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912B1 -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의 인증 보안 강화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의 인증 보안 강화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912B1
KR102324912B1 KR1020210106456A KR20210106456A KR102324912B1 KR 102324912 B1 KR102324912 B1 KR 102324912B1 KR 1020210106456 A KR1020210106456 A KR 1020210106456A KR 20210106456 A KR20210106456 A KR 20210106456A KR 102324912 B1 KR102324912 B1 KR 102324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balance
password
management server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묵
Original Assignee
(주)시그넷이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그넷이브이 filed Critical (주)시그넷이브이
Priority to KR1020210106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912B1/ko
Priority to PCT/KR2022/011545 priority patent/WO202301810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9Rechargeable cards
    • G06Q50/4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20Driver interactions by driver ident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20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e.g. CAD, simulation, modelling, system security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의 인증 방법에 있어서, 충전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카드 발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충전 관리 서버가 카드 번호를 생성하여 카드를 발급하고, 상기 카드의 잔액으로 상기 카드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충전 관리 서버가 카드 발급 완료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충전기가 상기 충전 관리 서버로 상기 카드 번호 및 카드 잔액이 포함된 충전기 이용 회원 인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충전 관리 서버가 상기 카드 잔액과 상기 카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상호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호 매칭되는 경우, 상기 충전 관리 서버가 승인 메시지를 상기 충전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호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충전 관리 서버가 거절 메시지를 상기 충전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의 인증 보안 강화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trengthening authentication security of members using electric vehicle charger using the balance of the rechargeable card}
본 명세서는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의 인증 보안 강화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전기차 충전을 위해서는, 충전을 요청한 사용자가 정식으로 등록된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가 필요하다. 충전 가능한 전기량 및 충전을 위해 주차할 수 있는 주차 공간 모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정식 등록되지 않은 무단 사용자에 대하여 무제한으로 전기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정식 회원 및 전기 전기차 충전 서비스사가 큰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기차 충전을 원하는 사용자는 충전 인프라 홈페이지(예를 들어, 환경부, 한국 전력 공사, 에스트레픽 등)에서 회원 등록을 할 수 있으며, 충전 인프라 운영사는 등록된 회원에 한해 회원 정보가 담긴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카드(예를 들어, T머니 계열, 레일 플러스 등)를 발급하였다. RFID 카드를 발급받은 회원들은 충전기에 구비된 RFID 리더기에 RFID 카드를 태깅함으로써 정식 회원임을 인증하여 전기차 충전을 진행하였다.
충전기는 태그된 RFID 카드로부터 회원 정보(예를 들어, 카드 번호 16자리)를 획득하여 충전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면, 충전기 운영 서버가 회원 정보가 유효한지 판단한 후 판단 결과를 충전기에게 송부함으로써 정식 회원임을 인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RFID 카드를 기반으로 한 인증 방식의 경우, 불법 복제 어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를 통해 카드 번호 16자리의 생성이 가능하여, RFID 카드 도용/복제가 가능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의 인증 방법에 있어서, 충전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카드 발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충전 관리 서버가 카드 번호를 생성하여 카드를 발급하고, 상기 카드의 잔액으로 상기 카드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충전 관리 서버가 카드 발급 완료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충전기가 상기 충전 관리 서버로 상기 카드 번호 및 카드 잔액이 포함된 충전기 이용 회원 인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충전 관리 서버가 상기 카드 잔액과 상기 카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상호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호 매칭되는 경우, 상기 충전 관리 서버가 승인 메시지를 상기 충전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호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충전 관리 서버가 거절 메시지를 상기 충전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RFID 카드 번호에 추가로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정식 회원인지 여부를 판단하므로, RFID 카드 도용/복제 문제가 방지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기초로 카드 비밀번호가 설정되므로, 비밀번호 설정을 위한 별도의 알고리즘이나 기능, 구성, 모듈 등을 추가할 필요가 없어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이 높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기초로 카드 비밀번호가 설정되므로, 잔액 충전 또는 소모만으로 쉽게 카드 비밀번호의 변경이 가능하고, 잦은 비밀번호의 변경으로 인해 보안 레벨이 상승한다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효과는 