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510B1 - 단열재 일체형 층간 유닛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단열재 일체형 층간 유닛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510B1
KR101715510B1 KR1020150135851A KR20150135851A KR101715510B1 KR 101715510 B1 KR101715510 B1 KR 101715510B1 KR 1020150135851 A KR1020150135851 A KR 1020150135851A KR 20150135851 A KR20150135851 A KR 20150135851A KR 101715510 B1 KR101715510 B1 KR 101715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interlayer
anchor
unit
cemen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근
강지연
정갑철
조민주
김종성
박훈구
Original Assignee
서울주택도시공사
(주)아이스트테크
주식회사 에스아이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주택도시공사, (주)아이스트테크, 주식회사 에스아이판 filed Critical 서울주택도시공사
Priority to KR1020150135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재가 층간패널에 일체로 제작되어 시공이 간편하고, 층 외피를 이루는 층 유닛을 실내에서 틸팅 시공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단열재 일체형 층간 유닛의 설치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층간 유닛의 설치구조는, 건물 각 층의 상,하부 슬래브에 각기 상부측 매립앵커와 하부측 매립앵커를 통해 상부측 수평앵커와 하부측 수직앵커가 설치되고; 상부측 수평앵커와 하부측 수직앵커를 통해 연결되어 상,하부 슬래브의 전면에 동일 구조로 상,하부 층간 유닛이 지지 설치되고; 상기 상,하부 층간 유닛은 각 층의 슬래브에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와,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의 후면에 장착된 단열재로 이루어진 층간패널과, 층간패널의 테두리를 이루는 층간패널 프레임으로 구성되되, 층간패널 프레임은,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층간 힌지 압출재와,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의 상단측 후면과 층간 힌지 압출재의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웨더가스켓 지지채널과, 웨더가스켓 지지채널에 결합되어 있는 상단측 웨더가스켓과,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의 하단측 후면에 장착되어 있는 층 패널 연결판 및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의 후면측 상부와 하부에 볼트 결합되어 상부측 수평앵커와 연결되는 상부브라켓과 하부측 수직앵커와 연결되는 하부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열재 일체형 층간 유닛의 설치구조{Insulator united between floors unit mounting structure}
본 발명은 건물의 외피 중 슬래브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층간 유닛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열재가 층간패널에 일체로 제작되어 시공이 간편하고, 층 외피를 이루는 층 유닛을 실내에서 틸팅 시공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단열재 일체형 층간 유닛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외피(벽체, 창문)를 건식으로 시공하는 경우, 수요자의 요구에 따른 미려한 외관 확보가 가능하고, 콘크리트 벽체를 시공하는 것에 비해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종래, 외피를 시공하는 경우 타워크레인은 이용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조립 시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어 왔다. 또한 내외부 마감재에 단열재를 부가적으로 시공해야 하므로 외피의 공기가 길어질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각 층의 실내측에서 틸팅 방식으로 조립시공이 가능하고, 필요시 탈부착이 용이한 층 유닛을 개발하게 되었다. 이 경우 층 유닛의 틸팅 방식을 지지하고 부가적으로 단열과 내화성능을 만족하는 단열재 일체형 층간 유닛의 설치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215467호로서, 모듈시스템에 기반한 가변형 커튼월 외피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벽식 또는 라멘구조에 의해 층간 슬래브가 동일 평면으로 시공되는 다층 건물골조; 상기 다층 건물골조의 개구부에서 층간 슬래브에 걸쳐지면서 바깥으로 돌출되게 맞춤 설치되되, 창호모듈 내지 단열패널모듈에 부합하는 모듈프레임구조로 설치되는 내민프레임; 상기 내민프레임 각각의 모듈프레임 내주에 설치되는 창호모듈 또는 단열패널모듈; 상기 내민프레임 주위 건물골조 표면에 설치되되, 상기 내민프레임의 모듈 프레임구조가 수평 수직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연장프레임; 상기 내민프레임과 연장프레임 사이 건물골조 표면에 설치되는 단열패널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건물의 외피를 구성하는 기본 프레임을 다양한 가변을 수용할 수 있는 모듈 방식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건물 입면에 다양성과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고, 프레임을 인입식 고정방식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설치 작업성과 설치 안정성을 쉽게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층간에 별도의 패널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데 반해, 프레임을 인입식으로 설치하는 경우 실외에서 조립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타워크레인 작업이 필요하고, 탈부착의 어려움으로 해체 및 재설치가 용이치 못한 단점을 가진다. 또한 층간 슬래브에 내화를 확보할 수 있는 구조가 없다.
