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272B1 - 김 1차가공 유닛의 탈수단계에 사용되는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김 1차가공 유닛의 탈수단계에 사용되는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272B1
KR101222272B1 KR1020117000145A KR20117000145A KR101222272B1 KR 101222272 B1 KR101222272 B1 KR 101222272B1 KR 1020117000145 A KR1020117000145 A KR 1020117000145A KR 20117000145 A KR20117000145 A KR 20117000145A KR 101222272 B1 KR101222272 B1 KR 101222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watering
dehydration
pressing spring
link rod
tim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0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5681A (ko
Inventor
싱안 왕
Original Assignee
싱안 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08101193646A external-priority patent/CN101664224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0910076524A external-priority patent/CN101715803B/zh
Application filed by 싱안 왕 filed Critical 싱안 왕
Publication of KR20110015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0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Abstract

본 발명은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상부 탈수빔, 하부 탈수빔, 및 상부 탈수빔과 하부 탈수빔을 대향 또는 배향하는 방향에 따라 운동하게 하는 것에 사용되는 전동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기구는 링크로드를 포함한다. 탈수장치는 지지구, 로크 조정부재 및 상부 탈수빔 위치제한부재를 더 포함하고 지지구는 상부 탈수빔의 단부에 설치되는 한편 통공을 가지며 링크로드의 제1 단은 이 지지구의 통공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한편 일정한 범위내에서 이 지지구의 통공내를 이동하며 로크 조정부재는 링크로드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장치는 탈수시간연장부재를 더 포함해도 되며 탈수시간연장부재는 누름 스프링 어셈블리여도 된다. 본 발명의 탈수장치는 탈수시간을 연장할 수 있으며 김 초제공정에서의 뜬 김내에 생성되는 수분을 최대한으로 짜내며 뜬 김의 건조시간을 단축하므로 에너지 절약 및 소모저감의 기술효과를 실현한다.

Description

김 1차가공 유닛의 탈수단계에 사용되는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A LAVER DEHYDRATING DEVICE}
본 발명은 김가공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김 1차가공 유닛의 탈수단계에 사용되는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수장치는 압착탈수시간을 연장할 수 있으며 김 초제공정에서의 뜬 김내에 생성되는 수분을 최대한으로 짜내며 뜬 김의 건조시간을 단축하므로 에너지 절약 및 소모저감의 기술효과를 실현한다.
일반적으로 김 1차가공의 제조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서브 프로세는 다음과 같다.
원초 채취→(이물질 수작업제거)→원초 세정→이물질 자동제거→탈수후 세절→혼합세정후 탈수→김, 물 비례혼합(농도 초보적 조정)→농도 정밀조정→메인 유닛의 메인 프로세스.
메인 유닛의 메인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발장 세정)→김을 초제(김 뜨기)→뜬 김2단 탈수→건조·성형→종이형상 김 사전박리→종이형상 김 박리 및 김 송출→결속, 등급설정, 재건조, 포장.
뜬 김탈수장치는 김 1차가공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중요한 부분의 하나이며, 탈수효과는 유닛의 에너지 소모지표의 고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되므로 뜬 김탈수장치는 전자동 1차 가공 유닛의 중요한 구성부재의 하나이다.
아래, 도1a 및 1b에 근거하여 종래의 뜬 김탈수장치의 구성 및 작동 원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종래의 뜬 김탈수장치의 기본 구성
도1a 및 도1b는 종래의 뜬 김탈수장치의 기본 구성을 표시한다. 그 중, 도1a는 종래의 뜬 김탈수장치의 구조약도이며 도1a에 있어서 뜬 김탈수장치의 탈수 스펀지는 개방상태에 있지만 도1b에 있어서 뜬 김탈수장치의 탈수 스펀지는 폐합상태에 있다. 도1a 및 도1b에 있어서, 부호 1은 상부 탈수빔을, 부호 2는 상부 탈수 스펀지를, 부호 3은 하부 탈수 스펀지를, 부호 4는 하부 탈수빔을, 부호 5는 프레임의 측판을, 부호 6은 발장틀을, 부호 7은 너클베어링을, 부호 8은 텐션바를, 부호 9는 작용 베어링을, 부호 10은 편심륜축을, 부호 11은 편심캠을 각각 표시한다.
2. 종래의 탈수장치의 작동 원리
여기에서 설명 해야 할것은, 간단하고 명료하게 하기 위해 도1a 및 도1b에서는 탈수 부위의 구조를 반만 표시하고 있다. 도1a 및 도1b에 있어서,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하나의 프레임측판(5)이 설치되어 있으며 프레임에는 상부 탈수빔(1) 및 하부 탈수빔(4)이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의 하부에는 편심캠(11)이 설치되어 있고 이 편심캠은 전동기구(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며 이 편심캠(11)에는 하나의 편심륜축(10)이 설치되어 있다. 하부 탈수빔(4)의 저부에는 리프팅 러그가 설치되어 있고 이 리프팅 러그에는 작용 베어링(9)이 설치되어 있으며 편심캠(11)이 구동 시 작용 베어링(9)은 회전하고 있는 편심캠(11)에 구동되어 상하 방향에 따라서 이동한다. 상부 탈수빔(1)의 측판에는 너클베어링(7)이 설치되어 있으며 너클베어링(7)은 예를 들면 나합에 의해 텐션바(8)와 고정연결될 수 있으며 텐션바(8)의 타단에는 예를 들면 나합에 의해 너클베어링이 고정연결되어도 된다. 이 너클베어링은 편심캠(11)상의 편심륜축(10)과 상호 연접된다. 편심캠(11)이 전동기구의 구동에 의해 회전운동을 할 때 편심캠(11)은 그 위의 편심륜축(10)을 연동하여 회동시키며 편심륜축(10)은 너클베어링(7) 및 텐션바(8)에 의해 상부 탈수빔(1)을 연동하여 상하 방향에 따라서 운동하게 한다.
