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069B1 -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 및 표면 다공질 물체층부착 벽장재 - Google Patents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 및 표면 다공질 물체층부착 벽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069B1
KR101220069B1 KR1020050074673A KR20050074673A KR101220069B1 KR 101220069 B1 KR101220069 B1 KR 101220069B1 KR 1020050074673 A KR1020050074673 A KR 1020050074673A KR 20050074673 A KR20050074673 A KR 20050074673A KR 101220069 B1 KR101220069 B1 KR 101220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eolite
layer
photocatalyst
adhesive
gra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0601A (ko
Inventor
토시오 우와미
히로시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카미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미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미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0074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069B1/ko
Publication of KR20070020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0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2Structures being applied on the surface by special manufacturing processes, e.g. in presses
    • D21H27/26Structures being applied on the surface by special manufacturing processes, e.g. in presses characterised by the overlay sheet or the top layers of the structures
    • D21H27/28Structures being applied on the surface by special manufacturing processes, e.g. in presses characterised by the overlay sheet or the top layers of the structures treated to obtain specific resistance properties, e.g. against wear or weath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36Biocidal agents, e.g. 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22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disinfecting, antiseptic, or corrosion-inhibiting paper antistatic, antioxygenic pap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atalyst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Abstract

제올라이트에 광촉매를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공기중의 유해 화학물질의 분해제거성능을 높인다. 미약한 자외선이 존재하는 곳에서는, 산화티탄에 의해, 유해 화학물질의 분해능력을 높인다.
기재(1)의 표면에 분말상 또는 입상의 제올라이트(2)를 고착해서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한다. 이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는 분립상 제올라이트(2)의 표면에 광촉매(4)를 고착해서 광촉매층(5)을 형성한다. 이 광촉매층(5)을 형성하는 광촉매(4)에도, 상기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는 분립상 제올라이트(2)에도, 대기중의 공기가 자유롭게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광촉매층(5)을 형성하는 광촉매(4)는 산화티탄(6)을 주성분으로 한다.

Description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 및 표면 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A WALL PANEL HAVING A ZEOLITE LAYER ON ITS SURFACE AND A WALL PANEL HAVING A POROUS-SUBSTANCE LAYER ON ITS SURFACE}
도 1은 본 발명의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의 실시형태 1을 나타내고,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의 좌우로 연속하는 일부분의 종단 정면도.
도 2는 도 1의 II부 확대도.
도 3은 도 1ㆍ도 2의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의 제조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2에 대응하는 요부확대 정면도.
도 4는 도 1ㆍ도 2의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제조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의 실시형태 2를 나타내고, 도 2의 V부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의 실시형태 3을 나타내고, 도 2의 V부의 확대도.
도 7은 제올라이트에 광촉매를 조합시킨 것의 유해 화학물질의 분해 제거 특성 곡선도.
도 8은 제올라이트에 광촉매를 조합시킨 것의 포름알데히드가스의 분해 제거 특성 곡선도.
도 9는 제올라이트에 광촉매를 조합시킨 것의 메틸메르캅탄가스의 분해 제거 특성 곡선도.
도 10은 각종 광촉매 물질의 유해 화학물질의 분해율 특성 곡선도.
도 11은 산화티탄에서의 프로판올가스의 분해에 의한 아세톤 생성량 특성 곡선도.
도 12는 광촉매 부착량에 대한 광촉매 활성율의 특성 곡선도.
도 13은 광촉매 도포량에 대한 광촉매 활성율의 특성 곡선도.
[부호의 설명]
1…기재, 2…제올라이트(다공질 물체ㆍ규조토ㆍ숯ㆍ세피오라이트ㆍ규산칼슘ㆍ카올린ㆍ버미큘라이트ㆍ크리스토바라이트ㆍ펄라이트ㆍ또는 아타풀자이트), 3…제올라이트층(다공질 물체층), 4…광촉매, 5…광촉매층, 6…산화티탄, 7…이간재, 8…막상 기재, 9…판상 기재, 10…음이온 발생 물질, 12…기층용 접착제, 13…기층 접착제층, 14…표층용 접착제, 15…표층 접착제층.
본 발명은 표면에 제올라이트층을 형성한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 및, 표면에 다공질 물체층(예컨대 규조토ㆍ숯ㆍ세피오라이트ㆍ규산칼슘ㆍ카올린ㆍ버미큘라이트ㆍ크리스토바라이트ㆍ펄라이트ㆍ또는 아타풀자이트 등의 층)을 형성한 표면 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에 관한 것이다.
이 벽장재는, 예컨대 벽지 등에 이용되는 종이ㆍ천ㆍ한랭사ㆍ합성 수지막ㆍ단열성 막 또는 부직포 중에서 선택한 어느 1종류의 가요성을 갖는 시트상인 것, 또는 벽재ㆍ천정재ㆍ야지판ㆍ상재ㆍ판상 단열재ㆍ곤포용 판상자재ㆍ철계 금속판ㆍ비철계 금속판ㆍ또는 산업용 판상자재 중에서 선택한 어느 1종류의 보형성을 갖는 판상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로서,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의 것이 있다.
시트상의 벽지 본체에 인공 제올라이트를 흡착 적층시킨 것이다.
(일본국 특개 2001-336095호 공보)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의 문제가 있다.
주지한 바와 같이, 제올라이트의 특성으로서는, (1) 저습도 분위기하에서의 흡습ㆍ방습에 의한 습도조정기능ㆍ결로방지기능, 및, (2) 공기중의 포름알데히드가스나 메틸메르캅탄가스 등의 유해 화학물질의 흡착에 의한 탈취기능을 갖는 점에서 우수한다.
그러나, 제올라이트는 무기 다공질 재료이기 때문에, 상기 유해 화학물질의 흡착능력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거주 공간에 있어서의 유해 화학물질을 장시간ㆍ장기간에 걸쳐서 충분하게 제거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일본국 특개2001-336095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다음과 같이 하는 것에 있다.
(가) 제올라이트에 광촉매를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공기중의 유해 화학물질의 분해 제거 성능을 높인다.
(나) 미약한 자외선이 존재하는 곳에서는, 산화티탄에 의해, 공기중의 유해 화학물질의 분해 제거 성능을 더욱 높인다.
(다) 음이온 발생 물질이 공기중에 존재하는 미립자를 음이온화하므로써, (1) 심신의 릴랙스 효과, (2) 탈취작용, (3) 항균작용이 동시에 얻어진다.
(라) 표층용 접착제와 산화티탄이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의해, 산화티탄의 분해능력에 의해 접착제가 분해되는 것을 없게 하여, 산화티탄의 탈락을 장기간에 걸쳐서 방지하여, 그 내구성을 높인다.
