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557A - 오토릴장치를 활용하여 충전신호의 왜곡없이 케이블 관리가 가능한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오토릴장치를 활용하여 충전신호의 왜곡없이 케이블 관리가 가능한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557A
KR20230057557A KR1020210141447A KR20210141447A KR20230057557A KR 20230057557 A KR20230057557 A KR 20230057557A KR 1020210141447 A KR1020210141447 A KR 1020210141447A KR 20210141447 A KR20210141447 A KR 20210141447A KR 20230057557 A KR20230057557 A KR 20230057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able
control
coupl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8848B1 (ko
Inventor
한찬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워큐브코리아
한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워큐브코리아, 한찬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워큐브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141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848B1/ko
Publication of KR20230057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45Authentication, i.e. circuits for checking compatibility between one component, e.g. a battery or a battery charger, and another component, e.g. a power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20Driver interactions by driver ident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 케이블의 길이가 길게 연장되더라도 충전제어신호가 왜곡없이 커플러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충전량을 측정하는 계량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회원 인증이 가능한 인증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계량부 및 인증부의 신호를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본체; 및 충전을 위해 콘센트에 연결되는 커플러;로 이루어진 컨트롤부와 커플러가 일체화되어 충전신호의 왜곡없이 케이블 길이 연장이 가능한 충전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충전 케이블의 길이가 길게 연장되더라도 충전제어신호가 왜곡없이 커플러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충전량을 측정하는 계량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회원 인증이 가능한 인증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계량부 및 인증부의 신호를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본체; 및 충전을 위해 콘센트에 연결되는 커플러;로 구성된 충전장치; 및 상기 충전장치와 연결되어 케이블의 길이 연장이 가능하도록 케이블이 감겨진 오토릴장치;로 이루어진 컨트롤부와 커플러가 일체화되어 충전신호의 왜곡없이 케이블 관리가 가능한 충전장치를 개시한다. 오토릴장치에 감겨진 케이블의 일단은 전기자동차에 연결되는 플러그가 구성되고, 타단은 충전장치에 연결되는 플러그가 구성된다.

Description

컨트롤부와 커플러가 일체화되어 충전신호의 왜곡없이 케이블 관리가 가능한 충전장치{CHARGING DEVICE COMBINED CONTROL PART AND COUPLER CAPABLE OF ADMINISTRATING CABLE WITHOUT DISTORTION OF CHARGING SIGNAL}
본 발명은 컨트롤부와 커플러가 일체화되어 충전신호의 왜곡없이 케이블 관리가 가능한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충전 케이블을 간편하고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특허등록 제10-1208320호는 공동주택의 단지 내에 설치되는 충전 스테이션, 전반적인 충전상태를 관장하는 단지 서버 및 세대별 홈 서버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충전기 관리 운영을 위한 관리사무소 PC를 인터넷망으로 연계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에서부터 요금 계산 및 과금 처리까지의 전반적인 절차를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기자동차 충전 방식 및 과금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제한된 공간에서 다수의 전기자동차를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전기자동차 충전과 관련한 전기사용량에 따른 요금 계산 및 과금 절차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충전을 위한 사용자 인증 및 충전전력량의 연산 및 전송을 위한 메인 컨트롤러를 1곳에 설치하고, 다수의 차량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케이블을 다수 마련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1:N 방식의 충전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주차 공간의 사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충전케이블이 설치되어 있는 원하는 곳에서 충전할 수 있는 등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고 충전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예약 충전 기능을 통해 다수의 전기자동차를 순차적으로 충전하는 새로운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제한된 수량의 충전기로 다수의 전기자동차를 예약 순번대로 충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메인 컨트롤러를 중심으로 다수의 차량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케이블을 다수 마련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1:N 방식의 충전 시스템을 구현하는 이점이 있는 반면, 메인 컨트롤러와 충전장치 간 거리가 멀 경우에는 충전제어신호인 PWM 신호의 왜곡현상으로 인하여 충전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충전용 콘센트가 설치된 장소에 내연기관 혹은 다른 전기차가 주차되었을 경우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어 제때 충전을 못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따라서 케이블 길이를 늘려도 충전제어신호의 왜곡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기술을 적용할 경우, 예를 들어, 10 ~ 20m까지도 멀리 있는 충전용 콘센트에 충전기를 접속하여 충전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기술 개발이 절실한 것이 현실이다.
