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706B1 - 착탈식 윈도우 바이저 - Google Patents

착탈식 윈도우 바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706B1
KR101218706B1 KR1020120030104A KR20120030104A KR101218706B1 KR 101218706 B1 KR101218706 B1 KR 101218706B1 KR 1020120030104 A KR1020120030104 A KR 1020120030104A KR 20120030104 A KR20120030104 A KR 20120030104A KR 101218706 B1 KR101218706 B1 KR 101218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or
flat portion
magnet
window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종우
백종민
백연수
백연선
Original Assignee
백종우
백연선
백연수
백종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우, 백연선, 백연수, 백종민 filed Critical 백종우
Priority to KR1020120030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60J3/005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for sid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프레임에 탈부착되는 윈도우 바이저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에 면접촉되는 평면부를 지니는 바이저(10); 상기 바이저(10)의 평면부에 고정되는 자석부재(20); 상기 바이저(10)의 평면부에 고정되는 수밀부재(30); 및 상기 도어 프레임을 감싸면서 접합과 해제가 가능하도록 바이저(10)의 평면부에 고정되는 결속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차량에 긴밀하게 부착되어 주행중에 임의로 이탈되지 않고, 눈이나 비의 침투에 대비한 수밀성이 양호하며, 외부에서 쉽게 분리하여 도난할 수 없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착탈식 윈도우 바이저{Detachable window visor}
본 발명은 착탈식 윈도우 바이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에 긴밀하게 부착되어 주행중에 임의로 이탈되지 않고, 눈이나 비의 침투에 대비한 수밀성이 양호하며, 외부에서 쉽게 분리하여 도난할 수 없는 착탈식 윈도우 바이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윈도우 바이저는 눈이나 비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적 측면에서 애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미관적 측면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는 바, 적절한 주기로 세척하거나 교체하지 않는 경우 변색과 파손에 의하여 차량의 전체적 이미지를 저하시킬 우려가 크다. 이러한 폐단을 보완하기 위해 착탈식 윈도우 바이저에 대한 개량 기술이 국내외에서 선보이고 있다.
선행특허의 일예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326514호의 "자동차용 도어 바이저"는 도어의 창틀과 대면한 설치용 귀부와 그 폭방향 한 변으로부터 외측방향에 돌출한 상태로 연속 설치된 저판부를 구비한 자동차용 도어 바이저에 있어서,상기 설치용 귀부의 내면에 해당 귀부와 맞는 형상인 동시에 균일한 두께의 고무 자석을 접착제로 고정하고,해당 고무 자석을 창틀에 흡착한 상태에서 상기 설치용 귀부와 창틀의 외연을 복수개의 클립으로 결합한 구성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착탈 교환이 용이하면서 분리된 흔적에 의하여 창틀 표면을 오염시키지 않는 효과를 기대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16342호의 "탈,부착이 용이한 자동차용 윈도우 바이저"는 외부로부터의 눈과 비의 유입을 차단시키기 위한 프라스틱 혹은 스테인레스스틸 재질의 자동차용 윈도우 바이저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바이저는 자동차 도어의 외측 상단부 철재 윈도우 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눈, 비 차폐 윈도우 바이저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와 한 몸체를 이루며 자석이 취부 혹은 매립되어 자석부착부를 형성하며 차량의 철재 윈도우 프레임에 자석의 힘으로 부착기능을 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의 맨손에 의해 쉽게 탈착이 가능하므로 필요시에만 사용하여 윈도우 바이저의 본래의 기능을 달성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전자의 선행특허에 의하면 비교적 강한 부착력을 유지할 수 있기는 하지만 다수의 클립에 의하여 웨더스트립 등의 손상을 초래할 우려가 크고, 후자의 선행특허에 의하면 자력만으로 충분한 부착력이 발생되지 않아 주행중 이탈되어 파손될 우려가 크다. 