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3484B1 -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채용한 유기 광전 소자 - Google Patents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채용한 유기 광전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484B1
KR101213484B1 KR1020050042189A KR20050042189A KR101213484B1 KR 101213484 B1 KR101213484 B1 KR 101213484B1 KR 1020050042189 A KR1020050042189 A KR 1020050042189A KR 20050042189 A KR20050042189 A KR 20050042189A KR 101213484 B1 KR101213484 B1 KR 101213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nductive polymer
substituted
ionomer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0378A (ko
Inventor
이태우
박종진
김상열
김무겸
한은실
허달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2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484B1/ko
Priority to US11/435,819 priority patent/US7811477B2/en
Priority to JP2006140574A priority patent/JP5331295B2/ja
Priority to CNA2006100827927A priority patent/CN1880377A/zh
Publication of KR20060120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C08L101/04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halogen atom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1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romatic, heteroaromatic, or aryl chains, e.g. polyaniline, polyphenylene or polyphenylene vinylene
    • H10K85/113Hetero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sulfur or selene, e.g. polythiophene
    • H10K85/1135Polyethylene dioxythiophene [PEDOT];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C08L101/06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2Ionic 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4Side-groups
    • C08G2261/142Side-chains containing oxygen
    • C08G2261/1424Side-chain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ether groups, including alkox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4Side-groups
    • C08G2261/146Side-chains containing halo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romatic monomer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5Hole transporting layers comprising dop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4Of fluorinate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4Of fluorinate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544Addition polymer is perhalogen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고분자 및 이오노머(ionomer)를 포함하는 고분자 조성물 및 상기 고분자 조성물을 포함한 광전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전도성 고분자와의 물리적 가교능을 가지는 이오노머를 전도성 고분자에 도핑하여 제조되어 흡습성이 작고 또한 전도성 고분자의 도핑효과가 크고, 전자와의 반응에 의해 분해되는 잔기의 함량이 작으며, 상기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포함한 광전 소자는 고효율 및 장수명의 특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채용한 유기 광전 소자{Compositions of conducting polymers and the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도 1a 내지 도 1d는 일반적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제1전극 11... 정공 주입층
12... 발광층 13... 정공 억제층
14... 제2전극 15... 전자 수송층
16... 정공 수송층
본 발명은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상기 고분자 조성물을 포함한 광전 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오노머에 의한 전도성 고분자의 도핑효과가 크며, 흡습성이 작고, 전자와의 반응에 의해 분해되는 잔기의 함량이 작으며, 전도성 고분자와의 물리적 가교능을 가지는 이오노머를 전도성 고분자에 도핑한 고분자 조 성물을 사용하여 고효율 및 장수명을 갖는 광전 소자에 관한 것이다.
광전 소자라 함은 넓은 의미로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거나, 그와 반대로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변환하는 소자로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태양 전지, 트랜지스터 등이 그 예이다. 현재, 이러한 광전 소자의 전극에서 생성하는 전하, 즉 정공 및 전자를 광전 소자 내로 원할하게 수송하여 소자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전도성 고분자 막의 형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형광성 또는 인광성 유기 화합물 박막(이하, 유기막이라고 함)에 전류를 흘려주면, 전자와 정공이 유기막에서 결합하면서 빛이 발생하는 현상을 이용한 능동 발광형 표시 소자로서, 효율 향상 및 구동 전압 저하를 위하여 유기층으로서 단일 발광층만을 사용하지 않고 여기에 전도성 고분자 를 이용한 정공 주입층, 발광층, 전자 주입층 등과 같은 다층 구조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바이에르 아크티엔 게젤샤프트(Bayer AG) 사에서 제조되어 베이트론-피(Baytron-P)라는 제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PEDOT(폴리(3,4-에틸렌 디옥시티오펜))-PSS(폴리(4-스티렌설포네이트)) 수용액은, ITO(인듐주석산화물) 전극 위에 스핀코팅하여 정공 주입층을 형성하려는 목적으로 유기 발광 소자의 제작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정공 주입 물질인 이 PEDOT-PSS는 하기의 구조를 갖는다.
Figure 112005026345234-pat00001
상기와 같이, 폴리(4-스티렌 설포네이트)(PSS)의 고분자산(polyacid)을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의 전도성 고분자에 도핑시킨 PEDOT/PSS의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이용하여 정공 주입층을 형성하는 경우, PSS는 수분을 잘 흡수하여 수분 제거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사용하기 곤란하고, 전자와의 반응에 의해서 분해되어 설페이트(Sulfate) 등과 같은 물질을 방출하여 인접한 유기막, 예를 들면 발광층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정공 주입층으로부터 유래된 물질의 발광층으로의 확산은 엑시톤 소멸 (exciton quenching)을 야기하여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효율 및 수명 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와 같은 광전 소자에 있어서, 만족할 만한 효율 및 수명을 얻기 위한 신규한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첫번째 기술적 과제는 이오노머의 전도성 고분자에 대한 도핑효과가 크고, 흡습성이 작으며, 전자와의 반응에 의해 분해되는 잔기의 함량이 작고, 전도성 고분자와의 가교능을 가지는 이오노머를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두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전도성 박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세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전도성 고분자 박막을 채용하여 고효율 및 장수명을 갖는 광전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첫번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전도성 고분자;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제1 이오노머를 한종 이상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5026345234-pat00002
상기 식에서,
0 < m < 10,000,000, 0 < n < 10,000,000, 0 ≤ p < 10,000,000, 0 ≤ a ≤ 20, 0 ≤ b ≤ 20, 0 ≤ c ≤ 20 이고,
A, B, A', B',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C, Si, Ge, Sn, 또는 Pb에서 선택되고,
R1, R2, R3, R4, R1', R2', R3', R4', R1", R2",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니트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 시아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의 헤테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의 헤테로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의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의 헤테로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의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C20의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C30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의 알킬에스테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의 헤테로알킬에스테르기 ,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아릴에스테르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헤테로아릴에스테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단, R1, R2, R3, R4, R1', R2', R3' 및 R4'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은 이온기이거나, 이온기를 포함하고,
X, X' 및 X"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순 결합, O, S,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의 헤테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아릴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의 헤테로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의 헤테로아릴알킬렌 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C20의 사이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아릴에스테르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헤테로아릴에스테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상기 두번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전도성 박막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세번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전도성 박막을 포함하는 광전 소자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도성 고분자;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이오노머를 한종 이상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5026345234-pat00003
상기 식에서, m, n, p, a, b, c, R1, R2, R3, R4, R1', R2', R3', R4', R1 ", R2 ", R3 ", R4", X, X' 및 X"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이오노머는 통상 이온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지칭하며, 위의 화학식으로 표 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이오노머는 상기 화학식 1에서 반복 단위마다 상이한 이온기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한 단위에 대해서는 산도가 낮은 이온기가 낮은 흡습성의 특성을 부여하고, 다른 단위에 대해서는 산도가 높은 이온기가 전도성 고분자의 도핑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도입된다.