한국특허등록 제10-120832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 연장하여 사용하여도 충전제어신호(PWM)의 왜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컨트롤부와 커플러가 일체화되어 충전신호의 왜곡없이 케이블 관리가 가능한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계량 및 통신 기능을 내장한 컨트롤부를 커플러에 일체화하여 충전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충전시 계량 및 인증이 가능한 공용 충전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컨트롤부와 커플러가 일체화되어 충전신호의 왜곡없이 케이블 관리가 가능한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센트와 전기자동차에 연결하는 케이블을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는 오토릴장치를 충전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시에나 사용 후에 간편하고 깔끔하게 케이블이 정리될 수 있도록 한, 컨트롤부와 커플러가 일체화되어 충전신호의 왜곡없이 케이블 관리가 가능한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컨트롤부와 커플러가 일체화되어 충전신호의 왜곡없이 케이블 관리가 가능한 충전장치는
충전 케이블의 길이가 길게 연장되더라도 충전제어신호가 왜곡없이 커플러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충전량을 측정하는 계량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회원 인증이 가능한 인증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계량부 및 인증부의 신호를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본체; 및
충전을 위해 콘센트에 연결되는 커플러;로 구성된 충전장치; 및
상기 충전장치와 연결되어 케이블의 길이 연장이 가능하도록 케이블이 감겨진 오토릴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오토릴장치에 감겨진 케이블의 일단은 전기자동차에 연결되는 플러그가 구성되고, 타단은 충전장치에 연결되는 플러그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오토릴장치는 내부에 스토퍼가 구성되어 사용자가 케이블을 당길때마다 그 당기는 힘만큼 길이의 케이블이 오토릴장치로부터 인출되어 그 상태에서 정지되며, 케이블을 당겼다가 즉시 놓으면 다시 원위치로 오토릴장치에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트롤부와 커플러가 분리되어 있는 종래 제품의 경우, 컨트롤부로부터 전송되는 아날로그 충전제어신호인 PWM 제어신호가 왜곡되어 커플러에 도달함으로써 충전효율을 저하시키는데 반해, 본 발명은 컨트롤부와 커플러가 일체화되어 충전제어신호의 왜곡이 없을 뿐만 아니라, 콘센트와 전기자동차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길이가 길게 연장되더라도 충전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계량 및 통신 기능을 내장한 컨트롤부를 커플러와 일체화함으로써 충전시 계량 및 인증이 가능한 공용 충전기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충전용 콘센트가 원거리에 위치하더라도 멀리 연장 가능한 케이블에 의해 충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충전용 콘센트 설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을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는 오토릴장치를 충전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간편하고 깔끔하게 케이블을 정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부 및 커플러 일체용 충전장치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컨트롤부 및 커플러 일체형 충전장치를 포함한 네트워크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구성되는 오토릴장치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오토릴장치와 충전장치가 연결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
본 발명은 컨트롤부와 커플러가 일체화되어 충전신호의 왜곡없이 케이블 관리가 가능한 충전장치(충전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 컨트롤부는 충전기 본체에 내장된 제어장치를 의미하고, 커플러는 충전기 본체의 단부에 구성되어 콘센트에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컨트롤부와 커플러가 일체화되도록 구성하였다는 것은 하나의 충전기 본체에 컨트롤부와 커플러가 함께 구성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계량장치 및 통신장치가 구성된 컨트롤부가 충전기 본체에 내장되므로 커플러가 연결되는 콘센트와 전기자동차가 원거리에 이격되어 있더라도 원활한 충전이 가능하여 충전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컨트롤부와, 최소한의 충전기능이 구비된 충전기 본체가 각각 특정 장소에 개별적으로 구성되고, 케이블을 통해 커플러가 콘센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컨트롤부로부터 충전신호를 제공받아 충전기가 전기자동차에 대하여 충전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만일 전기자동차로부터 멀리 떨어진 장소에 위치한 콘센트에 커플러가 케이블을 통해 연장되어 접속되고 특정장소에 컨트롤부가 구성된 상태에서 충전이 수행되는 경우, 컨트롤부와 충전기 본체간 거리가 원거리라면, 컨트롤부로부터의 PWM 충전제어신호가 왜곡되어 충전기 본체에 도달하므로 충전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는바,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공용 충전기로써 불특정 다수가 사용하는 충전기의 경우, 현재 주차장에서 주차면의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러 주차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전기자동차에 연결되는 충전기의 케이블 길이를 길게 하여 여러 장소에 구획된 주차면에서도 원활한 충전이 가능하게 하도록 해야한다.
즉 개인용 충전기인 더미 케이블 타입의 충전기가 아닌 이동형 충전기에서는 반드시 커플러와 컨트롤부 일체형 충전기 구성을 통해 케이블 길이의 자유로운 연장이 필요한 것이다.
