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423B1 - 통신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423B1
KR101218423B1 KR1020087006368A KR20087006368A KR101218423B1 KR 101218423 B1 KR101218423 B1 KR 101218423B1 KR 1020087006368 A KR1020087006368 A KR 1020087006368A KR 20087006368 A KR20087006368 A KR 20087006368A KR 101218423 B1 KR101218423 B1 KR 101218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all
telephone number
communication connection
conn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6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7237A (ko
Inventor
요시노부 야마키타
시게키 타카야
히데카즈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7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6Arrangements for calling a number of substations in a predetermined sequence until an answer is obtain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2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hybrid systems
    • H04M2207/206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hybrid systems composed of PSTN and wireles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30Determination of the location of a subscri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복수의 휴대 전화기를 대표하는 식별 정보에 의한 착신의 경우, 그룹내 한명의 이용자가 확실하게 응답할 수 있는 통신 접속 장치를 제공한다. 발신원으로부터의 신호를 자장치가 수신한 경우, 상기 발신원과 소정 휴대 전화기의 통신을 확립하는 통신 접속 장치는 개개의 휴대 전화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제1 정보로 하고, 복수의 휴대 전화기를 대표하는 식별 정보를 제2 정보로 하고, 상기 발신원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수신한 신호에 제2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정보와 제2 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된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제2 정보에 관련지어진 제1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한 제1 정보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에 대해 소정의 순서로 호출을 행한다.

Description

통신 접속 장치{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복수의 휴대 전화기로 구성된 그룹을 대표하는 식별 정보, 예를 들어 대표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그룹에 속하는 휴대 전화기의 호출을 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기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개인마다 휴대 전화기를 소유하는 이용자가 증가하여, 개인간의 연락을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발신자가 예를 들어 가족의 누군가 또는 상점이나 사무소의 누군가 등 개인을 특정하지 않고 연락을 취하고 싶은 경우에는 거기에 속하는 복수인 각각이 소유하는 휴대 전화기의 전화 번호를 파악해야 하고, 또 거기에 속하는 누군가와 통화를 할 수 있을 때까지,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접속 조작을 반복할 필요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발신자는 조작상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특허 문헌 1에 있어서, 구내에 설치된 교환기에 미리 복수의 휴대 전화기 각각의 전화 번호를 하나의 그룹으로 등록하고, 등록된 그룹을 나타내는 대표 전화 번호로의 착신이 있는 경우에는 그룹에 속하는 각 전화 번호에 대해 일제히 호출을 행하고, 응답이 있던 모든 휴대 전화기와 접속을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 2003-143303호 공보
상기에서 나타내는 교환기는 대표 전화 번호로의 착신이 있는 경우에는 그룹에 속하는 각 전화 번호에 대해 일제히 호출을 행한다. 이 때, 호출처의 각 이용자는 자신에 대한 호출이라는 의식보다 그룹의 누군가에게 대한 호출이라고 하는 의식이 높아져, 그룹의 누군가가 응답해 줄 것을 기대하여 착신에 대한 응답이 늦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감안하여, 복수의 휴대 전화기를 대표하는 식별 정보(대표 전화 번호나 그에 준하는 기호)에 의한 착신의 경우, 그룹내 한명의 이용자가 확실하게 응답할 수 있는 통신 접속 장치 및 호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발신원으로부터의 신호를 자장치(自裝置)가 수신한 경우, 상기 발신원과 소정 휴대 전화기의 통신을 확립하는 통신 접속 장치로서, 개개의 휴대 전화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제1 정보로 하고, 복수의 휴대 전화기를 대표하는 식별 정보를 제2 정보로 하고, 상기 통신 접속 장치는 상기 발신원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수신한 신호에 제2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제2 정보를 관련지어 미리 기억하고 있는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제2 정보에 관련지어진 제1 정보를 독출하는 독출 수단과; 상기 독출 수단이 독출한 제1 정보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에 대해, 소정의 순서로 호출을 행하는 호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나타낸 구성에 의하면, 통신 접속 장치는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제2 정보에 관련지어진 제1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한 제1 정보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에 대해 소정의 순서로 호출을 행한다. 이에 의해, 통신 접속 장치로 독출된 제1 정보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의 소유자는 자신에 대한 호출이라고 하는 의식이 그룹의 누군가에게 대한 호출이라고 하는 의식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호출에 대한 응답을 확실하게 하게 된다.
도 1은 통신 접속 시스템(1)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통신 접속 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전화 번호 기억부(102)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우선 순위 테이블(T110)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 (a)는 전화 번호 기억부(102)에 기억되어 있는 호출 대상 전화 번호의 순서에 따라 작성된 옥내용 호출 리스트(T120)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고, (b)는 옥내용 호출 리스트(T120)의 내용을 우선 순위로 재배열한 경우 옥내용 호출 리스트(T121)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고, (c)는 호출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에, 옥내용 호출 리스트(T121)의 내용을 갱신한 경우의 데이터 구조인 옥내용 호출 리스트(T122)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 (a)는 전화 번호 기억부(102)에 기억되어 있는 호출 대상 전화 번호의 순서에 따라 작성된 옥외용 호출 리스트(T130)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고, (b)는 옥외용 호출 리스트(T130)의 내용을 우선 순위로 재배열한 경우 옥외 용 호출 리스트(T131)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통신 접속 장치(10)가 착신 신호를 수신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에 계속된다.
도 8은 통신 접속 장치(10)가 착신 신호를 수신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에 이어, 도 9에 계속된다.
도 9는 통신 접속 장치(10)가 착신 신호를 수신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에서부터 계속된다.
도 10은 통신 접속 장치(10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에서, (a)는 전화 번호 기억부(1102)에 기억되어 있는 호출 대상 전화 번호의 순서에 따라 작성된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T200)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고, (b)는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T200)의 내용을 우선 순위로 재배열한 경우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T201)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통신 접속 장치(1010)가 착신 신호를 수신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에 계속된다.
도 13은 통신 접속 장치(1010)가 착신 신호를 수신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에 이어 도 14에 계속된다.
도 14는 통신 접속 장치(1010)가 착신 신호를 수신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에서부터 계속된다.
<부호의 설명>
1 통신 접속 시스템
10 통신 접속 장치
20, 21, 22, 23, 24 휴대 전화기
30 휴대 전화기
40 위치 등록 서버
41, 42 공중 기지국 장치
43 휴대 전화 회선망
100 통신 접속 장치
101 회선 IF부
102 전화 번호 기억부
103 우선 순위 기억부
104 호출 대상 확인부
105 호출 처리부
106 무선 IF부
107 안테나
108 통화 처리부
109 전송 처리부
110 등록부
1010 통신 접속 장치
1101 회선 IF부
1102 전화 번호 기억부
1103 우선 순위 기억부
1104 호출 대상 확인부
1105 호출 처리부
1106 무선 IF부
1107 안테나
1108 통화 처리부
1109 전송 처리부
1110 등록부
1111 단말 위치 취득부
1.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로서의 통신 접속 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1.1 개요
도 1은 통신 접속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신 접속 시스템(1)은 통신 접속 장치(10), 휴대 전화기(20, 21, 22, 23, 24, 30), 위치 등록 서버(40), 공중 기지국 장치(41, 42) 및 휴대 전화 회선망(43)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신 접속 장치(10)는 가옥내(이하, 간단히 「옥내」)에 설치되어 있고, 휴대 전화기(20, 21, 22, 23, 24)의 각각에 할당된 전화 번호와, 휴대 전화기(20, 21, 22, 23, 24)를 하나의 그룹으로 하고, 그 그룹을 대표하는 대표 전화 번호를 미리 기억하고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대표 전화 번호는 휴대 전화기(20, 21, 22, 23, 24)의 각각에 할당된 전화 번호와는 다른 전화 번호이고, 통신 접속 장치(10)에 대해 할당되어 있다. 또, 통신 접속 장치(10)에 할당된 대표 전화 번호는 다른 통신 접속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할당된 대표 전화 번호와는 다른 전화 번호이다. 또, 통신 접속 장치(10)는 무선 LAN에 의한 통신 기능과 휴대 전화 회선망(43)을 통한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무선 LAN에 의한 통신 가능한 에어리어는 해당 통신 접속 장치(10)가 설치된 옥내로 하고, 통신 가능한 에어리어의 밖을 가옥밖(이하, 「옥외」)으로 한다.
위치 등록 서버(40)는 휴대 전화기로부터의 위치 등록 요구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의 현재 위치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위치 등록 서버(40)는 관리하는 정보로서, 휴대 전화기의 전화 번호와, 휴대 전화기가 속하는 에어리어의 공중 기지국 장치 및 통신 접속 장치를 일의(一意)로 식별하기 위한 국 ID로 이루어진 한 쌍을 기억하고 있다.
또, 위치 등록 서버(40)는 통신 접속 장치(10)를 식별하는 국 ID와 통신 접속 장치(10)에 할당된 대표 전화 번호로 이루어진 한 쌍을 기억하고 있다.
휴대 전화기(20, 21, 22, 23, 24)는 무선 LAN에 의한 통신 기능 및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의한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휴대 전화기(20, 21, 22, 23, 24)의 각각은 공중 기지국 장치의 에어리어내에 들어가면 공중 기지국 장치의 파일럿(pilot) 신호를 수신하고 CDMA에 의한 통신을 행하도록 제어한다. 또, 휴대 전화기(20, 21, 22, 23, 24)의 각각은 통신 접속 장치(10)의 에어리어내에 들어가면 통신 접속 장치(10)의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LAN에 의한 통신을 행하도록 제어한다. 휴대 전화기(20, 21, 22, 23, 24)의 각각은 공중 기지국 장치(41) 및 통신 접속 장치(10)의 공통의 에어리어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공중 기지국 장치(41)의 파일럿 신호와 통신 접속 장치(10)의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나, 이 경우에는 통신 접속 장치(10)로의 접속이 우선되고 무선 LAN에 의한 통신을 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휴대 전화기(20), 휴대 전화기(21), 휴대 전화기(22)는 통신 접속 장치(10)가 설치된 옥내에 존재하고, 휴대 전화기(23), 휴대 전화기(24) 및 휴대 전화기(30)는 옥외에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휴대 전화기(30)는 공중 기지국 장치(41), 휴대 전화 회선망(43) 및 통신 접속 장치(10)를 통하여 대표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호출을 행한다. 통상, 휴대 전화기(30)로부터 다른 휴대 전화기로의 호출이 행해진 경우에는 다른 휴대 전화기로 착신 신호가 송신된다. 착신 신호에는 적어도 착신이라는 취지의 정보와, 발신원의 전화 번호와, 상대방의 전화 번호가 포함된다.
또, 대표 전화 번호에 의해 호출이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전화 번호에 대해 우선 순위에 기초한 호출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우선 순위를 요구하는 취지의 우선 순위 요구 정보가 착신 신호에 포함된다. 또, 옥내에 존재하는 휴대 전화기를 호출의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 취지를 나타내는 제1 호출 대상 정보가 착신 신호에 포함되고, 옥내에 존재하는 휴대 전화기 및 옥외에 존재하는 휴대 전화기를 호출의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 취지를 나타내는 제2 호출 대상 정보가 착신 신호에 포함된다.
통신 접속 장치(10)는 공중 기지국 장치(41) 및 휴대 전화 회선망(43)을 통 하여 휴대 전화기(30)로부터 대표 전화 번호로의 착신 신호를 검출하면, 착신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호출 대상의 휴대 전화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에 대해 순차적으로 호출을 행한다.
1.2 통신 접속 장치(10)의 구성
통신 접속 장치(1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선 IF부(101), 전화 번호 기억부(102), 우선 순위 기억부(103), 호출 대상 확인부(104), 호출 처리부(105), 무선 IF부(106), 안테나(107), 통화 처리부(108), 전송 처리부(109) 및 등록부(110)로 구성되어 있다.
통신 접속 장치(10)는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ROM, RAM, 하드디스크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등으로 구성된 컴퓨터 시스템이다. 상기 ROM 또는 상기 하드디스크 유닛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것에 의해, 통신 접속 장치(10)는 그 기능을 달성한다.
(1) 회선 IF부(101)
회선 IF부(101)는 휴대 전화 회선망(43)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이다. 구체적으로는 광 회선과의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광 회선과의 인터페이스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ADSL과의 인터페이스이어도 된다.
회선 IF부(101)는 휴대 전화기(30)로부터의 발신에 대해 공중 기지국 장치(41) 및 휴대 전화 회선망(43)을 통하여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수신 신호란, 예를 들어 전화 착신시의 착신 신호 및 통화시의 음성 신호 등이다.
회선 IF부(101)는 수신한 수신 신호가 착신 신호인 경우에는 수신한 착신 신호를 호출 대상 확인부(104)에 출력하고, 수취한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인 경우에는 통화 처리부(108)로 출력한다.
