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593B1 - 교량 신축이음부에 적용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교량 신축이음부에 적용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593B1
KR102560593B1 KR1020220090097A KR20220090097A KR102560593B1 KR 102560593 B1 KR102560593 B1 KR 102560593B1 KR 1020220090097 A KR1020220090097 A KR 1020220090097A KR 20220090097 A KR20220090097 A KR 20220090097A KR 102560593 B1 KR102560593 B1 KR 102560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member
expansion
telescopic
prevention system
e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이엔씨
Priority to KR1020220090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5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슬래브 사이의 거동을 효과적으로 수렴하여 상쇄시켜 활하중, 사하중, 토압 등과 같은 여러 하중과, 기후 변화, 오수, 염해 등의 기타 환경적 요인으로 인한 슬래브의 거동 응력으로 발생하는 교량의 물리적 변위 시 가해지는 응력을 흡수, 상쇄시켜 교량의 안전성을 높이는 교량 신축 이음장치에 설치되는 퇴적물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교량의 슬래브 사이로 빗물의 낙하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퇴적물 방지용 신축 받이부재를 재생 가능한 폐타이어를 이용해 시공하는 교량 신축이음부에 적용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은, 서로 이격된 각 슬래브의 내측 접면 하단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거치판; 전후 양단이 각각 상기 거치판에 결합하되, 하부로 볼록한 'U'자형 신축부를 가지며 폐타이어 소재로 이루어진 퇴적물 방지용 신축 받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 신축이음부에 적용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ECO-FRIENDLY SEDIMENT PREVEN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교량의 슬래브 사이의 거동을 효과적으로 수렴하여 상쇄시켜 활하중, 사하중, 토압 등과 같은 여러 하중과, 기후 변화, 오수, 염해 등의 기타 환경적 요인으로 인한 슬래브의 거동 응력으로 발생하는 교량의 물리적 변위 시 가해지는 응력을 흡수, 상쇄시켜 교량의 안전성을 높이는 교량 신축 이음장치에 설치되는 퇴적물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교량의 슬래브 사이로 빗물의 낙하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퇴적물 방지용 신축 받이부재를 재생 가능한 폐타이어를 이용해 시공하는 교량 신축이음부에 적용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개의 교각 위에 설치되며 비교적 길이가 긴 교량은 온도 변화에 따른 교량의 팽창 및 수축에 대응하며 활화중에 의한 진동에너지를 흡수, 상쇄시켜 교량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교량의 슬래브를 길이방향으로 복수개로 분할 시공하고, 분할된 슬래브 사이에는 신축 이음장치를 설치한다.
이러한 신축 이음장치는 교량의 거동, 주행 안정성, 내구성, 평탄성 및 수밀성 등을 고려하여 제작되어야 한다.
종래의 신축 이음장치는 분할된 교량의 상판부 슬래부 단부 양쪽 끝에 소정의 치수(대략 폭(W) 20~50cm, 깊이(T) 10cm ~ 30cm. 현상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로 현장의 길이만큼 치핑한 후, 교량 슬래브의 주철근과 신축 이음장치의 스터드 앵커를 용접한 다음 초속경 콘크리트를 포설하여 설치되며, 온도 변화나 구조물의 거동 등에 따라 신축 작용하는 상판과, 그 상판을 후타 콘크리트에 결속하여 고정시키는 스터드 앵커와, 스터드 앵커와 후타 콘크리트의 결속력 증대 및 후타 콘크리트의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 철근과, 양측 후타 콘크리트에 그 단부가 각각 고정되도록 설치된 우수, 오수, 염해 낙하 방지 및 이물질 수거용 고무 방수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우수 및 이물질 수거용 고무 방수부재는 퇴적물이 쌓여 찢어지거나 노후화로 인해 교량 하부로 퇴적물이 낙하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교체 시공이 필요한 바, 종래에는 기존에 설치된 신축 이음장치 전부를 탈거하여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하고 