개인용 타입의 충전기는 개인이 주차한 곳에 콘센트가 있을 경우에는 언제나 충전이 가능하므로 케이블 길이로 인한 제약이 고정형 충전기인 공용 충전기에 비해 덜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공용 충전기, 즉 회원 인증과 계량을 통해 과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컨트롤부를 커플러와 일체화한 충전장치를 개발하여 케이블 길이의 제약으로부터 자유워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개념하에 길게 구비되는 케이블을 간편하고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오토릴장치를 충전기 본체와 연결하여 사용토록 구성한다.
즉 케이블 정리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고, 벽면 또는 기둥 이외 설치공간에 대한 니즈가 점점 커지고 있음을 감안하여 이와 같이 구성한다.
오토릴에 감겨진 전선(케이블)에 본 발명 실시예인 컨트롤부와 커플러 통합형 충전기를 결합하여 주차장 천장 또는 벽면에 대한 충전기 설치가 가능하고, 오토릴을 통해 케이블이 원활하게 인출되도록 하여 설치공간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기둥 및 벽면이 없는 주차면에도 설치가 가능토록 구성하여 추후 전기차 보급이 늘어남에 따라 지금보다 훨씬 많은 충전기를 설치해야할 필요가 있을시 설치공간을 확보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충전기 사용시에는 오토릴장치를 통해 케이블을 원활하게 인출하여 전기자동차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콘센트에도 커플러를 연결시켜 충전을 수행하고, 사용 후에는 오토릴장치를 통해 케이블을 원활하게 오토릴장치를 복귀시킴으로써 케이블이 간편하게 정리됨과 동시에, 충전기가 오토릴장치에 최근접한 위치를 유지하게 되므로 케이블 정리 및 충전기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부 및 커플러 일체용 충전장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부 및 커플러 일체형 충전장치를 포함한 네트워크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전장치는 충전을 위해 콘센트에 연결되는 커플러(10)와, 충전량 측정, 고객 인증 및 원격 관제센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등이 구성된 컨트롤부가 내장된 본체(20)와, 주차장 등 충전소에 설치된 충전용 콘센트와 전기자동차를 충전장치를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0)는 내부에 RFID 리더가 구성되어 RFID가 인식됨으로써 회원 인증은 물론, 전기자동차(400)에 대한 충전이 개시 및 종료됨을 네트워크망을 통해 관제센터 서버(200)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300)에도 전송하여 전기자동차(400) 충전정보의 공유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체(20)는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서버(200) 및/또는 단말기(30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전체적인 충전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충전개시로부터 완료까지의 동작수행을 위해 조작되는 조작부와, 콘센트에 대한 연결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충전 전기량 및 콘센트의 공급전력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충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경보음을 방출하는 경보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기자동차 충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충전 정보에 따른 과금 등이 합리적인 기준으로 산정되도록 서버(200) 및/또는 단말기(300)와 충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량 측정 및 고객 인증 등이 커플러(10)와 일체로 구성된 컨트롤부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케이블(30)의 길이가 대폭 연장되더라도 컨트롤부로부터 생성되는 아날로그 충전제어신호인 PWM 제어신호가 왜곡없이 전기자동차 충전이 이루어지므로 효율적인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구성되는 오토릴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오토릴장치와 충전장치가 연결된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오토릴장치(50)는 일반적인 장치로써, 충전장치(1)를 콘센트와 전기자동차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일정길이의 케이블(80)이 감겨져 있고, 일단부에는 전기자동차에 연결되는 플러그(도시 생략)가 구성되고, 타단부는 충전장치(1)에 연결되는 플러그(60)가 구성된다.
즉 주차장 벽면 등에 걸이(70)를 통해 설치된 오토릴장치(50)에 감겨진 케이블(80)의 일단에 구성된 플러그를 전기자동차에 연결하고, 충전장치(1)를 플러그(60)에 연결한 후, 충전장치(1)를 잡아당기면 오토릴장치(50)에 감겨져 있던 케이블(80)이 인출되면서 원거리에 위치한 콘센트에 커플러(10)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충전장치(1)가 플러그(60)에 연결된 상태에서 충전장치(1)를 잡아당겨 오토릴장치(50)에 감겨져 있던 케이블(80)이 인출되도록 해도 되고, 먼저 플러그(60)를 잡아당겨 오토릴장치(50)에 감겨져 있던 케이블(80)이 인출되도록 한 후, 충전장치(1)를 플러그(60)에 연결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오토릴장치(50)에 감겨져 있던 케이블(80)을 통해 전기자동차와 콘센트에 충전장치(1)가 연결되면, 충전장치(1)를 통해 콘센트에 구성된 RFID를 판독하여 충전전력 공급자를 확인함과 동시에 충전장치의 소유자, 즉 충전을 수행하는 자인 전력 수요자가 누구인지를 확인한 후 충전이 수행된다.