본 발명의 다른 배경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989934호로서, 조립식 커튼월 모듈의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건축물의 각층 슬래브 외벽에 일정 간격으로 한 칸 건너씩 고정 설치되며, 지진이나 그 밖의 다른 원인에 의해 건물이 흔들리게 되더라도 커튼월이 파손됨을 방지하는 충격흡수부; 상기 상하 한 쌍의 충격흡수부에 조립 설치되며, T바와 수직/수평커튼월바 그리고 복층 유리가 한 세트로 고정 설치된 커튼월 모듈; 및 상기 커튼월 모듈과 커튼월 모듈의 사이에는 또 다른 복층 유리를 붙일 수 있도록 또 다른 보강용 수평커튼월바;를 고정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커튼월 모듈을 규격화 및 통일화하므로 비숙련공이라도 커튼월을 손쉽게 조립 시공할 수 있고, 커튼월의 어느 한 부위가 손상되면 그 부위만 교체 시공할 수 있어 유지 및 보수시에도 간단하게 착탈 시공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후자의 배경기술은 층간에 별도의 패널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데 반해, 복층유리로 외피를 구성함으로써 시공비용이 상승하고, 실내에서 시공이 어려워 결국,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번거로운 조립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고, 충격 흡수 구조를 가져야 하고, 실리콘으로 마감해야 하는 마감공정이 추가되어 공기가 길어지게 된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215467호(모듈시스템에 기반한 가변형 커튼월 외피구조)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989934호(조립식 커튼월 모듈의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본 발명은 단열재가 층간패널에 일체로 제작되어 시공이 간편하고, 층 외피를 이루는 층 유닛을 실내에서 틸팅 시공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단열재 일체형 층간 유닛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층간 유닛의 설치구조는,
건물 각 층의 상,하부 슬래브에 각기 상부측 매립앵커와 하부측 매립앵커를 통해 상부측 수평앵커와 하부측 수직앵커가 설치되고;
상부측 수평앵커와 하부측 수직앵커를 통해 연결되어 상,하부 슬래브의 전면에 동일 구조로 상,하부 층간 유닛이 지지 설치되고;
상기 상,하부 층간 유닛은
각 층의 슬래브에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와,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의 후면에 장착된 단열재로 이루어진 층간패널과, 층간패널의 테두리를 이루는 층간패널 프레임으로 구성되되,
층간패널 프레임은,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층간 힌지 압출재와,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의 상단측 후면과 층간 힌지 압출재의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웨더가스켓 지지채널과, 웨더가스켓 지지채널에 결합되어 있는 상단측 웨더가스켓과,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의 하단측 후면에 장착되어 있는 층 패널 연결판 및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의 후면측 상부와 하부에 볼트 결합되어 상부측 수평앵커와 연결되는 상부브라켓과 하부측 수직앵커와 연결되는 하부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층간 힌지 압출재는 건물 각 층에 설치되는 단열재 일체형 층 유닛의 하단부와 힌지 결합되기 위한 힌지축을 갖고, 힌지축에는 단열재 일체형 층 유닛의 하단부 힌지 결합을 잠금시키는 힌지 록킹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단측 웨더가스켓은 상향으로 돌출되어 상부 층간 유닛측 하단에 1차로 접하는 중공형의 제1돌기부와, 제1돌기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향 돌출되어 2차로 상부 층간 유닛측 하단에 접하는 제2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브라켓은 높낮이 조절볼트, 높낮이 조절볼트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앵커 지지블록을 구비하여, 높낮이 조절볼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앵커 지지블록의 위치가 변경되어 상부 슬래브에서 높낮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층간패널 프레임은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의 양쪽 측부에 설치되는 측부 프레임을 구비하되,
