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320B1 -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320B1
KR101208320B1 KR1020100115413A KR20100115413A KR101208320B1 KR 101208320 B1 KR101208320 B1 KR 101208320B1 KR 1020100115413 A KR1020100115413 A KR 1020100115413A KR 20100115413 A KR20100115413 A KR 20100115413A KR 101208320 B1 KR101208320 B1 KR 101208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electric vehicle
charger
serv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5508A (ko
Inventor
장기영
소평수
권연택
김용빈
이훈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빌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빌,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빌
Priority to KR1020100115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320B1/ko
Publication of KR20120075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1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a wired telecommunication network or a data transmission b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4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d telecommunication networks or data transmission bu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8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involving the use of Internet protocol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에서 전기자동차의 충전이나 요금 계산 및 과금 처리 절차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단지 내에 설치되는 충전 스테이션, 전반적인 충전상태를 관장하는 단지 서버 및 세대별 홈 서버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충전기 관리 운영을 위한 관리사무소 PC를 인터넷망으로 연계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에서부터 요금 계산 및 과금 처리까지의 전반적인 절차를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기자동차 충전 방식 및 과금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제한된 공간에서 다수의 전기자동차를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전기자동차 충전과 관련한 전기사용량에 따른 요금 계산 및 과금 절차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을 위한 사용자 인증 및 충전전력량의 연산 및 전송을 위한 메인 컨트롤러를 1곳에 설치하고, 다수의 차량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케이블을 다수 마련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1:N 방식의 충전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주차 공간의 사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충전케이블이 설치되어 있는 원하는 곳에서 충전할 수 있는 등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고 충전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예약 충전 기능을 통해 다수의 전기자동차를 순차적으로 충전하는 새로운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제한된 수량의 충전기로 다수의 전기자동차를 예약 순번대로 충전할 수 있는 등 충전 시스템의 운영과 관련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for apartments and Electric vehicle charging method using the thereof}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에서 전기자동차의 충전이나 요금 계산 및 과금 처리 절차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계적인 환경 규제 강화와 에너지 절감 추세에 따라 세계각국에서는 친환경적인 전기자동차의 개발과 보급이 점차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기자동차의 보급에 따라 충전을 위한 충전소의 확충이 필요하나, 기존의 유류연료 주입방식보다 충전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차량 운행시 매일 차량 운행거리를 예측할 수 없고, 장시간 충전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시 매일 충전을 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단독주택의 경우에는 자택의 상용전원을 이용한 충전이 가능하나, 다가구 또는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 단지에서는 자택의 전원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들이 있다.
예를 들면, 보통 전기자동차의 경우에 가정에서의 충전은 가정용 전기 플러그를 통하여 충전을 하여 그 충전 전력은 각 가정의 적산전력계를 통해 계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아파트 등과 같은 대단위 집단거주 시설에서는 주차면이 다양하고 넓어 항상 동일한 주차면에 주차하기 어렵고, 아파트 주차장 등과 같은 공용 주차장에서 충전용 전기 플러그를 차량별로 항상 동일하게 배정할 수 없기 때문에 편리하게 충전을 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충전 중에 사용한 전력량을 과금 처리할 때에는 각 가정의 전기사용량에 누적시켜 과금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과금 처리에는 기술적인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공동주택의 단지 내에 설치되는 충전 스테이션, 전반적인 충전상태를 관장하는 단지 서버 및 세대별 홈 서버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충전기 관리 운영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관리사무소 PC에 설치하고 인터넷망으로 연계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에서부터 요금 계산 및 과금 처리까지의 전반적인 절차를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기자동차 충전 방식 및 과금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제한된 공간에서 다수의 전기자동차를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전기자동차 충전과 관련한 전기사용량에 따른 요금 계산 및 과금 절차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을 위한 사용자 인증 및 충전전력량의 연산 및 전송을 위한 메인 컨트롤러를 1곳에 설치하고, 다수의 차량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케이블을 다수 마련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1:N 방식의 충전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메인 컨트롤러의 설치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주차 공간의 사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충전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예약 충전 기능을 통해 다수의 전기자동차를 순차적으로 충전하는 새로운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제한된 수량의 충전기로 다수의 전기자동차를 예약 순번대로 충전할 수 있는 등 충전 시스템의 운영과 관련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어 전기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하는 것으로서, 홈네트워크와 TCP/IP 통신 컨트롤러를 통해 인터넷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충전기와, 상기 충전기측과 인터넷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충전기의 상태, 충전전력사용량 정보를 충전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기능 및 충전기 사용자 정보를 RFID 카드 정보와 대조하여 인증하는 기능을 하는 단지 서버, 각 세대에서 충전기의 이용을 예약하는 기능 및 세대별 RFID 카드를 이용하여 충전사용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홈서버로 구성되는 홈네트워크와, 상기 홈네트워크와 통신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하며, 전기자동차 운행이력 관리 및 전기자동차 충전내역 관리와 전기자동차 충전 전력요금을 계산하는 기능을 하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관리사무소 