또한, 상부 탈수빔(1)에는 상부 탈수 스펀지(2)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 탈수빔(4)에는 하부 탈수 스펀지(3)가 설치되어 있다. 발장틀(6)이 상, 하빔의 정대면 위치까지 운동했을 때 상, 하부 탈수 스펀지는 뜬 김에 대해 압착탈수를 행한다. 발장틀(6)의 운동방식은 간헐식 스테핑 운동이며 탈수 스펀지(2, 3)가 분리되었을 때, 발장틀은 하나의 워킹 포지션을 운동하며 그리고 탈수를 1회 행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아래, 종래의 뜬 김탈수장치의 조작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편심캠(11)이 전동기구의 구동에 의해 회전 시, 편심캠(11)에 설치된 편심륜축(10)은 편심캠(11)의 회동에 따라서 회전하며 편심륜축(10)이 상사점까지 회전했을 때 도1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것에는 하향 운동의 경향이 있다. 이 때, 상부 탈수빔(1)은 최고 위치에 위치하며 편심륜축(10)이 계속하여 회전할 때 편심륜축(10)은 작용 베어링(9), 텐션바(8) 및 너클베어링(7)에 의해 상부 탈수빔(1)을 연동하여 하향 운동을 하게 한다. 동시에, 편심캠(11)의 회전 과정에 있어서 편심캠은 하부 탈수빔(4)에 설치된 작용 베어링(9)에 의해 하부 탈수빔(4)을 연동하여 상승 운동을 하게 한다. 이것으로 상하부 탈수빔의 대향 운동을 실현한다. 상부 탈수빔(1)의 저부에 설치된 탈수 스펀지와 발장틀(6)상의 발장이 접합될 때 하부 탈수빔(4)의 정상에 설치되어 있는 탈수 스펀지도 발장의 하표면과 접합되며 이 때 도1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 탈수빔은 발장상의 뜬 김에 대해 압착을 행하며 뜬 김내의 수분을 짜낸다. 이와 같이 상하 빔의 대향 압착 또는 상호 압합에 의해 뜬 김내의 수분을 배출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알수 있듯이 종래의 뜬 김탈수장치는 캠+링크로드로 직접 구동하는 상하 빔이 상호 압합하는 방식의 구조 패턴을 채용하고 있으며 탈수시간과 유닛의 운행속도는 하나의 불변의 비례관계를 유지한다. 단 이러한 탈수시간과 유닛의 운행속도간의 불변의 비례관계는 상이한 김품질이나 상이한 김 초제작동조건의 탈수량에 대한 수요에 적합하지 않다. 그러므로 필연적으로 탈수를 다하지 못하고 건조 에너지 소모가 증가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탈수시간조정가능한 자중 탈수시간연장식 뜬 김탈수장치를 개발하는 것은 아주 필요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뜬 김탈수장치의 탈수시간이 불변(운행속도가 불변 시)인 것을 감안하여 탈수시간연장기능이 있는 탈수장치 또는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를 제안한다. 소위 <탈수시간연장식>이란 주로 뜬 김의 탈수시간을 연장함과 동시에 뜬 김의 압착탈수시간에 대해 유효한 제어를 행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는 일정한 정도로 뜬 김의 탈수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한편 탈수시간에 대해 유효한 제어를 행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으며 상이한 김품질이나 상이한 김 초제작동조건의 탈수량에 대한 상이한 수요에 적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뜬 김의 수분의 탈수율을 향상시키고 뜬 김의 건조시간을 단축하며 에너지 절약·소모 저감 및 작동 효율향상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은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상부 탈수빔, 하부 탈수빔, 및 상부 탈수빔과 하부 탈수빔을 대향 또는 배향하는 방향에 따라 운동하게 하는 것에 사용되는 전동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기구는 링크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탈수장치는 지지구, 로크 조정부재 및 상부 탈수빔 위치제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구는 상기 상부 탈수빔의 단부에 설치되는 한편 통공을 가지며 상기 링크로드의 제1 단부는 상기 지지구의 통공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한편 일정한 범위내에서 상기 지지구의 통공내를 이동하며 상기 로크 조정부재는 상기 링크로드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에서는, 상기 전동기구는 편심캠 및 상기 편심캠에 설치된 편심륜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링크로드의 제2단은 너클베어링을 개재하여 상기 편심캠상의 편심륜축과 상호 연접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에서는, 상기 편심캠은 상기 하부 탈수빔에 설치된 작용 베어링과 상호 작용하며 작용 베어링을 개재하여 동력을 하부 탈수빔에 전달할 수 있는 것으로 하부 탈수빔을 상기 편심캠에 구동되어 상하 방향에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에서는, 상기 상부 탈수빔 위치제한부재는 상기 하부 탈수빔에 또는 상기 측판에 설치된 조절가능형 위치제한볼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에서는, 상기 로크 조정부재는 로크 조정 너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에서는, 상부 탈수빔 및/또는 하부 탈수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부 탈수빔 및/또는 하부 탈수빔을 안내하여 상호 대향 또는 배향하는 방향에 따라 이동시키는 것에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에서는, 상기 가이드부재는 가이드바 및 가이드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프레임의 측판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베어링은 상기 상부 탈수빔 및/또는 하부 탈수빔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베어링은 상기 가이드바와 상호 작용하는 한편 상기 가이드바에 따라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에서는, 상기 지지구의 통공내에 설치된 구면 너클베어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면 너클베어링은 내공을 가지며 상기 구면 너클베어링은 상기 내공에 의해 상기 링크로드의 상기 제 1 단부에 감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에서는, 상기 구면 너클베어링은 압판, 탄성 와셔 또는 스냅링을 개재하여 상기 지지구의 통공내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에서는, 버팀 부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버팀 부시는 상기 로크 조정부재와 상기 구면 너클베어링 사이에 위치하는 한편 상기 링크로드에 감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에서는, 상기 링크로드의 제1 단부에는 보호 커버 또는 부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호 커버 또는 부시는 상기 링크로드의 제1 단부의 외주면과 상기 구면 너클베어링의 내공 주벽 사이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에서는, 상기 탈수장치는 상기 링크로드에 연결된 탈수시간연장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에서는, 작용 와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와셔는 상기 링크로드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로크 조정부재의 윗쪽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에서는, 상기 탈수시간연장부재는 누름 스프링 어셈블리이며 상기 누름 스프링 어셈블리는 누름 스프링, 상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는 상기 링크로드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 스프링은 상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와 상기 지지구 사이에 설치되어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에서는, 상기 누름 스프링 어셈블리는 하부 스프링 스탠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는 상기 지지구와 고정연결 또는 일체로 제조되며 상기 누름 스프링은 상기 상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와 상기 하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 사이에 설치되어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에서는, 상기 하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는 상기 지지구와 고정연결 또는 일체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에서는, 상기 하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는 상기 링크로드의 제1단에 설치된 상기 보호 커버와 고정연결 또는 일체로 제조되며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링크로드의 제1 단부의 외주면과 상기 구면 너클베어링의 내공 주벽 사이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에서는, 상기 상하부 탈수빔에는 각각 탈수 스펀지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에서는, 상기 지지구는 상기 상부 탈수빔과 일체로 제조되거나 용접에 의해 또는 연결구에 의해 분해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는, 상부 탈수빔의 상하 방향의 불완전한 구속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종래의 완전한 구속 어셈블리를 교체하는 것으로 압착탈수 과정에서 여유 스트로크를 발생시키므로써 압착탈수시간을 연장하며 김 초제공정에서 뜬 김내에 생성되는 수분을 최대한으로 짜내며 뜬 김의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약 및 소모저감의 기술효과를 실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는 조절가능한 부재를 채용하기 때문에 탈수강도와 탈수시간에 대해 함께 조절을 행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탈수장치의 적용범위는 더 넓어진다. 또한, 가이드부재를 증설하기 때문에 탈수빔의 이동저항이 대폭 감소하며 따라서 동력소모를 저감할 수 있어 생산코스트와 에너지 소모를 저감하는데 있어서 유리한 것이다.