이후, 충전이 완료되면 오토릴장치(50)를 통해 케이블(80)이 복귀되면서 케이블이 간편하게 정리된다.
이때, 상기 오토릴장치(50)의 내부에는 일종의 스토퍼가 구성되어 사용자가 케이블(80)을 당길때마다 그 당기는 힘만큼 길이의 케이블이 오토릴장치(50)로부터 인출되어 그 상태에서 정지되며, 케이블을 당겼다가 즉시 놓으면 다시 원위치로 오토릴장치(50)에 감겨지게 된다. 이러한 원리는 예를 들어 청소기의 케이블 인출 및 복귀 원리와 동일 유사하다.
한편, 상기 컨트롤부에 충전신호의 왜곡없이 연장 가능한 케이블 길이가 미리 설정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케이블 길이가 일정길이 이상 연장될 때, 즉 충전신호의 왜곡없이 연장 가능한 길이를 초과할 때 경보부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되는 케이블 길이는 케이블이 감겨지는 권선부(도시 생략)의 회전수를 토대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케이블을 통해 충전장치(1)를 전기자동차에 연결한 상태에서 충전장치(1)에 구성된 커플러(10)를 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해 충전장치(1)를 잡아당기면, 상기 권선부가 회전하면서 케이블이 인출된다.
상기 권선부가 한바퀴 회전할 때마다 인출되는 케이블 길이가 미리 컨트롤부에 설정되어 있고, 권선부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가 오토릴장치(50)의 내부에 구성되어, 이 센서에서 감지된 권선부의 회전수가 컨트롤부에 입력되면, 컨트롤부는 센서에 의해 감지된 권선부의 회전수를 토대로 인출되는 케이블 길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충전이 수행되는 동안, 케이블의 당김으로 인하여 커플러(10)가 콘센트로부터 이탈되어 정상적인 충전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커플러(10)와 콘센트가 정확한 연결을 유지하는지를 점검할 수 있도록 센서를 커플러(10)와 콘센트 부분에 각각 구성할 수 있다. 즉 커플러(10)가 콘센트에 접속되는 경우 서로 마주보게 되는 면에 예를 들어, 초음파센서를 설치하여 콘센트와 커플러(10)간 거리를 감지함으로써 그 감지된 거리에 따라 정상적인 접속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커플러(10)와 콘센트간 거리 판단은 제어부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의 판단결과, 커플러(10)와 콘센트간 접속이 정상적이지 못할 경우에는 경보부 등을 통해 경보음을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즉시 조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충전이 수행되는 동안, 충전장치의 타단에 구성된 커플러의 당김으로 인하여 커플러가 전기자동차 배터리로부터 이탈되어 정상적인 충전이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커플러와 배터리의 정확한 연결을 유지하는지를 점검할 수 있도록 센서를 커플러와 배터리 부분에 각각 구성할 수 있다. 즉 커플러가 배터리에 접속되는 경우 서로 마주보게 되는 면에 예를 들어, 초음파센서를 설치하여 콘센트와 배터리간 거리를 감지함으로써 그 감지된 거리에 따라 정상적인 접속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커플러와 배터리간 거리 판단은 제어부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의 판단결과, 커플러와 배터리간 접속이 정상적이지 못할 경우에는 경보부 등을 통해 경보음을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즉시 조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컨트롤부와 커플러가 일체화되어 충전신호의 왜곡없이 케이블 관리가 가능한 충전장치의 실시예가 기술되었다. 위에 기술된 실시예는 본원발명에 기술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많은 구체적 실시예중에서 일부분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함에 따라 당업자들이 본원발명의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범위내에서 많은 다른 배열들을 쉽게 구현해낼 수 있을 것이다.
