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335B1 - 멀티모드형 토션 댐퍼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모드형 토션 댐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335B1
KR101219335B1 KR1020060089602A KR20060089602A KR101219335B1 KR 101219335 B1 KR101219335 B1 KR 101219335B1 KR 1020060089602 A KR1020060089602 A KR 1020060089602A KR 20060089602 A KR20060089602 A KR 20060089602A KR 101219335 B1 KR101219335 B1 KR 101219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actuators
torsion damper
internal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4884A (ko
Inventor
이재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9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335B1/ko
Publication of KR20080024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4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4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 F16F15/1407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the rotation being limited with respect to the driving means
    • F16F15/1414Masses driven by elastic elements
    • F16F15/1421Metallic springs, e.g. coil or spiral springs
    • F16F15/1428Metallic springs, e.g. coil or spiral springs with a single m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216Torsional springs, e.g. torsion bar or torsionally-loaded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23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0Flywheels
    • F16F15/31Flywhee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varying the moment of inert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52Physically guiding or influencing
    • F16F2230/0058Physically guiding or influencing using inserts or exterior elements, e.g. to affect stiffn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8Sensor 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18Control arrangements
    • F16F2230/183Control arrangements fluid actu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모드형 토션 댐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토션 댐퍼에 스티프니스를 조정하기 위한 액츄에이터 및 스프링을 설치하여, 차량 주행시에 ECU가 엔진 회전수 및 진동상태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에 공급되는 유압을 맵 데이터를 이용해 제어하여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상황에 따른 최적 상태로 제어하고, 결국 스티프니스 및 토션 댐퍼의 진동모드를 요구되는 최적 모드로 실시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최적의 진동제어가 가능해지며, 특히 외부질량체와 내부질량체 사이에서 스티프니스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여러 주파수 대역의 진동을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드로의 작동이 가능한 토션 댐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댐퍼, 토션, 풀리, 액츄에이터

Description

멀티모드형 토션 댐퍼 장치{Multi mode type torsion damper system}
도 1은 플라이 휠에 일체 장착되는 통상의 토션 댐퍼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형 토션 댐퍼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형 토션 댐퍼의 진동모드가 변경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형 토션 댐퍼에서 액츄에이터와 스프링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형 토션 댐퍼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형 토션 댐퍼 장치에서 유압공급부에 의해 각 액츄에이터로 유압이 공급되는 경로를 예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토션 댐퍼 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작용효과를 보여주는 시험 결과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댐퍼 11 : 외부질량체
11a : 홈 11b : 고정턱
12 : 내부질량체 12a : 홈
12b : 고정턱 12c : 슬롯
13 : 통로 21a, 21c : 외부질량 액츄에이터
21b, 21d : 내부질량 액츄에이터 22 : 실린더
23 : 피스톤 24, 25 : 오일라인
26 : 스프링 31 : 엔진 회전수 센서
32 : 진동센서 33 : ECU
35 : 유압공급부
본 발명은 멀티모드형 토션 댐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션 댐퍼에 스티프니스를 조정하기 위한 액츄에이터 및 스프링을 설치하여, 차량 주행시에 ECU가 엔진 회전수 및 진동상태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에 공급되는 유압을 맵 데이터를 이용해 제어하여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상황에 따른 최적 상태로 제어하고, 결국 스티프니스 및 토션 댐퍼의 진동모드를 요구되는 최적 모드로 실시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최적의 진동제어가 가능해지며, 특히 외부질량체와 내부질량체 사이에서 스티프니스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여러 주파수 대역의 진동을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드로의 작동이 가능한 토션 댐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의 크랭크계에 있어서 발생하는 진동은 굽힘진동, 인장-압축진동, 비틀림 진동이 주로 발생한다.
특히, 크랭크 샤프트에는 주기적인 회전력이 작용하므로 비틀림 진동이 발생하며, 이러한 비틀림 진동은 각 실린더의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력이 클수록, 크랭크 샤프트의 길이가 길수록 또는 강성이 작을수록 커진다.
