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129B1 - 보일러 연소실 내부 작업 발판 및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보일러 연소실 내부 작업 발판 및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129B1
KR101220129B1 KR1020110065273A KR20110065273A KR101220129B1 KR 101220129 B1 KR101220129 B1 KR 101220129B1 KR 1020110065273 A KR1020110065273 A KR 1020110065273A KR 20110065273 A KR20110065273 A KR 20110065273A KR 101220129 B1 KR101220129 B1 KR 101220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combustion chamber
gondola
scaffold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5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959A (ko
Inventor
백훈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백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백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백상
Priority to KR1020110065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129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specially adapted for nuclear steam generators, e.g. maintenance, repairing or inspect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2B37/006Walking equipment, e.g. walking platforms suspended at the tube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3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horizont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비계로서는 보일러 연소실과 같은 고공에 발판을 설치하기도 어럽고 해체하기도 어려웠다. 이에 본 발명은 조선소 탱크나 발전소 보일러 배부와 같이 높은 곳에서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 곳에 상기 출렁다리와 같은 개념의 발판을 배경으로 개발하여 설치하되, 출렁다리보다 한결 가설시간이 빠르고 안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종래의 기술은 보일러 연소실 벽면과 천장등 높은 곳에 발판을 설치하여야 할 경우 비계를 조립하고 그곳에 발판을 부설하였었다. 그러나, 이는 작업시간과 자재, 인력이 많이 소요되고 안전성도 낮아 신속하고 안전하게 고공에 발판을 가설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보일러 연소실과 같은 높은 곳의 공간에 발판을 설치하기 위해서 고공에 부설된 와이어 로프 또는 막대의 끝에 본 발명에 의한 로프 발판의 로프를 연결하여 공간으로 진출 시킨 후 상기 로프 발판의 좌우로 직선형 강관형태의 지지보를 상기 로프 발판과 일체화하여 출렁이지 않고 고공에 설치할 수 있는 로프와 거더, 곤도라를 이용한 발판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Description

보일러 연소실 내부 작업 발판 및 설치 방법{Platform System for the Boiler Furnace Maintenance}
본 발명은 보일러 연소실 내부 작업용 곤도라를 이용한 작업발판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비계로서는 보일러 연소실과 같은 고공에 발판을 설치하기도 어럽고 해체하기도 어려웠다. 이에 본 발명은 조선소 탱크나 발전소 보일러 배부와 같이 높은 곳에서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 곳에 상기 출렁다리와 같은 개념의 발판을 배경으로 개발하여 설치하되, 출렁다리보다 한결 가설시간이 빠르고 안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종래의 기술은 보일러 연소실 벽면과 천장등 높은 곳에 발판을 설치하여야 할 경우 비계를 조립하고 그곳에 발판을 부설하였었다. 그러나, 이는 작업시간과 자재, 인력이 많이 소요되고 안전성도 낮아 신속하고 안전하게 고공에 발판을 가설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보일러 연소실과 같은 높은 곳의 공간에 발판을 설치하기 위해서 고공에 부설된 와이어 로프 또는 막대의 끝에 본 발명에 의한 로프 발판의 로프를 연결하여 공간으로 진출 시킨 후 상기 로프 발판의 좌우로 직선형 강관형태의 지지보를 상기 로프 발판과 일체화하여 출렁이지 않고 고공에 설치할 수 있는 로프 발판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결과 높은 곳까지 비계를 설치하고 그 위에 발판을 놓던 것을 바닥부터 비계를 쌓아 올라가는 과정이 없이 고공에 발판을 직접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어 조선 및 석유화학, 제철, 발전분야의 작업속도 향상 및 안전성 제고에 크게 이바지 한다고 볼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보일러 연소실 내부 작업발판의 일 실시도
도 2 는 통상의 보일러와 주변 설비의 명치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보일러 상부의 작업홀과 전방윈치, 후방윈치의 일 실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전방거더의 일 실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보일러 연소실 전후방 및 좌우 수냉벽 정비용 곤도라의일 실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전방 곤도라의 일 실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중앙 곤도라의 일 실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중앙 거더의 일 실시도
도 9 은 본 발명에 의한 중앙 거더의 일 실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전후방, 중앙 곤도라의 일 실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전방 거더와 중앙거더의 일 실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전방 거더와 중앙 거더의 일 실시도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곤도라의 일 실시예
용어의 정의
전방 곤도라, 후방 곤도라, 중앙 곤도라, 전방 거더, 후방 거더, 중앙 거더, 전방 로프, 후방 로프, 전방 윈치, 후방 윈치 :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곤도라, 종래의 거더(Girder), 종래의 로프(Rope), 종래의 윈치(Winch)를 특정위치(특히, 연소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방이나 후방, 좌측이나 우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좌측에 있으면 좌측 ○○, 전방에 있으면 전방 ○○이라고 표현하여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을 종래의 장비에 부가하여 사용도록 하였다. 이러한 원칙하에 본 발명에서 사용한 “중앙 거더 가새부”의 의미는“(연소실의) 중앙(에 있는) 거더(의) 가새부”로 이해하면 된다.
발명의 상세한 실시
본 발명에서 명확한 표현을 위하여 화력 발전소 보일러 및 주변기기에 대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보일러의 버너가 있고, 운전중에는 화염이 존재하는 보일러 내부공간을 “연소실”이라하고, 상기 연소실에서 타고난 연소가스가 방향을 바꾸기 시작하는 곳을 코처럼 앞으로 튀어 나왔다하여 “노즈부(Nose 部)”라하고, 방향을 180도 바꾸어 위로 가던 연소가스가 아래로 내려가는 곳을 “배기가스실”이라 한다. 보일러 연소실 최 상단에 메달려 있는 과열기 튜브, 재열기 튜브등을 메달려 있는 튜브라는 영어명인 “펜던트 튜브(Pendent Tube)”라 하고, 상기 펜던트 튜브가 메달려 있는 보일러의 지붕부위에 해당하는 곳을 “펜트하우스(Pent House)”라 한다. 보일러에서 연소하면서 타고난 재중 연소가스에 포함되지 못하고 비교적 굵은 입자상태인 회분(灰粉, Ash)이 보일러 바닥으로 흘러 내리는 곳을 미끄러지는 튜브라는 영어명을 그대로 사용하여 “슬로프 튜브(Slope Tube)”라고 하고, 상기 회분이 보일러 밖으로 빠져나가게 되는 곳을 “회처리 호퍼(灰處理 Hopper)”라 한다.
