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568B1 -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568B1
KR101218568B1 KR1020120086652A KR20120086652A KR101218568B1 KR 101218568 B1 KR101218568 B1 KR 101218568B1 KR 1020120086652 A KR1020120086652 A KR 1020120086652A KR 20120086652 A KR20120086652 A KR 20120086652A KR 101218568 B1 KR101218568 B1 KR 101218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charge
flow path
horizonta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낙구
Original Assignee
(주)대성테크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테크윈 filed Critical (주)대성테크윈
Priority to KR1020120086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5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cylindrical or spherical bodies which are rota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작업장을 전체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하지 않더라도 작업위치별로 냉풍 또는 온풍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크레인이 설치된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는, 소정높이에서 크레인이 주행하도록 안내하는 레일지지부재와, 상기 레일지지부재를 지지하는 수직기둥과, 상기 수직기둥과 나란히 설치되고 내부가 비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수직유동로가 형성된 수직지지부재와, 상기 수직지지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수직유동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유입구에 설치되는 공기필터와, 상기 수직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레일지지부재의 하측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직유동로와 연통된 수평유동로가 내부에 형성된 수평덕트부재와, 상기 수평유동로를 이동하는 공기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수평덕트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분사되는 토출부재가 포함되되, 다수개의 상기 토출부재는 서로 독립적으로 방향전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apparatus in workplace}
본 발명은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작업장 내의 작업자에게 작업위치별로 냉풍 또는 온풍을 제공하고 크레인 등의 지지구조물의 하부에 공조장치를 설치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인 공조장치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대형구조물의 제작이 이루어지는 현장의 실내작업장에는 다양한 종류의 기계가 운전되고 있고 용접 등 열기가 발생하는 작업이 다수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능률 향상을 위해 냉방장치의 설치가 필요한다.
도 1은 종래 대형 작업장 등에 설치되는 대공간용 공조장치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0972007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공조장치(1)는 작업장 내의 소정의 공간에 설치되어 냉풍을 토출할 수 있고, 겨울철에는 온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냉풍 또는 온풍이 토출되는 토출구(2)가 고정되거나 방향설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실내 작업장 내에 열기가 누적되는 혹서기에, 토출되는 냉풍이 작업장 전체의 공기온도를 냉각시키지 못할 경우, 상기와 같은 구조의 공조장치가 작업자에게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즉, 작업장 내에 열기배출이 많은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고, 건물이 단열구조로 건축되지 않은 관계로 대형 실내작업장의 내부공기를 모두 냉각시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고, 상기 공조장치가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는 소정의 구석진 영역에 설치됨으로써 실제 작업자가 작업하고 있는 영역까지 냉풍을 공급하기 어렵다.
또한, 작업자 주변에 그 공조장치와 비슷한 높이의 은폐물이나 방해물이 많이 설치되므로, 냉풍의 공급이 차단됨으로써 그 설치효과가 반감되기도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대형작업장에는 제작된 대형구조물이나 자재를 이동하기 위한 실내 크레인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러한 크레인을 지지하는 구조물 주변은 비활용공간으로 남게 되어 공간활용성을 크게 떨어뜨리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작업장을 전체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하지 않더라도 작업위치별로 냉풍 또는 온풍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크레인 등의 지지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는 실내작업장에서 비활용공간에 설치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높인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높이에서 크레인이 주행하도록 안내하는 레일지지부재; 상기 레일지지부재를 지지하는 수직기둥; 상기 수직기둥과 나란히 설치되고 내부가 비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수직유동로가 형성된 수직지지부재; 상기 수직지지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유동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 상기 공기유입구에 설치되는 공기필터; 상기 수직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수직지지부재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레일지지부재의 하측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직유동로와 연통된 수평유동로가 내부에 형성된 수평덕트부재; 상기 수평유동로를 이동하는 공기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수평덕트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분사되는 토출부재가 포함되는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토출부재는 서로 독립적으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다수개의 상기 토출부재는 각각, 구형상의 외면을 가지고 상기 구형상의 외면을 기준으로 일측에 유입개구와 타측에 유출개구를 가지는 노즐부재; 및 상기 수평덕트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수평덕트부재의 내측으로 상기 유입개구가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수평덕트부재의 외측으로 상기 유출개구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구형상의 외면을 덮어 상기 노즐부재를 안착시키되, 상기 노즐부재가 상하좌우로 경사지기 위한 자유로운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감싸고 있는 