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419B1 - 밀봉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밀봉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419B1
KR101216419B1 KR1020100098033A KR20100098033A KR101216419B1 KR 101216419 B1 KR101216419 B1 KR 101216419B1 KR 1020100098033 A KR1020100098033 A KR 1020100098033A KR 20100098033 A KR20100098033 A KR 20100098033A KR 101216419 B1 KR101216419 B1 KR 101216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secondary battery
injection hole
electrolyte injection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6389A (ko
Inventor
김홍규
이승태
이은정
김학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00098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419B1/ko
Priority to CN201180047711.9A priority patent/CN103140955B/zh
Priority to JP2013532734A priority patent/JP5598942B2/ja
Priority to EP11830941.8A priority patent/EP2626927B1/en
Priority to PCT/KR2011/007434 priority patent/WO2012047056A2/ko
Publication of KR20120036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419B1/ko
Priority to US13/845,870 priority patent/US896889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68Means for preventing spilling of liquid or electrolyte, e.g. when the battery is tilted or turned o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4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1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H01M50/636Closing or sealing filling ports, e.g. using l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sealing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가 각형 캔에 내장되어 있는 이차전지로서, 상기 각형 캔의 개방 상단에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해액 주입구의 내면은 상부가 하부 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챔퍼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가 비챔퍼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챔퍼 구조는 이차전지 내부에서 외부로의 전해액 누액 경로를 증가시키기 위해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전해액 주입구에 밀봉부재를 압입할 때 상기 전해액 주입구의 내면 구조에 대응하여 밀봉부재가 변형되면서 밀봉이 이루어지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밀봉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Secondary Battery of Improved Sealability}
본 발명은 밀봉성이 향상된 이차전지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극조립체가 각형 캔에 내장되어 있는 이차전지로서, 상기 각형 캔의 개방 상단에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해액 주입구의 내면은 상부가 하부 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챔퍼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가 비챔퍼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챔퍼 구조는 이차전지 내부에서 외부로의 전해액 누액 경로를 증가시키기 위해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전해액 주입구에 밀봉부재를 압입할 때 상기 전해액 주입구의 내면 구조에 대응하여 밀봉부재가 변형되면서 밀봉이 이루어지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차전지는 외부 및 내부의 구조적 특징에 따라 대략 원통형 전지, 각형 전지 및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모바일 기기의 소형화에 따라 길이 대비 작은 폭을 가진 각형 전지와 파우치형 전지가 특히 주목받고 있다.
각형 이차전지는 각형의 전지케이스 내부에 양극, 음극 및 분리막으로 구성된 전극조립체를 내장하고 상단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장착한 뒤,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전해액 주입구를 통해 전지케이스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고 밀봉부재를 이용하여 밀봉하며, 그 위에 안전소자와 보호회로 등을 실장한 뒤, 하우징(외부 케이스)으로 밀봉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각형 이차전지에서 전지케이스의 상단에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평면도와 직선 A-A에 따른 수직 단면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그것의 중앙에 전극조립체의 전극(예를 들어 음극) 탭에 연결되어 있는 전극단자(101)가 돌출되어 있고, 측면에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전해액 주입구(10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된 전극단자(101)와 베이스 플레이트(100) 사이에는, 전극조립체의 다른 전극(예를 들어 양극)과 연결되어 그 자체로서 전극단자의 역할을 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와의 전기적 절연을 위한 절연부재(103)가 개재되어 있다.