또한 통상의 개념과는 약간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본 발명의 확실한 실시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할 용어에 대하여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보일러 : 일반적으로 화력발전용 대용량 보일러를 의미하나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는 화력발전용 보일러만에 국한하지 않고 화력발전용 보일러 및 그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다 적용할 수 있으므로 대형 탱크, 대형 연소로등의 설비를 모두 의미한다.
[도 2]의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에서 터빈빌딩이 있는 방향을 보일러의 “전방”이라 하고, 굴뚝이 있는 쪽을 “후방”이라하며, 상기 전방에서 후방을 보고 왼쪽을 “좌측”, 오를쪽을 “우측”이라 한다. 보일러의 바닥 방향을 “하부”라하고, 보일러의 지붕방향을 “상부”라 한다.
보일러의 지붕에 있는 루프 튜브(Roof Tube)나 수직으로 설치된 수냉벽(Waterwall Tube)의 용접부위인 멤브레인(Membrane) 부위에 작업을 위하여 로프(Rope)등이 관통할 수 있도록 내놓은 구멍을 작업을 위하여 별도로 만든 구멍이라는 뜻으로 “작업홀(作業 Hole,WH)”이라 한다.
대용량 보일러는 구조용 골재(骨材, H-Beam등)의 최상단에 슬링로드에 의하여 지지되고, 운전에 의하여 열을 받으면 보일러 하부로 열팽창을 하게 된다. 이 슬링로드는 수냉벽 및 과열기, 재열기와 같은 펜던트 튜브(Pendent Tube) 헤더(Header)를 지지하게 되고, 상기 헤더들은 보일러에 수평으로 약간의 경사를 지고 설치된 루프 튜브(Roof Tube)를 관통하게된다. 상기 루프 튜브를 바닥으로 하여 펜트 하우스(Pent House)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펜트하우스의 바닥인 루프튜브 튜브간 용접부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 전 수냉벽 구간 및 수냉벽으로 둘러쌓인 연소실 내부 구간에 대하여 다수의 작업홀이 있다.
상기 작업홀을 기준으로 윈치를 설치하여 상기 작업홀 안으로 로프를 내리면, 이 로프가 보일러 연소실 하부인 슬로프 튜브와 회처리 호퍼까지 내려올 수 있다. 이 로프에 곤도라를 연결할 경우 곤도라는 보일러 연소실 최하부인 회처리 호퍼로부터 최 상부인 루프튜브까지 곤도라가 이동을 할 수 있고, 곤도라가 이동할 수 있다면 그곳에서 작업을 할 수 있게된다.
이에 본 발명은
보일러 튜브(Tube) 상단의 전방 좌우 각각에 구비된 윈치인 전방윈치(前方 Winch, 90)와, 상기 전방윈치의 직하부에 상기 보일러 튜브를 관통하는 구멍인 작업홀(作業 Hole, WH)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윈치의 로프가 상기 작업홀을 관통하여 연소실로 내려와 있는 전방로프(前方 Rope,70)와, 상기 보일러 전방 좌우 각각에 위치한 전방로프의 하단과 양단이 연결된 거더로서 트러스 구조체인 전방 거더(前方 Girder, 40)와 상기 전방거더의 하부를 레일(Rail)로 하여 상기 전방거더 전 길이에 걸쳐 수평이동이 가능한 곤도라를 작업발판으로 하는 전방 곤도라(前方 Gondola, 10)를 구비하여 연소실 전방 좌우 전체부위를 이동할 수 있는 작업발판을 만들어 주는 연소실 전방 수냉벽(水冷壁, Water Wall Tube) 작업발판 체계와
보일러 튜브 상단의 후방 좌우 각각에 구비된 윈치인 후방윈치(後方 Winch,100)와, 상기 후방윈치의 직하부에 상기 보일러 튜브를 관통하는 구멍인 작업홀(WH)을 구비하며, 상기 후방윈치의 로프가 상기 작업홀을 관통하여 연소실로 내려와 있는 후방로프(後方 Rope,80)와, 상기 보일러 후방 좌우 각각에 위치한 후방로프의 하단과 양단이 연결된 거더로서 트러스 구조체인 후방 거더(後方 Girder, 50)와 상기 후방거더의 하부를 레일로 하여 상기 후방거더 전 길이에 걸쳐 수평이동이 가능한 곤도라를 작업발판으로 하는 후방 곤도라(後方 Gondola, 20)를 구비하여 연소실 후방 좌우 전체부위를 이동할 수 있는 작업발판을 만들어 주는 연소실 후방 수냉벽 작업발판 체계와
연소실 전방 좌우에 설치된 상기 전방윈치(90)에서 내려온 상기 전방로프(70)와, 연소실 후방 좌우에 설치된 상기 후방윈치(100)에서 내려온 상기 후방로프(80)를 양단으로 하여 보일러 연소실 전방과 후방을 연결하는 트러스 구조체인 중앙거더(60)와 상기 중앙거더 하부를 레일로 하여 상기 중앙거더 전 길이에 걸쳐 수평이동이 가능한 곤도라를 작업발판으로 하는 중앙 곤도라(中央 Gondola, 30)를 구비하여 연소실 좌우 수냉벽 전체부위에 작업발판을 만들어 주는 연소실 좌우 수냉벽 작업발판 체계와
상기 전방거더(40)와 후방거더(50)의 상부를 양단 레일로하여 상기 전방거더와 상기 후방거더의 전 길이에 걸쳐 수평이동이 가능한 거더로서 트러스 구조체인 중앙거더(中央 Girder, 60)와, 상기 중앙거더 하부를 레일로 하여 상기 중앙거더 전 길이에 걸쳐 수평이동이 가능한 곤도라를 작업발판으로 하는 중앙 곤도라(中央 Gondola, 30)와 상기 중앙거더 두 세트(Set)를 일정 간격으로 띄워놓고, 이들 상부를 상호 연결하여 발판을 구축하고 그 위에 조립식 비계인 작업비계(作業飛階, 110)를 구비하여 연소실 중앙 좌우 전체부위와 펜던트 튜브까지 작업발판을 만들어 주는 연소실 중앙 작업발판 체계를 특징으로 하여 보일러 내부 전체 부위에 걸쳐 작업발판이 이동하게 하는 연소실 내부 작업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일러 튜브(Tube) 상단의 전방 좌우 각각에 구비된 윈치인 전방윈치(前方 Winch, 90)와, 상기 전방윈치의 직하부에 상기 보일러 튜브를 관통하는 구멍인 작업홀(作業 Hole, WH)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윈치의 로프가 상기 작업홀을 관통하여 연소실로 내려와 있는 전방로프(前方 Rope,70)와, 상기 보일러 전방 좌우 각각에 위치한 전방로프의 하단과 양단이 연결된 거더로서 트러스 구조체인 전방 거더(前方 Girder, 40)와 상기 전방거더의 하부를 레일(Rail)로 하여 상기 전방거더 전 길이에 걸쳐 수평이동이 가능한 곤도라를 작업발판으로 하는 전방 곤도라(前方 Gondola, 10)를 구비하여 연소실 전방 좌우 전체부위를 이동할 수 있는 작업발판을 만들어 주는 연소실 전방 수냉벽(水冷壁, Water Wall Tube) 작업발판 체계는 다음과 같이 실시할 수 있다.