측부 프레임은 제1측벽부, 제1측벽부의 외측면에 웨더가스켓 결합홈을 갖는 웨더가스켓 결합편, 제1측벽부에서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측벽 직교부, 측벽 직교부에서 직교방향으로 연장된 제2측벽부, 제2측벽부에서 사각단면을 형성하는 사각단면부, 사각단면부에서 기밀가스켓 결합홈을 갖고 형성된 기밀가스켓 결합편, 사각단면부와 측벽 직교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가스켓 작동실을 형성시키는 가스켓 슬라이딩 격벽, 웨더가스켓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어 있는 제1측부 웨더가스켓과, 기밀가스켓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어 있는 제2측부 기밀가스켓과, 가스켓 작동실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동작으로 위치 이동가능한 오픈 조인트 가스켓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오픈 조인트 가스켓은 가스켓 작동실 내면에 밀착되어 있는 가스켓과, 가스켓 슬라이딩 격벽에 의해 이동 제한을 받는 위치이동용 조작노브를 갖고 가스켓에 삽입되어진 가스켓 클립으로 구성되어, 오픈 조인트 가스켓의 절환 이동위치에 따라 이웃한 층간 유닛의 설치와 교체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열재 일체형 층간 유닛의 설치구조에 따르면,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에 단열재가 일체로 접합되어져 있어 별도의 단열 시공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층간 유닛에 힌지요소가 포함되어져 층 유닛을 실내측에서 틸팅 결합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단열재 일체형 층간 유닛은 슬래브에 분리가능한 앵커를 통해 설치되어 탈부착이 가능하여 해체 및 교체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틸팅 회전 방식으로 조립되어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지 않고 실내에서 소형장비로 시공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틸트-인 착탈식 결합구조를 갖는 단열재 일체형 층 유닛의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층간 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층 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의 일측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층간 유닛 부분의 확대도.
도 7a는 도 5의 'A'부 확대도.
도 7b는 도 7a에서 층 유닛이 층간 유닛에 회전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
도 8은 도 5의 'B'부 확대도.
도 9는 층간 유닛의 상부와 슬래브간의 연결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층간 유닛에 포함되는 측부 프레임의 단부측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층간 유닛의 측부 프레임측 조인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11a는 층간 유닛간의 설치 완료 상태이고, 도 11b는 해당 층 유닛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층간 유닛의 해체 및 설치시의 작업상태도.
도 13은 층간 유닛과 층 유닛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배치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층간'이란 건물의 상하로 이웃한 층과 층 사이를 지칭하는 것으로 '슬래브'가 위치되는 곳이며, '층'이란 건물의 높이 방향에서 이웃한 상부 슬래브와 하부 슬래브의 사이가 되는 실내 영역을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층간 유닛의 설치구조에서는 층 유닛을 실내측에서 회전시켜 층간 유닛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와, 층 유닛과의 사이에 방풍 구조가 갖춰지고, 동일 층에 이웃한 층간 유닛간에 결합 및 해체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다.
도 1 및 도 5에서와 같이 건물 각 층의 상부 슬래브(11)과 하부 슬래브(12)에 상,하부 층간 유닛(20a,20b)이 각기 설치되어 단열재 일체형 층 유닛(30)이 조립 시공된다.
상,하부 층간 유닛(20a,20b)은 층간의 외장 마감 기능을 가지며 방화기능을 갖도록 시공됨이 바람직하다. 상,하부 층간 유닛(20a,20b)은 상호 동일한 구조를 갖고 해당 위치의 슬래브에 설치되므로 어느 하나의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부 층간 유닛(20a)은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층간패널(22), 층간패널을 슬래브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기 위한 앵커유닛(24)을 갖는다. 따라서 층간패널(22)은 앵커유닛(24)을 매개로 해당 슬래브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층간패널(22)은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221)와,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221)의 후면에 장착된 층간 단열재(222)와, 층간패널(22)의 테두리를 이루는 층간패널 프레임(23)으로 구성된다.