회선 IF부(101)는 통화 처리부(108)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취하면, 수취한 음성 신호를 휴대 전화 회선망(43) 및 공중 기지국 장치(41)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30)로 송신한다.
회선 IF부(101)는 등록부(110)로부터 위치 등록 요구를 수취하면, 수취한 위치 등록 요구와 해당 통신 접속 장치(10)에 할당된 국 ID를, 휴대 전화 회선망(43)을 통하여 위치 등록 서버(40)로 송신한다. 여기서, 위치 등록 요구는 휴대 전화기의 전화 번호와, 등록을 요구하는 취지의 정보로 이루어진다.
회선 IF부(101)는 전송 처리부(109)로부터 전송 처리에 관한 신호를 수취하면, 수취한 신호를 휴대 전화 회선망(43)을 통하여 전송처의 휴대 전화기로 송신한다.
또, 회선 IF부(101)는 호출 대상 확인부(104)로부터 휴대 전화기(30)로 송신하는 신호를 수취하면, 수취한 신호를 휴대 전화 회선망(43) 및 공중 기지국 장치(41)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30)로 송신한다.
(2) 전화 번호 기억부(102)
전화 번호 기억부(10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표 번호 기억 영역(150) 및 개별 번호 기억 영역(160)을 갖고 있다.
대표 번호 기억 영역(150)은 휴대 전화기(20, 21, 22, 23, 24)로 구성된 그 룹을 대표하는 대표 전화 번호(151)를 미리 기억하고 있다.
개별 번호 기억 영역(160)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별 전화 번호와 존재 플래그를 복수 기억하기 위한 영역을 구비하는 번호 관리 테이블(T100)을 갖고 있다.
개별 전화 번호는 대표 전화 번호(151)로 나타내지는 그룹에 속하는 개별의 전화 번호를 나타낸다. 존재 플래그는 개별 전화 번호에 나타나는 휴대 전화기가 해당 통신 접속 장치(10)의 에어리어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고, 수치 「1」은 에어리어내, 즉 옥내에 존재함을 나타내고, 수치 「0」은 에어리어밖, 즉 옥외에 존재함을 나타낸다.
여기서, 5건의 개별의 전화 번호(161, 162, 163, 164, 165)를 기억하고 있다. 전화 번호(161)는 휴대 전화기(20)에 할당되어 있고, 전화 번호(162)는 휴대 전화기(21)에 할당되어 있고, 전화 번호(163)는 휴대 전화기(22)에 할당되어 있고, 전화 번호(164)는 휴대 전화기(23)에 할당되어 있고, 전화 번호(165)는 휴대 전화기(24)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대표 전화 번호를 미리 기억할 때에는 해당 통신 접속 장치(10)에 의해 쓰기(writing)가 행해진다. 또, 개별의 전화 번호를 번호 관리 테이블(T100)에 미리 기억할 때에도 해당 통신 접속 장치(10)에 의해 쓰기가 행해진다.
(3) 우선 순위 기억부(103)
우선 순위 기억부(103)는 도 4에서 나타내는 우선 순위 테이블(T110)을 갖고 있다.
우선 순위 테이블(T110)은 우선 순위와 개별 전화 번호로 이루어진 한 쌍을 하나 이상 기억하기 위한 영역을 갖고 있다.
우선 순위는 호출 순위의 우선도를 나타내는 수치이고, 수치가 작을수록 우선도가 높다. 개별 전화 번호는 개별 번호 기억 영역(160)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 번호이다. 여기서,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20)에 할당된 전화 번호의 우선도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우선도가 높은 전화 번호는 휴대 전화기(22)에 할당된 전화 번호이고, 나머지의 우선 순위는 휴대 전화기(21)에 할당된 전화 번호, 휴대 전화기(24)에 할당된 전화 번호, 휴대 전화기(23)에 할당된 전화 번호의 순서로 된다.
(4) 호출 대상 확인부(104)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옥내에 존재하는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로 이루어진 옥내용 호출 리스트 및 옥외에 존재하는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로 이루어진 옥외용 호출 리스트를 기억하기 위한 리스트 기억 영역을 갖고 있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회선 IF부(101)로부터 착신 신호를 수취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수취한 착신 신호에 포함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가 대표 전화 번호(151)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대방의 전화 번호가 대표 전화 번호(151)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수취한 착신 신호와 개별의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이라는 취지의 정보를 호출 처리부(105)로 출력한다.
상대방의 전화 번호가 대표 전화 번호(151)와 일치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호출의 대상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제1 호출 대상 정보가 착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지, 제2 호출 대상 정보가 착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제1 호출 대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1 호출 대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번호 관리 테이블(T100)로부터 존재 플래그의 값이 「1」인 전화 번호를 모두 취득한다. 여기서, 휴대 전화기(20, 21, 22)의 각각에 할당된 전화 번호(161, 162, 163)를 번호 관리 테이블(T100)로부터 취득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취득한 모든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전화 번호가 번호 관리 테이블(T100)에 격납되어 있는 순서에 따라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로 이루어진 옥내용 호출 리스트를 생성한다. 도 5(a)에서 나타내는 옥내용 호출 리스트(T120)는 생성한 옥내용 호출 리스트의 일례이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착신 신호에 우선 순위 요구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착신 신호에 우선 순위 요구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우선 순위 테이블(T110)을 취득하고, 취득한 우선 순위 테이블(T110)에 기초하여, 생성한 옥내용 호출 리스트가 우선 순위의 순서가 되도록 재배열을 행한다. 도 5(b)에서 나타내는 옥내용 호출 리스트(T121)는 우선 순위 테이블(T110)에 기초하여 옥내용 호출 리스트(T120)를 재배열한 결과이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재배열이 이루어진 옥내용 호출 리스트를 리스트 기억 영역에 격납한다.
착신 신호에 우선 순위 요구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는 생성한 옥내용 호출 리스트를 리스트 기억 영역에 격납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리스트 기억 영역에 격납하고 있는 옥내용 호출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를 취득하고, 취득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와, 회선 IF부(101)로부터 수취한 착신 신호와,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이라는 취지의 정보를 호출 처리부(105)로 출력한다. 또,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현재의 호출 대상인 전화 번호를 나타내는 신호를, 회선 IF부(101)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30)로 송신한다. 이 때, 휴대 전화기(30)에서는 현재 호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전화 번호로서, 수취한 신호로 나타내지는 전화 번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표시로 한정되지 않는다. 음성 안내이어도 된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호출 처리부(105)에 의한 호출 처리가 타임 아웃되었다는 취지의 호출 타임 아웃 정보를 수취하면, 옥내용 호출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를 파기하고, 나머지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로 이루어진 옥내용 호출 리스트로 갱신한다. 도 5(c)에서 나타내는 옥내용 호출 리스트(T122)는 휴대 전화기(20)로부터의 응답이 없는 경우에, 휴대 전화기(20)에 할당된 전화 번호를 파기한 경우의 갱신 결과이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갱신한 옥내용 호출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전화 번호와, 회선 IF부(101)로부터 수취한 착신 신호와,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이라는 취지의 정보를 호출 처리부(105)로 출력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나머지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옥내에 존재하는 모든 호출 대상의 휴대 전화기로부터의 응답이 없다는 취 지의 신호를, 회선 IF부(101)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30)로 송신한다. 이 때, 휴대 전화기(30)에서는 옥내에 존재하는 모든 호출 대상의 휴대 전화기로부터의 응답이 없다는 취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표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음성 안내이어도 된다.
(제2 호출 대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2 호출 대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옥내용 호출 리스트를 생성한다. 옥내용 호출 리스트의 생성 동작은 제1 호출 대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옥내용 호출 리스트의 생성의 동작과 같기 때문에, 여기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번호 관리 테이블(T100)로부터 존재 플래그의 값이 「O」인 전화 번호를 모두 취득한다. 여기서, 휴대 전화기(23, 24)의 각각에 할당된 전화 번호(164, 165)를 번호 관리 테이블(T100)로부터 취득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취득한 모든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전화 번호가 번호 관리 테이블(T100)에 격납되어 있는 순서에 따라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로 이루어진 옥외용 호출 리스트를 생성한다. 도 6(a)에서 나타내는 옥외용 호출 리스트(T130)는 생성한 옥외용 호출 리스트의 일례이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착신 신호에 우선 순위 요구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우선 순위 테이블(T110)을 취득하고, 취득한 우선 순위 테이블(T110)에 기초하여, 생성한 옥내용 호출 리스트 및 옥외용 호출 리스트가 우선 순위의 순서가 되도록 재배열을 행한다. 도 6(b)에서 나타내는 옥외용 호출 리스트(T131)는 우선 순위 테이블(T110)에 기초하여 옥외용 호출 리스트(T130)를 재배열한 결과이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재배열이 이루어진 옥내용 호출 리스트 및 옥외용 호출 리스트를 리스트 기억 영역에 격납한다.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생성한 옥내용 호출 리스트 및 옥외용 호출 리스트를 리스트 기억 영역에 격납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리스트 기억 영역에 격납하고 있는 옥내용 호출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를 취득하고, 취득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와, 회선 IF부(101)로부터 수취한 착신 신호와,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이라는 취지의 정보를 호출 처리부(105)로 출력한다. 이후의 동작은 착신 신호에 제1 호출 대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와 동양(同樣)의 동작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옥내용 호출 리스트에 나타나는 모든 호출 대상의 휴대 전화기로부터의 응답이 없다는 취지의 신호를 휴대 전화기(30)로 송신하면, 이하의 동작을 행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리스트 기억 영역에 격납하고 있는 옥외용 호출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를 취득하고, 취득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와, 회선 IF부(101)로부터 수취한 착신 신호와,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이라는 취지의 정보를 전송 처리부(109)로 출력한다. 또,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현재의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를 나타내는 신호를 회선 IF부(101)를 통 하여 휴대 전화기(30)로 송신한다. 이 때, 휴대 전화기(30)에서는 현재 호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전화 번호로서, 수취한 신호로 나타나는 전화 번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표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음성 안내이어도 된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전송 처리부(109)에 의한 전송 처리가 타임 아웃되었다는 취지의 전송 타임 아웃 정보를 수취하면, 옥외용 호출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를 파기하고, 나머지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로 이루어진 옥외용 호출 리스트로 갱신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갱신한 옥외용 호출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전화 번호와, 회선 IF부(101)로부터 수취한 착신 신호와,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이라는 취지의 정보를 전송 처리부(109)로 출력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나머지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옥외에 존재하는 모든 호출 대상의 휴대 전화기로부터의 응답이 없다는 취지의 신호를, 회선 IF부(101)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30)로 송신한다. 이 때, 휴대 전화기(30)에서는 옥외에 존재하는 모든 호출 대상의 휴대 전화기로부터의 응답이 없다는 취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표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음성 안내이어도 된다.
(5) 호출 처리부(105)
호출 처리부(105)는 개별의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이라는 취지의 정보와 착신 신호를 수취하면, 수취한 착신 신호에 포함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휴대 전화기에 대해, 무선 IF부(106)를 통하여 호출에 관련된 처리를 행한다. 해당 휴대 전화기에 착신에 대한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휴대 전화기로의 통화에 관한 접속 처리를 행하여 통화를 개시한다.
호출 처리부(105)는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이라는 취지의 정보와,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와 착신 신호를 수취하면, 수취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휴대 전화기에 대해 무선 IF부(106)를 통하여 호출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이 때, 호출 처리부(105)는 소정의 시간내에 있어서 응답을 감시한다.
소정의 시간내에 응답이 있는 경우에 호출 처리부(105)는 해당 휴대 전화기로의 통화에 관한 접속 처리를 행하여 통화를 개시한다.
소정의 시간내에 응답이 없는 경우에 호출 처리부(105)는 수취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의 휴대 전화기에 대한 호출에 관한 처리를 억지하고, 호출 타임 아웃 정보를 호출 대상 확인부(104)로 출력한다.
여기서, 호출에 관한 처리의 일례를 이하에 나타낸다.
호출 처리부(105)는 개별의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이라는 취지의 정보와 착신 신호를 수취하면, 수취한 착신 신호를 호출의 처리에 관한 신호로서 무선 IF부(106)를 통하여 해당하는 휴대 전화기로 송신한다.
호출 처리부(105)는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이라는 취지의 정보와,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와 착신 신호를 수취하면, 수취한 착신 신호에 포함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로 변경하고, 변경된 착신 신호를 호출의 처리에 관한 신호로서 무선 IF부(106)를 통하여 해당하는 휴대 전화기로 송신한다.
(6) 전송 처리부(109)
전송 처리부(109)는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이라는 취지의 정보와,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와 착신 신호를 수취하면, 수취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에 할당된 휴대 전화기에 대해 회선 IF부(101)를 통하여 전송에 관한 처리, 즉 수취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의 휴대 전화기에 대한 호출의 처리를 행한다. 이 때, 전송 처리부(109)는 소정의 시간내에 있어서 응답을 감시한다.