그리고 상기한 어느 선행특허나 바이저가 외부에서 쉽게 분리되므로 항상 도난의 위험에 놓여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긴밀하게 부착되어 주행중에 임의로 이탈되지 않고, 눈이나 비의 침투에 대비한 수밀성이 양호하며, 외부에서 쉽게 분리하여 도난할 수 없는 착탈식 윈도우 바이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프레임에 탈부착되는 윈도우 바이저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에 면접촉되는 평면부를 지니는 바이저; 상기 바이저의 평면부에 고정되는 자석부재; 상기 바이저의 평면부에 고정되는 수밀부재; 및 상기 도어 프레임을 감싸면서 접합과 해제가 가능하도록 바이저의 평면부에 고정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자석부재는 바이저의 평면부 상에 연속적으로 접합되는 고무자석 또는 바이저의 평면부 상에 단속적으로 접합되는 강력자석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밀부재는 연질의 수지판 또는 고무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밀부재는 강수를 설정된 위치로 유도하는 배수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결속수단은 바이저의 평면부에 접합되는 신축성 소재의 밴드와, 밴드의 양단을 개폐하도록 접합되는 벨크로테이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바이저는 평면부 상에 수용홈을 구비하고, 수용홈 상에 지지편을 개재하여 결속수단의 이탈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 긴밀하게 부착되어 주행중에 임의로 이탈되지 않고, 눈이나 비의 침투에 대비한 수밀성이 양호하며, 외부에서 쉽게 분리하여 도난할 수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바이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바이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바이저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바이저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프레임에 탈부착되는 윈도우 바이저에 관련된다. 차량은 승용차, 상용차, 특수차 등에 구애받지 않으며, 윈도우 바이저의 소재는 금속이나 아크릴이 보편적이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저(10)가 상기 도어 프레임에 면접촉되는 평면부를 지니는 구조이다. 평면부는 바이저(10)의 상측부분에 길이를 따라 좁고 길게 형성되어 도어 프레임에 면접촉을 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바이저(10)의 평면부는 도어 프레임의 종류나 크기에 따른 전용의 곡률로 형성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이저(10)의 평면부에 자석부재(20)가 고정된다. 자석부재(20)는 바이저(10)가 도어 프레임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부착력보다는 후술하는 수밀부재(30)의 수밀성 향상을 도모한다.
이때, 상기 자석부재(20)는 바이저(10)의 평면부 상에 연속적으로 접합되는 고무자석(22) 또는 바이저(10)의 평면부 상에 단속적으로 접합되는 강력자석(25)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한다. 도 1은 고무자석(22)이 바이저(10)의 평면부에 연속적으로 접합된 것이고, 도 2는 강력자석(25)이 바이저(10)의 평면부에 단속적으로 접합된 것이다. 강력자석(25)은 일반적인 고무자석(22)에 비하여 자력이 강한 것으로서 네오디움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이저(10)의 평면부에 수밀부재(30)가 고정된다. 바이저(10)는 비나 눈이 오는 환경에서 실내 환기를 위해 도어의 윈도우를 개방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수밀부재(30)는 바이저(10)의 평면부에서 상측으로 배치되어 물이 도어 프레임을 타고 차량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수밀부재(30)는 연질의 수지판 또는 고무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한다. 수밀부재(30)로서 스카치 V형 문풍지(3M사)를 사용하거나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DM rubber)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처럼 바이저(10)의 평면부 일부에 수밀부재(30)를 배치하거나, 도 2처럼 바이저(10)의 평면부에 전체적으로 수밀부재(30)를 배치한다.
한편, 상기 수밀부재(30)는 강수를 설정된 위치로 유도하는 배수홈(32)을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도 1에서 자석부재(20)와 수밀부재(30)가 이웃하는 경계에 배수홈(32)이 형성된다. 배수홈(32)은 바이저(10)의 평면부에 반원형 단면으로 형성하는 것으로서 자석부재(20)와 수밀부재(30)의 두께 치수가 포함되므로 반드시 깊게 형성할 필요는 없다. 이에 따라, 바이저(10)를 장기간 사용하여 수밀부재(30)에 크랙이 발생하여도 물이 배수홈(32)으로 배출되므로 수밀성을 유지한다.
