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225B1 -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225B1
KR101220225B1 KR1020110089060A KR20110089060A KR101220225B1 KR 101220225 B1 KR101220225 B1 KR 101220225B1 KR 1020110089060 A KR1020110089060 A KR 1020110089060A KR 20110089060 A KR20110089060 A KR 20110089060A KR 101220225 B1 KR101220225 B1 KR 101220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olyester film
white porous
polymer res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권형
김성도
신헌정
박형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9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225B1/ko
Priority to PL12828593T priority patent/PL2751176T3/pl
Priority to PCT/KR2012/006988 priority patent/WO2013032270A2/en
Priority to EP12828593.9A priority patent/EP2751176B1/en
Priority to US14/241,598 priority patent/US9835766B2/en
Priority to JP2014528284A priority patent/JP5876935B2/ja
Priority to TW101131844A priority patent/TWI492971B/zh
Priority to CN201280042784.3A priority patent/CN10378182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08K13/02Organic and in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4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J24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22Mixtures comprising a continuous polymer matrix in which are dispersed crosslinked particles of another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폴리에스테르 수지, 무기입자,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비상용성이고 비결정성이면서 평균 입경이 0.1 내지 10 ㎛인 가교된 고분자 수지 입자를 전체 필름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15 중량%로 포함하는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균일한 보이드 형성이 가능하고 공정안정성 면에서 유리하며, 백색도, 은폐력, 반사율 등의 광학특성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므로, LCD 소자의 백라이트 유닛 반사판 등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WHITE POROUS POLYESTER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LCD의 백라이트 유닛 등에 사용되는 광학특성이 우수한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 중 하나인 LCD(liquid crystal display)는 적은 전력소모, 얇은 두께, 높은 해상도 등의 장점이 있어 노트북, TV, 자동차 내비게이션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수요 또한 증가세에 있다. 그러나 LCD는 자체 발광소자가 아닌 수동 발광소자이기 때분에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BLU)으로 불리는 광원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의 반사판으로서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즉,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발포제를 배합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거나,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폴리올레핀 수지를 배합하여 필름의 표면 및 내부에 미세 보이드(void)를 형성시키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발포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가공 온도에 따라 균일한 발포셀 크기 및 균일도를 제어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폴리올레핀 수지를 배합하여 필름 표면 및 내부에 보이드를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압출 성형과 연신 공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상용성 불량으로 인해 보이드의 균일도가 떨어져 연신 공정에서 파단 등의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백색도, 은폐력, 반사율 등이 부족하여 제품의 응용에 크게 제한을 받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각종 상용화제를 첨가하였으나 상용화제의 열안정성 부족 및 표면으로의 이행 등의 문제로 공업적으로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215496 호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올레핀 수지를 혼합하고 다공도와 보이드 크기를 충분히 형성하기 위해 무기입자를 추가로 투입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1-19614 호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무기입자, 및 폴리에스테르와 비상용성인 결정성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상용성 물질은 분산상의 크기가 랜덤하여 크기가 큰 보이드와 크기가 작은 보이드가 공존하므로 공정성의 불안을 야기시키고 또한 물성적인 측면에서 단위면적당 보이드의 개수가 적어 목적하는 반사율 및 균일한 반사율에 있어서 큰 효과를 보지 못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215496 호 (도레이 가부시까가이샤) 1999.08.1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1-19614 호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2011.2.28.