P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충전기는 충전시 전기자동차측 전력 공급을 위한 충전케이블과 플러그를 갖추고 있으며, 충전을 위한 충전기 사용자 인증이 가능한 RFID 카드 리더기, 충전상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LCD 화면, 충전상태를 조명으로 표시하는 LED 조명, RFID 인증 후 충전 개시 및 충전 완료를 제어하고 충전기 사용내역에 따른 전력량을 계산하여 사용요금을 계산 및 부과하는 PMS 컨트롤러, 내부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SMPS, 사용전력량을 계량하는 디지털 계량기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전기는 충전을 위한 사용자 인증, 충전전력량의 연산 및 전송을 위한 LCD 컨트롤러 및 PMS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PMS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교류전자개폐기 및 디지털 계량기와 전기자동차측 접속을 위한 충전케이블로 구성되는 단위 충전 유니트를 여러 세트 구비한 형태의 다중 충전시설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은 공동주택 주차장에 설치되어 있는 충전기의 사용을 위해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와, 충전기 사용자 인증 후 충전기를 사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단계와, 사용자 인증 세대에 전기자동차 충전에 의해 사용된 전력량을 통합 청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사용자 인증하는 단계는 충전기의 RFID 카드 리더기에 RFID 카드를 접촉하는 과정과, 충전기와 단지서버 간의 통신을 통해 RFID 카드 고유번호를 조회하는 과정과, 단지서버에 등록된 RFID 카드 정보 존재시 인증하는 과정과, RFID 카드의 사용세대 정보값을 충전기로 회신하여 LCD 화면에 사용자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증하는 단계에서 RFID 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전에 홈네트워크의 홈서버를 통해 충전기의 이용시간을 미리 예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증 세대에 사용 전력량을 통합 청구하는 단계는 RFID 카드로부터 인식된 코드값을 단지서버 데이터베이스에 조회하는 과정과, 조회된 코드값의 동호수 사용자 정보와 함께 충전기에서 계량한 전력사용량을 단지서버에 저장하는 과정과, 매월 원격검침서버의 해당 동호수에 세대별 전력사용량과 합산하여 전기사용량에 따른 전기요금을 청구하는 과정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전기를 사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단계는 충전을 위한 사용자 인증, 충전전력량의 연산 및 전송을 위한 LCD 컨트롤러 및 PMS 컨트롤러와 상기 PMS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지털 계량기를 포함하는 충전기를 이용하여 예약 충전 기능을 통한 다수의 전기자동차를 순차적으로 충전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상기 PMS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여러 세트의 교류전자개폐기 및 충전케이블을 구비하여, 충전기의 LCD 표시부의 터치스크린을 통한 충전케이블 선택으로 충전예약을 한 후, 각 세트의 교류전자개폐기의 전원을 컨트롤하여 예약된 순번대로 순차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기 사용자 인증 후 충전기를 사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단계에서는 충전기 사용전력량이 계산되어 단지서버로 전송 저장되는 과정과, 세대별 RFID 카드를 이용한 인증 후에 단지서버와의 통신이 가능한 홈네트워크의 홈서버를 통해 충전기 충전내역을 조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충전기, 단지 서버 및 세대별 홈 서버의 홈네트워크, 관리사무소 PC를 인터넷망으로 연계시킨 충전 시스템을 구축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에서부터 요금 계산 및 과금 처리까지의 전반적인 절차를 일괄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에서 전기자동차를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전기자동차 충전에 따른 전기사용량의 계산 및 과금 절차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전기자동차 충전시 1:N 방식의 충전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주차 공간의 활용성, 특히 지하주차장 공간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고, 충전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예약 충전 기능을 통해 다수의 전기자동차를 순차적으로 충전하는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서, 제한된 수량의 충전기로 다수의 전기자동차를 예약 순번대로 충전할 수 있고, 따라서 충전 시스템의 운영과 관련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에서 충전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에서 홈네트워크 충전기 이용예약 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에서 홈네트워크 충전내역조회 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에서 관리비 통합청구 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에서 전기차 이용시간에 따른 사용요금 계산 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에서 1:N 방식의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에서 전류량에 따른 전력공급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에서 사용자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에서 전기자동차 충전상태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에서 충전 예약 순서에 따른 순차적 충전 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주차장, 바람직하게는 지하 주차장에 설치되는 충전기(11), 이 충전기(11)와 인터넷망이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라인 등으로 연결되어 있는 단지 서버(12) 및 홈서버(13)로 구성되는 홈네트워크(10), 상기 홈네트워크(10)와 인터넷망 등으로 연결되어 있는 관리사무소 PC(14)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충전기(11)는 전기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하는 수단으로서, 전기 자동차와 접속가능한 충전케이블이 내장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충전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LCD 화면(15)과 충전상태를 조명으로 표시할 수 있는 LED 조명(16)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충전기(11)에는 RFID 카드 리더기(22)가 갖추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충전기 사용시 사용자의 인증 및 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충전기(11)는 홈네트워크(10)와 TCP/IP 통신 컨트롤러를 통해 인터넷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충전기 사용과 관련한 정보, 예를 들면 사용자 인증, 충전량 계량 및 시간 등과 같은 사용량 정보가 단지서버(12)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홈네트워크(10)의 단지서버(12)는 충전기(11)측과 인터넷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충전기(11)의 상태, 충전전력사용량 정보 등을 충전기(11)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기능은 물론, 충전기 사용자 정보를 RFID 카드 정보와 대조하여 인증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홈네트워크(10)의 홈서버(13)는 단지서버(12)와 인터넷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세대에서 충전기(11)의 이용을 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또 세대별 홈서버(13)를 이용하여 충전사용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홈서버(13)를 통해서는 사용전력량에 따른 전기요금을 조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관리사무소 PC(14)는 홈네트워크(10)측, 예를 들면 단지서버(12)측과 통신을 주고받으면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관리사무소 PC(14)는 전기자동차 충전내역 관리, 전기자동차 충전 전력요금 계산, 충전기 사용현황 관리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에서 충전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충전기(11)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충전케이블(17), LCD 컨트롤러(18), PMS 컨트롤러(19), SMPS(20), 디지털 계량기(21), RFID 카드 리더기(22) 등을 포함한다.