차량의 통행 방해 및 불필요한 추가 보수 공정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교체가 필요하지 않은 신축 이음장치를 탈거하지 않으면서, 교량의 하부에서 이물질 수거용 고무 방수부재만을 교환하는 방식을 갖는 퇴적물 방지 시스템의 개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교량 신축 이음장치를 탈거할 필요 없이, 교량의 하부에서 퇴적물 방지용 신축 받이부재만을 교체 시공 가능하게 하고, 특히 퇴적물 방지용 신축 받이부재를 재생 가능한 폐타이어를 활용해 제작함으로써 보수 작업 시 발생하는 비용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교량 신축이음부에 적용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은,
서로 이격된 각 슬래브의 내측 접면 하단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거치판;
전후 양단이 각각 상기 거치판에 결합하되, 하부로 볼록한 'U'자형 신축부를 가지며 폐타이어 소재로 이루어진 퇴적물 방지용 신축 받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에서,
상기 거치판은 상기 슬래브의 접면에 본딩 접착하여 결합되고,
상기 신축 받이부재는 상기 거치판에 볼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에서,
상기 각 슬래브의 내측 접면 상단부에 각각 결합하되, 내측면에 걸림홈을 구비한 결합판;
전, 후단이 상부로 볼록한 유사 'm'자형 신축부와, 상기 유사 'm'자형 신축부의 전후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는 걸림턱을 구비하고, 폐타이어 소재로 이루어진 신축 조인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의 시공 방법에서,
a) 서로 이격된 각 슬래브의 내측 접면 하단부에 금속 재질의 거치판을 각각 수직방향으로 결합하여 설치하는 단계;
b) 폐타이어 소재로 이루어진 신축 받이부재의 일측단을 일측의 거치판에 결합한 후, 상기 신축 받이부재를 하부로 볼록하게 구부려서 'U'자형 신축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신축 받이부재의 타측단을 타측의 거치판에 결합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에 적용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은,
교량 슬래브 사이 저면에 설치되어 우수 및 이물질 수거용 등으로 활용되는 퇴적물 방지용 신축 받이부재를 재생 가능한 폐타이어를 재활용해 제작하고, 교량의 보수 작업 시 신축 이음장치의 상부 부품들의 교체 없이 교량의 하부에서 바로 시공하여 과도한 비용 발생을 방지하면서 공기를 단축하면서, 차량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고 추가 보수 공정이 불필요하고,
이와 함께 필요에 따라 재생 가능한 폐타이어를 활용해 제작한 신축 조인트부재를 추가로 시공할 수 있으면서, 신축 조인트부재의 교체 작업을 빠르고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측면도.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사진도들.
도 9는 본 발명의 원복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와 측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게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에 적용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에 적용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신축이음부에 적용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은,
서로 이격된 각 슬래브(P)의 내측 접면 하단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거치판(10);
전후 양단이 각각 상기 거치판(10)에 결합하되, 하부로 볼록한 'U'자형 신축부(21)를 가지며 폐타이어 소재로 이루어진 퇴적물 방지용 신축 받이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맞물림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상판부 등 종래의 교량 신축 이음장치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구성 및 구조를 생략하였음을 밝힌다.
먼저 상기 거치판(10)은 금속 재질, 특히 스테인리스 스틸(STS) 재질로 이루어지며, 교량의 좌우 폭 너비에 상응하는 길이의 장방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거치판(10)은 상단 일부가 상기 슬래브(P)의 내측 접면에 결합되어 하단 일부가 슬래브(P)의 하부로 노출되는데, 이때 상기 거치판(10)은 상기 슬래브(P)의 접면에 본딩 접착하여 설치되며, 이때 사용되는 접착제(22)는 금속-콘트리트용 접착제가 사용된다.
