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249B1 - 척 및 척 장착 봉투 - Google Patents

척 및 척 장착 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249B1
KR101215249B1 KR1020077007687A KR20077007687A KR101215249B1 KR 101215249 B1 KR101215249 B1 KR 101215249B1 KR 1020077007687 A KR1020077007687 A KR 1020077007687A KR 20077007687 A KR20077007687 A KR 20077007687A KR 101215249 B1 KR101215249 B1 KR 101215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on
chuck
female
male
adhes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4561A (ko
Inventor
료 가타다
겐이치 다나카
다케히로 이와모토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4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4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65D33/2541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lide fastener, e.g. adapted to interlock with a sheet between the interlocking members having sections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65D33/2516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omprising tamper-indicating means, e.g. located within the fastener
    • B65D33/2533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omprising tamper-indicating means, e.g. located within the fastener the slide fastener being located between the product compartment and the tamper indic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10Slide fasteners with a one-piece interlocking member on each stringer tape
    • A44B19/16Interlocking member having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string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00Buckles, buttons, clasps
    • Y10S24/30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S24/50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member having elongated, resilient, interlocking face with identical, parallel cross-sections throughout its leng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5Bag faste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14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with distinct member for sealing 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32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having interlocking surface with continuous cross s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152Each mating member having similarly shaped, sized, and operated interlocking or intermeshable face
    • Y10T24/45157Zipper-type [e.g., slider]
    • Y10T24/45168Zipper-type [e.g., slider] for container [e.g., b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AREA)
  • Bag Fram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암형 돌기 (22b) 의 훅부 (221b, 221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팽출하도록하고, 암형 돌기 (22b) 의 내저 (222b) 에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 점착재 (4) 를 연속적으로 형성하고, 수형 돌기 (21a) 와 수형 돌기 (21b) 가 끼워 맞춰졌을 때에, 탄성 점착재 (4) 가 수형 돌기 (22a) 의 헤드부 (221a) 에 압압되고, 탄성 변형하면서 수형 돌기 (22a) 의 헤드부 (221a) 에 맞닿음과 함께, 그 점착력 및 탄성력에 의해 헤드부 (221a) 의 선단측 면에 밀착함으로써, 척 장착 봉투의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척 및 척 장착 봉투{CHUCK AND CHUCK-EQUIPPED BAG}
본 발명은, 재밀봉, 재개봉 가능하도록 구성된 끼워 맞춤식의 척에 있어서, 그 기밀성을 향상시킨 척 및 그러한 척을 구비한 척 장착 봉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침구, 의류, 식품, 약품, 잡화 등의 많은 분야에 있어서, 끼워 맞춤식의 척 (교합구 (咬合具)) 을 내용물의 출입구에 구비하여,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게 한 척 장착 봉투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등).
일반적으로, 이러한 척 장착 봉투는, 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척을 미리 준비해 두고, 봉투 소재로서의 기재 필름에 척을 시일하여 제작함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239356호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공고공보 평4-22789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
그런데, 이런 종류의 척 장착 봉투는, 척에 형성된 수형 돌기와 암형 돌기의 탄성 변형을 이용한 끼워 맞춤, 탈리에 의한 재밀봉, 재개봉을 가능하게 하거나, 제조 공차를 확보하거나 해야하기 때문에, 양 돌기가 완전히 밀착한 상태에서 끼워 맞추는 것은 곤란하고, 기밀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 여러 가지의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 충분한 개선책은 제안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에는, 암수 부재의 맞물림 대향 벽면에 서로 대향시켜 탄성 패킹을 일체적으로 돌출 형성함으로써, 기밀성을 높이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 에서는, 탄성 패킹을 수형 돌기와 암형 돌기에 밀착시킴으로써 기밀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고, 굴곡이나 비틀림 등의 외력이 척 (2) 에 작용하거나 했을 때에는 탄성 패킹과 돌기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여, 기밀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이 때문에, 사용하는 상태에 따라서는 기밀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 문헌 2 에는, 암형 돌기 (암형 걸기부) 측의 내벽면의 기저부측 하반 부분에 점착제층을 형성함으로써, 기밀성을 구비한 기밀 교합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2 