층간패널 프레임(23)은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221)의 상단에 장착되어 단열재 일체형 층 유닛(30)의 하단을 회전 결합시키는 힌지요소로 사용되는 층간 힌지 압출재(223)와,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221)의 상단측 후면과 층간 힌지 압출재(223)의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웨더가스켓 지지채널(224)과, 웨더가스켓 지지채널(224)에 결합되어 있는 상단측 웨더가스켓(225)이 포함된다. 층간패널 프레임(23)에는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221)의 하단측 후면에 장착되어 있는 층 패널 연결판(226) 및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221)의 후면측 상부와 하부에 볼트 결합되어 있는 상부브라켓(227)과 하부브라켓(228)이 설치되어 후술할 앵커유닛(24)과 연결된다.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221)는 경량을 위해 중공홀(221a)을 갖으며, 중공홀(221a)은 그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배열되어 있다. 층간 단열재(222)는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221) 보다 두껍고 픽스를 통해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221)의 후면에 고정 설치된다. 층간 힌지 압출재(223)는 알루미늄으로 압출 제작된다. 층간 힌지 압출재(223)는 도 7a 및 도 7b와 같이 단열재 일체형 층 유닛(30)의 하단부와 힌지 결합되기 위한 힌지축(223a)을 갖는다. 힌지축(223a)에는 단열재 일체형 층 유닛(30)의 하단부 힌지 결합시 이탈을 방지시키는 힌지 이탈방지홈(223b)이 형성된다. 상단측 웨더가스켓(225)은 단열재 일체형 층 유닛(30)측 하단과 상부 층간 유닛(20a)측 상단과의 사이에 2차 방풍을 수행한다. 상단측 웨더가스켓(225)은 상향으로 돌출되어 상부 층간 유닛(20a)측 하단에 1차로 접하는 중공형의 제1돌기부(225a)와, 제1돌기부(225a)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향 돌출되어 2차로 상부 층간 유닛(20a)측 하단에 접하는 제2돌기부(225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 및 도 9와 같이 상부브라켓(227)은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221)의 후면측 상부 양측에 볼트 결합되어 2개소에 설치되고, 하부브라켓(228)은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221)의 후면측 하부 양측에 볼트 결합되어 2개소에 설치된다. 상부브라켓(227)은 높낮이 조절볼트(227a)에 나사 결합되어 도 9의 상부측 수평앵커(24a)의 앵커 결합홈(241)에 결합되어 있는 앵커 지지블록(227b)을 갖는다. 따라서 높낮이 조절볼트(227a)의 회전방향에 따라 앵커 지지블록(227b)의 위치가 변경되어 상부 슬래브(11)에서 해당 층간 유닛(20a 또는 20b)의 높낮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층간패널 프레임(23)은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221)의 양쪽 측부에 설치되는 측부 프레임(27)을 더 갖을 수 있다.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측부 프레임(27)은 제1측벽부(271), 제1측벽부(271)의 외측면에 웨더가스켓 결합홈(272a)을 갖는 웨더가스켓 결합편(272), 제1측벽부(271)에서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측벽 직교부(273), 측벽 직교부(273)에서 직교방향으로 연장된 제2측벽부(274), 제2측벽부(274)에서 사각단면을 형성하는 사각단면부(275), 사각단면부(275)에서 기밀가스켓 결합홈(276a)을 갖고 형성된 기밀가스켓 결합편(276), 사각단면부(275)와 측벽 직교부(273)의 사이에 배치되어 가스켓 작동실(277a)을 형성시키는 가스켓 슬라이딩 격벽(27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측부 프레임(27)은 웨더가스켓 결합홈(272a)에 끼움 결합되어 있는 제1측부 웨더 가스켓(278)과, 기밀가스켓 결합홈(276a)에 끼움 결합되어 있는 제2측부 기밀가스켓(279)과, 가스켓 작동실(277a)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동작으로 위치 이동가능한 오픈 조인트 가스켓(280)을 구비하고 있다.
