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467B1 - 모듈시스템에 기반한 가변형 커튼월 외피구조 - Google Patents

모듈시스템에 기반한 가변형 커튼월 외피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467B1
KR101215467B1 KR1020110064568A KR20110064568A KR101215467B1 KR 101215467 B1 KR101215467 B1 KR 101215467B1 KR 1020110064568 A KR1020110064568 A KR 1020110064568A KR 20110064568 A KR20110064568 A KR 20110064568A KR 101215467 B1 KR101215467 B1 KR 101215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dule
slab
extension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종욱
김세림
이풍현
최혜진
김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건창호
쌍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건창호, 쌍용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건창호
Priority to KR1020110064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4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5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wo longitudinal supporting elements, e.g. to insulate ce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2001/7679Means preventing cold bridging at the junction of an exterior wall with an interior wall or a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식 또는 라멘구조로 시공되는 다층 건물의 외피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듈프레임구조로 외피를 구성함으로써 창호모듈과 단열패널모듈의 다양한 설치 조합을 통해 재실자의 다양한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은 물로 간단하게 커튼월 외장효과를 줄 수 있는 외피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의 외피를 구성하는 기본 프레임을 다양한 가변을 수용할 수 있는 모듈 방식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건물 입면에 다양성과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건물의 외관 향상을 이끌 수 있다. 특히 벽식구조물에도 간단하게 적용하여 커튼월 외장효과를 이끌 수 있다. 또한 외피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파스너 고정방식이 아닌 인입식 고정방식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설치 작업성과 설치 안정성을 쉽게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듈시스템에 기반한 가변형 커튼월 외피구조{Curtain wall facade by Module System}
본 발명은 벽식 또는 라멘구조로 시공되는 다층 건물의 외피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듈프레임구조로 외피를 구성함으로써 창호모듈과 단열패널모듈의 다양한 설치 조합을 통해 재실자의 다양한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은 물로 간단하게 커튼월 외장효과를 줄 수 있는 외피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외피는 주로 벽이나 창으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다양한 건물 외피에 대한 개요도인데, 종래에는 벽체 개구부에 창호를 장착하거나, 커튼월로 조립 설치하거나, 이중외피로 구현하는 방식으로 건물 외피를 완성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외피구조는 일괄적인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다양한 입면 구성에 한계가 있었다. 특히 고층 건물의 경우에는 미려한 외관 확보를 위해 커튼월 방식이 주로 적용되었는데, 종래 커튼월 방식은 파스너 등의 앵커를 이용해야 하여 설치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벽식구조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건물 외피의 구성방식에 대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기술적 과제가 있다.
첫째, 건물 입면에 다양성과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고 아울러 내부 공간 재실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다양한 변환이 가능한 새로운 외피 구성방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입체적 외피구성을 통해 건물 내부 공간의 부분적 확장 및 외부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단열성능 확보에 유리한 외단열 구조의 외피 구성방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넷째, 외피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파스너 등의 앵커를 이용하지 않고 인입식으로 간편하게 설치하는 방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섯째, 벽식구조에도 적용하여 커튼월 외장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방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벽식 또는 라멘구조에 의해 층간 슬래브가 동일 평면으로 시공되는 다층 건물골조; 상기 다층 건물골조의 개구부에서 층간 슬래브에 걸쳐지면서 바깥으로 돌출되게 맞춤 설치되되, 창호모듈 내지 단열패널모듈에 부합하는 모듈프레임구조로 설치되는 내민프레임; 상기 내민프레임 각각의 모듈프레임 내주에 설치되는 창호모듈 또는 단열패널모듈; 상기 내민프레임 주위 건물골조 표면에 설치되되, 상기 내민프레임의 모듈 프레임구조가 수평 수직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연장프레임; 상기 내민프레임과 연장프레임 사이 건물골조 표면에 설치되는 단열패널모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시스템에 의한 가변형 커튼월 외피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벽식 또는 라멘구조에 의해 시공되는, 일부 층간 슬래브가 확장되게 시공됨에 따라 층간 슬래브가 확장슬래브와 비확장슬래브로 구분되도록 시공되는 다층 건물골조; 상기 다층 건물골조의 개구부에서 층간 슬래브에 걸쳐지면서 바깥으로 돌출되게 맞춤 설치되되, 창호모듈 내지 단열패널모듈에 부합하는 모듈프레임구조로 설치되는 내민프레임; 상기 내민프레임 각각의 모듈프레임 내주에 설치되는 창호모듈 또는 단열패널모듈; 상기 내민프레임 주위 건물골조 표면에 설치되되, 상기 내민프레임의 모듈 프레임구조가 수평 수직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연장프레임; 상기 내민프레임과 연장프레임 사이 건물골조 표면에 설치되는 외장 단열패널; 비확장슬래브의 시공위치에 설치된 내민프레임과 연장프레임 전면으로, 확장슬래브의 시공위치에 설치된 내민프레임와 연장프레임의 모듈 프레임구조가 수평 또는 수직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확장프레임; 비확장슬래브의 시공위치에 설치된 내민프레임 또는 연장프레임과, 상기 확장프레임을 수평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시스템에 의한 가변형 커튼월 외피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건물의 외피를 구성하는 기본 프레임을 다양한 가변을 수용할 수 있는 모듈 방식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건물 입면에 다양성과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건물의 외관 향상을 이끌 수 있다. 특히 벽식구조물에도 간단하게 적용하여 커튼월 외장효과를 이끌 수 있다.