에서는, 암형 돌기 (암형 걸기부) 와 수형 돌기 (수형 걸기부) 를 점착제로 시일함으로써 기밀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점착력을 증강시킬 필요가 있고, 점착력을 증강시키면 교합구의 해제에 강한 힘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점착제의 끈적거림 등의 문제도 발생하여, 포장 봉투로서의 사용의 편리성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척 장착 봉투를 제작할 때에는, 척의 요철에 의한 시일 불량을 피하기 위하여, 기재 필름에 척을 시일한 후, 사이드 시일 부분에 위치하는 척을 히트 블록으로 가열 압궤 (이른바 척 누름) 하고, 그 후에 사이드 시일을 실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된 척 장착 봉투는, 척이 눌려진 부분에 있어서의 수형 돌기와 암형 돌기의 끼워 맞춤 형상이 변형되고, 여기에 에어 리크 통로가 발생하여, 척 자체가 기밀성을 갖고 있어도 양호한 기밀성이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이런 종류의 척 장착 봉투에는 척 자체에 기밀성을 부여하는 것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봉투를 제작할 때에 기밀성이 손상된다는 문제도 있어, 액상물을 보존하는 용도나, 가스 배리어성이 요구되는 용도 등, 기밀성을 필요로 하는 용도에는 부적당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척 장착 봉투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로써 종래 부적당한 것으로 여겨져 온 용도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그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척 및 척 장착 봉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은, 수형 돌기가 형성된 수형 부재와, 암형 돌기가 형성된 암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형 돌기와 상기 암형 돌기가 재밀봉, 재개봉이 가능해지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끼워 맞추는 척으로서, 상기 수형 돌기의 선단측과 상기 암형 돌기의 내저측의 대향 부위로 팽출되는 탄성 점착재가, 상기 수형 돌기 및/또는 상기 암형 돌기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탄성 점착재의 점착력 및 탄성력에 의해, 탄성 점착재와 수형 돌기 또는 암형 돌기의 밀착이 양호하게 유지되어, 척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 점착재가, 적어도 척을 봉투 소재에 접착하여 봉투를 제작할 때의 척 누름부에 상당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면, 척의 누름부에 있어서의 에어 리크 통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점착재가 상기 수형 돌기 및/또는 상기 암형 돌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척 자체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 탄성 점착재에 사용하는 재료는 합성 고무계 중합체와, 점착 부여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탄성 점착재의 경도는 2 ~ 20N/1㎤, 상기 탄성 점착재의 점착력은 2 ~ 8N/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척의 기밀성을 보다 향상시키려면 , 상기 수형 돌기와 상기 암형 돌기가 끼워 맞춰졌을 때에, 상기 탄성 점착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암형 돌기에 작용하는 탄성 지지력에 의해서, 상기 수형 돌기의 숄더부와 상기 암형 돌기의 개구부측의 부위가 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수형 돌기와 상기 암형 돌기가 끼워 맞춰졌을 때에, 상기 수형 돌기와 상기 암형 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차지하는 상기 탄성 점착재의 비율이, 척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 있어서의 단면적 비로서, 30 ~ 80%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 장착 봉투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척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기밀성을 구비한 척 장착 봉투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 점착재의 점착력 및 탄성력에 의해, 탄성 점착재와 수형 돌기 또는 암형 돌기의 밀착이 양호하게 유지되어, 척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액상물을 보존하는 용도나, 가스 배리어성이 요구되는 용도 등, 종래, 이런 종류의 척 장착 봉투가 부적당한 것으로 여겨져 온 기밀성을 필요로 하는 용도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어, 그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 장착 봉투의 일 실시형태의 개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A-A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암형 부재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 는, 탄성 점착재가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척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의 일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 은, 척과 누름부의 경계에 있어서의 척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봉투
10a, 10b 기재 필름
2 척
2a 수형 부재
22a 수형 돌기
221a 헤드부
223a 숄더부
2b 암형 부재
22b 암형 돌기
221b 훅부
222b 내저
223b 선단 부분
224b 개구부
4 탄성 점착재
5 누름부
S 공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 장착 봉투의 일 실시형태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2 는 도 1 의 A-A 단면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봉투 (1) 는, 척 (2) 이 히트 시일된 봉투 소재로서의 기재 필름 (10a, 10b) 을 제작하여 이루어지고, 보텀 시일 (31) 이 실시된 저부 (3) 를 접음선 (32) 으로 접은 상태에서, 측 가장자리를 따라 사이드 시일 (11) 을 실시함으로써 제조되는, 이른바 스탠딩 봉투이다.
봉투 (1) 의 측 가장자리에 사이드 시일 (11) 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면 중 파선으로 그 개략을 나타내는 척 (2) 의 사이드 시일 (11) 측에 비어져 나온 부분은, 사이드 시일 (11) 이 실시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사전에 가열 압궤하여 누름부 (5) 로 해두고, 그 후에 사이드 시일 (11) 이 실시된다.
또 도시하는 예에서는, 봉투 (1) 의 상 가장자리는 미 (未) 시일부로 되어 있는데, 내용물이 충전된 후에 탑 시일이 실시된다. 탑 시일은, 봉투 (1) 의 측 가장자리의 상방에 형성된 좌우 1 쌍의 노치 (12) 를 잇는 선보다 상 가장자리측에 실시된다.
이로써, 노치 (12) 를 이용하여 봉투 (1) 의 상 가장자리 부분 (탑 시일이 실시된 부분) 을 잘라내어 봉투 (1) 를 개봉한 후에는, 척 (2) 의 재밀봉, 재개봉에 의해, 봉투 (1) 의 취출구를 닫거나 열거나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척 (2)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수형 부재 (2a) 와 암형 부재 (2b) 로 구성된다.