상기 신축 받이부재(20)는 재생 가능한 폐타이어로 제작되는 것으로, 슬래브(P)의 좌우 폭 너비에 상응하는 길이의 장방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되되, 전후 폭 너비를 슬래브(P) 사이의 이격부 너비보다 더 넓게 제작하여, 신축 받이부재(20)의 전후 양단을 상기 거치판(10)에 결합하였을 때 고무 소재의 특성으로 인해 하부로 볼록한 단면 구조로 'U'자형 신축부(21)가 형성되면서, 내측 공간이 길이방향으로 퇴적물 방지 유로(20A)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신축 받이부재(20)는 전후 양단이 각 거치판(10)의 외면에 볼팅 결합되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축 받이부재(20)는 전후 양단 및 상기 거치판(10)에 서로 대응하는 구멍을 타공하여 볼트(23)를 끼워서 너트(미도시)를 체결하여 결합되며, 너트 체결을 위해 신축 받이부재(20)의 내측면에서 외측으로 상기 볼트(23)를 끼운 후 접착제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신축 받이부재(20)의 고무 특성을 감안하여 볼팅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신축 받이부재(20)의 외면에 금속 재질(STS)의 보강판(24)을 덧대어 상기 보강판(24)이 너트를 받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설치된 신축 받이부재(20)는 상기 'U'자형 신축부(21)의 전후 폭 너비 가변으로 슬래브(P)의 수평 변위에 맞춰 폭 너비 조절이 가능해지며, 슬래브(P) 사이로 침습하는 빗물 등의 퇴적물을 신축 받이부재(20)의 좌우 끝단 중 한 곳으로 안내하여 자연 배수되게 할 수 있다.
특히 신축 받이부재(20)를 고무로 신규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재생 가능한 폐타이어로 가공하여 제작함으로써, 교량의 보수 작업 시 발생하는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특히 교량의 하부에서 기존에 설치된 방수부재만을 탈거 후 본 발명을 시공함으로써, 비용 절감 및 공기 단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슬래브(P)의 내측 접면 상단부에 각각 결합하되, 내측면에 걸림홈(31)을 구비한 결합판(30);
전, 후단이 상부로 볼록한 유사 'm'자형 신축부(41)와, 상기 유사 'm'자형 신축부(41)의 전후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31)에 결합되는 걸림턱(42)을 구비한 폐타이어 소재로 이루어진 신축 조인트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판(30)은 교량의 좌우 폭 너비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슬래브(P)에 매설되는 철근에 연결되어 각 슬래브(P)의 접면부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결합판(30)은 내측면이 개구된 상기 걸림홈(3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신축 조인트부재(40)는 신축 가능한 고무 재질로 제작되는데, 신축 조인트부재(40) 역시 재생 가능한 폐타이어를 가공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신축 조인트부재(40)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전후로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m'자형 단면 구조를 가지며, 전후 끝단부에 각각 상기 걸림턱(42)이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신축 조인트부재(40)는 상기 신축 받이부재(20)의 상부면을 덮어서 빗물 및 이물질 수거용으로 일부 기능도 하지만, 보다 주된 기능은 슬래브(P) 사이를 서로 근접하게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에 상기 신축 조인트부재(40)는 상기 'm'자형 신축부(41)의 중앙 꼭짓점을 기점으로 전후로 수축 및 팽창하는 탄성력을 발생시켜, 온도 변화나 진동 등으로 인해 슬래브(P)의 수평변위가 발생할 경우 이를 소정의 압력으로 잡아주어 슬래브(P) 적정 너비로 서로 이격되어 연결 상태가 안전하게 유지되게 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의 시공 방법은,
a) 서로 이격된 각 슬래브(P)의 내측 접면 하단부에 금속 재질의 거치판(10)을 각각 수직방향으로 결합하여 설치하는 단계;
b) 폐타이어 소재로 이루어진 퇴적물 방지용 신축 받이부재(20)의 일측단을 일측의 거치판(10)에 결합한 후, 상기 신축 받이부재(20)를 하부로 볼록하게 구부려서 'U'자형 신축부(21)를 형성하면서 상기 신축 받이부재(20)의 타측단을 타측의 거치판(10)에 결합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신축 받이부재(20)의 교체 시공을 대표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a) 단계 이전에 기존에 설치된 방수부재를 해체 시공한 후, 각 슬래브(P)의 내측 접면을 고르게 깨끗이 하는 준비 작업이 실시된다.