도1a는 종래의 뜬 김탈수장치의 구조약도이며, 도에서는 상부 탈수빔의 탈수 스펀지와 하부 탈수빔의 탈수 스펀지가 상호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도1b는 종래의 뜬 김탈수장치의 구조약도이며, 도에서는 상부 탈수빔의 탈수 스펀지와 하부 탈수빔의 탈수 스펀지가 상호 첩부되는 것으로 뜬 김내의 수분을 짜내기 시작하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도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뜬 김탈수장치의 구조약도이며, 도에서는 상부 탈수빔의 탈수 스펀지와 하부 탈수빔의 탈수 스펀지가 상호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도 2a'는 도2a의 측면도이며, 상하부 탈수빔의 단부 방향에서 본 투영도이기도 하다.
도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뜬 김탈수장치의 구조약도이며, 도에서는 상부 탈수빔의 탈수 스펀지와 하부 탈수빔의 탈수 스펀지가 대향 이동하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도2b'는 도2b의 측면도이다.
도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뜬 김탈수장치의 구조약도이며, 도에서는 상부 탈수빔의 탈수 스펀지와 하부 탈수빔의 탈수 스펀지가 대향 이동에 의해 상호 첩부되는 것으로 뜬 김내의 수분을 짜내기 시작하는 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도2c'는 도2c의 측면도이다.
도3는 도2a 중 I부분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4는 2a 중 II부분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5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뜬 김탈수장치의 구조약도이며, 도에서는 상부 탈수빔의 탈수 스펀지와 하부 탈수빔의 탈수 스펀지가 상호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도5a'는 도5a의 측면도이며, 상하부 탈수빔의 단부 방향에서 본 투영도이기도 하다.
도5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뜬 김탈수장치의 구조약도이며, 도에서는 상부 탈수빔의 탈수 스펀지와 하부 탈수빔의 탈수 스펀지가 대향 이동하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도5b'는 도5b의 측면도이다.
도5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뜬 김탈수장치의 구조약도이며, 도에서는 상부 탈수빔의 탈수 스펀지와 하부 탈수빔의 탈수 스펀지가 대향 이동에 의해 상호 첩부되는 것으로 뜬 김내의 수분을 짜내기 시작하는 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도5c'는 도5c의 측면도이다.
도6은 도5a 중 I부분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7은 도5a 중 II부분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8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뜬 김탈수장치의 구조약도이며, 도에서는 상부 탈수빔의 탈수 스펀지와 하부 탈수빔의 탈수 스펀지가 상호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도8a'는 도8a의 측면도이며, 상하부 탈수빔의 단부 방향에서 본 투영도이기도 하다.
도8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뜬 김탈수장치의 구조약도이며, 도에서는 상부 탈수빔의 탈수 스펀지와 하부 탈수빔의 탈수 스펀지가 대향 이동하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도8b'는 도8b의 측면도이다.
도8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뜬 김탈수장치의 구조약도이며, 도에서는 상부 탈수빔의 탈수 스펀지와 하부 탈수빔의 탈수 스펀지가 대향 이동에 의해 상호 첩부되는 것으로 뜬 김내의 수분을 짜내기 시작하는 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도8c'는 도8c의 측면도이다.
도9는 도8a 중 I 부분의 일부 확대도이다.
<제1 실시예>
도2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도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탈수시간연장식 뜬 김탈수장치는 불완전한 구속 어셈블리로 완전한 구속 어셈블리를 교체하는 것으로 탈수작동에서 여유 스트로크가 생김과 동시에 상부 탈수빔의 자중을 이용하여 스펀지를 압착하여 탈수시킨다. 그러므로 탈수시간을 연장시키며 김 초제공정에서 뜬 김내에 생성되는 수분을 최대한으로 짜내며 뜬 김의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약 및 소모저감의 기술효과를 달성한다. 이 실시예의 장치는 종래의 탈수장치의 상호 구속관계를 바꾸고 있다. 즉 원 텐션바(8)의 상단에 위치하는 스템베어링(7)을 생략하고 상단 외연이 매끄러운 링크로드(16)로 원 텐션바(8)을 교체하며 상부 탈수빔(1)의 단부에 지지구 또는 베어링 스탠드(12)를 증설하며 지지구 또는 베어링 스탠드(12) 내에는 구면 너클베어링(13)이 끼워져 있고 링크로드(16)의 상단 또는 제1단은 구면 너클베어링(13)의 내공을 빠져나가며 링크로드(16)의 하단 또는 제2단은 예를 들면 너클베어링을 개재하여 편심캠(11)의 편심륜축(10)과 상호 연접되는 것이 가능하며 편심캠(10)은 프레임에 설치된 전동축(도시하지 않음)과 상호 연접된다. 편심륜축(10)은 편심캠(11)에 설치되는 한편 편심캠(11)과 일체로 또는 별체로 제조할 수 있다. 하부 탈수빔(4)의 저부에는 리프팅 러그가 설치되어 있으며 리프팅 러그에는 작용 베어링(9)이 설치되어 있다. 편심캠(11)이 구동되었을 때 작용 베어링(9)은 회전하고 있는 편심캠(11)의 떠밀어 올림 작용에 의해 상하 방향에 따라서 이동된다. 동시에, 편심캠의 편심륜축(10)은 편심캠의 회동에 따라서 회전하는 것으로 링크로드(16)을 연동하여 상하 이동시킨다. 로크너트(15)는 링크로드(16)에 설치되는 한편 구면 너클베어링(13)의 하부에 위치한다. 구면 너클베어링(13)과 로크너트(15) 사이에는 버팀 부시(14)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버팀 부시(14)는 링크로드(16)에 감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링크로드(16)가 하부의 편심륜축(10)에 구동되어 아래로 이동될 때 링크로드(16)는 구면 너클베어링(13)의 공내를 접동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링크로드(16)가 위로 이동될 때 로크너트(15)는 버팀 부시(14), 구면 너클베어링(13), 지지구(12)를 개재하여 상부 탈수빔(1)을 떠밀리워 올라가는 동작을 하게 한다. 