여기서, 전해액의 주입이 이루어진 전해액 주입구(102)는 일반적으로 도 2에서와 같이, 수직 단면상으로 사각형의 형태이며, 그것보다 다소 큰 구경을 가진 알루미늄 등의 밀봉부재(104)에 의하여 밀봉된다. 구체적으로, 밀봉부재(104)를 전해액 주입구(102)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그것의 상단으로부터 가압하여 소성 변형시켜 주입구(102)를 밀봉한 뒤, 소성 변형된 밀봉부재(104)의 주변을 레이저 용접하거나 또는 그 위에 금속 박판을 덧댄 상태에서 레이저 용접함으로써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밀봉부재를 이용하여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는 경우, 수직 단면상으로 사각형의 형태인 전해액 주입구에 밀봉부재가 소성 변형되어 삽입될 때, 볼의 양측이 전해액의 주입구의 내측 상단부에 밀리면서 그루브가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그루브는 레이저 용접에 의한 밀봉에 악영향을 미친다. 또한, 그로 인해 생성된 내부 크랙이 볼과 주입구 내측면의 계면에 연속되어 밀봉성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밀봉부재인 금속 볼을 이용하여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할 경우, 전지셀 내부에서 외부로 전해액 누액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높은 밀봉력을 제공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용접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전지의 불량률 및 전지의 제조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구조의 전해액 주입구를 포함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해 전지의 제조공정을 단축하고 불량률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가 각형 캔에 내장되어 있는 이차전지로서,
상기 각형 캔의 개방 상단에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해액 주입구의 내면은 상부가 하부 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챔퍼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가 비챔퍼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챔퍼 구조는 이차전지 내부에서 외부로의 전해액 누액 경로를 증가시키기 위해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전해액 주입구에 밀봉부재를 압입할 때 상기 전해액 주입구의 내면 구조에 대응하여 밀봉부재가 변형되면서 밀봉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전해액 주입구의 내면은 상부가 하부 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챔퍼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밀봉부재를 압입할 때, 밀봉부재의 원활한 소성 변형을 유도함으로써, 압입된 밀봉부재 상단에서의 그루브 발생 및 밀봉부재와 주입구 내측면 계면에서의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챔퍼 구조가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이차전지 내부에서 외부로의 전해액 누액 경로가 증가하므로, 전해액이 이차전지 외부로 누액되는 것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전해액 주입구에 밀봉부재를 압입할 때, 전해액 주입구 형상으로 변형된 밀봉부재는 챔퍼 구조와 밀봉부재 상호간의 전단 응력에 의해 상호 밀착되고 비챔퍼 구조와의 마찰력에 의해 밀봉 상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요철은 챔퍼 구조의 면 전체에 형성되거나, 면의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평면상으로 연속적인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비연속적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해액 주입구의 내면 중 상부가 챔퍼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가 비챔퍼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소성 변형된 밀봉부재가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높은 밀봉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매우 바람직하다.
상기 챔퍼 구조의 깊이가 너무 얕은 경우에는 챔퍼 구조의 공간 대비 소성 변형된 밀봉부재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커서 밀봉부재의 상당 부분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반대로 너무 깊은 경우에는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챔퍼 구조는 전해액 주입구의 깊이(D)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전해액 주입구의 상단으로부터 0.3×D 내지 0.7×D의 범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접공정 없이 밀봉부재를 전해액 주입구에 용이하게 압입하고 효과적으로 밀봉할 수 있도록, 챔퍼 구조의 상단 폭은 밀봉부재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챔퍼 구조의 상단 폭(Wtop)은 밀봉부재의 직경(R)을 기준으로 1.0×R < Wtop < 1.7×R의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챔퍼 구조의 하단 폭(Wbottom)은 밀봉부재의 직경(R)을 기준으로 0.5×R < Wbottom < 0.9×R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비챔퍼 구조의 폭(W)은 소성 변형된 밀봉부재가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챔퍼 구조의 하단 폭(Wbottom)과 일치하는 구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챔퍼 구조의 상단 폭(Wtop)과 하단 폭(Wbottom)의 차이는 상단 폭(Wtop)을 기준으로 8% 내지 42%의 조건을 만족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챔퍼 구조의 상단 폭(Wtop)과 하단 폭(Wbottom)의 차이가 0.5 mm를 초과하는 경우, 전해액 주입구의 변형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전해액 주입구의 하부에 대한 기밀성이 저하되므로, 챔퍼 구조의 상단 폭(Wtop)과 하단 폭(Wbottom)의 차이는 0.1 내지 0.5 mm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밀봉부재의 직경(R)과 챔퍼 구조의 하단 폭(Wbottom)의 차이는 밀봉부재의 직경(R)을 기준으로 8% 내지 25%의 조건을 만족하는 구조가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부재의 직경(R)과 챔퍼 구조의 하단 폭(Wbottom)의 차이가 0.3 mm를 초과하는 경우, 전해액 주입구의 변형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전해액 주입구의 하부에 대한 기밀성이 저하되므로, 밀봉부재의 직경(R)과 챔퍼 구조의 하단 폭(Wbottom)의 차이는 0.1 내지 0.3 mm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챔퍼 구조의 경사각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면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도의 범위 내에 있는 구조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4도의 범위 내에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앞서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상기 챔퍼 구조의 경사각이 너무 가파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큰 밀봉부재로 인해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면 및 하단면으로 돌출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너무 완만한 경우에는 전해액 주입구에 대해 밀봉성이 떨어지거나 크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챔퍼 구조의 깊이와 폭 및 경사각은 전해액 주입구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크기 등에 의해 적절히 결정될 수 있으며, 밀봉부재가 소성 변형되어 전해액 주입구를 용이하게 밀봉할 수 있는 구조라면, 필요에 따라 일부 변형된 구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요철 사이의 간격은 1 내지 50 ㎛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밀봉부재는 구의 형상이고 상기 전해액 주입구는 수평 단면상으로 원의 형상일 수 있다.