변형예로서, 이와 같은 배수홈(32)에 점착성을 지닌 방수재(35)를 부착할 수도 있다. 일예로, 부틸고무에 프로세스 오일과 연화제를 첨가하는 경우 점착성, 고흡수성과 함께 수팽창성을 발휘하여 방수 기능을 높인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어 프레임을 감싸면서 접합과 해제가 가능하도록 바이저(10)의 평면부에 결속수단(40)이 고정된다. 결속수단(40)은 본 발명의 요체의 하나로서 바이저(10)의 탈부착을 위한 접합/해제의 용이성과 함께 도어 프레임에 대한 높은 부착력의 발휘를 요한다.
이때, 상기 결속수단(40)은 바이저(10)의 평면부에 접합되는 신축성 소재의 밴드(42)와, 밴드(42)의 양단을 개폐하도록 접합되는 벨크로테이프(45)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바이저(10)의 평면부에 밴드(42)를 부착한 다음 전술한 자석부재(20)와 수밀부재(30)를 부착한 적층 구조이다. 밴드(42)는 도어 프레임을 감싼 상태에서 상하로 개폐되는 유리에 의하여 수시로 변형이 초래되므로 유연성과 함께 강도, 내마모성을 요한다. 실제 적용에 있어서 밴드(42)는 우레탄, 스판직물, 케블러 직물 등을 조합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밴드(42)의 양단에는 일명 까슬이와 보슬이로 구성된 벨크로테이프(45)를 부착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바이저(10)는 평면부 상에 수용홈(12)을 구비하고, 수용홈(12) 상에 지지편(50)을 개재하여 결속수단(40)의 이탈을 구속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4에서 바이저(10)에 수용홈(12)을 형성하면서 지지편(50)이 인서트 몰딩으로 일체화되도록 한다. 바이저(10)의 평면부에 수용홈(12)이 형성됨에 따라 소재 두께가 축소되지 않도록 덧살(13)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지지편(50)은 금속제 판이나 핀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이저(10)의 평면부에서 돌출되지 않고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매립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되는 수용홈(12) 상에 결속수단(40)의 밴드(42)를 끼우고 접착제를 도포하여 실링한다.
물론 바이저(10)가 수지제라면 양산에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 바이저(10)의 평면부에 밴드(42)와 지지편(50)을 동시에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바이저(10)에 별도의 수용홈(12)을 형성하고 접합하는 공정이 배제되는 반면, 밴드(4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이저(10)의 사출성형의 온도를 지탱하는 소재를 적용해야 한다.
어느 경우에나 결속수단(40)이 부착된 후에 전술한 자석부재(20)와 수밀부재(30)를 고정하는 방식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4의 구성에 의하면 바이저(10)의 평면부가 밴드(42)에 의하여 굴곡지지 않고 차량의 주행 중에 바이저(10)에 높은 풍압이 작용하여도 견실하게 지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스타일의 바이저(10)를 차량의 도어 프레임에 부착하고 결속수단(40)을 이용하여 긴밀하게 결속하며, 다른 바이저(10)로 교체하는 경우에도 결속수단(40)을 해제하기 용이하면서 차량에 어떠한 손상도 초래하지 않는다. 차량의 도어와 유리를 폐쇄하면 외부에서 바이저(10)의 결속수단(40)을 해제할 수 없어 도난의 우려가 경감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바이저 12: 수용홈
13: 덧살 20: 자석부재
22: 고무자석 25: 강력자석
30: 수밀부재 32: 배수홈
35: 방수재 40: 결속수단
42: 밴드 45: 벨크로테이프
50: 지지편

Claims (6)

  1. 차량의 도어 프레임에 탈부착되는 윈도우 바이저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에 면접촉되는 평면부를 지니는 바이저(10);
    상기 바이저(10)의 평면부에 고정되는 자석부재(20);
    상기 바이저(10)의 평면부에서 자석부재(20)의 하측에 고정되고, 강수를 설정된 위치로 유도하는 배수홈(32)을 구비하는 수밀부재(30); 및
    상기 도어 프레임을 감싸면서 접합과 해제가 가능하도록 바이저(10)의 평면부에 고정되는 결속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결속수단(40)은 바이저(10)의 평면부에 접합되는 신축성 소재의 밴드(42)와, 밴드(42)의 양단을 개폐하도록 접합되는 벨크로테이프(45)를 구비하며,