소켓부재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토출부재는 상기 수평유동로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덕트부재의 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소켓부재를 지지하는 토출부재프레임이 상기 수평덕트부재의 상기 측면에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토출부재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노즐부재의 상기 유입개구가 자유롭게 회동운동하도록 여유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수평덕트부재 내에서 상기 여유공간의 후측에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수평유동로의 끝단에는, 상기 토출부재로 유동하는 공기의 교란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수평유동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상기 토출부재로 안내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유동안내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수직지지부재와 수평덕트부재는 전체적으로 “┌” 형상을 형성하도록 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는 크레인을 지지하는 수평의 레일지지부재의 하측과 지지기둥에 인접한 기둥의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크레인 하측의 비활용공간을 이용함으로써 실내작업장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건물을 지지하는 건물지지기둥과 건물지지기둥에 의해 받쳐져 지붕을 지지하고 있는 가로보의 구성도 전술한 레일지지부재와 지지기둥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함으로써 실내작업장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토출구가 작업자의 상측에 위치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방향이 조절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향하여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냉풍 또는 온풍을 전달할 수 있는 바, 작업자 주변에 방해물이나 은폐물이 있더라도 효과적인 냉풍 또는 온풍의 전달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열기가 많은 실내작업장 전체를 냉방하는 방식이 아니라 작업자의 작업이 많이 이루어지는 영역에 집중적으로 냉풍을 토출하여 비교적 에너지의 투입량이 작더라도 작업자의 작업영역에서 냉풍을 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유입구가 하측에 위치하여 하측에서 유입된 공기를 냉각하여 상측에 위치한 토출부재를 통해 다시 하측방향으로 분사하는 방식이고 실내작업장 전체를 냉각할 필요가 없는 것이므로, 비교적 온도가 낮은 하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한 후 토출하고, 토출된 낮은 온도의 공기가 쌓여있는 하측에서 다시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투입되는 에너지의 양을 줄일 수 있고, 열기로 가득한 실내작업장의 상층공기를 흡입하는 것이 아니므로 에너지 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필터가 수직지지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는 공기유입구에 설치됨으로써 점검자가 낮은 위치에서 용이하게 공기필터의 점검 및 교체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대공간용 냉난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이 설치된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 설치구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이 설치된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 설치구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이 설치된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를 정면에서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이 설치된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를 상측에서 절단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이 설치된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에서 토출부재의 단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이 설치된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에서 토출부재의 토출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작업을 예시하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이 설치된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에서 토출부재에 의해 토출되는 냉풍의 방향을 측면에서 도시하는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이 설치된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에서 토출부재에 의해 토출되는 냉풍의 방향을 상측에서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하중을 받치는 지지시설물과 인접하여 공조장치가 설치된 구조를 도시하는 구성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이 설치된 실내작업장에서 공조장치 설치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 설치구조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를 정면에서 절단한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를 상측에서 절단한 평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는, 소정높이에서 크레인(10)이 주행하도록 안내하는 레일지지부재(12)와, 상기 레일지지부재(12)를 지지하는 수직기둥(11)과, 상기 수직기둥(11)과 나란히 설치되고 내부가 비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수직유동로(25)가 형성된 수직지지부재(20)와, 상기 수직지지부재(20)의 하부에서 수직유동로(25)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22)와, 상기 공기유입구(22)에 설치되는 공기필터(24)와, 상기 수직지지부재(20)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수직지지부재(20)의 상단에 고정되고 레일지지부재(12)의 하측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직유동로(25)와 연통된 수평유동로(35)가 내부에 형성된 수평덕트부재(30)와, 상기 수평유동로(35)를 이동하는 공기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60)와, 상기 수평덕트부재(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60)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분사되는 토출부재(40)가 포함된다.
상기 크레인(10)은 공장 등 실내작업장 내에서 중량제작물을 이동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통상 케이블(15)에 설치된 훅부재(16)가 중량제작물을 묶고 있는 로프를 걸어 중량제작물을 들어 올리고 크레인(10)의 주행운동에 의해 이동시킨다.
상기 크레인(10)은 작업장의 천정부근에서 이동하고 있는 바, 크레인(10)이 주행하는 레일의 설치를 위해 레일지지부재(12)가 소정의 높이에 수평으로 한 쌍씩 나란히 설치되고, 레일지지부재(12)를 받치는 수직기둥(11)이 다수 설치된다.