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공성, 백색도, 은폐력, 반사율 등의 광학특성이 향상된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무기입자, 및 고분자 수지 입자를 포함하되, 상기 고분자 수지 입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비상용성이고 비결정성이면서 평균 입경이 0.1 내지 10 ㎛인 가교된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분자 수지 입자의 함량은 전체 필름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15 중량%인,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무기입자를 혼합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비상용성이고 비결정성이면서 평균 입경이 0.1 내지 10 ㎛인 가교된 고분자 수지 입자를 전체 혼합 수지 조성물 기준으로 1 내지 15 중량%로 추가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제조된 혼합 수지 조성물을 용융 혼련 및 압출하여 미연신 시트를 얻는 단계; 및c) 상기 미연신 시트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축 연신하여 최종 필름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균일한 입자 분포를 가지는 비상용성의 가교된 고분자 수지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균일한 보이드 형성이 가능하고 공정안정성 면에서 유리하며, 백색도, 은폐력, 반사율 등의 광학특성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므로, LCD 소자의 백라이트 유닛 반사판 등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폴리에스테르와 비상용성인 고분자 수지 입자 및 무기입자에 의해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형성되는 2종의 보이드 및 이로 인한 필름의 반사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무기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비상용성이고 비결정성이면서 평균 입경이 0.1 내지 10 ㎛인 가교된 고분자 수지 입자를 전체 필름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1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수지 또는 이들의 블랜딩 수지로서,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산성분과 알킬렌글리콜을 주성분으로 하는 글리콜 성분을 통상의 방법으로 중축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은 디메틸테레프탈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디메틸-2,5-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시산, 디페녹시에틴디카르복시산, 디페닐디카르복시산, 디페닐에테르디카르복시산, 안트라센디카르복시산, α,β-비스(2-클로로페녹시)에탄-4,4-디카르복시산,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알킬렌글리콜의 예로는 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펜타메틸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은 60 내지 9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이 60중량% 미만이면 원활한 연신 가공 공정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90중량%를 초과하면 광학적 특성을 구현하는 첨가제의 양이 적어 원하는 물성을 구현하는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에는 반사율, 색상 등의 광학적 특성 조절 및 마찰계수, 표면조도 및 미세촉감의 조절을 목적으로 무기입자가 컴파운딩 방식으로 첨가된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무기입자로는 황산바륨,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카올린, 탈크, 제올라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무기입자의 평균 입경은 0.1 내지 1.2㎛ 범위인 것이 바람직한데, 무기입자의 평균 입경이 0.1㎛ 미만이면 광학특성과 표면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할 수 있으며, 1.2㎛를 초과하면 광학특성, 필름의 표면조도 및 연신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무기입자의 평균 입경이 0.5 내지 0.7 ㎛ 범위인 것이 좋다.
이러한 무기입자는 수지층 중의 함량이 9 내지 30 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함량이 9중량% 미만이면 첨가에 따른 효과상의 실익이 미미하며, 30 중량%를 초과하면 연신배율을 충분히 구현하기 어려워서 반사율 등의 광학 특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무기입자만을 사용할 경우 내부 보이드 형성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균일하고 효율적인 보이드 형성을 위해 고분자 수지 입자를 추가로 첨가한다.
고분자 수지 입자는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교된 것을 사용한다. 가교되지 않은 일반 고분자 수지 입자를 필름 압출 공정시 첨가했을 경우 고분자 수지가 필름의 압출 온도를 버티지 못할 수 있고, 또한 분산상의 크기가 균일하지 못해 반사율이 저조하게 된다. 반면 가교된 고분자 수지 입자를 사용했을 경우 가교되었기 때문에 필름의 압출온도를 견디게 되어 내열성에 있어서 문제가 되질 않고, 또한 분산상의 크기가 균일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은 가교된 고분자 수지 입자는 유리전이온도(Tg)가 존재하지 않는 특성을 보이는데, 예를 들어 일반 PMMA 수지의 경우 DSC를 측정하였을 경우 Tg 95~100℃ 정도로 측정되는 반면, 가교된 PMMA 입자의 경우 DSC를 측정하여도 Tg가 나타나지 않는다.
상기 고분자 수지 입자는 필름을 이루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비상용성인 것을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의 혼합엔탈피의 값이 0.2 (MJm-3)1/2 이상의 비상용성을 갖는 것이 좋다.
상기 고분자 수지 입자의 입자크기는 평균입경이 D50 기준으로 0.1 내지 10 ㎛인 것이 바람직한데, 평균입경이 0.1㎛ 미만이면 입자의 분산 및 컴파운드 공정상의 작업성 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연신 공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이 0.5 내지 5 ㎛인 것이 좋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8 ㎛ 인 것이 좋다. 특히 입경이 균일한 단분산 입자인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입경 분산도가 0.7 내지 0.8인 것이 좋다.