(마) 실내환경 오염물질인 포름알데히드나 취기(臭氣)성분을 특이적으로 흡착하는 특성이 특히 우수한 것에 의해, 실내의 공기환경의 정화를 강력하고 양호하게 행하게 한다.
(바) 조립형(造粒型) 제올라이트는, 제올라이트 자체의 수옹그스트롬 단위의 미소 세공과, 조립끼리간의 수㎛오더의 거대 세공을 더불어 가지는 다공질 재료로 하는 것에 의해, 통기성능을 높이는 것과 비표면적을 넓히는 것을 양립시켜서, 실내환경 오염물질인 포름알데히드나 취기성분 등의 유해 화학물질의 흡착성능을 충분히 높인다.
(사) 유해 화학물질의 흡착능력ㆍ조습능력을 높이는 것과,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의 시공성 및 경관을 양호하게 함과 동시에, 기재와의 박리 등을 생 기기 어렵게 하는 것을 양립시킨다.
(아) 광촉매가 표층용 접착제의 표면으로부터 노출할 확률을 높이는 것에 의해, 공기중의 유해 화학물질과 접촉해서 분해작용을 할 수 있는 광촉매의 유효비율을 크게 하여, 광촉매 작용의 효율 및 능력을 높인다.
(자) 광촉매의 분해 활성의 능력을 충분히 높인다.
(차) 본 발명의 구성 요소인 상기 분립상 제올라이트 대신에, 이것을 포함하는 상위개념으로서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를 이용한 경우, 또는, 이 분립상 다공질 물체에 하위개념으로서 포함되는 규조토ㆍ숯ㆍ세피오라이트ㆍ규산칼슘ㆍ카올린ㆍ버미큘라이트ㆍ크리스토바라이트ㆍ펄라이트ㆍ및 아타풀자이트의 합계 9종류의 물질 중에서 임의로 선택한, 1종류의 혼합물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를 이용한 경우, 또는, 이들 제올라이트ㆍ규조토ㆍ숯ㆍ세피오라이트ㆍ규산칼슘ㆍ카올린ㆍ버미큘라이트ㆍ크리스토바라이트ㆍ펄라이트ㆍ및 아타풀자이트의 합계 10종류의 물질 중에서 임의로 선택한, 복수종류의 물질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의 혼합물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를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과제 (가)로부터 (자)까지를 달성한다.
본 발명의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컨대 도 1~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의 실시형태 1을 나타내고,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의 좌우로 연속하는 일부분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부 확대도. 도 3은 도 1ㆍ도 2의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의 제조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2에 대응하는 요부확대 정면도. 도 4는 도 1ㆍ도 2의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제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의 실시형태 2를 나타내고, 도 2의 V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의 실시형태 3을 나타내고, 도 2의 V부의 확대도이다.
○ 청구항 1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또는 도 6 참조.
기재(1)의 표면에 분말상 또는 입상의 제올라이트(2)를 고착해서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한다. 이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는 분립상 제올라이트(2)의 표면에 광촉매(4)를 고착해서 광촉매층(5)을 형성한다.
이 광촉매층(5)을 형성하는 광촉매(4)에도, 상기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는 분립상 제올라이트(2)에도, 대기중의 공기가 자유롭게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청구항 2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또는 도 6 참조.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촉매층(5)을 형성하는 광촉매(4)는 산화티탄(6)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청구항 3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또는 도 6 참조.
청구항 3의 발명 3은, 상기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재(1)ㆍ제올라이트(2) 및 광촉매(4)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음이온 발생 물질(10)인 모나자이트ㆍ석영반암 및 토르말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청구항 4의 발명. 도 5 참조.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ㆍ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촉매층(5)을 형성하는 광촉매(4)는, 상기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는 분립상 제올라이트(2)의 표면에 고착하기 전에, 그 표면에 미리 섬유상의 무기재료제의 이간재(7)를 피복시켜 둔다. 이 이간재(7)를 개재하여 각 광촉매(4)를 제올라이트(2)의 표면에 도착의 표층용 접착제(14)에 대하여, 직접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청구항 5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또는 도 6 참조.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1항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는 각 제올라이트(2)는, 몰데나이트, 크리노프티로라이트, 인공 제올라이트, 또는 합성 제올라이트의, 단체 또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청구항 6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또는 도 6 참조.
청구항 6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1항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는 각 제올라이트(2)는, 제올라이트를 분쇄한 것에 분말 펄프와 바인더를 혼합시켜서 조립(造粒)한 조립형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청구항 7의 발명. 도 1ㆍ도 2 참조.
청구항 7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1항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재(1)는, 종이ㆍ천ㆍ한랭사ㆍ합성수지막ㆍ단열성 막 또는 부직포 중에서 선택한 어느 1종류의 가요성을 갖는 막상 기재(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청구항 8의 발명. 도 1ㆍ도 2 참조.
청구항 8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1항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재(1)은, 벽재ㆍ천정재ㆍ야지판ㆍ상재ㆍ판상 단열재ㆍ곤포용 판상자재ㆍ철계 금속판ㆍ비철계 금속판ㆍ또는 산업용 판상 자재 중에서 선택한 어느 1종류의 보형성을 갖는 판상 기재(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청구항 9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또는 도 6 참조.
청구항 9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1항의 발명에 있 어서, 다음의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는 분립상의 각 제올라이트(2)는, 그 입도가 1/1000~12mm의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청구항 10의 발명. 도 1ㆍ도 2ㆍ도 3ㆍ도 4 참조.
청구항 10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1항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재(1)의 표면에 기층용 접착제(12)를 도포하여 기층 접착제층(13)을 형성하고, 이 기층 접착제층(13)상에 상기 분립상 제올라이트(2)를 산포해서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한다. 이 분립상 제올라이트(2)의 표면에 표층용 접착제(14)를 도포해서 표층 접착제층(15)을 형성하고, 이 표층 접착제층(15)상에 상기 광촉매(4)가 물중에 분산된 것을 내뿜어서 광촉매층(5)을 형성한다.
이 기재(1)상에 기층 접착제층(13)ㆍ제올라이트층(3)ㆍ표층 접착제층(15) 및 광촉매층(5)이 차례로 형성된 것을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기재(1)의 표면에 분립상 제올라이트(2)를 기층용 접착제(12)로 접착함과 동시에, 분립상 제올라이트(2)의 표면에 광촉매(4)를 표층용 접착제(14)로 접착한다. 이 표층용 접착제(14)는, 분립상 제올라이트(2)의 표면 및 광촉매(4)의 표면 중의 일부만을 덮고, 그 잔부를 덮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청구항 11의 발명.
