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348B1 - 지하수 정호 덮개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수 정호 덮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348B1
KR100975348B1 KR1020090133926A KR20090133926A KR100975348B1 KR 100975348 B1 KR100975348 B1 KR 100975348B1 KR 1020090133926 A KR1020090133926 A KR 1020090133926A KR 20090133926 A KR20090133926 A KR 20090133926A KR 100975348 B1 KR100975348 B1 KR 100975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roundwater
main body
discharge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민훈
Original Assignee
한일산업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산업개발(주) filed Critical 한일산업개발(주)
Priority to KR1020090133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5Keeping wells in good condition, e.g. by cleaning, repairing, regenerating; Maintaining or enlarging the capacity of wells or water-bearing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7/00Containers for collecting or depositing substances in boreholes or wells, e.g. bailers, baskets or buckets for collecting mud or sand; Drill bits with means for collecting substances, e.g. valve drill bits
    • E21B27/005Collecting means with a straine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3/00Sealing or packing boreholes or wells
    • E21B33/02Surface sealing or p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 정호 덮개장치는, 지반에 관통하게 굴착한 관정의 지하수층과 연락되게 지하수공을 형성하도록 수직으로 매설되어 상부로 덮개장치가 구비되는 취수관과, 상기 취수관의 내부로 관정 내에 지하수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지하수를 토출하는 토출펌프와, 상기 토출펌프로 토출된 지하수를 유동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과 연계되어 흡입관에 흡입된 지하수를 지하수취수시설물로 토출하는 토출관이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하수취수시설의 지하수 정호 덮개장치에 있어서, 상기 취수관의 상부를 밀폐하는 플랜지 및 플랜지 상부로 체결되는 본체와, 하부가 상기 본체의 외측과 일체화되고 상부로 고리가 형성되는 권상용고리와, 상기 플랜지 및 본체 사이를 밀폐하는 개스킷과, 상기 플랜지와 본체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취수관 내의 가스를 배출하는 통기파이프 및 상기 통기파이프와 체결되어 통기파이프로 이물질을 차단하는 통기캡과, 상기 토출관의 일측에 연계되어 토출관으로 토출되기 전의 지하수를 채수하는 채수관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플랜지 및 본체에 관통 구성되는 통기파이프를 구성됨과 아울러 본체 상측에 형성되는 토출관으로 채수관이 다수개 형성되기 때문에, 취수관 내부에서 부유하는 가스를 배출하여 지하수의 수질을 깨끗하게 유지하면서도 지하수의 오염 시에 오염원인을 조사하여 양질의 지하수의 공급을 도모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지하수 정호 덮개장치.

Description

지하수 정호 덮개장치{Apparatus for cover water in groundwater}
본 발명은 지하수를 취수하기 위한 지하수취수시설의 지하수 정호 덮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하수를 취수하기 위해 관정에 설치된 취수관의 상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통기파이프와 전선이 수용되는 수용파이프 및 운반장치에 걸림되는 권상용고리가 포함되는 덮개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취수관 내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양질의 지하수를 공급하면서도 시공이 용이한 지하수 정호 덮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지하수(地下水: groundwater)라 함은 지하의 지층이나 암석사이의 빈틈을 채우고 있거나 흐르는 물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지하수를 농업용, 공업용 등의 용수 및 농어촌의 생활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지하수를 양수하는 지하수취수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지하수취수시설은 대략 지반에 관통하게 굴착한 관정에 지하수공이 형성되며 지하수 정호의 상부로 덮개장치를 갖는 한 쌍의 취수관이 결합되고 상기 취수관의 하부로는 관정에 형성된 지하수공에서 배출되는 지하수를 토출하는 토출펌프가 구성되고 상기 토출펌프에 의해 토출된 지하수를 흡입 이송하는 흡입관이 취수관 내부에 연장되며, 상기 취수관과 연결되어 취수관에 의해 양수된 지하수를 지하수 배관 시설물로 토출하는 토출관이 취수관의 외측에서 지하수 배관 시설물로 연장되어 지하수의 외부 공급이 이루어진다.
