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500B1 -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500B1
KR101209500B1 KR1020107005134A KR20107005134A KR101209500B1 KR 101209500 B1 KR101209500 B1 KR 101209500B1 KR 1020107005134 A KR1020107005134 A KR 1020107005134A KR 20107005134 A KR20107005134 A KR 20107005134A KR 101209500 B1 KR101209500 B1 KR 101209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nagement
node
communica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5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8535A (ko
Inventor
도시타카 사토
히데키 후지무라
마사유키 아마노
유우키 가사이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58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4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comprising hierarchical management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는,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과 계량 관리 유닛(2)이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유닛은 각각의 소영역 E1, E2, ... 설치된다. 또한,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및 계량 관리 유닛(2)은 각각의 소영역 E1, E2에 설치되는 영역 유닛(3)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영역 유닛(3)은 통신 패킷을 통해 조명 디바이스 유닛(1) 및 계량 관리 유닛(2)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영역 유닛(3)에는 통신 패킷이 상위 계층 레벨의 상부 관리 디바이스(6)를 가지는 통신 네트워크 Ns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라우터(5)가 더 설치된다. 영역 유닛(3)은 라우터(5)를 통하여 상부 관리 유닛(6)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DEVIC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건물 등의 대규모 관리 영역에 배치한 디바이스의 관리(감시 및 제어)에 적절한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적절한 통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06-129283A호(이하, 특허 문헌 1이라 칭함)는,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다수의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종래의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종래의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상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가, 하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를 관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위 계층 레벨의 각각의 통신 네트워크는, 서로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디바이스를 그룹화한다. 통신 네트워크는 미리 결정된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상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는, 하위 계층 레벨의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 중 하나를 선택하여 관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통신 네트워크는 게이트웨이를 가진다. 게이트웨이는, 하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와 상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를 중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게이트웨이는 높은 통신 네트워크의 제1 통신 프로토콜과 제2 통신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토콜 변환기를 구비한다. 제1 통신 프로토콜은, 예를 들면, BACnet(A Data Communication Protocol for 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Networks)를 들 수 있다. 제2 통신 프로토콜은 LonWorks(등록상표)를 들 수 있다.
게이트웨이는, 하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가 접속되는 복수의 통신 유닛을 구비한다. 게이트웨이 장치는, 통신 유닛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유효하게 하는 기술을 채용함으로써, 하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바이스의 수가 제한되어 있는 경우라도, 상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의 디바이스의 제한을 넘는 다수의 디바이스를 관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스템이 하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의 디바이스의 수를 초과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를 관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 게이트웨이는 통신 유닛이 남는 경우, 하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의 제한을 넘는 디바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종래의 통신 네트워크는 논리적으로 계층을 이루는 구조를 가진다. 하위 계층의 종래의 통신 네트워크는 분산 제어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다. 따라서, 하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는, 게이트웨이 장치와는 별도로 되어 있어도 자립해서 동작할 수 있다. 그런데 빌딩 등의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하위 계층 레벨의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치함으로써, 빌딩 등의 관리를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통신 네트워크는, 다계층으로 계층화하는 것은 고려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종래의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광범위한 관리 영역에 배치된 다수의 디바이스를 관리하기 위하여, 다계층 레벨을 가지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어렵다. 다계층 레벨을 가지는 통신 네트워크를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경우, 통신 네트워크는 통신 경로를 계층 레벨마다 설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을 사용하여 유선의 통신 경로를 사용하는 경우, 배선이 번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이한 계층 레벨 사이에서 불통점(disconncection point)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종래의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은 이 불통점 하에 위치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독립된 시스템으로서 동작시킬 수 없다. 또한, 종래의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은 상위 계층 레벨에 위치하는 통신 네트워크와 하위 계층 레벨에 위치하는 통신 네트워크 사이를 통해서 상위 계층 레벨에 위치하는 통신 네트워크와 하위 계층 레벨에 위치하는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연결을 구축할 수 없다.
더하여, BACnet 프로토콜 하에, 로컬 관리 유닛이 생존 확인 패킷(existence acknowledgement packets)을 적당한 타이밍에서 송신함으로써 로컬 관리 유닛이 통신의 여부를 확인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생존 확인 패킷이 로컬 관리 유닛 중 하나로부터 송신된 경우, 다른 로컬 관리 유닛도 생존 확인 패킷을 수신한다. 영역의 로컬 관리 유닛에도 수신된다. 이러한 패킷 송수신은 상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트래픽의 증가를 일으킨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스템의 확장성 및 유연성을 높일 수 있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디바이스를 감시 및/또는 제어한다.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 유닛 및 복수의 노드를 포함한다. 복수의 단말 유닛은 디바이스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노드는 단말 유닛과 함께, 논리적으로 계층화된 구조를 가지는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노드들은 상위 노드, 중위 노드, 하위 노드를 포함한다. 중위 노드는 상위 노드보다 낮은 하위 레벨에 위치하도록 상위 노드에 연결된다. 하위 노드는 중위 노드보다 하위 계층 레벨에 위치하도록 중위 노드에 연결된다. 각각의 노드는 상부 통신 유닛, 하부 통신 유닛 및 메모리를 가진다. 상부 통신 유닛은 상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와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부 통신 유닛은 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와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메모리는 디바이스들을 감시 및/또는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관리 정보를 저장한다. 노드들의 상부 통신 유닛은 각각 상부 관리 유닛을 가진다. 상부 관리 유닛 각각은 상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에 관리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노드들의 하부 통신 유닛은 각각 하부 관리 통신 유닛을 가진다. 하부 관리 통신 유닛 각각은 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에 관리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부 통신 유닛과 하부 통신 유닛 사이에 통신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계층화된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계층화된 구조는 노드들 사이의 관계를 임의로 설정함으로써 용이하게 구성된다. 또한, 시스템을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다.
상기 상위 노드, 상기 중위 노드, 상기 하위 노드의 각각의 노드는, 이용자 통신 유닛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용자 통신 유닛은 조작 표시 디바이스에 연결된다. 조작 표시 디바이스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 표시 디바이스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노드들의 메모리 내의 컨텐츠는 이용자 통신 유닛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조작 표시 디바이스에 의한 메모리의 컨텐츠의 참조나 설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하위 계층 레벨의 시스템이 동작하고 있는 중에, 상위 계층 레벨의 시스템과의 통신이 불통인 경우가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위 계층 레벨의 시스템이 상위 계층 레벨의 시스템과 불통이어도 조작 표시 디바이스에 의해 하위 계층 레벨의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통신 유닛은 상부 설정 통신 유닛을 더 포함하다. 상부 설정 통신 유닛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정보를 상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다. 하부 통신 유닛은 하부 설정 통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하부 설정 통신 유닛은 (상부 설정 통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하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논리적으로 계층화된 구조를 가지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메모리에 저장되는 정보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위 계층 레벨의 노드가 정보를 송신할 때, 하위 계층 레벨의 노드들은 이 정보에 따라 설정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 정보에 기초하여 노드들을 설정할 때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관리 통신 유닛 및 상기 하부 관리 통신 유닛은 제1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용자 통신 유닛은 제2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설정 통신 유닛 및 상기 하부 설정 통신 유닛은 제3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통신 프로토콜, 제2 통신 프로토콜 및 제3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노드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설정 정보의 관리 정보 및 수정 정보의 송신을 위해 신호 라인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 프로토콜을 공유함으로써 시스템의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각각의 노드는 CPU를 구비하는 신호 프로세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신호 프로세서는 동일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노드를 동작시키는 시스템 프로그램을 교체함으로써, 그 밖에 이용되고 있던 노드를 특정한 노드에 전용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한 노드가 고장 났을 경우, 그 밖에 이용되고 있던 노드를 대용해서 시스템의 정지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시스템 고장이 쉽게 생기지 않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 중위 노드는, 정보를 통과시키고, 이 정보의 통과를 지시하는 커맨드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했을 때는, 상기 메모리에 정보를 저장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정보를 송신하는 노드들의 모든 메모리에 정보를 저장할 필요가 없다. 즉, 정보는 송신원 노드와 송신처 노드 사이의 노드들에 의해 정해지는 라우트 노드를 통과한다. 따라서, 하드웨어 자원이 한정되어 있는 노드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대규모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즉, 트리 형태의 구조를 가지는 시스템에서, 라우트 노드의 메모리가 이 라우트 노드를 통과하는 정보를 저장하면, 라우트의 메모리는 많은 기억 용량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적은 하드웨어 자원을 가지는 노드를 이 라우트 노드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내장 디바이스와 같은 자원이 한정된 장치라도 대규모 감시 제어를 할 수 있다.
각각의 노드는, 하위 계층 레벨의 노드들로부터 미리 결정된 커맨드를 가지는 패킷을 수신했을 때만, 상기 상부 통신 유닛을 통해 상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에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미리 결정된 커맨드를 가지는 패킷만이 하위 계층 레벨의 노드들로부터 상위 계층 레벨의 노드들로 전송된다. 따라서, 하드웨어 자원의 사용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미리 결정된 관리 영역에 배치되고, 이 미리 결정된 관리 영역은 소영역으로 분할된다. 각각의 소영역은 로컬 관리 유닛과 영역을 구비한다. 로컬 관리 영역은 단말 유닛으로 정해진다. 로컬 관리 영역은 하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영역 유닛은 노드에 의해 정해진다. 영역 유닛은 소영역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로컬 관리 영역과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은 영역 분리 디바이스를 더 포함한다. 영역 분리 디바이스는 각각의 서브 영역 내의 영역 유닛과 상부 관리 유닛을 구비하는 계층의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 개재된다. 로컬 관리 유닛은 영역 유닛과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통신 패킷을 송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영역 분리 디바이스는 통신 패킷이 상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영역 유닛은 영역 분리 유닛을 통해 상부 관리 유닛과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트래픽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한정된 통신 용량으로도 시스템의 대규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소영역 내에 로컬 관리 유닛을 설치한다. 로컬 관리 유닛은 하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로컬 관리 유닛은 하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소영역의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로컬 관리 유닛을 적당히 설치함으로써 각각의 영역의 시스템의 확장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시스템 변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관리 유닛은, 각각의 소영역에 있어서의 복수의 상기 디바이스를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일괄 제어 지시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괄 제어 지시를 수신하면, 영역 유닛은 로컬 관리 유닛 중 하나를 지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로컬 관리 유닛 중 하나가 디바이스들을 관리한다. 또한, 영역 유닛은 이와 같이 지정된 로컬 관리 유닛에 일괄 제어 지시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괄 제어 지시를 수신하면, 로컬 관리 유닛은 디바이스를 지정하고 이와 같이 지정된 디바이스에 일괄 제어 지시에 따라 제어하는 지시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부 관리 유닛이 디바이스를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경우에, 지정된 디바이스들을 관리하는 로컬 관리 유닛을 관리하기만 하면 된다. 또한, 로컬 관리 유닛은 관리 하의 디바이스를 관리하면 된다. 그러므로 일괄 제어 지시에 따라 제어되는 디바이스들을 계층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 결과, 영역 유닛과 로컬 관리 유닛은 관리 대상을 적게 할 수 있다.