0 < p < 10,000,000 인 경우, 본 발명의 이오노머는 이온기를 갖지 않는 비이온성 단량체와 함께 공중합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이오노머 내의 이온기의 함량이 적절한 범위로 감소되고 그 결과 전자와의 반응에 의해 분해되는 잔기의 함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비이온성 공단량체의 함량은 전체 단량체 100몰%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몰% 내지 99 몰% (즉, 0.001 < p/(m+n+p) < 0.99),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몰% (즉, 0.001 < p/(m+n+p) < 0.5)이다. 상기 공단량체의 함량이 0.1 몰%보다 작은 경우에는 비이온기의 역할을 할 수 없으며, 99 몰% 보다 큰 경우에는 이온기가 작아 도핑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상기 전도성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제1 이오노머 100 내지 5,0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1,70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고분자의 함량이 100 중량부보다 작은 경우는 도핑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고 물에 분산이 잘 안될 수 있고 박막의 상태가 안좋게 형성될 수 있으며, 5,000 중량부보다 큰 경우에는 전도성이 크게 떨어지는 이유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은 제1 이오노머는 상기 화학식 1의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이오노머를 한종 이상 포함하는 바, 바람직하게는 1종 내지 3종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오노머의 종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박막 형성시 상분리가 발생할 소지가 있는 등 박막의 특성을 조절하기가 쉽지 않은 관계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전도성 고분자로는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PEDOT),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아세틸렌, 폴리페닐렌, 폴리페닐렌비닐렌 또는 폴리티오펜 등이 있으며, 특히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폴리아닐린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도성 고분자가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PEDOT),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아세틸렌, 폴리페닐렌, 폴리페닐렌비닐렌 및 폴리티오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고분자의 공중합체이거나 블렌드를 사용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화학식 1의 R1, R2, R3, R4, R1', R2', R3', 및 R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소가 이온기로 치환되거나 이온기 자체가 B 또는 B'에 직접 치환될 수 있는데, 이때 치환되는 음이온기는 PO3 2-, SO3 -, COO-, I-, CH3COO- 등이 가능하며, 이 이온기의 짝이온으로는 Na+, K+, Li+, Mg+2, Zn+2, Al+3 과 같은 금속 이온, H+, NH4 +, CH3(-CH2-)nO+ (n은 0 내지 50의 정수)과 같은 유기 이온이 가능하다.
또한, 이들 음이온기는 각 단량체를 기준으로 서로 상이한 산도의 이온기를 갖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R1, R2, R3, R4 중 어느 하나가 PO3 2-인 경우, R1', R2', R3', 및 R4' 중 어느 하나는 SO3 -, COO-, I-, CH3COO- 중의 하나의 이온기를 선택하여 치환될 수 있고, SO3 -인 경우, R1', R2', R3', 및 R4' 중 어느 하나는 COO-, I-, CH3COO- 중의 하나의 이온기를 선택하여 치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전도성 고분자와 이오노머의 가교능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물리적 가교제 및/또는 화학적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가교제라 함은 화학적인 결합이 없이 물리적으로 고분자 사슬간에 가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히드록시기(-OH)를 포함하는 저분자 또는 고분자 화합물을 말한다. 구체적인 예로는, 글리세롤, 부탄올의 저분자 화합물과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고분자 화합물이 있다. 이외에도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olidone)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리적 가교제의 함량은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5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중량부이다. 상기 함량이 0.001 중량부 보다 작은 경우에는 양이 적어서 가교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으며, 5 중량부 보다 크면 전도성 고분자 필름의 박막 모폴로지가 안좋아 지는 이유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화학적 가교제라 함은 화학적으로 가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인 시튜 중합 (in-situ polymerization)이 가능하며 IPN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을 형성할 수 있는 화학 물질을 말한다. 실란계열 물질이 많이 사용되며 그 구체적인 예로는 테트라에틸옥시실란(TEOS)이 있다. 이외에도 폴리아지리딘(Polyaziridine), 멜라민(Melamine)계, 에폭시(Epoxy)계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학적 가교제의 함량은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부이다. 상기 함량이 0.001 중량부 보다 작은 경우에는 가교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으며50 중량부 보다 크면 전도성 고분자의 전도성을 크게 떨어뜨리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1의 반복 단위를 갖는 이오노머의 구체적인 예로서, 하기 화학식 2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5026345234-pat00004
식중, 0 < m < 10,000,000, 0 < n < 10,000,000, 0 ≤ a ≤ 20, 0 ≤ b ≤ 20, x, y 및 z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5의 수이고, M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나트륨이다.
Figure 112005026345234-pat00005
식중, 0 < m < 10,000,000, 0 < n < 10,000,000, M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나트륨이다.