이와 같은 고분자 수지 입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수지 또는 이의 공중합 수지, 폴리스틸렌(PS) 수지 또는 이의 공중합 수지, 또는 사이클릭올레핀 공중합 수지(COC)로서 가교된 수지의 입자가 가능하며, 그 중에서도 특히 가교된 PMMA 수지 입자 또는 가교된 PMMA계 공중합 수지 입자가 바람직하다. PMMA 수지는 자체적인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고 굴절률이 낮아서 필름을 이루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의 굴절률 차이가 커져 반사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가교되어 내열성이 우수하고 단분산된 고분자 수지 입자를 무기입자와 함께 필름 제조시 첨가시키게 되면, 연속상(continuous phase)과 유사하게 PET 내에 고르게 분산된 분산상(dispersed phase)이 생성될 수 있다. 즉, 크기가 작고 균일한 입자가 PET 내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연신 후 형성되는 보이드 크기는 작고 균일하며 개수는 많아지게 되어 반사율 향상을 도모하게 되며, 균일한 반사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입자의 크기가 작아 보이드 사이즈를 작게 형성해서 고배율의 연신이 가능하고 연신시 입자의 탈락 및 변형이 적어지므로 공정성도 좋아지게 된다.
상기 고분자 수지 입자는 필름 중의 함량이 1 내지 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너무 적을 경우 첨가에 따른 효과상의 실익이 미미하며, 15 중량%를 초과하면 연신배율을 충분히 구현하기 어려워서 반사율 등의 광학 특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필름 중의 함량이 1 내지 10 중량%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수지층에는 또한 상기 주성분들 외에 필요에 따라 첨가제로서 증백제, 안정제, 중축합 촉매, 분산제, 정전인가제, 결정화 촉진제, 블로킹 방지제, 활제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필름에는 무기입자와 함께 비상용성의 가교된 고분자 수지 입자가 첨가됨에 따라 이에 따른 2종의 보이드가 형성된다 (도 1 참조).
필름 내에 형성되는 2종의 보이드는 동일 면적하에서의 총 보이드의 밀도를 크게 향상시켜 결국 산란 반사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광학 특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BLU(back light unit)내의 램프에 의한 휘선/암선이 나타나는 현상도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백색도가 95% 이상이고, 550nm에서의 반사율이 97% 이상으로 백색도, 은폐력 및 내후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은 밀도가 0.7 내지 1.2 g/cm3 인 것이 경량성 면에서 바람직하며 필름 두께는 50 내지 5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필름은, a)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무기입자를 혼합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비상용성이고 비결정성이면서 평균 입경이 0.1 내지 10 ㎛인 가교된 고분자 수지 입자를 전체 혼합 수지 조성물 기준으로 1 내지 15 중량%로 추가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제조된 혼합 수지 조성물을 용융 혼련 및 압출하여 미연신 시트를 얻는 단계; 및c) 상기 미연신 시트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축 연신하여 최종 필름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상기 단계 c)에서, 종방향 및 횡방향의 연신비는 각각 3 내지 6 배인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 3 내지 4.5 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c)에서, 연신시 보이드를 효율적으로 형성시키고 두께 및 연신공정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종방향 및 횡방향 연신시 2회 이상, 예를 들어 2회 내지 4회의 다단 연신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최초 1단 연신시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온도보다 10 내지 30 ℃ 높은 온도 범위(Tg+10℃~Tg+30℃)에서 1.5배 이상, 예를 들어 1.5배 내지 3.5배로 연신한 후 재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글리콜을 1:2 당량비로 혼합한 후 이 혼합물에 에스테르 교환 반응 촉매로서 망간아세테이트를 0.03중량%의 양으로 첨가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단량체로서 비스-2-하이드록시에틸 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하였다. 여기에 중축합 촉매로서 산화안티몬 0.05 중량%를 첨가하고 중축합을 완결시켜 극한점도가 0.66dl/gr 이고 유리전이온도가 78℃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이축 압출기에 상기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89중량%, 평균 입경 0.8㎛의 황산바륨 10중량%, 및 폴레에스테르와 비상용성 고분자 수지인 평균 입경(D50) 0.7㎛의 가교된 PMMA 비드 1중량%를 혼합하여 칩을 제조하였다.