노드들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타이밍을 결정하고 소영역 내의 로컬 관리 디바이스의 관리 하에 디바이스를 관리할 때 상기 타이밍으로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 디바이스를 타이밍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한 통신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위 계층 레벨, 중간 계층 레벨 및 하위 계층 레벨을 가지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디바이스를 감시 및/또는 제어하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의해 사용된다. 통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중간 계층 레벨에서 사용된다. 통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부 통신 유닛, 하부 통신 유닛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부 통신 유닛은 상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하부 통신 유닛은 하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는 디바이스를 감시 및/또는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관리 정보를 저장한다. 상부 통신 유닛은 상부 관리 통신 유닛을 포함한다. 상부 관리 통신 유닛은 상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하부 통신 유닛은 하부 관리 통신 유닛을 포함한다. 하부 관리 통신 유닛은 하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부 통신 유닛과 하부 통신 유닛을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접속함으로써, 계층화된 구조를 가지는 통신 네트워크를 얻을 수 있다. 즉, 통신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적당히 접속함으로써, 유연하게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이용자 통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용자 통신 유닛은 조작 표시 디바이스에 접속된다. 조작 표시 디바이스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조작 표시 디바이스는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통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설치한 이용자 통신 유닛을 통하여, 조작 표시 디바이스에 의한 메모리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 통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설치한 이용자 통신 유닛을 통하여, 조작 표시 디바이스에 의한 메모리의 컨텐츠가 설정된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정보를 통과시키고, 정보의 통과를 지시하는 커맨드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했을 때는, 상기 메모리에 정보를 저장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신원 통신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송신처 통신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라우트 통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정보를 통과시킨다. 즉, 라우트 통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정보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하드웨어 자원이 한정된 통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있어서도, 대규모 감시 제어를 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하위 계층 레벨의 노드들로부터 미리 결정된 커맨드를 가지는 패킷을 수신했을 때만, 상기 상부 통신 유닛을 통하여, 상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에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하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상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로 미리 결정된 커맨드를 가지는 패킷만이 송신된다. 따라서, 하드웨어 자원의 사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관리 영역과 소영역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유닛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a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의 제어 정의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제어 정의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영역 유닛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계량 관리 유닛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예의 노드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예의 통신 패킷의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에서는, 각종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는 것과 각종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디바이스의 관리라고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디바이스들을 각각 구비하는 영역을 관리 영역이라 정의한다. 관리 영역은 복수의 소영역으로 분할된다. 관리 영역은 오피스 빌딩, 멀티웰링(multiwelling), 병원, 학교, 체육관, 박물관, 및 쇼핑 센터와 같은 건물 내의 한 위치로 예시된다. 관리 영역은 또한 멀티웰링, 복수의 건물을 포함하는 지역, 토지 개발된 복수의 맨션 등의 형태를 취한 집합주택, 및 공원 등의 광범위한 공간이다. 관리 영역은 조명 디바이스나 냉난방 디바이스 등의 디바이스가 다수 배치되는 공간에 상당한다. 한편, 영역은, 건물의 각 층 또는 각 실, 지구(zone)의 분할된 영역에 상당한다. 관리 영역을 복수의 소영역을 각각 가지는 복수의 지구(zone)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는 계층화된 구조를 적용해도 된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리 영역 A로서 공원을 상정한다. 관리 영역 A는 서로 다른 복수의 소영역 E1~E8을 포함한다. 소영역 E1~E8 중 하나를 다른 소영역과 반드시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는, 소영역을 "E"로 표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의한 감시 및 제어의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로서 조명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마찬가지로,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의한 감시의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로서 전압, 전류, 전력 등의 계량을 행하는 계량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도 1은 디바이스의 관리를 위한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시된 통신 네트워크는, 3개의 계층 레벨을 가지도록 논리적으로 계층화된 구조를 가진다. 중간층의 통신 네트워크를 중간 네트워크 Nm으로 정의한다. 하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를 낮은 네트워크 Ni1 및 Ni2로 정의한다. 로컬 관리 유닛은 중간 통신 네트워크와 낮은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 제공된다. 로컬 관리 유닛은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과 계량 관리 유닛(2)과 같은 것이다.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및 계량 관리 유닛(2)은 하위 노드로 정의된다. 높은 통신 네트워크는 상위 네트워크 Ns로 정의된다. 상위 네트워크 Ns와 중간 네트워크 Nm 사이에는 라우터(5)가 설치된다. 여기서, 각각의 하위 네트워크 Ni1 및 Ni2는 동일한 종류의 디바이스를 그룹화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시와 제어를 행하는 하위 네트워크 Ni1을 그룹화한다. 하위 네트워크 Ni2는 감시를 행하는 디바이스를 그룹화한다.
또한, 중위 네트워크 Nm에는, 영역 유닛(3) 및 관리 유닛(4)에 접속된다. 각각의 소영역 E는 하나의 영역 유닛(3) 및 하나의 관리 유닛(4)을 포함한다.
상위 네트워크 Ns에는, 센터 서버(6a)와 관리 컴퓨터(6b)가 접속된다. 센터 서버(6a)는 관리 컴퓨터(6b)와 함께 상부 관리 유닛(6)으로 기능한다. 상부 관리 유닛은 상위 노드(6)에 대응하고, 또한 글로벌 관리 유닛에 대응한다. 상위 네트워크 Ns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로 기능한다. 그렇지만, 하위 네트워크 Ns는 NTP(Network Time Protocol) 서버(7)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하위 네트워크 Ni1은 두 개의 배선 신호선 Ls1을 가진다. 하위 네트워크 Ni1은, 고정 길이의 전송 신호를 사용하는 시분할 다중 전송 방식의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하위 네트워크 Ni2는, RS-485 및 RS-232C 등의 시리얼 통신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 또는 Ethemet(등록상표)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고 정보를 송수신한다.
하위 네트워크 Ni1은 전송 디바이스 CN, 조작 단말 유닛 TU1 및 제어 단말 유닛 TU2를 가진다. 전송 디바이스 CN은 고정 길이의 전송 신호를 신호선 Ls1에 정기적으로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조작 단말 유닛 TU1 및 제어 단말 유닛 TU2는 신호선 Ls1이 접속된다. 각각의 조작 단말 유닛 TU1에는 스위치 SW가 부설되고, 각각의 제어 단말 유닛 TU2에는 조명 디바이스 Ld가 부설된다. 조작 단말 유닛 TU1에는, 스위치 SW와 조명 디바이스에 대응한 어드레스가 설정되어 있고, 전송 디바이스 CN은 스위치 SW의 어드레스와 조명 디바이스 Ld의 어드레스를 관련시키는 관계 테이블을 포함한다. 따라서, 조명 디바이스 Ld에 대응하는 스위치 SW를 조작하면, 조명 디바이스 Ld가 점등 또는 소등한다. 여기에, 스위치 SW 대신 광 검출기 및 인체 검출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광 검출기가 광을 검출하고 인체 검출기가 인체를 검출하면, 조명 디바이스가 점등 및 소등한다.
하위 네트워크 Ni1의 동작을 이하에 개략 설명한다. 전송 디바이스 CN은 일정 시간마다 고정 길이의 전송 신호를 송출하고, 스위치 SW의 조작시에는, 하위 네트워크 Ni1은 전송 신호에 동기하는 타이밍에서 중간 개입 신호를 신호선 Ls1에 송출한다. 중간 개인 신호는 전송 디바이스 CN에 의해 수신된다. 이 중간 개입 신호를 전송 디바이스 CN이 수신하면, 전송 디바이스 CN은 어드레스의 조건을 나타내는 전송 신호를 송출한다.
전송 신호에는, 조작 단말 유닛 TU1로부터 반송되는 정보를 탑재하는 타임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전송 디바이스 CN로부터, 어드레스의 조건을 나타내는 전송 신호가 송출되면, 조작 단말 유닛 TU1은 중간 개입 신호를 생성한다. 이어서, 조작 단말 유닛 TU1은 타임 슬롯 내에 셀프 어드레스를 전송 디바이스에 반송한다. 조작 단말 유닛 TU1로부터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전송 신호에 따라, 전송 디바이스 CN은, 조명 디바이스 온(on) 상태인지 오프(off) 상태인지의 상황을 인식한다. 전송 디바이스 CN은 관계 테이블을 이용하여, 조명 디바이스 Ld에 대응하는 스위치 SW의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또한, 스위치 SW에 대응한 조명 디바이스 Ld에 대하여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전송 신호를 전송한다. 결과적으로, 전송 디바이스 CN은 조작 단말 유닛 TU1로부터 전송된 상황에 기초하여 조명 디바이스를 점등 및 소등한다.
전송 신호는, 포지티브 신호 상태와 네거티브 신호 상태를 가지는 쌍극성 신호이다. 네거티브 신호 상태는 포지티브 신호 상태에 대해 대칭인 전압값을 가진다. 전송 신호는 디지털값을 나타내는 펄스폭 변조된 신호이다. 조작 단말 유닛 TU1 또는 제어 단말 유닛 TU2에서는, 전송 신호를 정류함으로써, 전송 디바이스와의 통신에 필요한 전원을 확보한다. 하위 네트워크 Ni1에 조명 디바이스 Ld를 접속할 수 있는 수는 제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하위 네트워크 Ni1에 접속되는 스위치 SW의 개수는 256개 이하로 제한된다.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은, 신호선 Ls1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전송 신호를 감시함으로써 조명 디바이스 Ld의 동작 상태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이 신호선 Ls1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조명 디바이스가 조작 단말 유닛 TU1과 같은 동작이 가능하므로, 스위치 SW와 마찬가지로 조명 디바이스의 점등 및 소등을 지시할 수 있다.
하위 네트워크 Ni1에서는, 조작 단말 유닛 TU1과 제어 단말 유닛 TU2와의 어드레스를 관련시키는 것으로, 스위치 SW와 조명 디바이스 Ld를 관계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위치 SW와 조명 디바이스 Ld를 1 대 1로 관련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를 하나의 스위치에 관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개별 프로세싱, 그룹 프로세싱, 및 패턴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개별 프로세싱에서의 하위 네트워크 Ni1은 1개의 스위치 SW를 턴 온 또는 턴 오프시킴으로써 1개의 조명 디바이스의 점등 및 소등을 행할 수 있다. 그룹 프로세싱에서의 하위 네트워크 Ni1은 조명 디바이스를 동시에 점등 또는 소등시킬 수 있다. 패턴 프로세싱에서의 하위 네트워크 Ni1은 미리 정한 조명 디바이스를 제1 그룹으로 점등하고, 미리 정한 조명 디바이스를 제2 그룹으로 소등할 수 있다. 그룹 프로세싱 및 패턴 프로세싱은 총칭하여 일괄 제어 지시라 한다.
그룹 프로세싱이 수행될 때, 스위치 SW에 관련된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는 동일한 상태의 점등 상태 또는 소등 상태를 가진다. 그룹 프로세싱에서, 스위치 SW에 관련된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는 스위치 SW의 조작에 따라 서로 인터록된다. 한편, 패턴 프로세싱에서, 각각의 조명 디바이스는 개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 상태로 설정된다. 그러므로 스위치 SW의 조작에 의해, 조명 디바이스 Ld의 상태(점등 또는 소등)가 지정된다.
계량 관리 유닛(2)에는, 신호선 Ls2가 접속되어 있고, 또한 하위 네트워크 Ni2의 계량 디바이스 Ms가 접속되어 있다. 계량 관리 유닛(2)은 시리얼 통신 방식으로 계량 디바이스 Ms와 시리얼 통신을 행함으로써, 계량 디바이스 Ms에 지시를 부여하고, 또한 계량 디바이스 Ms로부터 정보를 획득한다. 계량 디바이스 Ms는 예를 들면, 전압, 전류, 전력의 순간값(instantaneous value)을 계측한다. 또한, 계량 디바이스 Ms는 예를 들면, 전압, 전류, 전력의 적산값(integration value)을 계측한다. 따라서, 계량 관리 유닛(2)은 계량 디바이스 Ms로부터 취득하는 계량 정보에 의해 조명 디바이스 Ld의 동작 등을 감시할 수 있다.
상위 네트워크 Ns는,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IPv6에 대응한 IP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상위 계층 레벨의 프로토콜로서 독자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중위 네트워크 Nm는, 네트워크 계층에 있어서는 IP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상위 계층 레벨의 프로토콜로서 설비 디바이스의 표준 오픈 프로토콜인 BACnet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따라서, 영역 유닛(3)은,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과의 통신에 의해 조명 디바이스 Ld의 동작 상태의 취득 및 조명 디바이스 Ld의 동작 상태의 지시가 가능하다. 또한, 영역 유닛(3)은, 계량 관리 유닛(2)과의 통신에 의해 계량 디바이스 Ms가 계량한 계량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관리 유닛(4)은, 영역 유닛(3)이 관리하는 중위 네트워크 Nm 및 하위 네트워크 Ni1, Ni2에 포함되는 조명 디바이스 Ld나 계량 디바이스 Ms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종류별 및 어드레스를 저장한다. 또한, 관리 유닛(4)은,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계량 관리 유닛(2), 영역 유닛(3)에 설정 조건에 대한 설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관리 유닛(4)은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계량 관리 유닛(2), 및 영역 유닛(3)의 설정 상태에 대한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관리 유닛(4)은, 중위 네트워크 Nm에 생존 확인 패킷이 송출되었을 때 생성되는 응답 신호에 의해, 영역 E 내의 다른 유닛의 상태를 확인하다. 관리 유닛(4)은 다른 유닛이 정상적으로 기능하고 있지 않을 때는 경보를 발생한다. 이 경우, 관리 유닛(4)은 필요에 따라 영역 유닛(3)을 통해 상부 관리 유닛(6)에 경보를 통지하고 상부 관리 유닛(6)의 모니터 장치에 경보를 표시하게 한다. 영역 유닛(3)이 정상적으로 기능하고 있지 않을 때는, 관리 유닛(4)이 상부 관리 유닛(6)에 대하여 경보를 직접 통지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중위 네트워크 Nm의 단말기가 되는 각각의 유닛(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계량 관리 유닛(2), 영역 유닛(3), 관리 유닛(4))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은, 계량 관리 유닛(2), 영역 유닛(3), 관리 유닛(4)의 하드웨어 구성에 있어서 동일한 하드웨어 구성을 가지며, 한편,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계량 관리 유닛(2), 영역 유닛(3), 관리 유닛(4)은 소프트웨어에 있어서 상이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하드웨어 구성에 대하여는, 영역 유닛(3)의 하드웨어 구성은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계량 관리 유닛(2), 영역 유닛(3) 및 관리 유닛(4)을 대표해서 설명한다.
영역 유닛(3)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 컴퓨터를 주 구성요소에 가지고, 이 마이크로 컴퓨터는 신호 프로세서(10), 메모리(11), 복수의 통신 프로세서(12a 내지 12d), 복수의 통신 포트(13a 내지 13d), 클록(14)을 가진다. 신호 프로세서(10)는 CPU로 구성된다. 메모리는 RAM 및 ROM을 포함한다. ROM은 장착 및 분리 가능한 플래시 R0M으로 예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 유닛(3)은 4개의 통신 프로세서 및 4개의 통신 포트를 가진다. 통신 프로세서는 복수의 통신에 각각 대응한다. 통신 프로세서는 통신 포트(13a 내지 13d)를 통해 텔레그래프 배선에 접속된다. 클록(14)은 시간을 나타낸다. 또한, 영역(3)에는 또한 DIP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부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표시부 등도 적당히 설치된다.