상기 비틀림 진동은 크랭크 샤프트가 어느 회전수가 되면 샤프트 자체의 고유 진동과 공진을 일으키고, 특히 격심한 진동을 일으키게 되면 승차감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타이밍 기어나 크랭크 샤프트를 파손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상기 비틀림 진동은 여러 차수(order)의 성분이 함께 나타나며, 크랭크 샤프트의 위치에 따라 진폭이 상이하여 베어링 및 엔진 출력과 많은 연관을 갖고 있다.
이러한 비틀림 진동의 감쇄는 일반적으로 플라이 휠을 이용하여 0.5차 진동(엔진 RPM의 반정도 되는 것을 주파수 영역으로 했을 때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하지만, 크랭크계의 고차 비틀림 진동은 플라이 휠의 질량 효과로 인해 감쇄가 곤란하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플라이 휠에 일체 장착되는 토션 댐퍼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토셔널 바이브레이션 댐퍼(Torsional Vibration Damper,TVD)라고 하는 비틀림 진동 감쇄 장치가 형성된 댐퍼 풀리를 크랭크 샤프트에 조립시켜 설치하고 있다.
상기 토셔널 바이브레이션 댐퍼(1)는 크랭크 샤프트의 한쪽 끝에 장착되는 허브(2)와 링(매스체)(4) 사이에 특수 고무재인 고무링(댐퍼)(3)을 개재시켜 일체화시킨 것으로, 상기 고무링(3)의 스티프니스(stiffness)를 이용한 동적흡진(dynamic damaping effect)을 통해 크랭크 샤프트에서 발생한 진동을 감쇄한다.
예를 들면, 크랭크 샤프트가 일정한 회전속도를 유지하고 있을 때 링은 크랭크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하지만, 크랭크 샤프트가 비틀림 진동(회전방향에 대해 정 또는 부의 큰 가속도)을 발생시켰을 때도 링(4)은 관성력에 의해 그대로 일정한 회전속도를 유지하려 하기 때문에, 중간에 개재된 고무링(3)이 변형하여 이것에 의해 감쇄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댐퍼로는 싱글 모드(single mode), 싱글 매스(single mass), 듀얼 모드(dual mode), 듀얼 매스(dual mass) 댐퍼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 싱글 매스, 싱글 모드 댐퍼는 구조가 간단하지만 일부 대역의 진동 차수를 제어하지 못하는 진동 특성을 보이며, 듀얼 매스, 듀얼 모드는 구조가 복잡하고 중량이 무겁다.
이에 따라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여러 주파수 대역의 진동 차수를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드로의 작동이 가능한 댐퍼 기구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한 것으로서, 토션 댐퍼에 스티프니스를 조정하기 위한 액츄에이터 및 스프링을 설치하여, 차량 주행시에 ECU가 엔진 회전수 및 진동상태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에 공급되는 유압을 맵 데이터를 이용해 제어하여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상황에 따른 최적 상태로 제어하고, 결국 스티프니스 및 토션 댐퍼의 진동모드를 요구되는 최적 모드로 실시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최적의 진동제어가 가능해지며, 특히 외부질량체와 내부질량체 사이에서 스티프니스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여러 주파수 대역의 진동을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드로의 작동이 가능한 토션 댐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질량체와 내부질량체가 독립적으로 분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질량체와 내부질량체 사이에 상호 접합면의 원주를 따라 통로가 형성된 토션 댐퍼와; 유압 작동식 액츄에이터로서, 상기 통로 내에서 각각 외부질량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외부질량 액츄에이터 및 내부질량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내부질량 액츄에이터와; 상기 통로를 따라 설치되되, 외부질량 액츄에이터와 내부질량 액츄에이터 사이에 설치되어 각 액츄에이터 작동에 의해 길이가 조정됨으로써 스티프니스가 조정되는 스프링과; 엔진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센서와; 엔진에 설치되는 진동센서와; 상기 각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오일을 오일라인을 통해 공급하는 유압공급부와; 상기 엔진 회전수 센서와 진동센서의 신호를 토대로 상기 유압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각 액츄에이터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 제어, 상기 스프링의 길이 조정 및 그에 따른 스티프니스의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ECU;를 