또한, 로크너트(15)의 링크로드(16)상의 상하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 탈수시간조절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아래, 도2a~도4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의 제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2a, 도2a´, 도2b, 도2b´, 도2c, 도2c´, 도3 및 도4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뜬 김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는 주로 상부 탈수빔(1), 하부 탈수빔(4), 구면 너클베어링(13), 링크로드(16), 편심륜축(10), 편심캠(11)을 포함하며 그 중 상하부 탈수빔(1, 4)은 프레임에 설치되며 작동할 경우 이들은 상하 방향에 따라 대향 또는 배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부 탈수빔(1)상에는 상부 탈수 스펀지(2)가 설치되어 있고 하부 탈수빔(4)에는 하부 탈수 스펀지(3)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탈수빔(1)의 단부에는 지지구 또는 베어링 스탠드(12)가 증설되어 있으며 베어링 스탠드(12)내에는 구면 너클베어링(13)이 끼워져 있다. 너클베어링(13)은 예를 들면 탄성 와셔 또는 스냅링을 개재하여 베어링 스탠드(12) 내에 유지되며 링크로드(16)의 상단 또는 제1단은 구면 너클베어링(13)의 내공을 빠져 나가며 링크로드(16)상의 구면 너클베어링(13)의 하부에 위치하여 로크너트(15)가 설치되어 있고 구면 너클베어링(13)과 로크너트(15) 사이에는 버팀 부시(14)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링크로드(16)가 하부의 편심륜축(10)에 구동되어 아래로 이동될 때 링크로드(16)는 구면 너클베어링(13)의 공내를 접동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링크로드(16)가 위로 이동될 때 로크너트(15)는 버팀 부시(14), 구면 너클베어링(13), 지지구(12)를 개재하여 상부 탈수빔(1)을 떠밀리워 올라가는 동작을 하게 한다. 또한, 상하부 탈수빔(1, 4)의 상하 방향에 따라서 이동할 때의 안정성과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뜬 김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는 상부 탈수빔(1)과 하부 탈수빔(4)에 가이드 베어링(19, 20)을 더 증설하고 있다. 가이드 베어링(19, 20)은 프레임측판(5)에 설치된 가이드바(18)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위치제한 및 가이드의 역할을 하며 상하부 탈수빔은 상하 운동밖에 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 베어링(19, 20)의 회전에 의해 상하부 탈수빔의 운행저항을 감소할 수 있고 부재간의 마모를 감소할 수 있으며 동력소모를 저감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 해야 할것은, 가이드 베어링은 조합해 사용해도 되고 단독으로 사용해도 된다. 즉 가이드 베어링(19)만을 설치해도 되고 가이드 베어링(20)만을 설치해도 된다. 그리고 가이드 베어링(19) 또는 (20)은 그 중의 하나의 탈수빔에게만 설치되어도 되며 예를 들면 상부 탈수빔에만 가이드 베어링(19) 또는 (20)을 설치하거나 하부 탈수빔에만 가이드 베어링(19) 또는 (20)을 설치한다. 또한, 하부 탈수빔(4)에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제한볼트(17)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상부 탈수빔(1)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에 사용된다. 당연히 위치제한볼트는 그 외의 위치제한부재로 교체해도 되고 실제상의 수요 및 구체적인 응용조건에 근거하여 위치제한부재의 형상, 사이즈, 구조 및 위치를 조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이것을 측판에 설치해도 된다.
본장치는 불완전한 구속 어셈블리로 완전한 구속 어셈블리를 대체하는 것으로 탈수과정에서 여유 스트로크가 발생하며 따라서 탈수시간을 연장하는 목적을 실현한다. 아래, 당해 장치의 작동원리 및 조작과정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편심륜축(10)이 상사점까지 회전했을 때 도2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것에는 하향 운동의 경향이 있다. 이 때, 편심륜축(10)은 링크로드(16)를 연동하여 하향 운동을 하게 하지만 상부 탈수빔(1)은 자중작용에 의해 링크로드(16)의 하강에 따라 내리누르는 운동을 한다. 동시에, 편심캠(11)은 작용 베어링(9)을 떠밀어 올리는 것으로 하부 탈수빔(4)를 연동하여 위로 이동하게 한다. 이에 의해 상하부 탈수빔(1, 4)은 도2b에 표시한 바와 같이 대향 이동한다. 상하부 탈수 스펀지(2, 3)가 상호 접합하는 위치까지 상, 하부 탈수빔(1, 4)이 대향 이동했을 때 상부 탈수빔(1)은 자중에 의해 상, 하부 탈수 스펀지(2, 3)에 대해 압착을 행하며 탈수 스펀지를 수축 상태로 하므로써 상하부 탈수 스펀지간에 있는 뜬 김에 대해서 압착탈수를 행한다. 상부 탈수빔(1)의 저부가 운동하여 위치제한볼트(17)와 접합하면 상부 탈수빔(1)은 이동을 정지하지만 이 때 링크로드(16)는 편심캠(11)의 편심륜축(10)이 하사점에 이르기까지 계속하여 아래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링크로드(16)의 상부외연은 구면 너클베어링(13)의 내공을 접동하며 버팀 부시(14)가 구면 너클베어링(13)으로부터 점차 떨어지는 것으로 거리 즉 여유 스트로크가 발생한다. 편심캠(11)이 계속하여 회전할 때 링크로드(16)는 들려 올라가기 시작하지만 이 때 상부 탈수빔(1)은 즉시 들려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버팀 부시(14)가 상향 운동하여 구면 너클베어링(13)의 하평면과 상호 접촉하게 되어서 처음으로 상부 탈수빔(1)은 베어링 스탠드(12)의 들어 올림에 의해 들려 올라가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상부 탈수빔(1)의 저면이 위치제한볼트(17)와 접촉, 유지되어서부터 이탈할 때까지의 과정에서 본장치는 줄곧 탈수 상태에 있으며 이에 의해 유효한 탈수시간을 연장한다.