통신 프로세서(12a) 및 통신 포트(13a)는 Ethemet(등록상표) 규격이며, 통신 프로세서(12b) 및 통신 포트(13b)는 시리얼 통신용으로서 RS-485 규격 및 RS-232C 규격이며, 통신 프로세서(12c) 및 통신 포트(13c)는 집중 제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바이스에 접속된다. 통신 프로세서(12d) 및 통신 포트(13d)는 분산 제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바이스에 접속된다.
도 1에 나타낸 시스템 구성에서는, 통신 포트(13a)는 중위 네트워크 Nm에 접속된다. 통신 포트(13b)는 계량 디바이스 Ms가 접속되는 하위 네트워크 Ni2에 접속된다. 통신 포트(13c, 13d) 중 하나는 조명 디바이스 Ld를 접속하는 하위 네트워크 Ni1에 접속된다. 하위 네트워크 Ni1에 접속되는 통신 포트(13c, 13d) 중 어느 쪽을 사용할 것인가는, 하위 네트워크 Ni1을 집중 제어형으로 할 것인지 분산 제어형으로 할 것인지에 따라 적당히 선택된다.
통신 프로세서(12a 내지 12d)는, 통신 포트(13a 내지 13d)를 통해 송신하는 통신 패킷을 생성하는 처리와, 통신 포트(13a 내지 13d)를 통해 수신한 통신 패킷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처리를 행한다. 통신 포트(13a 내지 13d)는, 중위 네트워크 Nm에 각각 적합한 통신선을 접속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메모리(11)는 복수의 시스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1)에 저장된 시스템 프로그램은 신호 프로세서(10)의 동작을 지시한다. 메모리(11)에 저장된 데이터는 영역 유닛(3)이 동작하는 데 필요한 지시를 기억한다. 메모리(11)에 저장하는 데이터로서는, 통신 프로세서(12a 내지 12d) 및 통신 포트(13a 내지 13d)를 사용하는 통신에 필요한 통신 설정 정보 데이터와, 조명 디바이스 Ld 및 계량 디바이스 Ms와 같은 디바이스의 관리에 사용하는 디바이스 관리 설정 데이터가 있다. 클록(14)은, 타이밍 정보 요구를 받으면 타이밍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클록(14)의 타이밍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신호 프로세서(10)의 타이머 조정 기능에 의해 NTP 서버(7)의 타이밍에 맞출 수 있다.
신호 프로세서(10)는, 메모리(11)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한다. 영역 유닛(3)에는, 하위 네트워크 Ni1, Ni2가 접속되지 않지만, 하위 네트워크 Ni1, Ni2는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및 계량 관리 유닛(2)이 접속된다.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및 계량 관리 유닛(2)의 신호 프로세서(10)는, 통신 프로세서(12a, 12b) 및 통신 포트(13a, 13b)를 통해 조명 디바이스 Ld 및 계량 디바이스 Ms를 감시 및 제어한다. 한편, 영역 유닛(3)의 신호 프로세서(10)는,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및 계량 관리 유닛(2)과 관련해서 디바이스 관리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감시 및 제어 기능을 가진다. 또한, 디바이스 관리 정보는 조명 디바이스 Ld 및 계량 디바이스 Ms과 같은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신호 프로세서(10)는 웹 서비스 기능을 가진다. 웹 서비스 기능은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및 측정 관리 유닛(2)으로부터 취득된 정보를 상위 네트워크 Ns에 접속된 상부 관리 유닛(3)에 디스플레이한다. 즉,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및 계량 관리 유닛(2)으로부터 영역 유닛(3)이 취득한 정보는, 상부 관리 유닛(6)에 있어서 가시화된다. 영역 유닛(3)은, NTP 서버(7)와의 통신을 행하여 클록(14)의 타이밍 맞춤을 행하는 타이머 조정 기능도 가지고 있다. 이들의 각 기능은, 메모리(11)에 저장한 프로그램에 따라 신호 프로세서(10)가 동작함으로써 실현된다.
네트워크 전송 설정 데이터는, 통신 시의 송신원을 나타내는 IP 어드레스와, 통신 시의 송신처를 나타내는 IP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또한, 네트워크 전송 설정 데이터는,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계량 관리 유닛(2) 및 이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과 계량 관리 유닛(2)의 관리 번호의 IP 어드레스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대응 테이블을 포함한다.
IP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관리 번호는, 예를 들면, "조명 디바이스 - 1", '조명 디바이스 - 2", 및 "계량 관리 - 1" 등과 같이, 캐릭터 스트링(character string)으로 각각 표시된다. 즉, 관리 번호는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과 계량 관리 유닛(2)을 구별하는 제1 스트링과 번호를 위한 제2 스트링의 조합으로 획득된다. 영역 유닛(3)에 대응 테이블을 설치하고 있는 것에 의해, 영역 유닛(3)은, IP 어드레스 대신에 관리 번호를 사용하여,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및 계량 관리 장치(2)로 통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 관리 설정 데이터는 최대수와 실제수로 이루어지는 두 개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최대수는, 영역 유닛(3)이 접속되는 소영역 E 내에서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계량 관리 유닛(2), 영역 유닛(3), 관리 유닛(4)과 같은 접속 가능한 유닛의 수를 나타낸다. 실제수는 영역 유닛(3)이 접속되는 소영역 E 내에서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계량 관리 유닛(2), 영역 유닛(3), 관리 유닛(4)과 같은 실제 접속된 유닛의 수를 나타낸다. 디바이스 관리 설정 데이터의 값은,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및 계량 관리 유닛(2)을 감시할 때 사용된다. 디바이스 관리 설정 데이터는 제어 정의 테이블을 포함한다. 제어 정의 테이블은,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및 계량 관리 유닛(2)을 제어할 때 사용된다.
제어 정의 테이블은,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및 계량 관리 유닛(2)을 제어하기 위해 그룹 프로세싱 또는 패턴 프로세싱을 수행할 때 사용된다. 그룹 프로세싱을 위한 제어 정의 테이블은 패턴 프로세싱을 위한 제어 정의 테이블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그룹 프로세싱의 제어 정의를 이하와 같이 설명한다.
제어 정의 테이블은,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어 정의 테이블은, 글로벌 그룹명을 포함한다. 각각의 글로벌 그룹명은 관리 번호와 로컬 그룹명의 조합을 가진다. 관리 번호는 "조명 디바이스 - 1" 및 "조명 디바이스 - 2"로 예시된다. 관리 번호는 일괄 제어 지시에 따라 동시에 제어되는 조명 디바이스 Ld에 접속되는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을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로컬 그룹명은 "g1" 내지 "g4"로 예시된다. 로컬 그룹명은 로컬 그룹에 속하는 조명 디바이스 Ld를 각각 나타낸다. 그러므로 각각의 글로벌 그룹명으로 G1, G2를 부여하면, 각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에 접속된 조명 디바이스 Ld를 로컬 그룹명 g1 내지 g4를 단위로 하여 일괄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에 접속된 전송 디바이스 CN에 설치된 관계 테이블에 있어서, 도 4b와 같이, 로컬 그룹명 g1 내지 g4는 일괄 제어 지시에 따라 제어되는 조명 디바이스 Ld의 어드레스(1 내지 16)와의 관계를 포함한다. 즉, 전술한 그룹 프로세싱이 수행될 시에 일괄 제어 지시에 의해 실시될 조명 디바이스 Ld의 어드레스 (1 내지 16)에, 로컬 그룹명 g1 내지 g4가 부여된다.
이 경우, 그룹 프로세싱이 수행되기 때문에, 이 그룹 프로세싱은 로컬 그룹명 g1 내지 g4 중 하나의 그룹과 관련해서 수행된다. 또한, 글로벌 그룹명 G1 또는 G2의 지정에 의해, 복수의 그룹 프로세싱을 일괄적으로 행하게 된다. 이 제어를 글로벌 그룹 프로세싱으로 정의한다. 또한, 그룹 프로세싱 대신에 패턴 프로세싱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며, 글로벌 그룹명 G1 및 G2 대신에 글로벌 패턴명을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패턴 프로세싱을 일괄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 제어를 글로벌 패턴 프로세싱으로 정의한다.
영역 유닛(3)이, 상부 관리 유닛(6)으로부터 글로벌 그룹명 G1에 속하는 조명 디바이스 Ld를 점등시키는 지시를 수신하면, 이하의 동작을 행한다. 영역 유닛(3)에서는, 도 4(a)에 나타낸 제어 정의 테이블을 사용하여, 글로벌 그룹명 G1을 전개한다. 글로벌 그룹명 G1에 대하여 "조명 디바이스 - 1" 및 "조명 디바이스 - 2"와 관련된다. 그러므로 영역 유닛(3)은 로컬 그룹명 g1 및 g3에 속하는 조명 디바이스 Ld에 대한 점등을 나타내는 지시를 중위 네트워크 Nm을 통해 "조명 디바이스 - 1" 및 "조명 디바이스 - 2"의 관리 번호를 가지는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에 송신한다.
관리 번호가 "조명 디바이스 - 1" 및 "조명 디바이스 - 2"인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은, 하위 네트워크 Ni1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전송 디바이스 CN에 대하여, 로컬 패턴명 g1 및 g3를 통지한다. 따라서, 각각의 전송 디바이스 CN은 로컬 그룹명 g1 및 g3를 관계 테이블에 대조함으로써, 일괄적으로 점등시키는 조명 디바이스 Ld의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전송 디바이스 CN은 이들 조명 디바이스 Ld가 접속되어 있는 제어 단말 유닛 TU2에 전송 신호를 송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명 디바이스 Ld의 그룹 프로세싱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조명 디바이스 - 1" 및 "조명 디바이스 - 2"의 관리 번호가 부여된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에 접속되어 있는 전송 디바이스 CN이, 도 4b에 나타낸 관계 테이블을 가지고 있으면, "조명 디바이스 - 1"의 관리 번호가 부여된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에 접속된 하위 네트워크 Ni1에서는 어드레스(1 내지 4)의 조명 디바이스 Ld가 동작하고, 또한 "조명 디바이스 - 2"의 관리 번호가 부여된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에 접속된 하위 네트워크 Ni1에서는 어드레스(9 내지 12)의 조명 디바이스 Ld가 동작한다. 여기서는, 그룹 프로세싱을 행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조명 디바이스 Ld의 동작은 일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하는 동작이 된다. 그리고 전송 디바이스마다 관계 테이블을 상이하게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즉, 글로벌 그룹명 G1을 사용함으로써, 영역 E 내의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 Ld를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부 관리 유닛(6)은 조명 디바이스 Ld를 점등 또는 소등하는 커맨드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관리 유닛(6)은 글로벌 그룹명을 지정하는 동안 복수의 소영역 E 내의 영역 유닛(3)에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각각의 영역 E 내의 영역 유닛(3)은, 글로벌 그룹명을,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의 관리 번호와 로컬 그룹명과의 조합에 전개하고, 최종적으로는, 로컬 그룹명을 사용함으로써 하위 네트워크 Ni1에서의 그룹 프로세싱이 수행된다.
즉, 상부 관리 유닛(6)은 각각의 영역 E의 영역 유닛(3)으로 글로벌 그룹명을 송신하므로, 각각의 소영역 E의 영역 유닛(3)에 글로벌 그룹명의 정보를 간단히 송신한다. 그러므로 조명 디바이스 Ld의 테이블 수가 극히 많은 대규모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에서도, 상위 네트워크 Ns에서의 트래픽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소영역 E 내에서는 글로벌 그룹명으로부터 각각의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으로 전개한 관리 번호와 로컬 그룹명의 조합을 송신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중위 네트워크 Nm에 있어서도 트래픽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하위 네트워크 Ni1에 있어서는, 통상의 그룹 프로세싱이 수행되기 때문에, 상위 네트워크 Ns 및 중위 네트워크 Nm의 동작을 고려하지 않고, 종래부터 제공되어 있는 부하 제어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취급할 수 있다.
영역 유닛(3)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화 프로세스(S1)를 수행한다. 그 후, 영역 유닛(3)은 생존 확인 패킷을 송신하여,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 1 및/또는 계량 관리 유닛(2)으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한다. 즉, 영역 유닛(3)은 생존 확인 패킷을 송신하여 시스템 상태를 취득한다. 이어서, 영역 유닛(3)이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으로부터 시스템 상태를 취득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S2: 조명), 영역 유닛(3)은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의 관리하에 있는 조명 디바이스 Ld의 동작 상태의 취득 요구를 행한다. 이어서, 영역 유닛(3)은 조명 디바이스 Ld의 동작 상태를 취득한다. 또한, 영역 유닛(3)은, 취득한 동작 상태를 상부 관리 유닛(6)에 송신한다(S4). 이어서, 영역 유닛(3)이 상부 관리 유닛(6)으로부터 조명 디바이스 Ld의 제어하는 제어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S5: Yes), 영역 유닛(3)은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에 조명 디바이스 Ld의 제어를 요구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6). 한편, 영역 유닛(3)은 상부 관리 유닛(6)으로부터 조명 디바이스 Ld의 제어 요구가 없으면(S5: No), 단계 S2를 다시 수행한다.