이를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방식에 따라 건조, 용융 및 압출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를 85℃에서 종방향으로 3배 연신하고 다시 125℃에서 횡방향으로 3배 연신시켜, 두께 125㎛의 이축 연신된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6 및 비교예 1
각각의 혼합 성분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으로 사용하여 칩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두께 125㎛의 이축 연신된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가교된 PMMA 비드 대신, 비상용성 비결정성이면서 가교된 비드 형태가 아닌 고분자 수지인 비결정성 폴리스틸렌 수지(제조사:제일모직)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두께 125㎛의 이축 연신된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가교된 PMMA 비드 대신, 결정성 폴리스틸렌 수지인 신디오택틱 폴리스틸렌(sPS, 이데미츠사, 일본)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두께 125㎛의 이축 연신된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가교된 PMMA 비드 대신, 가교되지 않은 PMMA 수지(제조사: LG MMA)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두께 125㎛의 이축 연신된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구분 폴리에스테르 수지 무기입자 고분자 수지 입자
함량(%) 함량(%) 종류 평균입경(㎛) 함량(%)
실시예 1 89 10 PMMA 비드 0.7 1
실시예 2 85 10 PMMA 비드 0.7 5
실시예 3 80 10 PMMA 비드 0.7 10
실시예 4 89 10 PMMA 비드 1 1
실시예 5 89 10 PMMA 비드 5 1
실시예 6 75 10 PMMA 비드 0.5 15
비교예 1 89 10 PMMA 비드 12 1
비교예 2 85 10 PS 수지 - 5
비교예 3 85 10 sPS 수지 - 5
비교예 4 85 10 PMMA 수지 - 5
시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필름들의 성능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백색도
ASTM E313의 방법에 의하여 미국 헌터랩(Hunterlab)사의 스펙트로포토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반사율
미국 헌터랩사의 스펙트로포토미터를 이용하여 550nm에서의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3) CIELAB 시스템의 L, b
미국 헌터랩사의 스펙트로포토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4) 공정성
필름의 제조과정 중 필름 파단 발생빈도를 평가하였다.
◎ : 매우 우수, ○ : 우수, △ : 나쁨, X : 매우 나쁨
5) 보이드 균일도
필름의 단면 SEM 사진을 통해 보이드의 균일도를 파악하여 평가하였다.
◎: 매우 우수, ○: 우수, △: 나쁨, X: 매우 나쁨
구분 백색도 반사율(%) L b 공정성 보이드 균일도
실시예 1 105 97.3 97.3 1.5
실시예 2 125 97.5 97.8 2.4
실시예 3 138 98.4 98.5 1.5
실시예 4 125 97.1 97.3 2.4
실시예 5 195 97.0 96.1 3.6
실시예 6 145 98.2 98.2 1.5
비교예 1 108 96.8 95.4 4.4
비교예 2 78 95.2 94.2 -6.4 X X
비교예 3 90 96.3 97.3 -8.2 X X
비교예 4 84 97.0 96.5 -0.4 X X
상기 표 1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필름이 종래기술에 따른 비교예의 필름보다 백색도, 반사율 등의 광학특성 뿐만 아니라, 공정성도 우수한 사실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폴리에스테르 수지, 무기입자, 및 고분자 수지 입자를 포함하되, 상기 고분자 수지 입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비상용성이고 비결정성이면서 평균 입경이 0.1 내지 10 ㎛인 가교된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분자 수지 입자의 함량은 전체 필름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15 중량%인,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 입자는 가교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 입자의 평균입경은 D50 기준으로 0.5 내지 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수지 및 이들의 블랜딩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입자는 황산바륨,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실리카, 카올린, 탈크, 제올라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평균 입경이 0.1 내지 1.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성분의 함량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60 내지 90 중량%, 상기 무기입자 9 내지 30 중량%, 및 상기 고분자 수지 입자 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백색도가 95% 이상이고, 550 nm 파장에서 반사율이 97%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8. a)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무기입자를 혼합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비상용성이고 비결정성이면서 평균 입경이 0.1 내지 10 ㎛인 가교된 고분자 수지 입자를 전체 혼합 수지 조성물 기준으로 1 내지 15 중량%로 추가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제조된 혼합 수지 조성물을 용융 혼련 및 압출하여 미연신 시트를 얻는 단계; 및
    c) 상기 미연신 시트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축 연신하여 최종 필름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종방향 및 횡방향의 연신비는 각각 3 내지 6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이축 연신 공정에 있어서 각 방향으로 2회 이상의 다단 연신을 진행하며, 이 때 각 방향의 최초 1단 연신시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온도+10℃ 내지 유리전이온도+30℃의 온도 범위에서 최소 1.5배 이상 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10089060A 2011-09-02 2011-09-02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0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060A KR101220225B1 (ko) 2011-09-02 2011-09-02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L12828593T PL2751176T3 (pl) 2011-09-02 2012-08-31 Folia optyczna i sposób jej wytwarzania