즉, 상기 밀봉부재는 압입시 소성 변형되어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금속 볼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밀봉부재는 전해액 주입구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압입되고, 상기 전해액 주입구 내면과의 접촉 계면적을 높이기 위한 챔퍼 구조에 의해 밀봉부재 빠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압입 후 전해액 주입구가 밀봉된 상태에서 전해액 주입구 주변부를 밀폐하기 위하여, 상기 부위를 에폭시 수지 등의 고분자 수지로 도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차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차전지 제조방법은, 구체적으로,
(a) 각형 캔의 내부에 전극조립체를 장착하는 과정;
(b) 내면의 상부는 하부 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챔퍼 구조로서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내면의 하부는 비챔퍼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전해액 주입구가 천공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기 각형 캔의 개방 상단에 장착하여 결합하는 과정;
(c) 상기 전해액 주입구를 통해 각형 캔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는 과정; 및
(d) 밀봉부재를 상기 전해액 주입구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압입하여, 상기 밀봉부재가 전해액 주입구의 내면 구조에 대응하여 변형됨으로써 밀봉되는 과정;
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방법은, 전해액 주입구 중 내면 상부가 하부 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챔퍼 구조로 되어 있어서, 밀봉부재를 압입할 때, 밀봉부재의 원활한 소성 변형을 유도함으로써, 압입된 밀봉부재 상단에서의 그루브 발생 및 금속 볼과 주입구 내측면 계면에서의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챔퍼 구조가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이차전지 내부에서 외부로의 전해액 누액 경로가 증가하므로, 전해액이 이차전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과정(d)는, 바람직하게는,
(d1) 각형 캔을 다이에 고정한 상태에서 밀봉부재를 전해액 주입구 상에 위치시키는 과정;
(d2) 프레스가 회전하면서 하향 이동하여 전해액 주입구에 밀봉부재를 압입하는 과정; 및
(d3) 밀봉부재가 소성 변형되면서 밀봉이 이루어지는 과정;
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차전지 제조방법에 따르면, 프레스가 회전하면서 밀봉부재를 압입함으로써, 전해액 주입구의 무너짐 또는 변형에 대한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압입 과정만으로도 전해액 주입구가 효과적으로 밀봉되므로, 제조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등의 잇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과정(d2)와 과정(d3) 사이에, 프레스가 소정 폭으로 상향 이동한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상하 왕복 운동에 의해 밀봉부재를 가압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레스가 소정 폭으로 상향 이동한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상하 왕복 운동에 의해 밀봉부재를 회전하면서 압입하여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의 1회 직하강 압입 작업과 비교하여 전해액 주입구의 무너짐과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별도의 용접 공정을 생략하고도 전해액 주입구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특정 구조의 전해액 주입구를 포함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해 전지의 제조공정을 단축하고 불량률의 발생을 감소시키며, 전해액이 외부로 누액되는 것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각형 이차전지에서 전해액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평면도 및 직선 A-A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점선 원 a 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각형 이차전지에서 전해액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평면도 및 직선 B-B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점선 원 b 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밀봉부재가 압입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밀봉부재 상부에 에폭시 수지가 도포된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수직 단면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장치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해액 주입구 및 밀봉부재를 가압하는 과정에 대한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각형 이차전지에서 전해액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평면도 및 직선 B-B에 따른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점선원 b 부위의 확대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200)는 그것의 중앙에 전극조립체(도시하지 않음)의 음극 탭에 연결되어 있는 전극단자(201)가 돌출되어 있고, 일측에 전해액 주입구(202)가 형성되어 있다. 전해액 주입구(202) 인근의 상단 만입홈은 보호회로모듈 등을 베이스 플레이트(200) 상에 안정적으로 탑재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전극단자(201)와 베이스 플레이트(200) 사이에는 절연부재(203)가 개재되어 있어서, 전극조립체의 양극 탭에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00)를 전극단자(201)로부터 절연시킨다.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전해액 주입구(202)의 내면은 상부가 하부 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챔퍼 구조(220)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가 비챔퍼 구조(230)로 형성되어 있다.