상기 크레인(10)에 연결된 훅부재(16)와 케이블(15)이 중량제작물을 들어올려 이동시키는 범위는 통상 한 쌍의 레일지지부재(12)가 설치된 사이의 공간에 한정되고 있으므로 수직기둥(11)이 설치된 부근에서 레일지지부재(12)의 하측공간은 비활용 공간으로 남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러한 비활용 공간에 상기 수직지지부재(20)와 수평덕트부재(30)와 토출부재(40)를 설치하여 작업장의 공간활용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상기 수직지지부재(20)는 토출부재(40)에서 분사되는 냉풍 또는 온풍을 생산하기 위하여 공기를 유입시켜 수직으로 상승시키는 부분이다. 따라서, 수직지지부재(20)에는 상기 공기유입구(22)가 설치되고 공기유입구(2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내부의 수직유동로(25)를 따라 상승유동한다. 또한, 수직지지부재(20)는 그 상단에 결합되는 수평덕트부재(30)와 함께 전체적으로 “┌” 형상을 형성하고 있고, 수평덕트부재(30)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 공기유입구(22)는 수직지지부재(2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내측에는 공기필터(24)가 설치된다. 공기유입구(22)를 수직지지부재(20)의 하부에 설치하는 것은 냉풍의 토출을 위해 비교적 온도가 낮은 작업장의 하측공기를 흡입하여 냉각함으로써 에너지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는 열기가 많은 실내작업장 전체를 냉각시키는 경우, 그 냉각이 쉽지 않을 뿐더러 작업장의 상층에는 열기가 포집되는 영역이므로 상층공기의 냉각없이 바닥부근의 비교적 낮은 온도의 공기만을 계속 순환시키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즉, 바닥부근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한 후 토출부재(40)를 통해 다시 바닥 부근으로 토출하고 토출된 바닥 부근의 공기를 다시 흡입하는 방식으로 공기의 순환이 발생하도록 하고 작업자는 그 토출되는 공기를 접하도록 하여 에너지의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수직지지부재(20) 하부의 공기유입구(22) 내측에 공기필터(24)가 설치됨으로써 점검자가 낮은 위치에서 용이하게 공기필터(24)의 점검 및 교체가 가능하다.
상층에 비해 바닥부근에서 작업장의 분진이 더 많이 발생하여 부유하고 있으므로 바닥부근의 공기유입구(22) 및 공기필터(24)의 설치는 실내작업장의 공기정화에 보다 높은 효과를 가진다.
한편, 상기 수평덕트부재(30)는 수직지지부재(20)의 상단에 고정되어 지지받고 있고, 그 내부에 수직유동로(25)와 연통된 수평유동로(35)가 형성되어 있다. 수평덕트부재(30)는 크레인(10)의 레일지지부재(12)의 하측에서 그것과 나란히 연장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수평덕트부재(30)의 내부에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기 위한 열교환기(60)가 설치되고, 냉각 또는 가열시킨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재(40)가 수평유동로(35)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수평유동로(35)의 끝단에는 측면에 설치된 토출부재(40)로 유동하는 공기의 교란을 줄이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안내플레이트(37)가 설치된다. 유동안내플레이트(37)는 수평유동로(35)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가 경사면에 부딪혀 수평유동로(35)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토출부재(40a)로 공기의 유동방향이 꺾이도록 설치된 것이다. 이로 인해, 수평유동로(35)의 끝단부근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교란을 줄임으로써 수평덕트부재(30)의 측벽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토출부재(40) 중 수평유동로(35)의 끝단부근에 설치된 토출부재(40a)에서 유동공기의 교란으로 인해 토출량이 감소하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수평유동로(35)의 내부에는 공기의 유입 및 유동을 위해 송풍팬(70)이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60)는 통과하는 공기가 냉각 또는 가열되도록 열교환되는 부분으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수 또는 가열수를 매개로 공기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상기 열교환기(60)는 냉각수 또는 가열수가 출입하는 별도의 한 쌍의 호스(62,63)를 구비하고, 토출부재(40)의 후측에 열교환기(60)가 설치되어 토출부재(40)로 진입하는 공기가 냉각 또는 가열된 후 토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토출부재(40)는 수평덕트부재(30)의 측벽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토출부재(40)는 구형상의 외면(42c)을 가지고 구형상의 외면(42c)을 기준으로 일측에 유입개구(42a)와 타측에 유출개구(42b)를 가지는 노즐부재(42)와, 상기 수평덕트부재(30)에 설치되고 수평덕트부재(30)의 내측으로 상기 유입개구(42a)가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수평덕트부재(30)의 외측으로 유출개구(42b)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구형상의 외면(42c)을 덮어 노즐부재(42)를 안착시키되, 상기 노즐부재(42)가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자유로운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감싸고 있는 소켓부재(4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노즐부재(42)는 내부가 관통되는 형상으로서 유입개구(42a)와 유출개구(42b)가 형성됨으로써 열교환기(60)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유입개구(42a)로 유입된 후 유출개구(42b)로 분사되도록 하고 노즐부재(42)의 방향에 따라 그 분사되는 방향이 변경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상기 노즐부재(42)의 외면은 구형상의 외면(42c)을 가지되 유입개구(42a)와 유출개구(42b)가 형성된 부분에는 구형상이 완전하게 형성되지 못하고 일부가 절단된 형상이다.