상기 충전케이블(17)은 전기자동차측과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로서, 충전기 본체측으로부터 당겨서 원하는 위치에서 충전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충전 후에는 자동으로 원위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LCD 컨트롤러(18)는 홈네트워크(10)와 연동하여 충전기 사용예약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LCD 컨트롤러(18)는 홈네트워크(10)의 단지서버(12)와 통신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시 세대별 RFID 카드의 인증내역으로 충전량을 관리비에 추가하여 청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 인증, 충전량의 계산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PMS 컨트롤러(19)는 충전케이블의 사용시 충전기 도어(미도시)를 오픈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또 RFID 인증 후 충전 개시 및 충전 완료를 제어하고 충전기 사용내역에 따른 전력량을 계산하여 사용요금을 계산 및 부과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충전기 사용내역 이력에서 사용시간 및 종료시간에 따른 전력량을 계산하여 사용요금을 계산 및 부과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RFID 인증 및 충전케이블 연결시 전력공급으로 안전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해주며, 충전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또한, 충전 중단시 전류량을 감지하여 전력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안전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SMPS(20)는 내부전기장치, 예를 들면 LCD 화면(15), LCD 컨트롤러(18), PMS 컨트롤러(19), LED 조명(16) 등과 같은 내부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디지털 계량기(21)는 사용전력량을 계량하는 수단이고, 상기 RFID 카드 리더기(22)는 RFID 카드 접촉시 사용자를 인증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RFID 카드를 충전기(11)에 있는 RFID 카드 리더기(22)에 접촉시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인증 절차에 따라 충전기 도어가 열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충전기(11)는 충전상태의 확인을 위한 LCD 화면(15)과 충전상태를 조명으로 표시하는 LED 조명(16)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LCD 화면(15)은 충전전력 사용량을 표시할 수 있게 되고, 그 밖에 충전기 이용방법을 안내하는 기능 및 충전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도 하게 된다.
즉, 충전기를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충전전력량을 표시할 수 있고, 충전시 사용방법과 지원차량에 대란 이용안내를 표시할 수 있고, 지하주차장 충전기의 경우 1개의 LCD 컨트롤러에서 2개 이상의 충전기의 상태를 표현함으로써, 충전기 설치에 필요한 비용과 공간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 중, 충전완료 등과 같은 상태는 LED 조명(16)으로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충전기(11)에는 누전차단기(25)가 포함되며, 이때의 누전차단기(25)는 내부 회로, 단선, 침수 등에 따른 과부하시 누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충전기(11)는 다중 충전시설로 운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충전을 위한 사용자 인증, 충전전력량의 연산 및 전송을 위한 LCD 컨트롤러(18) 및 PMS 컨트롤러(19)가 마련되고, 상기 PMS 컨트롤러(19)에 의해 제어되는 교류전자개폐기(23) 및 디지털 계량기(21)와 전기자동차측 접속을 위한 충전케이블(17)로 구성되는 단위 충전 유니트(24)를 여러 세트 구비함으로써, 충전기(11)를 다중 충전시설로 운영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방법과 충전기 사용에 따른 요금 부과 방법 등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와 요금 부과 방법은 크게 세단계로 이루어지며, 이때의 세단계는 공동주택 주차장에 설치되어 있는 충전기의 사용을 위해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충전기 사용자 인증 후 충전기를 사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단계, 사용자 인증 세대에 전기자동차 충전에 의해 사용된 전력량을 통합 청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에서 홈네트워크 충전기 이용예약 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홈서버(13)를 통해 충전기(11)의 이용시간을 예약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먼저, 사용자는 홈서버(13)를 통해 충전기(11)의 이용시간을 예약할 수 있으며, 이때의 예약정보는 단지서버(12)에 저장되어 조회가 가능하게 된다.