챔퍼 구조(220)의 깊이(d)는 전해액 주입구의 깊이(D)를 기준으로 전해액 주입구의 상단으로부터 대략 0.4×D 내지 0.6×D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고, 챔퍼 구조(220)의 경사각(r)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면을 기준으로 약 45도의 각도를 이룬다.
또한, 챔퍼 구조(220)의 상단 폭(Wtop)은 밀봉부재(204)의 직경(R)을 기준으로 대략 1.2×R의 크기를 이루고, 챔퍼 구조(220)의 하단 폭(Wbottom)은 밀봉부재(204)의 직경(R)을 기준으로 대략 0.7×R의 크기를 이루며, 비챔퍼 구조(230)의 폭(W)은 챔퍼 구조(220)의 하단 폭(Wbottom)과 일치한다.
이러한 전해액 주입구(202)는 상단 폭(Wtop)보다 큰 구형의 밀봉부재(204)가 회전하는 프레스에 의해 압입되어 밀봉되며, 밀봉부재(204)는 금속 볼로 이루어져 있다.
도 5에는 도 4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밀봉부재가 압입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의 밀봉부재 상부에 에폭시 수지가 도포된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요철(250)은 챔퍼 구조(220)의 면 전체에 평면상으로 연속적인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차전지 내부에서 외부로의 전해액 누액 경로(c)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전해액 주입구(202)는 밀봉부재에 대한 밀봉성과 크랙 문제를 전반적으로 해결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압입 후 전해액 주입구의 주변부는 에폭시 수지(240)가 도포되어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수직 단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요철(250a)이 챔퍼 구조(220a)의 면 전체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평면 상으로 비연속적인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도 5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장치에 대한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해액 주입구 및 밀봉부재를 가압하는 프레스의 작동 과정에 대한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이차전지 제조장치(400)는 전극조립체(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고 개방 상단에 베이스 플레이트(200)가 장착되어 있는 각형 캔(도시하지 않음)을 고정하기 위한 다이(420), 다이(420)의 상부에서 상하 왕복 운동(iii)을 하며, 하향 이동(i)시 밀봉부재(204)를 가압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전해액 주입구(202)에 밀봉부재(204)를 압입하는 프레스(430) 및 프레스(4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40)로 이루어져 있다.
프레스(430)는 상하 왕복 운동(iii)을 위한 실린더(435)와, 프레스(430)의 회전을 위한 회전모터(437)를 포함하고 있어서, 프레스(430)가 하향 이동(i)시 밀봉부재(204)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ii)하면서 밀봉부재(204)를 가압한다.
또한, 제어부(440)는 프레스(430)가 1회 하향 운동(i)에 의해 밀봉부재(204)를 가압한 후, 약 3 cm의 폭(L)으로 상향 이동한 상태에서 약 10회의 상하 왕복 운동(iii)에 의해 밀봉부재(204)를 가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밀봉부재(204)에 대한 프레스(430)의 압력(G)은 약 3kgh 로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으로 가압함으로써, 소성 변형된 밀봉부재와 전해액 주입구간의 기밀성 및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회전모터(437)에 의해 프레스(4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ii)시키면서 밀봉부재(204)에 대해 상하 왕복 운동(iii)을 시킴으로써, 전해액 주입구의 무너짐과 변형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전해액 주입구의 밀봉성의 향상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전지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6)

  1. 전극조립체가 각형 캔에 내장되어 있는 이차전지로서,
    상기 각형 캔의 개방 상단에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해액 주입구의 내면은 상부가 하부 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챔퍼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가 비챔퍼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챔퍼 구조는 이차전지 내부에서 외부로의 전해액 누액 경로를 증가시키기 위해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전해액 주입구에 밀봉부재를 압입할 때 상기 전해액 주입구의 내면 구조에 대응하여 밀봉부재가 변형되면서 밀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퍼 구조는 전해액 주입구의 깊이(D)를 기준으로 전해액 주입구의 상단으로부터 0.3×D 내지 0.7×D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퍼 구조의 상단 폭(Wtop)은 밀봉부재의 직경(R)을 기준으로 1.0×R < Wtop < 1.7×R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퍼 구조의 하단 폭(Wbottom)은 밀봉부재의 직경(R)을 기준으로 0.5×R < Wbottom < 0.9×R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챔퍼 구조의 폭(W)은 챔퍼 구조의 하단 폭(Wbottom)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퍼 구조의 상단 폭(Wtop)과 하단 폭(Wbottom)의 차이는 상단 폭(Wtop)을 기준으로 8% 내지 42%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의 직경(R)과 챔퍼 구조의 하단 폭(Wbottom)의 차이는 밀봉부재의 직경(R)을 기준으로 8% 내지 25%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퍼 구조의 경사각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면을 기준으로 30 내지 7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사이의 간격은 1 내지 5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구의 형상이고 상기 전해액 주입구는 수평 단면상으로 원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금속 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전해액 주입구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압입되고, 상기 전해액 주입구 내면과의 접촉 계면적을 높이기 위한 챔퍼 구조에 의해 밀봉부재 빠짐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 후 전해액 주입구의 주변부는 에폭시 수지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4. 