소정의 시간내에 응답이 있는 경우에 전송 처리부(109)는 해당 휴대 전화기로의 통화에 관한 접속 처리를 행하여 통화를 개시한다.
소정의 시간내에 응답이 없는 경우에 전송 처리부(109)는 수취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의 휴대 전화기에 대한 전송에 관한 처리를 억지하고, 전송 타임 아웃 정보를 호출 대상 확인부(104)로 출력한다.
또한, 전송 처리부(109)가 수취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휴대 전화기에 대해 전송에 관한 처리를 행하면, 휴대 전화 회선망(43)에서는 위치 등록 서버(40)에 등록되어 있는 전송처(호출 대상)의 휴대 전화기와 대응지어 기억되어 있는 국 ID에 기초하여 공중 기지국 장치를 결정하고, 결정한 공중 기지국 장치로 전송 처리에 관계되는 신호를 송신하고, 전송 처리에 관한 신호를 수신한 공중 기지국 장치는 해당하는 휴대 전화기로의 전송 처리에 관한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전송에 관한 처리의 일례를 이하에 나타낸다.
전송 처리부(109)는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이라는 취지의 정보와,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와 착신 신호를 수취하면, 수취한 착신 신호에 포함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로 변경하고, 변경된 착신 신호를 호출의 처리 에 관한 신호로서 회선 IF부(101)를 통하여 해당하는 휴대 전화기로 송신한다.
(7) 무선 IF부(106)
무선 IF부(106)는 옥내에 있는 휴대 전화기와 무선 LAN으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무선 IF부(106)는 호출 처리부(105)로부터 호출 처리에 관한 신호를 수취하면, 수취한 신호를 안테나(107)를 통하여 해당하는 휴대 전화기에 무선으로 송신한다.
무선 IF부(106)는 안테나(107)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로부터 무선에 의해 음성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음성 신호를 통화 처리부(108)로 출력한다. 또, 무선 IF부(106)는 통화 처리부(108)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취하면, 수취한 음성 신호를 안테나(107)를 통하여 송신 대상의 휴대 전화기에 무선으로 송신한다.
무선 IF부(106)는 옥내에 있는 휴대 전화기로부터 위치 등록 요구를 수신하면, 수신한 위치 등록 요구를 등록부(110)로 출력한다.
(8) 통화 처리부(108)
통화 처리부(108)는 무선 IF부(106)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취하면, 수취한 음성 신호를 회선 IF부(101)로 출력한다.
통화 처리부(108)는 회선 IF부(101)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취하면, 수취한 음성 신호를 무선 IF부(106)로 출력한다.
(9) 등록부(110)
등록부(110)는 무선 IF부(106)로부터 위치 등록 요구를 수취하면, 수취한 위 치 등록 요구로 나타나는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번호 관리 테이블(T100)내의 존재 플래그의 값을 「1」로 한다. 등록부(110)는 수취한 위치 등록 요구를 회선 IF부(101)를 통하여 위치 등록 서버(40)로 송신한다.
등록부(110)는 번호 관리 테이블(T100)에서 관리하고 있는 모든 전화 번호에 대해 위치 등록 요구의 수취 상황을 관리한다. 일정 기간내에 위치 등록 요구가 없는 전화 번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번호 관리 테이블(T100)내의 존재 플래그의 값을 「O」으로 한다.
1.3 동작
여기서, 통신 접속 장치(10)의 동작에 대해 도 7,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회선 IF부(101)는 휴대 전화기(30)로부터의 발신에 대해 공중 기지국 장치(41) 및 휴대 전화 회선망(43)을 통하여 착신 신호를 수신한다(단계 S5). 회선 IF부(101)는 수신한 착신 신호를 호출 대상 확인부(104)로 출력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회선 IF부(101)로부터 착신 신호를 수취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수취한 착신 신호에 의한 착신이 대표 전화 번호로의 착신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 여기서,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수취한 착신 신호에 포함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가 대표 전화 번호(151)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대방의 전화 번호가 대표 전화 번호(151)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즉 대표 전화 번호로의 착신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단계 S10에 있어서 아니오), 통신 접속 장치(10)는 개별의 전화 번호로의 접속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단계 S15).
상대방의 전화 번호가 대표 전화 번호(151)와 일치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즉 대표 전화 번호로의 착신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단계 S10에 있어서 예),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호출의 대상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제1 호출 대상 정보가 착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
제1 호출 대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단계 S20에 있어서 예),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번호 관리 테이블(T100)로부터 존재 플래그의 값이 「1」인 전화 번호를 모두 취득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취득한 모든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로 이루어진 옥내용 호출 리스트를 생성한다(단계 S25).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착신 신호에 우선 순위 요구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0). 착신 신호에 우선 순위 요구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단계 S30에 있어서 예),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우선 순위 테이블(T110)을 취득하고, 취득한 우선 순위 테이블(T110)에 기초하여, 생성한 옥내용 호출 리스트가 우선 순위의 순서가 되도록 재배열을 행한다(단계 S35).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재배열이 이루어진 옥내용 호출 리스트를 리스트 기억 영역에 격납한다(단계 S40). 착신 신호에 우선 순위 요구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단계 S30에 있어서 아니오), 단계 S40으로 이동하고 생성한 옥내용 호출 리스트를 리스트 기억 영역에 격납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리스트 기억 영역에 격납하고 있는 옥내용 호출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를 취득하고, 취득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와, 회선 IF부(101)로부터 수취한 착신 신호와,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이라는 취지의 정보를 호출 처리부(105)로 출력한다. 호출 처리부(105)는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이라는 취지의 정보와,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와 착신 신호를 수취하면, 수취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휴대 전화기에 대해 무선 IF부(106)를 통하여 호출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단계 S45). 이 때, 호출 처리부(105)는 소정의 시간내에 있어서 응답을 감시한다.
호출 처리부(105)는 호출에 대한 응답을 감시한다(단계 S50). 응답이 있는 경우에(단계 S50에 있어서 예), 호출 처리부(105)는 해당 휴대 전화기로의 통화에 관한 접속 처리를 행하여 통화를 개시한다(단계 S55).
응답이 없는 경우에(단계 S50에 있어서 아니오), 호출 처리부(105)는 응답을 감시하고 있는 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0).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단계 S60에 있어서 아니오), 호출 처리부(105)는 단계 S50으로 되돌아온다.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단계 S60에 있어서 예), 호출 처리부(105)는 수취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의 휴대 전화기에 대한 호출에 관한 처리를 억지하고, 호출 타임 아웃 정보를 호출 대상 확인부(104)로 출력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호출 처리부(105)로부터 호출 타임 아웃 정보를 수취하면, 옥내용 호출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를 파기하고, 나머지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로 이루어진 옥내용 호출 리스트로 갱신한다(단계 S65).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미취득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옥내용 호출 리스트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0).
미취득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옥내용 호출 리스트에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단계 S70에 있어서 예), 단계 S45로 되돌아와서 갱신한 옥내용 호출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를 취득하고, 취득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휴대 전화기에 대한 호출의 처리를 행한다. 미취득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옥내용 호출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즉 나머지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옥내용 호출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단계 S70에 있어서 아니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옥내에 존재하는 모든 호출 대상의 휴대 전화기로부터의 응답이 없다는 취지의 신호를 회선 IF부(101)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30)로 송신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제1 호출 대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즉 제2 호출 대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단계 S20에 있어서 아니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번호 관리 테이블(T100)로부터 존재 플래그의 값이 「1」인 전화 번호를 모두 취득하고, 취득한 모든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로 이루어진 옥내용 호출 리스트를 생성한다(단계 S75).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번호 관리 테이블(T100)로부터 존재 플래그의 값이 「0」인 전화 번호를 모두 취득하고, 취득한 모든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호출 대상 의 전화 번호로 이루어진 옥외용 호출 리스트를 생성한다(단계 S80).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착신 신호에 우선 순위 요구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85).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단계 S85에 있어서 예),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우선 순위 테이블(T110)을 취득하고, 취득한 우선 순위 테이블(T110)에 기초하여, 생성한 옥내용 호출 리스트 및 옥외용 호출 리스트가 우선 순위의 순서가 되도록 재배열을 행한다(단계 S90).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재배열이 이루어진 옥내용 호출 리스트 및 옥외용 호출 리스트를 리스트 기억 영역에 격납한다(단계 S95).
착신 신호에 우선 순위 요구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단계 S85에 있어서 아니오), 단계 S95로 이동하여, 생성한 옥내용 호출 리스트 및 옥외용 호출 리스트를 리스트 기억 영역에 격납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리스트 기억 영역에 격납하고 있는 옥내용 호출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를 취득하고, 취득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와, 회선 IF부(101)로부터 수취한 착신 신호와,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이라는 취지의 정보를 호출 처리부(105)로 출력한다. 호출 처리부(105)는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이라는 취지의 정보와,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와 착신 신호를 수취하면, 수취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휴대 전화기에 대해 무선 IF부(106)를 통하여 호출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단계 S100). 이 때, 호출 처리부(105)는 소정의 시간내에 있어서 응답을 감시한다.
호출 처리부(105)는 호출에 대한 응답을 감시한다(단계 S105). 응답이 있는 경우에(단계 S105에 있어서 예), 호출 처리부(105)는 해당 휴대 전화기로의 통화에 관한 접속 처리를 행하여 통화를 개시한다(단계 S110).
응답이 없는 경우에(단계 S105에 있어서 아니오), 호출 처리부(105)는 응답을 감시하고 있는 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5).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단계 S115에 있어서 아니오) 호출 처리부(105)는 단계 S105로 되돌아온다.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단계 S115에 있어서 예), 호출 처리부(105)는 수취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의 휴대 전화기에 대한 호출에 관한 처리를 억지하고, 호출 타임 아웃 정보를 호출 대상 확인부(104)로 출력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호출 처리부(105)로부터 호출 타임 아웃 정보를 수취하면, 옥내용 호출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를 파기하고, 나머지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로 이루어진 옥내용 호출 리스트로 갱신한다(단계 S120).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미취득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옥내용 호출 리스트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25).
미취득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옥내용 호출 리스트에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단계 S125에 있어서 예), 단계 S100으로 되돌아와서, 갱신한 옥내용 호출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를 취득하고, 취득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휴대 전화기에 대한 호출의 처리를 행한다. 미취득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옥내용 호출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즉 나머지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옥내용 호출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단계 S125에 있어서 아니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옥내에 존재하는 모든 호출 대상의 휴대 전화기로부터의 응답이 없다는 취지의 신호를 회선 IF부(101)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30)로 송신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리스트 기억 영역에 격납하고 있는 옥외용 호출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를 취득하고, 취득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와, 회선 IF부(101)로부터 수취한 착신 신호와,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이라는 취지의 정보를 전송 처리부(109)로 출력한다(단계 S130).
전송 처리부(109)는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이라는 취지의 정보와,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와 착신 신호를 수취하면, 수취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휴대 전화기에 대해 회선 IF부(101)를 통하여 전송에 관한 처리, 즉 수취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의 휴대 전화기에 대한 호출의 처리를 행한다. 이 때, 전송 처리부(109)는 소정의 시간내에 있어서 응답을 감시한다.
전송 처리부(109)는 호출에 대한 응답을 감시한다(단계 S135). 응답이 있는 경우에(단계 S135에 있어서 예), 전송 처리부(109)는 해당 휴대 전화기로의 통화에 관한 접속 처리를 행하여 통화를 개시한다(단계 S140).
응답이 없는 경우에(단계 S135에 있어서 아니오), 전송 처리부(109)는 응답을 감시하고 있는 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45).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단계 S145에 있어서 아니오), 전송 처리부(109)는 단계 S135로 되돌아온다.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단계 S145에 있어서 예), 전송 처리부(109)는 수취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의 휴대 전화기에 대한 전송에 관한 처리를 억지하고, 전송 타임 아웃 정보를 호출 대상 확인부(104)로 출력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전송 처리부(109)로부터 전송 타임 아웃 정보를 수취하면, 옥외용 호출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를 파기하고, 나머지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로 이루어진 옥내용 호출 리스트로 갱신한다(단계 S150).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미취득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옥외용 호출 리스트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55).
미취득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옥외용 호출 리스트에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단계 S155에 있어서 예), 단계 S130으로 되돌아와서, 갱신한 옥외용 호출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를 취득하고, 취득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휴대 전화기에 대한 호출의 처리를 행한다. 미취득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옥외용 호출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즉 나머지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옥외용 호출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단계 S155에 있어서 아니오), 호출 대상 확인부(104)는 옥외에 존재하는 모든 호출 대상의 휴대 전화기로부터의 응답이 없다는 취지의 신호를, 회선 IF부(101)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30)로 송신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1.4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을 상기의 제1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하의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1) 대표 전화 번호는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휴대 전화기의 각각에 할당된 전화 번호와는 다른 전화 번호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휴대 전화기중 한 휴대 전화기에 할당된 전화 번호로 해도 된다.
