가이드샤프트 93 : 이송모듈부
931 : 제1패널이송모듈 932 : 제2패널이송모듈
933 : 제3패널이송모듈 94 : 승강안내부
941 : 제1승강안내유닛 942 : 제2승강안내유닛
943 : 제3승강안내유닛 95 : 회전안내부
951 : 제1회전안내유닛 951-1 : 제1회전모듈유닛
952 : 제2회전안내유닛 952-1 : 제2회전모듈유닛
953 : 제3회전안내유닛 953-1 : 제3회전모듈유닛
96 : 상황촬영부 961 : 제1상황촬영유닛
962 : 제2상황촬영유닛 963 : 제3상황촬영유닛
97 : 제어부 98 : 송,수신부
99 : 상태안내스피커 100 : 하수관거
200 : 관통공 300 : 굴착공

Claims (2)

  1. 하수관거 내부의 악취를 저감시키는 저감장치의 시공방법으로서,
    지면을 굴착하여 상기 하수관거가 노출되도록 굴착공을 형성하는 굴착공형성단계;
    상기 굴착공에 작업보호관을 끼워 상기 굴착공의 내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이물질이나 토사가 노출된 상기 하수관거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작업보호관 체결단계;
    상기 작업보호관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작업보호관의 상부에 차단보호망을 설치하는 차단보호망 설치단계;
    상기 하수관거 내부의 악취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하수관거를 타공하여 관통공을 형성시키는 하수관거 관통공 형성단계;
    상기 하수관거 내부의 악취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하수관거에 저감장치를 설치하는 하수관거 저감장치 설치단계;
    상기 하수관거에 설치된 저감장치를 구동시키 상기 하수관거의 악취를 배출시키는 저감장치 시범구동단계;
    상기 굴착공에 설치된 상기 작업보호관을 분리하는 굴착공 작업보호관 분리철거단계; 및
    상기 작업보호관이 분리된 상기 굴착공에 흙을 투입하여 충진시키는 굴착공 매립단계로 이루어져,
    상기 작업보호관과 상기 차단보호망에 의해 이물질이나 토사가 상기 굴착공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저감장치에 의해 상기 하수관거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저감시키도록 되고,
    상기 하수관거 저감장치 설치단계에는 상황인지작업안내수단에 의해 현장의 작업상황을 파악하고, 위급상황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상황인지작업안내단계가 더 포함되는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감장치는,
    상기 하수관거에 형성되는 관통공과 연통되게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수관거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가이드관;
    상기 체결공에 끼움되어 고정되며, 하단부가 상기 관통공에 관통되게 끼움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의 하단부에 체결되어, 이물질이 상기 흡입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망; 및
    상기 가이드관에 체결되어 상기 하수관거 내부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악취배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악취배출부는,
    상기 가이드관에 체결된 상기 흡입관에 하단부가 끼움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외부에 배치되는 악취배출관과,
    상기 악취배출관에 체결되어 상기 하수관거 내부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팬과,
    상기 악취배출관에 체결되어 상기 악취배출관에서 악취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입관의 저면에는 지지샤프트의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지지샤프트의 타단은 상기 하수관거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샤프트의 타단에는 상기 하수관거 내부의 악취를 감지한 후 감지신호를 상기 배출팬에 전달하는 감지센서가 더 체결되어,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제어밸브와 상기 배출팬이 구동하여 상기 하수관거 내부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하수관거 내부의 악취를 저감시키도록 되며,
    상기 상황인지작업안내수단은,
    상기 하수관거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연결고정모듈유닛과,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의 상면부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가이드샤프트와,
    상기 가이드샤프트에 관통되게 끼움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샤프트를 따라 안내되는 제1패널이송모듈과 제2패널이송모듈과 제3패널이송모듈로 이루어진 이송모듈부와,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승강안내유닛과, 제1패널이송모듈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승강안내유닛과, 상기 제2승강안내유닛과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승강안내유닛으로 이루어진 승강안내부와,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1회전모듈유닛이 나사체결된 제1회전안내유닛들과, 제2패널이송모듈이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2회전모듈유닛이 나사체결된 제2회전안내유닛들과, 제3패널이송모듈이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3회전모듈유닛이 나사체결된 제3회전안내유닛들로 이루어진 회전안내부와,
    상기 제1회전모듈유닛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상황촬영유닛들과, 상기 제2회전모듈유닛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상황촬영유닛들과, 상기 제3회전모듈유닛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상황촬영유닛들로 이루어진 상황촬영부와,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승강안내부 및 상기 회전안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하며, 제1상황촬영유닛들과 제2상황촬영유닛들과 제3상황촬영유닛들의 촬영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제1상황촬영유닛들과 제2상황촬영유닛들과 제3상황촬영유닛들의 촬영정보를 송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음성을 안내하거나 알람을 발생시키는 상태안내스피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의 시공방법.