수형 부재 (2a) 는, 테이프상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기부 (21a) 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 (21a) 의 일방의 면에는, 헤드부 (221a) 및 헤드부 (221a) 와 기부 (21a) 를 연결하는 연결부 (222a) 로 이루어지는 수형 돌기 (22a) 가 형성되어 있 고, 이들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부 (21a) 의 타방의 면이, 기재 필름 (10a) 에 히트 시일되어 있다.
암형 부재 (2b) 도 동일하게, 테이프상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기부 (21b) 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 (21b) 의 일방의 면에는, 1 쌍의 훅부 (221b, 221b) 로 이루어지는 암형 돌기부 (22b) 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부 (21b) 의 타방의 면이, 기재 필름 (10b) 에 히트 시일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형 돌기 (22a) 의 헤드부 (221a) 가 암형 돌기 (22b) 의 훅부 (221b, 221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끼워 넣음으로써, 수형 돌기 (22a) 와 암형 돌기 (22b) 가 서로 끼워 맞춰진다. 이로써, 봉투 (1) 의 취출구가 밀봉된다. 수형 돌기 (22a) 와 암형 돌기 (22b) 의 끼워 맞춤을 해제하면, 봉투 (1) 의 취출구가 개봉된다.
또한, 수형 돌기 (22a) 와 암형 돌기 (22b) 의 구체적인 형상은, 서로 쌍이 되어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 형상을 갖고 있으면, 도시하는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수형 부재 (2a) 나 암형 부재 (2b) 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 성형하거나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척 (2) 의 구조로는, 척 (2) 의 교합성, 기재 필름 (10a, 10b) 과의 시일 강도, 시일성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수지를 사용한 다층 구성으로 할 수도 있 다.
또, 기재 필름 (10a, 10b) 그 자체에, 또는 기재 필름 (10a, 10b) 이 다층인 경우에는 척 (2) 과의 시일층에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척 (2) 과의 히트 시일성과 봉투로서의 기능성을 고려하여, 히트 시일층과 함께, 표층에 2 축 연신 나일론, 2 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축 연신 폴리프로필렌을 적층하거나, 배리어성을 고려하여 중간층에 알루미늄 박이나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 필름을 적층하거나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형 돌기 (22b) 의 훅부 (221b, 221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팽출하도록 하고, 탄성 점착재 (4) 가 암형 돌기 (22b) 의 내저 (222b) 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 점착재 (4) 는, 예를 들어 암형 부재 (2b) 를 압출 성형할 때에, 그 내저 (222b) 에 탄성 점착재 (4) 를 형성하는 재료를 압출 공급하거나, 공압출하도록 하여 암형 부재 (2b) 의 성형과 동시에 암형 부재 (2b) 와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미리 성형된 암형 부재 (2b) 에 후가공함으로써 형성하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탄성 점착재 (4) 는, 수형 돌기 (22a) 와 암형 돌기 (22b) 가 끼워 맞춰졌을 때에 수형 돌기 (22a) 의 헤드부 (221a) 에 압압되어, 탄성 변형되면서 수형 돌기 (22a) 의 헤드부 (221a) 에 맞닿음과 함께, 그 점착력 및 탄성력에 의해 헤드부 (221a) 의 선단측 면에 밀착된다. 또 수형 돌기 (22a) 는, 탄성 점착재 (4) 의 탄성력에 의해 되밀려, 수형 돌기 (22a) 의 숄더부 (223a) 가 암형 돌기 (22b) 의 훅부 (221b) 의 선단 부분 (223b) 에 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 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형 돌기 (22a) 의 헤드부 (221a) 와, 탄성 점착재 (4) 가 밀착됨과 함께, 수형 돌기 (22a) 의 숄더부 (223a) 와, 암형 돌기 (22b) 의 훅부 (221b) 의 선단 부분 (223b) 이 도면 중 좌우 각각의 2 점에서 밀착되고, 척 (2) 의 수형 부재 (2a) 와 암형 부재 (2b) 는 그 단면에 있어서 합계 3 점에서 밀착되어 있다.