이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슬래브(P)의 내측 접면 하단부에 접착제(14)를 도포한 후 준비된 거치판(10)의 상단 외면을 슬래브(P)에 본딩 접착하여 설치한다.
이때 상기 거치판(10)의 하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타공 및 볼트(23)의 장착이 완료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a) 단계는 상기 거치판(10)을 소정의 압력으로 슬래브(P)의 내측 접면에 밀착시켜 본딩 접착력을 높이는 경화 작업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경화 작업은 전후의 거치판(10) 사이에 설치되어 각 거치판(10)을 전후로 가압하는 가압부재가 사용되며,
도 5에서는 타이어 리프트와 유사한 다이아몬드 교차 구조로 전후 폭 너비가 가변되는 가압부재를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소정 시간동안 경화 작업이 경과되면 가압부재를 해체한다.
그리고 상기 b) 단계에서 폐타이어를 재생 가공하여 제작된 상기 신축 받이부재(20)를 전후의 거치판(10)에 설치한다.
상기 신축 받이부재(20)는 시공 설계에 맞춰 상기 볼트(23)가 끼워지는 구멍이 타공되어 있어, 상기 신축 받이부재(20)의 전후 일측단을 볼트(23)에 끼워서 너트 체결한 다음, 상기 신축 받이부재(20)를 구부려 전후 타측단을 볼트(23)에 끼워서 너트 체결함으로써, 상기 b) 단계가 완료된다.
이때 b) 단계에서 상기 너트의 체결 전에 신축 받이부재(20)의 전후 외면에 상기 보강판(24)을 추가로 덧대어 설치한 후 너트를 조여서 작업을 완료한다.
한편 상기 신축 조인트부재(40)의 교체가 함께 이루어질 경우, 상기 거치판(10) 및 신축 받이부재(20)의 설치 전 단계에서 상기 신축 조인트부재(4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걸림턱(42)을 상기 걸림홈(31)에 억지 끼움하여 설치하며, 앵커볼트(23)나 접착제 등으로 추가 마감 작업이 실시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축 받이부재(20)는 내부의 유로(20A)를 이용해 빗물 및 이물질 등의 퇴적물 방지용 배수로 기능을 하는 바, 상기 신축 받이부재(20)의 좌우 끝단 중 하나에는 배수구(미도시)가 연결되어 있다.
이에 상기 신축 받이부재(20)를 좌우 어느 일측에 구비된 배수구를 향해 하향 기울어지게 설치해야 배수 및 이물질 수거 기능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9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축 받이부재(20)의 하향 경사도 형성을 위한 미세 각도 조절수단(50)을 도입하였다.
상기 미세 각도 조절수단(50)은,
길이방향으로 상기 'U'자형 신축부(21)의 중앙을 가로질러 결합되고, 일측 끝단부에 고리부(511)를 구비한 들림바(51),
상기 고리부(511)를 경유하여 양 측단이 양측 거치판(10)을 관통하게 끼워져 상기 'U'자형 신축부(21)의 외면을 둘러싸면서 결속되는 승강 와이어(52)를 포함한다.
상기 들림바(51)는 금속 재질로써 상기 'U'자형 신축부(21)의 중앙 내면을 따라 본딩 접착하여 구비된다.
상기 고리부(511)는 상기 들림바(51)의 일측 끝단부에 구비되어 신축 받이부재(20)의 일측 단부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승강 와이어(52)는 금속 재질의 강선 와이어로써, 상기 고리부(511)에 끼워진 형태로 신축 받이부재(20)의 외면을 감싸면서 양단이 상기 거치판(10)에 타공된 구멍으로 끼워져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승강 와이어(52)는 승강 와이어(52)의 양단을 조여서 결속하는 조임부재(53)에 의해 연결된다.
이에 신축 받이부재(20) 설치 후, 상기 조임부재(53)를 조이면, 상기 승강 와이어(52)가 조여지면서 신축 받이부재(20)의 일측 단부가 들리게 되고,
이렇게 신축 받이부재(20)의 일측 단부가 들리면 상기 들림바(51)에 의해 신축 받이부재(20) 전체가 미세한 각도로 하향 기울어지게 조절된다.