둘째, 외피를 구성하는 기본 프레임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또 하나의 프레임 구성을 통해 입체적인 건물 외피를 구성할 수 있으며, 입체적 외피구성을 통해 건물 내부 공간의 부분적 확장 및 외부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셋째, 모듈화된 기본 프레임에 다양한 기능성 부자재(난간, 선반 등)를 용이하게 탈부착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 공간 재실자의 사용행태에 따른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다.
넷째, 마감과 단열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외장 단열패널을 이용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외단열 구조로 완성할 수 있어 건물의 단열성능 확보에 유리하다.
다섯째, 외피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파스너 고정방식이 아닌 인입식 고정방식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설치 작업성과 설치 안정성을 쉽게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다양한 건물 외피에 대한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커튼월 외피구조에 대한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커튼월 외피구조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커튼월 외피구조에 대한 단면 상세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커튼월 외피구조가 적용되어 완성된 건물에 대한 이미지 그림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커튼월 외피구조에 대한 개요도이다. 본 발명은 건물 외피에 모듈프레임구조를 도입한다는데 특징이 있다. 모듈프레임구조에 창호모듈(310)과 단열패널모듈(320)을 다양한 조합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재실자의 다양한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하면서 다양한 입면의 커튼월 외장 외피로 구축하도록 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커튼월 외피구조에 대한 구성도와 단면 상세이다. 도 3에서는 벽식 또는 라멘구조에 의해 다층 건물골조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층간 슬래브(110)가 동일 평면으로 시공되는 경우와 일부 층간 슬래브(110)가 확장되어 다른 평면으로 시공되는 경우를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어떠한 경우이든 내민프레임(210), 창호모듈(310), 단열패널모듈(320), 연장프레임(220)은 필수적으로 포함되도록 구성되며, 일부 층간 슬래브(110)가 확장되어 다른 평면으로 시공되는 경우에는 확장프레임(230)과 브라켓(240)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내민프레임(210)은 다층 건물골조의 개구부에서 층간 슬래브(110)에 걸쳐지면서 바깥으로 돌출되게 인입식으로 맞춤 설치되는데, 창호모듈(310) 내지 단열패널모듈(320)에 부합하는 모듈프레임구조로 설치된다. 도 3(b)에서는 건물골조가 벽식구조인 경우에 내민프레임(210)이 테두리프레임(211)과 중간프레임(212)으로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테두리프레임(211)은 개구부의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수평?수직프레임(211H, 211V)으로 설치되고, 중간프레임(212)은 테두리프레임(211) 중간에서 테두리프레임(211) 내부를 구획하도록 수평?수직프레임(212H, 212V)으로 설치된다. 중간프레임(212)은 도 3(b)에서와 같이 재실자의 요구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내민프레임(210)은 실내와 실외의 경계에 위치하여 창호모듈(310) 내지 단열패널모듈(320)이 설치되는 바탕프레임이 되므로, 건물의 단열성능 확보를 위해 단열프레임으로 준비한다.