보일러 튜브(Tube) 상단의 전방 좌우 각각에 구비된 윈치인 전방윈치(前方 Winch, 90)는 보일러 튜브의 최 상단부인 루프튜브 위에 좌우 양단으로 배치한 통상의 윈치를 말한다. 루프튜브는 [도 2]의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일러 연소실의 최 상단에 수평으로 배치된 튜브를 말한다. 상기 전방윈치의 직하부에 상기 보일러 튜브를 관통하는 구멍인 작업홀(作業 Hole, WH)은 [도 3]과 같이 보일러 튜브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정비를 위하여 구멍을 뚫어 놓은 것을 것을 말한다. [도 3]은 보일러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바라본 보일러 루프튜브 평면도로서 전방윈치의 좌우 양단이라 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 연소실의 좌우 끝을 의미하며, 전방윈치가 상기와 같이 보일러 연소실 전방 좌우 끝에 위치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전방윈치의 로프가 상기 작업홀을 관통하여 연소실로 내려와 있는 전방로프(前方 Rope,70)는 전방윈치의 드럼에 감겨있는 로프를 풀어 상기 전방위치가 있는 바로 아래의 작업홀로 내려보내 보일러 연소실안으로 풀어 내려진 로프로서 보일러 연소실 안에 있는 전방윈치의 로프를 말한다.
상기 보일러 전방 좌우 각각에 위치한 전방로프의 하단과 양단이 연결된 거더로서 트러스 구조체인 전방 거더(前方 Girder, 40)는 [도 2]의 도시된 보일러 연소실의 노즈부 하단에 위치한 통상의 트러스(Truss) 구조체를 보일러 전방 수냉벽 좌우끝보다 약간 못미치는 곳까지 배치시키고 상기 트러스 구조체의 양끝 상단부를 상기 전방로프의 끝과 연결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트러스 구조체를 보일러 전방 수냉벽 좌우끝보다 약간 못미치게 만드는 이유는 상기 트러스 구조체가 보일러의 전방 수냉벽을 따라 상하로 이동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보일러 내부 수냉벽면과 상기 트러스 구조체의 양끝면이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전방거더(40)는 [도 4]와 [도 7]의 좌측,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거더 수평부(41), 전방거더 수직부(42), 전방거더 가새부(43), 전방거더 스토퍼(44), 전방거더 레일빔(45), 전방거더 레일(47), 전방거더 상부레일(48)를 구비하여 보일러 연소실 전방에 메달린 통상의 트러스 구조체에 수평부으로 레일(Rail)이 하나 더 부가된 구조이다. 전방거더 수평부(41)는 두 개의 구조용 강재를 수평으로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한 것이며, 전방거더 수직부(42)는 상기 상하로 배치된 전방거더 수평부를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볼트나 용접등으로 일체화한 것이다. 전방거더 가새부(43)는 상기 전방거더 수평부와 전방거더 수직부가 구성한 사각형 구조물의 강성(剛性, Stiffness)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각형의 두 모서리를 연결한 경사부재이다. 이상과 같이 전방거더 수평부와 전방거더 수직부, 전방거더 가새부로서 완전한 트러스 구조를 이루어 보일러 수냉벽을 따라가는 긴 트러스 구조체가 완성된다. 이러한 트러스 구조체의 수평부인 전방거더 수평부 상하 구조체에 앵글(Angle)과 같은 구조용 강재를 상기 전방거더 수평부 전 길이에 걸쳐 용접하면 상기 전방거더 수평부와 상기 앵글과 같은 구조용 강재 사이에 롤러가 운행할 수 있는 길이 구비된다. 이 길이 전방거더 상부레일(48)이 된다. 이상과 같이 구축된 트러스 구조체의 하단에 별도의 구조용 강재인 빔(Beam)을 상기 하부 전방거더 수평부(41)에 일정 간격을 두고 용접이나 볼트체결과 같은 방법으로 일체화하면 전방거더 레일빔(45)이 구비되며, 상기 전방거더 레일빔의 단면 좌우측에 앵글과 같은 구조용 강재를 용접하면 전방거더 레일(47)이 구비된다. 상기 앵글 바닥에 랙(Rack)을 배치하고, 롤러의 바퀴로서 피니언(Pinion)을 이용하면 롤러의 회전시에는 롤러가 부착된 거더나 곤도라가 수평이동을 하고, 롤러가 정지하면 상기 거더나 곤도라가 더 이상 미끄러지지 않고 정지한 위치에서 고정되어 안정된 수평 위치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방거더를 레일(Rail)로 하여 상기 전방거더 전 길이에 걸쳐 수평이동이 가능한 곤도라를 작업발판으로 하는 전방 곤도라(前方 Gondola, 10)는 상기 전방거더의 하단에 상기 전방거더의 전길이에 걸친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레일위를 운행하는 바퀴에 통상의 곤도라의 로프를 연결하는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전방곤도라(10)는 [도 10]의 좌측 및 [도 6],[도13]에 일 실시예가 잘 나타나 있는 통상의 곤도라를 이용하는 것으로 통상의 작업자가 타고서 일하는 공간인 작업대인 전방곤도라 작업대(11), 통상의 곤도라 로프인 전방 곤도라 로프(12), 통상의 곤도라 수평위치 수단인 전방 곤도라 롤러 케이스(13)와 전방곤도라 롤러(14)를 구비하여 상기 전방곤도라 롤러(14)가 상기 전방거더(40)의 상기 전방거더 레일(47)을 따라 이동하면서 연소실 상부와 하부로 높낮이 위치이동을 한다.
이와같이 하면 보일러 연소실 전방 좌우 전체부위를 이동할 수 있는 곤도라가 만들어지고, 상기 곤도라 안에는 작업자가 일을 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이를 작업발판이라 표현하여 보일러 전방 전체부위에서 일 할 수 있는 작업발판이 구비되게 된다.