청구항 11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0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층용 접착제(14)는 수용성의 접착제(14)로 이루어진다. 이 수용성 접착제(14)를 상기 분립상 제올라이트(2)의 표면에 도포해서 수용성 표층 접착제층(15)를 형성한다. 이 수용성 표층 접착제층(15)의 표면에 광촉매(4)의 현탁수를 내뿜어서 광촉매층(5)을 형성한다.
상기 수용성 표층 접착제층(15)으로의 광촉매(4)의 현탁수의 도포량은 10~200ml/㎡의 범위내로 설정하고, 수용성 표층 접착제층(15)으로의 광촉매의 부착량은 1~10g/㎡의 범위내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청구항 12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또는 도 6 참조.
청구항 12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1항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이다.
상기 분립상 제올라이트(2)는, 이것을 포함하는 상위개념으로서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2)로 변경하고, 그리고, 상기 제올라이트층(3)은 다공질 물체층(3)으로 변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
○ 청구항 13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또는 도 6 참조.
청구항 13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2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로서는, 규조토ㆍ숯ㆍ세피오라이트ㆍ규산칼슘ㆍ카올린ㆍ버미큘라이트ㆍ크리스토바라이트ㆍ펄라이트ㆍ및 아타풀자이트의 합계 9종류의 물질 중에서 임의로 선택한, 1종류의 물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분립상 다공질 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
○ 청구항 14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또는 도 6 참조.
청구항 14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2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는 규조토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
○ 청구항 15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또는 도 6 참조.
청구항 15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2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는 숯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
○ 청구항 16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또는 도 6 참조.
청구항 16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2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는 세피오라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
○ 청구항 17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또는 도 6 참조.
청구항 17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2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는 규산칼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이루어지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
○ 청구항 18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또는 도 6 참조.
청구항 18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2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는 카올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
○ 청구항 19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또는 도 6 참조.
청구항 19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2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는 버미큘라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
○ 청구항 20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또는 도 6 참조.
청구항 20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2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로서는, 제올라이트ㆍ규조토ㆍ숯ㆍ세피오라이트ㆍ규산칼슘ㆍ카올린ㆍ버미큘라이트ㆍ크리스토바라이트ㆍ펄라이트ㆍ및 아타풀자이트의 합계 10종류의 물질 중에서 임의로 선택한, 복수 종류의 물질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의 혼합물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
○ 청구항 21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또는 도 6 참조.
청구항 21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20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로서는, 적어도 제올라이트와 규조토와의 2종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의 혼합물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
○ 청구항 22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또는 도 6 참조.
청구항 22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20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로서는, 적어도 제올라이트와 세피오라이트와의 2종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의 혼합물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
○ 청구항 23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또는 도 6 참조.
청구항 23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20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로서는, 적어도 제올라이트와 버미큘라이트와의 2종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의 혼합물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
○ 청구항 24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또는 도 6 참조.
청구항 24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20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로서는, 적어도 규조토와 세피오라이트와의 2종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의 혼합물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
○ 청구항 25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또는 도 6 참조,
청구항 25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20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로서는, 적어도 규조토와 버미큘라이트와의 2종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의 혼합물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
○ 청구항 26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또는 도 6 참조.
청구항 26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20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로서는, 적어도 세피오라이트와 버미큘라이트와의 2종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의 혼합물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
본 발명의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는,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 청구항 1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도 6, 도 7ㆍ도 8ㆍ도 9 참조.
[효과 (가). 제올라이트(2)에 광촉매(4)를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공기중의 유해 화학물질의 분해 제거 성능을 높인다.]
청구항 1의 발명은, 다음의 특징 구성을 갖는다.
기재(1)의 표면에 분말상 또는 입상의 제올라이트(2)를 고착해서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고, 이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는 분립상 제올라이트(2)의 표면에 광촉매(4)를 고착해서 광촉매층(5)을 형성한다. 이 광촉매층(5)을 형성하는 광촉매(4)에도, 상기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는 분립상 제올라이트(2)에도, 대기중의 공기가 자유롭게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이 특징 구성으로부터, 제올라이트(2)는 무기 다공질 재료이기 때문에, 화학물질의 흡착 작용을 갖는다. 그러나, 이 흡착능력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특이적으로 강하게 흡착하는 화학물질도 있으면, 일단 흡착해도 곧 이탈해버리는 물질도 있다. 이것 때문에, 거주 공간에 있어서의 유해 화학물질의 제거를 목적으로 한 경우, 즉효성과 지속성과의 양면으로부터, 유해물질을 흡착하는 능력과 분해하는 능력을 더불어 가질 필요성이 있다.
한편, 광촉매(4)는, 신체 가까이에 존재하는 광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그 유해물질의 분해능력을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공기중의 유해 화학물질의 분해 제거 특성 곡선도이며, 특성곡선 A는 제올라이트만의 경우의 흡착 특성을, 특성곡선 B는 본 청구항 1에 따른 제올라이트에 광촉매를 조합시켰을 경우의 분해 제거 특성을 나타낸다. 특성곡선 C는 특성곡선 B의 분해 생성물이다.
도 8은 공기중의 포름알데히드가스의 분해 제거 특성 곡선도이며, 특성곡선 A는 광촉매만의 경우의 분해 제거 특성을 나타내고, 특성곡선 B는 본 청구항 1에 따른 제올라이트에 광촉매를 조합시켰을 경우의 분해 제거 특성을 나타낸다.
도 9는 공기중의 메틸메르캅탄가스의 분해 제거 특성 곡선도이며, 특성곡선 A는 광촉매만의 경우의 분해 제거 특성을 나타내고, 특성곡선 B는 본 청구항 1에 따른 제올라이트에 광촉매를 조합시켰을 경우의 분해 제거 특성을 나타낸다.
이들 도 7ㆍ도 8ㆍ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청구항 1의 발명은, 제올라이트(2)에 광촉매(4)를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공기중의 유해 화학물질의 분해 제거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 청구항 2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도 6, 도 10 참조.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 (가)]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효과 (나). 미약한 자외선이 존재하는 곳에서는, 산화티탄에 의해, 공기중의 유해 화학물질의 분해 제거 성능을 더욱 높인다.]
청구항 2의 발명은, 다음의 특징 구성을 갖는다.
청구항 1의 발명에 기재된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층(5)을 형성하는 광촉매(4)는 산화티탄(6)을 주성분으로 한다.