Figure 112005026345234-pat00006
식중, 0 < m < 10,000,000, 0 < n < 10,000,000, 0 ≤ p < 10,000,000, M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나트륨이다.
본 발명에서의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전도성 고분자와 제1 이오노머 이외에 제2 이오노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이오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1의 이오노머에서 1 ≤ m ≤ 10,000,000, n = 0, p = 0인 이오노머를 한종 이상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오노머의 다른 예로서는 상기 화학식 1의 반복단위에서, 1 ≤ m ≤ 10,000,000, 1 ≤ n ≤ 10,000,000, p = 0 인 탄화수소계, 탄화불소계 또는 실리콘계 고분자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이오노머가 탄화불소계인 경우에는 과불화(perfluorinated) 이오노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과불화 제2 이오노머로서는 상기 화학식 2 또는 3의 반복단위를 갖는 이오노머가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5의 구조를 갖는 이오노머가 가장 좋다.
Figure 112005026345234-pat00007
식중, 0 < m < 10,000,000, 0 < n < 10,000,000, M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나트륨이다.
이와 같은 제2 이오노머는 상기 제1 이오노머와 마찬가지로 상기 전도성 고분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5,0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1,700의 범위로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오노머의 함량이 100중량부보다 작은 경우에는 제2 이오노머를 첨가함으로 인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5,00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치환기인 비치환된 알킬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으로서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iso-아밀, 헥실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알킬중기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NH2, -NH(R), -N(R')(R''), R'과 R"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임), 아미디노기, 히드라진, 또는 히드라존기 카르복실기, 술폰산기, 인산기, C1-C20의 알킬기, C1-C20의 할로겐화된 알킬기, C1-C20의 알케닐기, C1-C20의 알키닐기, C1-C20의 헤테로알킬기, C6-C20의 아릴기, C6-C20의 아릴알킬기, C6-C20의 헤테로아릴기, 또는 C6-C20의 헤테로아릴알킬기로 치환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치환기인 헤테로알킬기는, 상기 알킬기의 주쇄 중의 탄소원자 중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개의 탄소원자가 산소원자, 황원자, 질소원자, 인원자 등과 같은 헤테로 원자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치환기인 아릴기는 하나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카보사이클 방향족 시스템을 의미하며, 상기 고리들은 펜던트 방법으로 함께 부착되거나 또는 융합(fused)될 수 있다. 아릴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페닐, 나프틸, 테트라히드로나프틸 등과 같은 방향족 그룹을 들 수 있고, 상기 아릴기 중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상기 알킬기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치환기로 치환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치환기인 헤테로아릴기는 N, O, P 또는 S 중에서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고, 나머지 고리 원자가 C인 고리원자수 5 내지 30의 고리 방향족 시스템을 의미하며, 상기 고리들은 펜던트 방법으로 함께 부착되거나 또는 융합(fused)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테로아릴기중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상기 알킬기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치환기로 치환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치환기인 알콕시기는 라디칼 -O-알킬을 말하고, 이때 알킬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구체적인 예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부틸옥시, sec-부틸옥시, 펜틸옥시, iso-아밀옥시, 헥실옥시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알콕시기중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상기 알킬기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치환기로 치환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치환기인 헤테로알콕시기는 1개 이상의 헤테로 원자 예를 들어 산소, 황 또는 질소가 알킬 사슬 내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면 본질적으로 상기 알콕시의 의미를 가지며, 예를 들면 CH3CH2OCH2CH2O-, C4H9OCH2CH2OCH2CH2O- 및 CH3O(CH2CH2O)nH 등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치환기인 아릴알킬기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아릴기에서 수소원자중 일부가 저급알킬,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등과 같은 라디칼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벤질, 페닐에틸 등이 있다. 상기 아릴알킬기중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상기 알킬기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치환기로 치환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헤테로아릴알킬기는 헤테로아릴기의 수소 원자 일부가 저급 알킬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하며, 헤테로아릴알킬기중 헤테로아릴에 대한 정의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헤테로아릴알킬기중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상기 알 킬기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치환기로 치환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릴옥시기는 라디칼 -O-아릴을 말하고, 이때 아릴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구체적인 예로서 페녹시, 나프톡시, 안트라세닐옥시, 페난트레닐옥시, 플루오레닐옥시, 인데닐옥시 등이 있고, 아릴옥시기중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상기 알킬기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치환기로 치환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헤테로아릴옥시기는 라디칼 -O-헤테로아릴을 말하며, 이때 헤테로아릴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헤테로아릴옥시기의 구체적인 예로서, 벤질옥시, 페닐에틸옥시기 등이 있고, 헤테로아릴옥시기중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상기 알킬기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치환기로 치환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사이클로알킬기는 탄소원자수 5 내지 30의 1가 모노사이클릭 시스템을 의미한다. 상기 사이클로알킬기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상기 알킬기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치환기로 치환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는 N, O, P 또는 S 중에서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나머지 고리원자가 C인 고리원자수 5 내지 30의 1가 모노사이클릭 시스템을 의미한다. 상기 사이클로알킬기중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상기 알킬기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치환기로 치환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알킬에스테르기는 알킬기와 에스테르기가 결합되어 있는 작용기를 의미하며, 이때 알킬기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헤테로알킬에스테르기는 헤테로알킬기와 에스테르기가 결합되어 있는 작용기를 의미하며, 상기 헤테로알킬기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릴에스테르기는 아릴기와 에스테르기가 결합되어 있는 작용기를 의미하며, 이때 아릴기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헤테로아릴에스테르기는 헤테로아릴기와 에스테르기가 결합되어 있는 작용기를 의미하며, 이때 헤테로아릴기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미노기는 -NH2, -NH(R) 또는 -N(R')(R'')을 의미하며, R'과 R"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할로겐은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또는 아스타틴이며, 이들 중에서 불소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모든 치환기들에서 탄소원자에 결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수소원자는 할로겐원자, 바람직하게는 불소 원자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광전 소자에 채용될 수 있으며, 상기 광전 소자의 구체적인 예로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유기 태양 전지, 유기 트랜지스터, 그리고 유기 메모리 소자 등이 있다.