오픈 조인트 가스켓(280)은 가스켓 작동실(277a) 내면에 밀착되어 있는 가스켓(281)과, 가스켓 슬라이딩 격벽(277)에 의해 이동 제한을 받는 위치이동용 조작노브(282a)를 갖고 가스켓(280)에 삽입되어진 가스켓 클립(282)으로 구성된다. 이때 가스켓(281)의 폭은 도 11과 같이 이웃한 층간 유닛(20a과 20a) 또는 (20b,20b)과의 사이에 벌어져 있는 측면간의 틈새보다 크게 구성된다. 이때 위치이동용 조작노브(282a)는 가스켓 클립(282)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오픈 조인트 가스켓(280)은 도 11a와 같이 이웃한 층간 유닛(20a과 20a) 또는 (20b,20b)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이웃한 층간 유닛(20a과 20a) 또는 (20b,20b)과의 사이에 벌어져 있는 측면간의 틈새 중앙에 위치시킴으로써 층간 유닛간을 상호 결합시켜 제1측부 웨더 가스켓(278)과 더불어 2차로 방풍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도 11b와 같이 오픈 조인트 가스켓(280)을 위치이동용 조작노브(282a)를 사용하여 일측으로 밀어 타측의 가스켓 작동실(277a)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층간 유닛(20a 또는 20b)의 설치와 교체시 탈부착이 가능해진다.
앵커유닛(24)은 상부 슬래브(11)에 설치되어져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221)의 후면측 상부와 하부에 볼트 결합되어 있는 상부브라켓(227)과 하부브라켓(228)에 연결된다. 앵커유닛(24)은 층간패널(22)이 설치되기 전에 상부 슬래브(11)에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채널형 상,하부측 매립앵커(26a,26b)를 통해 앵커유닛(24)이 설치되어 있다. 상,하부측 매립앵커(26a,26b)는 매입 채널에 복수개의 연결 볼트(25)가 조립된 상태에서 슬래브에 매입 설치된다. 상,하부측 매립앵커(26a,26b)는 동일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부측 매립앵커(26a)는 상부 슬래브(11)의 상면에 하부측 매립앵커(26b)는 상부 슬래브(11)의 전면에 매입 시공된다.
도 6 및 도 9와 같이 앵커유닛(24)은 상부측 매립앵커(26a)에 연결되는 상부측 수평앵커(24a)와, 하부측 매립앵커(26b)에 연결되는 하부측 수직앵커(24b)로 이루어진다. 상부측 수평앵커(24a)는 일단이 연결 볼트(25)에 삽입되어 너트로 고정되고 타단에 상기의 앵커 지지블록(227b)과 결합되는 앵커 결합홈(241)을 갖는다.
따라서 층간패널(22)은 상부 브라켓(227)측 앵커지지블록(227b)이 상부측 수평앵커(24a)에 걸침 지지되고, 하부 브라켓(228)이 하부측 수직앵커(24b)와 볼트 체결되어 상부 슬래브(11)에 설치된다.
한편, 도 5 및 도 6과 같이 층간패널(22)의 후면과 상,하부 슬래브(11과 12)의 사이에 내화재(29)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층간 단열재(222)와 상,하부 슬래브(11과 12)의 전면에 각기 내화재(29)가 설치됨으로써 내화 성능을 갖을 수 있다. 내화재(29)는 고온의 화염에 연소되지 않으며 층과 층사이로 화염 전도를 차단하는 차염성을 갖는 것으로, 예로 울 소재 또는 미네랄 소재로 제작된 것이 될 수 있다.