이 특징 구성으로부터, 산화티탄(6)은 실내 등에 포함되는 미량의 자외선에 있어서, 그 분해능을 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산화티탄(6)은 식품첨가제나 도료 등에 이용되는 등, 무해하고 안정한 물질이다. 여기에서 이용하는 산화티탄(6)은 화학물질의 분해능력이 우수한 것이다. 즉, 아나타제형과 루틸형이 공존한 결정구조를 갖고, 또한 결정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광촉매 기능을 갖는 산화물 반도체로서는, 산화철, 산화구리, 및 산화텅스텐 등도 들 수 있지만, 이들과 비교해서 산화티탄의 쪽이 공기중의 유해 화학물질의 분해 제거 성능이 높다.
예컨대, 도 10은 각종 광촉매 물질의 유해 화학물질의 분해율 특성 곡선도이며, 특성곡선 A는 산화구리, B은 산화텅스텐, C는 산화철의 각 경우를 나타내고, 특성곡선 D는 본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른 산화티탄의 경우를 나타낸다.
○ 청구항 3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도 6 참조.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 (가)]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효과 (다). 음이온 발생 물질(10)이 공기중에 존재하는 산소나 물을 음이온화 함으로써, (1) 심신의 릴랙스 효과, (2) 탈취작용, (3) 항균작용이 동시에 얻어진다.]
청구항 3의 발명은, 다음의 특징 구성을 갖는다.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에 있어서,
상기 기재(1)ㆍ제올라이트(2) 및 광촉매(4)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음이온 발생 물질(10)인 모나자이트ㆍ석영반암 및 토르말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첨가했다.
이 특징 구성으로부터, 상기 음이온 발생 물질(10)이 공기중에 존재하는 산소나 물을 음이온화하므로써, (1) 심신의 릴랙스 효과, (2) 탈취작용, (3) 항균작용이 동시에 얻어진다.
○ 청구항 4의 발명. 도 5 참조.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 (가)]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효과 (라). 표층용 접착제(14)와 산화티탄(6)이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산화티탄(6)의 분해능력에 의해 접착제가 분해되는 경우가 없게 되고, 접착제(14) 및 기재(1)의 열화를 장기간에 걸쳐서 방지하여, 그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다음의 특징 구성을 갖는다.
청구항 1ㆍ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층(5)을 형성하는 광촉매(4)는, 상기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는 분립상 제올라이트(2)의 표면에 고착하기 전에, 그 표면에 미리 섬유상의 무기재료제의 이간재(7)를 피복시켜 둔다. 이 이간재(7)를 개재하여 각 광촉매(4)를 제올라이트(2)의 표면에 도착의 표층 접착제(15)에 대하여, 직접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고착했다.
이 특징 구성으로부터, 산화티탄(6)의 표면을 무기재료제의 이간재(7)로 피복하는 것에 의해, 표층용 접착제(14)와 산화티탄(6)이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산화티탄(6)의 분해능력에 의해 접착제가 분해되는 경우가 없어지고, 접착제(14) 및 기재(1)의 열화를 장기간에 걸쳐서 방지하고, 그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 청구항 5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도 6 참조.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 (가)]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효과 (마). 제올라이트(2)는 실내환경 오염물질인 포름알데히드나 취기성분을 특이적으로 흡착하는 특성이 특히 우수하기 때문에, 실내의 공기환경의 정화를 강력하고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다음의 특징 구성을 갖는다.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1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는 각 제올라이트(2)는, 몰데나이트, 크리노프티로라이트, 인공 제올라이트, 또는 합성 제올라이트의, 단체 또는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이 특징 구성으로부터, 상기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는 각 제올라이트(2)는, 주로 실리카와 알루미나로 구성되어 있는 다공질 재료이며, 수옹그스트롬단위의 세공을 갖는 골격구조로 이루어지는 결정인 것, 및, 이들의 결정입자가 응집하여 분립체를 형성하여, 결정 응축간의 공극 100nm 부근의 세공도 더불어 가지고 있는 것으로부터, 실내환경 오염물질인 포름알데히드나 취기성분을 특이적으로 흡착하는 특성이 특히 우수하기 때문에, 실내의 공기환경의 정화를 강력하고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 청구항 6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도 6 참조.
청구항 6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 (가)]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효과 (바). 조립형 제올라이트(2)는, 제올라이트 자체의 수옹그스트롬 단위의미소 세공과, 조립(造粒)끼리간의 수㎛오더의 거대 세공을 더불어 가지는 다공질 재료가 되기 때문에, 통기성능을 높이는 것과 비표면적을 넓히는 것을 양립시켜서, 실내환경 오염물질인 포름알데히드나 취기성분 등의 유해 화학물질의 흡착성능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다음의 특징 구성을 갖는다.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1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는 각 제올라이트(2)는, 제올라이트를 분쇄한 것에 분말 펄프와 바인더를 혼합시켜 조립한 조립형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다.
이 특징 구성으로부터, 조립형 제올라이트(2)는 제올라이트(2)를 조립하는 것에 의해, 일정한 지름을 가지는 다공질 재료를 균일하게 기재(1)상에 접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의장성을 확립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립끼리간에 수㎛ 오더의 공극을 충분히 가지게 한 재료이기 때문에, 유연성 및 절단성이 향상하고, 가공 특성이 양호하게 된다.
더구나, 조립형 제올라이트(2)는, 제올라이트 자체의 수옹그스트롬 단위의 미소 세공과, 조립끼리간의 수㎛ 오더의 거대 세공을 더불어 가지는 다공질 재료가 되기 때문에, 통기성능을 높이는 것과 비표면적을 넓히는 것을 양립시켜서, 실내환경 오염물질인 포름알데히드나 취기성분 등의 유해 화학물질의 흡착성능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 청구항 9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도 6 참조.
청구항 9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 (가)]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효과 (사). 유해 화학물질의 흡착능력ㆍ조습능력을 높이는 것과,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의 시공성 및 경관을 좋게함과 동시에, 기재(1)와의 박리 등을 생기기 어렵게 하는 것을 양립시킬 수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은, 다음의 특징 구성을 갖는다.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1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는 분립상의 각 제올라이트(2)는, 그 입도가 1/1000~12mm인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다.
이 특징 구성으로부터, 분립상의 각 제올라이트(2)는, 1/1000mm 이하의 입경인 경우의 유해 화학물질의 흡착능력ㆍ조습능력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와, 12mm 이상인 경우의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의 표면의 요철이 커지게 되어, 시공성 및 경관이 나빠짐과 동시에, 기재(1)와의 박리 등이 생기기 쉽게 되는 문제 모두를 없앨 수 있는 것에 의해, 유해 화학물질의 흡착능력ㆍ조습능력을 높이는 것과,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의 시공성 및 경관을 양호하게 함과 동시에, 기재(1)와의 박리 등을 생기기 어렵게 하는 것을 양립시킬 수 있다.
○ 청구항 10의 발명. 도 1ㆍ도 2ㆍ도 3ㆍ도 4 참조.