특히,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서는 상기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이 전하, 즉 정공 또는 전자 주입층에 이용되어, 발광 고분자로 정공 및 전자를 균형적이고 효율적으로 주입함으로써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발광 세기와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유기 태양 전지의 경우도 전도성 고분자를 전극이나 전극 버퍼층으로 사용하여 양자효율을 증가시키는 목적으로 사용하며 유기 트랜지스터의 경우도 게이트, 소스-드레인 전극등에서 전극 물질로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채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와, 이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적층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제1전극(10) 상부에 발광층(12)이 적층되고, 상기 전극과 발광층 사이에 본 발명의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포함하는 정공 주입층(HIL)(또는 "버퍼층"이라고 명명하기도 함)(11)이 적층되고, 상기 발광층(12) 상부에 정공억제층(HBL)(13)이 적층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제2전극(14)이 형성된다.
도 1b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발광층(12) 상부에 형성된 정공억제층(HBL)(13) 대신에 전자수송층(ETL)(15)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a의 경우와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갖는다.
도 1c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발광층(12) 상부에 형성된 정공억제층(HBL)(13) 대신에 정공 억제층(HBL)(13)과 전자 수송층(15)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2층막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a의 경우와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갖는다.
도 1d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정공 주입층(11)과 발광층(12) 사이에 정공 수송층(16)을 더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c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이 때 정공 수송층(16)은 정공 주입층(11)으로부터 발광층(12) 으로의 불순물 침투를 억제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도 1a 내지 1d의 적층 구조를 갖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통상적인 제작방법에 의하여 형성가능하며 그 제작방법이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작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판(미도시) 상부에 패터닝된 제1전극(10)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기판은 통상적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서 사용되는 기판을 사용하는데, 투명성, 표면평활성, 취급용이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유리기판 또는 투명 플라스틱 기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판의 두께는 0.3 내지 1.1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전극(10)의 형성 재료는 특별하게 제한되지는 않는다. 만약 제1전극이 양극(cathode)인 경우에는 양극은 정공 주입이 용이한 전도성 금속 또는 그 산화물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인 예로서,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니켈(Ni), 백금(Pt), 금(Au), 이리듐(Ir) 등을 사용한다.
상기 제1전극(10)이 형성된 기판을 세정한 다음, UV 오존 처리를 실시한다. 이 때 세정방법으로는 이소프로판올(IPA), 아세톤 등의 유기용매를 이용한다.
세정된 기판의 제1전극(10) 상부에 본 발명의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포함하는 정공 주입층(11)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정공 주입층(11)을 형성하면, 제1전극(10)과 발광층(12)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발광층(12)에 대한 제1전극(10)의 정공 수송능력이 향상되어 소자의 구동전압과 수명 특성이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정공 주입층(11)은 본 발명의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용매에 용해시켜 제조한 정공 주입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1전극(10) 상부에 스핀코팅한 다음, 이를 건조하여 형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정공 주입층 형성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과의 비를 1:1내지 1:30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중량을 물이나 알코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0.5 내지 10 중량%로 희석하여 사용한다.
이때 사용되는 용매로는 상기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다 사용가능하며, 구체적인 예로서, 물, 알코올, 디메틸포름아미드 (DMF), 톨루엔, 크실렌, 클로로벤젠 등을 사용한다
여기에서 상기 정공 주입층(11)의 두께는 5 nm 내지 100 nm, 바람직하게는 20 nm 내지 70 nm 일 수 있다. 이 중, 50nm의 두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정공 주입층의 두께가 5 nm 미만인 경우, 너무 얇아서 정공 주입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정공 주입층의 두께가 100 nm 를 초과하는 경우 빛의 투과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정공 주입층(11) 상부로는 발광층(12)을 형성한다. 발광층을 이루는 물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옥사디아졸 다이머 염료(oxadiazole dimer dyes(Bis-DAPOXP)), 스피로 화합물(spiro compounds)(Spiro-DPVBi, Spiro-6P), 트리아릴아민 화합물(triarylamine compounds), 비스(스티릴)아민(bis(styryl)amine)(DPVBi, DSA), Flrpic, CzTT, Anthracene, TPB, PPCP, DST, TPA, OXD-4, BBOT, AZM-Zn등 (이상 청색), 쿠마린 6(Coumarin 6), C545T, 퀴나크리 돈(Quinacridone), Ir(ppy)3 등 (이상 녹색), DCM1, DCM2, Eu(thenoyltrifluoroacetone)3 (Eu(TTA)3, 부틸-6-(1,1,7,7-테트라메틸 줄로리딜-9-에닐)-4H-피란){butyl-6-(1,1,7,7,-tetramethyljulolidyl-9-enyl)-4H-pyran: DCJTB} 등 (이상 적색)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분자 발광 물질로는 페닐렌(phenylene)계, 페닐렌 비닐렌(phenylene vinylene)계, 티오펜(thiophene)계, 플루오렌(fluorene)계 및 스피로플루오렌(spiro-fluorene)계 고분자 등과 같은 고분자와 질소를 포함하는 방향족 화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광층(12)의 두께는 10nm 내지 500nm, 바람직하게는 50nm 내지 12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도, 특히 청색 발광층의 두께는 70nm일 수 있다. 