이 때, 예를 들어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과 개별의 전화 번호 번호에 대한 착신과의 구별은 착신 신호에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 신호라는 취지의 정보가 포함된다. 통신 접속 장치는 착신 신호에 포함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가 대표 전화 번호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추가로, 착신 신호에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 신호라는 취지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착신 신호에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 신호라는 취지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통신 접속 장치는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호출의 동작을 행하고, 착신 신호에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 신호라는 취지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개별의 전화 번호에 대한 호출의 동작을 행한다.
또는 수신한 착신 신호에 포함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에 대해 개별의 호출의 동작을 행하고,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대표 전화 번호로 하고,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호출의 동작을 행한다. 이 때, 착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호출의 대상으로 해도 되고, 대상외로 해도 된다.
(2)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발신 단말인 휴대 전화기(30)로부터의 지 시에 따라, 옥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만을 호출의 대상으로 할지, 옥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 및 옥외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를 호출의 대상으로 할지를 판단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 접속 장치는 옥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만을 호출의 대상으로 해도 되고, 항상 개별 번호 기억 영역(160)에 기억되어 있는 모든 전화 번호를 호출의 대상으로 해도 된다. 이 때, 착신 신호에는 호출의 대상을 나타내는 정보는 포함되지 않는다. 즉, 제1 호출 대상 정보 및 제2 호출 대상 정보 모두 착신 신호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또는 옥외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만을 호출의 대상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도, 착신 신호에는 호출의 대상을 나타내는 정보는 포함되지 않는다.
(3) 하나의 그룹에 대해 대표 전화 번호를 설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휴대 전화기(30)로부터 대표 전화 번호에 의한 호출을 지시하는 경우에,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휴대 전화기의 각각에 할당된 전화 번호 중 하나의 전화 번호에, 대표 전화 번호에 의한 호출을 요구하는 대표 전화 번호 호출 요구를 부가해도 된다. 대표 전화 번호 호출 요구는 착신 신호에 포함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와 함께 설정되어 있다. 이 때, 통신 접속 장치는 수신한 착신 신호에 포함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에 대표 번호 호출 요구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대방의 전화 번호에 대표 번호 호출 요구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수신한 착신 신호에 포함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대표 전화 번호로 하고,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호출의 동작을 행한다.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수신한 착신 신호에 포함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개별의 접속을 행한다.
또는 통신 접속 장치는 대표 전화 번호에 의한 호출을 행할지의 여부를 발신원의 휴대 전화기에 문의해도 된다. 이 때, 통신 접속 장치는 착신 신호를 수신하면, 회선 IF부(101)가 발신원으로부터의 착신을 일단(一端) 종단(終端)하여 응답하고, 응답 메시지 중에서 대표 전화 번호에 의한 호출을 행할지의 여부를 문의한다. 통신 접속 장치는 발신원의 휴대 전화기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대표 전화 번호에 의한 호출의 동작을 행할지, 수신한 착신 신호에 포함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에 개별의 호출의 동작을 행할지를 판단한다.
(4) 우선 순위에 재배열을 행할지의 여부를, 착신 신호에 포함되는 우선 순위 요구 정보를 이용하여 행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 접속 장치는 우선 순위에 의한 재배열을 행할지의 여부를 발신원에 문의해도 된다. 이 때, 통신 접속 장치는 대표 전화 번호에 의한 호출을 행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발신원에 우선 순위에 의한 재배열을 행할지 여부의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통신 접속 장치는 발신원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우선 순위에 의한 재배열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는 우선 순위 기억부(103)에 있어서 격납 상황에 따라, 우선 순위에 의한 재배열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해도 된다. 예를 들어 우선 순위 기억부(103)에 우선 순위 테이블(T110)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우선 순위에 의한 재배열을 행한다고 판단하고, 우선 순위 기억부(103)에 우선 순위 테이블(T11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우선 순위에 의한 재배열은 행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5) 개별의 전화 번호에, 해당 전화 번호가 호출에 최우선되는 전화 번호라는 취지의 최우선 정보를 부가해도 된다. 이 때, 통신 접속 장치는 착신 신호로부터 개별의 전화 번호와 최우선 정보를 검출하면, 검출한 전화 번호를 대표 전화 번호로 하고, 해당 전화 번호를 옥내용 호출 리스트의 최상위의 위치에 격납한다. 이후는 우선 순위 요구 정보가 착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우선 순위 테이블(T110)에 기초하여 옥내용 호출 리스트 및 옥외용 호출 리스트를 생성한다. 또한, 검출한 전화 번호가 할당된 휴대 전화기는 옥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6) 번호 관리 테이블은 개별 전화 번호와 존재 플래그로 이루어진다고 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번호 관리 테이블은 개별 전화 번호로 이루어져도 된다.
이 경우, 통신 접속 장치는 대표 전화 번호로 나타내지는 그룹에 속하는 휴대 전화기가 해당 장치가 설치된 가옥내에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단은 위치 등록 서버에 문의한다. 휴대 전화기의 전화 번호와 대응지어 관리되고 있는 국 ID가 해당 장치와 일치하는 경우는 옥내에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옥외에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7) 번호 관리 테이블(T100)과 우선 순위 테이블(T110)은 개별의 테이블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 접속 장치는 번호 관리 테이블(T100)과 우선 순위 테이블(T110)을 하나로 정리한 관리 테이블에서 관리해도 된다.
이 때, 관리 테이블은 개별 전화 번호, 존재 플래그 및 우선 순위로 이루어진 한 쌍을 복수개 기억하기 위한 영역을 갖고 있다.
(8)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신 접속 장치(10)의 무선 LAN에 의한 에어리어는 옥내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 접속 장치(10)의 무선 LAN에 의한 에어리어는 무선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범위이면 된다. 예를 들어 통신 접속 장치(10)의 에어리어는 가옥내의 부분적인 범위이어도 되고, 옥외를 포함하는 범위이어도 된다.
또, 통신 접속 장치(10)의 설치 장소를 가옥내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 접속 장치(10)를 설치할 수 있는 장소이면 가옥내로 한정되지 않으며 어느 곳이어도 상관없다.
(9) 대표 전화 번호는 휴대 전화기의 전화 번호와는 다른 전화 번호, 즉 숫자로 이루어진 것으로 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영문자로 이루어진 것으로 해도 되고, 기호로 이루어진 것으로 해도 된다. 또는 숫자, 영문자 및 기호 중 적어도 2개를 조합해도 된다. 즉, 복수의 휴대 전화기를 대표하는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이면 된다.
또, 휴대 전화기에 할당되는 전화 번호도 동양으로, 영문자로 이루어진 것으로 해도 되고, 기호로 이루어진 것으로 해도 된다. 또는 숫자, 영문자 및 기호 중 적어도 2개를 조합해도 된다. 즉, 휴대 전화기를 식별하는 식별자이면 된다.
(10) 전화 번호 기억부는 통신 접속 장치의 내부에 있다고 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화 번호 기억부를 외부의 기억 장치로 하고, 해당 외부의 기억 장치와 통신 접속 장치를 접속해도 된다. 접속 방법은 케이블에 의한 접속이어도 되고,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이어도 된다.
또한, 외부의 기억 장치인 전화 번호 기억부에 대표 전화 번호를 미리 기억시킬 때에는 해당 통신 접속 장치에 의해 쓰기가 행해진다. 또, 개별의 전화 번호를 외부의 기억 장치인 전화 번호 기억부의 번호 관리 테이블에 미리 기억시킬 때에도, 해당 통신 접속 장치에 의해 쓰기가 행해진다. 또는 대표 전화 번호, 개별의 전화 번호의 쓰기는 다른 장치로 행해도 된다.
(11)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해 복수의 전화 번호를 할당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해 할당하는 개별의 전화 번호는 하나 이상이면 된다.
(12) 상기 제1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를 각각 조합시켜도 된다.
1.5 정리
상기 제1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발신원으로부터의 신호를 자장치가 수신한 경우, 상기 발신원과 소정 휴대 전화기의 통신을 확립하는 통신 접속 장치로서, 개개의 휴대 전화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제1 정보로 하고, 복수의 휴대 전화기를 대표하는 식별 정보를 제2 정보로 하고, 상기 통신 접속 장치는 상기 발신원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수신한 신호에 제2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제2 정보를 관련지어 미리 기억하고 있는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제2 정보에 관련지어진 제1 정보를 독출하는 독출 수단과; 상기 독출 수단이 독출한 제1 정보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 에 대해, 소정의 순서로 호출을 행하는 호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나타낸 구성에 의하면, 통신 접속 장치는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제2 정보에 관련지어진 제1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한 제1 정보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에 대해 소정의 순서로 호출을 행한다. 이에 의해, 통신 접속 장치로 독출된 제1 정보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의 소유자는 자신에 대한 호출이라고 하는 의식이 그룹의 누군가에게 대한 호출이라고 하는 의식보다 높아지므로 호출에 대한 응답을 확실하게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호출 수단은 호출 대상인 하나의 제1 정보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에 대한 호출을 행하여, 상기 휴대 전화기의 응답을 감시하고, 감시 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넘은 경우에는 상기 휴대 전화기에 대한 호출을 억지하고, 다음의 순서에 위치하는 다른 제1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른 제1 정보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로의 호출을 행하고, 다음의 순서에 위치하는 다른 제1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한 신호에 대한 호출을 억지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신 접속 장치는 호출 대상인 휴대 전화기에 대해 응답의 감시를 행하고, 감시 시간이 소정 시간을 넘은 경우에는 호출 대상의 휴대 전화기에 대한 호출을 억지하고, 다음의 호출 대상인 다른 제1 정보가 할당된 휴대 전화기에 대해 호출을 행한다. 이에 의해, 통신 접속 장치는 항상 하나의 휴대 전화기에 대해 호출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억 장치는 상기 통신 접속 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기억 장치는 상기 제2 정보를 대표로 하는 상기 복수의 휴대 전화기 각각 을 특정하는 각 제1 정보와 상기 제2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신 접속 장치는 복수의 제1 정보를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기억 장치에 기억해 둘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 접속 장치는 무선 LAN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기억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제1 정보 각각에 대해 상기 무선 LAN의 통신 범위내에, 상기 제1 정보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존재 플래그를 부가하여 기억하고 있고, 상기 독출 수단은 상기 복수의 제1 정보 각각에 대한 존재 플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정보 각각으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 중 상기 통신 범위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의 제1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호출 수단은 상기 무선 LAN를 이용하여 호출을 행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신 접속 장치는 무선 LAN에 의한 통신 범위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를 호출의 대상으로 하므로, 발신원인 자는 복수의 휴대 전화기 각각의 소유자 중 상기 통신 범위내에 있는 자를 순차적으로 통화 상대의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 접속 장치는, 추가로, 전화 회선망과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정보 각각에 대한 존재 플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범위밖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의 제1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한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의 제1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범위밖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에 대한 호출 순서를 결정하는 범위외 정보 독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호출 수단은 상기 통신 범위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 모두가 호출에 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범위외 정보 독출 수단으로 독출된 하나 이상의 제1 정보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에 대해, 상기 전화 회선망을 통하여 소정의 순서로 호출을 행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신 접속 장치는 통신 범위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 모두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통신 범위밖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를 호출의 대상으로 한다. 이에 의해, 발신원인 자는 통신 범위내에 있는 소유자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통화 상대의 대상을 통신 범위밖에 있는 소유자로 확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억 장치는, 추가로, 각 제1 정보에 대해 호출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순위 정보를 대응지어 기억하고 있고,
상기 독출 수단은 상기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독출한 하나 이상의 제1 정보에 대해 우선 순위가 높은 순서로 호출이 행해지도록 호출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호출 수단은 상기 독출 수단으로 결정된 호출 순서로 호출을 행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신 접속 장치는 우선 순위에 따라 호출 순서를 결정하므로, 발신원인 자는 호출 대상인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 각각의 소유자 중 우선 순위가 높은 휴대 전화기를 소유하는 자부터 순서대로 통화 상대의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 접속 장치는 무선 LAN 및 전화 회선망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기억 장치는, 추가로, 상기 복수의 제1 정보 각각에 대해 상기 무선 LAN에 의 한 통신 범위내에, 상기 제1 정보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존재 플래그를 부가하여 기억하고 있고, 상기 독출 수단은 상기 복수의 제1 정보에 대한 존재 플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정보 각각으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 중 상기 통신 범위밖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의 제1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호출 수단은 상기 전화 회선망을 통하여 소정의 순서로 호출을 행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신 접속 장치는 무선 LAN에 의한 통신 범위밖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를 호출의 대상으로 하므로, 발신원인 자는 복수의 휴대 전화기 각각의 소유자 중 상기 통신 범위밖에 있는 자를 순차적으로 통화 상태의 대상으로 할 수 있다.