하부 탈수빔(4)의 동작방식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고 하부 탈수빔(4)의 들려 올라가는 동작은 편심캠(11)에 의해 구동되는 한편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복귀한다. 여기에서는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탈수강도와 탈수시간 길이는 위치제한볼트(17)의 높이와 로크너트(15)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 실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탈수빔(4)에 고정된 위치제한볼트(17)의 높이는 조절가능하고 위치제한볼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스펀지의 압축량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탈수강도의 크기를 제어가능하다. 링크로드(16)에 고정된 로크너트(15)의 위치도 조정가능하다. 로크너트(15)의 고저 위치를 조정하는 것으로 상부 탈수빔(1)이 떠밀려 올라가는 타이밍을 변경할 수 있다. 윗쪽으로 조절하면 상부 탈수빔(1)은 빠르게 들려 올라가기 때문에 탈수시간이 단축되며 아래쪽으로 조절하면 상부 탈수빔(1)은 지연하여 들려 올라가기 때문에 탈수시간이 연장된다. 이에 의해 탈수시간에 대한 제어를 실현한다.
링크로드(16)가 편심륜축(10)에 구동되어 상하 운동을 할 때 링크로드(16)는 또한 편심륜축(10) 주위를 회전접동하며 구면 너클베어링(13)의 너클도 링크로드(16)에 구동되어 형상에 따른 회동을 함과 동시에 링크로드는 구면 너클베어링(13)의 내공을 접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링크로드(16)가 구면 너클베어링(13)의 내공을 이동하려고 하기 때문에 조작과정에서 링크로드(16)와 베어링 13의 내공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 링크로드(16)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링크로드(16) 외부의 구면 너클베어링(13)의 내공과 상호 작용하는 부분에 하나의 부시 또는 보호 커버(예를 들면, 동커버) 혹은 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바형상의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해도 된다.
여기에서 설명 해야 할것은, 실제의 응용조건에 근거하여 구면 베어링(13)을 생략하고 베어링 스탠드만을 보류해도 된다. 베어링 스탠드 내공의 사이즈가 버팀 부시(14)와 정합하여 링크로드(16)의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만 하면 되지만 이러한 정황에서는 베어링 스탠드내에는 구면 베어링을 이미 재차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그 작용은 단지 가동 커버가 링크로드에 설치되는 한편 링크로드와 상부 탈수빔을 가동연결하는 것에 사용되는 지지구에 상당할 뿐이다. 또한, 버팀 부시(14)를 생략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 때, 베어링 스탠드(또는 지지구)의 내공의 사이즈가 로크너트(15)와 정합하여 링크로드의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만 하면 된다.
또한, 상부 탈수빔(1)의 단부의 지지구 또는 베어링 스탠드(12)는 상부 탈수빔과 일체로 제조해도 되고 용접, 리벳체결 등의 고정연결방식 및 나사연결, 볼트 등의 해체가능한 방식에 의해 상부 탈수빔(1)의 단부에 연결해도 된다.
또한, 상부 탈수빔(1)의 자신의 중량이 부족할 경우 상부 탈수빔(1)상에 추나 웨이트를 증설하는 것으로 상부 탈수빔의 중량을 늘리며 이에 의해 필요한 물짜냄과 탈수의 능력을 갖게 된다.
<제2실시예>
도5a~도7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도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탈수시간연장식 뜬 김탈수장치는 불완전한 구속 어셈블리로 완전한 구속 어셈블리를 교체하는 한편 탈수시간연장부재를 이용하여 탈수동작의 여유 스트로크를 발생하게 하는 것으로 뜬 김의 탈수시간을 연장하며 탈수시간에 대해 적합하고 유효한 제어를 행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탈수장치를 기본으로 탈수시간연장부재를 더 증설한다. 그 중 탈수시간연장부재는 누름 스프링 어셈블리이며 이 누름 스프링 어셈블리는 주로 누름 스프링(212), 상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213´), 하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213)을 포함하며 상하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는 누름 스프링(212)에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하부 탈수빔(1, 4)의 상하 방향에 따라 이동할 때의 안정성과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당해 장치는 가이드부재를 더 증설하고 있으며 가이드부재는 주로 상, 하부 탈수빔 가이드바(217), 가이드 베어링(218, 219)을 포함한다. 또한, 하부 스프링 스탠드(213)에 충분한 지지강도를 갖게하기 위해 상부 탈수빔(1)에 하나의 브래킷 또는 지지구(220)를 고정설치해도 된다. 누름 스프링 스탠드(213)는 이 브래킷(220)에 고정설치되어도 되고 이에 의해 하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213)는 한층 안정되어 동작할 수 있다. 당연히 이 브래킷은 선택가능한 배치에 속하기 때문에 누름 스프링 스탠드(213)가 안정되어 동작할 수 있는 전제하에서는 이 브래킷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탈수시간에 대해서 제어를 행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뜬 김탈수장치는 링크로드(208)에 로크너트(215)를 더 증설하고 있으며 로크너트(215)는 로크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탈수시간을 조절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뜬 김탈수장치는 하부 스프링 스탠드(213)와 로크너트(215) 사이에 하나의 좌금 또는 와셔를 더 설치하고 있다.