만약 발광층의 두께가 10nm 미만인 경우에는 누설전류가 증가하여 효율이 감소하고 수명이 감소하며, 500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구동전압 상승폭이 높아져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발광층 형성용 조성물에 도펀트 (dopant)를 더 부가하기도 한다. 이 때 도펀트의 함량은 발광층 형성 재료에 따라 가변적이지만, 일반적으로 발광층 형성 재료(호스트와 도펀트의 총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30 내지 8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도펀트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EL 소자의 발광 특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도펀트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릴아민, 페릴계 화합물, 피롤계 화합물, 히드라존계 화합물, 카바졸계 화합 물, 스틸벤계 화합물, 스타버스트계 화합물, 옥사디아졸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정공 주입층(11)과 발광층(12) 사이에는 정공 수송층(16)을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정공 수송층을 이루는 물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정공 수송 역할을 하는 카바졸기 및/또는 아릴아민기를 갖는 화합물, 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및 트리페닐렌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공 수송층은 1,3,5-트리카바졸릴벤젠, 4,4'-비스카바졸릴비페닐, 폴리비닐카바졸, m-비스카바졸릴페닐, 4,4'-비스카바졸릴-2,2'-디메틸비페닐, 4,4',4"-트리(N-카바졸릴)트리페닐아민, 1,3,5-트리(2-카바졸릴페닐)벤젠, 1,3,5-트리스(2-카바졸릴-5-메톡시페닐)벤젠, 비스(4-카바졸릴페닐)실란, N,N'-비스(3-메틸페닐)-N,N'-디페닐-[1,1-비페닐]-4,4'디아민(TPD),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 벤지딘(α-NPD), N,N'-디페닐-N,N'-비스(1-나프틸)-(1,1'-비페닐)-4,4'-디아민(NPB), IDE320(이데미쯔사), 폴리(9,9-디옥틸플루오렌-co-N-(4-부틸페닐)디페닐아민)(poly(9,9-dioctylfluorene-co-N-(4-butylphenyl)diphenylamine) (TFB) 및 폴리(9,9-디옥틸플루오렌-co-비스-N,N-페닐-1,4-페닐렌디아민(poly(9,9-dioctylfluorene-co-bis-(4-butylphenyl-bis-N,N-phenyl-1,4-phenylenediamin) (PFB)로 이루어진 화합물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5026345234-pat00008
상기 정공 수송층은 1 nm 내지 100 nm, 바람직하게는 5 nm 내지 50 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 중, 30 nm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공 수송층의 두께가 1 nm 미만인 경우 너무 얇아서 정공 수송 능력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정공 수송층의 두께가 100 nm를 초과하는 경우 구동전압이 상승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발광층(12) 상부에는 증착 또는 스핀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정공 억제층(13) 및/또는 전자수송층(15)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정공 억제층(13)은 발광물질에서 형성되는 엑시톤이 전자수송층(15)으로 이동되는 것을 막아주거나 정공이 전자수송층(15)으로 이동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공억제층(13)의 형성재료로는 페난트롤린(phenanthrolines)계 화합물(예: UDC사, BCP), 이미다졸계 화합물, 트리아졸(triazoles)계 화합물, 옥사디아졸 (oxadiazoles)계 화합물(예: PBD), 알루미늄 착물(aluminum complex)(UDC사) 하기 구조식의 BAlq 등을 사용한다.
Figure 112005026345234-pat00009
Figure 112005026345234-pat00010
페난트롤린 함유 유기 화합물 이미다졸 함유 유기 화합물
Figure 112005026345234-pat00011
Figure 112005026345234-pat00012
트리아졸 함유 유기 화합물 옥사디아졸 함유 화합물
Figure 112005026345234-pat00013
BAlq
상기 전자수송층(15)의 형성 재료로는 옥사졸계 화합물, 이소옥사졸계 화합물, 트리아졸계 화합물, 이소티아졸(isothiazole)계 화합물, 옥사디아졸계 화합물, 티아다아졸(thiadiazole)계 화합물, 페릴렌(perylene)계 화합물, 알루미늄 착물(예: Alq3(트리스(8-퀴놀리놀라토)-알루미늄(tris(8-quinolinolato)-aluminium) BAlq, SAlq, Almq3, 갈륨 착물(예: Gaq'2OPiv, Gaq'2OAc, 2(Gaq'2))을 사용한다.
Figure 112005026345234-pat00014
페릴렌계 화합물
Figure 112005026345234-pat00015
Figure 112005026345234-pat00016
Alq3 BAlq
Figure 112005026345234-pat00017
Figure 112005026345234-pat00018
SAlq Almq3
Figure 112005026345234-pat00019
ocument.5.0
Figure 112005026345234-pat00020
Gaq'2OPiv Gaq'2Oac
Figure 112005026345234-pat00021
2(Gaq'2)
상기 정공 억제층의 두께는 5 nm 내지 100 nm이고, 상기 전자 수송층의 두께는 5 nm 내지 100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정공 억제층의 두께와 전자 수송층의 두께를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전자수송능력이나 정공 억제능력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어서, 상기 결과물에 제2전극(14)를 형성하고, 상기 결과물을 봉지하여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완성한다.
상기 제2전극(14)의 형성재료는 특별하게 제한되지는 않고, 일 함수가 작은 금속 즉, Li, Cs, Ba, Ca, Ca/Al, LiF/Ca, LiF/Al, BaF2/Ca, Mg, Ag, Al이나 이들의 합금 혹은 이들의 다중층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2전극(14)의 두께는 50 내지 3000 Å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작은 특별한 장치나 방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통상의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제작방법에 따라 제작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PEDOT 전도성 고분자 이오노머의 조성물
하기 화학식 6의 이오노머를 (주)다우케미칼로부터 구매하여 혼합용매 (물 : 에탄올 = 4 : 6)에 1.0 wt%로 용해하였다. 그 후 PEDOT을 기존에 알려진 합성 방법 [Greonendaal et al. Advanced Materials, Vol. 12, p481, 2000]에 따라서 중합하였다. 즉, 상업적으로 3,4-에틸렌디옥시티오펜(Ethylenedioxythiophene; EDOT)을 판매하고 있는 H.C. Starck사의 상품명 Baytron M 을 구입하여, 화학적 산화 중합(Oxidative Chemical Polymerization)에 의해서 상기 용액 안에서 화학식 6의 이오노머의 중량대비 10%의 중량 비율로 EDOT을 중합시켜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Figure 112005026345234-pat00022
식중, a =1, b = 1, x = 1, y = 1, z = 1, M은 H이고, m = 5, n = 5이다.