    상기 바이저(10)는 평면부 상에 수용홈(12)을 구비하고, 수용홈(12) 상에 지지편(50)을 개재하여 결속수단(40)의 이탈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윈도우 바이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재(20)는 바이저(10)의 평면부 상에 연속적으로 접합되는 고무자석(22) 또는 바이저(10)의 평면부 상에 단속적으로 접합되는 강력자석(25)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윈도우 바이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부재(30)는 연질의 수지판 또는 고무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윈도우 바이저.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20030104A 2012-03-23 2012-03-23 착탈식 윈도우 바이저 KR101218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104A KR101218706B1 (ko) 2012-03-23 2012-03-23 착탈식 윈도우 바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104A KR101218706B1 (ko) 2012-03-23 2012-03-23 착탈식 윈도우 바이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706B1 true KR101218706B1 (ko) 2013-01-09

Family

ID=47841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104A KR101218706B1 (ko) 2012-03-23 2012-03-23 착탈식 윈도우 바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7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8082A (ja) * 1995-03-30 1996-10-15 Ichiro Morimoto 車のフロントカバー
KR200351265Y1 (ko) * 2004-02-14 2004-05-20 이장복 자동차용 선바이저
KR200416342Y1 (ko) * 2006-02-28 2006-05-15 이용현 탈,부착이 용이한 자동차용 윈도우 바이저
KR200424199Y1 (ko) * 2006-06-07 2006-08-18 김용진 탈부착이 용이한 썬바이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8082A (ja) * 1995-03-30 1996-10-15 Ichiro Morimoto 車のフロントカバー
KR200351265Y1 (ko) * 2004-02-14 2004-05-20 이장복 자동차용 선바이저
KR200416342Y1 (ko) * 2006-02-28 2006-05-15 이용현 탈,부착이 용이한 자동차용 윈도우 바이저
KR200424199Y1 (ko) * 2006-06-07 2006-08-18 김용진 탈부착이 용이한 썬바이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563B1 (ko) 자동차용 바이저
US9623739B2 (en) Construction for securing a trim strip
US8549790B2 (en) Weatherstrip assembly
US10046624B2 (en) Vehicle back door
US20120167473A1 (en) Pane unit and method for producing it
US10723284B2 (en) Trim part
JP2008087495A (ja) 自動車用ウエザストリップ
US20130119696A1 (en) Encapsulated windshield molding and method for attaching a windshield
KR101218706B1 (ko) 착탈식 윈도우 바이저
JP2008030636A (ja) オープニングトリムウエザストリップ
US20060230685A1 (en) Appearance feature for polyurethane glass bond
US20110036017A1 (en) Motor vehicle door seal
JP2013248911A (ja) 枠体付き車両窓用板状体及び枠体付き車両窓用板状体の組付方法
CN203780282U (zh) 汽车及其车门
CN104442329A (zh) 一种飞机风挡玻璃的风挡保护罩及安装方法
JP2013091455A (ja) 自動車用網戸
CN213768729U (zh) 用于汽车的b柱外饰板及汽车
JP3013979U (ja) 自動車用バイザ
JP3135275U (ja) 自動車用ウインドカバー
JP6022764B2 (ja) 樹脂パネルの取付構造
JP2009073316A (ja) 自動車用ルーフウエザストリップ
JP2007030740A (ja) 自動車用ウエザストリップ
JP3216052U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ガラス用カバー
JP5509807B2 (ja) 車両の後方ドア
JP2011126506A (ja) トランクリッドの防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