여기서, 도시하는 예에서는, 수형 돌기 (22a) 의 숄더부 (223a) 가 암형 돌기 (22b) 의 훅부 (221b) 의 선단 부분 (223b) 에 밀착되어 있는데, 암형 돌기 (22b) 의 개구부 (224b) 측에 위치하는 임의의 부위가 수형 돌기 (22a) 의 숄더부 (223a) 와 밀착되어 있으면 되고, 그 밀착 상태의 구체적 양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여기에 있어서의 2 점에서의 밀착과, 수형 돌기 (22a) 와 탄성 점착재 (4) 의 밀착의 합계 3 점에서의 밀착에 의해, 척 (2) 의 기밀이 확실해지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 탄성 점착재 (4) 는, 암형 돌기 (22b) 측에 형성하는 양태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한, 수형 돌기 (22a), 또는 수형 돌기 (22a) 와 암형 돌기 (22b) 의 양쪽 임의의 위치에 형성할 수도 있는데, 끼워 맞춤이 해제된 상태에서의 취급을 고려하면, 탄성 점착재 (4) 에 손가락 등이 닿지 않도록 암형 돌기 (22b) 의 내저 (222b) 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끼워 맞춰져 있는 수형 돌기 (22a) 와 암형 돌기 (22b) 사이에는, 수형 돌기 (22a) 의 헤드부 (221a) 및 탄성 점착재 (4) 에 의해 형성되는 밀착 부위, 수형 돌기 (22a) 의 숄더부 (223a) 및 암형 돌기 (22b) 의 훅부 (221b) 의 선단 부분 (223b) 에 의해 형성되는 2 개의 밀착 부위의 합계 3 개의 밀착 부위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두개의 밀착 부위에 있어서의 밀착이 손상되는 사용 상태에 있어도, 다른 밀착 부위에서의 밀착이 유지되고, 또한 탄성 점착재 (4) 는 적당한 점착력을 구비하고 있고, 탄성 점착재 (4) 의 점착력에 의해서도, 수형 돌기 (22a) 의 헤드부 (221a) 의 선단측 면과 탄성 점착재 (4) 의 밀착이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통상적인 사용 상태에서는 말할 것도 없이, 굴곡이나 비틀림 등의 외력이 척 (2) 에 작용하는 사용 상태에 있어도, 수형 돌기 (22a) 와, 암형 돌기 (22b) 또는 탄성 점착재 (4) 사이의 밀착이 유지되어, 충분한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수형 돌기 (22a) 의 헤드부 (221a) 와 탄성 점착재 (4) 는 탄성 점착재 (4) 의 점착력에 의해 밀착되기 때문에, 특히, 수형 돌기 (22a) 의 헤드부 (221a) 및 탄성 점착재 (4) 에 의해 형성되는 밀착 부위에 있어서의 밀착은 손상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형 돌기 (22a) 의 헤드부 (221a) 를 비교적 작게 형성하고, 수형 돌기 (22a) 와 탄성 점착재 (4) 의 밀착에 의해서만 기밀성을 확보하는 것도 필요에 따라 가능하다.
또한 도 5 는,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1 의 A- A 단면에 상당하는 부위를 나타내고 있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이런 종류의 척 장착 봉투에 있어서는, 척의 누름부에 있어서, 수형 돌기와 암형 돌기의 끼워 맞춤 형상이 변형되고 에어 리크 통로가 발생되어, 척 자체가 기밀성을 갖고 있어도 양호한 기밀성이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리크 통로는, 통상, 척 (2) 과 누름부 (5) 의 경계 (5a) 에 발생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척 (2) 과 누름부 (5) 의 경계 (5a) 에 있어서, 수형 돌기 (22a) 와 암형 돌기 (22b) 의 끼워 맞춤 형상이 변형되어도, 도 6 에 그 개략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점착재 (4) 가 수형 돌기 (22a) 와 암형 돌기 (22b) 사이를 매우도록 하여, 암형 돌기 (22b) 의 내벽면에 퍼져 나가기 때문에, 리크 통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서도 기밀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도 6 은, 척 (2) 과 누름부 (5) 의 경계 (5a) 에 있어서의 척 (2) 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탄성 점착재 (4) 의 경도는, 2 ~ 20N/1㎤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 ~ 10N/1㎤ 이다.
상기 범위에 미치지 못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끼워 맞춤 상태에 있어서, 수형 돌기 (22a) 를 되미는 힘이 약해져, 수형 돌기 (22a) 의 숄더부 (223a) 와, 암형 돌기 (22b) 의 훅부 (221b) 의 선단 부분 (223b) 의 밀착이 불충분해진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탄성 점착재 (4) 가 탄성 변형되기 어려워져, 수형 돌기 (22a) 와 암형 돌기 (22b) 의 끼워 맞춤에 지장을 초래하여, 끼워 맞추기 어려워진다.
여기서, 탄성 점착재 (4) 의 경도는 JIS K7215 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고, 탄성 점착재 (4) 를 10㎣ 의 입방체로 커트하여 시험편을 제작하고, 선단의 각도 (꼭지각) 가 40°인 압자가 장착된 측정 장치에 의해 (예를 들어, 이마다 주식회사 제조 디지털 포스 게이지를 이용할 수 있다) 탄성 점착재 (4) 에 압자를 가압하고, 탄성 점착재 (4) 가 압자에 의해 50% (5㎜) 압궤되었을 때의 값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 탄성 점착재 (4) 의 점착력은, 2 ~ 8N/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 ~ 6N/10㎜ 이다.
상기 범위에 미치지 못하면, 수형 돌기 (22a) 와의 밀착이 불충분해져, 굴곡이나 비틀림 등의 외력이 척 (2) 에 작용하였을 때에, 탄성 점착재 (4) 의 점착력에 의한 수형 돌기 (22a) 와의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수형 돌기 (22a) 와 암형 돌기 (22b) 의 끼워 맞춤을 해제하는 것이 곤란해질 뿐만 아니라 끈적 거림 등의 문제도 발생하여, 사용의 편리성이 악화된다.