상기 취수관 상부에 밀폐하는 덮개장치는 취수관 내부에 통해 각종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지하수가 오염 훼손될 수 있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였으나 상기 취수관을 밀폐하는 덮개장치의 구조상 내부를 관찰할 수 없어 내부에 취수관 내부에 이물질이 혼입되어도 확인할 방법이 없으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취수관과 체결된 덮개의 체결장치를 모두 해체한 후에 취수관 내부의 상태를 확인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덮개의 밀폐수단을 통해 취수관을 완벽히 밀폐하더라도 취수관의 내부로는 지하수를 양수하는 토출펌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을 삽입하기 위하여 덮개에 전선공이 형성되며 상기 전선공으로 인하여 이물질이 유입되어 지하수의 수질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어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수를 취수하기 위해 관정에 설치된 취수관의 상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통기파이프와 전선이 수용되는 수용파이프 및 운반장치에 걸림되는 권상용고리가 포함되는 덮개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취수관 내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양질의 지하수를 공급하면서도 시공이 용이한 지하수 정호 덮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지반에 관통하게 굴착한 관정의 지하수층과 연락되게 지하수공을 형성하도록 수직으로 매설되어 상부로 덮개장치가 구비되는 취수관과, 상기 취수관의 내부로 관정 내에 지하수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지하수를 토출하는 토출펌프와, 상기 토출펌프로 토출된 지하수를 유동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과 연계되어 흡입관에 흡입된 지하수를 지하수취수시설물로 토출하는 토출관이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하수취수시설의 지하수 정호 덮개장치에 있어서, 상기 취수관의 상부를 밀폐하는 플랜지 및 플랜지 상부로 체결되는 본체와, 하부가 상기 본체의 외측과 일체화되고 상부로 고리가 형성되는 권상용고리와, 상기 플랜지 및 본체 사이를 밀폐하는 개스킷과, 상기 플랜지와 본체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취수관 내의 가스를 배출하는 통기파이프 및 상기 통기파이프와 체결되어 통기파이프로 이물질을 차단하는 통기캡과, 상기 토출관의 일측에 연계되어 토출관으로 토출되기 전의 지하수를 채수하는 채수관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본체 일측으로 취수관 내의 토출펌프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공이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전선공의 상부로 전선공과 연계되는 수용파이프가 구성되고, 상기 수용파이프의 내부로 전선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전선홈이 구비되는 패킹이 구성되고, 상기 패킹이 수용되는 수용파이프의 일측을 밀폐하는 수용캡을 구성하여 상기 수용캡의 체결에 따라 패킹이 수용파이프 내에서 수축되어 전선홈으로 전선을 고정하면서도 수용파이프 및 취수관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 정호 덮개장치는, 플랜지 및 본체에 관통 구성되는 통기파이프를 구성됨과 아울러 본체 상측에 형성되는 토출관으로 채수관이 다수개 형성되기 때문에, 취수관 내부에서 부유하는 가스를 배출하여 지하수의 수질을 깨끗하게 유지하면서도 지하수의 오염 시에 오염원인을 조사하여 양질의 지하수 공급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권상용고리가 형성되기 때문에, 운반장치로 하여금 용이하게 이동 및 설치가 가능하여 덮개장치의 시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 상측으로 내부로 전선이 수용되는 패킹 및 상기 패킹이 수용되는 수용파이프와 상기 수용파이프와 체결되는 수용캡이 구성되기 때문에, 수용캡의 체결에 의해 패킹이 수용파이프 내에서 수축되어 전선홈이 전선을 고정함과 동시에 수축된 전선홈에 의해 밀폐됨으로써 취수관 내로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지하수 정호 덮개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정호 덮개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2(a), (b)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정호 덮개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면도로서, 우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 예의 지하수취수시설을 도 1, 도 2(a), (b)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지반에 관통하게 굴착한 관정(h)의 지하수층과 연락되게 지하수공을 형성하도록 매설된 취수관이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취수관(1)의 상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덮개장치가 구비되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취수관(1)의 내부로 관정(h) 내에 지하수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지하수를 토출하는 토출펌프(3)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펌프(3)로 토출된 지하수를 유동하는 흡입관(5)이 덮개장치까지 수직으로 연장 구성된다.
상기 취수관(1)의 상측으로 흡입관(5)과 연계되어 흡입관(5)에 흡입된 지하수를 지하수취수시설물(9)로 토출하는 토출관(7)이 형성되어 상기 토출펌프(3)의 구동으로 상기 관정(h)의 내부에 저류된 지하수를 양수하여 지하수취수시설물(9) 또는 목적지까지 보내도록 하고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취수관(1)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덮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덮개장치는 개스킷(20)으로 밀폐되어 상호 체결되는 플랜지(10) 및 본체(30)와, 상기 플랜지(10) 및 본체(30)에 관통 구성되는 통기파이프(40)와, 토출관(7)에 형성되어 지하수의 수질을 조사하는 채수관(60)과, 본체(10) 일측으로 전선을 수용하는 수용파이프(50)로 대분 구성된다.