단계 S2에 있어서, 영역 유닛(3)이 계량 관리 유닛(2)으로부터 시스템 상태를 취득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S2: 계량), 영역 유닛(3)은 계량 관리 유닛(2)의 관리하에 있는 계량 디바이스 Ms로부터의 계량 정보를 취득하는 타이밍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타이밍은, 예를 들면, 30분과 같이, 미리 정해 있다. 계량 정보를 취득하는 타이밍이면(S7: Yes), 영역 유닛(3)은 계량 관리 유닛(2)에 대하여 계량 정보의 취득 요구를 행하고, 계량 정보를 취득한다(S8). 이어서, 영역 유닛(3)은 계량 정보를 상부 관리 유닛(6)에 송신한다(S9). 대조적으로, 단계 S7에 있어서 계량 정보를 취득하는 타이밍이 아니면(S7: No), 영역 유닛(3)은 단계 S2를 다시 수행한다.
그리고 도 5에 있어서, 영역 유닛(3)은 사다리꼴과 역사다리꼴 사이의 단계를 반복한다. 그러므로 영역 유닛(3)은 단계 S2 내지 단계 S9를 반복한다. 또한, 영역 유닛(3)은 상부 관리 유닛(3)과 관리 유닛(4)에 동시에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영역 유닛(3)이 상부 관리 유닛(6)에 대하여 정보를 직접 송신하는 대신, 관리 유닛(4)에 일단 송신하고, 관리 유닛(4)이 상부 관리 유닛(6)에 정보를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영역 유닛(3)으로부터의 생존 확인 패킷에 대하여,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또는 계량 관리 유닛(2)으로부터의 응답을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영역 유닛(3)은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또는 계량 관리 유닛(2)에 비정상이 생기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 후 영역 유닛(3)은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또는 계량 관리 유닛(2)의 비정상을 상부 관리 유닛(6)에 통지한다.
도 6에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의 동작을 나타낸다.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이 기동되면,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은 초기화 처리를 행한다(S1). 이어서,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은 하위 네트워크 Ni1에 위치하는 전송 디바이스 CN에 대하여 시스템 상태의 취득 요구를 행한다(S2). 이 시스템 상태는, 개폐 정보(open-close information), 중복 어드레스 정보(duplication address information)를 포함한다. 특히, 개폐 정보는 신호선 Ls1의 개방 또는 단락을 나타낸다. 중복 어드레스 정보는, 조작 단말 유닛 TU1 및 제어 단말 유닛 TU2의 오설정(incorrect setting)의 유무 등을 나타낸다. 시스템 상태가 정상적이면(S3: Yes),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은 조명 디바이스 Ld의 점등 또는 소등을 나타내는 동작 상태를 취득한다(S4).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이 중위 네트워크 Nm를 통해 시스템 상태 및 조명 디바이스 Ld의 점등 또는 소등을 나타내는 상태에 관한 취득 요구가 있으면(S5: Yes),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은 취득을 요구하여 온 타겟 유닛에 시스템 상태와 점등 또는 소등의 상태를 각각 송신한다(S6)(통상은, 타겟 유닛이 영역 유닛(3)이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 관리 유닛(6)인 경우도 있다).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이 시스템 상태의 비정상을 검출한 경우(S3: No),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은 타겟 유닛에 비정상을 통지한다.
단계 S4에서는,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이, 전송 디바이스 CN으로부터 조명 디바이스 Ld의 점등 또는 소등의 상태를 취득하고, 현재에 획득한 상태와 직전에 획득한 상태 사이에 변동이 없는 경우, 취득 요구에 대한 응답을 행하지 않아도 된다. 즉, 현재에 획득한 상태와 직전에 획득한 상태 사이에 변동이 있는 경우, 취득 요구에 대한 응답을 전송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위 네트워크 Ni1의 트래픽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중위 네트워크 Nm에 있어서도, 조명 디바이스 Ld 의 상태에 변동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만을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중위 네트워크 Nm에 있어서의 트래픽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이 중위 네트워크 Nm를 통해 정보의 취득 요구를 수신하지 않으면(S5: No),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은 중위 네트워크 Nm을 통해 조명 디바이스 Ld의 제어 요구의 유무를 판단한다.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이 조명 디바이스 Ld의 제어 요구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면(S7: Yes), 그 제어 요구에 따라 조명 디바이스 Ld를 제어한다(S8). 한편,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이 조명 디바이스 Ld의 제어 요구가 없는 것으로 인식하면(S7: No),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은 단계 S2를 다시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이 취득 요구를 송신하는 타겟 유닛에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종료할 때,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은 중위 네트워크 Nm을 통해 조명 디바이스 Ld의 제어 요구의 유무를 판단한다.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이 조명 디바이스 Ld의 제어 요구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면(S7: Yes), 그 제어 요구에 따라 조명 디바이스 Ld를 제어한다. 한편,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이 조명 디바이스 Ld의 제어 요구가 없는 것으로 인식하면(S7: No),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은 단계 S2를 다시 수행한다. 단계 S2로부터 단계 S7의 처리는,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의 동작 중에는 반복하여 행해진다.
계량 관리 유닛(2)에서의 처리에서는,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의 처리로부터 제어 요구에 대한 처리가 생략된다. 즉, 계량 관리 유닛(2)의 처리는 7과 같이 된다. 계량 관리 유닛(2)이 기동되면, 초기화 처리를 행한다(S1). 계량 관리 유닛(2)은 하위 네트워크 Ni2에 관하여 시스템 상태를 취득한다(S2). 이 시스템 상태는, 개폐 정보, 비정상 정보 등을 포함한다. 개폐 정보는 신호선 Ls2의 개방 또는 단락을 나타낸다. 비정상 정보는 계량 디바이스 Ms의 고장을 나타낸다. 시스템 상태가 정상적이면(S3: Yes), 계량 관리 유닛(2)은 계량 디바이스 Ms로부터 계량 정보를 취득한다(S4).
계량 관리 유닛이 중위 네트워크 Nm를 통해 시스템 상태 및 계량 정보의 취득 요구를 수신하면(S5: Yes), 계량 관리 유닛은 취득을 요구하는 타겟 유닛에 시스템 상태와 계량 정보를 각각 송신한다(S6)(타겟 유닛은 통상적으로 영역 유닛(3)이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 관리 유닛(6)인 경우도 있다). 계량 관리 유닛(2)이 시스템 상태의 비정상을 검출한 경우(S3: No), 계량 관리 유닛(2)은 타겟 유닛에 그 비정상을 통지한다.
한편, 계량 관리 유닛(2)이 중위 네트워크 Nm를 통해 취득 요구를 수신하지 않으면(S5: No), 단계 S2를 다시 수행한다. 단계 S2로부터 단계 S5의 처리는, 계량 관리 유닛(2)의 동작 중에는 반복하여 행해진다.
그런데 영역 유닛(3)은, 상부 관리 유닛(6)으로부터 글로벌 그룹명과 함께 타이밍 정보를 수취함으로써, 타임 스케줄에 따라 제어를 행하는 타임 스케줄 제어의 기능을 더 가진다. 타임 스케줄 제어에 있어서는, 글로벌 그룹명에 타이밍 정보가 부가되므로, 상부 관리 유닛(6)으로부터의 지시가, 예를 들면 "12: 00, G1, 점등"과 같이 된다.
영역 유닛(3)이 타임 스케줄 제어의 지시를 상부 관리 유닛(6)으로부터 받으면, 영역 유닛(3)은 지시 컨텐츠를 메모리(11)에 저장하고, 이어서, 클록(14)에 의해 계시되어 있는 현재 타이밍이 지시된 타이밍이 될 때까지 대기한다. 지시된 타이밍 되면, 영역 유닛(3)은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에 로컬 그룹명과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이러한 구성이 도 4의 테이블에 적용되면, 영역 유닛(3)은 "조명 디바이스 - 1"의 관리 번호를 가지는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에 로컬 그룹명 g1을 송신한다. 영역 유닛(3)은 "조명 디바이스 - 2"의 관리 번호를 가지는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의 로컬 그룹명 g3에 송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타임 스케줄 제어 시에 영역 유닛(3)이 지정된 타이밍까지 기다리고 나서 글로벌 그룹명을 전개하는 처리를 행하면, 메모리(11)는 타임 스케줄 제어를 위해 큰 용량을 소비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 관리 유닛(6)으로부터 글로벌 그룹명과 함께 타이밍 정보를 수취한 영역 유닛(3)이 로컬 그룹명을 전개하고,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에, 로컬 그룹명과 타이밍 정보를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에 설치한 클록(14)에 의해 계시되어 있는 현재 타이밍이 지시된 타이밍이 되면, 제어 정보에 따라 조명 디바이스 Ld를 제어하게 된다.
이 경우, 영역 유닛(3)은 전술한 타임 스케줄 제어를 수행한다. 그러므로 상부 관리 유닛(6)이 타임 스케줄 제어의 타이밍을 지정하는 동안 글로벌 그룹명과 제어 정보를 각각의 영역 E에 송신하는 경우, 관리 영역 A의 전체에 배치한 조명 디바이스 Ld의 점등 및 소등을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타임 스케줄 제어에 있어서는, 조명 디바이스 Ld를 제어하는 타이밍과 제어 정보가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관리 유닛(6)으로부터 영역 유닛(3)에 한 번만 타임 스케줄을 송신하면 된다. 결과적으로, 영역 유닛(3)이 영역 E 내의 각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에 로컬 그룹명과 일괄 제어 지시를 차례로 송신함으로써, 상부 관리 유닛(6)이 접속되지 않아도 영역 사이에서 동기를 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각 영역 E가 자율적으로 비동기로 조명 디바이스 Ld를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및 계량 관리 유닛(2)은 영역 유닛(3)과 동일한 하드웨어 구성을 가진다. 그렇지만,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및 계량 관리 유닛(2)의 메모리(11)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영역 유닛(3)과는 다르다. 바꾸어 말하면,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계량 관리 유닛(2), 및 영역 유닛(3)은, 프로그램의 변경만으로 실현할 수 있다. 관리 유닛(4) 및 후술하는 제휴 유닛(8)도 영역 유닛(3)과 동일한 하드웨어 구성을 가지지만, 영역 유닛(3)과는 운용 프로그램이 다르다.
각각의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및 계량 관리 유닛(2)은 중위 네트워크 Nm과 하위 네트워크 Ni1, Ni2와의 중개를 행하므로, 메모리(11)는 중위 네트워크 Nm에서 사용되는 어드레스 및 하위 네트워크 Ni1, Ni2에서 사용되는 어드레스를 저장한다. 중위 네트워크 Nm에서 사용되는 어드레스는 IP 어드레스뿐만 아니라 BACnet에서의 식별 정보도 포함한다. 하위 네트워크 Ni1 및 Ni2에서 사용되는 어드레스는 조명 디바이스 Ld 또는 계량 디바이스 Ms를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 계량 디바이스 Ms의 어드레스는 RS-485 규격의 시리얼 통신으로 사용된다.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은 감시 기능 및 제어 기능을 가진다. 감시 기능은 조명 디바이스 Ld의 점등 또는 소등 상태를 감시하고, 조명 디바이스 Ld의 점등 또는 소등을 나타내는 감시 정보를 발생하고, 이 감시 정보를 영역 유닛(3)에 송신한다. 제어 기능은 영역 유닛(3)으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이 제어 정보에 따라 조명 디바이스의 점등 또는 소등의 상태를 변경한다. 계량 관리 유닛(2)은, 계량 디바이스 Ms로부터 계량 정보를 획득하고 이 계량 정보를 영역 유닛(3)에 송신한다.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은 조명 디바이스를 상시 관리한다. 계량 관리 유닛(2)은 관리 디바이스 Ms를 상시 관리한다. 따라서, 영역 유닛(3)은 조명 디바이스 Ld나 계량 디바이스 Ms에 관한 정보를 상시 기억할 필요가 없고, 영역 유닛(3)에서는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및 계량 관리 유닛(2)과의 통신에 의해 취득한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정도의 기능이 있으면 된다. 바꾸어 말하면, 내장 디바이스 정도의 적은 자원으로도 영역 유닛(3)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과 계량 관리 유닛(2)과 영역 유닛(3)의 하드웨어 구성은 같으므로,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과 계량 관리 유닛(2)과 영역 유닛(3)에서 메모리(11)의 기억 용량은 같아지게 되지만, 영역 유닛(3)의 메모리(11)는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과 계량 관리 유닛(2)으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할 뿐이므로 문제없이 실현할 수 있다.
관리 유닛(4)은, 영역 E 내의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과 계량 관리 유닛(2)과 중위 네트워크 Nm에서의 영역 유닛(3)에 대응하는 어드레스를 메모리(11)에 저장한다. 관리 유닛(4)은 BACnet 프로토콜에 의해 사용되는 생존 확인 패킷을 송신함으로써, 관리 유닛(4)은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및 계량 관리 유닛(2) 및 영역 유닛(3)의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또한, 계량 관리 유닛(4)은 백업 기능을 가진다. 백업 기능은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의 관리하에 있는 하위 네트워크 Ni1, Ni2를 구성하는 조명 디바이스 Ld 및 계량 디바이스 Ms, 메모리(11)에 저장된 어드레스를 가지는 계량 관리 유닛(2)과 같은 디바이스들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백업 기능은 메모리에 디바이스들을 관리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위 네트워크 Nm에서의 어드레스의 정보 및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이하에 "설정 정보"라고 한다. 따라서, 관리 유닛(4)은 설정 정보의 백업 기능을 구비한다.