여기서, 점착력은, 두께 50㎛ 의 PET 필름에, 20㎛ 의 두께로 점착재를 도공한 시험편을 SUS 와 밀착 접촉시키고, 측정 분위기 온도 20℃ 에서, 인장 시험기에 의해 시험편과 SUS 를 180 도 박리하였을 때의 최대 하중을 말하는 것으로 하고, 이것을 180 도 박리 점착력으로 한다.
또한 탄성 점착재 (4) 를 형성함에 있어서, 그 크기는, 수형 돌기 (22a) 와 암형 돌기 (22b) 가 끼워 맞춰졌을 때에, 수형 돌기 (22a) 와 암형 돌기 (22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S) (도 4 참조) 에 차지하는 탄성 점착재 (4) 의 비율이, 척 (2) 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 있어서의 단면적 비로서, 30 ~ 80%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 70% 이다.
상기 범위에 미치지 못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끼워 맞춤 상태에 있어서, 탄성 변형된 탄성 점착재 (4) 와 수형 돌기 (22a) 의 접촉 면적이 작아, 양자의 밀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져서, 충분한 기밀성이 얻어지지 않게 된다. 또, 밀착 상태를 유지하려면, 접촉 면적이 작아진 만큼 탄성 점착재 (4) 의 점착력을 증강시킬 필요가 있고, 탄성 점착재 (4) 의 점착력이 지나치게 강해지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수형 돌기 (22a) 와 암형 돌기 (22b) 의 끼워 맞춤에 지장을 초래하여, 수형 돌기 (22a) 와 암형 돌기 (22b) 를 끼워 맞추기 어려워진다.
여기서, 상기 공간 (S) 은, 상온 상압 (250℃, 1 기압) 의 조건 하에서 수형 돌기 (22a) 와 암형 돌기 (22b) 를 끼워 맞춰, 수형 돌기 (22a) 및 암형 돌기 (22b) 의 변형이 될 수 있는 한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형 돌기 (22a) 의 숄더부 (223a) 를 암형 돌기 (22b) 의 훅부 (221b) 의 선단 부분 (223b) 에 맞닿게 했을 때에, 수형 돌기 (22a) 와 암형 돌기 (22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4 는, 탄성 점착재 (4) 가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척 (2) 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1 의 A-A 단면에 상당하는 부위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탄성 점착재 (4) 의 경도, 점착력 및 크기는, 척 (2) 을 형성하는 재료의 탄성, 척 (2) 의 형상이나 치수, 요구되는 기밀성의 정도 등을 고려하여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설정된다.
탄성 점착재 (4) 의 재료로는, 합성 고무계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사용되고, 이것에 점착 부여제를 함유시켜, 경도와 점착력을 적절하게 조제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합성 고무계 중합체로는, 스티렌계 블록 중합체, 부틸 고무, 부분 가교 부틸계, 폴리이소부틸렌계 등의 합성 고무계 중합체가 예시되는데, 물성 밸런스 면에서, 특히 스티렌계 블록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블록 중합체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SB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블록 중합체), SI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블록 중합체), SEB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블록 중합체), SEP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블록 중합체), SIBS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블록 중합체) 를 들 수 있고, 특히 내열성, 내후성 면에서 고무 성분으로서 포화 탄화 수소를 함유하는 스티렌계 블록 중합체가 바람직하고, 입수성 면에서 SEB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블록 중합체), SEP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블록 중합체), SIBS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블록 중합체) 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이들의 합성 고무계 중합체는, 필요에 따라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염화 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불소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나, 가소제를 첨가함과 함께, 예를 들어, 포화 탄화 수소,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등을 주쇄 골격으로서 갖고, 분자 말단에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유기 중합체 (예를 들어, 규소 원자에 결합한 수산기, 또는 가수 분해성기를 갖고, 실록산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가교할 수 있는 규소 함유기를 적어도 1 개 갖는 유기 중합체) 와 혼합 또는 혼련한 상태에서, 상기 유기 중합체를 가교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소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염화 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불소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나, 폴리부텐, 수소 첨가 폴리부텐, 수소 첨가 α-올레핀올리고머, 어택틱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비닐계 올리고머, 비페닐, 트리페닐 등의 방향족계 올리고머, 수소 첨가 액상 폴리부타디엔 등의 수소 첨가 폴리엔계 올리고머, 파라핀유, 염화 파라핀유 등의 파라핀계 올리고머, 나프텐유 등의 시클로파라핀계 올리고머, 디부틸프탈레이트, 디헵틸프탈레이트,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부틸벤질프탈레이트, 디n-옥틸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 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 디운데실프탈레이트 등의 프탈산 에스테르류, 디(2-에틸헥실)아디페이트, 디n-옥틸아디페이트, 디이소노닐아디페이트, 디이소데실아디페이트, 디(2-에틸헥실)세바시케이트,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디2-에틸헥실 등의 비방향족 2 염기산 에스테르류, 트리메리트산 트리2-에틸헥실, 트리메리트산 트리이소데실 등의 방향족계 에스테르류, 올레산 부틸, 아세틸리시놀산 메틸, 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류, 디에틸렌글리콜벤조에이트, 트리에틸 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의 에스테르류,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트리부틸포스페이트 등의 인산 에스테르류,에폭시화 대두유, 에폭시화 아마씨유 등의 에폭시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성 부여제로는, 방향족 탄화 수소계 수지, 지방족 탄화 수소계 수지, 수소 첨가 지환족 탄화 수소계 수지, 지환족 탄화 수소계 수지, 쿠마론 수지, 테르펜계 수지, 로진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용융 압출하여 암형 부재를 압출 성형하면서, SIS 계 합성 고무를 주성분으로 하는 탄성 점착재 (모레스코메르트 LT-170 : 주식회사 마쯔무라 석유 연구소 제조) 를 암형 부재의 내저에 압출하고,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형 부재의 내저에 일체적으로 형성하였다. 또, 암형 부재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재료에 의해 수형 부재를 압출 성형하였다.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의 형상은 도 2 에 나타내는 것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하고, 수형 돌기와 암형 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차지하는 탄성 점착재의 비율은, 척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 있어서의 단면적 비로서, 60% 였다.