보일러 루프 튜브 상단의 후방 좌우 각각에 구비된 윈치인 후방윈치(後方 Winch,100)와, 상기 후방윈치의 직하부에 상기 보일러 튜브를 관통하는 구멍인 작업홀(WH)을 구비하며, 상기 후방윈치의 로프가 상기 작업홀을 관통하여 연소실로 내려와 있는 후방로프(後方 Rope,80)와, 상기 보일러 후방 좌우 각각에 위치한 후방로프의 하단과 양단이 연결된 거더로서 트러스 구조체인 후방 거더(後方 Girder, 50)와 상기 후방거더의 하부를 레일로 하여 상기 후방거더 전 길이에 걸쳐 수평이동이 가능한 곤도라를 작업발판으로 하는 후방 곤도라(後方 Gondola, 20)를 구비하여 연소실 후방 좌우 전체부위를 이동할 수 있는 작업발판을 만들어 주는 연소실 후방 수냉벽 작업발판 체계는 다음과 같이 실시할 수 있다.
보일러 루프 튜브 상단의 후방 좌우 각각에 구비된 윈치인 후방윈치(後方 Winch,100)는 보일러 연소실 후방의 노즈부 상단 외곽에 [도 1]과 같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후방윈치의 직하부에 상기 연소실 후방의 노즈부 보일러 튜브를 관통하는 구멍인 작업홀(WH)을 구비하도록 하여야 한다. 본 후방 수냉벽 작업발판 체계는 후방 윈치가 위치하는 곳이 전방윈치가 위치하는 곳과 다를 뿐 후방윈치(100)의 그럼에 감겨있는 로프가 연소실로 들어온 상태로부터는 전방 수냉벽 작업발판 체계와 동일한 구조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후방로프(後方 Rope,80)와, 후방 거더(後方 Girder, 50)와 후방 곤도라(後方 Gondola, 20)의 구조는 전방 로프(70), 전방 거더(40), 전방 곤도라(10)와 동일한 구조 및 동작 체계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후방 거더와 후방 곤도라를 구성하는 부재들의 명칭을 상기 전방 거더와 전방 곤도라의 구성부재와 동일하게 하되, 단지 전방대신 후방이라 명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자의 명확한 이해를 위하여 번호는 달리하였으므로 본 후방 수냉벽 작업발판 체계에 대하여는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고, 부재들의 구성만을 설명하겠다.
보일러 연소실 내부 좌측과 우측으로 내려온 후방로프(80)는 후방거더(50)의 양단에 고정되며, 상기 후방거더(50)는 후방거더 수평부(51), 후방거더 수직부(52), 후방거더 가새부(53), 후방거더 스토퍼(54), 후방거더 레일빔(55), 후방거더 레일(57), 후방거더 상부레일(58)를 구비하여 보일러 연소실 후방에 메달려 연소실 상부와 하부로 높낮이 위치이동을 한다.
후방곤도라(20)는 후방곤도라 작업대(21), 후방 곤도라 로프(22), 후방 곤도라 롤러 케이스(23), 후방곤도라 롤러(24)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곤도라 롤러(24)가 상기 후방거더(50)의 상기 후방거더 레일(57)을 따라 이동하면서 연소실 상부와 하부로 높낮이 위치이동을 한다.
전방윈치와 후방윈치가 설치될 자리는 연소실 내부에서 작업할 곳보다 높은 위치의 작업홀이 있는 지역이면 어느 곳이든 가능하나 통상 상기 작업홀이 보일러 루프 튜브(Roof Tube) 상단과 보일러 연소실 후방인 노즈부 튜브(Nose部 Tube)에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작업홀은 반드시 윈치의 로프가 통과할 수 있는 작은 구멍이면 충분하지만, 버너가 설치된 곳이나 점검구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전방거더(40)와 후방거더(50)의 상부를 양단 레일로하여 상기 전방거더와 상기 후방거더의 전 길이에 걸쳐 수평이동이 가능한 거더로서 트러스 구조체인 중앙거더(中央 Girder, 60)와, 상기 중앙거더 하부를 레일로 하여 상기 중앙거더 전 길이에 걸쳐 수평이동이 가능한 곤도라를 작업발판으로 하는 중앙 곤도라(中央 Gondola, 30)와 상기 중앙거더 두 세트(Set)를 일정 간격으로 띄워놓고, 이들 상부를 상호 연결하여 발판을 구축하고 그 위에 조립식 비계인 작업비계(作業飛階, 110)를 구비하여 연소실 중앙 좌우 전체부위와 펜던트 튜브까지 작업발판을 만들어 주는 연소실 중앙 작업발판 체계는 다음과 같이 실시할 수 있다.
중앙거더 수평부(61), 중앙거더 수직부(62), 중앙거더 가새부(63), 중앙거더 스토퍼(64), 중앙거더 레일빔(65), 중앙거더 레일(67), 중앙거더 상부레일(68), 중앙거더 롤러(69)를 구비한 중앙거더(60)는 상기 전방트러스와 상기 후방트러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중앙거더의 전방 끝자리에 구비된 상기 중앙거더 롤러(69)가 전방거더 상부레일(48)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중앙거더(60)의 후방 끝자리에 구비된 상기 중앙거더 롤러(69)가 상기 후방거더(50)의 후방거더 상부레일(48)을 따라 이동한다.
중앙곤도라 작업대(31), 중앙 곤도라 로프(32), 중앙 곤도라 롤러 케이스(33), 중앙곤도라 롤러(34)를 구비한 중앙곤도라(30)는 상기 중앙곤도라 롤러(34)가 상기 중앙거더(60)의 상기 중앙거더 레일(57)을 따라 이동하면서 연소실 상부와 하부로 높낮이 위치이동을 한다.
본 발명을 착오없이 실시하기 위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일러 연소실 외곽 최 상단 좌측과 우측에 에 전방윈치(90)를 구비하고, 노즈부 외곽 최상단 좌측과 우측에 후방윈치(100)를 구비하며, 상기 좌측과 우측에 있는 전방윈치(90)는 전방로프(70)를 구비하여 상기 좌측과 우측에 있는 상기 전방로프가 연소실 외곽 최상단에서 연소실 내부 좌측과 우측으로 내려오도록하고, 상기 좌측과 우측에 있는 상기 후방윈치(100)는 후방로프(80)를 구비하여 상기 후방로프가 노즈부 외곽 최상단에서 연소실 내부 좌측과 우측으로 내려오도록 하는 로프 진입 단계는 다음과 같다.