관리 유닛(4)은, 설정 정보의 백업 기능 외에, 경보 정보 등의 시스템 상태의 이력을 메모리(11)에 저장하는 동시에 상부 관리 유닛(6)에 통지하는 시스템 상태 통지 기능과, 취득한 설정 정보를 상부 관리 유닛(6)으로 열람 가능하게 하는 웹 서비스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즉, 관리 유닛(4)이 보유하는 설정 정보는 상부 관리 유닛(6)으로 가시화된다. 관리 유닛(4)에 있어서의 이들의 기능은 메모리(1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신호 프로세서(10)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관리 유닛(4)은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계량 관리 유닛(2), 및 영역 유닛(3)에 대하여 각각 백업용의 정보의 취득 요구를 반복하여 행하고 있다.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계량 관리 유닛(2), 및 영역 유닛(3)은, 현재 취득된 정보와 직전에 취득된 정보를 비교한다. 현재 취득된 정보와 직전에 취득된 정보에 변화가 없으면,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계량 관리 유닛(2), 및 영역 유닛(3) 각각은, 관리 유닛(4)에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다. 한편, 현재 취득된 정보와 직전에 취득된 정보에 변화가 있으면,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계량 관리 유닛(2), 및 영역 유닛(3) 각각은, 관리 유닛(4)에 정보를 송신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관리 유닛(4)에서는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계량 관리 유닛(2), 및 영역 유닛(3)의 동작에 관하여 최신의 정보를 메모리(11)에 저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위 네트워크 Ns와 중위 네트워크 Nm와의 사이에는 라우터(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라우터(5)는 영역 분리 디바이스로서 동작한다. 중위 네트워크 Nm에 있어서, 통신 패킷이 브로드캐스팅된다. 영역 분리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라우터(5)는 이 통신 패킷이 소영역 E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렇지만, 라우터(5)는 상부 관리 유닛(6)과 영역 유닛(3) 사이에서 통신 패킷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즉, 영역 유닛(3)과 상부 관리 유닛(6) 사이의 통신에서, 영역 유닛(3)은 상부 관리 유닛(6)에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1)에 의한 응답 요구를 전송하고, 상부 관리 유닛(6)으로부터 응답 요구에 응답하는 통신을 행한다. 영역 유닛(3)으로부터 상부 관리 유닛(6)에 송신하는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영역 유닛(3)으로부터 정보가 전송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부 관리 유닛(6)에 송신한다. 또한, 상부 관리 유닛(6)으로부터 영역 유닛(3)에 송신하는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부 관리 유닛(6)이 응답 요구에 회신할 때 정보를 송신한다. 이 처리에 의해, 상부 관리 유닛(6)과 영역 유닛(3) 사이에서는 라우터(5)에 방해할 수 있는 일 없이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즉, 영역 유닛(3) 및 관리 유닛(4)은,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계량 관리 유닛(2), 하위 네트워크 Ni1, Ni2의 디바이스들(조명 디바이스 Ld, 계량 디바이스 Ms)를 관리한다. 또한, 영역 유닛(3) 및 관리 유닛(4)은,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계량 관리 유닛(2), 하위 네트워크 Ni1, Ni2의 디바이스들(조명 디바이스 Ld, 계량 디바이스 Ms)의 설정 정보를 인식한다. 브로드캐스트에 의해 송신된 생존 확인 패킷과 같은 패킷은 소영역 E에 도달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라우터(5)가 영역 E 외에 통신 패킷을 유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영역 E 외에 설치된 상부 관리 유닛(6)은 영역 유닛(3)과 통신을 행하므로, 상부 관리 유닛(6)과 유닛들(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및 계량 관리 유닛(2)) 사이의 정보의 송수신이 영역 유닛(3)을 통해 구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라우터(5)는 영역 E를 분리하는 영역 분리 장치로서 기능하고 있으므로, 영역 E에 포함되는 조명 디바이스 Ld 및 계량 디바이스 Ms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및 계량 관리 유닛(2)을 그대로 사용하고, 새로운 영역 유닛(3), 새로운 관리 유닛(4), 및 새로운 라우터(5)를 사용함으로써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 디바이스 Ld나 계량 디바이스 Ms의 수가 증가한 경우라도 시스템의 확장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및 계량 관리 유닛(2)은, 영역 유닛(3) 및 관리 유닛(4)과 마찬가지로, 하위 네트워크 Ni1, Ni2에 접속되어 있는 디바이스들(조명 디바이스 Ld, 계량 디바이스 Ms)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상부 관리 유닛(6)으로 가시화하는 웹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다. 그렇지만,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및 계량 관리 유닛(2)은, 웹 서비스 기능을 상시 정지될 수 있다. 영역 E를 관리하는 정보는, 영역 유닛(3)의 웹 서비스 기능에 의해 상부 관리 유닛(6)에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중위 네트워크 Nm에서의 생존 확인 패킷에 대하여, 영역 유닛(3)이 응답하지 않을 때는,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과 계량 관리 유닛(2)과의 웹 서비스 기능이 이용 가능하게 된다.
즉, 상부 관리 유닛(6)은, 영역 E의 관리가 필요할 때, 영역 유닛(3)을 이용할 수 없을 때는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또는 계량 관리 유닛(2)의 웹 서비스 기능을 이용하여 영역 E의 관리를 행한다. 즉, 상부 관리 유닛(6)과 유닛들(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및 계량 관리 유닛(2)) 사이에 영역 유닛(3)을 개재시킴으로써, 상부 관리 유닛(6)은 디바이스들(조명 디바이스 Ld, 계량 디바이스 Ms)를 함께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영역 유닛(3)이 고장 난 경우와 같은 비정상 시에는, 상부 관리 유닛(6)은 디바이스들(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이나 계량 관리 유닛(2))에 직접 액세스하여 디바이스들(조명 디바이스 Ld, 계량 디바이스 Ms)의 관리를 응급적으로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므로, 디바이스들(조명 디바이스 Ld, 계량 디바이스 Ms)의 동작을 정지시키지 않고, 영역 유닛(3)의 수리 또는 교환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관리 유닛(4)의 메모리(11)에는 백업용의 정보를 기억하고 있으므로, 영역 유닛(3)의 수리 또는 교환이 종료된 후에는, 관리 유닛(4)의 메모리(11)로부터 백업용의 정보를 영역 유닛(3)에 전송함으로써, 영역 유닛(3)을 복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구성에서는, 하위 네트워크 Ni1, Ni2는 자율적으로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중위 네트워크 Nm에서의 통신이 불통이 되거나 상위 네트워크 Ns에서의 통신이 불통으로 되어도, 조명 디바이스 Ld나 계량 디바이스 Ms의 동작은 정지하지 않는다. 또한, 영역 유닛(3)은 영역 E를 단위로 하여 통신을 행하고 있으므로, 영역 E 중 한 영역의 영역 유닛(3)과 상부 관리 유닛(6)과의 사이에서 통신이 불통으로 되어도, 다른 영역 E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므로 영역 E를 단위로 하여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는, 영역 E에 있어서 중위 네트워크 Nm와 하위 네트워크 Ni1, Ni2를 중개하는 유닛으로서,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과 계량 관리 유닛(2)을 설치하고 있었지만, 제2 실시예는, 도 1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과 계량 관리 유닛(2)에 더하여 제휴 유닛(8)을 더 설치하고 있다.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과 계량 관리 유닛(2)은, 영역 E 내에 복수 설치할 수 있지만, 제휴 유닛(8)은, 영역 E 내에 1대만 설치할 수 있다. 제휴 유닛(8)에는,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과 마찬가지로, 전송 디바이스 CN과 조작 단말 유닛 TU1과 제어 단말 유닛 TU2가 접속 가능하다.
그렇지만, 제휴 유닛(8)에 접속된 조작 단말 유닛 TU1은 입력 단말을 구비한다. 이 입력 단말은 스위치 SW와는 다른 것이다. 제휴 유닛(8)에 접속된 조작 단말 유닛 TU1 중 하나가 미리 정해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조작 단말 유닛 TU1 중 하나는 다른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에 제어 요구를 송신한다. 따라서, 제휴 유닛(8)이 신호선 Ls1 및 입력 단말을 통하여 미리 정해진 입력을 수신하면, 제휴 유닛(8)은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에 제어 요구를 송신하여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의 관리 하에 조명 디바이스 Ld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제휴 유닛(8)은 조작 단말 유닛 TU1의 입력 단말을 통해 촬영 시스템(shooting system)의 텔레비전 카메라에 접속된다. 촬영 시스템은 텔레비전 카메라에 의한 촬영의 시작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입력을 인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촬영 시스템이 미리 정해진 입력을 인식하면, 제휴 유닛(8)은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의 관리 하에 조명 디바이스 Ld를 점등시킨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촬영 시스템과 조명 디바이스 Ld를 연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휴 유닛(8)에 있어서의 전술한 처리는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에 내장하여 두는 것도 가능하지만, 제휴 유닛(8)을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과는 독립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제휴시키는 시스템 수를 많이 취하는 것이 가능해져,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만으로 제휴 동작을 행하는 경우보다 고도의 제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제1 실시예와 같다.
(제3 실시예)
제1 및 제2 실시예 각각에서는, 상위 네트워크 Ns, 중위 네트워크 Nm, 하위 네트워크 Ni1, Ni2의 3개의 계층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상위 네트워크 Ns와 중위 네트워크 Nm를 다음 라우터(5)를 통하여 분리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디바이스들(조명 디바이스 Ld, 계량 디바이스 Ms)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소영역 E를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영역 E의 개수가 증가한 경우에는 복수의 소영역 E를 일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영역 E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 경우에 분할 후의 소영역 E를 최소단위로 하면, 영역 E의 개수가 증가한 경우와 동등하게 취급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관점에서, 이하에서는, 관리 영역이 복수의 "지구(region)"로 분할되고, 각 지구에 복수의 영역 E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지구 자체가 계층화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을 다계층 레벨을 가지는 네트워크에 적용하는 경우, 라우터(5)를 설치하는 위치는 적당히 설정되고, 상위 네트워크 Ns에서의 트래픽의 증가를 피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소영역 E마다 라우터(5)를 설치하게 되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라우터(5)에 대하여는 특히 고려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영역 유닛(3)은, 디바이스들(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과 계량 관리 유닛(2))과의 통신이 가능한 동시에, 상부 관리 유닛(6)과의 통신이 가능하지만, 디바이스들(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및 계량 관리 유닛(2))은 통상은 상부 관리 유닛(6)과는 직접 통신을 행하지 않으므로, 영역 유닛(3)은, 논리적으로는 디바이스들(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 및 계량 관리 유닛(2))과 상부 관리 유닛(6) 사이의 중간 노드로서 기능하고 있는 것으로 된다. 그래서, 다계층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영역 유닛(3)을 노드로서 사용한다.