도 3(a), (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10)는 취수관(1)의 형태와 동일한 원형으로 구성되며 취수관(1)을 밀폐할 수 있도록 취수관(1)의 직경보다 넓게 구성되며 후술되는 본체(30)와 체결할 수 있도록 외측에는 원호상으로 체결구(35)가 삽입되는 체결홈부(11)가 다수개 형성되며 중앙으로 흡입관(5) 및 후술되는 통기파이프(40)와 전선이 수용되는 홈부(13)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30)는 플랜지(10)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플랜지(10) 상측에 체결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플랜지(10)의 체결홈부(11)와 동일한 지점에 체결홈부(37)가 구성되며 양측으로 크레인과 같은 운반장치에 걸림되는 권상용고리(31)가 형성된다.
상기 권상용고리(31)는 하부가 본체(30)의 상부 외측과 일체화되고 상부로 크레인과 같은 운반장치를 통해 걸림할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되어 구성되어 시공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본체(30)와 플랜지(10) 사이에 개스킷(20)을 구성하여 본체(30) 및 플랜지(10)가 서로 접지하는 면을 밀폐함으로써 취수관(1)의 내부로 먼지 및 오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도면에서 도시하진 않았지만 개스킷(20)으로 하여금 후술되는 통기파이프(40) 및 토출펌프(3)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을 수용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개스킷(20)이 형성된 본체(30)의 상부에서 플랜지(10)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통기파이프(40)를 구성하여 상기 통기파이프(40)를 통해 관정의 암반에 의해 발생되어 취수관(1) 내부에서 부유하는 가스를 취수관(1) 외부로 배출하여 가스가 지하수에 혼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지하수의 수질이 유지됨과 동시에 취수관(1) 내에 부유되는 가스에 의해 토출펌프(3)의 토출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통기파이프(40)의 상부로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통기파이프(40)의 상부와 체결되는 통기캡(41)이 구성되며, 상기 통기캡(41)을 통한 통기파이프(40)와의 체결력을 조절함으로써 취수관(1) 내의 가스만 배출하면서도 외부 이물질은 차단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30)의 상측에 구성된 토출관(7)의 일측으로 지하수가 일부 토출되는 채수관(60)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하여 상기 다수의 채수관(60)에서 토출관(7)으로부터 토출되는 지하수의 수량과 수질을 비교 분석하여 관정의 오염원인과 오염원의 유입량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취수관(1) 내로 토출펌프(3)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상기 본체(30) 일측으로 전선의 삽입되는 전선공(33)이 구성되며, 상기 본체(30)의 전선공(33)의 상부로 전선공(33)과 연계되는 수용파이프(50)가 수직 설치된다.
상기 수용파이프(50)의 내부로는 전선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전선홈(51h)이 구비되는 패킹(51)이 구성되고, 상기 패킹(51)이 수용되는 수용파이 프(50)의 일측을 밀폐하는 수용캡(55)을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캡(55)의 체결에 의해 패킹(51)이 수용파이프(50) 내에서 수축되어 전선홈(51h)에 의해 전선이 고정됨과 아울러 수용파이프(50) 및 취수관(1)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시켜 취수관 내의 지하수의 수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정호 덮개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a), (b)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정호 덮개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면도,
도 3(a), (b)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정호 덮개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랜지 20 : 개스킷
30 : 본체 31 : 권상용고리
33 : 전선공 35 : 체결구
37 : 체결홈부 40 : 통기파이프
41 : 통기캡 50 : 수용파이프
51 : 패킹 55 : 수용캡
60 : 채수관

Claims (2)

  1. 지반에 관통하게 굴착한 관정(h)의 지하수층과 연락되게 지하수공을 형성하도록 수직으로 매설되어 상부로 덮개장치가 구비되는 취수관(1)과, 상기 취수관(1)의 내부로 관정 내에 지하수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지하수를 토출하는 토출펌프(3)와, 상기 토출펌프(3)로 토출된 지하수를 유동하는 흡입관(5)과, 상기 흡입관(5)과 연계되어 흡입관(5)에 흡입된 지하수를 지하수취수시설물(9)로 토출하는 토출관(7)이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하수취수시설의 지하수 정호 덮개장치에 있어서,
    상기 취수관(1)의 상부를 밀폐하는 플랜지(10) 및 플랜지(10) 상부로 체결되는 본체(30)와,
    하부가 상기 본체(30)의 외측과 일체화되고 상부로 고리가 형성되는 권상용고리(31)와,
    상기 플랜지(10) 및 본체(30) 사이를 밀폐하는 개스킷(20)과,
    상기 플랜지(10)와 본체(30)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취수관(1) 내의 가스를 배출하는 통기파이프(40) 및 상기 통기파이프(40)와 체결되어 통기파이프(40)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통기캡(41)과,
    상기 토출관(7)의 일측에 연계되어 토출관(7)으로 토출되기 전의 지하수를 채수하는 채수관(60)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본체(30) 일측으로 취수관(1) 내의 토출펌프(3)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공(33)이 구성되고,
    상기 본체(30)의 전선공(33)의 상부로 전선공(33)과 연계되는 수용파이프(50)가 구성되고, 상기 수용파이프(50)의 내부로 전선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전선홈(51h)이 형성되는 패킹(51)이 구성되고, 상기 패킹(51)이 수용되는 수용파이프(50)의 일측을 밀폐하는 수용캡(55)을 구성하여 상기 수용캡(55)의 체결에 따라 패킹(51)이 수용파이프(50) 내에서 수축되어 전선홈(51h)으로 전선을 고정하면서도 수용파이프(50) 및 취수관(1)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정호 덮개장치.