청구항 10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 (가)]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효과 (아). 광촉매(4)가 표층용 접착제(14)의 표면으로부터 노출할 확률이 높아지게 되어, 공기중의 유해 화학물질과 접촉해서 분해작용을 할 수 있는 광촉매(4)의 유효비율이 커지게 되므로, 광촉매 작용의 효율 및 능력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다음의 특징 구성을 갖는다.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1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재(1)의 표면에 기층용 접착제(12)를 도포해서 기층 접착제층(13)을 형성한다. 이 기층 접착제층(13)상에 상기 분립상 제올라이트(2)를 산포해서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한다.
이 분립상 제올라이트(2)의 표면에 표층용 접착제(14)를 도포해서 표층 접착제층(15)을 형성하고, 이 표층 접착제층(15)상에 상기 광촉매(4)가 물중에 분산된 것을 내뿜어서 광촉매층(5)을 형성한다.
이 기재(1)상에 기층 접착제층(13)ㆍ제올라이트층(3)ㆍ표층 접착제층(15) 및 광촉매층(5)이 차례로 형성된 것을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기재(1)의 표면에 분립상 제올라이트(2)를 기층용 접착제(12)로 접착함과 동시에, 분립상 제올라이트(2)의 표면에 광촉매(4)를 표층용 접착제(14)로 접착한다.
이 표층용 접착제(14)는, 분립상 제올라이트(2)의 표면 및 광촉매(4)의 표면 중의 일부만을 덮지만, 그 잔부를 덮지 않도록 구성했다.
이 특징 구성으로부터, 광촉매(4)는, 표층용 접착제(14)의 내부에 매몰할 확률이 적어지고, 공기중의 유해 화학물질과 접촉해서 분해작용을 할 수 없게 되는 광촉매(4)의 무효비율이 작아지게 되는 것만큼, 광촉매(4)가 표층용 접착제(14)의 표면으로부터 노출할 확률이 높아지게 되어, 공기중의 유해 화학물질과 접촉해서 분해작용을 할 수 있는 광촉매(4)의 유효비율이 커지게 되므로, 광촉매 작용의 효율 및 능력을 높일 수 있다.
예컨대, 도 11은 산화티탄으로의 프로판올가스의 분해에 의한 아세톤 생성량 특성 곡선도이며, 특성곡선 A는 표층 접착제층(15)에 산화티탄을 혼련하여 넣은 경우를 나타내고, 특성곡선 B는 본 청구항 10의 발명에 따른 표층 접착제층(15)에 광촉매(4)가 물중에 분산된 것을 내뿜었을 경우를 나타낸다.
○ 청구항 11의 발명. 도 1ㆍ도 2ㆍ도 3ㆍ도 4 참조.
청구항 11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 (가)] 및 청구항 10의 발명의 [효과 (아)]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효과 (자). 광촉매(4)의 분해 활성의 능력을 충분히 높일 수 있었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다음의 특징 구성을 갖는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에 있어서, 상기 표층용 접착제(14)는 수용성 접착제(14)로 이루어진다. 이 수용성 접착제(14)를 상기 분립상 제올라이트(2)의 표면에 도포해서 수용성 접착제층(15)을 형성한다. 이 수용성 표층 접착제층(15)의 표면에 광촉매(4)의 현탁수를 내뿜어서 광촉매층(5)을 형성한다.
상기 수용성 표층 접착제층(15)으로의 광촉매(4)의 현탁수의 도포량은 10~200ml/㎡의 범위내로 설정한다. 수용성 표층 접착제층(15)으로의 광촉매의 부착량은 1~10g/㎡의 범위내로 설정했다.
이 특징 구성으로부터, 표층용 접착제(14)가 수용성인 것을 이용하여, 광촉매(4)의 현탁수를 표층 접착제층(15)의 표면에 산포해서 건조시켰다.(광촉매 수용액의 산포시에 표층 접착제층(15)이 용융한다.) 여기에서 산포량 및 광촉매 부착량을 상세하게 제어하여, 가장 성능이 높은 조건을 찾아냈다.
광촉매(4)의 도포량이 많으면, 표층 접착제층(15)이 연화하고, 이 표층 접착제층(15) 내부로 광촉매(4)가 매몰해 버린다. 광촉매(4)는 표층용 접착제(14)에 묻히는 비율이 많아짐에 따라서, 공기중의 화학물질과의 접촉율이 낮아지게 되어, 분해 활성이 현저하게 저하한다. 역으로, 광촉매(4)의 현탁수의 도포량이 적으면, 광 촉매(4)의 부착량이 적게 되어 광촉매 작용이 부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광촉매(4)의 매몰에 의한 분해 활성의 저하나, 광촉매(4)의 부착량의 감소에 의한 광촉매 작용의 부족을 없애기 위해서, 상기 수용성 표층 접착제층(15)으로의 광촉매(4)의 현탁수의 도포량은 10~200ml/㎡의 범위내로 설정한다. 수용성 표층 접착제층(15)으로의 광촉매의 부착량은 1~10g/㎡의 범위내로 설정했다. 이것에 의해, 광촉매(4)의 분해활성의 능력을 충분히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도 12는 광촉매 부착량에 대한 광촉매 활성율의 특성 곡선도이며, 도 13은 광촉매 도포량에 대한 광촉매 활성율의 특성 곡선도이다.
○ 청구항 12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도 6, 도 7ㆍ도 8ㆍ도 9 참조.
[효과 (차).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의 각 발명이 나타내는 상기 [효과 (가)]로부터 [효과 (자)]까지의 각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12의 표면 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의 발명은, 다음의 특징 구성을 갖는다.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립상 제올라이트(2)는, 이것을 포함하는 상위개념으로서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2)로 변경하고, 그리고, 상기 제올라이트층(3)은 다공질 물체층(3)으로 변경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이상의 특징 구성으로부터,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주지한 바와 같이, 제올라이트는, 다음의 (특성 1)ㆍ(특성 2)ㆍ및 (문제점 3)을 갖는다.
(특성 1). 저습도 분위기하에서의 흡습ㆍ방습에 의한 습도 조정기능ㆍ결로 방지기능을 갖는다
(특성 2). 공기중의 포름알데히드가스나 메틸메르캅탄가스 등의 유해 화학물질의 흡착에 의한 탈취기능을 갖는다.
(문제점 3). 제올라이트는 무기 다공질 재료이기 때문에, 상기 유해 화학물질의 흡착능력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거주 공간에 있어서의 유해 화학물질을 장시간ㆍ장기간에 걸쳐서 충분하게는 제거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 제올라이트의 상기 (특성 1)ㆍ(특성 2) 및 (문제점 3)에 관해서는, 상기 청구항 12의 발명을 구성하는, 분립상 제올라이트(2)를 포함하는 상위개념으로서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2)도, 동일하게 가지고 있다.