전방윈치(90)는 통상의 윈치(Winch)로서 보일러 루프튜브(Roof Tube)의 상단, 전방에 있는 작업홀(WH)로 상기 전방윈치의 로우프가 내려갈 수 있도록 배치한 것을 말한다. 후방윈치(100)역시 상기 전방윈치(90)와 동일한 통상의 윈치를 노즈부 외곽 보일러 후방에 있는 작업홀(WH) 위에 설치한 것을 말한다. 전방로프(70)는 전방윈치(90)의 드럼에 연결된 로프가 보일러 전방으로 내려오는 것을 말하고, 후방로프(80)는 상기 후방윈치(100)의 드럼에 연결된 로프가 보일러 후방으로 내려오는 것을 말한다. 이상과 같이 보일러 연소실 밖 상단에 있는 윈치의 로프가 보일러 연소실 안으로 내려오는 단계로서 반드시 보일러 루프튜브 상단 전방에 좌우로 두 개의 윈치를 배치하고, 노즈부가 있는 후방에도 좌우로 두 개의 윈치를 배치하여야 한다.
상기 연소실 내부 좌측과 우측으로 내려온 전방로프(70)는 전방거더(40)의 양단에 고정되며, 상기 전방거더(40)는 전방거더 수평부(41), 전방거더 수직부(42), 전방거더 가새부(43), 전방거더 스토퍼(44), 전방거더 레일빔(45), 전방거더 레일(47), 전방거더 상부레일(48)를 구비하여 보일러 연소실 전방에 메달리면서 연소실 상부와 하부로 높낮이 위치이동을 하는 전방 트러스를 구축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연소실 내부 좌측과 우측으로 내려온 전방로프(70)란 연소실의 전방 수냉벽에서 30-50cm정도(작업자의 업무처리를 위하여 통상 이정도가 좋으나 거리를 제한하지는 않는다)로 전방 곤도라 작업대(11)의 겉면이 떨어지게 할 수 있는 위치의 작업홀(WH)에 상기 전방윈치(90)를 배치하고, 거기서 내려온 윈치의 로프를 말한다. 이 로프는 보일러 전방 수냉벽의 좌단과 우단에 가깝게 배치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보일러 전방 수냉벽 전체 폭보다 통상 60-100cm(반드시 거리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길이가 작게 만든 전방거더(40)의 양단에 [도 3]에 예시된 바와같이 고정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상기 전방거더(40)는 [도 4]와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트러스(Truss) 구조의 수평부, 수직부, 가새부에 해당하는 전방거더 수평부(41), 전방거더 수직부(42), 전방거더 가새부(43)와 곤도라가 상기 전방거더의 끝에서 더 이상 밖으로 나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곤도라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방거더의 끝에 평철등으로 일체화한 전방거더 스토퍼(44)를 구비하게 된다. 본 전방거더는 트러스구조의 하부 전길이에 걸쳐 랙(Rack)을 취부할 수 있는 구조용 각관이나 파이프등을 이용한 전방거더 레일빔(45), 상기 전방거더 레일빔의 측면으로 장착한 랙인 전방거더 레일(47)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비된다. 전방거더 상부레일(48)은 [도 4]에 예시된 바와같이 앵글등의 구조용 강재의 바닥에 랙을 부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연소실 내부 좌측과 우측으로 내려온 후방로프(80)는 후방거더(50)의 양단에 고정되며, 상기 후방거더(50)는 후방거더 수평부(51), 후방거더 수직부(52), 후방거더 가새부(53), 후방거더 스토퍼(54), 후방거더 레일빔(55), 후방거더 레일(57), 후방거더 상부레일(58)를 구비하여 보일러 연소실 후방에 메달리면서 연소실 상부와 하부로 높낮이 위치이동을 하는 후방 트러스를 구성단계는 다음과 같이 상기 전방 트러스 구성단계에서 모든 기기가 전방에 있지 아니하고 후방에 있는 점만 다를 뿐 그 구성특성이 동일하다.
연소실 내부 좌측과 우측으로 내려온 후방로프(80)란 연소실의 후방 수냉벽에서 30-50cm정도(작업자의 업무처리를 위하여 통상 이정도가 좋으나 거리를 제한하지는 않는다)로 후방 곤도라 작업대(21)의 겉면이 떨어지게 할 수 있는 위치의 작업홀(WH)에 상기 후방윈치(100)를 배치하고, 거기서 내려온 윈치의 로프를 말한다. 이 로프는 보일러 후방 수냉벽의 좌단과 우단에 가깝게 배치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보일러 후방 수냉벽 전체 폭보다 통상 60-100cm(반드시 거리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길이가 작게 만든 후방거더(50)의 양단에 [도 3]에 예시된 바와같이 고정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상기 후방거더(50)는 [도 4]와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트러스(Truss) 구조의 수평부, 수직부, 가새부에 해당하는 후방거더 수평부(51), 후방거더 수직부(52), 후방거더 가새부(53)와 곤도라가 상기 후방거더의 끝에서 더 이상 밖으로 나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곤도라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후방거더의 끝에 평철등으로 일체화한 후방거더 스토퍼(54)를 구비하게 된다. 본 후방거더는 트러스구조의 하부 전길이에 걸쳐 랙(Rack)을 취부할 수 있는 구조용 각관이나 파이프등을 이용한 후방거더 레일빔(55), 상기 후방거더 레일빔의 측면으로 장착한 랙인 후방거더 레일(57)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비된다. 