  2. 삭제
KR1020090133926A 2009-12-30 2009-12-30 지하수 정호 덮개장치 KR100975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926A KR100975348B1 (ko) 2009-12-30 2009-12-30 지하수 정호 덮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926A KR100975348B1 (ko) 2009-12-30 2009-12-30 지하수 정호 덮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348B1 true KR100975348B1 (ko) 2010-08-11

Family

ID=42759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926A KR100975348B1 (ko) 2009-12-30 2009-12-30 지하수 정호 덮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3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856Y1 (ko) * 2013-10-04 2014-08-05 주식회사 웅지산업개발 대구경 공공관정 밀폐식 지하수 정호커버
KR101525061B1 (ko) * 2014-03-27 2015-06-02 (주)한국지수종합기술단 캡슐형 수중펌프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999A (ko) * 2002-08-14 2004-02-21 한국과학기술원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계의 고분자를 바인더로 하는리튬설퍼이차전지용 양극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및 그 제조방법
KR200415999Y1 (ko) * 2006-02-21 2006-05-10 김진위 소구경 심정의 덮개장치
KR100717368B1 (ko) * 2006-12-06 2007-05-10 화동산업개발 주식회사 방수 관정캡 고정장치 및 수중펌프 설치공법
KR100824959B1 (ko) * 2007-10-16 2008-04-28 주식회사 남도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999A (ko) * 2002-08-14 2004-02-21 한국과학기술원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계의 고분자를 바인더로 하는리튬설퍼이차전지용 양극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및 그 제조방법
KR200415999Y1 (ko) * 2006-02-21 2006-05-10 김진위 소구경 심정의 덮개장치
KR100717368B1 (ko) * 2006-12-06 2007-05-10 화동산업개발 주식회사 방수 관정캡 고정장치 및 수중펌프 설치공법
KR100824959B1 (ko) * 2007-10-16 2008-04-28 주식회사 남도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856Y1 (ko) * 2013-10-04 2014-08-05 주식회사 웅지산업개발 대구경 공공관정 밀폐식 지하수 정호커버
KR101525061B1 (ko) * 2014-03-27 2015-06-02 (주)한국지수종합기술단 캡슐형 수중펌프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0097B1 (ko) 관정의 방오,방수장치
KR100976774B1 (ko) 지하수 보호 관정
KR100745551B1 (ko) 엔트란스슬리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지하여과수 수평취수관 설치방법 및 장치
KR100975348B1 (ko) 지하수 정호 덮개장치
CN206438526U (zh) 深基坑管井降水设备
KR101720098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오염 지하수 정화 장치
JP6338890B2 (ja) 取水装置
KR200473856Y1 (ko) 대구경 공공관정 밀폐식 지하수 정호커버
JP2006326397A (ja) 汚染地盤浄化システムおよび汚染地盤の浄化方法
KR100833027B1 (ko)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CN109650572A (zh) 一种用于修复污染地下水及其流经污染土壤的循环井
KR100621149B1 (ko) 수중 모터펌프의 설치공법
KR100371520B1 (ko)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
KR100975347B1 (ko) 지하수 오염방지 및 수량 증가장치
CN208763037U (zh) 淤泥质地层的降水井保持真空的抽水装置
CN209702414U (zh) 一种用于修复污染地下水及其流经污染土壤的循环井
KR102072114B1 (ko) 수질관측 지하수 상부보호공
CN201666279U (zh) 一种污水管网清淤泵
KR100817903B1 (ko) 지하수의 관정 보호장치
KR200329458Y1 (ko) 다수개의 급수배관 연결구를 갖는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
JP2008057201A (ja) 地盤の排水装置と、それを使用する地盤の排水工法
CN109650571A (zh) 一种循环井
KR200433333Y1 (ko) 지하수 관정용 오염방지구조
JP4481049B2 (ja) 水平井戸による地下水循環型汚染土壌浄化方法及び装置
CN204660850U (zh) 自吸入加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