이것으로부터, 이 청구항 12의 표면 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립상 제올라이트(2)를 분립상 다공질 물체(2)로 변경한 것으로부터,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의 각 발명이 나타내는 상기 [효과 (가)]로부터 [효과 (자)]까지의 각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20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도 6, 도 7ㆍ도 8ㆍ도 9 참조.
[효과 (카). 청구항 12의 발명이 나타내는 상기 [효과 (가)]로부터 [효과 (자)]까지의 각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20의 표면 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의 각 발명은, 청구항 12에 기재된 표면 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3의 발명은,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로서는, 규조토ㆍ숯ㆍ세피오라이트ㆍ규산칼슘ㆍ카올린ㆍ버미큘라이트ㆍ크리스토바라이트ㆍ펄라이트ㆍ및 아타풀자이트의 합계 9종류의 물질 중에서 임의로 선택한, 1종류의 혼합물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14의 발명은,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는 규조토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15의 발명은,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는 숯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16의 발명은,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는 세피오라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17의 발명은,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는 규산칼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18의 발명은,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는 카올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19의 발명은,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는 버미큘라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20의 발명은,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로서는, 제올라이트ㆍ규조 토ㆍ숯ㆍ세피오라이트ㆍ규산칼슘ㆍ카올린ㆍ버미큘라이트ㆍ크리스토바라이트ㆍ펄라이트ㆍ및 아타풀자이트의 합계 10종류의 물질 중에서 임의로 선택한, 복수종류의 물질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의 혼합물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20의 각 발명은, 청구항 12의 발명에 종속하는 것이며, 이 청구항 12의 발명의 구성을 구비하는 것으로부터, 청구항 12의 발명이 나타내는 상기 [효과 (가)]로부터 [효과 (자)]까지의 각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들 수 있다.
○ 청구항 21 내지 청구항 26의 발명. 도 1ㆍ도 2, 도 5, 도 6, 도 7ㆍ도 8ㆍ도 9 참조.
[효과 (타). 청구항 20의 발명이 나타내는 상기 [효과 (가)]로부터 [효과 (자)]까지의 각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21 내지 청구항 26의 표면 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의 각 발명은, 청구항 20에 기재된 표면 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1의 발명은,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로서는, 적어도 제올라이트와 규조토와의 2종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의 혼합물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22의 발명은,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로서는, 적어도 제올라이트와 세피오라이트와의 2종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의 혼합물 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23의 발명은,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로서는, 적어도 제올라이트와 버미큘라이트와의 2종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의 혼합물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24의 발명은,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로서는, 적어도 규조토와 세피오라이트와의 2종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의 혼합물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25의 발명은,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로서는, 적어도 규조토와 버미큘라이트와의 2종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의 혼합물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26의 발명은,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로서는, 적어도 세피오라이트와 버미큘라이트와의 2종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의 혼합물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21 내지 청구항 26의 각 발명은, 청구항 20의 발명에 종속하는 것이며, 이 청구항 20의 발명의 구성을 구비하는 것으로부터, 청구항 20의 발명이 나타내는 상기 [효과 (가)]로부터 [효과 (자)]까지의 각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 실시형태 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11의 발명. 도 1 내지 도 4 참조.
도 1은 본 발명의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의 실시형태 1을 나타내고,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의 좌우로 연속하는 일부분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부 확대도이다.
도 1ㆍ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1)의 표면에 분말상 또는 입상의 제올라이트(2)를 고착해서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한다. 이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는 분립상 제올라이트(2)의 표면에 광촉매(4)를 고착해서 광촉매층(5)을 형성한다. 이 광촉매층(5)을 형성하는 광촉매(4)에도, 상기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는 분립상 제올라이트(2)에도, 대기중의 공기가 자유롭게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광촉매층(5)을 형성하는 광촉매(4)는 산화티탄(6)을 주성분으로 한다. 상기 기재(1)ㆍ제올라이트(2) 및 광촉매(4)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음이온 발생 물질(10)인 모나자이트ㆍ석영반암 및 토르말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첨가한다.
상기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는 각 제올라이트(2)는, 몰데나이트, 크리노프티로라이트, 인공 제올라이트, 또는 합성 제올라이트의, 단체 또는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는 각 제올라이트(2)는, 제올라이트를 분쇄한 것에 분말 펄프와 바인더를 혼합시켜서 조립한 조립형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재(1)는, 종이ㆍ천ㆍ한랭사ㆍ합성 수지막ㆍ단열성 막 또는 부직포 중에서 선택한 어느 1종류의 가요성을 갖는 막상 기재(8)로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기재(1)는, 벽재ㆍ천정재ㆍ야지판ㆍ상재ㆍ판상 단열재ㆍ곤포용 판상자재ㆍ철계 금 속판ㆍ비철계 금속판ㆍ또는 산업용 판상 자재 중에서 선택한 어느 1종류의 보형성을 갖는 판상 기재(9)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는 분립상의 각 제올라이트(2)는, 그 입도가 1/1000~12mm의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도 1ㆍ도 2의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의 제조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2에 대응하는 요부확대 정면도. 도 4는 도 1ㆍ도 2의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제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부호(21)는 가요성을 갖는 상기 막상 기재(8)의 조출장치, (22)는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er), (23)은 권취장치이다. (24)는 기층용 접착제(12)의 롤러식 도포장치, (25)는 제올라이트(2)의 산포장치, (26)은 표층용 접착제(14)의 롤러식 도포장치이다. (27)은 광촉매(4) 및 음이온 발생 물질(10)의 현탁수의 내뿜기 장치, (28)은 건조 장치이다.
도 3ㆍ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재(1)의 표면에 기층용 접착제(12)를 도포해서 기층 접착제층(13)을 형성한다. 이 기층 접착제층(13)상에 상기 분립상 제올라이트(2)를 산포해서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한다. 이 분립상 제올라이트(2)의 표면에 표층용 접착제(14)를 도포해서 표층 접착제층(15)을 형성한다. 이 표층 접착제층(15)상에 상기 광촉매(4)가 물중에 분산된 것을 내뿜어서 광촉매층(5)을 형성한다.
이 기재(1)상에 기층 접착제층(13)ㆍ제올라이트층(3)ㆍ표층 접착제층(15) 및 광촉매층(5)이 차례로 형성된 것을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1)의 표면에 분립상 제올라이트(2)를 기층용 접착제(12)로 접착함과 동시 에, 분립상 제올라이트(2)의 표면에 광촉매(4)를 표층용 접착제(14)로 접착한다. 이 표층용 접착제(14)는, 분립상 제올라이트(2)의 표면 및 광촉매(4)의 표면 중의 일부만을 덮지만, 그 잔부를 덮지 않도록 구성한다.