실시예 2: PANI 전도성 고분자 이오노머의 조성물
상기 화학식 6의 이오노머를 (주)다우케미칼로부터 구매하여 물 및 2-프로판올의 혼합용매(4 : 6) 에 2.0wt%로 용해하였다. 그 후 폴리아닐린(Polyaniline, PANI)을 캠퍼 술폰산(camphor sulfonic acid)으로 도핑시켜서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에 상기 2.0wt%로 용해된 이오노머를 중합된 PANI와의 중량비 1:6으로 혼합해서 목적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3: PEDOT 전도성 고분자 이오노머의 조성물 2
하기 화학식 7의 이오노머 즉, 폴리(4-스타이렌술폰산-co-말레산)을 (주)알드리치로부터 구입하여 물에 2.0wt%로 용해하였다. 그 후 PEDOT을 기존에 알려진 합성 방법 [Greonendaal et al. Advanced Materials, Vol. 12, p481, 2000]에 따라서 중합시켰다. 그 후에 상기 2.0wt%로 용해된 이오노머를 중합된 PEDOT과의 중량비 1:10으로 혼합해서 목적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Figure 112005026345234-pat00023
식중, m = 100, n = 200, M = H이다.
실시예 4: PEDOT 전도성 고분자 이오노머의 조성물
하기 화학식 8 (소위, NAFION)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 5wt%로 물과 알코올(2-propanol)의 4.5:5.5 혼합용매에 용해되어 있는 이오노머를 (주)시그마-알드 리치사(Sigma-Aldrich Co.)로부터 구입하였다. 그 후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용질의 무게 비가 1:1이 되면서 전체 고형분을 물과 2-프로판올의 혼합 용매에 1.5wt%가 되도록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5026345234-pat00024
상기에서 x=5-11, y=1, z=1
실시예 5 :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작
코닝(Corning) 15Ω/cm2 (1200 Å) ITO 유리 기판을 50mm x 50mm x0.7mm 크기로 잘라서 이소프로필 알코올과 순수 물 속에서 각 5 분 동안 초음파 세정한 후, 30분 동안 UV, 오존 세정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기판 상부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전도성 고분자 수용액 2 중량%를 스핀 코팅하여 50 nm 두께의 정공 주입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정공 주입층 상부에 PFB(Dow Chemical사 제품인 정공 수송 물질)를 스핀코팅하여 10nm 두께의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정공 수송층 상부에 청색 발광 물질인 스피로플루오렌계 발광고분자로 70nm 두께의 발광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발광층 상부에 BaF2를 증착하여 4 nm 두께의 전자 주입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전자 주입층 상부에 제 2 전극으로서 Ca 2.7nm, Al 250nm를 형성하여,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이때 실시예 4로부터 제조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샘플 A라고 한다.
비교예
정공 주입층 형성 물질로 (주)바이에르(Bayer)의 제품명 Batron P 4083인 PEDOT/PSS의 수용액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 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작하였다. 이때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샘플 B라고 한다.
평가예 1 - 효율 특성 평가
상기 샘플 A 및 샘플 B의 효율을 SpectraScan PR650 스펙트로라디오메터(spectroradi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샘플 A는 18 cd/A의 효율을 나타내었으며, 샘플 B는 10 cd/A의 효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50 %의 효율 향상을 보인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로 형성된 정공 주입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우수한 발광 효율을 가짐을 알 수 있다.
평가예 2 - 수명 특성 평가
상기 샘플 A 및 샘플 B에 대하여 수명 특성을 평가하였다. 수명 특성 평가는 포토다이오드(photodiode)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라 휘도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하는데, 최초 발광 휘도가 50%까지 감소하는 시간으로서 나타낼 수 있다.
샘플 A의 경우 800 cd/m2의 휘도를 초기휘도로 구동하였을 때 약 1500 시간의 수명 특성을 갖고, 샘플 B의 경우 약 400 시간의 수명 특성을 갖는 바, 본 발명을 따르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비하여 약 150% 향상된 수명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흡습성이 작고, 전자와의 반응에 의해 분해되는 잔기의 함량이 작으며, 전도성 고분자와의 가교능을 가지는 이오노머를 전도성 고분자에 도핑하여 제조되어, 상기 고분자 조성물을 포함한 광전 소자는 고효율 및 장수명의 특성을 갖는다.