아래, 도5a~도7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뜬 김탈수장치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5a~도5c, 도6및 도7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뜬 김탈수장치는 주로 상부 탈수빔(1), 하부 탈수빔(4), 탈수시간연장부재, 링크로드(208), 편심륜축(210), 편심캠(211)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탈수시간연장부재는 누름 스프링 어셈블리이며 그 중 상하 탈수빔(1, 4)은 프레임에 설치되며 작동 시 이들은 상하 방향에 따라 대향 또는 배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부 탈수빔(1)상에는 상부 탈수 스펀지(2)가 설치되어 있고 하부 탈수빔(4)에는 하부 탈수 스펀지(3)가 설치되어 있다. 누름 스프링 어셈블리는 주로 작용 스프링 또는 누름 스프링(212), 상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213´), 하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213)를 포함하며 하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213)는 상부 탈수빔(1)에 장착되고 상하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213´, 213)에는 각각 하나의 통공이 설치되어 있어 링크로드(208)가 그 중을 관통하는 것을 허용한다. 작용 스프링 또는 누름 스프링(212)은 링크로드(208)에 감장되는 한편 상하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213´, 213)에 지지된다. (208)의 상단부에는 상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와 상호 작용하는 로크너트(215´)가 감장되어 있고 누름 스프링 스탠드(213´)의 하부에는 와셔(214)가 설치되어 있다. 와셔(214)의 하부에는 로크너트(215)가 설치되어 있으며 로크너트(215´, 215)를 이용하여 누름 스프링을 링크로드(208)에 유지할 수 있다. 로크너트(215)는 누름 스프링(212)을 링크로드에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너트의 링크로드(208)상의 위치를 조절하므로써 탈수시간에 대한 유효한 제어를 실현한다. 누름 스프링 스탠드(213)는 상부 탈수빔에 고정되어 있지만 누름 스프링 스탠드(213)는 상부 탈수빔(1)에 직접 고정해도 되고 하나의 브래킷 또는 지지구(220)를 개재하여 누름 스프링 스탠드(213)를 상부 탈수빔에 고정해도 된다. 누름 스프링 스탠드(213)와 상부 탈수빔의 지지구(220)에는 링크로드(208)를 통과시키는 한편 접동자재하게 할 수 있는 통공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링크로드는 작동할 경우에 그것의 구속 및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상하부 탈수빔(1, 4)의 상하 방향에 따라서 이동할 때의 안정성과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뜬 김탈수장치는 상부 탈수빔(1)과 하부 탈수빔(4)에 가이드 베어링(219, 218)을 더 증설하고 있다. 가이드 베어링(219, 218)은 프레임측판(5)에 고정설치된 가이드바(217)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위치제한 및 가이드의 역할을 하며 상하부 탈수빔은 상하 운동밖에 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 베어링(218, 219)의 회전에 의해 상하부 탈수빔의 운행저항을 감소할 수 있으며 에너지 소모를 저감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 해야 할것은, 가이드 베어링(218) 또는 (219)만을 설치해도 되고 상부 탈수빔 또는 하부 탈수빔에게만 가이드 베어링(218 또는 219)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하부 탈수빔(4)에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제한볼트(216)가 더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상부 탈수빔(1)의 하향 이동의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것에 사용된다. 당연히 위치제한볼트는 그 외의 위치제한부재로 교체해도 되고 실제상의 수요 및 구체적인 응용조건에 근거하여 위치제한부재의 형상, 사이즈, 구조 및 위치를 조정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누름 스프링 등의 연성 어셈블리로 종래의 강성 어셈블리를 대체하는 것으로 상부 탈수빔(1)에 대한 구동을 실현한다. 아래, 그 작동 원리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편심륜축(10)이 상사점까지 회전했을 때 도5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것에는 하향 운동의 경향이 있다. 이 때 편심륜축(10)은 링크로드(208), 누름 스프링(212)에 의해 상부 탈수빔(1)을 내리누르는 운동을 한다. 이 때 작용 스프링(212)은 압축하기 시작하며 동시에, 편심캠(11)은 작용 베어링(9)를 떠밀어 올리는 것으로 하부 탈수빔(4)를 연동하여 위로 이동하게 한다. 이에 의해 상하부 탈수빔(1, 4)은 도5b에 표시한 바와 같이 대향 이동한다. 상부 탈수빔(1)의 저부가 운동하여 위치제한볼트(216)와 접합하면 도5c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부 탈수빔(1)은 운동을 정지한다. 이 때 하부 탈수빔(4)은 하부 탈수 스펀지(3)가 발장(6)의 하 표면과 상호 접촉 또는 접합되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상하부 탈수빔(1, 4)상의 탈수 스펀지(2, 3)는 발장상의 뜬 김에 대해 압착탈수를 행하며 동시에 링크로드(208)는 계속하여 인하되며 이 과정에서 작용 스프링은 편심캠(11)의 편심륜축(10)이 하사점에 이르기까지 줄곧 압축상태에 있다. 편심캠(11)이 계속하여 회전할 때 링크로드(208)는 들려 올라가기 시작하며 링크로드(208)가 점차 들려 올라감에 따라 작용 스프링(212)도 압축 상태로부터 점차 늘어나기 시작한다. 이 때, 상부 탈수빔은 즉시 들려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작용 와셔(214)가 상부 탈수빔(1)의 저면을 떠밀기 시작할 때에야 처음으로 상부 탈수빔(1)은 들려 올라가기 시작하며 편심륜축(10)의 회동에 따라서 도5a에 표시하는 최고위치까지 점차 들려 올라가는 것이다. 이것으로 하나의 탈수공정이 완성된다. 이어서 편심륜축(10)은 계속하여 회동하며 다음의 탈수공정에 진입하며 이렇게 순환하여 조작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탈수빔(1)의 저면이 위치제한볼트(216)를 접촉, 이탈하는 과정에서 상하부 탈수빔의 탈수 스펀지는 발장상의 뜬 김에 대해서 줄곧 압착탈수를 행한다. 즉 이는 줄곧 탈수상태에 있다. 이것으로 뜬 김의 탈수시간을 연장하는 것이다.
하부 탈수빔(4)의 동작방식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고 하부 탈수빔(4)의 들려 올라가는 동작은 편심캠(11)에 의해 구동되는 한편 자중에 의해 내려와 복귀한다. 여기에서는 중복 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탈수강도와 탈수시간의 길이는 위치제한볼트(216)의 높이와 작용 와셔(214)의 위치 및 누름 스프링(212)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실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탈수빔(4)에 고정된 위치제한볼트(216)의 높이는 조절가능하고 위치제한볼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스펀지의 압축량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탈수강도의 크기를 제어가능하다. 링크로드(208)에 고정된 작용 와셔(214)의 위치도 조정가능하다. 로크너트(215)의 고저위치를 조정하는 것으로 작용 와셔의 링크로드(208)상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윗쪽으로 조절하면 탈수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아래쪽으로 조절하면 탈수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탈수시간에 대한 제어를 실현한다. 누름 스프링의 압력은 로크너트(215´) 및 상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213´)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와셔(214)는 로크너트(215)와 일체로 제조해도 되며 와셔(214)를 생략하고 직접 로크너트(215)를 그의 직경이 하부 누름 스프링의 직경보다 크게끔 제조해도 된다. 이렇게 해도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8a~도9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도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탈수장치를 표시하고 있다. 제3 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고 이 실시예에 따른 탈수시간연장식 뜬 김탈수장치도 불완전한 구속 어셈블리로 완전한 구속 어셈블리를 교체하는 한편 탈수시간연장부재를 이용하여 탈수동작의 여유 스트로크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뜬 김의 탈수시간을 연장하며 탈수시간에 대해 적합하고 유효한 제어를 행한다. 이 실시예의 제1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주로 탈수시간연장부재를 증설한 것에 있으며 또한 이 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상이한 점은 주로 구면 너클베어링을 증설한 것에 있다. 간단하고 명료하게 하기 위해 다음은 주로 본 실시예의 제1, 제2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며 제1, 제2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하는 자세한 서술은 생략한다.