PCT/KR2012/006988 WO2013032270A2 (en) 2011-09-02 2012-08-31 Optical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EP12828593.9A EP2751176B1 (en) 2011-09-02 2012-08-31 Optical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14/241,598 US9835766B2 (en) 2011-09-02 2012-08-31 Optical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2014528284A JP5876935B2 (ja) 2011-09-02 2012-08-31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調製方法
TW101131844A TWI492971B (zh) 2011-09-02 2012-08-31 光學薄膜及其製備方法
CN201280042784.3A CN103781826B (zh) 2011-09-02 2012-08-31 光学膜及其制备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060A KR101220225B1 (ko) 2011-09-02 2011-09-02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0225B1 true KR101220225B1 (ko) 2013-01-09

Family

ID=47757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060A KR101220225B1 (ko) 2011-09-02 2011-09-02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835766B2 (ko)
EP (1) EP2751176B1 (ko)
JP (1) JP5876935B2 (ko)
KR (1) KR101220225B1 (ko)
CN (1) CN103781826B (ko)
PL (1) PL2751176T3 (ko)
TW (1) TWI492971B (ko)
WO (1) WO201303227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521B1 (ko) * 2013-10-15 2015-06-09 주식회사 효성 다기능성 폴리에스터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18420A (ko) * 2014-04-14 2015-10-2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백색 다공성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7774A1 (en) * 2016-09-21 2018-03-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tective display film with glass
US11021603B2 (en) * 2019-01-03 2021-06-01 Nan Ya Plastics Corporation White polyester film with properties of lightweight and low-shrinkage
WO2021026204A1 (en) * 2019-08-05 2021-02-11 Flex Films (Usa) Inc. Controlled density thermoplastic multilayer films
CN114325904A (zh) * 2021-12-15 2022-04-12 合肥乐凯科技产业有限公司 一种用于大尺寸薄型显示器的聚酯反射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2859A (ko) * 2005-11-18 2007-05-2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백색 다공성 단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070134449A1 (en) 2003-11-05 2007-06-14 Campbell Bruce C Inkjet recording element
KR20110019614A (ko) * 2009-08-20 2011-02-2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23287A (ko) * 2009-08-31 2011-03-0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63591A (en) * 1975-10-23 1980-03-26 Ici Ltd Films of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JP2917331B2 (ja) * 1989-11-24 1999-07-12 東レ株式会社 白色不透明化ポリオレフィンフイルム
US5223383A (en) * 1989-12-27 1993-06-29 Eastman Kodak Company Photographic elements containing reflective or diffusely transmissive supports
US4994312A (en) * 1989-12-27 1991-02-19 Eastman Kodak Company Shaped articles from orientable polymers and polymer microbeads
US5143765A (en) 1989-12-27 1992-09-01 Eastman Kodak Company Shaped articles from orientable polymers and polymer microbeads
US5141685A (en) * 1989-12-27 1992-08-25 Eastman Kodak Company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orientable polymers and polymer microbeads
JPH0816175B2 (ja) * 1991-01-22 1996-02-21 東レ株式会社 液晶ディスプレイ反射板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DE69219371T3 (de) 1991-01-22 2003-04-17 Toray Industries Reflektor für flächenartige Lichtquelle
JPH1135717A (ja) * 1997-07-22 1999-02-09 Oji Yuka Synthetic Paper Co Ltd 微多孔性ポリエステル系樹脂フィルム
JP3731720B2 (ja) * 2000-06-01 2006-01-05 東洋紡績株式会社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US20030138581A1 (en) * 2001-12-27 2003-07-24 Eastman Kodak Company Voided articles
DE602004021717D1 (de) * 2003-12-02 2009-08-06 Eastman Chem Co Zusammensetzungen zur herstellung von hohlraumhaltigen gegenständen