이때 신축 받이부재(20)는 일측 단부가 탄성력에 의해 전후로 퍼지면서 들려서 경사도를 형성하게 되며, 이에 유로(20A) 상에 빗물이 낙하하면 중력 및 빗물의 무게로 인해 빗물이 신축 받이부재(2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된 배수구를 향해 흘러서 빗물 및 이물질이 자연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교량 신축이음부에 적용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거치판 20 : 신축 받이부재
30 : 결합판 40 : 신축 조인트부재
50 : 미세 각도 조절수단

Claims (4)

  1. 서로 이격된 각 슬래브(P)의 내측 접면 하단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거치판(10);
    전후 양단이 각각 상기 거치판(10)에 결합하되, 하부로 볼록한 'U'자형 신축부(21)를 가지며 폐타이어 소재로 이루어진 퇴적물 방지용 신축 받이부재(20); 및
    상기 신축 받이부재(20)의 하향 경사도 형성을 위한 미세 각도 조절수단(50)을 포함하되,
    상기 미세 각도 조절수단(50)은,
    길이방향으로 상기 'U'자형 신축부(21)의 중앙을 가로질러 결합되고, 일측 끝단부에 고리부(511)를 구비한 들림바(51),
    상기 고리부(511)를 경유하여 양 측단이 상기 'U'자형 신축부(21)의 외면을 둘러싸면서 양단이 상기 거치판(10)에 타공된 구멍으로 끼워져 결속되는 승강 와이어(52),
    상기 승강 와이어(52)의 양단을 조여서 결속하는 조임부재(53)를 포함하여,
    상기 조임부재(53)를 조이면, 상기 승강 와이어(52)가 조여지면서 신축 받이부재(20)의 일측 단부가 들리게 되고,
    상기 신축 받이부재(20)의 일측 단부가 들리면 상기 들림바(51)에 의해 신축 받이부재(20) 전체가 하향 기울어지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판(10)은 상기 슬래브(P)의 접면에 본딩 접착하여 결합되고,
    상기 신축 받이부재(20)는 상기 거치판(10)에 볼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슬래브(P)의 내측 접면 상단부에 각각 결합하되, 내측면에 걸림홈(31)을 구비한 결합판(30);
    전, 후단이 상부로 볼록한 유사 'm'자형 신축부(41)와, 상기 유사 'm'자형 신축부(41)의 전후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31)에 결합되는 걸림턱(42)을 구비한 폐타이어 소재로 이루어진 신축 조인트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
  4. a) 서로 이격된 각 슬래브(P)의 내측 접면 하단부에 금속 재질의 거치판(10)을 각각 수직방향으로 결합하여 설치하는 단계;
    b) 폐타이어 소재로 이루어진 신축 받이부재(20)의 일측단을 일측의 거치판(10)에 결합한 후, 상기 신축 받이부재(20)를 하부로 볼록하게 구부려서 'U'자형 신축부(21)를 형성하면서 상기 신축 받이부재(20)의 타측단을 타측의 거치판(10)에 결합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미세 각도 조절수단(50)을 이용해 상기 신축 받이부재(20)의 하향 경사도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미세 각도 조절수단(50)은,
    길이방향으로 상기 'U'자형 신축부(21)의 중앙을 가로질러 결합되고, 일측 끝단부에 고리부(511)를 구비한 들림바(51),
    상기 고리부(511)를 경유하여 양 측단이 상기 'U'자형 신축부(21)의 외면을 둘러싸면서 양단이 상기 거치판(10)에 타공된 구멍으로 끼워져 결속되는 승강 와이어(52),
    상기 승강 와이어(52)의 양단을 조여서 결속하는 조임부재(53)를 포함하여,
    상기 조임부재(53)를 조이면, 상기 승강 와이어(52)가 조여지면서 신축 받이부재(20)의 일측 단부가 들리게 되고,
    상기 신축 받이부재(20)의 일측 단부가 들리면 상기 들림바(51)에 의해 신축 받이부재(20) 전체가 하향 기울어지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의 시공 방법.