충전기 예약 후 사용자는 충전기(11)에서 RFID 카드를 이용하여 인증을 한 다음에 충전기(11)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에서 홈네트워크 충전내역조회 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홈네트워크(10)의 홈서버(13)를 통해 충전기 충전내역을 조회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충전기 사용자가 인증 후에 충전기(11)를 사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단계에서 충전기 사용전력량이 계산되어 단지서버(12)로 전송 저장되면, 세대별 RFID 카드를 이용한 인증 후에 단지서버(12)와의 통신이 가능한 홈서버(13)를 통해 충전기 충전내역을 조회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RFID 카드(26)에 인식된 코드값을 단지서버(12)의 데이터베이스에 조회하고, 이렇게 조회된 코드값의 동호수 사용자 정보와 함께 충전기(11)에서 계량한 전력사용량이 단지서버(12)에 저장될 수 있게 되며, 그리고 관리사무소 PC(14), 홈서버(13)에서 조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홈네트워크(10)의 월패드를 통해 충전기(11) 이용예약 화면을 조회하고, 사용자는 이용일자 및 시간을 설정하여 전송하면, 단지서버(12)에는 이용예정자 정보가 저장된다(예약세대 동, 호수).
충전기 이용시 해당 동호수로 등록된 RFID 카드(26)를 RFID 카드 리더기(22)에 접촉하여 인증여부를 조회한 다음, 예약이 확인되면 충전기(11)의 도어가 열리면서 충전케이블을 인출할 수 있게 되고, 충전을 위해 RFID 카드(26)로 재인증하게 되면, 충전케이블을 사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기자동차 충전에 따른 충전 사용전력량이 계산되어 단지서버(12)로 전송되고, 전송된 사용전력량은 홈네트워크 월패드를 통해 일자별, 월별로 조회가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에서 관리비 통합청구 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RFID 인증 세대에 사용전력량을 통합 청구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즉, 사용자 인증 세대에 사용 전력량을 통합 청구하는 단계는 RFID 카드로부터 인식된 코드값을 단지서버 데이터베이스에 조회하는 과정, 조회된 코드값의 동호수 사용자 정보와 함께 충전기에서 계량한 전력사용량을 단지서버에 저장하는 과정, 매월 원격검침서버의 해당 동호수에 세대별 전력사용량과 합산하여 전기사용량에 따른 전기요금을 청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RFID 카드(26)에서 인식된 코드값이 단지서버(12)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고, 이렇게 조회된 코드값의 동호수 사용자 정보와 함께 충전기(11)에서 계량한 전력사용량이 단지서버(12)에 저장된다.
관리사무소 PC(14)와 홈서버(13)에서는 단지서버(12)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 및 해당 전력사용량을 조회 및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월말에 세대별 전력사용량을 계량하는 원격검침서버(27)의 해당 동호수의 전력사용량을 합산하여, 관리사무소 PC(14)에서는 해당 세대의 전력사용량과 전기자동차 충전과 관련한 전력사용량을 합산한 전기사용량에 따른 전기요금을 각 세대별로 청구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에서 전기차 이용시간에 따른 사용요금 계산 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공동주택에 마련되어 있는 전기자동차를 이용하는 방법과 이에 따른 사용요금을 계산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먼저, RFID 카드(26)로부터 인식된 코드값을 단지서버(12)에 조회하고, 조회된 코드값의 동호수 사용자 정보와 함께 초기 인증시간을 전기자동차 사용 시작시간으로 저장하게 된다.
전기자동차 사용 후, 차량키 반납시 재인증하여 종료시간을 저장하게 되고, 단지서버(12)에 저장된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계산하여 사용시간을 산출하게 되며, 사용시간별 과금액을 적용하여 이용요금을 계산하게 된다.
사용자는 인증 후에 홈서버(13)를 통해 세대별 이용시간 및 이용요금을 조회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때의 전기자동차 이용방법 및 이에 따른 사용요금 계산방법은 전기자동차 충전방법 및 이에 따른 사용요금 계산방법과 큰 맥락에서는 유사한 절차를 갖는다.
먼저, 충전기(11)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입주민출입카드(RFID 카드)로 충전기(11)의 RFID 카드 리더기(22)에 접촉하게 되면, RFID 카드 리더기(22)는 컨트롤러와 시리얼(RS482) 통신으로 RFID 카드 칩의 고유번호를 전달하게 되고, 컨트롤러는 TCP/IP 통신으로 관리사무소 PC(14)와 소켓 통신으로 RFID 카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조회하게 된다.
다음, 등록된 RFID 카드 고유번호 유무를 조회하게 되고, 등록된 고유번호의 사용자 정보값을 충전기(11)의 컨트롤러에 회신하게 된다(사용자명, 동, 호수).
다음, 인증확인된 RFID 고유번호와 사용자 정보는 LCD 화면(15)에 표시되고, 이와 함께 충전기의 충전케이블에 전력이 공급되면서 충전케이블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시작될 수 있게 된다.