포함하는 멀티모드형 토션 댐퍼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각 액츄에이터는 상기 오일라인을 통해 실린더 내부에 작동오일이 공급/배출됨에 따라서 실린더 양단의 피스톤이 전후진 동작하여 돌출/삽입작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외부질량 액츄에이터 및 내부질량 액츄에이터의 피스톤 사이에 상기 스프링이 장착됨으로써 상기 피스톤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스프링의 길이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외부질량 액츄에이터는 외부질량체의 통로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한 두 고정턱 사이에 실린더가 끼워져서 고정되고, 상기 내부질량 액츄에이터는 내부질량체의 통로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한 두 고정턱 사이에 실린더가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가 내부질량체와 외부질량체가 형성하는 통로 내에서 90°간격으로 총 4개가 설치되고, 이때 두 외부질량 액츄에이터가 180°간격으로, 두 내부질량 액츄에이터가 180°간격으로 각각 설치되며, 외부질량 액츄에이터와 내부질량 액츄에이터 사이에 설치되는 4개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일공급부에서 댐퍼 중앙부로 오일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댐퍼 중앙부의 오일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내부질량체를 통과하는 각 오일라인이 오일 공급을 위해 상기 각 액츄에이터로 연결되며, 상기 외부질량 액츄에이터로 연결된 오일라인은 내부질량체에 형성된 슬롯을 통과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ECU는 엔진 회전수 센서와 진동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의 엔진 회전수 대역에 대한 진동수 및 진동위상을 미리 저장된 맵 데이터와 비교하여 액츄에이터 상태에 따른 현재의 토션 댐퍼의 진동모드가 안전한지 또는 부적절한지를 판단하고, 부적절함을 판단한 경우 최적 모드를 연산하여 연산 결과에 따라 유압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형 토션 댐퍼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형 토션 댐퍼의 진동모드가 변경되는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형 토션 댐퍼에서 액츄에이터와 스프링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또한 첨부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형 토션 댐퍼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형 토션 댐퍼 장치에서 유압공급부에 의해 각 액츄에이터로 유압이 공급되는 경로를 예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토션 댐퍼 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우선, 도 2와 도 3에는 플라이 휠에 일체 장착되는 토션 댐퍼를 일 예로 하여 그 내부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토션 댐퍼에서 도 1의 선 'A-A'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취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토션 댐퍼 장치는 크랭크계 및 회전계의 비틀 림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장치로서, 토션 댐퍼(10)를 포함하며, 이 토션 댐퍼(10)는 외부질량체(11)인 링(매스체)과 내부질량체(12)인 허브의 기본 구성은 동일하나, 허브와 링 사이에 개재되는 종래의 고무링 대신에 복수개의 유압 액츄에이터(21a~21d)와 스프링(26)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외부질량체(11)인 링과 내부질량체(12)인 허브는 윤활에 의해 독립적으로 분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질량체(11)와 내부질량체(12)의 상호 접합면(외부질량체의 경우에는 내주면, 내부질량체의 경우에는 외주면이 됨)에는 각각 원주 전 둘레를 따라 홈(11a,12a)이 형성되어, 상기 두 접합면의 홈(11a,12a)에 의해 외부질량체(11)와 내부질량체(12) 사이에는 내부질량체(12)의 주연을 따라서 밀폐된 긴 통로(양측의 홈이 조합되어 형성됨)(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로(13) 내에는 외부질량체(링)(11)에 고정 결합된 외부질량 액츄에이터(21a,21c)와 내부질량체(허브)(12)에 고정 결합된 내부질량 액츄에이터(21b,21d)가 설치되며, 여기서 상기 각 액츄에이터(21a~21d)로는 실린더(22) 내부에 작동오일이 공급/배출됨에 따라서 피스톤(23)이 실린더 양단에서 전후진 동작하여 돌출/삽입작동하는 유압 작동식 액츄에이터가 사용된다.