제 1 항에 따른 이차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각형 캔의 내부에 전극조립체를 장착하는 과정;
    (b) 내면의 상부는 하부 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챔퍼 구조로서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내면의 하부는 비챔퍼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전해액 주입구가 천공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기 각형 캔의 개방 상단에 장착하여 결합하는 과정;
    (c) 상기 전해액 주입구를 통해 각형 캔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는 과정; 및
    (d) 밀봉부재를 상기 전해액 주입구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압입하여, 상기 밀봉부재가 전해액 주입구의 내면 구조에 대응하여 변형됨으로써 밀봉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 (d)는
    (d1) 각형 캔을 다이에 고정한 상태에서 밀봉부재를 전해액 주입구 상에 위치시키는 과정;
    (d2) 프레스가 회전하면서 하향 이동하여 전해액 주입구에 밀봉부재를 압입하는 과정; 및
    (d3) 밀봉부재가 소성 변형되면서 밀봉이 이루어지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d2)와 과정(d3) 사이에, 프레스가 소정 폭으로 상향 이동한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상하 왕복 운동에 의해 밀봉부재를 가압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KR1020100098033A 2010-10-08 2010-10-08 밀봉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KR101216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033A KR101216419B1 (ko) 2010-10-08 2010-10-08 밀봉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CN201180047711.9A CN103140955B (zh) 2010-10-08 2011-10-07 改进密封性能的二次电池
JP2013532734A JP5598942B2 (ja) 2010-10-08 2011-10-07 密封性が向上した二次バッテリ
EP11830941.8A EP2626927B1 (en) 2010-10-08 2011-10-07 Secondary battery with enhanced sealing performance
PCT/KR2011/007434 WO2012047056A2 (ko) 2010-10-08 2011-10-07 밀봉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US13/845,870 US8968899B2 (en) 2010-10-08 2013-03-18 Secondary battery of improved seal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033A KR101216419B1 (ko) 2010-10-08 2010-10-08 밀봉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389A KR20120036389A (ko) 2012-04-18
KR101216419B1 true KR101216419B1 (ko) 2012-12-28

Family

ID=45928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033A KR101216419B1 (ko) 2010-10-08 2010-10-08 밀봉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68899B2 (ko)
EP (1) EP2626927B1 (ko)
JP (1) JP5598942B2 (ko)
KR (1) KR101216419B1 (ko)
CN (1) CN103140955B (ko)
WO (1) WO201204705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05986B2 (ja) * 2013-03-15 2017-03-2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蓄電素子および蓄電素子の製造方法
US9263725B2 (en) 2013-09-30 2016-02-16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cas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KR101643035B1 (ko) * 2013-09-30 2016-07-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케이스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
JP6094460B2 (ja) * 2013-11-19 2017-03-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の製造方法
KR101663988B1 (ko) * 2015-02-06 2016-10-11 주식회사 비츠로셀 전해액 주입효율을 높인 전지
KR101864923B1 (ko) * 2015-03-30 2018-06-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밀봉장치 및 밀봉방법
KR102091583B1 (ko) * 2016-04-19 2020-03-20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열 밀봉에 기반한 전지셀 제조 방법
CN109075395B (zh) * 2016-05-31 2021-08-03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池及其制造方法
KR102234989B1 (ko) * 2016-07-21 2021-04-01 주식회사 엘지화학 각형 전지의 전해액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 주입 방법
US10446825B2 (en) 2016-12-07 2019-10-15 Greatbatch Ltd. Closure system for the electrolyte fill port of an electrochemical cell