도8a~도9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뜬 김탈수장치는 주로 상부 탈수빔(1), 하부 탈수빔(4), 구면 너클베어링(324), 베어링 스탠드 또는 지지구(323), 링크로드(308), 편심륜축(10), 편심캠(11) 및 탈수시간연장부재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탈수시간연장부재는 누름 스프링 어셈블리이며 그 중 누름 스프링 어셈블리는 주로 누름 스프링(312), 상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313´), 하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321)를 포함하며 상, 하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는 누름 스프링(312)에 지지를 제공하는 것에 사용되고 상하부 탈수빔(1, 4)은 프레임에 설치되며 작동할 경우 이것들은 상하 방향에 따라서 대향 또는 배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부 탈수빔(1)상에는 상부 탈수 스펀지(2)가 설치되어 있고 하부 탈수빔(4)에는 하부 탈수 스펀지(3)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탈수빔(1)의 단부에는 지지구 또는 베어링 스탠드(323)가 설치되어 있고 베어링 스탠드(323) 내에는 구면 너클베어링(324)이 끼워져 있으며 구면 너클베어링(324)은 압판(322)에 의해 베어링 스탠드(323) 내에 유지되며 압판(322)은 또한 볼트, 나사 등의 고정구에 의해 베어링 스탠드(323)에 고정된다(당연히 구면 너클베어링(324)은 탄성 와셔 또는 스냅링(도시하지 않음)을 개재하여 베어링 스탠드(323) 내에 유지되어도 된다). 그리고 구면 너클베어링(324)이 압판에 의해 베어링 스탠드 또는 지지구(323) 내에 유지되는 연결방식은 마찬가지로 제1 실시예에 응용할 수 있다. 링크로드(308)의 상단 또는 제1단은 구면 너클베어링(324)의 내공을 빠져 나가며 링크로드(308)상의 구면 너클베어링(324)의 하부에 위치하여 로크너트(315)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링크로드(308)가 하부의 편심륜축(10)에 구동되어 아래로 이동될 때 링크로드(308)는 구면 너클베어링(324)의 공내를 접동할 수 있다. 이것과는 반대로 링크로드(308)가 위로 이동될 때 로크너트(315)는 구면 너클베어링(324), 베어링 스탠드(323)를 개재하여 상부 탈수빔(1)을 떠밀며 상부 탈수빔(1)에게 들려 올라가는 동작을 하게 한다. 또한, 제1 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하부 탈수빔(1, 4)의 상하 방향에 따라서 이동할 때의 안정성과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탈수시간연장식 뜬 김탈수장치도 상부 탈수빔(1)과 하부 탈수빔(4)에 가이드 베어링(318, 319)을 증설하고 있으며 가이드 베어링(318, 319)은 프레임측판(5)에 설치된 가이드바(317)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위치제한 및 가이드의 역할을 하며 상하부 탈수빔은 상하 운동밖에 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 베어링(318, 319)의 회전에 의해 상하부 탈수빔의 운행저항을 감소할 수 있으며 부재간의 마모를 감소할 수 있고 동력 소모를 저감할 수 있다. 당연히 가이드 베어링은 조합하여 사용해도 되고 단독으로 사용해도 된다. 즉 가이드 베어링(318)만을 설치해도 되고 가이드 베어링(319)만을 설치해도 된다. 그리고 가이드 베어링(318또는 319)은 그 중의 하나의 탈수빔에게만 설치해도 되는데 예를 들면 상부 탈수빔에게만 가이드 베어링(318또는 319)을 설치하거나 하부 탈수빔에게만 가이드 베어링(318또는 319)을 설치한다. 또한, 하부 탈수빔(4)에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제한볼트(316)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상부 탈수빔(1)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에 사용된다. 당연히 위치제한볼트는 그 외의 위치제한부재로 교체해도 되고 실제상의 수요 및 구체적인 응용조건에 근거하여 위치제한부재의 형상, 사이즈, 구조 및 위치를 조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이것을 측판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링크로드(308)가 구면 너클베어링(324) 의 내공을 이동하려고 하기 때문에 조작과정에 있어서 링크로드(308)와 베어링(324)의 내공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마찰이 생길 수 있다. 링크로드(308)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링크로드(308)의 외부의 베어링(324)의 내공과 상호 작용하는 부분에 하나의 부시 또는 보호 커버(예를 들면, 동커버) 혹은 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바형상의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 커버 또는 부시는 이미 하부 스프링 스탠드(321)와 일체로 제조되어 있는데 당연히 부시를 하부 스프링 스탠드와는 별체형의 구조로 제조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로크너트와 구면 너클베어링 사이에 버팀 부시를 설치해도 된다.
본 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상이한 점은 주로 본 실시예는 구면 너클베어링을 증설하고 있는 한편 구면 너클베어링과 링크로드의 상호 작용하는 부분에 보호 커버를 증설한 것에 있다. 본 실시예의 조작방식과 작동원리는 제2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중복하는 자세한 서술은 생략한다.
여기까지 본 발명에 따른 탈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자세하게 서술했지만 당업자는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 내용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여러 가지로 변경 및 변형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 및 변형 역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예를 들면, 그 외의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 예를 들면 실린더, 모터 등을 채용하여 누름 스프링 어셈블리를 교체하는 것은 가능하다. 가이드부재도 그 외의 구조형식 예를 들면 가이드 레일 또는 가이드 홈을 채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브래킷도 그 외의 형식의 구조 예를 들면 상부 탈수빔에 용접된 각 브래킷 또는 함형 지지구를 채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구면 너클베어링도 고무, 스프링 어셈블리 또는 그 외의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와 같은 연성 재료체를 채용하여 교체할 수 있다.