2.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 형태로서의 통신 접속 장치(1010)에 대해 설명한다.
2.1 개요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접속 장치(1010)는 지정된 위치에서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휴대 전화기로부터 순서대로 호출을 행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휴대 전화기(20, 21, 22, 30), 위치 등록 서버(40), 공중 기지국 장치(41, 42) 및 휴대 전화 회선망(43)을 이용하여 설명을 행한다.
통신 접속 장치(1010)는 옥내에 설치되어 있고, 휴대 전화기(20, 21, 22, 23, 24)의 각각에 할당된 전화 번호와, 휴대 전화기(20, 21, 22, 23, 24)를 하나의 그룹으로 하고, 그 그룹을 대표하는 대표 전화 번호를 미리 기억시키고 있다. 여기서, 제1의 실시 형태와 동양으로, 대표 전화 번호는 휴대 전화기(20, 21, 22, 23, 24)의 각각에 할당된 전화 번호와는 다른 전화 번호이고, 통신 접속 장치(1010)에 대해 할당되어 있다. 또, 통신 접속 장치(1010)에 할당된 대표 전화 번호는 다른 통신 접속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할당된 대표 전화 번호와는 다른 전화 번호이다.
휴대 전화기(20, 21, 22, 23, 24)는 제1의 실시 형태와 동양으로, 무선 LAN에 의한 통신 기능 및 CDMA에 의한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휴대 전화기(20, 21, 22, 23, 24)는 GPS에 의해 해당 휴대 전화기가 존재하는 위치를 취득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휴대 전화기(30)는, 추가로,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도를 표시하고, 표시한 지도로부터 이용자가 지시하는 위치(이하, 「기준 위치」라고 함)의 경도 및 위도를 취득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여기서, 일례로서 이용자에 의해 지시된 기준 위치는 동경 135도 38분, 북위 34도 38분으로 한다.
휴대 전화기(20, 21, 22, 23, 24)가 대표 전화 번호와, 이용자로부터 기준 위치에서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휴대 전화기로부터 순서대로 호출을 행하는 취지의 지시를 수취하면, 착신 신호에는 기준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호출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기준 위치 정보는 취득한 경도 및 위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예를 들어 동경 135도 38분, 북위 34도 38분이다.
또, 제1 실시 형태와 동양으로, 대표 전화 번호에 의해 호출이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전화 번호에 대해 우선 순위를 요구하는 취지의 우선 순위 요구 정보가 착신 신호에 포함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위치 등록 서버(40)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양으로, 휴대 전화기로부터의 위치 등록 요구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의 현재 위치의 관리를 행하고, 또 통신 접속 장치(1010)를 식별하는 국 ID와 통신 접속 장치(1010)에 할당된 대표 전화 번호로 이루어진 한 쌍을 기억하고 있다.
2.2 통신 접속 장치(1010)의 구성
통신 접속 장치(1010)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선 IF부(1101), 전화 번호 기억부(1102), 우선 순위 기억부(1103), 호출 대상 확인부(1104), 호출 처리부(1105), 무선 IF부(1106), 안테나(1107), 통화 처리부(1108), 전송 처리부(1109), 등록부(1110) 및 단말 위치 취득부(1111)로 구성되어 있다.
통신 접속 장치(1010)는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ROM, RAM, 하드디스크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등으로 구성되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상기 ROM 또는 상기 하드디스크 유닛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것에 의해, 통신 접속 장치(1010)는 그 기능을 달성한다.
(1) 회선 IF부(1101)
회선 IF부(1101)는 휴대 전화 회선망(43)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이다. 구체적으로는 광회선과의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광회선과의 인터페이스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ADSL과의 인터페이스이어도 된다.
회선 IF부(1101)는 휴대 전화기(30)로부터의 발신에 대해, 공중 기지국 장치(41) 및 휴대 전화 회선망(43)을 통하여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수신 신호란, 예를 들어 전화 착신시의 착신 신호 및 통화시의 음성 신호 등이다.
회선 IF부(1101)는 수신한 수신 신호가 착신 신호인 경우에는 수신한 착신 신호를 호출 대상 확인부(1104)로 출력하고, 수취한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인 경우에는 통화 처리부(1108)로 출력한다.
회선 IF부(1101)는 통화 처리부(1108)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취하면, 수취한 음성 신호를 휴대 전화 회선망(43) 및 공중 기지국 장치(41)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30)로 송신한다.
회선 IF부(1101)는 등록부(1110)로부터 위치 등록 요구를 수취하면, 수취한 위치 등록 요구와 해당 통신 접속 장치(1010)에 할당된 국 ID를, 휴대 전화 회선망(43)을 통하여 위치 등록 서버(40)로 송신한다. 여기서, 위치 등록 요구는 휴대 전화기의 전화 번호와, 등록 요구하는 취지의 정보로 이루어진다.
회선 IF부(1101)는 전송 처리부(1109)로부터 전송 처리에 관한 신호를 수취하면, 수취한 신호를 휴대 전화 회선망(43)을 통하여 전송처의 휴대 전화기로 송신한다.
회선 IF부(1101)는 단말 위치 취득부(1111)로부터 옥외에 존재하는 휴대 전화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단말 위치 정보를 요구하는 위치 정보 요구를 수취하면, 수취한 위치 정보 요구를 휴대 전화 회선망(43)을 통하여 요구처의 휴대 전화기로 송신한다. 여기서, 단말 위치 정보는 경도 및 위도로 나타난다.
또, 회선 IF부(1101)는 호출 대상 확인부(1104)로부터 휴대 전화기(30)로 송신하는 신호를 수취하면, 수취한 신호를 휴대 전화 회선망(43) 및 공중 기지국 장치(41)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30)로 송신한다.
(2) 전화 번호 기억부(1102)
전화 번호 기억부(1102)는 제1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는 전화 번호 기억부(102)와 동등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필요하다면 도 3에 나타내는 대표 번호 기억 영역(150), 개별 번호 기억 영역(160) 및 번호 관리 테이블(T10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대표 전화 번호를 미리 기억할 때에는 해당 통신 접속 장치(1010)에 의해 쓰기가 행해진다. 또, 개별의 전화 번호를 번호 관리 테이블(T100)에 미리 기억시킬 때에도, 해당 통신 접속 장치(1010)에 의해 쓰기가 행해진다.
(3) 우선 순위 기억부(1103)
우선 순위 기억부(1103)는 제1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는 우선 순위 기억부(103)와 같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필요하다면 도 4에서 나타내는 우선 순위 테이블(T1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4) 호출 대상 확인부(1104)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기준 위치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위치 정보 기억 영역과, 옥외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의 전화 번호와 그 전화 번호가 할당된 휴대 전화기에 대응하는 단말 위치 정보로 이루어진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 및 옥내에 존재하는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로 이루어진 옥내용 호출 리스트를 기억하기 위한 리스트 기억 영역을 갖고 있다.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회선 IF부(1101)로부터 착신 신호를 수취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수취한 착신 신호에 포함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가 대표 전화 번호(151)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대방의 전화 번호가 대표 전화 번호(151)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수취한 착신 신호와 개별의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이라는 취지의 정보를 호출 처리부(1105)로 출력한다.
상대방의 전화 번호가 대표 전화 번호(151)와 일치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착신 신호에 호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 즉 착신 신호에 기준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착신 신호에 기준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착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기준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기준 위치 정보를 위치 정보 기억 영역에 격납한다. 여기서, 기준 위치 정보로서 동경 135도 38분, 북위 34도 38분이 격납된다.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번호 관리 테이블(T100)로부터 존재 플래그의 값이 「O」인 전화 번호를 모두 취득한다. 여기서,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휴대 전화기(22, 23)의 각각에 할당된 전화 번호(164, 165)를 번호 관리 테이블(T100)로부터 취득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취득한 모든 전화 번호와, 휴대 전화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단말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취지의 위치 정보 취득 명령을, 단말 위치 취득부(1111)로 출력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단말 위치 취득부(1111)로부터 전화 번호와 해당 전화 번호에 할당된 휴대 전화기에 대응하는 단말 위치 정보를 수취하면, 전화 번호가 번호 관리 테이블(T100)에 격납되어 있는 순서에 따라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를 작성한다. 도 11(a)에서 나타내는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T200)는 생성한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의 일례이다. 전화 번호는 번호 관리 테이블(T100)로부터 존재 플래그의 값이 「O」인 전화 번호를 나타내고, 단말 위치 정보는 그 전화 번호에 할당된 휴대 전화기가 존재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생성한 위치 정보 관리 테이블에 격납하고 있는 각 단말 위치 정보와, 위치 정보 기억 영역에 기억하고 있는 기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기준 위치로부터 휴대 전화기까지의 각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 거리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과 기준 위치의 거리가 가까운 것부터 순서대로 배열하도록, 생성한 위치 관리 정보 리스트의 전화 번호와 단말 위치 정보로 이루어진 한 쌍의 재배열을 행한다. 도 11(b)에 나타내는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T201)는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T200)를 재배열한 결과이다.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재배열이 이루어진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를 리스트 기억 영역에 격납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리스트 기억 영역에 격납하고 있는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를 취득하고, 취득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와, 회선 IF부(1101)로부터 수취한 착신 신호와, 대표 전화 번호 에 대한 착신이라는 취지의 정보를 전송 처리부(1109)로 출력한다. 또,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현재의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를 나타내는 신호를 회선 IF부(1101)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30)로 송신한다. 이 때, 휴대 전화기(30)에서는 현재 호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전화 번호로서, 수취한 신호로 나타나는 전화 번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표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음성 안내이어도 된다.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전송 처리부(1109)에 의한 전송 처리가 타임 아웃되었다는 취지의 전송 타임 아웃 정보를 수취하면,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와 단말 위치 정보를 파기하고, 나머지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와 단말 위치 정보로 이루어진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로 갱신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갱신한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와, 회선 IF부(1101)로부터 수취한 착신 신호와,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이라는 취지의 정보를 전송 처리부(1109)로 출력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나머지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와 단말 위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옥외에 존재하는 모든 호출 대상의 휴대 전화기로부터의 응답이 없다는 취지의 신호를 회선 IF부(1101)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30)로 송신한다. 이 때, 휴대 전화기(30)에서는 옥외에 존재하는 모든 호출 대상의 휴대 전화기로부터의 응답이 없다는 취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표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음성 안내이어도 된다.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옥외의 존재하는 모든 호출 대상의 휴대 전화기로 부터의 응답이 없다는 취지의 신호를 휴대 전화기(30)로 송신하면, 옥내에 존재하는 휴대 전화기를 호출의 대상으로 하고, 옥내용 호출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후의 동작은 제1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착신 신호에 제1 호출 대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와 동양의 동작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착신 신호에 기준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도, 제1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는 착신 신호에 제1 호출 대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와 동양의 동작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5) 단말 위치 취득부(1111)
단말 위치 취득부(1111)는 호출 대상 확인부(1104)로부터 옥외에 존재하는 모든 휴대 전화기 각각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와 위치 정보 취득 명령을 수취하면, 단말 위치 정보를 요구하는 위치 정보 요구를 회선 IF부(1101)를 통하여 각 휴대 전화기로 송신한다.
단말 위치 취득부(1111)는 각 휴대 전화기로부터 회선 IF부(1101)를 통하여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각 위치 정보와, 각각과 대응하는 전화 번호를 한 쌍으로 하여 호출 대상 확인부(1104)로 출력한다.
(6) 호출 처리부(1105)
호출 처리부(1105)는 제1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는 호출 처리부(105)와 동양의 동작을 행하므로 여기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7) 전송 처리부(1109)
전송 처리부(1109)는 제1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는 전송 처리부(109)와 동양 의 동작을 행하므로 여기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8) 무선 IF부(1106)
무선 IF부(1106)는 제1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는 무선 IF부(106)와 동양의 동작을 행하므로 여기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9) 통화 처리부(1108)
통화 처리부(1108)는 제1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는 통화 처리부(108)와 동양의 동작을 행하므로 여기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10) 등록부(1110)
등록부(1110)는 제1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는 등록부(110)와 동양의 동작을 행하므로 여기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2.3 동작
여기서, 통신 접속 장치(1010)의 동작에 대해, 도 12, 도 13 및 도 14에서 나타내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회선 IF부(1101)는 휴대 전화기(30)로부터의 발신에 대해 휴대 전화 회선망을 통하여 착신 신호를 수신한다(단계 S200). 회선 IF부(1101)는 수신한 착신 신호를 호출 대상 확인부(1104)로 출력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회선 IF부(1101)로부터 착신 신호를 수취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수취한 착신 신호에 의한 착신이 대표 전화 번호로의 착신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5). 여기서,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수취한 착신 신호에 포함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가 대표 전화 번호(151)와 일치하 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대방의 전화 번호가 대표 전화 번호(151)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즉 대표 전화 번호로의 착신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단계 S205에 있어서 아니오), 통신 접속 장치(1010)는 개별의 전화 번호로의 접속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단계 S210).