도 7 및 도 12와 같이 단열재 일체형 층 유닛(30)은 하단이 하부 층간 유닛(20b)에 힌지 결합된 후 힌지를 중심으로 실내에서 실외측으로 회전되어져 상단이 상부 층간 유닛(20a)에 면착되어져 층에 높이 방향으로 입설된다.
도 4와 같이 단열재 일체형 층 유닛(30)은 CRC 보드(31)와, CRC 보드(31)의 내면에 접합되어 있는 층 단열재(32)와, CRC 보드(31)의 하부와 상부 및 양쪽 측부에 각기 대응되게 설치되어 있는 하부 프레임(33), 상부 프레임(34), 측부 프레임(35)(35)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CRC 보드는 'Cellulose fiber Reinforced Cement Board'로서 무석면 섬유강화 시멘트판을 의미한다. 이는 포틀랜트시멘트와 규사 및 Cellulose fiber 등을 물과 배합하여 보강하고, 가압한 후 고온고압증기양생을 통해 제작되는 것으로, 콘크리트의 자연적인 디자인 효과, 불연재로 내화성 우수, 건식 시공으로 동절기 시공가능, 방수성, 내충격성, 방충성 등을 갖는다.
도 7a 및 도 7b와 같이 하부 프레임(33)은 층 단열재(32)의 하면에 밀착되어 있는 하부 제1받이부(331), 하부 제1받이부(331)의 하면에 형성되어 웨더가스켓 결합홈(332a)을 갖는 웨더가스켓 결합편(332), 하부 제1받이부(331)에서 상부로 일정 높이의 단차를 갖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하부 제2받이부(333), 하부 제2받이부(333)의 하면 일측에 수직 하방으로 돌출시킨 가스켓 밀착편(334), 하부 제2받이부(333)의 하면 타측에 힌지 결합요소로서 상기 힌지축(223a)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결합홈(335a)이 형성되어 있는 힌지결합부(335), 힌지결합홈(335a)에서 돌출되어 힌지 결합시 이탈을 방지하는 힌지 결합돌기(336)를 갖는다.
또한 하부 프레임(33)은 웨더가스켓 결합홈(332a)에 결합되어 있는 층하부 웨더가스켓(339)을 구비한다. 층하부 웨더가스켓(339)은 각 층간 유닛(20a,20b)의 상단측 웨더 가스켓(225)과 밀착하여 층 유닛(30)의 하부와 접하는 층간 유닛과의 틈새를 차단하여 방풍 기능을 수행한다.
도 8과 같이 상부 프레임(34)은 층 단열재(32)의 상면에 밀착되어 있는 상부 받이부(341), 상단 받이부(341)의 상면에 입설되어 각 층간 유닛(20a,20b)측 층 패널 연결판(226)과 볼트 결합되도록 층유닛 볼트결합공(342a)을 갖는 층간 유닛 결합턱(342), 층간 유닛 결합턱(342)의 전방으로 상단 받이부(341)의 상면에 입설되어 웨더가스켓 결합홈(343a)을 갖는 웨더가스켓 결합편(34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34)은 웨더가스켓 결합홈(343a)에 결합되어 있는 층상부 웨더가스켓(344)을 구비한다. 층상부 웨더가스켓(344)은 각 층간 유닛(20a,20b)의 층 패널 연결판(226)과 밀착하여 층 유닛(30)의 상부와 접하는 층간 유닛과의 틈새를 차단하여 방풍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하부 층간 유닛(20a,20b)은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221)와,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221)의 후면에 장착된 층간 단열재(222)와, 층간패널(22)의 테두리를 이루는 층간패널 프레임(23)이 일체형으로 공장 제작되어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층간 단열재(222)와 더불어 층간패널(22)의 후면과 상,하부 슬래브(11과 12)의 사이에 내화재(29)가 설치되어 단열성능과 내화 성능이 동시에 만족되는 건식 외피 건물 시스템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2와 같이 단열재 일체형 층 유닛(30)의 힌지 결합과 탈부착을 가능하는 이점을 갖게 된다. 미설명 부호 '500'은 단열재 일체형 층 유닛(30)을 탈,부착시키기 위한 '소형장비'를 나타낸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20a: 상부 층간 유닛
20b: 하부 층간 유닛
221: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
222: 층간 단열재
223: 층간 힌지 압출재
30: 단열재 일체형 층 유닛
31: CRC 보드
32: 층 단열재
33: 하부 프레임
34: 상부 프레임
35: 측부 프레임

Claims (6)

  1. 건물 각 층의 상,하부 슬래브(11,12)에 각기 상부측 매립앵커(26a)와 하부측 매립앵커(26b)를 통해 상부측 수평앵커(24a)와 하부측 수직앵커(24b)가 설치되고;
    상부측 수평앵커(24a)와 하부측 수직앵커(24b)를 통해 연결되어 상,하부 슬래브(11,12)의 전면에 동일 구조로 상,하부 층간 유닛(20a,20b)이 지지 설치되고;
    상기 상,하부 층간 유닛(20a)은