상기 구형상의 외면(42c)을 소켓부재(44)가 감싸 지지함으로써 소켓부재(44)의 내부에서 노즐부재(42)의 방향전환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소켓부재(44)는 상기 구형상의 외면(42c)을 덮고 있는 것으로서, 그형상의 외면과 접하여 슬라이딩이 발생하도록 그 내면도 구형상면을 구성하는 일부면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소켓부재(44)의 내면과 노즐부재(42)의 외면이 접촉하여 자유롭게 슬라이딩됨으로써 노즐부재(42)의 유출구가 상하좌우로 경사지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소켓부재(44)는 토출부재프레임(45)에 의해 지지되고 있고, 토출부재프레임(45)의 내측에는 토출부재(42)의 유입개구(42a)부분이 자유롭게 회동운동할 수 있도록 여유공간(46)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10)이 설치된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의 작용을 냉풍공급 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냉풍의 토출시 열기가 많은 실내작업장 전체를 냉방하는 방식이 아니라, 작업자의 작업이 많이 이루어지는 영역에 집중적으로 냉풍을 토출하여 비교적 에너지의 투입량이 작더라도 작업자의 작업영역에서 냉풍을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냉풍의 토출이 필요한 작업영역으로 각 토출부재(40)의 방향을 전환시킬 필요가 있다. 그 방향의 전환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조절로드(R)를 이용하여 토출부재(40)의 방향을 조절한다. 토출부재(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출구의 방향전환이 상하좌우의 경사방향으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열교환기(60)에 한 쌍의 호스(62,63)를 통해 냉각수가 유입 및 유출되도록 순환시키고, 송풍팬(70)을 작동시킨다. 수직지지부재(20)의 공기유입구(22)에서 작업장의 바닥면 근처의 공기를 흡입하면 공기필터(24)와 수직유동로(25)를 거쳐 수평유동로(35)로 진입한다.
수평유동로(35)의 끝단에는 유동안내플레이트(37)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평유동로(35)의 끝단에서 발생하는 유동의 교란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수평덕트부재(30)의 측벽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토출부재(40) 중 수평유동로(35)의 끝단부근에 설치된 토출부재(40)에서 토출량이 감소하는 현상을 제거 또는 대폭 감소시킴으로써 모든 토출부재(40)에서 대략 균일한 토출량이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토출부재(40)로 진입하기 전의 공기는 열교환기(60)를 통과하면서 냉각이 이루어지고 토출방향은 토출부재(40)의 설정방향에 따라 결정된다.