즉,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역 유닛(3)은 영역 관리 노드(23)에 대응하고 이 영역 관리 노드(23)는 중위 노드로서 기능하는 통신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다. 조명 디바이스 제어 유닛(1)은 하위 노드로서 기능하는 조명 디바이스 제어 노드(21)에 대응한다. 계량 관리 유닛(2)은 하위 노드로서 기능하는 조명 제어 노드(21)에 대응한다. 조명 디바이스 제어 노드(21) 및 전력 감시 노드(22)는 영역 관리 노드(23)에 접속되어 있어서 조명 디바이스 제어 노드(21) 및 전력 감시 노드(22)는 영역 관리 노드(23)보다 하위 측 계층 레벨의 계층 레벨에 위치한다. 또한, 지구 관리 노드(24)는 영역 관리 노드(23)보다 상위 측의 계층 레벨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영역 관리 노드(24)는 상위 노드로서 기능한다. 영역 관리 노드(24)는 상부 관리 유닛(6)과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 조명 제어 노드(21), 전력 감시 노드(22), 영역 관리 노드(23), 지구 관리 노드(24), 상부 관리 유닛(6)은, 통신을 위한 전송로를 공통으로 공유한다. 전송로로서는, 예를 들면 Ethemet(등록상표) 규격에 준한 것을 사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명 제어 노드(21), 전력 감시 노드(22), 영역 관리 노드(23), 지구 관리 노드(24), 상부 관리 유닛(6)은, 통신을 위한 전송로를 공통으로 공유하고 있으므로, 각 노드(21 내지 24)는 논리적으로 계층화된 구조를 구성한다. 논리적으로 계층화된 구조란, 각 노드(21 내지 24)가 미리 정해진 노드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준적인 구성으로서는, 조명 제어 노트(21) 및 전력 감시 노드(22)는 영역 관리 노드(23)가 통신하고, 영역 관리 노드(23)는 지구 관리 누드(24)와 통신하고, 상부 관리 유닛(6)은 지구 관리 노드(24)와만 통신을 행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그렇지만, 필요에 따라, 지구 관리 노드(24)가 조명 제어 노트(21) 및 전력 감시 노드(22)와 직접 통신한다. 또한, 상위 측의 장치와 하위 측 계층 레벨의 장치와의 사이에 중간의 노드(22 내지 24)를 통과하는 통신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송 디바이스 CN이 신호선 Ls1가 접속되는 조명 제어 단말 유닛(31)으로서 기능한다. 조명 제어 단말 유닛(31)은 조명 디바이스 제어 노드(21)의 하위 측 계층 레벨의 계층 레벨에 위치하도록, 조명 디바이스 제어 노드(21)에 접속된다. 전력 관리 노드(22)는 전력 감시 단말(32)에 접속되어 있어서 이 전력 감시 단말(32)은 전력 관리 노드의 하위 측 계층 레벨의 계층 레벨에 위치한다. 전력 감시 단말(32)은 신호선 Ls2에 접속된 계량 디바이스 Ms와의 중개를 행한다. 조명 제어 단말 유닛(31)은, 그룹 프로세싱 및 패턴 프로세싱에 사용하는 제어 정의 테이블의 정보를 유지한다. 즉, 도 1에 나타낸 구성예에서는, 전송 디바이스 CN에 접속되어 있는 신호선 Ls1에 조명 제어 유닛(1)에 접속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송 디바이스 CN에 상당하는 조명 제어 단말 유닛(31)에 조명 제어 노드(21)를 접속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신호선 Ls2와 전력 감시 노드(22)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전력 감시 단말(32)에 의해, 계량 디바이스 Ms로부터 전류나 전력량을 취득하고, 또한 정기적(10분마다, 1일마다 등)으로 계측 정보의 이력을 축적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영역 유닛(3)의 통신 프로세서(12a 내지 12d)와 통신 포트(13a 내지 13d)가 행하는 통신의 컨텐츠에는, 제어 정보, 계량 정보, 감시 정보 외에, 설정 정보가 있다. 영역 유닛(3)은, 이들의 정보를 상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디바이스들과 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디바이스들과의 사이에서 통과시키거나 상하위 계층 레벨과 하위 계층 레벨과의 사이에서 정보를 가공하여(edited) 전송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각 노드(21 내지 24)는, 도 3에 나타낸 영역 유닛(3)과 동일한 구성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시스템의 계층화를 위한 기능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노드(21 내지 24)의 구성을 도 9와 같이 설명한다.
즉, 각 노드(21 내지 24)에 있어서는, 제어 정보, 계량 정보, 감시 정보를 상하위 계층 레벨 또는 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에 통신하는 상부 관리 통신 유닛(15) 및 하부 관리 통신 유닛(16)과 설정 정보를 상하위 계층 레벨 또는 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에 통신하는 상부 설정 통신 유닛(17) 및 하부 설정 통신 유닛(18)을 가진다. 각각의 노드(21 내지 24)는 이용자 통신 유닛(19)을 더 포함한다. 또한, 노드(21 내지 2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하는 조작 표시 디바이스(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그리고 도 9에서는 클록(14)이 생략되어 있다.
조작 표시 디바이스는, 이용자가 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을 관리 또는 설정을 요구하기 위한 조작을 행하거나, 메모리(11)에 기억하고 있는 정보를 확인하는 표시를 행한다. 즉, 메모리(11)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용의 설정 정보나 축적하고 있는 데이터의 확인을 행하거나, 제어 요구, 상태 수집 요구, 설정 정보의 참조 요구, 설정 정보의 설정 요구 등을 행한다. 그리고 메모리(11)가 저장하는 정보에는, 신호 프로세서(10)를 동작시키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 동작용의 설정 정보(통신용, 스케줄, 제어 그룹, 집계용 정보, 임계값, 해석용 파라미터 등), 하위 계층 레벨로부터 취득한 정보가 포함된다.
조작 표시 디바이스로서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용 장치 외에 퍼스널 컴퓨터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용자 통신 유닛(19)을 통하여 노드(21 내지 24)에 접속하는 것 외에, 이용자 통신 유닛(19)과 함께 노드(21 내지 24)에 내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노드(21 내지 24)에 내장하는 경우에는, 액정 디스플레이와 스위치를 조합한 구성, 터치 패널을 사용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 통신 유닛(19)을 서버로서 기능하게 하는 동시에, 조작 표시 디바이스에 브라우저 기능을 설치하면, 웹 페이지 상에서 하위 계층 레벨에 위치한 노드들의 관리나 설정이 가능해지고, 또한 다양한 형태의 조작 표시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범용성이 높아진다.
상부 관리 통신 유닛(15)은, 상위 계층 레벨의 노드들과 통신하고, 상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로부터 제어 요구를 수신하는 기능과, 상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로 상태 또는 상태 변화를 송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제어 요구는, 예를 들면 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에 설치한 조명 디바이스 Ld에 대한 개별 제어, 그룹 프로세싱, 패턴 프로세싱 등의 요구가 있다. 또한, 상하위 계층 레벨 있는 노드에 송신하는 상태로서는, 하위 계층 레벨의 조명 디바이스 Ld의 동작 상태나 하위 계층 레벨의 계량 디바이스 Ms로부터 얻은 계측 정보(순간값 및 적산값)를 의미하고, 상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에 송신하는 상태 변화로서는, 하위 측 계층 레벨의 조명 디바이스 Ld의 점등 또는 소등의 변화나 하위 계층 레벨의 계량 디바이스 Ms로 계측한 계측 정보와 적당한 임계값과의 대소 관계의 변화 등을 의미한다. 임계값은, 예를 들면 비정상의 유무의 판단에 사용한다.
한편, 하부 관리 통신 유닛(16)은, 하위 측 계층 레벨의 노드(21 내지 24)의 상부 관리 통신 유닛(15)과 통신하고, 상부 관리 통신 유닛(15) 와는 반대로 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에 제어 요구를 송신하는 기능과, 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로부터 상태 또는 상태 변화를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부 설정 통신 유닛(17)은, 상위 계층 레벨의 노드(21 내지 24)의 하부 설정 통신 유닛(18)과 통신하고, 상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로부터 상기 노드(21 내지 24)의 동작용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11)에 저장시키는 기능과, 설정 정보의 참조 요구에 대하여 메모리(11)로부터 판독된 설정 정보를 상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에 송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동작용의 설정 정보에는, 예를 들면, 스케줄 제어용의 정보나, 그룹 프로세싱 및 패턴 프로세싱을 위한 제어 정의 테이블의 정보나, 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로부터 얻은 정보를 수집해서 집계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한편, 하부 설정 통신 유닛(18)은, 하위 계층 레벨의 동작용의 설정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과, 설정 정보의 참조 요구에 대하여 하위 계층 레벨에 위치한 노드(21 내지 24)의 메모리(11)로부터 판독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노드(21 내지 24)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상부 관리 통신 유닛(15)과 하부 관리 통신 유닛(16) 사이의 통신이나 상부 설정 통신 유닛(17)과 하부 설정 통신 유닛(18) 사이의 통신 시에는, 상부 통신 유닛(15, 17)을 서버로 해서 하부 통신 유닛(16, 18)을 클라이언트로서 클라이언트 서버형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프로토콜에는,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1),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1), UDP(User Datagram Protoco1), BACnet 프로토콜(A Data Communication Protocol for 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Networks), 및 FTP(File Transfer Protoco1)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를 서버로 해 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을 클라이언트로 하고, 상위 측과 하위 측이 서로 서버와 클라이언트로 되도록 해도 된다.
이용자 통신 유닛(19)이 조작 표시 디바이스와의 사이에서 행하는 통신의 프로토콜에는 HTTP를 사용한다. 신호 프로세서(10)는, 이용자 통신 유닛(19)으로부터 컨텐츠가 요구되면, 메모리(11)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생성용의 데이터나 메모리(11)에 축적하고 있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고, 이용자 통신 유닛(19)을 통해 조작 표시 디바이스에 회신한다.
각각의 노드(21 내지 24)를 구성하는 신호 프로세서(10)에서는, 적어도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상부 관리 통신 유닛(15)에 있어서 상위 측으로부터 제어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는, 신호 프로세서(10)에서는, 수신한 제어 요구를 하부 관리 통신 유닛(16)으로부터 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에 송신할 것인지, 메모리(11)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한 제어 요구에 따라 취득하고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어 요구를 하부 관리 통신 유닛(16)으로부터 하위 계층 레벨 있는 노드들에 1회 또는 복수 회 반복하여 송신한다. 또한, 상부 관리 통신 유닛(15)에 있어서 상위 계층 레벨 있는 노드들로부터 정보의 취득 요구를 수신하면, 신호 프로세서(10)에서는, 수신한 취득 요구를 하부 관리 통신 유닛(16)으로부터 하위 계층 레벨 있는 노드들에 송신하는 동시에, 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상부 관리 통신 유닛(15)으로부터 상위 계층 레벨 있는 노드들에 송신하고, 메모리(11)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한 취득 요구에 따라 취득하고 상기 데이터를 상부 관리 통신 유닛(15)으로부터 상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에 송신한다.
상부 설정 통신 유닛(17)에 있어서 상위 측으로부터 설정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는, 신호 프로세서(10)에서는, 수신한 설정 요구에 포함되는 설정 정보를 메모리(11)에 저장하거나, 수신한 설정 요구에 포함되는 설정 정보를 하부 설정 통신 유닛(18)으로부터 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에 송신한다. 또한, 상부 설정 통신 유닛(17)에 있어서 상기 노드(21 내지 24)의 메모리(11)에 저장되어 있는 설정 정보의 취득 요구를 수신하면, 신호 프로세서(10)에서는, 수신한 취득 요구를 하부 설정 통신 유닛(18)으로부터 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에 송신하는 동시에 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로부터 수신한 설정 정보를 상부 설정 통신 유닛(17)으로부터 상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에 송신하고, 메모리(11)에 저장된 설정 정보를 취득하여 상부 설정 통신 유닛(17)으로부터 상위 계층 레벨 있는 노드들에 송신한다.
전술한 처리 외에, 신호 프로세서(10)에서는, 하부 관리 통신 유닛(16)으로부터 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에 제어 요구를 송신하는 기능, 하부 관리 통신 유닛(16)으로부터 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에 정보의 취득 요구를 송신하는 동시에, 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고 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상부 관리 통신 유닛(15)으로부터 상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에 송신하는 기능, 하부 관리 통신 유닛(16)으로부터 정보의 취득 요구를 송신하는 동시에 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고 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메모리(11)에 저장하는 기능, 메모리(11)에 저장한 정보를 취득하여 상부 관리 통신 유닛(15)으로부터 송신하는 기능, 메모리(11)에 저장한 정보를 수집하여 가공 분석을 행하여 메모리(11)에 다시 저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전술한 구성은 노드(21 내지 24)에 관한 것이지만, 조명 제어 단말 유닛(31) 및 전력 감시 단말(32)은, 기본적으로는, 노드(21 내지 24)와 동일한 구성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9에 나타낸 구성과 유사하지만, 하부 관리 통신 유닛(16) 및 하부 설정 통신 유닛(18) 대신에 입력 장치(33), 출력 장치(34), 디바이스 통신 유닛(35)을 적정한 수로 구비한다. 이용자 통신 유닛(19)은 생략할 수 있다.
입력 장치(33) 및 출력 장치(34)는, 온 오프 신호나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장치이며, 통신을 행하지 않고 디바이스를 직접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통신 유닛(35)은, 신호선 Ls1, Ls2를 접속함으로써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디바이스 통신 유닛(35)은 디바이스에 따라 적당한 사양의 것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집중 제어형의 디바이스에 대응하여 폴링 방식(poling method)의 통신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거나, 분산 제어형의 디바이스에 대응하여 컨텐션 방식(contention method)의 통신을 행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DX512와 같이 제어 지령의 송신만을 행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 8에 나타낸 구성예에서는, 조명 제어 노드(21)는, 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에 접속한 조명 제어 단부 단말(31)과 통신 가능하며, 조작 표시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그룹 프로세싱 및 패턴 프로세싱의 설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미리 설정한 스케줄을 이용하여 조명 제어 단부 단말(31)에 제어의 지시를 행하는 기능도 구비한다. 또한, 전력 감시 노드(22)는, 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에 접속한 전력 감시 단부 단말(32)과 통신 가능하며, 계량 디바이스 Ms로 계측한 계측 정보를 축적하거나, 미리 설정한 그룹 정보를 이용하여, 수집한 데이터를 그룹마다 집계할 수도 있다. 데이터를 집계하는 경우도 정기적으로 집계 값을 구하도록 해도 된다. 전력 감시 단말(32)에 축적된 데이터는, 조작 표시 디바이스에 의해 참조할 수 있다.