상대방의 전화 번호가 대표 전화 번호(151)와 일치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즉 대표 전화 번호로의 착신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단계 S205에 있어서 예),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착신 신호에 호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 즉 착신 신호에 기준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15).
착신 신호에 기준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단계 S215에 있어서 예),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착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기준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기준 위치 정보를 위치 정보 기억 영역에 격납한다(단계 S220).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번호 관리 테이블(T100)로부터 존재 플래그의 값이 「O」인 전화 번호를 모두 취득한다(단계 S225).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취득한 모든 전화 번호와, 휴대 전화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단말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취지의 위치 정보 취득 명령을 단말 위치 취득부(1111)로 출력한다. 단말 위치 취득부(1111)는 호출 대상 확인부(1104)로부터 옥외에 존재하는 모든 휴대 전화기 각각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와 위치 정보 취득 명령을 수취하면, 단말 위치 정보를 요구하는 위치 정보 요구를 회선 IF부(1101)를 통하여 각 휴대 전화기로 송신한다. 단말 위치 취득부(1111)는 각 휴대 전화기로부터 회선 IF부(1101)를 통하여 단말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230).
단말 위치 취득부(1111)는 취득한 각 위치 정보와, 각각과 대응하는 전화 번호를 한 쌍으로 하여 호출 대상 확인부(1104)로 출력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단말 위치 취득부(1111)로부터 전화 번호와 해당 전화 번호로 할당된 휴대 전화기에 대응하는 단말 위치 정보를 수취하면, 전화 번호가 번호 관리 테이블(T100)에 격납되어 있는 순서에 따라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를 작성한다(단계 S235).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생성한 위치 정보 관리 테이블에 격납하고 있는 각 단말 위치 정보와, 위치 정보 기억 영역에 기억하고 있는 기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기준 위치로부터 휴대 전화기까지의 각 거리를 산출하고(단계 S240), 산출된 각 거리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과 기준 위치의 거리가 가까운 것부터 순서대로 배열되도록, 생성한 위치 관리 정보 리스트의 전화 번호와 단말 위치 정보로 이루어진 한 쌍의 재배열을 행한다(단계 S245).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재배열이 이루어진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를 리스트 기억 영역에 격납한다(단계 S250).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리스트 기억 영역에 격납하고 있는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를 취득하고, 취득한 전화 번호와, 회선 IF부(1101)로부터 수취한 착신 신호와,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이라는 취지의 정보를 전송 처리부(1109)로 출력한다. 전송 처리부(1109)는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이라는 취지의 정보와,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와 착신 신호 를 수취하면, 수취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휴대 전화기에 대해 회선 IF부(1101)를 통하여 전송에 관한 처리, 즉 수취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의 휴대 전화기에 대한 호출의 처리를 행한다(단계 S255). 이 때, 전송 처리부(1109)는 소정의 시간내에 있어서 응답을 감시한다.
전송 처리부(1109)는 호출에 대한 응답을 감시한다(단계 S260). 응답이 있는 경우에(단계 S260에 있어서 예), 전송 처리부(1109)는 해당 휴대 전화기로의 통화에 관한 접속 처리를 행하여 통화를 개시한다(단계 S265).
응답이 없는 경우에(단계 S260에 있어서 아니오), 전송 처리부(1109)는 응답을 감시하고 있는 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70).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단계 S270에 있어서 아니오), 전송 처리부(1109)는 단계 S260으로 되돌아온다.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단계 S270에 있어서 예), 전송 처리부(1109)는 수취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의 휴대 전화기에 대한 전송에 관한 처리를 억지하고, 전송 타임 아웃 정보를 호출 대상 확인부(1104)로 출력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전송 처리부(1109)로부터 전송 타임 아웃 정보를 수취하면,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와 단말 위치 정보를 파기하고, 나머지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와 단말 위치 정보로 이루어진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로 갱신한다(단계 S275).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미취득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80).
미취득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에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단계 S280에 있어서 예), 단계 S255로 되돌아와서, 갱신한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를 취득하고, 취득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휴대 전화기에 대한 호출의 처리를 행한다. 미취득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즉 나머지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와 단말 위치 정보가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단계 S280에 있어서 아니오),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옥외에 존재하는 모든 호출 대상의 휴대 전화기로부터의 응답이 없다는 취지의 신호를, 회선 IF부(1101)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30)로 송신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번호 관리 테이블(T100)로부터 존재 플래그의 값이 「1」인 전화 번호를 모두 취득하고, 취득한 모든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전화 번호가 번호 관리 테이블(T100)에 격납되어 있는 순서에 따라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로 이루어진 옥내용 호출 리스트를 생성한다(단계 S285).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착신 신호에 우선 순위 요구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90). 착신 신호에 우선 순위 요구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단계 S290에 있어서 예),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우선 순위 테이블(T110)을 취득하고, 취득한 우선 순위 테이블(T110)에 기초하여, 생성한 옥내용 호출 리스트가 우선 순위의 순서가 되도록 재배열을 행한다(단계 S295).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재배열이 이루어진 옥내용 호출 리스트를 리스트 기억 영역에 격납한다(단계 S300). 착신 신호에 우선 순위 요구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단계 S290에 있어서 아니오), 단계 S300으로 이동하여, 생성한 옥내용 호출 리스트를 리스트 기억 영역에 격납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리스트 기억 영역에 격납하고 있는 옥내용 호출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와, 회선 IF부(1101)로부터 수취한 착신 신호와,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이라는 취지의 정보를 취득하고, 호출 처리부(1105)로 출력한다. 호출 처리부(1105)는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이라는 취지의 정보와,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와 착신 신호를 수취하면, 수취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휴대 전화기에 대해 무선 IF부(1106)를 통하여 호출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단계 S305). 이 때, 호출 처리부(1105)는 소정의 시간내에 있어서 응답을 감시한다.
호출 처리부(1105)는 호출에 대한 응답을 감시한다(단계 S310). 응답이 있는 경우에(단계 S310에 있어서 예), 호출 처리부(1105)는 해당 휴대 전화기로의 통화에 관한 접속 처리를 행하여 통화를 개시한다(단계 S315).
응답이 없는 경우에(단계 S310에 있어서 아니오), 호출 처리부(1105)는 응답을 감시하고 있는 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20).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단계 S320에 있어서 아니오), 호출 처리부(1105)는 단계 S310으로 되돌아온다.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단계 S320에 있어서 예), 호출 처리부(1105)는 수취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의 휴대 전화기에 대한 호출에 관한 처리를 억지하고, 호출 타임 아웃 정보를 호출 대상 확인부(1104)로 출력한 다.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호출 처리부(1105)로부터 호출 타임 아웃 정보를 수취하면, 옥내용 호출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를 파기하고, 나머지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로 이루어진 옥내용 호출 리스트로 갱신한다(단계 S325).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미취득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옥내용 호출 리스트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30).
미취득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옥내용 호출 리스트에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단계 S330에 있어서 예), 단계 S305로 되돌아와서, 갱신한 옥내용 호출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를 취득하고, 취득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휴대 전화기에 대한 호출을 행한다. 미취득한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옥내용 호출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즉 나머지 호출 대상의 전화 번호가 옥내용 호출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단계 S330에 있어서 아니오),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옥내에 존재하는 모든 호출 대상의 휴대 전화기로부터의 응답이 없다는 취지의 신호를, 회선 IF부(1101)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30)로 송신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착신 신호에 기준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단계 S215에 있어서 아니오),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단계 S285 이후의 동작을 행한다.
2.4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을 상기의 제2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하의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1) 단말 위치 정보의 문의는 정기적으로 해도 된다. 이 때,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타이머를 갖고 있고, 정기적(예를 들어 1시간마다)으로 번호 관리 테이블(T100)로부터 존재 플래그의 값이 「O」인 전화 번호를 모두 취득하고, 취득한 각 전화 번호에 대한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를 생성하고, 리스트 기억 영역에 격납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회선 IF부(1101)로부터 착신 신호를 수취하면, 수취한 착신 신호에 포함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가 대표 전화 번호(151)와 일치하고, 또한 기준 위치 정보가 착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준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위치 정보와, 위치 정보 관리 테이블에 격납하고 있는 각 단말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기준 위치로부터 휴대 전화기까지의 각 거리를 산출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산출된 각 거리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과 기준 위치의 거리가 가까운 것부터 순서대로 배열되도록, 격납하고 있는 위치 관리 정보 리스트의 전화 번호와 단말 위치 정보로 이루어진 한 쌍의 재배열을 행하고, 격납하고 있는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를 재배열이 이루어진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로 갱신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갱신한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를 이용하여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호출에 관한 동작을 행한다.
또한,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의 생성에 관한 동작은 제2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는 동작과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는 정기적으로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를 작성하는 대신에, 번호 관리 테이 블을 전화 번호, 존재 플래그 및 단말 위치 정보로 이루어진 한 쌍을 격납하는 영역을 갖는 것으로 하고,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정기적으로 취득한 단말 위치 정보를 번호 관리 테이블에 써도 된다. 이 경우, 존재 플래그가 「1」인 전화 번호에 대한 위치 정보는 아무것도 써지지 않는다.
(2) 기준 위치 정보 및 단말 위치 정보를 경도 및 위도로 이루어진다고 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준 위치 정보를 기준 위치가 속하는 에어리어의 공중 기지국 장치에 할당된 국 ID로 하고, 단말 위치 정보를 휴대 전화기가 속하는 에어리어의 공중 기지국 장치에 할당된 국 ID로 해도 된다.
이 경우, 휴대 전화기(30)는 자장치로 기준 위치를 나타내는 경도 및 위도로부터 국 ID(이하, 기준국 ID)로 변환한다.
통신 접속 장치는 착신 신호에 포함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가 대표 전화 번호(151)와 일치하고, 또한 기준 위치 정보가 착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말 위치 정보를 휴대 전화기에 문의하는 대신에, 위치 등록 서버에 해당하는 휴대 전화기와 대응지어진 국 ID를 문의한다. 통신 접속 장치는 기준국 ID와 각 국 ID를 이용하여, 기준국 ID로 나타내지는 에어리어에 가까운 에어리어에 존재하는 휴대 전화기로부터 전화 번호가 배열되도록, 위치 관리 정보 리스트를 소트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소트한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를 이용하여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호출에 관한 동작을 행한다.
(3) 상기 (2)에 있어서, 기준 위치를 나타내는 경도 및 위도로부터 기준국 ID로의 변환을 휴대 전화기(30)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변환은 다른 장치(예를 들어 위치 등록 서버(40))로 행해도 된다.
이 경우, 휴대 전화기(3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위치 등록 서버(40))에 기준 위치를 나타내는 경도 및 위도를 송신하고, 다른 장치로부터 기준국 ID를 수신한다. 휴대 전화기(30)는 대표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호출이 행해진 경우에는 착신 신호에 기준국 ID로 이루어진 기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호출 정보가 포함된다.
또는 통신 접속 장치에서 기준 위치를 나타내는 경도 및 위도로부터 기준국 ID로의 변환을 행해도 된다. 이 경우, 휴대 전화기(30)가 대표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호출이 행해진 경우에는 착신 신호에 경도 및 위도로 이루어진 기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호출 정보가 포함된다. 통신 접속 장치는 착신 신호에 포함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가 대표 전화 번호(151)와 일치하고, 또한 기준 위치 정보가 착신 신호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착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기준 위치 정보로 나타나는 경도 및 위도를 이용하여 기준국 ID를 취득한다. 통신 접속 장치는 취득한 기준국 ID를 기준 위치 정보로서 위치 정보 기억 영역에 격납한다. 통신 접속 장치는 단말 위치 정보를 휴대 전화기에 문의하는 대신에, 위치 등록 서버에 해당하는 휴대 전화기와 대응지어진 국 ID를 문의한다. 통신 접속 장치는 기준국 ID와 각 국 ID를 이용하여, 기준국 ID로 나타나는 에어리어에 가까운 에어리어에 존재하는 휴대 전화기부터 전화 번호가 배열되도록 위치 관리 정보 리스트를 소트한다. 호출 대상 확인부(1104)는 소트한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를 이용하여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호출에 관한 동작을 행한다.
(4) 휴대 전화기(30)는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도를 표시하고, 표시한 지도 로부터 이용자가 지시하는 기준 위치를 취득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준 위치 정보는 휴대 전화기(30)가 존재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어도 된다.
(5) 또는 기준 위치 정보는 통신 접속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어도 된다. 이 경우, 휴대 전화기(30)가 대표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호출이 행해진 경우에는 착신 신호에 위치 정보에 의한 호출을 행하는 취지를 포함하는 호출 정보가 포함된다.