도 8은 예시하는 상태로서 토출부재(40)에 의해 토출되는 냉풍의 방향을 측면에서 도시하는 상태도이고, 도 9는 토출부재(40)에 의해 토출되는 냉풍의 방향을 상측에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각각의 토출부재(40)가 독립적으로 토출방향이 설정되므로 필요한 작업영역에 토출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토출된 공기는 바닥부근에서 공기유입구(22)를 통해 유입되어 순환하게 되고, 바닥부근에 부유하는 분진도 함께 유입되면서 공기필터(24)에 포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공기유입구(22)가 하측에 위치하여 하측에서 유입된 공기를 냉각하여 상측에 위치한 토출부재(40)를 통해 다시 하측방향으로 분사하는 방식이고 실내작업장 전체를 냉각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이에 따라, 비교적 온도가 낮은 하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하여 토출하고, 토출된 낮은 온도의 공기가 쌓여있는 하측에서 다시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투입되는 에너지의 양을 줄일 수 있으며, 열기로 가득한 실내작업장의 상층공기를 흡입하는 것이 아니므로 에너지 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크레인(10)이 설치된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는 크레인(10)을 지지하는 수평의 레일지지부재(12)의 하측과 수직기둥(11)에 인접한 기둥의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크레인(10) 하측의 비활용공간을 이용함으로써 실내작업장의 공간활용도를 크게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하중을 받치는 지지시설물과 인접하여 공조장치가 설치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크레인(10)을 지지하는 레일지지부재(12)와 수직기둥(11)을 대신하여 건물의 내부에서 건물을 지지하는 건물지지기둥(81)과 가로보(82)와 인접하여 공조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크레인(10)을 지지하는 레일지지부재(12)와 수직기둥(11)과 비교하면, 상기 건물지지기둥(81)과 가로보(82)는 그 설치위치에서 차이가 있을 뿐, 설치되는 구성이 서로 유사하다. 따라서, 상기 수직지지부재(20)를 건물지지기둥(81)과 나란히 설치하고, 수평덕트부재(30)를 상기 가로보(82)의 하측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가로보(82)와 나란히 연장되게 설치함으로써 크레인이 설치된 실내작업장에서 공조장치가 설치된 구조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각각의 토출부재(40)가 독립적으로 토출방향이 설정되고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토출되므로 작업자 주변의 장애물에 방해받지 않고 필요한 작업영역에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토출된 공기는 바닥부근에서 공기유입구(22)를 통해 유입되어 순환하게 되므로 비교적 온도가 낮은 하측의 공기를 흡입한 후 냉각하여 토출하고, 토출된 낮은 온도의 공기가 쌓여있는 하측에서 다시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투입되는 에너지의 양을 줄일 수 있으며, 열기로 가득한 실내작업장의 상층공기를 흡입하는 것이 아니므로 에너지 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또한, 건물지지기둥(81)과 가로보(82)에 인접하여 공조장치가 기둥의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비활용공간을 이용함으로써 실내작업장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크레인 11; 수직기둥
12; 레일지지부재 15; 케이블
16; 훅부재 20; 수직지지부재
22; 공기유입구 24; 공기필터
25; 수직유동로 30; 수평덕트부재
35; 수평유동로 37; 유동안내플레이트
40,40a; 토출부재 42; 노즐부재
42a; 유입개구 42b; 유출개구
42c; 외면 44; 소켓부재
45; 토출부재프레임 46; 여유공간
60; 열교환기 62,63; 호스
70; 송풍팬 R: 조절로드
81; 건물지지기둥 82; 가로보

Claims (5)

  1. 소정높이에서 크레인(10)이 주행하도록 안내하는 레일지지부재(12);
    상기 레일지지부재(12)를 지지하는 수직기둥(11);
    상기 수직기둥(11)과 나란히 설치되고 내부가 비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수직유동로(25)가 형성된 수직지지부재(20);
    상기 수직지지부재(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유동로(25)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22);
    상기 공기유입구(22)에 설치되는 공기필터(24);
    상기 수직지지부재(20)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수직지지부재(20)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레일지지부재(12)의 하측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직유동로(25)와 연통된 수평유동로(35)가 내부에 형성된 수평덕트부재(30);
    상기 수평유동로(35)를 이동하는 공기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60); 및,
    상기 수평덕트부재(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60)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분사되는 토출부재(40)가 포함되는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토출부재(40)는 서로 독립적으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다수개의 상기 토출부재(40)는 각각,
    구형상의 외면(42c)을 가지고 상기 구형상의 외면(42c)을 기준으로 일측에 유입개구(42a)와 타측에 유출개구(42b)를 가지는 노즐부재(42); 및