Claims (18)

  1.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PEDOT),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아세틸렌, 폴리페닐렌, 폴리페닐렌비닐렌, 폴리티오펜,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블렌드인 전도성 고분자;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중합도 10 내지 10,000,000의 제1 이오노머를 한종 이상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1094064447-pat00025
    상기 식에서,
    0 < m < 10,000,000, 0 < n < 10,000,000, 0 ≤ p < 10,000,000, 0 ≤ a ≤ 20, 0 ≤ b ≤ 20, 0 ≤ c ≤ 20 이고,
    A, B, A', B', A" 및 B"는 C이고,
    R1, R2, R3, R4, R1', R2', R3', R4', R1", R2",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의 헤테로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의 알킬에스테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단, R1, R2, R3, R4, R1', R2', R3' 및 R4' 중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은 이온기이거나, 이온기를 포함하고,
    X, X' 및 X"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순 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의 알킬렌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치환된 알킬기, 치환된 알킬렌기, 치환된 알콕시기, 치환된 아릴기, 치환된 헤테로알콕시기 및 치환된 알킬에스테르기에서 상기 알킬기, 알킬렌기, 알콕시기, 아릴기, 헤테로알콕시기 및 알킬에스테르기의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NH2, -NH(R), -N(R')(R''), R'과 R"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임), 아미디노기, 히드라진, 또는 히드라존기 카르복실기, 술폰산기, 인산기, C1-C20의 알킬기, C1-C20의 할로겐화된 알킬기, C1-C20의 알케닐기, C1-C20의 알키닐기, C1-C20의 헤테로알킬기, C6-C20의 아릴기, C6-C20의 아릴알킬기, C6-C20의 헤테로아릴기, 또는 C6-C20의 헤테로아릴알킬기로 치환되어 있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제1 이오노머가 100 내지 3,00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반복단위를 갖는 제1 이오노머가 하기 화학식 2,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의 반복단위를 갖는 이오노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1094064447-pat00026
    식중, 0 < m < 10,000,000, 0 < n < 10,000,000, 0 ≤ a ≤ 20, 0 ≤ b ≤ 20, x, y 및 z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5의 정수이고, M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나트륨이다;
    <화학식 3>
    Figure 112011094064447-pat00027
    식중, 0 < m < 10,000,000, 0 < n < 10,000,000, M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나트륨이다;
    <화학식 4>
    Figure 112011094064447-pat00028
    식중, 0 < m < 10,000,000, 0 < n < 10,000,000, 0 ≤ p < 10,000,000, M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나트륨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제1 이오노머와는 상이한 구조를 갖는 상기 화학식 1의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중합도 10 내지 10,000,000의 제2 이오노머를 1종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오노머가 상기 화학식 1에서 m=1, n=0 및 p=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오노머가 과불화 이오노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오노머가 하기 화학식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화학식 5>
    Figure 112005026345234-pat00029
    식중, 0 < m < 10,000,000, 0 < n < 10,000,000, M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나트륨이다.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기가 PO3 2-, SO3 -, COO-, I-, CH3COO-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음이온기 및 Na+, K+, Li+, Mg+2, Zn+2 , Al+3 과 같은 금속 이온, H+, NH4 +, CH3(-CH2-)nO+ (n은 1 내지 50의 정수)과 같은 유기 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음이온기와 짝을 이루는 양이온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겐 원자가 불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글리세롤(glycerol), 부탄올(butanol), 폴리비닐 알코올 (polyvinylalcohol), 폴리에틸렌글리콜 (polyethyleneglycol),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olidone)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및/또는 테트라에틸옥시실란(TEOS), 폴리아지리딘(Polyaziridine)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항 내지 제7항 및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전도성 박막.
  17. 제16항의 전도성 박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소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 소자가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유기 태양 전지,유기 트랜지스터 및 유기 메모리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소자.
KR1020050042189A 2005-05-19 2005-05-19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채용한 유기 광전 소자 KR101213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189A KR101213484B1 (ko) 2005-05-19 2005-05-19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채용한 유기 광전 소자
US11/435,819 US7811477B2 (en) 2005-05-19 2006-05-18 Composition of conducting polymer and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JP2006140574A JP5331295B2 (ja) 2005-05-19 2006-05-19 導電性高分子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光電素子
CNA2006100827927A CN1880377A (zh) 2005-05-19 2006-05-19 导电聚合物组合物以及应用它的有机光电器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189A KR101213484B1 (ko) 2005-05-19 2005-05-19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채용한 유기 광전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378A KR20060120378A (ko) 2006-11-27
KR101213484B1 true KR101213484B1 (ko) 2012-12-20

Family

ID=37447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189A KR101213484B1 (ko) 2005-05-19 2005-05-19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채용한 유기 광전 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11477B2 (ko)
JP (1) JP5331295B2 (ko)
KR (1) KR101213484B1 (ko)
CN (1) CN188037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484B1 (ko) * 2005-05-19 2012-1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채용한 유기 광전 소자
KR101386215B1 (ko) * 2006-06-07 2014-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채용한 유기 광전 소자
US20080191616A1 (en) * 2006-06-20 2008-08-14 Lonergan Mark C Polymer light-emitting devices based on interfaces enables by internally compensated doped conjugated ionomers
US8242356B2 (en) * 2007-04-27 2012-08-14 Srini Balasubramanian Organic photovoltaic cells
US8183319B2 (en) * 2007-10-31 2012-05-22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Film forming additive formulations of conductive polymers
KR101041548B1 (ko) 2007-11-30 2011-06-15 제일모직주식회사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 소자
KR101212672B1 (ko) * 2008-12-26 2012-12-14 제일모직주식회사 전도성 고분자,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전도성 고분자 유기막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KR101025668B1 (ko) 2008-12-26 2011-03-30 이성민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대전방지 고분자 필름
KR101813650B1 (ko) 2009-07-08 2017-12-29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도전성 고분자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311933B1 (ko) * 2009-12-29 2013-09-27 제일모직주식회사 전도성 고분자 중합체,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막 및 이를 이용한 유기광전소자
CN103681768B (zh) * 2013-12-20 2017-01-11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Oled显示器件及其制备方法、oled显示装置
KR20160015498A (ko) 2014-07-30 2016-0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8521834B (zh) * 2015-12-28 2021-04-23 日产化学工业株式会社 用于有机电子学的纳米颗粒-导电聚合物复合材料
KR102039825B1 (ko) * 2018-05-29 2019-11-01 전자부품연구원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KR102229867B1 (ko) * 2020-01-21 2021-03-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용매 치환이 가능한 높은 일함수 및 투명도를 가지는 전도성 고분자 용액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219513B (zh) * 2021-03-25 2024-05-17 重庆邮电大学 一种不可逆x射线计数器的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6954A (en) 1995-09-07 1998-05-05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es for forming thin, durable coatings of perfluorocarbon ionomers on various substrate materials
JP2003303513A (ja) 2002-02-05 2003-10-24 Sony Corp プロトン伝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プロトン伝導性高分子及びその製造方法、プロトン伝導性高分子組成物、並びに電気化学装置
US20040102577A1 (en) 2002-09-24 2004-05-27 Che-Hsiung Hsu Water dispersible polythiophenes made with polymeric acid colloid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053B2 (ja) * 1977-09-13 1985-03-07 東ソー株式会社 陽イオン交換膜の製造方法
JPS5792027A (en) * 1980-11-28 1982-06-08 Asahi Chem Ind Co Ltd Cation exchange copolymer membrane and its preparation
JPS5998165A (ja) * 1982-08-02 1984-06-06 レイケム・リミテツド 導電性ポリマ−組成物
JPH0678492B2 (ja) * 1986-11-27 1994-10-05 昭和電工株式会社 高電導性重合体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DE4211461A1 (de) * 1992-04-06 1993-10-07 Agfa Gevaert Ag Antistatische Kunststoffteile
EP0566533A1 (de) * 1992-04-15 1993-10-20 Ciba-Geigy Ag Sulfatierte Polyvinylphenole, Zusammensetzung mit sulfatierten Polyvinylphenolen und deren Verwendung
JP3434592B2 (ja) * 1994-11-14 2003-08-11 日本エヌエスシー株式会社 導電性粒子体組成物およびその製法
US6025092A (en) * 1998-02-13 2000-02-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luorinated ionomers and their uses
IT1318593B1 (it) * 2000-06-23 2003-08-27 Ausimont Spa Ionomeri fluorurati.