후방거더 상부레일(48)은 [도 4]와 [도 6]에 예시된 바와같이 앵글등의 구조용 강재의 바닥에 랙을 부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중앙거더 수평부(61), 중앙거더 수직부(62), 중앙거더 가새부(63), 중앙거더 스토퍼(64), 중앙거더 레일빔(65), 중앙거더 레일(67), 중앙거더 상부레일(68), 중앙거더 롤러(69)를 구비한 중앙거더(60)는 상기 전방트러스와 상기 후방트러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중앙거더의 전방에 구비된 상기 중앙거더 롤러(69)가 전방거더 상부레일(48)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중앙거더(60)의 후방에 구비된 상기 중앙거더 롤러(69)가 상기 후방거더(50)의 후방거더 상부레일(48)을 따라 이동하면서 연소실 상부와 하부로 높낮이 위치이동을 하는 중앙트러스 구성단계는 다음과 같이 실시하면 된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거더(40)와 후방거더(50)는 전방 수냉벽과 후방 수냉벽으로부터 각각 일정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전방거더와 후방거더 사이에 중앙거더(60)가 위치하여 상기 전방거더와 후방거더를 양단 레일로 사용하여 보일러의 좌우측으로 이동을 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이 중앙거더(60)이다. 그러므로 중앙거더는 전방거더와 후방거더의 전방거더 수평부(41)와 후방거더 수평부(51)에 평행하게 [도 12]와 같이 설치된 전방거더 상부레일(48)과 후방거더 상부레일(58)을 통상의 기차 레일과 같이 평행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중앙거더의 전체 구성은 통상의 트러스로된 구조체가 보일러 중앙을 왕복하는 특성을 갖도록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중앙거더 수평부(61), 중앙거더 수직부(62), 중앙거더 가새부(63)를 기본 골조로하여 기계구조체를 형성하며 상기 트러스로 된 구조체가 보일러 중앙을 왕복하도록 하기 위하여 양단에 통상의 랙과 피니언의 피니언을 구성하는 중앙거더롤러(69)가 구비되고, 상기 중앙거더 롤러(69)는 랙의 기능을 하는 상기 전방거더 상부레일(48)위를 상기 전방거더와 후방거더의 동일 위치에 있도록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전방곤도라 작업대(11), 전방 곤도라 로프(12), 전방 곤도라 롤러 케이스(13), 전방곤도라 롤러(14)를 구비한 전방곤도라(10)는 상기 전방곤도라 롤러(14)가 상기 전방거더(40)의 상기 전방거더 레일(47)을 따라 이동하면서 연소실 상부와 하부로 높낮이 위치이동을 하는 전방 작업대와
후방곤도라 작업대(21), 후방 곤도라 로프(22), 후방 곤도라 롤러 케이스(23), 후방곤도라 롤러(24)를 구비한 후방곤도라(20)는 상기 후방곤도라 롤러(24)가 상기 후방거더(50)의 상기 후방거더 레일(57)을 따라 이동하면서 연소실 상부와 하부로 높낮이 위치이동을 하는 후방 작업대와
중앙곤도라 작업대(31), 중앙 곤도라 로프(32), 중앙 곤도라 롤러 케이스(33), 중앙곤도라 롤러(34)를 구비한 중앙곤도라(30)는 상기 중앙곤도라 롤러(34)가 상기 중앙거더(60)의 상기 중앙거더 레일(57)을 따라 이동하면서 연소실 상부와 하부로 높낮이 위치이동을 하는 중앙 작업대로 구성되며,
전방거더에 전방곤도라 작업대, 후방거더에 후방곤도라 작업대, 중앙거더에 중앙거더 작업대로 대응하도록 하면서 단지 전방,후방,중앙 거더에 전방,후방,중앙거더 작업대로 표현(이하 “작업대 표현규칙”이라 한다)만 다르지 작동원리와 용어는 동일한 작업대 표현 규칙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실시할 수 있다.
전방,후방,중앙 곤도라 작업대(11,21,31)는 통상의 작업용 곤도라를 말하며, 직육면체 박스속에 와이어를 올리고 내리는 동력장치와 제동장치등을 구비한 것이다. 전방,후방,중앙 곤도라 로프(12,22,32)는 상기 곤도라 작업대를 공중에 매달고 있는 통상의 로프이다. 전방,후방,중앙 곤도라 롤러 케이스(13,23,33)는 상기 곤도라 로프가 상부에 메달려 있는 곳으로 곤도라의 수평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전방,후방,중앙 곤도라 롤러(14,24,34)를 상기 전방,후방,중앙 롤러 케이스의 폭과 같이 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전방,후방,중앙 곤도라 롤러의 직 하단에 상기 전방,후방,중앙 곤도라 로프를 지지하도록 하며, 상기 전방,후방,중앙 곤도라 롤러를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하는 구조물을 의미한다. 전방,후방,중앙 거더 레일(47,57,67)은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거더의 수평부중 아래에 위치한 수평부에 일체화되어 있으면서 하나더 있는 수평부에 앵글과 같은 구조용 재료를 사용하고, 상기 앵글바닥에 랙(Rack)을 깔아 그 위에 각 곤도라 롤러(14,24,34)인 피니언(Pinion)이 랙과 맞물려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중앙거더(60) 두 개를 인접하게 배치하고, 상기 인접 배치된 중앙거더를 발판으로 연결한 후 상기 발판위에 작업비계(110)를 설치하는 중앙발판 설치단계는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중앙거더 두 개를 인접하게 배치하는 것은 [도 9]와 같이 작업비계의 가로대 폭 이상으로 중앙거더 두 개의 간격을 벌려놓고, 상기 두 개의 중앙거더를 구조용 강재를 사용하여 볼트등의 체결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거더 전 길이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보일러 내부의 정비를 주 목적으로 하므로 본 발명품의 조립시간이 짧은 것이 매우 경제적이 되게 되어 보일러 연소실 안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모든 조립작업에 소요되는 체결기구는 신속체결기구(Quick Clamping Device)를 사용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두 중앙거더를 체결한 후에는 상기 두 중앙거더의 상부에 작업을 하여야 하는 위치에 발판을 설치하고 상기 발판위에 비계를 펜던트 튜브의 작업위치까지 조립하면 된다.