상기 표층용 접착제(14)는 수용성 접착제(14)로 이루어진다. 이 수용성 접착제(14)를 상기 분립상 제올라이트(2)의 표면에 도포해서 수용성 표층 접착제층(15)을 형성한다. 이 수용성 표층 접착제층(15)의 표면에 광촉매(4) 및 음이온 발생 물질(10)의 현탁수를 내뿜어서 광촉매층(5)을 형성한다. 상기 음이온 발생 물질(10)로서는, 모나자이트ㆍ석영반암 및 토르말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다.
상기 수용성 표층 접착제층(15)으로의 광촉매(4)의 현탁수의 도포량은 10~200ml/㎡의 범위내로 설정하고, 수용성 표층 접착제층(15)으로의 광촉매의 부착량은 1~10g/㎡의 범위내로 설정한 것이다.
○ 실시형태 2. 청구항 4의 발명. 도 5 참조.
도 5는 본 발명의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의 실시형태 2를 나타내고, 도 2의 V부의 확대도이다.
이 실시형태 2는, 상기 실시형태 1의 구성에 있어서, 그 일부를 다음과 같이 변경한 것이다.
상기 광촉매층(5)을 형성하는 광촉매(4)는, 상기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는 분립상 제올라이트(2)의 표면에 고착하기 전에, 그 표면에 미리 섬유상 무기재료제의 이간재(7)를 피복시켜 둔다.
이 이간재(7)를 개재하여 각 광촉매(4)를 제올라이트(2)의 표면에 도착의 표 층용 접착제(14)에 대하여, 직접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고착한 것이다.
○ 실시형태 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11의 발명. 도 6 참조.
도 6은 본 발명의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의 실시형태 3을 나타내고, 도 2의 V부의 확대도이다.
이 실시형태 3은, 상기 실시형태 1의 구성에 있어서, 그 일부를 다음과 같이 변경한 것이다.
상기 기재(1)의 표면의 기층 접착제층(13)상의 제올라이트층(3)의 분립상 제올라이트(2)의 표면에, 표층용 접착제(14)에 산화티탄(6)을 혼련하여 넣은 것을 도포하여, 표층 접착제층(15)과 광촉매층(5)을 동시에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산화티탄(6)의 일부가 표층용 접착제(12)의 표면상에 노출함과 동시에, 그 잔부가 표층용 접착제(12)의 내부에 매몰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 경우, 표층 접착제층(15)과 광촉매층(5)을 1회 도포로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수하다. 그러나, 표층용 접착제(12)의 내부에 매몰한 상기 잔부의 산화티탄(6)이 공기에 닿을 수 없어, 광촉매 작용을 하지 못하게 되는 것 만큼, 불리해진다.
이하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표면 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 실시형태 4.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9의 발명. 도 1 내지 도 4, 도 5, 도 6 참조.
이 실시형태 4는, 상기 실시형태 1ㆍ2 또는 3의 구성에 있어서, 그 일부를 다음과 같이 변경한 표면 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이다.
상기 실시형태 1ㆍ2 또는 3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분립상 제올라이트(2)는, 이것을 포함하는 상위개념으로서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2)로 변경하고, 그리고, 상기 제올라이트층(3)은 다공질 물체층(3)으로 변경한다.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로서는, 규조토ㆍ숯ㆍ세피오라이트ㆍ규산칼슘ㆍ카올린ㆍ버미큘라이트ㆍ크리스토바라이트ㆍ펄라이트ㆍ및 아타풀자이트의 합계 9종류의 물질 중에서 임의로 선택한, 1종류의 물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분립상 다공질 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이다.
○ 실시형태 5. 청구항 20 내지 청구항 26의 발명. 도 1 내지 도 4, 도 5, 도 6 참조.
이 실시형태 5는, 상기 실시형태 1ㆍ2 또는 3의 구성에 있어서, 그 일부를 다음과 같이 변경한 표면 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이다.
상기 실시형태 1ㆍ2 또는 3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분립상 제올라이트(2)는, 이것을 포함하는 상위개념으로서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2)로 변경하고, 그리고, 상기 제올라이트층(3)은 다공질 물체층(3)으로 변경한다.
이 분립상 다공질 물체(2)로서는, 제올라이트ㆍ규조토ㆍ숯ㆍ세피오라이트ㆍ규산칼슘ㆍ카올린ㆍ버미큘라이트ㆍ크리스토바라이트ㆍ펄라이트ㆍ및 아타풀자이트의 합계 10종류의 물질 중에서 임의로 선택한, 2종류ㆍ3종류 또는 4종류 등의 복수종류의 물질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의 혼합물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이다.
이 제올라이트ㆍ규조토ㆍ숯ㆍ세피오라이트ㆍ규산칼슘ㆍ카올린ㆍ버미큘라이트ㆍ크리스토바라이트ㆍ펄라이트ㆍ및 아타풀자이트의 10종류의 물질 중에서 임의로 선택한 2종류 이상의 물질의 조합으로서는, 다음에 기재하는 [1]~[6]항 중의 어느 1항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로서는, 적어도 제올라이트와 규조토와의 2종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의 혼합물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로 이루어진다.
[2].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로서는, 적어도 제올라이트와 세피오라이트와의 2종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의 혼합물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로 이루어진다.
[3].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로서는, 적어도 제올라이트와 버미큘라이트와의 2종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의 혼합물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로 이루어진다.
[4].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로서는, 적어도 규조토와 세피오라이트와의 2종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의 혼합물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로 이루어진다.
[5].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로서는, 적어도 규조토와 버미큘라이트와의 2종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의 혼합물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로 이루어진다.
[6]. 상기 분립상 다공질 물체(2)로서는, 적어도 세피오라이트와 버미큘라이트와의 2종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의 혼합물의 분립상 다공질 물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 및 표면 다공질 물체층 부착 벽장재는, 예컨대 벽지 등에 이용되는 종이ㆍ천ㆍ한랭사ㆍ합성 수지막ㆍ단열성 막ㆍ또는 부직포, 또는, 건축용 벽재ㆍ천정재ㆍ야지판ㆍ상재ㆍ판상 단열재ㆍ곤포용 판상자재ㆍ철계 금속판ㆍ비철계 금속판ㆍ또는 산업용 판상자재 등에 적합하다.