상기 외부질량 액츄에이터(21a,21c)와 내부질량 액츄에이터(21b,21d)는 각각 복수개가 설치되며, 이때 각 외부질량 액츄에이터(21a,21c)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질량체(링)(11)의 홈(통로)(11a)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한 두 고정턱(11b) 사이에 실린더가 끼워져서, 상기 실린더가 두 고정턱(11b) 사이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내부질량 액츄에이터(21b,21d)는 내부질량체(허브)(12)의 홈(통로)(12a)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한 두 고정턱(12b) 사이에 실린더가 끼워져서, 상기 실린더가 두 고정턱(12b) 사이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를 참조하면, 액츄에이터(21a~21d)가 내부질량체(12)와 외부질량체(11)가 형성하는 통로(!3) 내에서 90°간격으로 총 4개가 설치되고 있고, 이때 두 외부질량 액츄에이터(21a,21c)가 180°간격으로, 두 내부질량 액츄에이터(21b,21d)가 180°간격으로 각각 설치된다.
이때, 내부질량 액츄에이터(21b,21d)의 양 옆으로 두 외부질량 액츄에이터(21a,21c)가 배치되는 형태가 되는데, 내부질량 액츄에이터(21b,21d)와 외부질량 액츄에이터(21a,21c) 사이에는 각각 스프링(26)이 통로(13)를 따라 장착되며, 스프링(26)은 총 4개가 장착된다.
한편, 상기 액츄에이터(21a~21d)의 실린더(22) 내부로 유압을 형성하는 오일이 출입할 수 있도록 후술하는 바의 오일공급부(35)로부터 상기 각 액츄에이터의 실린더(22)로는 오일라인(24,25)이 연결 설치된다.
즉, 도 2와 도 3,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일공급부(35)에서 공급되는 오일은 상기 오일공급부에서 크랭크 샤프트(5)를 통해 댐퍼(10) 중앙부로 연결된 오일라인을 따라 공급되고, 이렇게 공급된 오일이 댐퍼 중앙부의 오일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내부질량체(12)를 통과하는 각 오일라인(24,25)을 따라 각 액츄에이터(21a~21d)의 실린더(22)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도면부호 12c는 내부질량체(12)에서 오일라인(24)이 통과하는 슬롯을 나타내 는 것으로, 내부질량체(12)가 회전진동을 하는 동안 상기 슬롯(12c)을 통과하여 외부질량 액츄에이터(21a,21c)로 연결된 오일라인(24)이 상기 슬롯(12) 내에서 슬롯을 따라 유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토션 댐퍼 장치에서는 차량 주행 중에 상기와 같은 액츄에이터(21a~21d)를 이용해 스프링(26)의 길이를 엔진 회전수 대역별로 제어하여 스티프니스를 변화(고유진동수를 변화)시켜 토션 댐퍼(10)로 하여금 비틀림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쇄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액츄에이터(21a~21d)를 상황에 따라 제어하면서 동작시켜 토션 댐퍼(10)의 진동모드를 최적 모드로 실시간 변경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바, 우선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한 엔진 회전수 센서(31)를 포함한다.