연장프레임(220)은 내민프레임(210) 주위 건물골조 표면에 설치되는데, 상기 내민프레임(210)의 모듈프레임구조가 수평 수직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연장프레임(220)과 내민프레임(210)에 의해 건물 외피에 전체적으로 모듈프레임구조가 완성된다. 연장프레임(220)은 내민프레임(210)에 접속하는 형태로 설치되거나 내민프레임(210)과 일체로 마련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연장프레임(220)도 내민프레임(210)과 마찬가지로 수평?수직프레임(220H, 220V)으로 설치될 수 있다.
창호모듈(310)은 내민프레임(210)의 모듈프레임 내주에 설치되며, 내민프레임(210)의 모듈프레임 전체에 설치되는 것은 물론 재실자의 요구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만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창호모듈(310)은 통상의 시스템창호를 선택하면 되며, 다만 건물의 단열성능 확보를 위해 단열창호를 선택하도록 한다. 도 3(a)에서와 같이 창호모듈(310)은 내민프레임(210)의 모듈프레임 내주 중간이나 외측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내민프레임(210)의 내측 부분을 실내에서 선반이나 거치대 등으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창호모듈(310)이 설치되는 부분에는 창호모듈(310) 외측으로 내민프레임(210)의 모듈프레임에 난간(D1) 등을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단열패널모듈(320)은 창호모듈(310)이 설치되지 아니한 내민프레임(210)의 모듈프레임 내주에 설치되고, 아울러 내민프레임(210)과 연장프레임(220) 사이 건물골조 표면에 설치된다. 다만 단열패널모듈(320)을 내민프레임(210)의 모듈프레임 내주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 3(a)에서와 같이 내민프레임(210)의 모듈프레임 내주 외측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래야 단열패널모듈(320) 내측 부분을 공간을 실내에서 수납공간 등으로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일부 층간 슬래브(110)가 확장되게 시공됨에 따라 층간 슬래브(110)가 확장슬래브(110A)와 비확장슬래브(110B)로 구분되도록 시공되는 경우에는 확장프레임(230)과 브라켓(240)이 더 포함된다.
확장프레임(230)은 비확장슬래브(110B)의 시공위치에 설치된 내민프레임(210)과 연장프레임(220) 전면에 설치되는데, 확장슬래브(110A)의 시공위치에 설치된 내민프레임(210)와 연장프레임(220)의 모듈 프레임구조가 수평 또는 수직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확장프레임(230)이 내민프레임(210)와 연장프레임(220)의 모듈프레임구조와 마찬가지로 수평?수직프레임(230H, 230V)으로 설치되어, 비확장슬래브(110B)의 시공위치에 내민프레임(210)과 확장프레임(230)에 의한 이중의 모듈프레임구조가 설치되게 한 것이다.
브라켓(240)은 확장프레임(230)의 안정성을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 비확장슬래브(110B)의 시공위치에 설치된 내민프레임(210) 또는 연장프레임(220)과 확장프레임(230)을 수평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이로써 확장프레임(230)에 의해 건물 외피가 슬래브 확장 여부에 상관없이 일괄적인 커튼월 외장 외피로 구현되며, 나아가 이중의 모듈프레임구조에 의해 도 5와 같은 입체적 단면의 외피로 완성된다. 특히 비확장슬래브(110B)의 시공위치에서 내민프레임(210)과 확장프레임(230) 사이는 재실자만의 개인적인 외부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데, 가령 도 3(a)에서와 같이 받침선반(D2)으로 내민프레임(210)과 확장프레임(230)을 연결 설치하면 화분 등을 올려놓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커튼월 외피구조에 대한 단면 상세이다. 도 4(a)는 층간 슬래브(110)가 동일한 단면으로 시공된 경우인데, 보는 바와 같이 바닥단열재(121)와 천장단열재(131)를 설치하면서 바닥마감(120)과 천장마감(130)을 하여 건물 내부를 마무리할 수 있다. 바닥마감(120)은 엑세스 플로어 또는 난방바닥으로 처리하면 된다.