JP5433419B2 (ja) 2006-10-03 2014-03-05 アグファ−ゲバルト 非透明微小空洞含有軸方向延伸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への透かしパターン形成方法
CN101548235B (zh) * 2006-10-03 2012-09-05 爱克发-格法特公司 制备不透明微孔化自支撑膜的方法
KR20090009107A (ko) * 2007-07-19 2009-01-22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백색 폴리에스테르필름
US20100285302A1 (en) * 2007-12-26 2010-11-11 Toray Industries, Inc. White laminated polyester film for reflecting sheet
FR2929948B1 (fr) * 2008-04-09 2010-09-24 Toray Plastics Europ Film plastique extrude charge en particules metalliques, procede d'obtention et utilisations dudit film
JP5405917B2 (ja) * 2009-06-24 2014-02-05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Led照明の反射フィルムとして用いられる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
KR101813543B1 (ko) 2010-02-26 2017-12-29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백색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면광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34449A1 (en) 2003-11-05 2007-06-14 Campbell Bruce C Inkjet recording element
KR20070052859A (ko) * 2005-11-18 2007-05-2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백색 다공성 단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019614A (ko) * 2009-08-20 2011-02-2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23287A (ko) * 2009-08-31 2011-03-0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521B1 (ko) * 2013-10-15 2015-06-09 주식회사 효성 다기능성 폴리에스터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18420A (ko) * 2014-04-14 2015-10-2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백색 다공성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KR101594540B1 (ko) * 2014-04-14 2016-02-16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백색 다공성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51176A4 (en) 2015-06-24
TW201311783A (zh) 2013-03-16
JP5876935B2 (ja) 2016-03-02
US20140316022A1 (en) 2014-10-23
WO2013032270A3 (en) 2013-04-25
TWI492971B (zh) 2015-07-21
JP2014529662A (ja) 2014-11-13
CN103781826A (zh) 2014-05-07
EP2751176B1 (en) 2021-07-21
CN103781826B (zh) 2017-02-08
US9835766B2 (en) 2017-12-05
EP2751176A2 (en) 2014-07-09
WO2013032270A2 (en) 2013-03-07
PL2751176T3 (pl) 202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9499B2 (en) White porous polyester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220225B1 (ko)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38900B1 (ko) 백색 다공성 단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13543B1 (ko) 백색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면광원
KR20090123910A (ko)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반사 필름 및 반사판
KR102078451B1 (ko)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반사 시트
KR102020532B1 (ko) 백색 폴리에스테르 반사필름의 제조방법, 그에 의한 반사필름 및 그를 이용한 반사시트
KR101675350B1 (ko)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450840B1 (ko)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74190B1 (ko) 백색 폴리에스테르 반사필름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사시트
KR100721808B1 (ko) 백색 다공성 단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23277B1 (ko) 백색 다공성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4361886A (ja) 反射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577367B1 (ko)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반사 시트
KR20160052205A (ko)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848452B1 (ko) 다층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1253957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7023185A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樹脂反射フィルム及び反射板
KR20150061173A (ko) 백색 폴리에스테르 반사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23287A (ko)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02990A (ko) 글래스 버블을 함유하는 반사 시트
KR20160043277A (ko)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사시트
KR20140086142A (ko)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적층형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