상기 엔진 회전수 센서(31)로는 기존 장착된 크랭크 포지션 센서(Crank Position Sensor;CPS)의 이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엔진에 설치되는 진동센서(32)를 포함하는 바, 이는 엔진 내부에서 진동의 발생이 가장 많은 곳, 예컨대 실린더 헤드 등의 엔진 일측에 설치되는 가속도센서로 실시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각 액츄에이터(21a~21d)를 작동시키기 위한 오일을 오일라인(24,25)을 통해 공급하는 유압공급부(35)를 포함하는 바, 이 유압공급부(35)는 유압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장치로서, 차량에 기존 장착되는 브레이크/클러치 시스템의 배력장치가 될 수 있으며, 예컨대 ABS 시스템의 유압장치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엔진 회전수 센서(31)와 진동센서(32)의 신호를 토대로 상기 유압공급부(35)를 구동 제어하여 상기 각 액츄에이터(21a~21d)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이하, ECU라 함)(33)을 포함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ECU(33)는 엔진 회전수 센서(31)와 진동센서(32)의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의 엔진 회전수 대역에 대한 진동수 및 진동위상을 미리 저장된 맵 데이터와 비교하여 액츄에이터 상태에 따른 현재의 토션 댐퍼(10)의 진동모드가 안전한지 또는 부적절한지를 판단하고, 부적절함을 판단한 경우 최적 모드를 연산하여 연산 결과에 따라 유압공급부(배력장치)(35)에 의해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유압공급부(35)의 작동이 제어되면서 각 액츄에이터(21a~21d)에 공급되는 유압의 제어가 이루어지며, 결국 각 액츄에이터가 제어된 유압에 따라 작동하게 된다.
물론, 상기 ECU(33)에는 선행 해석 및 시험을 통하여 얻어진 데이터들이 맵 데이터 형태로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하며, 엔진 회전수 대역에 대한 최적의 진동수 및 진동위상 데이터가 얻어져 저장된다.
본 발명의 토션 댐퍼(10)에서 각 액츄에이터(21a~21d)가 제어된 유압에 따라 작동하여 각 피스톤(23)의 위치가 변화하게 되면 스프링(26)의 길이가 변경되면서 스티프니스(스프링 강성) k값이 조절될 수 있게 되며, 결국 토션 댐퍼(10)의 진동모드가 조정될 수 있게 된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질량체(11)에 고정된 각 외부질량 액츄에 이터(21a,21c)와 내부질량체(12)에 고정된 각 내부질량 액츄에이터(21b,21d) 사이에 각각 스프링(26)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양측의 액츄에이터에서 피스톤(23)의 위치가 변경되면 스프링(26)의 길이가 증가 또는 축소될 수 있는 바, 결국 액츄에이터(21a~21d)에 공급되는 유압 제어 및 액츄에이터의 작동이 엔진 회전수 및 진동상태에 따라 적절히 제어되면, 피스톤(23)의 위치가 적절히 제어되면서 스프링(26)의 길이가 조정되고, 또한 스프링(26)의 스티프니스가 요구되는 최적의 상태로 조정되면서, 결국 토션 댐퍼(10)는 최적의 진동모드로 작동이 가능해진다.
액츄에이터(21a~21d)의 작동 제어에 따른 스프링 스티프니스의 제어에 있어서, 양측 액츄에이터(21a~21d)의 피스톤(23)이 이전 상태에 비해 돌출작동하여 스프링(26)의 길이가 축소되면 스티프니스가 커지며, 피스톤이 이전 상태에 비해 삽입작동하여 스프링의 길이가 증가하면 스티프니스는 감소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토션 댐퍼 장치에서는 차량 주행시에 ECU가 엔진 회전수 및 진동상태에 따라 액츄에이터에 공급되는 유압을 맵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어하여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상황에 따른 최적 상태로 제어하고, 결국 스티프니스를 제어하여 토션 댐퍼의 진동모드를 요구되는 최적 모드로 실시간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최적의 진동제어가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첨부한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작용효과를 보여주는 시험 결과도로서,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비틀림 진동 해석 결과 엔진 회전수(PRM) 대역별 피크를 지능 제어로 회피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댐퍼를 장착하지 않을 경우 Rated RPM 영역 내에서 4.5차, 5.0차, 7.0차, 8.0차 성분이 설계 기준인 0.15°를 만족하지 못하며, 특히 4.5차 성분은 5300RPM에서 0.434°로 최대값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주행시에 ECU가 엔진 회전수 및 진동상태에 따라 액츄에이터에 공급되는 유압을 맵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어하여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상황에 따른 최적 상태로 제어하고, 결국 스티프니스를 제어하여 토션 댐퍼의 진동모드를 요구되는 최적 모드로 실시간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최적의 진동제어가 가능해지며, 특히 상기한 본 발명의 토션 댐퍼는 외부질량체와 내부질량체 사이에서 스티프니스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가 있는 바, 여러 주파수 대역의 진동을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드로의 작동이 가능하다.