도 4(b)는 층간 슬래브(110)의 외곽 단부가 상부돌출턱(112) 및 하부돌출턱(113)이 형성되도록 시공된 경우이다. 이 경우 내민프레임(210)은 층간 슬래브(110)의 상?하부돌출턱(113)에 맞춤 설치하고, 바닥단열재(121)는 층간 슬래브의 상부돌출턱(112) 내측면에 상부돌출턱(112)보다 낮은 높이로 설치하고 그 위로 걸레받이를 설치하고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슬래브
110A: 확장슬래브 110B: 비확장슬래브
112: 상부돌출턱 113: 하부돌출턱
120: 바닥마감
121: 바닥단열재 122: 걸레받이
130: 천장마감 131: 천장단열재
210: 내민프레임
211: 테두리프레임 212: 중간프레임
220: 연장프레임
230: 확장프레임
211H, 212H, 220H, 230H : 수직프레임
211V, 212V, 220H, 230H : 수평프레임
240: 브라켓
310: 창호모듈
320: 단열패널모듈
D1:난간
D2: 받침선반

Claims (5)

  1. 벽식 또는 라멘구조에 의해 층간 슬래브(110)가 동일 평면으로 시공되는 다층 건물골조;
    상기 다층 건물골조의 개구부에서 층간 슬래브(110)에 걸쳐지면서 바깥으로 돌출되게 맞춤 설치되되, 창호모듈(310) 내지 단열패널모듈(320)에 부합하는 모듈프레임구조로 설치되는 내민프레임(210);
    상기 내민프레임(210) 각각의 모듈프레임 내주에 설치되는 창호모듈(310) 또는 단열패널모듈(320);
    상기 내민프레임(210) 주위 건물골조 표면에 설치되되, 상기 내민프레임(210)의 모듈 프레임구조가 수평 수직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연장프레임(220);
    상기 내민프레임(210)과 연장프레임(220) 사이 건물골조 표면에 설치되는 단열패널모듈(32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시스템에 기반한 가변형 커튼월 외피구조.
  2. 벽식 또는 라멘구조에 의해 시공되는, 일부 층간 슬래브(110)가 확장되게 시공됨에 따라 층간 슬래브(110)가 확장슬래브(110A)와 비확장슬래브(110B)로 구분되도록 시공되는 다층 건물골조;
    상기 다층 건물골조의 개구부에서 층간 슬래브(110)에 걸쳐지면서 바깥으로 돌출되게 맞춤 설치되되, 창호모듈(310) 내지 단열패널모듈(320)에 부합하는 모듈프레임구조로 설치되는 내민프레임(210);
    상기 내민프레임(210) 각각의 모듈프레임 내주에 설치되는 창호모듈(310) 또는 단열패널모듈(320);
    상기 내민프레임(210) 주위 건물골조 표면에 설치되되, 상기 내민프레임(210)의 모듈 프레임구조가 수평 수직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연장프레임(220);
    상기 내민프레임(210)과 연장프레임(220) 사이 건물골조 표면에 설치되는 외장 단열패널;
    비확장슬래브(110B)의 시공위치에 설치된 내민프레임(210)과 연장프레임(220) 전면으로, 확장슬래브(110A)의 시공위치에 설치된 내민프레임(210)와 연장프레임(220)의 모듈 프레임구조가 수평 또는 수직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확장프레임(230);
    비확장슬래브(110B)의 시공위치에 설치된 내민프레임(210) 또는 연장프레임(220)과, 상기 확장프레임(230)을 수평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브라켓(24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시스템에 기반한 가변형 커튼월 외피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다층 건물골조는, 층간 슬래브(110)의 외곽 단부가 상부돌출턱(112) 및 하부돌출턱(113)이 형성되도록 시공되며,
    상기 내민프레임(210)은, 층간 슬래브의 상?하부돌출턱(112, 113)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시스템에 기반한 가변형 커튼월 외피구조..
  4. 제3항에서,
    상기 층간 슬래브의 상부돌출턱(112) 내측면에 상부돌출턱(112)보다 낮은 높이로 설치되는 바닥단열재(121);
    상기 바닥단열재(121) 위로 층간 슬래브의 상부돌출턱(112)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걸레받이;
    상기 바닥단열재(121) 내측 층간 슬래브(110)의 상부면 위에, 층간 슬래브의 상부돌출턱(112)보다 낮은 높이로 엑세스 플로어 또는 난방바닥으로 시공되는 바닥마감(12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시스템에 기반한 가변형 커튼월 외피구조.
  5. 제3항에서,
    상기 층간 슬래브의 하부돌출턱(113) 내측면에 설치되는 천장단열재(131);
    상기 천장단열재(131) 내측 층간 슬래브(110)의 하부면 아래에, 소정의 춤을 확보하면서 시공되는 천장마감(13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시스템에 기반한 가변형 커튼월 외피구조.