    각 층의 슬래브에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221)와,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221)의 후면에 장착된 단열재(222)로 이루어진 층간패널(22)과, 층간패널(22)의 테두리를 이루는 층간패널 프레임으로 구성되되,
    층간패널 프레임은,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221)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층간 힌지 압출재(223)와,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221)의 상단측 후면과 층간 힌지 압출재(223)의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웨더가스켓 지지채널(224)과, 웨더가스켓 지지채널(224)에 결합되어 있는 상단측 웨더가스켓(225)과,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221)의 하단측 후면에 장착되어 있는 층 패널 연결판(226) 및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221)의 후면측 상부와 하부에 볼트 결합되어 상부측 수평앵커(24a)와 연결되는 상부브라켓(227)과 하부측 수직앵커(24b)와 연결되는 하부브라켓(22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일체형 층간 유닛의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층간 힌지 압출재(223)는 건물 각 층에 설치되는 단열재 일체형 층 유닛(30)의 하단부와 힌지 결합되기 위한 힌지축(223a)을 갖고, 힌지축(223a)에는 단열재 일체형 층 유닛(30)의 하단부 힌지 결합을 잠금시키는 힌지 록킹홈(223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일체형 층간 유닛의 설치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단측 웨더가스켓(225)은 상향으로 돌출되어 상부 층간 유닛(20a)측 하단에 1차로 접하는 중공형의 제1돌기부(225a)와, 제1돌기부(225a)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향 돌출되어 2차로 상부 층간 유닛(20a)측 하단에 접하는 제2돌기부(225b)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일체형 층간 유닛의 설치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부브라켓(227)은 높낮이 조절볼트(227a), 높낮이 조절볼트(227a)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앵커 지지블록(227b)을 구비하여, 높낮이 조절볼트(227a)의 회전방향에 따라 앵커 지지블록(227b)의 위치가 변경되어 상부 슬래브(11)에서 높낮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일체형 층간 유닛의 설치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층간패널 프레임은 압출성형 시멘트 보드(221)의 양쪽 측부에 설치되는 측부 프레임(27)을 구비하되,
    측부 프레임(27)은 제1측벽부(271), 제1측벽부(271)의 외측면에 웨더가스켓 결합홈(272a)을 갖는 웨더가스켓 결합편(272), 제1측벽부(271)에서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측벽 직교부(273), 측벽 직교부(273)에서 직교방향으로 연장된 제2측벽부(274), 제2측벽부(274)에서 사각단면을 형성하는 사각단면부(275), 사각단면부(275)에서 기밀가스켓 결합홈(276a)을 갖고 형성된 기밀가스켓 결합편(276), 사각단면부(275)와 측벽 직교부(273)의 사이에 배치되어 가스켓 작동실(277a)을 형성시키는 가스켓 슬라이딩 격벽(277), 웨더가스켓 결합홈(272a)에 끼움 결합되어 있는 제1측부 웨더 가스켓(278)과, 기밀가스켓 결합홈(276a)에 끼움 결합되어 있는 제2측부 기밀가스켓(279)과, 가스켓 작동실(277a)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동작으로 위치 이동가능한 오픈 조인트 가스켓(280)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일체형 층간 유닛의 설치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오픈 조인트 가스켓(280)은 가스켓 작동실(277a) 내면에 밀착되어 있는 가스켓(281)과, 가스켓 슬라이딩 격벽(277)에 의해 이동 제한을 받는 위치이동용 조작노브(282a)를 갖고 가스켓(280)에 삽입되어진 가스켓 클립(282)으로 구성되어, 오픈 조인트 가스켓(280)의 절환 이동위치에 따라 이웃한 층간 유닛(20a 또는 20b)의 설치와 교체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일체형 층간 유닛의 설치구조.