10 : 전방 곤도라
20 : 후방 곤도라
30 : 중앙 곤도라
40 : 전방 거더
50 : 후방 거더
60 : 중앙 거더
70 : 전방 로프
80 : 후방 로프
90 : 전방 윈치
100 : 후방 윈치
110 : 작업 비계

Claims (6)

  1. 보일러 튜브(Tube) 상단의 전방 좌우 각각에 구비된 윈치인 전방윈치(前方 Winch, 90)와, 상기 전방윈치의 직하부에 상기 보일러 튜브를 관통하는 구멍인 작업홀(作業 Hole, WH)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윈치의 로프가 상기 작업홀을 관통하여 연소실로 내려와 있는 전방로프(前方 Rope,70)와, 보일러 튜브 상단의 후방 좌우 각각에 구비된 윈치인 후방윈치(後方 Winch,100)와, 상기 후방윈치의 직하부에 상기 보일러 튜브를 관통하는 구멍인 작업홀(WH)을 구비하며, 상기 후방윈치의 로프가 상기 작업홀을 관통하여 연소실로 내려와 있는 후방로프(後方 Rope,80)에 넓은 바닥인 스테이지(Stage)가 매달리고, 상기 스테이지의 아래로 사람이 타는 인력용 곤도라가 매달린 기계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 전방 좌우 각각에 위치한 전방로프의 하단과 양단이 연결된 거더로서 트러스 구조체인 전방 거더(前方 Girder, 40)와 상기 전방거더의 하부를 레일(Rail)로 하여 상기 전방거더 전 길이에 걸쳐 수평이동이 가능한 곤도라를 작업발판으로 하는 전방 곤도라(前方 Gondola, 10)를 구비하여 연소실 전방 좌우 전체부위를 이동할 수 있는 작업발판을 만들어 주는 연소실 전방 수냉벽(水冷壁, Water Wall Tube) 작업발판;

    상기 보일러 후방 좌우 각각에 위치한 후방로프의 하단과 양단이 연결된 거더로서 트러스 구조체인 후방 거더(後方 Girder, 50)와 상기 후방거더의 하부를 레일로 하여 상기 후방거더 전 길이에 걸쳐 수평이동이 가능한 곤도라를 작업발판으로 하는 후방 곤도라(後方 Gondola, 20)를 구비하여 연소실 후방 좌우 전체부위를 이동할 수 있는 작업발판을 만들어 주는 연소실 후방 수냉벽 작업발판;

    연소실 전방 좌우에 설치된 상기 전방윈치(90)에서 내려온 상기 전방로프(70)와, 연소실 후방 좌우에 설치된 상기 후방윈치(100)에서 내려온 상기 후방로프(80)를 양단으로 하여 보일러 연소실 전방과 후방을 연결하는 트러스 구조체인 중앙거더(60)와 상기 중앙거더 하부를 레일로 하여 상기 중앙거더 전 길이에 걸쳐 수평이동이 가능한 곤도라를 작업발판으로 하는 중앙 곤도라(中央 Gondola, 30)를 구비하여 연소실 좌우 수냉벽 전체부위에 작업발판을 만들어 주는 연소실 좌우 수냉벽 작업발판;

    상기 전방거더(40)와 후방거더(50)의 상부를 양단 레일로하여 상기 전방거더와 상기 후방거더의 전 길이에 걸쳐 수평이동이 가능한 거더로서 트러스 구조체인 중앙거더(中央 Girder, 60)와, 상기 중앙거더 하부를 레일로 하여 상기 중앙거더 전 길이에 걸쳐 수평이동이 가능한 곤도라를 작업발판으로 하는 중앙 곤도라(中央 Gondola, 30);

    상기 중앙거더 두 세트(Set)를 일정 간격으로 띄워놓고, 이들 상부를 상호 연결하여 발판을 구축하고 그 위에 조립식 비계인 작업비계(作業飛階, 110)를 구비하여 연소실 중앙 좌우 전체부위와 펜던트 튜브까지 작업발판을 만들어 주는 연소실 중앙 작업발판;을
    포함하여 보일러 내부의 특정 부위를 신속하게 정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연소실 내부 작업발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 전방 수냉벽 작업발판 체계는 보일러 튜브(Tube) 상단의 전방 좌우 각각에 구비된 윈치인 전방윈치(前方 Winch, 90)와, 상기 전방윈치의 직하부에 상기 보일러 튜브를 관통하는 구멍인 작업홀(作業 Hole, WH)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윈치의 로프가 상기 작업홀을 관통하여 연소실로 내려와 있는 전방로프(前方 Rope,70)와, 상기 보일러 전방 좌우 각각에 위치한 전방로프의 하단과 양단이 연결된 거더로서 트러스 구조체인 전방 거더(前方 Girder, 40)와 상기 전방거더의 하부를 레일(Rail)로 하여 상기 전방거더 전 길이에 걸쳐 수평이동이 가능한 곤도라를 작업발판으로 하는 전방 곤도라(前方 Gondola, 10)를 구비하여 연소실 전방 좌우 전체부위를 이동할 수 있는 작업발판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연소실 내부 작업발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 후방 수냉벽 작업발판 체계는 보일러 튜브 상단의 후방 좌우 각각에 구비된 윈치인 후방윈치(後方 Winch,100)와, 상기 후방윈치의 직하부에 상기 보일러 튜브를 관통하는 구멍인 작업홀(WH)을 구비하며, 상기 후방윈치의 로프가 상기 작업홀을 관통하여 연소실로 내려와 있는 후방로프(後方 Rope,80)와, 상기 보일러 후방 좌우 각각에 위치한 후방로프의 하단과 양단이 연결된 거더로서 트러스 구조체인 후방 거더(後方 Girder, 50)와 상기 후방거더의 하부를 레일로 하여 상기 후방거더 전 길이에 걸쳐 수평이동이 가능한 곤도라를 작업발판으로 하는 후방 곤도라(後方 Gondola, 20)를 구비하여 연소실 후방 좌우 전체부위를 이동할 수 있는 작업발판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연소실 내부 작업발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 좌우 수냉벽 작업발판 체계는 연소실 전방 좌우에 설치된 상기 전방윈치(90)에서 내려온 상기 전방로프(70)와, 연소실 후방 좌우에 설치된 상기 후방윈치(100)에서 내려온 상기 후방로프(80)를 양단으로 하여 보일러 연소실 전방과 후방을 연결하는 트러스 구조체인 중앙거더(60)와 상기 중앙거더 하부를 레일로 하여 상기 중앙거더 전 길이에 걸쳐 수평이동이 가능한 곤도라를 작업발판으로 하는 중앙 곤도라(中央 Gondola, 30)를 구비하여 연소실 좌우 수냉벽 전체부위에 작업발판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실 내부 작업발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 중앙 작업발판 체계는 상기 전방거더(40)와 후방거더(50)의 상부를 양단 레일로하여 상기 전방거더와 상기 후방거더의 전 길이에 걸쳐 수평이동이 가능한 거더로서 트러스 구조체인 중앙거더(中央 Girder, 60)와, 상기 중앙거더 하부를 레일로 하여 상기 중앙거더 전 길이에 걸쳐 수평이동이 가능한 곤도라를 작업발판으로 하는 중앙 곤도라(中央 Gondola, 30)와 상기 중앙거더 두 세트(Set)를 일정 간격으로 띄워놓고, 이들 상부를 상호 연결하여 발판을 구축하고 그 위에 조립식 비계인 작업비계(作業飛階, 110)를 구비하여 연소실 중앙 좌우 전체부위와 펜던트 튜브까지 작업발판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연소실 내부 작업발판
  6. 보일러 전방 좌우 각각에 위치한 전방로프의 하단과 양단이 연결된 거더로서 트러스 구조체인 전방 거더(前方 Girder, 40)와 상기 전방거더의 하부를 레일(Rail)로 하여 상기 전방거더 전 길이에 걸쳐 수평이동이 가능한 곤도라를 작업발판으로 하는 전방 곤도라(前方 Gondola, 10)를 구비하여 연소실 전방 좌우 전체부위를 이동할 수 있는 작업발판을 만들어 주는 연소실 전방 수냉벽(水冷壁, Water Wall Tube) 작업발판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보일러 후방 좌우 각각에 위치한 후방로프의 하단과 양단이 연결된 거더로서 트러스 구조체인 후방 거더(後方 Girder, 50)와 상기 후방거더의 하부를 레일로 하여 상기 후방거더 전 길이에 걸쳐 수평이동이 가능한 곤도라를 작업발판으로 하는 후방 곤도라(後方 Gondola, 20)를 구비하여 연소실 후방 좌우 전체부위를 이동할 수 있는 작업발판을 만들어 주는 연소실 후방 수냉벽 작업발판을 구축하는 단계;