1 : 충전장치 10 : 커플러
20 : 본체 30 : 케이블
50 : 오토릴장치 60 : 플러그
70 : 걸이

Claims (3)

  1. 충전 케이블의 길이가 길게 연장되더라도 충전제어신호가 왜곡없이 커플러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충전량을 측정하는 계량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회원 인증이 가능한 인증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계량부 및 인증부의 신호를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본체; 및
    충전을 위해 콘센트에 연결되는 커플러;로 구성된 충전장치; 및
    상기 충전장치와 연결되어 케이블의 길이 연장이 가능하도록 케이블이 감겨진 오토릴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부와 커플러가 일체화되어 충전신호의 왜곡없이 케이블 관리가 가능한 충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토릴장치에 감겨진 케이블의 일단은 전기자동차에 연결되는 플러그가 구성되고, 타단은 충전장치에 연결되는 플러그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부와 커플러가 일체화되어 충전신호의 왜곡없이 케이블 관리가 가능한 충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토릴장치는 내부에 스토퍼가 구성되어 사용자가 케이블을 당길때마다 그 당기는 힘만큼 길이의 케이블이 오토릴장치로부터 인출되어 그 상태에서 정지되며, 케이블을 당겼다가 즉시 놓으면 다시 원위치로 오토릴장치에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부와 커플러가 일체화되어 충전신호의 왜곡없이 케이블 관리가가능한 충전장치.
KR1020210141447A 2021-10-22 2021-10-22 오토릴장치를 활용하여 충전신호의 왜곡없이 케이블 관리가 가능한 충전장치 KR102638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447A KR102638848B1 (ko) 2021-10-22 2021-10-22 오토릴장치를 활용하여 충전신호의 왜곡없이 케이블 관리가 가능한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447A KR102638848B1 (ko) 2021-10-22 2021-10-22 오토릴장치를 활용하여 충전신호의 왜곡없이 케이블 관리가 가능한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557A true KR20230057557A (ko) 2023-05-02
KR102638848B1 KR102638848B1 (ko) 2024-02-21

Family

ID=86387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447A KR102638848B1 (ko) 2021-10-22 2021-10-22 오토릴장치를 활용하여 충전신호의 왜곡없이 케이블 관리가 가능한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8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584B1 (ko) 2023-06-13 2023-12-14 양경식 천정형 전기차 충전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320B1 (ko) 2010-11-19 2012-12-05 주식회사 이지빌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
KR20180001649U (ko) * 2016-11-25 2018-06-04 대영채비(주)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
KR20190023769A (ko) * 2017-08-30 2019-03-0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차 충전 케이블
KR20210114665A (ko) * 2020-03-11 2021-09-24 (주)클린일렉스 충전 케이블 자동인출 제어센서를 갖는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320B1 (ko) 2010-11-19 2012-12-05 주식회사 이지빌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
KR20180001649U (ko) * 2016-11-25 2018-06-04 대영채비(주)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
KR20190023769A (ko) * 2017-08-30 2019-03-0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차 충전 케이블
KR20210114665A (ko) * 2020-03-11 2021-09-24 (주)클린일렉스 충전 케이블 자동인출 제어센서를 갖는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584B1 (ko) 2023-06-13 2023-12-14 양경식 천정형 전기차 충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848B1 (ko) 202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3194B1 (ko) 전기차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하는 전기차 충전 과금 시스템
US10543754B2 (en) Charg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and billing system using the same
EP2214287A2 (en) Charging System
US10189359B2 (en) Transmitting notification messages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network
KR101208320B1 (ko)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
US20140249976A1 (en) Accounting system and ev charging system
US20100241542A1 (en) Vehicle identification system, method and recharging station for electric vehicles
CN104283239B (zh) 用于移动终端的车载无线充电系统
KR102418112B1 (ko) 전기자동차를 이용한 v2g시스템
CN205864025U (zh) 自动充电机器人
CN107696883A (zh) 电动车辆并行充电方法和设备
CN104283238B (zh) 用于移动终端的车载无线充电系统
US1050097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charging of electric vehicl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230057557A (ko) 오토릴장치를 활용하여 충전신호의 왜곡없이 케이블 관리가 가능한 충전장치
JP2021072682A (ja) 報知制御装置、移動体、電力システム、及び報知方法
KR102013155B1 (ko) 전기자동차의 스마트키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59641A (ko) 유무선 전자지불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기 자동판매기 및 그 충전결제방법
KR102432038B1 (ko) 전기차 충전 케이블에 탑재되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방법
KR101142728B1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KR20190058835A (ko) IoT 기반 전기자동차 충전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플랫폼
KR20120071141A (ko) 전기자동차의 무인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102614326B1 (ko) 충전신호의 왜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컨트롤부와 커플러가 일체화된 충전장치
KR102395249B1 (ko) 모자분리 검침방식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및 과금 방법
JP2003125503A (ja) 駐車設備
JP5816860B2 (ja) インターホン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