통신 접속 장치는 미리 자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 위치 정보를 위치 정보 기억 영역에 기억하고 있다. 통신 접속 장치는 착신 신호에 포함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가 대표 전화 번호(151)와 일치하고, 또한 기준 위치 정보가 착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번호 관리 테이블(T100)로부터 존재 플래그의 값이 「O」인 전화 번호를 모두 취득하고, 취득한 모든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후의 동작은 제2 실시 형태와 동양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는 기준 위치 정보는 통신 접속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 하고, 통신 접속 장치는 항상 위치 정보에 의한 호출을 행해도 된다. 이 때, 착신 신호에는 위치 정보에 의한 호출을 행하는 취지를 포함하는 호출 정보는 포함되지 않는다.
또는 호출의 순서를 옥내에 존재하는 휴대 전화기부터 순서대로 호출하고, 그 후, 옥외에 존재하는 휴대 전화기를 순차적으로 호출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통신 접속 장치가 설치된 가옥에 가까운 것부터 순차적으로 호출하는 것이 가 능하게 된다.
(6) 기준 위치 정보로 나타내지는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넘는 위치에 존재하는 휴대 전화기를 호출의 대상으로부터 제외해도 된다.
이 때, 통신 접속 장치는 대표 전화 번호로 나타내지는 그룹에 속하는 모든 휴대 전화기에 대해, 휴대 전화기 각각의 단말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를 생성한다. 옥내에 존재하는 휴대 전화기에 대해서도 단말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통신 접속 장치는 기준 위치 정보와 취득한 각 단말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두 점간의 거리를 산출한 후, 산출된 거리가 소정의 거리(예를 들어 50km)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소정의 거리 이상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산출에 이용된 단말 위치 정보와 그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를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로부터 파기한다. 이 동작을 모든 단말 위치 정보에 대해 행하는 것에 의해, 위치 정보 관리 리스트에는 기준 위치 정보로 나타내지는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에 존재하는 휴대 전화기의 전화 번호와 그 단말 위치 정보로 이루어진 한 쌍만이 남게 된다.
예를 들어 착신 신호에 포함되는 기준 위치 정보가 통신 접속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통신 접속 장치가 설치된 집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에 있는 휴대 전화기가 호출의 대상이 된다.
(7)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호출의 순서를 옥외에 존재하는 휴대 전화기를 순차적으로 호출한 후, 옥내에 존재하는 휴대 전화기를 순차적으로 호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옥외에 존재하는 휴대 전화기만을 순차적으로 호출 해도 된다.
이 경우, 휴대 전화기(30)가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한 호출을 행할 때에, 옥내에 존재하는 휴대 전화기를 호출의 대상으로 하는지 여부의 정보를 착신 신호에 포함하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8)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신 접속 장치(1010)의 무선 LAN에 의한 에어리어는 옥내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 접속 장치(1010)의 무선 LAN에 의한 에어리어는 무선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범위이면 된다. 예를 들어 통신 접속 장치(1010)의 에어리어는 가옥내의 부분적인 범위이어도 되고, 옥외를 포함하는 범위이어도 된다.
또, 통신 접속 장치(1010)의 설치 장소를 가옥내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 접속 장치(1010)를 설치할 수 있는 장소이면, 가옥내로 한정되지 않고 어디라도 상관없다
(9) 대표 전화 번호는 휴대 전화기의 전화 번호와는 다른 전화 번호, 즉 숫자로 이루어진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영문자로 이루어진 것으로 해도 되고, 기호로 이루어진 것으로 해도 된다. 또는 숫자, 영문자 및 기호 중 적어도 2개를 조합해도 된다. 즉, 복수의 휴대 전화기를 대표하는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이면 된다.
또, 휴대 전화기에 할당되는 전화 번호도 동양으로 영문자로 이루어진 것으로 해도 되고, 기호로 이루어진 것으로 해도 된다. 또는 숫자, 영문자 및 기호 중 적어도 2개를 조합해도 된다. 즉, 휴대 전화기를 식별하는 식별자이면 된다.
(10) 전화 번호 기억부는 통신 접속 장치의 내부에 있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화 번호 기억부를 외부의 기억 장치로 하고, 해당 외부의 기억 장치와 통신 접속 장치를 접속해도 된다. 접속 방법은 케이블에 의한 접속이어도 되고,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이어도 된다.
또한, 외부의 기억 장치인 전화 번호 기억부에 대표 전화 번호를 미리 기억할 때에는 해당 통신 접속 장치에 의해 쓰기가 행해진다. 또, 개별의 전화 번호를, 외부의 기억 장치인 전화 번호 기억부의 번호 관리 테이블에 미리 기억시킬 때에도, 해당 통신 접속 장치에 의해 쓰기가 행해진다. 또는 대표 전화 번호, 개별의 전화 번호의 쓰기는 다른 장치로 행해도 된다.
(11)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해 복수의 전화 번호를 할당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표 전화 번호에 대해 할당하는 개별의 전화 번호는 하나 이상이면 된다.
(12) 상기 제2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를 각각 조합해도 된다.
2.5 정리
상기 제2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발신원으로부터의 신호를 자장치가 수신한 경우, 상기 발신원과 소정 휴대 전화기의 통신을 확립하는 통신 접속 장치로서, 개개의 휴대 전화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제1 정보로 하고, 복수의 휴대 전화기를 대표하는 식별 정보를 제2 정보로 하고, 상기 통신 접속 장치는 상기 발신원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수신한 신호에 제2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제2 정보를 관련지어 미리 기억하고 있는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제2 정보에 관련지어진 제1 정보를 독출하는 독출 수단과; 상기 독출 수단이 독출한 제1 정보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에 대해, 소정의 순서로 호출을 행하는 호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나타낸 구성에 의하면, 통신 접속 장치는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제2 정보에 관련지어진 제1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한 제1 정보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에 대해 소정의 순서로 호출을 행한다. 이에 의해, 통신 접속 장치로 독출된 제1 정보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의 소유자는 자신에 대한 호출이라고 하는 의식이 그룹의 누군가에게 대한 호출이라고 하는 의식보다 높아지므로 호출에 대한 응답을 확실히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호출 수단은 호출 대상인 하나의 제1 정보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에 대한 호출을 행하고, 상기 휴대 전화기의 응답을 감시하고, 감시 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넘은 경우에는 상기 휴대 전화기에 대한 호출을 억지하고, 다음 순서에 위치하는 다른 제1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른 제1 정보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로의 호출을 행하고, 다음 순서에 위치하는 다른 제1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한 신호에 대한 호출을 억지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신 접속 장치는 호출 대상인 휴대 전화기에 대해 응답의 감시를 행하고, 감시 시간이 소정 시간을 넘은 경우에는 호출 대상의 휴대 전화기에 대한 호출을 억지하고, 다음의 호출 대상인 다른 제1 정보가 할당된 휴대 전화기에 대해 호출을 행한다. 이에 의해, 통신 접속 장치는 항상 하나의 휴대 전화기에 대해 호출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억 장치는 상기 통신 접속 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기억 장치는 상기 제2 정보를 대표로 하는 상기 복수의 휴대 전화기 각각을 특정하는 각 제1 정보와 상기 제2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신 접속 장치는 복수의 제1 정보를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기억 장치에 기억해 둘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신원으로부터의 신호는, 추가로, 소정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접속 장치는, 추가로, 상기 휴대 전화기의 존재 위치를 나타내는 단말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독출 수단은 상기 수신한 신호로부터 상기 기준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호출의 대상인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정보 각각으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의 단말 위치 정보를 취득하도록 상기 취득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기준 위치 정보와 상기 취득 수단으로 취득한 각 단말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위치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정보 각각으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가 존재하는 존재 위치까지의 각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 거리가 짧은 순서로 호출이 행해지도록 호출 순서를 결정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신 접속 장치는 소정의 위치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운 순서로 호출 순서를 결정하므로, 발신원인 자는 호출 대상인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 각각의 소유자 중 소정의 위치의 근처에 있는 자부터 순서대로 통화 상대의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 접속 장치는, 추가로, 상기 휴대 전화기의 존재 위치를 나타내는 단말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독출 수단은 독출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정보 각각으로 특정되는 각 휴대 전화기에 대한 단말 위치 정보를 취득하도록 상기 취득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취득 수단으로 취득한 각 단말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접속 장치가 설치된 장소로부터, 독출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휴대 전화기가 존재하는 존재 위치까지의 각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 거리가 짧은 순서로 호출을 행하도록 호출 순서를 결정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신 접속 장치는 해당 장치가 설치된 장소로부터 호출 대상인 각 휴대 전화기의 위치까지의 거리가 가까운 순서대로 호출 순서를 결정하므로, 발신원인 자는 호출 대상인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 각각의 소유자 중 해당 장치가 설치된 장소로부터 근처에 있는 자부터 순서대로 통화 상대의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신원으로부터의 신호는, 추가로, 소정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접속 장치는, 추가로, 상기 휴대 전화기의 존재 위치를 나타내는 단말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독출 수단은 상기 수신한 신호로부터 상기 기준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각 제1 정보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 각각에 대한 단말 위치 정보를 취득하도록 상기 취득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기준 위치 정보와 상기 취득 수단으로 취득한 각 단말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위치로부터 각 휴대 전화기가 존재하는 존재 위치까지의 각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 거리를 이용하여 소정의 거리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의 제1 정보를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독출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신 접속 장치는 해당 장치가 설치된 기준 위치 정보로 나타내지는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를 호출의 대상으로 하므로, 발신원인 자는 호출 대상인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 각각의 소유자 중 상기 통신 범위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에 있는 자를 순차적으로 통화 상대의 대상으로 할 수 있다.
3. 정리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을 특정하지 않는 예를 들어 가족이면 누구라도 된다고 하는 경우에, 발신원의 전화기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매우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3.1 변형예
본 발명을 상기의 제1 및 제2 실시 형태, 각각의 변형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제1 및 제2 실시 형태, 각각의 변형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이하의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1) 휴대 전화기(20, 21, 22, 23, 24)의 각각은 공중 기지국 장치와 CDMA에 의한 통신을 행한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20, 21, 22, 23, 24)의 각각과 공중 기지국 장치와의 통신 방법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에 의한 통신이어도 되고, PDC(Personal Digital Cellular)에 의한 통신이어도 된다.
(2)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신 접속 장치에 할당되는 대표 전화 번호는 1개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 접속 장치에 할당되는 대표 전화 번호는 복수개이어도 된다.
이하에, 이 경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여기서,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만 설명한다. 다른 점은 대표 번호 기억 영역과 개별 번호 기억 영역의 구성이다.
대표 번호 기억 영역은 복수개의 대표 전화 번호를 미리 기억하고 있다. 기억되어 있는 각 대표 전화 번호는 통신 접속 장치에 할당된 전화 번호이고, 다른 통신 접속 장치에 할당된 것과는 다른 전화 번호이다.
개별 번호 기억 영역은 대표 번호와 개별 전화 번호와 존재 플래그와 대표 전화 번호를 복수 기억하기 위한 영역을 구비하는 번호 관리 테이블을 갖고 있다. 대표 번호는 대표 번호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대표 전화 번호 중 하나의 대표 전화 번호이고, 개별 전화 번호는 대표 번호로 나타내지는 그룹에 속하는 개별의 전화 번호를 나타낸다. 존재 플래그는 개별 전화 번호에 나타나는 휴대 전화기가 해당 통신 접속 장치의 에어리어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또한, 하나의 개별 전화 번호가 2 이상의 대표 전화 번호로 나타나는 각 그룹에 속하는 경우에는 번호 관리 테이블에는 각 대표 전화 번호(즉, 각 대표 번호)에 대해, 하나의 개별 전화 번호와 존재 플래그가 대응지어져서 격납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개별 전화 번호(이하, 「전화 번호 A」)가 2개의 대표 전화 번호(이하, 「전화 번호 B」, 「전화 번호 C」)로 나타내지는 그룹에 속하는 경우에 번호 관리 테이블에는 대표 전화 번호 「전화 번호 B」와 개별 전화 번호 「전화 번호 A」와 존재 플래그 등으로 이루어진 쌍과, 대표 전화 번호 「전화 번호 C」와 개별 전화 번호 「전화 번호 A」와 존재 플래그로 이루어진 쌍을 격납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은 일례이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표 전화 번호와, 그 대표 전화 번호로 나타내지는 그룹에 속하는 개별의 전화 번호가 대응지어져 격납되어 있으면 된다.