PMP 컨트롤러(19)는 디지털 계량기(21)의 수치를 30초 단위로 단지서버(12)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전송주기를 30초 단위로 지속적으로 보내는 것은 통신장애로 인해 검침값이 누락되는 경우 인접 데이터를 연산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전송되는 데이터는 인증시간, 충전시작시간, 사용전력량, 데이터 전송시간, 시작/종료 구분 코드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충전사용량 데이터는 단지서버(12)에 저장된 종료시 사용전력량-시작시 사용전력량을 계산하여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료시 충전에 사용된 전력량은 해당 RFID 정보와 조합하여 충전전력량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저장된다.
관리사무소 PC(14)의 화면에서는 사용자별/일자별 충전전력량 조회가 가능하며, 매월말 전기자동차 충전 사용전력량은 홈네트워크 월패드에 세대별로 전송될 수 있게 되고, 세대 전력사용량과 합산하여 관리비로 통합 청구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에서 1:N 방식의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1대씩의 LCD 컨트롤러(18) 및 PMS 컨트롤러(19)와, 교류전자개폐기(23) 및 디지털 계량기(21)와 충전케이블(17)로 구성되는 여러 세트의 단위 충전 유니트(24)를 이용하여 다수의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준다.
충전을 위한 사용자 인증, 충전전력량의 연산 및 전송을 위한 메인 컨트롤러가 1곳에 설치되고, 다수의 전기자동차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케이블은 지하주차장의 천정에 트레이 형태로 설치된다.
이렇게 1:N 다중 충전시설을 구축함으로써, 지하주차장 공간의 사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지상면 설치에 비해 공간활용성이 용이하고 주차시 충돌 등의 위험성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충전케이블(17)은 여러 개가 일정간격으로 다수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의 충전케이블(17)의 경우 롤러 방식으로 상부에서 하단으로 당기면 케이블이 풀리면서 전기자동차에 연결할 수 있고, 사용을 마치면 다시 한번 당겨서 원위치로 복귀되는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메인 컨트롤러에서 RFID 카드를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고, 원하는 위치의 충전케이블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메인 컨트롤러는 사용 중인 충전케이블별로 사용전력량을 계산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LCD 화면을 통해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사용가능한 충전기를 선택한 다음, RFID 카드를 이용한 인증을 통해 충전케이블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 후,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기자동차 충전시 교류전자개폐기에서 전원을 컨트롤 하게 되며, 충전 전력량 계량과 LCD 화면을 통한 충전전력량 표시도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에서 전류량에 따른 전력공급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컨트롤러를 통한 전력공급제어로 안전관리를 강화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충전케이블(17)이 노면에 노출되어 물기에 접촉되거나, 어린이들이 장난할 경우 감전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전력공급을 컨트롤러를 통해 관리하게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RFID 카드(26)를 충전기(11)의 RFID 카드 리더기(22)에 접촉하여 인증이 이루어지는 경우, 전력공급을 시작하게 되는데, 충전케이블(17)을 전기자동차에 30초 이내에 연결하면, 정상적인 전기자동차 충전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때, 30초 이내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자동으로 전력공급을 차단하게 되고, 충전 프로세스는 취소가 된다.
충전 중에 사용자가 RFID 카드(26)로 재인증하면, 충전을 종료한 것으로 인식하여, 충전종료 프로세스 처리를 하고, 전력공급이 차단된다.
그리고, 충전 완료 후, 전류량이 "0"이 되면,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인식하여, 충전종료 프로세스 처리를 하고, 전력공급이 차단된다.
충전 중에 사용자가 RFID 카드(26)로 재인증하지 않고, 충전케이블(17)을 분리하는 경우, 30초간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자동으로 전력공급이 차단된다.
또, 사용자가 충전케이블(17)을 원위치로 하지 않고 노면에 방치하고 충전기를 떠나는 경우를 고려하여, 30초간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자동으로 전력이 차단된다.
위와 같은 제어과정은 교류전자개폐기(23)와 디지털 계량기(21)를 제어하는 PMS 컨트롤러(19)가 관장하게 된다.
여기서도 사용자는 LCD 화면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 가능한 충전기(11)를 선택할 수 있고, RFID 인증을 통해 충전기에 전력공급이 이루어지게 되고, 교류전자개폐기에서 전원을 컨트롤하게 되며, 이때의 충전전력량의 계량 및 LCD 화면에 충전전력량이 표시되는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에서 사용자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RFID 카드와 같은 입주민카드를 통한 사용자 인증방법을 나타낸다.
즉,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은 충전기의 RFID 카드 리더기에 RFID 카드를 접촉하는 과정, 충전기와 단지서버 간의 통신을 통해 RFID 카드 고유번호를 조회하는 과정, 단지서버에 등록된 RFID 카드 정보 존재시 인증하는 과정, RFID 카드의 사용세대 정보값을 충전기로 회신하여 LCD 화면에 사용자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아파트에 일반적으로 공급되는 입주민 카드(RFID 카드 등)에 저장된 고유 ID 값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데, 즉 RFID 카드 리더기(22)로 고유번호를 인식하고, 단지서버(12)에 고유번호를 조회하여, 단지 내 입주민임을 인증하게 된다.