KR1020220090097A 2022-07-21 2022-07-21 교량 신축이음부에 적용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560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097A KR102560593B1 (ko) 2022-07-21 2022-07-21 교량 신축이음부에 적용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097A KR102560593B1 (ko) 2022-07-21 2022-07-21 교량 신축이음부에 적용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0593B1 true KR102560593B1 (ko) 2023-07-28

Family

ID=87427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097A KR102560593B1 (ko) 2022-07-21 2022-07-21 교량 신축이음부에 적용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59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373B1 (ko) * 2005-04-27 2006-03-10 주식회사 탑스코 교량의 신축이음 장치
KR101223293B1 (ko) * 2012-10-29 2013-01-16 박용규 하수관로 퇴적토 준설공법 및 준설장치
KR20170082318A (ko) * 2016-01-06 2017-07-14 이원숙 탄성복원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180121819A (ko) * 2017-05-01 2018-11-09 김창겸 횡단 레벨차 슬래브용 코너레벨강절재 및 이를 이용한 봉함재 설치공법
KR101997049B1 (ko) * 2018-10-30 2019-10-01 김상운 교량용 배수 시스템
KR20210112038A (ko) * 2020-03-04 2021-09-14 주식회사 브리오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373B1 (ko) * 2005-04-27 2006-03-10 주식회사 탑스코 교량의 신축이음 장치
KR101223293B1 (ko) * 2012-10-29 2013-01-16 박용규 하수관로 퇴적토 준설공법 및 준설장치
KR20170082318A (ko) * 2016-01-06 2017-07-14 이원숙 탄성복원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180121819A (ko) * 2017-05-01 2018-11-09 김창겸 횡단 레벨차 슬래브용 코너레벨강절재 및 이를 이용한 봉함재 설치공법
KR101997049B1 (ko) * 2018-10-30 2019-10-01 김상운 교량용 배수 시스템
KR20210112038A (ko) * 2020-03-04 2021-09-14 주식회사 브리오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7608B1 (ko) 교각 코핑상면에 블럭아웃을 실시하여 매립한 중공형 철제파이프와 일체로 형성하여 지지력을 갖는 고장력 강봉과조립식 철제 브라켓을 이용한 교량 슬라브 인상공법
KR100566665B1 (ko) 교량 상부구조물 보수용 가시설
KR100988074B1 (ko) 교대 벽체와 일체화 시공되는 피에스씨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KR102560593B1 (ko) 교량 신축이음부에 적용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퇴적물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690395B1 (ko)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의 연속화 방법
KR20180036815A (ko) 유지관리가 용이한 누수방지겸용 교량신축 이음장치의 시공방법
KR101596689B1 (ko) 고탄성 실런트를 이용한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506118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 및 보수방법
KR100992870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109816B1 (ko) 교량용 베어링 교체 방법 및 베어링 구조물
KR20070000971A (ko) 신축이음장치의 고무씰 보호부재
KR200384805Y1 (ko)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의 연속화 구조
KR100870085B1 (ko)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KR100519931B1 (ko) 혼성 신축이음구조
KR100622008B1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합성구조
CN210288098U (zh) 桥梁伸缩缝防尘装置及其防尘减震装置
CN113293698A (zh) 一种公路桥梁多缝伸缩装置及其安装方法
JP2861219B2 (ja) 橋梁補修用鋼床版とその取付方法
KR100742234B1 (ko) 골판형 합성상판과 이를 이용한 소하천의 교량가설 방법
KR101048422B1 (ko) 신축이음장치
CN211947937U (zh) 伸缩缝装置
KR200341968Y1 (ko) 혼성 신축이음구조
CN217629394U (zh) 一种公路桥梁的快装式伸缩装置
CN218090341U (zh) 一种装配式路面系统
KR19990009086A (ko) 기존의 교량 상부구조물을 이용한 교량의 개보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