또,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통신 접속 장치에 할당되는 대표 전화 번호는 복수개이어도 된다. 이 경우의 구성도, 상기에서 나타내는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3)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휴대 전화기(30)는 휴대 전화기(20, 21, 22, 23, 24)로 구성되는 그룹에는 속하지 않는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휴대 전화기(30)는 휴대 전화기(20, 21, 22, 23, 24)로 구성되는 그룹에 속해도 된다. 이 때, 통신 접속 장치는 휴대 전화기(30)로부터 상대방의 전화 번호로서 대표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착신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 전화기(30)를 호출 대상으로부터 제외하고, 나머지의 휴대 전화기 각각에 할당된 전화 번호로부터 호출 대상이 되는 전화 번호를 취득한다.
(4) 본 발명은 상기에 나타내는 방법이라고 해도 된다. 또, 이들 방법을 컴퓨터에 의해 실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라고 해도 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신호라고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컴퓨터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 예를 들어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CD-ROM, MO, DVD, DVD-ROM, DVD-RAM, BD(Blu-ray Disc), 반도체 메모리 등에 기록한 것이어도 된다. 또, 이들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상기 디지털 신호라고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상기 디지탈 신호를 전기 통신회선, 무선 또는 유선 통신 회선, 인터넷을 대표로 하는 네트워크 등을 경유하여 전송하는 것이라고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해도 된다.
또, 상기 프로그램 또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이송하는 것에 의해, 또는 상기 프로그램 또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등을 경유하여 이송하는 것에 의해, 독립된 다른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시해도 된다.
(5)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를 각각 조합해도 된다.
본 발명은 대표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대표 전화 번호로 나타내지는 그룹에 속하는 각 휴대 전화기의 전화 번호 각각에 대해 호출을 행하는 통신 접속 장치를 제조 및 판매하는 산업에 있어서 경영적, 즉 반복적 또한 계속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발신원으로부터의 신호를 자장치(自裝置)가 수신한 경우, 상기 발신원과 소정 휴대 전화기의 통신을 확립하는 통신 접속 장치로서,
    개개의 휴대 전화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제1 정보로 하고, 복수의 휴대 전화기를 대표하는 식별 정보를 제2 정보로 하고,
    상기 발신원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수신한 신호에 제2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이 수신한 신호에 제 2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제2 정보를 관련지어 미리 기억하고 있는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제2 정보에 관련지어진 제1 정보를 독출하는 독출 수단과,
    상기 독출 수단이 독출한 제1 정보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에 대해, 소정의 순서로 호출을 행하는 호출 수단과,
    상기 호출 수단에 의해 소정의 순서로 호출을 하고 있는 경우에, 현재 호출하고 있는 휴대 전화기에 관한 정보를 상기 발신원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접속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출 수단은
    호출 대상인 하나의 제1 정보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에 대한 호출을 행하고, 상기 휴대 전화기의 응답을 감시하고, 감시 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넘은 경우에는 상기 휴대 전화기에 대한 호출을 억지하고, 다음 순서에 위치하는 다른 제1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른 제1 정보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로의 호출을 행하고, 다음 순서에 위치하는 다른 제1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한 신호에 대한 호출을 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접속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억 장치는 상기 통신 접속 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기억 장치는 상기 제2 정보를 대표로 하는 상기 복수의 휴대 전화기 각각을 특정하는 각 제1 정보와 상기 제2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접속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접속 장치는 무선 LAN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기억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제1 정보 각각에 대해, 상기 무선 LAN의 통신 범위내에, 상기 제1 정보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존재 플래그를 부가하여 기억하고 있고,
    상기 독출 수단은
    상기 복수의 제1 정보 각각에 대한 존재 플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정보 각각으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 중 상기 통신 범위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의 제1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호출 수단은 상기 무선 LAN를 이용하여 호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접속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접속 장치는, 추가로, 전화 회선망과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정보 각각에 대한 존재 플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범위밖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의 제1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한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의 제1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범위밖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에 대한 호출 순서를 결정하는 범위외 정보 독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호출 수단은 상기 통신 범위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의 모두가 호출에 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범위외 정보 독출 수단으로 독출된 하나 이상의 제1 정보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에 대해, 상기 전화 회선망을 통하여 소정의 순서로 호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접속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억 장치는, 추가로, 각 제1 정보에 대해 호출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순위 정보를 대응지어 기억하고 있고,
    상기 독출 수단은 상기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독출한 하나 이상의 제1 정보에 대해 우선 순위가 높은 순서로 호출을 행하도록 호출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호출 수단은 상기 독출 수단으로 결정된 호출 순서로 호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접속 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발신원으로부터의 신호는, 추가로, 소정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접속 장치는, 추가로,
    상기 휴대 전화기의 존재 위치를 나타내는 단말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독출 수단은
    상기 수신한 신호로부터 상기 기준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호출의 대상인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정보 각각으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의 단말 위치 정보를 취득하도록 상기 취득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기준 위치 정보와 상기 취득 수단으로 취득한 각 단말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위치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정보 각각으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가 존재하는 존재 위치까지의 각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 거리가 짧은 순서로 호출을 행하도록 호출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접속 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접속 장치는, 추가로,
    상기 휴대 전화기의 존재 위치를 나타내는 단말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독출 수단은
    독출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정보 각각으로 특정되는 각 휴대 전화기에 대한 단말 위치 정보를 취득하도록 상기 취득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취득 수단으로 취득한 각 단말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접속 장치가 설치된 장소로부터, 독출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휴대 전화기가 존재하는 존재 위치까지의 각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 거리가 짧은 순서로 호출을 행하도록 호출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접속 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발신원으로부터의 신호는, 추가로, 소정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접속 장치는, 추가로,
    상기 휴대 전화기의 존재 위치를 나타내는 단말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독출 수단은
    상기 수신한 신호로부터 상기 기준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각 제1 정보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 각각에 대한 단말 위치 정보를 취득하도록 상기 취득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기준 위치 정보와 상기 취득 수단으로 취득한 각 단말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위치로부터, 각 휴대 전화기가 존재하는 존재 위치까지의 각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 거리를 이용하여, 소정의 거리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의 제1 정보를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접속 장치.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접속 장치는 무선 LAN 및 전화 회선망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기억 장치는, 추가로,
    상기 복수의 제1 정보 각각에 대해, 상기 무선 LAN에 의한 통신 범위내에, 상기 제1 정보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존재 플래그를 부가하여 기억하고 있고,
    상기 독출 수단은
    상기 복수의 제1 정보에 대한 존재 플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정보 각각으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 중 상기 통신 범위밖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의 제1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호출 수단은 상기 전화 회선망을 통하여 소정의 순서로 호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접속 장치.
  11. 발신원으로부터의 신호를 자장치가 수신한 경우, 상기 발신원과 소정 휴대 전화기의 통신을 확립하는 통신 접속 장치에 이용되는 호출 방법으로서,
    개개의 휴대 전화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제1 정보로 하고, 복수의 휴대 전화기를 대표하는 식별 정보를 제2 정보로 하고,
    상기 발신원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수신한 신호에 제 2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상기 검출 단계에서 수신한 신호에 제 2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정보와 제2 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된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제2 정보에 관련지어진 제1 정보를 독출하는 독출 단계와,
    상기 독출 단계에서 독출한 제1 정보로 특정되는 휴대 전화기에 대해, 소정의 순서로 호출을 행하는 호출 단계와,
    상기 호출 단계에서 소정의 순서로 호출을 하고 있는 경우에, 현재 호출하고 있는 휴대 전화기에 관한 정보를 상기 발신원에 송신하는 송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수신한 신호에 제2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추가로 제2 정보에 관련지어진 제1 정보를 호출하는 순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호출 수단은, 제2 정보에 관련지어진 제1 정보를 호출하는 순서에 관한 정보가,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검출된 정보가 나타내는 순서로 호출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접속 장치.
KR1020087006368A 2005-10-17 2008-03-14 통신 접속 장치 KR1012184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02018 2005-10-17
JP2005302018A JP4861674B2 (ja) 2005-10-17 2005-10-17 通信接続装置
PCT/JP2006/320060 WO2007046253A1 (ja) 2005-10-17 2006-10-06 通信接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237A KR20080057237A (ko) 2008-06-24
KR101218423B1 true KR101218423B1 (ko) 2013-01-03

Family

ID=37962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6368A KR101218423B1 (ko) 2005-10-17 2008-03-14 통신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38890B2 (ko)
JP (1) JP4861674B2 (ko)
KR (1) KR101218423B1 (ko)
CN (1) CN101292507B (ko)
TW (1) TW200723844A (ko)
WO (1) WO20070462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9793B1 (fr) * 2008-04-04 2010-08-13 Alcatel Lucent Serveur d'applications permettant a un appel destine a un terminal connecte a une passerelle residentielle, d'etre etendu vers tous les terminaux connectes a cette passerelle redisentielle
JP5270266B2 (ja) * 2008-09-04 2013-08-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
JP5212071B2 (ja) * 2008-12-15 2013-06-19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移動端末
JP5702158B2 (ja) * 2011-01-12 2015-04-15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フェムトセル用基地局及び制御方法
JP2013121158A (ja) * 2011-12-09 2013-06-17 Nakayo Telecommun Inc 着信先電話番号変換アダプタ
JP2013207331A (ja) * 2012-03-27 2013-10-07 Oki Electric Ind Co Ltd ビデオ会議対応ip電話装置及びその呼接続方法
JP5454708B2 (ja) * 2013-01-07 2014-03-26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
EP2887701A1 (en) * 2013-12-20 2015-06-24 GN Store Nord A/S A Communications system for anonymous calls
US20150201025A1 (en) * 2014-01-10 2015-07-16 Brentwood Equities Ltd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JP6023744B2 (ja) * 2014-04-21 2016-11-0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論理番号サービス制御システムおよび論理番号サービス制御システムの動作方法
JP6442797B2 (ja) * 2014-06-11 2018-12-26 富士通コネクテッド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呼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呼制御方法
JP6615682B2 (ja) 2016-04-12 2019-12-04 デノラ・ペルメレック株式会社 アルカリ水電解用陽極及びアルカリ水電解用陽極の製造方法
US11825024B1 (en) * 2022-07-18 2023-11-21 Capital One Services, Llc Managing outbound calli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3092A (ja) 1991-10-07 1993-04-23 Toshiba Corp 構内交換機
JPH07307979A (ja) * 1994-05-10 1995-11-21 Canon Inc 構内交換システム
JPH08237356A (ja) * 1995-02-28 1996-09-13 Hitachi Ltd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3502227B2 (ja) * 1996-09-04 2004-03-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移動体通信システム、管理装置およびグループ呼び出し方法
US7194080B2 (en) * 2001-06-29 2007-03-20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Automatically sequentially ringing alternative telephone numbers
JP2003143303A (ja) 2001-11-06 2003-05-16 Oki Electric Ind Co Ltd 公衆緊急連絡会議通話システム
US7603108B2 (en) * 2004-03-03 2009-10-13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Automatic connection and access controls for communications devices
JP4053028B2 (ja) * 2004-06-30 2008-02-27 三洋電機株式会社 Pttシステム、携帯電話機、サーバ
US7801294B2 (en) * 2005-09-15 2010-09-21 Siemens Enterprise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suming automatic advance calling to conta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92507B (zh) 2011-12-07
TW200723844A (en) 2007-06-16
KR20080057237A (ko) 2008-06-24
US8238890B2 (en) 2012-08-07
WO2007046253A1 (ja) 2007-04-26
CN101292507A (zh) 2008-10-22
JP2007110637A (ja) 2007-04-26
US20090270087A1 (en) 2009-10-29
JP4861674B2 (ja) 201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423B1 (ko) 통신 접속 장치
US8032126B2 (en) Mobile communications matching system
US6928279B2 (en) Peer-to-peer discovery for location-based forwarding
US20050153681A1 (en) Mobile data device and method of locating mobile data service
JP4963416B2 (ja) 通信端末装置、通信制御装置、通信処理システム、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201202072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a callee and a caller in establishing telephonic communications
EP2352319A1 (en) Mobile unit communication system, area management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06345580A (ja) 位置情報管理装置
JP2013541871A (ja) 緊急呼管理システム
JP5687600B2 (ja) 情報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情報通信方法
JP2008227810A (ja) 通信装置選択装置、通信装置選択システム、交換装置及び通信装置選択プログラム
KR102220493B1 (ko)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19970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자동 응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05229406A (ja) グループ内呼接続制御システム、呼接続サービス制御装置、位置情報管理装置、及び、グループ内呼接続制御方法
US20190335040A1 (en) Prioritized routing during a regional event
WO200508899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voice ring back tone
KR100706910B1 (ko) 목적지 자동 통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22175316A (ja) 特定システム
JP2014082558A (ja) 無線通信端末へ地理的識別性を担保した電話番号を付与する電話番号制御装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3223019A (ja) 交換機、交換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通話システム
KR20040010003A (ko) 휴대전화 서비스 자동연결 방법
JP2005072827A (ja) 情報通知システム、情報通知方法
JPH08125740A (ja) 電話装置
JP2010212790A (ja) プレゼンス管理システム、プレゼンス管理方法、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