Claims (26)

  1. 기재(1)의 표면에 분말상 또는 입상 제올라이트(2)를 고착하여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고, 이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는 분립상 제올라이트(2)의 표면에 광촉매(4)를 고착하여 광촉매층(5)을 형성하고,
    이 광촉매층(5)을 형성하는 광촉매(4)에도, 상기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는 분립상 제올라이트(2)에도, 대기중의 공기가 자유로이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는 각 제올라이트(2)는, 제올라이트를 분쇄한 것에 분말 펄프와 바인더를 혼합시켜 조립한 조립형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층(5)을 형성하는 광촉매(4)는 산화티탄(6)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1)ㆍ제올라이트(2) 및 광촉매(4)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음이온 발생물질(10)인 모나자이트ㆍ석영반암 및 토르말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층(5)을 형성하는 광촉매(4)는, 상기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는 분립상 제올라이트(2)의 표면에 고착하기 전에, 그 표면에 미리 섬유상 무기재료제의 이간재(7)를 피복시켜 두고, 이 이간재(7)를 개재하여 각 광촉매(4)를 제올라이트(2)의 표면에 도착의 표층용 접착제(14)에 대하여, 직접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는 각 제올라이트(2)는, 몰데나이트, 크리노프티로라이트, 인공 제올라이트, 또는 합성 제올라이트의, 단체 또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1)는, 종이ㆍ천ㆍ한랭사ㆍ합성수지막ㆍ단열성 막 또는 부직포 중에서 선택한 어느 1종류의 가요성을 갖는 막상 기재(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1)는, 벽재ㆍ천정재ㆍ야지판ㆍ상재ㆍ판상 단열재ㆍ곤포용 판상자재ㆍ철계 금속판ㆍ비철계 금속판ㆍ또는 산업용 판상 자재 중에서 선택한 어느 1종류의 보형성을 갖는 판상 기재(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는 분립상의 각 제올라이트(2)는, 그 입도가 1/1000~12mm의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1)의 표면에 기층용 접착제(12)를 도포하여 기층 접착제층(13)을 형성하고, 이 기층 접착제층(13)상에 상기 분립상 제올라이트(2)를 산포하여 제올라이트층(3)을 형성하고,
    이 분립상 제올라이트(2)의 표면에 표층용 접착제(14)를 도포하여 표층 접착제층(15)을 형성하고, 이 표층 접착제층(15)상에 상기 광촉매(4)가 물중에 분산된 것을 내뿜어서 광촉매층(5)을 형성하고,
    이 기재(1)상에 기층 접착제층(13)ㆍ제올라이트층(3)ㆍ표층 접착제층(15) 및 광촉매층(5)이 차례로 형성된 것을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기재(1)의 표면에 분립상 제올라이트(2)를 기층용 접착제(12)에 접착함과 동시에, 분립상 제올라이트(2)의 표면에 광촉매(4)를 표층용 접착제(14)에 접착하고,
    이 표층용 접착제(14)는, 분립상 제올라이트(2)의 표면 및 광촉매(4)의 표면중의 일부만을 덮고, 그 잔부를 덮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용 접착제(14)는 수용성 접착제(14)로 이루어지고, 이 수용성 접착제(14)를 상기 분립상 제올라이트(2)의 표면에 도포하여 수용성 표층 접착제층(15)을 형성하고, 이 수용성 표층 접착제층(15)의 표면에 광촉매(4)의 현탁수를 내뿜어서 광촉매층(5)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성 표층 접착제층(15)으로의 광촉매(4)의 현탁수의 도포량은 10~200ml/㎡의 범위내로 설정하고, 수용성 표층 접착제층(15)으로의 광촉매의 부착량은 1~10g/㎡의 범위내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050074673A 2005-08-16 2005-08-16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 및 표면 다공질 물체층부착 벽장재 KR101220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673A KR101220069B1 (ko) 2005-08-16 2005-08-16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 및 표면 다공질 물체층부착 벽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673A KR101220069B1 (ko) 2005-08-16 2005-08-16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 및 표면 다공질 물체층부착 벽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601A KR20070020601A (ko) 2007-02-22
KR101220069B1 true KR101220069B1 (ko) 2013-01-08

Family

ID=43652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673A KR101220069B1 (ko) 2005-08-16 2005-08-16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 및 표면 다공질 물체층부착 벽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0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700B1 (ko) * 2012-06-29 2013-03-04 김용석 탈취·제습·항균기능을 갖는 다기능성의 기공성 구상 소성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5178A (ja) * 1994-08-10 1996-04-23 Teika Corp 光触媒機能を有するタイル
JP2002136811A (ja) * 2000-11-02 2002-05-14 Ishihara Sangyo Kaisha Ltd 光触媒脱臭フィルタ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5178A (ja) * 1994-08-10 1996-04-23 Teika Corp 光触媒機能を有するタイル
JP2002136811A (ja) * 2000-11-02 2002-05-14 Ishihara Sangyo Kaisha Ltd 光触媒脱臭フィル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601A (ko) 200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88311B (zh) 表面附有沸石层的壁装材料和表面附有多孔质物体层的壁装材料
KR101139301B1 (ko) 공기의 정화 및/또는 여과를 위한 매트-형상 폼 재료
US879558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al of contaminants from fluid streams
JP3285873B2 (ja) 汚染された部屋の汚染除去のための方法及び材料
DE102006022178A1 (de) Mit Adsorbentien beaufschlagte Plattenmaterialien für den Trockenbau
JP4427403B2 (ja) 表面ゼオライト層付き壁装材および表面多孔質物体層付き壁装材
KR101220069B1 (ko) 표면 제올라이트층 부착 벽장재 및 표면 다공질 물체층부착 벽장재
US20050211099A1 (en) Spiral composite adsorbent material
KR20100097518A (ko) 다공성 탈취 필터의 제조방법
KR100636902B1 (ko) 제올라이트가 포함되는 흡착제
JP5259251B2 (ja) 板状通気体及び積層体
JP2009068324A5 (ko)
JP2009007826A (ja) 機能性不織布シート及び機能性不織布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3001747A (ja) ガス吸着用シート
JP2002370023A (ja) 汚染物質の吸着剤および吸着方法
JP2003096399A (ja) 光触媒カプセル含有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光触媒カプセル含有塗膜構造体
KR101846295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필터용 팩
JP3800460B2 (ja) コンクリートからのアウトガス抑制方法およびアウトガス抑制部材
JP2005304844A (ja) 複合消臭フィルター
JPH11253755A (ja) 環境浄化剤,環境浄化材料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6778863B2 (ja) アロフェン膜複合体、それを用いたシート、及びアロフェン膜複合体の製造方法
KR20120011142A (ko) 다공성 습식 탈취제 필터의 제조방법
JP2003026464A (ja) 調湿タイルの製造方法および調湿タイル
JP2010029867A (ja) 光触媒担持体
JPH08244148A (ja) 機能性板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