    연소실 전방 좌우에 설치된 전방윈치(90)에서 내려온 전방로프(70)와, 연소실 후방 좌우에 설치된 후방윈치(100)에서 내려온 후방로프(80)를 양단으로 하여 보일러 연소실 전방과 후방을 연결하는 트러스 구조체인 중앙거더(60)와 상기 중앙거더 하부를 레일로 하여 상기 중앙거더 전 길이에 걸쳐 수평이동이 가능한 곤도라를 작업발판으로 하는 중앙 곤도라(中央 Gondola, 30)를 구비하여 연소실 좌우 수냉벽 전체부위에 작업발판을 만들어 주는 연소실 좌우 수냉벽 작업발판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전방거더(40)와 후방거더(50)의 상부를 양단 레일로하여 상기 전방거더와 상기 후방거더의 전 길이에 걸쳐 수평이동이 가능한 거더로서 트러스 구조체인 중앙거더(中央 Girder, 60)와, 상기 중앙거더 하부를 레일로 하여 상기 중앙거더 전 길이에 걸쳐 수평이동이 가능한 곤도라를 작업발판으로 하는 중앙 곤도라(中央 Gondola, 3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중앙거더 두 세트(Set)를 일정 간격으로 띄워놓고, 이들 상부를 상호 연결하여 발판을 구축하고 그 위에 조립식 비계인 작업비계(作業飛階, 110)를 구비하여 연소실 중앙 좌우 전체부위와 펜던트 튜브까지 작업발판을 만들어 주는 연소실 중앙 작업발판을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연소실 내부 작업발판의 설치 방법
KR1020110065273A 2011-07-01 2011-07-01 보일러 연소실 내부 작업 발판 및 설치 방법 KR101220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273A KR101220129B1 (ko) 2011-07-01 2011-07-01 보일러 연소실 내부 작업 발판 및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273A KR101220129B1 (ko) 2011-07-01 2011-07-01 보일러 연소실 내부 작업 발판 및 설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959A KR20110085959A (ko) 2011-07-27
KR101220129B1 true KR101220129B1 (ko) 2013-01-11

Family

ID=44922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5273A KR101220129B1 (ko) 2011-07-01 2011-07-01 보일러 연소실 내부 작업 발판 및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1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533A (ko) 2018-12-07 2020-06-17 김성섭 발전소 보일러 연소실 내부 코너부 작업대 및 시공방법
KR102377444B1 (ko) 2021-03-30 2022-03-22 (주)휴하리 보일러 긴급정비용 추락방지 장치 설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2632B2 (ja) * 2013-08-23 2017-08-02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コンストラクション ボイラ火炉内の作業足場用主梁構造、作業足場用主梁搬送装置、及び作業足場の設置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7941A (ja) * 1992-08-08 1994-03-01 Chubu Electric Power Co Inc ボイラ炉内の足場ステージの吊り上げ装置
JPH11131789A (ja) 1997-10-30 1999-05-18 Shimizu Corp 作業用ゴンドラ
JP2000064600A (ja) 1998-08-21 2000-02-29 Yoneyama Kogyo Kk 移動式吊り足場装置
JP2011047158A (ja) 2009-08-26 2011-03-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作業用ゴンド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7941A (ja) * 1992-08-08 1994-03-01 Chubu Electric Power Co Inc ボイラ炉内の足場ステージの吊り上げ装置
JPH11131789A (ja) 1997-10-30 1999-05-18 Shimizu Corp 作業用ゴンドラ
JP2000064600A (ja) 1998-08-21 2000-02-29 Yoneyama Kogyo Kk 移動式吊り足場装置
JP2011047158A (ja) 2009-08-26 2011-03-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作業用ゴンド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533A (ko) 2018-12-07 2020-06-17 김성섭 발전소 보일러 연소실 내부 코너부 작업대 및 시공방법
KR102377444B1 (ko) 2021-03-30 2022-03-22 (주)휴하리 보일러 긴급정비용 추락방지 장치 설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959A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0843B2 (ja) ボイラ火炉壁の据付方法
JP2007085590A (ja) ボイラ用大型部品の点検用足場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5059357B2 (ja) ボイラケージ部フロアの構築方法
CN101627258B (zh) 用于支撑动力锅炉壁的方法和装置
JP2010013866A (ja) 大梁ブロック吊上げ工法およびこれに利用されるジャッキアップステージ
JP5097313B2 (ja) 吊り足場及びその架設方法
US8191257B2 (en) Method for assembling a steam generator
CN105649314A (zh) 一种高空大跨度连廊施工悬吊平台
KR101220129B1 (ko) 보일러 연소실 내부 작업 발판 및 설치 방법
CN211551986U (zh) 钢结构网架内风管滑移安装装置及风管系统
CN110512517B (zh) 一种桥梁工程施工平台
JP5362901B2 (ja) 火力プラント
JP2019078009A (ja) ボイラ内作業足場、ボイラ水壁の交換装置及びその交換方法
JP2007107785A (ja) ボイラ設備の据付工法
US8020297B2 (en) Method for disassembling boiler
KR101288744B1 (ko) 흡수탑 탱크류 정비등의 작업용 블록비계 시스템
JP2002213707A (ja) セパレート型ボイラプラント及びその建設工法
KR101846788B1 (ko) 발전용 보일러 수냉벽 긴급 보수용 조립식 곤도라 시스템 및 사용방법
CN215717078U (zh) 一种贝雷架悬挑型钢操作平台
JP5039304B2 (ja) ボイラ用架構の構築方法
CN110724783B (zh) 转炉环保改造中余热锅炉的拆除安装方法
JPH11211003A (ja) ボイラとその組立方法
CN110965808A (zh) 装配式建筑外挂式楼梯马道施工方法
JPH0112906B2 (ko)
CN214272874U (zh) 施工用烟囱滑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