US7390438B2 (en) 2003-04-22 2008-06-24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Water dispersible substituted polydioxythiophenes made with fluorinated polymeric sulfonic acid colloids
KR100647281B1 (ko) * 2003-12-09 2006-1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7985490B2 (en) * 2005-02-14 2011-07-26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Composition of conducting polymer and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KR101213484B1 (ko) * 2005-05-19 2012-1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채용한 유기 광전 소자
KR101102152B1 (ko) * 2005-06-28 2012-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유기박막 트랜지스터
KR100724336B1 (ko) * 2005-11-03 2007-06-04 제일모직주식회사 자기 도핑된 전도성 고분자의 그래프트 공중합체를포함하는 유기 광전 소자용 전도성막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유기 광전 소자
KR101193180B1 (ko) * 2005-11-14 2012-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로부터 얻은 막을 구비한 전자소자
KR101243917B1 (ko) * 2005-12-19 2013-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로부터 얻은 막을 구비한 전자소자
KR20070073454A (ko) * 2006-01-05 2007-07-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1243919B1 (ko) * 2006-01-27 2013-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채용한 유기 광전 소자
KR20070081623A (ko) * 2006-02-13 2007-08-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1386215B1 (ko) * 2006-06-07 2014-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채용한 유기 광전 소자
KR101386216B1 (ko) * 2006-06-07 2014-04-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0762014B1 (ko) * 2006-07-24 2007-10-04 제일모직주식회사 유기이온염을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유기 광전 소자
KR100810682B1 (ko) * 2006-11-08 2008-03-07 제일모직주식회사 전도성 고분자 중합체, 전도성 고분자 공중합체 조성물,전도성 고분자 공중합체 조성물막, 및 이를 이용한 유기광전 소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6954A (en) 1995-09-07 1998-05-05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es for forming thin, durable coatings of perfluorocarbon ionomers on various substrate materials
JP2003303513A (ja) 2002-02-05 2003-10-24 Sony Corp プロトン伝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プロトン伝導性高分子及びその製造方法、プロトン伝導性高分子組成物、並びに電気化学装置
US20040102577A1 (en) 2002-09-24 2004-05-27 Che-Hsiung Hsu Water dispersible polythiophenes made with polymeric acid colloi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378A (ko) 2006-11-27
JP5331295B2 (ja) 2013-10-30
CN1880377A (zh) 2006-12-20
JP2006322003A (ja) 2006-11-30
US7811477B2 (en) 2010-10-12
US20060261332A1 (en)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3484B1 (ko)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채용한 유기 광전 소자
KR101243919B1 (ko)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채용한 유기 광전 소자
JP5437551B2 (ja) 導電性高分子組成物及びこれを採用した有機光電素子
KR101212672B1 (ko) 전도성 고분자,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전도성 고분자 유기막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KR100810682B1 (ko) 전도성 고분자 중합체, 전도성 고분자 공중합체 조성물,전도성 고분자 공중합체 조성물막, 및 이를 이용한 유기광전 소자
KR100724336B1 (ko) 자기 도핑된 전도성 고분자의 그래프트 공중합체를포함하는 유기 광전 소자용 전도성막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유기 광전 소자
KR101386215B1 (ko)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채용한 유기 광전 소자
KR100762014B1 (ko) 유기이온염을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유기 광전 소자
EP2220135B1 (en) Conductive polymer compound and organic photoelectric device including same
KR100902511B1 (ko)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이를 채용한 전도성 박막 및 광전 소자
KR101311933B1 (ko) 전도성 고분자 중합체,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막 및 이를 이용한 유기광전소자
KR100910052B1 (ko)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 소자
KR100892987B1 (ko) 소수성기를 포함한 다중산 공중합체로 도핑된 전도성고분자 중합체, 전도성 고분자 공중합체 조성물, 전도성고분자 공중합체 조성물막, 및 이를 이용한 유기 광전 소자
KR100881234B1 (ko) 수분산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소자
KR100927706B1 (ko) 전도성 고분자 공중합체 조성물, 전도성 고분자 공중합체 조성물막 및 이를 이용한 유기 광전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