이렇게 인증된 정보와 입주자 동, 호수 정보를 조합하여 충전이력 및 충전기사용정보를 관리할 수 있게 되며, 이렇게 하면 지정된 RFID 카드만으로 충전기 사용을 통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충전기의 RFID 카드 리더기(22)에 RFID 카드(26)를 접촉하면, LCD 컨트롤러(18)는 RFID 카드 고유번호를 단지서버(12)에 조회하게 되고, 단지서버(12)에 등록된 RFID 카드 정보가 존재하게 되면, 이를 인증한 후에 RFID 카드의 사용세대 정보값을 회신함과 더불어 LCD 화면(15)에 사용자 표시가 디스플레이된다.
계속해서, 충전기(11)의 도어가 오픈되고, 교류전자개폐기(23)의 ON 작동으로 전력이 공급되면서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에서 전기자동차 충전상태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LED 조명을 통한 충전상태 표시 방법을 보여준다.
충전기(11)에 있는 LED 조명(16)의 색상으로 충전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으며, 충전 대기 중일 때는 백색, 충전 중일 때는 적색, 충전완료시에는 녹색으로 색상이 자동 전환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충전케이블(17)를 전기자동차에 연결하게 되면, 디지털 계량기(21)에 의해 전류량 계량이 이루어지면서 전력사용량 검침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와 함께 PMS 컨트롤러(19)에서는 1초 단위로 디지털 계량기(21)의 전력량을 검침 기록하게 된다.
그리고, 디지털 계량기(21)의 전류량 감소하여 0에 근접한 미세전류량이 감지되면, PMS 컨트롤러(19)가 완충상태로 인식하게 되면 전력 공급이 중단될 수 있게 된다.
충전이 완료된 후에는 LED 조명(16)이 적색에서 녹색으로 변경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에서 충전 예약 순서에 따른 순차적 충전 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충전기를 사용하여 다수의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단계로서, 충전 예약 순서에 따른 순차적인 충전방법을 보여주며, 특히 사용하지 않고 있는 계량기의 하위 배선에 연결된 전기자동차를 기다리지 않고 사용하지 않는 계량기에 연결해서 바로 충전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충전을 위한 사용자 인증, 충전전력량의 연산 및 전송을 위한 LCD 컨트롤러(18) 및 PMS 컨트롤러(19)와, 상기 PMS 컨트롤러(19)에 의해 제어되는 디지털 계량기(21)가 마련되고, 상기 PMS 컨트롤러(19)에 의해 제어되는 동시에 디지털 계량기(21)측과 연결되면서 한세트를 이루는 교류전자개폐기(23)와 충전케이블(17)이 마련된다.
이때, 교류전자개폐기(23)와 충전케이블(17) 세트는 여러 세트가 구비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충전기의 LCD 표시부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충전케이블을 선택하여 충전예약을 하게 되면, PMS 컨트롤러(19)의 제어하에 각 세트의 교류전자개폐기(23)의 전원이 컨트롤되면서 예약된 순번대로 순차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위의 충전방법은 제한된 수량의 충전기로 다수의 전기자동차를 순차적으로 충전하는 방법으로서, 충전기 수량을 초과하는 전기자동차에 충전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며, 1개의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이 완료되면, PMS 컨트롤러(19)에서 다음 예약된 충전케이블(17)로 전력공급 회로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예약된 순번대로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도 RFID 인증을 통해 충전예약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예약은 순번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전기자동차 충전 및 충전 전력량의 계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LCD 화면에는 충전전력량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디지털 계량기(21)는 다수 개가 구비되면서 PMS 컨트롤러(19)에 의해 제어되고, 교류전자개폐기(23) 또한 하나의 라인(세트)에서 복수로 구비되며, 각각의 디지털 계량기(21)는 각 라인(세트)에 있는 교류전자개폐기(23)들과 연결된다.