    상기 수평덕트부재(30)에 설치되고, 상기 수평덕트부재(30)의 내측으로 상기 유입개구(42a)가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수평덕트부재(30)의 외측으로 상기 유출개구(42b)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구형상의 외면(42c)을 덮어 상기 노즐부재(42)를 안착시키되, 상기 노즐부재(42)가 상하좌우로 경사지기 위한 자유로운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감싸고 있는 소켓부재(44)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토출부재(40)는 상기 수평유동로(35)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덕트부재(30)의 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소켓부재(44)를 지지하는 토출부재프레임(45)이 상기 수평덕트부재(30)의 상기 측면에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토출부재프레임(45)의 내측에는 상기 노즐부재(42)의 상기 유입개구(42a)가 자유롭게 회동운동하도록 여유공간(46)이 형성되며,
    상기 열교환기(60)는 상기 수평덕트부재(30) 내에서 상기 여유공간(46)의 후측에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수평유동로(35)의 끝단에는, 상기 토출부재(40)로 유동하는 공기의 교란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수평유동로(35)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상기 토출부재(40)로 안내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유동안내플레이트(37)가 설치되며,
    상기 수직지지부재(20)와 수평덕트부재(30)는 전체적으로 “┌” 형상을 형성하도록 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086652A 2012-08-08 2012-08-08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 KR101218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652A KR101218568B1 (ko) 2012-08-08 2012-08-08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652A KR101218568B1 (ko) 2012-08-08 2012-08-08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568B1 true KR101218568B1 (ko) 2013-01-04

Family

ID=47841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652A KR101218568B1 (ko) 2012-08-08 2012-08-08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5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833B1 (ko) * 2016-06-29 2018-03-23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이온발생기가 구비된 에어커튼용 덕트
EP3805659A4 (en) * 2018-05-31 2022-03-02 Fujitsu General Limited AIR CONDITIONING EMBEDDED IN A ROOM CEILING
KR102646520B1 (ko) * 2023-06-26 2024-03-12 주식회사 대진정공 폐기물수집운반차량의 작업자 탑승룸 공조장치
KR20240053140A (ko) 2022-10-17 2024-04-24 (주)대성테크윈 온도와 습도와 노점과 먼지 측정기능을 구비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9245A (en) * 1987-07-10 1989-01-23 Taikisha Kk Spot air conditioning device
JPH10160187A (ja) 1996-11-26 1998-06-19 P Ee C:Kk 空気調和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9245A (en) * 1987-07-10 1989-01-23 Taikisha Kk Spot air conditioning device
JPH10160187A (ja) 1996-11-26 1998-06-19 P Ee C:Kk 空気調和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833B1 (ko) * 2016-06-29 2018-03-23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이온발생기가 구비된 에어커튼용 덕트
EP3805659A4 (en) * 2018-05-31 2022-03-02 Fujitsu General Limited AIR CONDITIONING EMBEDDED IN A ROOM CEILING
KR20240053140A (ko) 2022-10-17 2024-04-24 (주)대성테크윈 온도와 습도와 노점과 먼지 측정기능을 구비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646520B1 (ko) * 2023-06-26 2024-03-12 주식회사 대진정공 폐기물수집운반차량의 작업자 탑승룸 공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568B1 (ko) 실내작업장의 공조장치
JP2017226407A (ja) 移動式メンテナンス倉庫
JPH0454140B2 (ko)
CN105444268A (zh) 空调室内机
JPS6071830A (ja) 組替式局所環境制御室
KR20050062366A (ko) 순환공기, 특히 청정공기의 공조장치
KR20130107671A (ko)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390969B1 (ko) 실내온도 저감장치
KR20210053260A (ko) 부스 및 분출장치
RU2605896C2 (ru) Устройство выдувания очищенного воздуха
JP5777254B2 (ja) 空調システムおよびクリーンルーム
KR101394860B1 (ko) 대공간 풍량조절 공조시스템
JP4863850B2 (ja) クリーンルーム装置
JP2015155764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101656495B1 (ko) 비산먼지 저감형 친환경 샌딩부스
JP2022550760A (ja) 処理システム及び処理方法
JPH11244805A (ja) 循環気流式集塵装置
KR101949724B1 (ko) 승하강식 공기순환장치
JPS62147249A (ja) クリ−ンル−ム
CN109668242A (zh) 一种核岛安全壳厂房施工期间不间断临时通风除尘系统
CN214719231U (zh) 配备有过风开口的通风柜
KR101680114B1 (ko) 공조장치 일체형 포네이터
JPS63204050A (ja) 室内作業台
JP2015206571A (ja) 送風システム
CN105352098B (zh) 核电用干冰去污系统通风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