KR1020150135851A 2015-09-24 2015-09-24 단열재 일체형 층간 유닛의 설치구조 KR101715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851A KR101715510B1 (ko) 2015-09-24 2015-09-24 단열재 일체형 층간 유닛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851A KR101715510B1 (ko) 2015-09-24 2015-09-24 단열재 일체형 층간 유닛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510B1 true KR101715510B1 (ko) 2017-03-22

Family

ID=58497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851A KR101715510B1 (ko) 2015-09-24 2015-09-24 단열재 일체형 층간 유닛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5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8954A (ja) * 2006-03-31 2007-10-18 Mitsubishi Paper Mills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
KR100989934B1 (ko) 2010-04-01 2010-10-29 조병은 조립식 커튼월 모듈의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15467B1 (ko) 2011-06-30 2012-12-26 주식회사 이건창호 모듈시스템에 기반한 가변형 커튼월 외피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8954A (ja) * 2006-03-31 2007-10-18 Mitsubishi Paper Mills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
KR100989934B1 (ko) 2010-04-01 2010-10-29 조병은 조립식 커튼월 모듈의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15467B1 (ko) 2011-06-30 2012-12-26 주식회사 이건창호 모듈시스템에 기반한 가변형 커튼월 외피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234B1 (ko) 분리가능한 층 유닛간 오픈 조인트 구조
CA2870259A1 (en) Perimeter wall
MX2014012681A (es) Sistema de pared flexible.
KR101703982B1 (ko) 조립식 천장구조물
ITRM20090449A1 (it) Sistema di balcone convertibile struttuta di protezione in automatico
JP5486677B2 (ja) 外壁システムおよび既存の建物への本発明の外壁システムの設置方法
KR101745142B1 (ko) 틸트-인 착탈식 결합구조를 갖는 단열재 일체형 층 유닛
KR101715510B1 (ko) 단열재 일체형 층간 유닛의 설치구조
JP5748975B2 (ja) 鉄骨柱の耐火構造
JP2007120252A (ja) 耐火外断熱構造及びその工法
JP2008240355A (ja) 柱または梁と耐火間仕切壁との取り合い構造及び方法
KR200375853Y1 (ko) 전기배선이 매립설치된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
JP2010095899A (ja) 屋内配線構造および建物
KR100945680B1 (ko) 복합패널을 이용한 지하 이중벽의 설치구조 및 방법
KR20190015913A (ko) 건물의 벽체 마감재 설치용 고정 구조물
HU215516B (hu) Falelem falszerkezetek építéséhez, valamint ilyen falelemekből épített falelemrendszer
KR20160129349A (ko) 건축물의 오픈 조인트 커튼월 외장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JP7005870B2 (ja) 建物の止水構造
KR101980665B1 (ko) 도어설치용 모듈러 유닛구조
RU2720431C1 (ru) Фасад для здания,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фасада и строи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т для фасада здания
JP5940293B2 (ja) バルコニの床構造
KR200340329Y1 (ko) 경량 천장틀의 설치구조
CN104631858A (zh) 一种预制装配式住宅的安装方法
CN104831835A (zh) 用来建造建筑物的内部或外部墙壁的墙壁元件
KR102607553B1 (ko) 철재 칸막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