[실시예 2]
도 5 에 나타내는 것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하고, 그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를 제작하였다. 수형 돌기와 암형 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차지하는 탄성 점착재의 비율은, 척의 길이 방향에 직 교하는 면에 있어서의 단면적 비로서, 20% 였다.
[비교예 1]
SIS 계 합성 고무를 주성분으로 하는 탄성 점착재 대신에, 실리콘 고무를 주성분으로 하는 연질 고무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를 제작하였다.
여기서, 실시예 1, 2 에 사용한 모레스코메르트 LT-170 의 점착력은, 180 도 박리 점착력으로 2.7N/10㎜ 였다. 또, 경도는 3.2N/1㎤ 였다. 한편, 비교예 1 에서 사용한 연질 고무는 점착력이 없고, 경도는 30N/1㎤ 였다.
[평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에서 제작한 척을 2 축 연신 나일론 필름 (15㎛) 과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50㎛) 을 드라이라미네이트한 기재 필름에 히트 시일하고, 척 누름을 실시한 후에, 척과 대향하는 변에 바닥재를 히트 시일하고, 척과 직교하는 사이드부를 히트 시일하여 150㎜×150㎜ 의 스탠딩 봉투를 제작하고, 척 장착 봉투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척 장착 봉투의 하나에는 물 100㎖ 를 충전하고, 다른 하나의 척 장착 봉투에는 공기 100㎖ 를 충전하고, 물 100㎖ 를 충전한 봉투는 거꾸로 한 상태에서, 공기 100㎖ 를 충전한 봉투는 수몰시킨 상태에서의 누출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이하와 같다.
탄성 점착재 (탄성재) 주성분 액 누출 공기 누출
실시예 1 모레스코메르트 LT-170 SIS 계 합성 고무
실시예 2 모레스코메르트 LT-170 SIS 계 합성 고무
비교예 1 연질 고무 규소 고무 × ×
[평가 기준]
○ : 누출이 확인되지 않았다.
△ : 약간의 누출이 확인되었다.
× : 누출이 발생하고, 특히 누름부로부터의 누출이 현저하였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 실시가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점착재 (4) 는 암형 돌기 (22b) 의 내저 (222b) 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적어도 척 (2) 을 기재 필름 (10a, 10b) 에 히트 시일하여 봉투를 제작할 때의 척 누름부 (5) 에 상당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면, 통상, 척 (2) 과 누름부 (5) 의 경계 (5a) 에 발생하는 에어 리크 통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척 (2) 자체에는 다른 적절한 수단을 적용하여 기밀성을 부여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스탠딩 봉투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 장착 봉투의 형상은, 평봉투 등의 임의의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끼워 맞춤식의 척을 내용물의 출입구에 구비하여,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게 한 척 장착 봉투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7)

  1. 수형 돌기가 형성된 수형 부재와, 암형 돌기가 형성된 암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형 돌기와 상기 암형 돌기가, 재밀봉, 재개봉이 가능해지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끼워 맞추는 척으로서,
    상기 수형 돌기의 선단측과 상기 암형 돌기의 내저측의 대향 부위로 팽출하는 탄성 점착재가, 상기 수형 돌기 및/또는 상기 암형 돌기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점착재가, 적어도 척을 봉투 소재에 접착하여 봉투를 제작할 때의 척 누름부에 상당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척.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점착재가, 상기 수형 돌기 및/또는 상기 암형 돌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척.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점착재가, 상기 수형 돌기 및/또는 상기 암형 돌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척.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점착재가, 합성 고무계 중합체와 점착 부여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척.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점착재의 경도가 2 ~ 20N/1㎤ 인 척.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점착재의 점착력이 2 ~ 8N/10㎜ 인 척.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점착재의 점착력이 2 ~ 8N/10㎜ 인 척.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돌기와 상기 암형 돌기가 끼워 맞춰졌을 때에, 상기 탄성 점착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암형 돌기에 작용하는 탄성 지지력에 의해서, 상기 수형 돌기의 숄더부와 상기 암형 돌기의 개구부측의 부위가 밀착되어 있는 척.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돌기와 상기 암형 돌기가 끼워 맞춰졌을 때에, 상기 탄성 점착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암형 돌기에 작용하는 탄성 지지력에 의해서, 상기 수형 돌기의 숄더부와 상기 암형 돌기의 개구부측의 부위가 밀착되어 있는 척.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돌기와 상기 암형 돌기가 끼워 맞춰졌을 때에, 상기 탄성 점착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암형 돌기에 작용하는 탄성 지지력에 의해서, 상기 수형 돌기의 숄더부와 상기 암형 돌기의 개구부측의 부위가 밀착되어 있는 척.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돌기와 상기 암형 돌기가 끼워 맞춰졌을 때에, 상기 탄성 점착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암형 돌기에 작용하는 탄성 지지력에 의해서, 상기 수형 돌기의 숄더부와 상기 암형 돌기의 개구부측의 부위가 밀착되어 있는 척.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돌기와 상기 암형 돌기가 끼워 맞춰졌을 때에, 상기 탄성 점착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암형 돌기에 작용하는 탄성 지지력에 의해서, 상기 수형 돌기의 숄더부와 상기 암형 돌기의 개구부측의 부위가 밀착되어 있는 척.