이렇게 디지털 계량기와 충전케이블 사이에 계량기 수 만큼의 교류전자개폐기를 설치함으로써, 전기자동차에 연결한 충전케이블의 위치와 상관없어, 사용가능한 디지털 계량기와 연결하여 전기자동차를 순차적으로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과 이러한 충전 시스템을 이용하는 충전 방법은 충전기 충전, 관리, 요금정산의 방법을 구현하는 것으로서, RFID 카드를 통한 인증을 통해 전력이 공급되는 충전기로 전기자동차를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으며, 하나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통해 여러 대의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 예약으로 충전케이블이 연결된 전기자동차를 순차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한 전기자동차의 충전 이력, 이용 예약이 가능하여 전기자동차 충전과 관련한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세대별 전기자동차 충전 사용 전력의 통계가 가능하고, 세대별 전기사용량에 전기자동차 충전 사용전력량을 합산하여 관리비에 통합 부과할 수 있으므로, 전기자동차 충전에 따른 전기사용량의 요금 계산 및 과금 절차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 홈네트워크 11 : 충전기
12 : 단지서버 13 : 홈서버
14 : 관리사무소 PC 15 : LCD 화면
16 : LED 조명 17 : 충전케이블
18 : LCD 컨트롤러 19 : PMS 컨트롤러
20 : SMPS 21 : 디지털 계량기
22 : RFID 카드 리더기 23 : 교류전자개폐기
24 : 단위 충전 유니트 25 : 누전차단기
26 : RFID 카드 27 : 원격검침서버

Claims (11)

  1.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어 전기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하는 것으로서, 홈네트워크(10)와 TCP/IP 통신 컨트롤러를 통해 인터넷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충전기(11);
    상기 충전기(11)측과 인터넷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충전기(11)의 상태, 충전전력사용량 정보를 충전기(11)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기능 및 충전기 사용자 정보를 RFID 카드 정보와 대조하여 인증하는 기능을 하는 단지 서버(12)와, 각 세대에서 충전기(11)의 이용을 예약하는 기능 및 세대별 RFID 카드를 이용하여 충전사용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홈서버(13)로 구성되는 홈네트워크(10);
    상기 홈네트워크(10)와 통신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하며, 전기자동차 운행이력 관리 및 전기자동차 충전내역 관리와 전기자동차 충전 전력요금을 계산하는 기능을 하는 관리사무소 PC(1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충전기(11)는 충전을 위한 사용자 인증, 충전전력량의 연산 및 전송을 위한 LCD 컨트롤러(18) 및 PMS 컨트롤러(19)를 구비하고, 상기 PMS 컨트롤러(19)에 의해 제어되는 교류전자개폐기(23) 및 디지털 계량기(21)와 전기자동차측 접속을 위한 충전케이블(17)로 구성되는 단위 충전 유니트(24)를 여러 세트 구비한 형태의 다중 충전시설로 운영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11)는 충전시 전기자동차측 전력 공급을 위한 충전케이블과 플러그를 갖고 있고, 충전을 위한 충전기 사용자 인증이 가능한 RFID 카드 리더기를 갖추고 있으며, 충전상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LCD 화면(15)과 충전상태를 조명으로 표시하는 LED 조명(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11)는 충전시 전기자동차측 접속을 위한 충전케이블(17)과, 홈네트워크(10)와 연동하여 충전기 사용예약을 가능하게 하는 LCD 컨트롤러(18)와, RFID 인증 후 충전 개시 및 충전 완료를 제어하고 충전기 사용내역에 따른 전력량을 계산하여 사용요금을 계산 및 부과하는 PMS 컨트롤러(19)와, 내부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SMPS(20)와, 사용전력량을 계량하는 디지털 계량기(21)와, RFID 카드 접촉시 사용자를 인증하는 RFID 카드 리더기(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10)의 홈서버(13)를 통해 조회할 수 있는 충전사용정보는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해 사용한 전력량과, 사용 전력량에 따른 전기요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5. 삭제
  6. 공동주택 주차장에 설치되어 있는 충전기의 사용을 위해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충전기 사용자 인증 후 충전기를 사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단계;
    사용자 인증 세대에 전기자동차 충전에 의해 사용된 전력량을 통합 청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를 사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단계는 충전을 위한 사용자 인증, 충전전력량의 연산 및 전송을 위한 LCD 컨트롤러 및 PMS 컨트롤러와 상기 PMS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지털 계량기를 포함하는 충전기를 이용하여 예약 충전 기능을 통한 다수의 전기자동차를 순차적으로 충전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상기 PMS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여러 세트의 교류전자개폐기 및 충전케이블을 구비하여, 충전기의 LCD 표시부의 터치스크린을 통한 충전케이블 선택으로 충전예약을 한 후, 각 세트의 교류전자개폐기의 전원을 컨트롤하여 예약된 순번대로 순차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하는 단계는 충전기의 RFID 카드 리더기에 RFID 카드를 접촉하는 과정과, 충전기와 단지서버 간의 통신을 통해 RFID 카드 고유번호를 조회하는 과정과, 단지서버에 등록된 RFID 카드 정보 존재시 인증하는 과정과, RFID 카드의 사용세대 정보값을 충전기로 회신하여 LCD 화면에 사용자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하는 단계에서 RFID 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전에 홈네트워크의 홈서버를 통해 충전기의 이용시간을 미리 예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 세대에 사용 전력량을 통합 청구하는 단계는 RFID 카드로부터 인식된 코드값을 단지서버 데이터베이스에 조회하는 과정과, 조회된 코드값의 동호수 사용자 정보와 함께 충전기에서 계량한 전력사용량을 단지서버에 저장하는 과정과, 매월 원격검침서버의 해당 동호수에 세대별 전력사용량과 합산하여 전기사용량에 따른 전기요금을 청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
  10. 삭제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사용자 인증 후 충전기를 사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단계에서는 충전기 사용전력량이 계산되어 단지서버로 전송 저장되는 과정과, 세대별 RFID 카드를 이용한 인증 후에 단지서버와의 통신이 가능한 홈네트워크의 홈서버를 통해 충전기 충전내역을 조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