Claims (6)

  1. 외부질량체(11)와 내부질량체(12)가 독립적으로 분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질량체(11)와 내부질량체(12) 사이에 상호 접합면의 원주를 따라 통로(13)가 형성된 토션 댐퍼(10)와;
    유압 작동식 액츄에이터로서, 상기 통로(13) 내에서 각각 외부질량체(11)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외부질량 액츄에이터(21a,21c) 및 내부질량체(12)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내부질량 액츄에이터(21a,21d)와;
    상기 통로(13)를 따라 설치되되, 외부질량 액츄에이터(21a,21c)와 내부질량 액츄에이터(21b,21d)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질량 액츄에이터(21a,21c)와 내부질량 액츄에이터(21b,21d) 작동에 의해 길이가 조정됨으로써 스티프니스가 조정되는 스프링(26)과;
    엔진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센서(31)와;
    엔진에 설치되는 진동센서(32)와;
    상기 외부질량 액츄에이터(21a,21c)와 내부질량 액츄에이터(21b,21d)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오일을 오일라인(24,25)을 통해 공급하는 유압공급부(35)와;
    상기 엔진 회전수 센서(31)와 진동센서(32)의 신호를 토대로 상기 유압공급부(35)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외부질량 액츄에이터(21a,21c)와 내부질량 액츄에이터(21b,21d)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여 상기 외부질량 액츄에이터(21a,21c)와 내부질량 액츄에이터(21b,21d)의 작동 제어, 상기 스프링(26)의 길이 조정 및 스티프니스의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ECU(33);
    를 포함하는 멀티모드형 토션 댐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질량 액츄에이터(21a,21c)와 내부질량 액츄에이터(21b,21d)는 상기 오일라인(24,25)을 통해 실린더(22) 내부에 작동오일이 공급 또는 배출됨에 따라서 실린더(22) 양단의 피스톤(23)이 전후진 동작하여 돌출 또는 삽입작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외부질량 액츄에이터(21a,21c)와 내부질량 액츄에이터(21b,21d)의 피스톤(23) 사이에 상기 스프링(26)이 장착됨으로써 상기 피스톤(23)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스프링(26)의 길이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형 토션 댐퍼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질량 액츄에이터(21a,21c)는 외부질량체(11)의 통로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한 두 고정턱(11b) 사이에 실린더(22)가 끼워져서 고정되고, 상기 내부질량 액츄에이터(21b,21d)는 내부질량체(12)의 통로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한 두 고정턱(12b) 사이에 실린더(22)가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형 토션 댐퍼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질량 액츄에이터(21a,21c)와 내부질량 액츄에이터(21b,21d)가 내부질량체(12)와 외부질량체(11)가 형성하는 통로(13) 내에서 90°간격으로 총 4개가 설치되고, 이때 두 외부질량 액츄에이터(21a,21c)가 180°간격으로, 두 내부질량 액츄에이터(21b,21d)가 180°간격으로 각각 설치되며, 외부질량 액츄에이터(21a,21c)와 내부질량 액츄에이터(21b,21d) 사이에 설치되는 4개의 스프링(26)을 포함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형 토션 댐퍼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압공급부(35)에서 댐퍼 중앙부로 오일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댐퍼 중앙부의 오일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내부질량체(12)를 통과하는 각 오일라인(24,25)이 오일 공급을 위해 상기 외부질량 액츄에이터(21a,21c)와 내부질량 액츄에이터(21b,21d)로 연결되며, 상기 외부질량 액츄에이터(21a,21c)로 연결된 오일라인(24)은 내부질량체(12)에 형성된 슬롯(12c)을 통과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형 토션 댐퍼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ECU(33)는 엔진 회전수 센서(31)와 진동센서(32)의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의 엔진 회전수 대역에 대한 진동수 및 진동위상을 미리 저장된 맵 데이터와 비교하여 액츄에이터 상태에 따른 현재의 토션 댐퍼(10)의 진동모드가 안전한지 또는 부적절한지를 판단하고, 부적절함을 판단한 경우 최적 모드를 연산하여 연산 결과에 따라 유압공급부(35)에 의해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멀티모드형 토션 댐퍼 장치.