Claims (20)

  1. 프레임측판을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상부 탈수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하부 탈수빔, 및 상부 탈수빔과 하부 탈수빔을 대향 또는 배향하는 방향에 따라 운동하게 하는 것에 사용되는 전동기구를 포함하는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구는 링크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탈수장치는 지지구, 로크 조정부재 및 상부 탈수빔 위치제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구는 상기 상부 탈수빔의 단부에 설치되는 한편 통공을 가지며 상기 링크로드의 제1 단부는 상기 지지구의 통공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한편 일정한 범위내에서 상기 지지구의 통공내를 이동하며 상기 로크 조정부재는 상기 링크로드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구는 편심캠 및 상기 편심캠에 설치된 편심륜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링크로드의 제2단은 너클베어링을 개재하여 상기 편심캠상의 편심륜축과 상호 연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편심캠은 상기 하부 탈수빔에 설치된 작용 베어링과 상호 작용하며 작용 베어링을 개재하여 동력을 하부 탈수빔에 전달할 수 있는 것으로 하부 탈수빔을 상기 편심캠에 구동되어 상하 방향에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탈수빔 위치제한부재는 상기 하부 탈수빔에 또는 상기 프레임측판에 설치된 조절가능형 위치제한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조정부재는 로크 조정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
  6.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부 탈수빔 가이드부재 및 하부 탈수빔 가이드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부 탈수빔 및 하부 탈수빔 중 적어도 하나를 안내하여 상호 대향 또는 배향하는 방향에 따라 이동시키는 것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가이드바 및 가이드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프레임측판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베어링은 상기 상부 탈수빔 및 하부 탈수빔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베어링은 상기 가이드바와 상호 작용하는 한편 상기 가이드바에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
  8.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의 통공내에 설치된 구면 너클베어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면 너클베어링은 내공을 가지며 상기 구면 너클베어링은 상기 내공에 의해 상기 링크로드의 상기 제 1 단부에 감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구면 너클베어링은 압판, 탄성 와셔 또는 스냅링을 개재하여 상기 지지구의 통공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버팀 부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버팀 부시는 상기 로크 조정부재와 상기 구면 너클베어링 사이에 위치하는 한편 상기 링크로드에 감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링크로드의 제1 단부에는 보호 커버 또는 부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호 커버 또는 부시는 상기 링크로드의 제1 단부의 외주면과 상기 구면 너클베어링의 내공 주벽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
  12.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장치는 상기 링크로드에 연결된 탈수시간연장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작용 와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와셔는 상기 링크로드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로크 조정부재의 윗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탈수시간연장부재는 누름 스프링 어셈블리이며 상기 누름 스프링 어셈블리는 누름 스프링, 상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는 상기 링크로드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 스프링은 상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와 상기 지지구 사이에 설치되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누름 스프링 어셈블리는 하부 스프링 스탠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는 상기 지지구와 고정연결 또는 일체로 제조되며 상기 누름 스프링은 상기 상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와 상기 하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 사이에 설치되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탈수장치는 상기 링크로드에 설치된 탈수시간연장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탈수시간연장부재는 누름 스프링 어셈블리이며, 상기 누름 스프링 어셈블리는 누름 스프링, 상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는 상기 링크로드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 스프링은 상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와 상기 지지구 사이에 설치되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누름 스프링 어셈블리는 하부 스프링 스탠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누름 스프링 스탠드는 상기 보호 커버와 고정연결 또는 일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
  19.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탈수빔에는 각각 탈수 스펀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
  20.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는 상기 상부 탈수빔과 일체로 제조되거나 용접에 의해 또는 연결구에 의해 분해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
KR1020117000145A 2008-09-04 2009-05-31 김 1차가공 유닛의 탈수단계에 사용되는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 KR1012222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8101193646A CN101664224B (zh) 2008-09-04 2008-09-04 用于紫菜一次加工机组脱水段的延压式脱水装置
CN200810119364.6 2008-09-04
CN200910076524.8 2009-01-06
CN200910076524A CN101715803B (zh) 2009-01-06 2009-01-06 用于紫菜一次加工机组脱水段的自重延压式脱水装置
PCT/CN2009/000606 WO2010025609A1 (zh) 2008-09-04 2009-05-31 一种紫菜脱水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681A KR20110015681A (ko) 2011-02-16
KR101222272B1 true KR101222272B1 (ko) 2013-01-16

Family

ID=41796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0145A KR101222272B1 (ko) 2008-09-04 2009-05-31 김 1차가공 유닛의 탈수단계에 사용되는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22272B1 (ko)
WO (1) WO20100256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9903B (zh) * 2020-08-14 2021-07-06 宁波莫宁森家庭农场有限公司 一种紫菜初加工用穿刺取菜脱水装置
CN111838714B (zh) * 2020-08-26 2022-07-08 山东大学 一种坛紫菜自动烘干装置及使用方法
CN115638628A (zh) * 2022-10-10 2023-01-24 深圳市嶶美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食品研究用食品脱水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55468A (zh) * 2010-10-19 2012-05-1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光纤连接器及其组件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3495A (en) * 1938-10-10 1941-03-04 Joseph J Stehling Leather wringing machine
IT1042273B (it) * 1975-09-03 1980-01-30 Rizzi & Co Spa Luigi Pressa a nastri continui per la asciugatura di pelli e simili con estrazione laterale dei nastri
CN2455468Y (zh) * 2000-12-15 2001-10-24 徐洪 紫菜加工用对压式脱水机构
CN2759206Y (zh) * 2004-08-20 2006-02-22 徐洪 自动移位对压式压枕脱水机
CN201243610Y (zh) * 2008-09-04 2009-05-27 王行安 用于紫菜一次加工机组脱水段的延压式脱水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55468A (zh) * 2010-10-19 2012-05-1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光纤连接器及其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5609A1 (zh) 2010-03-11
KR20110015681A (ko) 2011-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272B1 (ko) 김 1차가공 유닛의 탈수단계에 사용되는 탈수시간연장식 탈수장치
AU2014399520B2 (en) Clutch driving device for decelerating clutch
KR101241390B1 (ko) 김 1차가공 유닛에 사용되는 박리·흡착·반송 일체화 김박리장치
CN204434995U (zh) 波轮洗衣机
CN109203055A (zh) 一种纺织业用布料连续打孔装置
CN108857459A (zh) 一种智能机床减震基座
CN112138950B (zh) 一种用于轮胎表面高效涂蜡装置
CN201301382Y (zh) 电子提花机传动系统
CN201180226Y (zh) 活塞式洗衣机
CN210684687U (zh) 用于桥梁施工的打桩机
CN201312547Y (zh) 菜饼防脱落装置及安装有这种菜饼防脱落装置的脱水装置
CN204919000U (zh) 缝纫机抬压脚装置
CN201939079U (zh) 全果碗式柑橘榨汁机驱动系统的平衡机构
CN109629314A (zh) 帘床随动调节装置
CN209010844U (zh) 一种新型造纸压榨辊
CN209348900U (zh) 一种车内踏板用夹持效果好的涂装装置
CN208204443U (zh) 一种纺织机械支撑装置
CN201336912Y (zh) 豆腐皮机
CN219702550U (zh) 喷胶下料装置
CN219596947U (zh) 一种醋酸钠生产的连续式离心脱水机
CN115553351B (zh) 一种具有锤击结构的茶叶揉捻装置
CN209584723U (zh) 帘床随动调节装置
CN114427149B (zh) 一种染布设备的均匀出布机构
CN214371421U (zh) 一种间距可调式滚筒式科技木皮烘干机
CN214854060U (zh) 一种用于雀色红茶加工的原材料脱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