KR1020100115413A 2010-11-19 2010-11-19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 KR101208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413A KR101208320B1 (ko) 2010-11-19 2010-11-19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413A KR101208320B1 (ko) 2010-11-19 2010-11-19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508A KR20120075508A (ko) 2012-07-09
KR101208320B1 true KR101208320B1 (ko) 2012-12-05

Family

ID=46709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413A KR101208320B1 (ko) 2010-11-19 2010-11-19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32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8910A1 (ko) * 2013-11-09 2015-05-14 한찬희 전기자동차 충전 및 과금시스템
KR20190115818A (ko) 2018-04-04 2019-10-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 자동차 배터리 충전 및 과금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27957A (ko) 2021-03-12 2022-09-20 한찬희 컨트롤부와 커플러가 일체화되어 충전신호의 왜곡없이 케이블 길이 연장이 가능한 충전장치
KR20230057557A (ko) 2021-10-22 2023-05-02 주식회사 파워큐브코리아 오토릴장치를 활용하여 충전신호의 왜곡없이 케이블 관리가 가능한 충전장치
KR102614584B1 (ko) 2023-06-13 2023-12-14 양경식 천정형 전기차 충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250A (ko) 2014-11-04 2016-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KR20160129462A (ko) 2015-04-30 2016-1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력자원 공유 공동주거 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
KR101974356B1 (ko) 2016-09-12 2019-05-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교류 충전 장치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방법 및 장치
CN107097666B (zh) * 2017-04-27 2020-07-28 北京佰才邦技术有限公司 充电的方法及装置
KR102324912B1 (ko) * 2021-08-12 2021-11-11 (주)시그넷이브이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의 인증 보안 강화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N117227561B (zh) * 2023-11-13 2024-03-22 万帮数字能源股份有限公司 国标充电系统及其车桩认证方法和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3646A (ja) 2005-11-10 2007-05-31 Aiphone Co Ltd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10152511A (ja) 2008-12-24 2010-07-08 Alpha Corp 電気自動車の充電システム
JP2010187451A (ja) 2009-02-11 2010-08-26 Chubu Electric Power Co Inc 集合住宅用の車両充電システム及び充電用端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3646A (ja) 2005-11-10 2007-05-31 Aiphone Co Ltd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10152511A (ja) 2008-12-24 2010-07-08 Alpha Corp 電気自動車の充電システム
JP2010187451A (ja) 2009-02-11 2010-08-26 Chubu Electric Power Co Inc 集合住宅用の車両充電システム及び充電用端末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8910A1 (ko) * 2013-11-09 2015-05-14 한찬희 전기자동차 충전 및 과금시스템
KR20190115818A (ko) 2018-04-04 2019-10-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 자동차 배터리 충전 및 과금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27957A (ko) 2021-03-12 2022-09-20 한찬희 컨트롤부와 커플러가 일체화되어 충전신호의 왜곡없이 케이블 길이 연장이 가능한 충전장치
KR20230057557A (ko) 2021-10-22 2023-05-02 주식회사 파워큐브코리아 오토릴장치를 활용하여 충전신호의 왜곡없이 케이블 관리가 가능한 충전장치
KR102614584B1 (ko) 2023-06-13 2023-12-14 양경식 천정형 전기차 충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508A (ko) 2012-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320B1 (ko)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
CN108847701B (zh) 一种基于智慧管理的共享充电管理系统
CN102892617B (zh) 用于与电动车辆交换能量的系统、设备和方法
ES2825709T3 (es) Servidor de agregación para vehículos integrados en red
JP2010022099A (ja) 駐車システム
EP210287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mart circuit breaker
CA2693569C (en) Controlling power supply to vehicles through a series of electrical outlets
CN110626195A (zh) 一种智能共享充电桩系统、使用方法及共享商业模式
KR101233717B1 (ko) 스마트 커넥터를 이용한 충전 및 과금시스템
JP2012098798A (ja) 充電システム
KR20180007765A (ko) 충전서비스모드에 따라 차별화된 충전비용을 정산하는 충전방법과 급속충전시스템
JP2016189692A (ja) 充電システム
CN105337331A (zh) 一种电动汽车群充电方法及系统
KR20110048444A (ko) 효율적 충전 설비를 위한 계층 구조적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GB2597739A (en) Method of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KR20110047950A (ko) 스마트 콘센트 기반의 계층 구조적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CN107379979A (zh) 多功能移动快速车载应急充电系统
KR101142728B1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JP6233759B2 (ja) 充電システム
CN108448662A (zh) 多功能快速充电停放系统
KR20190058835A (ko) IoT 기반 전기자동차 충전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플랫폼
KR20110084634A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요금 정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산방법
JP5950216B2 (ja) 充電システム
EP4282693A2 (en) System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with shared resources
KR101863665B1 (ko) 스마트 전기 접속구를 이용한 전력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