  2. 삭제
KR1020220186341A 2022-12-27 2022-12-27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558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6341A KR102558746B1 (ko) 2022-12-27 2022-12-27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6341A KR102558746B1 (ko) 2022-12-27 2022-12-27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8746B1 true KR102558746B1 (ko) 2023-07-25

Family

ID=87428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6341A KR102558746B1 (ko) 2022-12-27 2022-12-27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7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0864A (ko) * 2008-12-18 2010-06-28 엘에스씨산업기술 주식회사 관로공사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KR20120078415A (ko) * 2010-12-31 2012-07-10 주식회사 호서텔넷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방법 및 송출시스템
KR101735790B1 (ko) 2015-02-17 2017-05-17 신진유지건설 주식회사 하수관거의 악취저감장치
KR102294487B1 (ko) * 2021-05-24 2021-08-27 주식회사 동인 맨홀의 악취저감장치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0864A (ko) * 2008-12-18 2010-06-28 엘에스씨산업기술 주식회사 관로공사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KR20120078415A (ko) * 2010-12-31 2012-07-10 주식회사 호서텔넷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방법 및 송출시스템
KR101735790B1 (ko) 2015-02-17 2017-05-17 신진유지건설 주식회사 하수관거의 악취저감장치
KR102294487B1 (ko) * 2021-05-24 2021-08-27 주식회사 동인 맨홀의 악취저감장치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0290B1 (en) Unitary concrete pumping station for aqueous waste submersible pumping applications
KR102163322B1 (ko) 맨홀 내 유해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
KR102558746B1 (ko)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558747B1 (ko) 내진 기능을 갖춘 하수관거의 유독가스 배출 장치 및 그 시공방법
US20090123296A1 (en) Water removal system
CA2919282A1 (en) Fluid removal from a sump with electronic control and fluid type separation
KR100895651B1 (ko) 지하수 심정 밀폐장치
KR101257004B1 (ko) 심도별 지하 유체 시료 채취 시스템
KR102556262B1 (ko) 자동 통풍기능을 갖춘 하수관거용 자동 통풍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529548B1 (ko)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
KR200430453Y1 (ko) 지하수관정공 오염방지장치
KR20120138973A (ko) 하수관거 유량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473856Y1 (ko) 대구경 공공관정 밀폐식 지하수 정호커버
US10208747B2 (en) Trap for pump testing and monitoring systems
CN209703856U (zh) 一种雨水斗
KR200415971Y1 (ko) 부력볼밸브를 장착한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상부덮개.
KR100371520B1 (ko)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
KR20120021589A (ko) 밀폐식 상부 보호공 장치
KR101622904B1 (ko) 진동측정장치를 구비한 펌프게이트
KR102529549B1 (ko) 하수관거의 악취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
KR102563909B1 (ko) 하수관거 내부의 퇴적물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N110578367A (zh) 预制截流井
KR100447821B1 (ko)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 장치
JP2011185521A (ja) 地中熱利用システムおよび該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セパレータ
KR100640143B1 (ko) 관정 시설물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