영역 관리 노드(23)는, 하위 측 계층 레벨의 복수의 조명 제어 노드(21) 및 하위 측 계층 레벨의 전력 감시 노드(22)와 통신할 수 있어 조명 디바이스의 제어 상태나 계측 데이터의 수집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이것은 전력 감시 노드(22)에 의해 계측된다. 또한, 영역 관리 노드(23)는 조작 표시 디바이스에 의해 조작되어, 패턴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영역 관리 노드(23)는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를 제어하여, 미리 정해진 조명 디바이스의 하나의 그룹이 점등되고, 미리 정해진 조명 디바이스의 다른 그룹이 소등된다. 또한, 영역 관리 노드(23)는 복수의 전력 감시 노드(22)를 그룹화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서는, 영역 관리 노드(23)는 각각의 전력 감시 노드(22)로부터 데이터를 집계하여 그룹마다 데이터를 계수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집계한 데이터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영역 관리 노드(23)는 조명 디바이스의 그룹이 미리 정해진 소모 에너지를 절약하도록 조명 디바이스의 그룹을 조작한다.
지구 관리 노드(24)는, 하위 측 계층 레벨의 복수의 영역 관리 노드(23)와 통신 가능하다. 지구 관리 노드(24)는, 기본적으로는, 상부 관리 유닛(6)과 영역 관리 노드(23)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중개하는 기능을 가지고, 또한 조명 제어 노드(21), 전력 감시 노드(22), 영역 관리 노드(23)에서는 실현되어 있지 않은 암호화 통신을 상부 관리 통신 유닛(15), 상부 설정 통신 유닛(17), 이용자 통신 유닛(19)의 통신에 있어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지구 관리 노드(24)에서는, 영역 관리 노드(23)와 마찬가지로, 하위 측 계층 레벨의 조명 디바이스 Ld에 관하여 그룹화를 행하지만, 계량 디바이스 Ms로 계측한 계측 정보의 집계는 행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통신의 사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명 제어 단부 단말(31)을 사용한 조명 디바이스 Ld의 제어에 관하여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별 제어와 일괄 제어가 있고, 조작 단말 유닛 TU1의 스위치 SW를 조작한 것을 신호선 Ls1을 통한 통신에 의해 조명 제어 단말 유닛(31)이 취득하면, 조명 제어 단말 유닛(31)에 설정된 테이블(일괄 제어의 경우에는 제어 정의 테이블)을 참조하고, 제어 대상이 되는 조명 디바이스 Ld를 접속한 제어 단말 유닛 TU2에 대하여 신호선 Ls1을 통해 제어를 지시한다. 개별 제어의 경우에는 스위치 SW와 조명 디바이스 Ld가 일 대 일의 관계이지만, 일괄 제어의 경우에는 제어 정의 테이블에 의해 스위치 SW에 대응하는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 Ld에 전개되어 각 조명 디바이스 Ld를 접속한 제어 단말 유닛 TU2에 대하여 각각 제어가 지시된다.
한편, 전력 감시 단부 단말(32)에서는, 신호선 Ls2를 통해 각 계량 디바이스 Ms로부터 계측 정보를 수신하여 축적한다. 한편, 계량 디바이스 Ms가 계측 정보를 전력 감시 단말(32)에 대하여 자발적으로 송신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구성 대신, 전력 감시 단말(32)이 각각의 계량 디바이스 Ms에 차례로 액세스함으로써 계측 정보를 취득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노드(21 내지 24)를 통하여 행하는 통신에 사용하는 패킷은, 기본적으로는, 도 11에 나타낸 포맷을 가지고 있다. 즉, 패킷은 "송신원 ID", "송신처 ID", "커맨드", "커맨드 데이터 1", "커맨드 데이터 2", ..., 및 "커맨드 데이터 n"의 형식으로 되어 있다. ID는 식별 정보로서, 각각의 노드(21 내지 24)를 식별하는 체계로 되어 있다. 각각의 노드(21 내지 24)는 하위 측 계층 레벨 시스템과 관련해서 친노드(parent node)로서 기능한다. 친노드로서 기능하는 각각의 노드(21 내지 24)는, 노드(21 내지 24)의 ID와 노드(21 내지 24)의 IP 어드레스 간의 대응 표를 가진다. 또한, 하위 측 계층 레벨 시스템에 위치하는 각각의 노드(21 내지 24)는 친노드의 ID와 IP 어드레스를 가진다. 따라서, 노드(21 내지 24)는 "송신원 ID"에 기초하여 IP 어드레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신처 ID는", 통신 경로를 나타내기 위해 복수의 ID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ID는 적당한 구두점으로 구획된다. 여기서는, 시스템이 A 레벨, B 레벨, C 레벨, D 레벨의 4개의 계층 레벨인 경우, 송신처 ID는 각각의 계층 레벨에서 노드들을 구별하기 위해 숫자(1, 2, ...)를 가지는 하이픈으로 연결된 알파벳(A 내지 D)을 포함한다.
패킷이 "송신원 ID"가 "A-1"로서, "송신처 ID"가 "B-1"로 되어 있는 경우, 패킷이 이웃하는 계층 레벨로 송신되기 때문에 통신 경로를 나타낼 필요가 없지만, 패킷이 "송신원 ID"가 "A-1"로서, "송신처 ID"가 "D-1"인 것으로 하면, 3개의 계층 레벨을 통하는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통신 경로를 나타낼 필요가 있다.
통신 경로를 나타낸 방법은 2가지의 방법이 준비되어 있다. 한 가지 방법은, 인접하는 계층 레벨의 노드를 "송신처 ID"를 가지는 패킷으로 지정하여, 커맨드 데이터에 대하여 통신 경로를 나타내는 복수의 ID를 포함시키는 방법이다. 다른 방법은, "송신처 ID"에 통신 경로를 나타낸 복수의 ID를 포함시키는 방법이다. 전자의 방법에서는, 인접하는 계층의 노드(21 내지 24)에서는 커맨드 데이터에 포함되는 ID를 읽어들여 다음 계층 레벨의 노드를 나타내는 송신처로 지정하고, 이어서, 송신처로 지정한 ID를 커맨드 데이터로부터 삭제하도록 정보를 가공하여 통신을 행한다. 또한, 후자의 방법에서는, "송신처 ID"가 복수의 ID를 포함하고 있으면, 복수의 "송신처 ID"의 헤더에 대응하는 노드(21 내지 24) 중 하나를 송신처로 한다. 한편, 노드들이 복수의 ID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하면, 노드들은 그 헤더 ID를 삭제하고 이어서 새로운 헤더에 대응하는 노드(21 내지 24)에 패킷을 송신한다.
커맨드에는, "온 제어", "쓰루 온 제어", "이벤트", "쓰루 이벤트", "서비스 문의", "구성 문의", "긍정 응답", "부정 응답" 등이 있다. "온 제어"는 조명 디바이스 Ld를 온으로 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벤트"는 커맨드 데이터에 포함되는 이벤트를 송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쓰루 온 제어" 및 "쓰루 이벤트"는, 통신 경로를 지정한 경우에 중간의 노드(21 내지 24)를 통과하여 최종의 송신처 ID의 노드(21 내지 24)에 "온 제어" 및 "이벤트 발행"을 통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서비스 문의"는 서비스의 일람을 요구하는 것을 의미하고, "구성 문의"는 구성의 일람을 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긍정 응답"은 패킷의 수신과 관련하여 응답을 나타낸다. "부정 응답"은, 패킷의 수신과 관련해서 응답을 나타낸다. "부정 응답"이 송신되면, 부정 응답을 커맨드 데이터로서 부가한다.
이하, 패킷이 "온 제어" 및 "쓰루 온 제어"와 함께 송신되는 예에 기초해서, 통신 경로를 나타낸 동작을 설명한다. 어느 쪽의 예도, 패킷이 노드 "A-1"으로부터 노드 "D-1"으로 송신된다. 결과적으로, 조명 디바이스 Ld는 어드레스 2-4를 가지는 스위치 SW로 제어된다. 또한, 이 설명에서는, 패킷이 노드 A-1으로부터 B-1 및 C-1을 통하여, 노드 D-1에 이르는 통신 경로를 통해 송신된다. 여기에, 조작 단말 유닛 TU1은 4개의 스위치 SW가 접속 가능한 것으로 한다. 제어 단말 유닛 TU2는 조명 디바이스 Ld에 접속 가능한 것으로 한다. 스위치 SW나 조명 디바이스 Ld의 어드레스는, 조작 단말 유닛 TU1 또는 제어 단말 유닛 TU2의 어드레스와 스위치 SW 또는 조명 디바이스 Ld의 회로를 구별하는 회로 번호를 하이픈으로 결합한 형태에 의해 표현된다. 예를 들면, 어드레스가 2인 조작 단말 유닛 TU1의 회로 번호가 4인 스위치 SW의 어드레스를 2-4라고 한다.
패킷이 "온 제어"를 가지는 경우에는, 노드 A-1에 인접하는 노드 B-1을 지정한다. 또한, 패킷의 커맨드는 노드 C-1, 노드 D-1 및 어드레스 2-4를 가지는 스위치 SW를 포함하도록 결정된다. 커맨드 데이터에서의 노드 C-1 및 D-1은 통신 경로를 나타낸다. 스위치 SW의 어드레스 2-4는 조명 디바이스 Ld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어드레스를 가지는 스위치 SW는 제어되는 조명 디바이스 Ld를 나타낸다. 노드 B-1이 이 패킷을 수신하면, 노드 B-1은 "송신처 ID"를 노드 C-1로서 재기록한다. 또한, 노드 B-1은 커맨드 데이터에서 C-1을 삭제한다. 즉, 노드 B-1은 노드 C-1을 송신처로 하는 패킷을 송신한다. 노드 C-1은 이 패킷을 수신하면, 송신처 ID를 D-1로 하여 커맨드 데이터로부터 D-1을 삭제하기 때문에, 노드 D-1에 패킷이 송신되고, 노드 D-1에서는 스위치 SW를 조작했을 때와 동일한 동작으로 조명 디바이스 Ld를 제어한다.
한편, 커맨드가 "쓰루 온 제어"를 가지는 경우에는, 노드 A-1은 송신처 ID를 "B-1":"C-1":"D-1"으로 설정한다. 또한, 노드 A-1은 "2-4"의 어드레스를 가지는 스위치가 동작하도록 커맨드 데이터를 결정한다. 이 패킷은 "송신처 ID"의 헤더에 기술된 노드 B-1에 수신되고, 노드 B-1에서는 송신처 ID로부터 "B-1"을 삭제하고, 이어서, "송신처 ID"를 "C-1" "D-1"으로 하는 패킷을 송신한다. 이 패킷은 "송신처 ID"의 헤더에 기술된 노드 C-1에 수신된다. 이 처리를 반복한다. 그 결과, 어드레스 2-4의 커맨드 데이터가 노드 D-1에 의해 수신된다. 노드 D-1이 이 패킷을 수신할 때, 송신처 ID는 데이터를 가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노드 D-1은 스위치 SW가 동작되도록 어드레스 2-4를 가지는 조명 디바이스 Ld를 동작시킨다.
"온 제어"의 경우와 "쓰루 온 제어"의 경우에는, "송신처 DI"는 노드(21 내지 24)를 전술한 바에 대해 역순으로 가지도록 결정된다. 결과적으로, 동작 결과는 상위 노드로 송신된다. 그렇지만, "온 제어"에서는, 통신 경로에서의 각각의 노드(21 내지 24)는 조명 디바이스 Ld의 관리점 상태(operation condition)를 기억한다. 한편, "쓰루 온 제어"에서는, 송신원 노드와 송신처 노드 사이의 노드(21 내지 24)에서는 조명 디바이스 Ld의 관리점 상태는 기억하지 않고 통과시킬 뿐이다. 따라서, "쓰루 온 제어"에서는, 송신원의 노드만이 관리점의 정보를 유지함으로써, 송신원 노드와 송신처 노드 사이의 노드(21 내지 24)는 CPU의 능력이나 메모리(11)와 같은 하드웨어 자원을 충분히 가질 필요가 없다. 한편, "온 제어"의 경우는, 각각의 노드가 메모리(11)에 저장되어 있는 관리점 상태에 기초하여 관리점 상태를 송신할 수 있다. 즉, 하위 측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에 대한 관리점 상태를 인식하지 않고서도 노드들은 관리점 상태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서 "온 제어"와 "스루 온 제어" 중 어느 하나를 적당히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커맨드가 "이벤트"인 패킷이 송신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노드 D-1에 접속된 조명 디바이스 Ld의 동작 상태가 변화된 것을 노드 A-1에 통지하는 것을 예로 설명한다. "온 제어"에서는 상위 계층 레벨에 위치하는 노드 A-1로부터 하위 계층 레벨에 위치하는 노드 D-1에 패킷을 송신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이벤트"에서는 노드 D-1으로부터 노드 A-1로 패킷을 송신한다.