KR1020110064568A 2011-06-30 2011-06-30 모듈시스템에 기반한 가변형 커튼월 외피구조 KR101215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568A KR101215467B1 (ko) 2011-06-30 2011-06-30 모듈시스템에 기반한 가변형 커튼월 외피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568A KR101215467B1 (ko) 2011-06-30 2011-06-30 모듈시스템에 기반한 가변형 커튼월 외피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5467B1 true KR101215467B1 (ko) 2012-12-26

Family

ID=47908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568A KR101215467B1 (ko) 2011-06-30 2011-06-30 모듈시스템에 기반한 가변형 커튼월 외피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46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510B1 (ko) 2015-09-24 2017-03-22 서울주택도시공사 단열재 일체형 층간 유닛의 설치구조
KR20170036540A (ko) 2015-09-24 2017-04-03 서울주택도시공사 분리가능한 층 유닛간 오픈 조인트 구조
KR20170036539A (ko) 2015-09-24 2017-04-03 서울주택도시공사 틸트-인 착탈식 결합구조를 갖는 단열재 일체형 층 유닛
CN109972780A (zh) * 2019-03-20 2019-07-05 四川合力洁净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绿色装配式节能板墙体系统
KR20190118231A (ko) * 2018-04-10 2019-10-18 정두진 건물 벽체용 창호 모듈
WO2021070981A1 (ko) * 2019-10-08 2021-04-15 정두진 건물 벽체용 창호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752Y1 (ko) 2007-04-10 2008-12-08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건물용 커튼월 조립체의 연결구조
JP2011219989A (ja) 2010-04-09 2011-11-04 Takenaka Komuten Co Ltd カーテンウォー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752Y1 (ko) 2007-04-10 2008-12-08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건물용 커튼월 조립체의 연결구조
JP2011219989A (ja) 2010-04-09 2011-11-04 Takenaka Komuten Co Ltd カーテンウォール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510B1 (ko) 2015-09-24 2017-03-22 서울주택도시공사 단열재 일체형 층간 유닛의 설치구조
KR20170036540A (ko) 2015-09-24 2017-04-03 서울주택도시공사 분리가능한 층 유닛간 오픈 조인트 구조
KR20170036539A (ko) 2015-09-24 2017-04-03 서울주택도시공사 틸트-인 착탈식 결합구조를 갖는 단열재 일체형 층 유닛
KR20190118231A (ko) * 2018-04-10 2019-10-18 정두진 건물 벽체용 창호 모듈
KR102043072B1 (ko) * 2018-04-10 2019-11-11 정두진 건물 벽체용 창호 모듈
CN109972780A (zh) * 2019-03-20 2019-07-05 四川合力洁净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绿色装配式节能板墙体系统
WO2021070981A1 (ko) * 2019-10-08 2021-04-15 정두진 건물 벽체용 창호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467B1 (ko) 모듈시스템에 기반한 가변형 커튼월 외피구조
US3992825A (en) Sheet tile and fiber glass shell combination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20110036048A1 (en) Building that uses composite light-weight panels for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2047400B1 (ko) 다목적 커튼월
EP2792803B1 (en) Method for construction of a building
JP2015506426A (ja) 円錐又は半円錐状の突起部を有するコネクター
RU2606997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строительное сооружение и способ его возведения
JP3890075B2 (ja) 集合住宅の用途に供する建築物
JP2004346527A (ja) 壁式構造の建物
JP2000087479A (ja) 間仕切り壁固定用の支柱および間仕切り壁
WO2014125552A1 (ja) 壁パネルの施工方法
KR0155603B1 (ko) 건축물의 조립식 벽판부재
WO2012134331A1 (ru) Стеновая деревянная составная панель для многоэтажного дома
JP6427013B2 (ja) 木造建物及びその外周壁構造
JP2004044172A (ja) 玄関構造
JP2840140B2 (ja) 家屋の床構造
JP2023100393A (ja) 仕切体
JPH0738500Y2 (ja) プレファブルームのブース構造
RU145603U1 (ru) Мног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JP4308899B2 (ja) 階間胴差部化粧面材の取付け構造
JP6166933B2 (ja) 建物の改築方法、及び建物
JPH0640760Y2 (ja) 壁パネル
JP2020051082A (ja) 外壁パネルおよび建物構造
EP2397617A2 (en) Gypsum drywall
JP2015209699A (ja) 壁構造及び木造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