KR1020060089602A 2006-09-15 2006-09-15 멀티모드형 토션 댐퍼 장치 KR101219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602A KR101219335B1 (ko) 2006-09-15 2006-09-15 멀티모드형 토션 댐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602A KR101219335B1 (ko) 2006-09-15 2006-09-15 멀티모드형 토션 댐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884A KR20080024884A (ko) 2008-03-19
KR101219335B1 true KR101219335B1 (ko) 2013-01-08

Family

ID=39413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602A KR101219335B1 (ko) 2006-09-15 2006-09-15 멀티모드형 토션 댐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3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5188B (zh) * 2020-01-17 2022-11-11 北京福田康明斯发动机有限公司 动力总成悬置系统、减振方法及车辆
CN115217901B (zh) * 2022-06-06 2023-07-04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动力传动调节系统、车辆动力传动调节方法及车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181A (ja) * 1996-07-09 1998-01-27 Nippon Soken Inc エンジンマウントシステム
JPH1038019A (ja) * 1996-07-29 1998-02-13 Nippon Soken Inc エンジンマウントシステム
KR20030092299A (ko) * 2002-05-29 2003-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주파수 가변형 비틀림 댐퍼 시스템
JP2004263766A (ja) * 2003-02-28 2004-09-24 Nissan Diesel Motor Co Ltd フライホイール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181A (ja) * 1996-07-09 1998-01-27 Nippon Soken Inc エンジンマウントシステム
JPH1038019A (ja) * 1996-07-29 1998-02-13 Nippon Soken Inc エンジンマウントシステム
KR20030092299A (ko) * 2002-05-29 2003-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주파수 가변형 비틀림 댐퍼 시스템
JP2004263766A (ja) * 2003-02-28 2004-09-24 Nissan Diesel Motor Co Ltd フライホイー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884A (ko) 200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2265B2 (ja) エンジン
CN104822965B (zh) 通过环形传动构件由mgu或马达辅助或起动的发动机所使用的隔离器
US20090305828A1 (en) Traction mechanism driv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807731B1 (ja) エンジンのベルト張力調整装置
US8662038B2 (en) Traction mechanism drive with a compensating device for vibration reduction
JP2013224676A5 (ko)
CN106468340A (zh) 扭转振动吸收系统
US9482309B2 (en) Vehicular vibration reduction apparatus
KR101464235B1 (ko) 클러치
FR2851626B1 (fr)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 couple a double volant amortisseur,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JP4712597B2 (ja) 発電機兼用電動機および液圧式テンショナを備えるエンジン
WO2012066644A1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装置及びダイナミックダンパ装置の制御方法
KR101219335B1 (ko) 멀티모드형 토션 댐퍼 장치
EP3327310B1 (e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ssembly with engine balancing shafts using electric motors
JP2016191365A (ja) 内燃機関のベルト張力調整装置
JP5906852B2 (ja) 内燃機関とその制御方法
CN102937047A (zh) 一种汽车发动机轮系驱动系统
JP5907020B2 (ja) オートテンショナ
JP6072668B2 (ja) 伝動システム
JP2016191366A (ja) 内燃機関のベルト張力調整装置
CN117905856A (zh) 用于发动机的主动控制附件驱动系统及发动机
FR2928584B1 (fr) Dispositif d&#39;entrainement pour vehicules automobiles
JPH11113220A (ja) 内燃機関のトルク変動制御装置
KR100435960B1 (ko) 마그네틱 클러치가 형성된 밸런스 샤프트
US8181621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dynamic balanc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