  14.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돌기와 상기 암형 돌기가 끼워 맞춰졌을 때에, 상기 수형 돌기와 상기 암형 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차지하는 상기 탄성 점착재의 비율이, 척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 있어서의 단면적 비로서, 30 ~ 80% 인 척.
  1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돌기와 상기 암형 돌기가 끼워 맞춰졌을 때에, 상기 수형 돌기와 상기 암형 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차지하는 상기 탄성 점착재의 비율이, 척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 있어서의 단면적 비로서, 30 ~ 80% 인 척.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돌기와 상기 암형 돌기가 끼워 맞춰졌을 때에, 상기 수형 돌기와 상기 암형 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차지하는 상기 탄성 점착재의 비율이, 척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 있어서의 단면적 비로서, 30 ~ 80% 인 척.
  17. 수형 돌기가 형성된 수형 부재와, 암형 돌기가 형성된 암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형 돌기와 상기 암형 돌기가, 재밀봉, 재개봉이 가능해지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끼워 맞춤과 함께,
    상기 수형 돌기의 선단측과 상기 암형 돌기의 내저측의 대향 부위로 팽출하는 탄성 점착재가, 상기 수형 돌기 및/또는 상기 암형 돌기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척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장착 봉투.
KR1020077007687A 2004-10-04 2005-10-03 척 및 척 장착 봉투 KR101215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91869A JP4568069B2 (ja) 2004-10-04 2004-10-04 チャック及びチャック付き袋
JPJP-P-2004-00291869 2004-10-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561A KR20070074561A (ko) 2007-07-12
KR101215249B1 true KR101215249B1 (ko) 2012-12-24

Family

ID=36142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687A KR101215249B1 (ko) 2004-10-04 2005-10-03 척 및 척 장착 봉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65649B2 (ko)
JP (1) JP4568069B2 (ko)
KR (1) KR101215249B1 (ko)
CN (1) CN100563495C (ko)
TW (1) TW200621578A (ko)
WO (1) WO20060385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4478A (ko) * 2005-05-20 2008-03-18 더 글래드 프로덕츠 컴파니 저장 백용 밀폐 디바이스
JP5087219B2 (ja) * 2005-11-08 2012-12-05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咬合具、これを用いた袋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US7857514B2 (en) 2006-12-12 2010-12-28 Reynolds Foil Inc. Resealable closures, polymeric packages and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US20080271298A1 (en) * 2007-01-11 2008-11-06 Benjamin Meager Device for creating a seal between fabrics and/or other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5073453B2 (ja) * 2007-11-07 2012-11-14 株式会社細川洋行 嵌合構造、チャック、再封包装体及び再封包装袋
FR2926289B1 (fr) * 2008-01-14 2013-05-31 S2F Flexico Dispositif de fermeture etanche pour un sachet d'emballage a moyens de confinement
EP2694384B1 (en) * 2011-04-06 2016-06-08 Illinois Tool Works Inc. Scented zipper, reclosable with scented zipper
FR2981052B1 (fr) * 2011-10-10 2015-01-16 S2F Flexico Sachet pour sterilisation
ES2698129T3 (es) * 2013-01-25 2019-01-31 Nite Ize Inc Procedimiento y cremallera extrudida multi-material
JP6126457B2 (ja) * 2013-05-22 2017-05-10 株式会社細川洋行 チャック成型品
WO2015130851A1 (en) 2014-02-25 2015-09-03 Mark Steele Package having a lap or fin seal without an air gap formed adjacent the seal
AU2015358577B2 (en) 2014-12-04 2017-10-19 Tru Zip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zipper slider garage
US11109650B2 (en) 2014-12-04 2021-09-07 Nite Iz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zipper slider garage