WO2019013326A1 (ja) * 2017-07-14 2019-01-17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JP2023058865A (ja) * 2021-10-14 2023-04-26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二次電池
CN115084802B (zh) * 2022-08-18 2022-11-04 深圳市铂纳特斯自动化科技有限公司 用于电池注液的打液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5082A (ja) 1997-10-31 1999-05-21 Sony Corp 角形密閉式電池
JPH11154506A (ja) 1997-11-21 1999-06-08 Mitsubishi Cable Ind Ltd 密閉型電池
JP2000090891A (ja) 1998-09-14 2000-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電池の製造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5356A (en) * 1983-04-04 1984-06-19 Barrett Jr James H Bellows boot for secondary battery terminals
KR100404887B1 (ko) * 1999-01-20 2003-1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 전지
JP2003197179A (ja) * 2001-12-26 2003-07-11 Mitsubishi Heavy Ind Ltd 二次電池の密閉方法、製造方法、及び電解液注入口
US7429432B2 (en) * 2002-02-13 2008-09-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attery pack having circuit substrate resin molded to battery
JP2004327214A (ja) * 2003-04-24 2004-11-18 Nec Tokin Tochigi Ltd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JP4715114B2 (ja) * 2004-06-17 2011-07-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ケース蓋用パッキン、電池ケース蓋の製造方法、電池の製造方法
KR100922442B1 (ko) * 2005-12-14 2009-10-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해액 주입구의 밀봉성이 우수한 각형 전지
JP4131553B2 (ja) * 2006-05-27 2008-08-13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密閉型電池
JP2008117698A (ja) * 2006-11-07 2008-05-22 Electric Power Dev Co Ltd 色素増感太陽電池
KR100984367B1 (ko) * 2008-07-03 2010-09-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해액 주입구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71254B1 (ko) * 2010-10-08 2013-06-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해액 주입구의 밀봉성이 우수한 각형 전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5082A (ja) 1997-10-31 1999-05-21 Sony Corp 角形密閉式電池
JPH11154506A (ja) 1997-11-21 1999-06-08 Mitsubishi Cable Ind Ltd 密閉型電池
JP2000090891A (ja) 1998-09-14 2000-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電池の製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40955A (zh) 2013-06-05
WO2012047056A2 (ko) 2012-04-12
JP5598942B2 (ja) 2014-10-01
EP2626927A2 (en) 2013-08-14
US8968899B2 (en) 2015-03-03
US20130216876A1 (en) 2013-08-22
JP2013542566A (ja) 2013-11-21
CN103140955B (zh) 2015-05-20
WO2012047056A3 (ko) 2012-06-07
EP2626927B1 (en) 2018-12-05
KR20120036389A (ko) 2012-04-18
EP2626927A4 (en)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419B1 (ko) 밀봉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KR100922442B1 (ko) 전해액 주입구의 밀봉성이 우수한 각형 전지
CN101621117B (zh) 密封元件、盖组件、具有盖组件的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KR100458437B1 (ko) 밀폐형 전지
KR20180098264A (ko) 배터리 밀봉 디바이스
JP2004146362A (ja) キャップ組立体、これを具備した2次電池及び、キャップ組立体の製造方法
KR101271254B1 (ko) 전해액 주입구의 밀봉성이 우수한 각형 전지
EP4152490A1 (en) Button-type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KR20030040136A (ko) 밀폐형 전지
KR20140078812A (ko) 밀봉성이 향상된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280051B1 (ko) 밀봉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의 제조장치
KR101132146B1 (ko) 밀착성이 우수한 각형 전지
US20100129707A1 (en) Electrochemical cell
KR101141049B1 (ko) 각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101117993B1 (ko) 신규한 밀봉 구조의 이차전지
KR101820444B1 (ko) 전해액 주액구가 형성된 탑 캡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KR101511489B1 (ko) 생산성의 향상을 위한 전지셀 제조 장치
KR101104146B1 (ko) 전해액 주입구의 밀봉성이 우수한 이차전지
JP2012160274A (ja) 二次電池
JP2012033274A (ja) 二次電池
KR20120050348A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JP2007141539A (ja) 扁平形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75298A (ko) 내구성이 우수한 이차전지용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그 조립체
JP2015173241A (ja) 密閉型電気化学デバイス用封口体およびその封口体を用いた密閉型電気化学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