여기서, 노드 D-1에 인접하는 노드 C-1에 패킷을 송신할 때, 노드 C-1에서는 상기 패킷을 통과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판단한다. 즉, 미리 지정된 특정한 이벤트에 관한 패킷인 경우, 노드 C-1은 이 패킷이 C-1을 통과하는 것을 저지한다. 환언하면, 노드 C-1은 이 패킷의 통과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노드 B-1에 송신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필터링을 행한다. 노드 C-1이 통과시킬 것인지 또는 저지할 것인지의 이벤트는 조작 표시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커맨드가 "서비스 문의" 및 "구성 문의"를 가지는 경우에는, 상위 측 계층 레벨의 노드들로부터 하위 측 계층 레벨의 노드들로 패킷이 송신되고, 이 경우도 송신원 노드와 송신처 노드 사이의 노드들은 적당히 패킷의 통과 또는 저지를 행한다. 또한, 서비스의 문의에 대하여 송신원 노드와 송신처 노드 사이의 노드들은 서비스를 대행하도록 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송신원 노드와 송신처 노드 사이의 노드들은 패킷의 필터링을 행함으로써, 노드들이 필터링을 행하지 않는 경우보다 처리하는 패킷 수를 저감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처리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경로가 "A-1", "B-1", "C-1", "D-1"으로 결정되었을 때, 상기의 패킷을 노드 C-1이 필터링 해서 노드 D-1에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노드 A-1은 노드 D-1 하의 디바이스와 관련해서 서비스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예를 들면, 각각의 계량 디바이스 Ms의 계측 정보를 얻을 수 없다). 그렇지만, 노드 A-1은 노드 C-1 하에서, 노드 D-1, D-2, ...를 통합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수 있다.
(실시예 4)
제3 실시예에서는, 노드(21 내지 24)가 1개의 루트를 가지는 트리 구조 시스템을 구축한 예를 나타냈으나, 도 12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상위 노드로서 기능하는 디바이스 관리 노드(25)를 적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 관리 노드(25)는 각각의 노드(21 내지 24) 및 단부 단말(31, 32)과 각각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디바이스 관리 노드(25)는, 각각 통신하는 노드(21 내지 23) 및 개별적으로 통신하는 단부 단말(31, 32)의 동작 상태나 통신 상태를 검지할 수 있고, 노드(21 내지 23) 및 단부 단말(31, 32)의 고장의 이력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디바이스 관리 노드(25)는, 고장이 발생된 경우에 설정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백업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 관리 노드(25)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관리 유닛(4)에 상당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디바이스 관리 노드(25)를 지구 관리 노드(24)에 접속하고 있지 않지만, 디바이스 관리 노드(25)를 지구 관리 노드(24)의 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에 접속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지구 관리 노드(24)를 설치하는 경우에, 상부 관리 유닛(6)의 하위 측 계층 레벨에 위치하는 지구 관리 노드(24)와 함께 디바이스 관리 노드(25)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최상위 노드로서 기능하는 상부 관리 유닛(6)에는, 상부 관리 통신 유닛(15) 및 상부 설정 통신 유닛(17)이 불필요이다. 상부 관리 유닛(6)은 전술한 것을 제외하곤 제3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부 관리 유닛(6)의 동작은 제3 실시예에서의 동작과 같다.

Claims (14)

  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디바이스를 감시 및/또는 제어하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단말 유닛;
    상기 복수의 단말 유닛과 함께, 논리적으로 계층화된 구조를 가지는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복수의 노드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노드는, 상위 노드(superior node), 상기 상위 노드보다 하위 계층 레벨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위 노드에 접속되는 중위 노드(internal node), 및 상기 중위 노드보다 하위 계층 레벨에 위치하도록 상기 중위 노드에 접속되는 하위 노드(inferior node)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노드는, 상부 통신 유닛, 하부 통신 유닛, 및 메모리를 가지며, 상기 상부 통신 유닛은 상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 통신 유닛은 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를 감시 및/또는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관리 정보를 유지하고,
    상기 복수의 노드의 상기 상부 통신 유닛은 각각, 상기 상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에 관리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부 관리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노드의 하부 통신 유닛은 각각, 상기 하위 계층 레벨에 있는 노드들에 관리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부 관리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들은 미리 결정된 관리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관리 영역은 로컬 관리 유닛 및 영역 유닛을 각각 구비하는 소영역들(sub-areas)로 분할되고,
    상기 로컬 관리 유닛은, 하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상기 단말 유닛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영역 유닛은, 상기 소영역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상기 로컬 관리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노드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은,
    각각의 상기 소영역 내의 상기 영역 유닛과 상부 관리 유닛을 구비한 계층의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 개재하는 영역 분리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역 분리 장치는 상기 로컬 관리 유닛과 상기 영역 유닛 사이에 송신되는 통신 패킷이 상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영역 유닛은 상기 영역 분리 장치를 통하여 상기 상부 관리 유닛과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노드, 상기 중위 노드, 상기 하위 노드의 각 노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설정하도록 구성된 조작 표시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이용자 통신 유닛(usage communication unit)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통신 유닛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정보를 상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상부 설정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통신 유닛은, 상부 설정 통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하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하부 설정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노드, 상기 중위 노드, 상기 하위 노드의 각 노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설정하도록 구성된 조작 표시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이용자 통신 유닛(usage communication unit)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관리 통신 유닛 및 상기 하부 관리 통신 유닛 양자는 제1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이용자 통신 유닛은 제2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설정 통신 유닛 및 상기 하부 설정 통신 유닛은 제3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 상기 제2 통신 프로토콜 및 상기 제3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2개는, 각각의 노드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동일한,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노드는 CPU를 구비하는 신호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프로세서들은 각각 동일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위 노드는 정보를 통과시키며, 상기 정보의 통과를 지시하는 커맨드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할 때는, 상기 중위 노드의 상기 메모리에 정보를 저장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노드는, 상기 노드들의 상기 하부 통신 유닛이 하위 계층 레벨의 노드들로부터 미리 결정된 커맨드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할 때만, 상기 상부 통신 유닛을 통하여 상위 계층 레벨의 통신 네트워크에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관리 유닛은, 각각의 소영역 내의 복수의 상기 디바이스들을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일괄 제어 지시(bulk control instruction)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영역 유닛은, 상기 일괄 제어 지시를 수신하면, 상기 디바이스들을 관리하는 상기 로컬 관리 디바이스들 중 하나를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로컬 관리 디바이스에 상기 일괄 제어 지시를 송신하며,
    상기 로컬 관리 디바이스는, 상기 일괄 제어 지시를 수신하면 복수의 상기 디바이스들을 지정하고, 상기 일괄 제어 지시에 따라 상기 지정된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동일하게 제어하기 위해 상기 지정된 복수의 디바이스들에게 동일한 지시를 보내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들은 상기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타이밍을 결정하고, 상기 소영역 내의 상기 로컬 관리 디바이스의 관리 하에 상기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때 상기 타이밍에 상기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07005134A 2007-08-06 2008-08-06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KR101209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04570 2007-08-06
JP2007204570 2007-08-06
JP2008009827A JP5319926B2 (ja) 2007-08-06 2008-01-18 機器管理システム
JPJP-P-2008-009827 2008-0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535A KR20100058535A (ko) 2010-06-03
KR101209500B1 true KR101209500B1 (ko) 2012-12-07

Family

ID=40555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5134A KR101209500B1 (ko) 2007-08-06 2008-08-06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84329B2 (ko)
JP (2) JP5319926B2 (ko)
KR (1) KR101209500B1 (ko)
CN (1) CN1018220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4325B2 (en) * 2008-06-02 2013-01-29 Adura Technologies, Inc. Intelligence in distributed lighting control devices
JP5432666B2 (ja) * 2009-10-23 2014-03-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設備制御向け中継システム
JP2012008871A (ja) * 2010-06-25 2012-01-12 Ricoh Co Ltd 機器管理装置、機器管理方法、及び機器管理プログラム
CA2817575C (en) * 2010-11-15 2020-03-10 Ecotech Marine,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habitat environment
JP5837570B2 (ja) * 2011-03-25 2015-12-24 テルモ株式会社 体液成分測定システム
CN103493437B (zh) * 2011-04-19 2016-04-20 三菱电机株式会社 网络解析支援装置、网络试验装置、网络解析支援方法以及网络试验方法
US9192019B2 (en) 2011-12-07 2015-11-17 Abl Ip Holding Llc System for and method of commissioning lighting devices
JP2013178744A (ja) * 2012-01-30 2013-09-09 Ricoh Co Ltd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386665B2 (en) 2013-03-14 2016-07-0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integrated lighting control, configuration, and metric tracking from multiple locations
JP6156794B2 (ja) * 2013-03-29 2017-07-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負荷制御システム
CN104717183A (zh) * 2013-12-13 2015-06-1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统合监控系统、网关设备及其数据传输方法
US9521219B2 (en) * 2014-01-20 2016-12-13 Echelon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using common addressing
US10402358B2 (en) * 2014-09-30 2019-09-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odule auto addressing in platform bus
JP6366747B2 (ja) * 2017-01-04 2018-08-01 京セラ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情報機器及び制御方法
JP6395094B1 (ja) * 2017-05-22 2018-09-26 株式会社ファイブウェーブ 時刻情報有線伝送装置
JP7065339B2 (ja) * 2017-10-31 2022-05-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インタフェース、通信システム、機器制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65386B2 (ja) * 2017-10-31 2022-05-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機器制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65387B2 (ja) * 2017-10-31 2022-05-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機器制御システム、伝送ユニット、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61992B2 (ja) * 2017-10-31 2023-04-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機器制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9163583A1 (ja) * 2018-02-21 2019-08-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制御方法、及び制御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発信機
JP7135430B2 (ja) * 2018-05-16 2022-09-13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制御システム
US11334043B2 (en) * 2018-06-11 2022-05-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perating terminal and facility device control system
JP7424296B2 (ja) * 2018-09-13 2024-01-30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管理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
FR3112223A1 (fr) * 2020-07-05 2022-01-07 Orange Sélection et commande d’objets connectés depuis une représentation symbolique d’une topographie d’un sit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8778A (ja) 1996-07-30 1998-04-14 Mitsubishi Electric Corp ビル管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75048C (en) * 1990-01-30 1999-08-17 Gregory A. Pascucci Networked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JPH0822103B2 (ja) 1990-10-18 1996-03-04 株式会社精工舎 ビル管理装置
JPH0865759A (ja) * 1994-08-17 1996-03-08 Mitsubishi Electric Corp ビル管理装置
US20020016639A1 (en) * 1996-10-01 2002-02-07 Intelihome, Inc., Texa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building automation
JPH10262048A (ja) * 1997-03-17 1998-09-29 Fujitsu Ltd 電源管理システム
US6067477A (en) * 1998-01-15 2000-05-23 Eutech Cybernetics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reation of personalized supervisory and control data acquisition systems for the management and integration of real-time enterprise-wide applications and systems
US6122603A (en) * 1998-05-29 2000-09-19 Powerweb, Inc. Multi-utility energy control system with dashboard
NZ535509A (en) * 2002-03-28 2006-03-31 Robertshaw Controls Co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7634555B1 (en) * 2003-05-16 2009-12-1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uilding automation system devices
JP2005217481A (ja) 2004-01-27 2005-08-11 Hitachi Electronics Service Co Ltd ネットワーク接続装置
JP4639675B2 (ja) * 2004-07-20 2011-02-23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機器監視装置及び機器監視システム
JP4639736B2 (ja) * 2004-10-01 2011-02-23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機器監視制御装置
JP4513506B2 (ja) 2004-10-29 2010-07-2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機器管理システムおよびゲートウェイ装置
US7941489B2 (en) * 2005-01-24 2011-05-10 Daniel Measurement And Control, Inc. Method and system of determining a hierarchical structure
CN101138281A (zh) * 2005-03-11 2008-03-05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无线照明分配的墙检测
JP2007174435A (ja) * 2005-12-22 2007-07-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8778A (ja) 1996-07-30 1998-04-14 Mitsubishi Electric Corp ビル管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60570A (ja) 2009-03-19
CN101822004A (zh) 2010-09-01
JP5319926B2 (ja) 2013-10-16
KR20100058535A (ko) 2010-06-03
JP2009060573A (ja) 2009-03-19
JP5086838B2 (ja) 2012-11-28
US20120004739A1 (en) 2012-01-05
US8484329B2 (en) 2013-07-09
CN101822004B (zh) 201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9500B1 (ko)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KR101369373B1 (ko) 자동화 관리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CN101442430B (zh) IPv6数字化网络照明控制系统和IPv6数字化网络控制系统
US201002600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local devices over a wide area network
US20200358718A1 (en) Dynamic packet routing
CN104137479B (zh) 计算机系统和虚拟网络的可视化方法
JP2017539183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ノード障害からの適応回復
KR101122690B1 (ko) 네트워크 시스템
JP4939650B2 (ja) 機器管理システム
RU2764541C1 (ru) Сеть промышленных беспроводных приборов с низким энергопотреблением
CN106878090B (zh) 支持多样性架构组件的软件定义网络控制器
CN104936202B (zh) 基于CoAP协议的6LoWPAN无线传感网络管理系统
JP2009265939A (ja) 機器管理システム
Xu et al. A WSN architecture based on SDN
JP3692114B2 (ja) 監視制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3684855A (zh) 一种集群路由器智能管控的方法
CA25251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tensible control network for remote devices
JP2011077713A (ja) 機器管理システム
CN104065754A (zh) 一种基于p2p技术的无线传感器网络及其构建方法
CN203951500U (zh) 一种基于p2p技术的无线传感器网络
JP2011077712A (ja) 機器管理システム
Cho et al. Architecture for SDN-Independent Gateway
EP2892182B1 (en) A network element for a data transfer network
Kim et al. A self-organizing communication architecture for ZigBee
JP2005196534A (ja) メッセージ収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