US10433620B2 (en) * 2014-12-25 2019-10-08 Ykk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slide fastener chain
CN104886904A (zh) * 2015-05-21 2015-09-09 戴宁杯 一种手机防水袋
CN111433131B (zh) * 2017-12-08 2022-08-16 出光统一科技株式会社 具有夹链带的袋及具有夹链带的袋的制造方法
TWI808179B (zh) * 2018-07-20 2023-07-11 日商出光統一科技股份有限公司 夾鏈帶及附夾鏈帶之容器
EP3858183B1 (en) * 2018-09-27 2023-05-10 Idemitsu Unitech Co., Ltd. Zipper tape and zipper tape-equipped container
JP2020081335A (ja) * 2018-11-22 2020-06-04 タキロンシーアイ株式会社 嵌合具及び嵌合具付き袋体
CA3121894A1 (en) * 2018-12-05 2020-06-11 Nite Iz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zipper slider garage
CN112641174A (zh) * 2020-12-31 2021-04-13 陆境燃 一种稳固抗强拉力拉链
KR20240012811A (ko) * 2022-07-21 2024-01-30 주식회사 스탠드팩 세이프 가드 지퍼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9356A (ja) * 1993-02-04 1994-08-30 Toshio Nishino 気密ファスナ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344251A (ja) * 1999-06-03 2000-12-12 Idemitsu Petrochem Co Ltd 咬合具付き袋
JP2003319806A (ja) * 2002-04-26 2003-11-11 Idemitsu Unitech Co Ltd スライダ、スライダ付き咬合具、およびこの咬合具を備えた密封袋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40696A (en) * 1965-10-22 1969-04-29 Flexigrip Inc Sealing fastener
JPH0576310U (ja) * 1992-03-30 1993-10-19 吉田工業株式会社 気水密性咬合ファスナー
US7305742B2 (en) * 2002-11-13 2007-12-11 Cti Industries Corporation Seal for zippered bag
JP4566527B2 (ja) * 2003-08-08 2010-10-20 日東電工株式会社 再剥離型粘着シ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9356A (ja) * 1993-02-04 1994-08-30 Toshio Nishino 気密ファスナ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344251A (ja) * 1999-06-03 2000-12-12 Idemitsu Petrochem Co Ltd 咬合具付き袋
JP2003319806A (ja) * 2002-04-26 2003-11-11 Idemitsu Unitech Co Ltd スライダ、スライダ付き咬合具、およびこの咬合具を備えた密封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561A (ko) 2007-07-12
JP2006102068A (ja) 2006-04-20
US7765649B2 (en) 2010-08-03
CN101035447A (zh) 2007-09-12
CN100563495C (zh) 2009-12-02
TW200621578A (en) 2006-07-01
JP4568069B2 (ja) 2010-10-27
US20070266532A1 (en) 2007-11-22
WO2006038578A1 (ja) 2006-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249B1 (ko) 척 및 척 장착 봉투
ES2688901T3 (es) Moldes de caucho
JP4856853B2 (ja) チャックテープ及び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袋
JP2016052917A (ja) 可剥性の密封構造
JP2011514918A (ja) 包装用フィルムにおける可剥性複合材の熱可塑性シーラント
WO2006041057A1 (ja) 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袋
KR102332628B1 (ko) 진공의 순차 적용 및 기계적 힘에 의한 경질 기판의 적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6205850A (ja) 試薬入りマイクロプレ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0108972A (ja) 多層フィルム及び再封可能なフィルムパッケージ
JP5092215B2 (ja) 積層体
KR102265006B1 (ko) 접착성 수지 조성물, 불소계 수지 접착용 필름, 적층체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TW202003785A (zh) 撥液層形成用樹脂組成物、以及使用其之撥液性薄膜、撥液性積層體、包裝材料及容器
JP6740837B2 (ja) 再封性およびデッドホールド性を有するシーラントフィルム
JP4044631B2 (ja) 注出口組合体
JP4139498B2 (ja) 自立袋の製造方法
WO2021084373A1 (en) A cold form laminate with high barrier to cross migration of water vapor and oxygen
US20040101657A1 (en) Method of microfluidic construction using composite polymer films
JP4615982B2 (ja) 包装用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42565A (ja) 易開封性シーラント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材料及び容器
JP2018159027A (ja) 表示ラベル用粘着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ラベル
JP2005342323A (ja) チャックテープ、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袋及び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袋の製造方法
JP5306098B2 (ja)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ならびにそれを積層されたエラストマー積層体およびゴム栓
JP2008115294A (ja) 易開封性シーラント樹脂組成物およびフィルム
JP2022099857A (ja) 易開封性共押出フィルム
JP2021160106A (ja) 積層体およびチューブ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