이하의 각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에 대한 신규 카드 발급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에 대한 신규 카드 발급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를 이용한 충전기 사용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변경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변경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잔액 변동 알림 메시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변경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는 '및' 또는 '또는'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 시스템(100)은, 충전기(110), 충전 관리 서버(120), 전기차(140) 및/또는 사용자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110)는 전기차(140) 충전을 요청한 사용자가 정식으로 사전 등록/가입된 전기차 충전기(110) 이용 회원인지를 판단하여 전기차(140) 충전을 수행하는 구성에 해당할 수 있다. 충전기(110)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실시예를 구현/수행하기 위해, 카드 인식부(111), 전기차 충전부(112), 제1 통신부(113), 제1 출력부(114) 및/또는 제1 제어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카드 인식부(111)는 태깅된 카드로부터 카드 정보를 획득하고, 충전 관리 서버(120)로 카드 정보 인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식 대상 카드는 잔액 충전식 RFID 카드일 수 있으며, 카드 인식부(111)는 RFID 카드 리더기일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인식 대상 카드는 대중 교통, 편의점, 자판기 등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충전식 지불 카드(예를 들어, T 머니 카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전기차 충전부(112)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모듈을 포함하여 충전기와 연결된 전기차(140)에 대한 충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3)는 적어도 하나의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충전기(110)의 제1 통신부(113)는 충전 관리 서버(1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주로 사용자 인증을 위한 메시지/데이터/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출력부(114)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수단(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 오디오 모듈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시각적/청각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충전기(110)의 제1 출력부(114)는 회원 인증 방식을 가이드하기 위한 정보, 비밀번호 재설정을 위한 UI, 충전 상태, 충전 금액 등과 같이 회원 인증 및 충전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출력부(114)가 비밀번호 재설정을 위한 UI를 출력하는 경우, 충전기(110)는 해당 UI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입력부(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15)는 충전기(110)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제어하여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충전기(110)의 동작을 주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충전기(110)는 '제1 제어부(115)'로 대체되어 설명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15)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소프트웨어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충전 관리 서버(120)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100)을 운영/관리하는 시스템 서버로서, 충전기(110) 및 사용자 단말(130)과 통신을 수행하여, 카드 관련 동작(예를 들어, 카드 발급, 카드 정보 변경, 카드 인증 동작 등)을 주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관리 서버(120)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설계된 어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이하, '전기차 충전기 회원용 어플리케이션')를 운영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또는, 예를 들어, 충전 관리 서버(120)는 충전 인프라 운영사(예를 들어, 환경부, 한국 전력 공사, 에스트레픽, T 머니 등)에서 충전 인프라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또는, 예를 들어, 충전 관리 서버는 금융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서버들의 기능이 통합된 하나의 충전 관리 서버(120)로 통칭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기능에 따라 충전 관리 서버(12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충전 인프라 서버 및/또는 금융 서버로 분리/구분될 수 있다.
충전 관리 서버(120)는 제2 통신부(121), 메모리부(122) 및/또는 제2 제어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121)는 적어도 하나의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충전 관리 서버(120)의 제2 통신부(121)는 충전기(110) 및 사용자 단말(13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주로 카드 발급/인증 및 카드 비밀번호 관련 메시지/데이터/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부(122)는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122)는 플래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클라우드 등의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특히, 충전 관리 서버(120)의 메모리부(122)에는 전기차 충전기(110) 이용 회원의 회원 가입 정보, 전기차 정보, 카드 정보 및/또는 비밀번호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제어부(123)는, 충전 관리 서버(120)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제어하여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충전 관리 서버(120)의 동작을 주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충전 관리 서버(120)는 '제2 제어부(123)'로 대체되어 설명될 수 있다. 제2 제어부(123)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제어부(123)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소프트웨어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전기차 충전을 요청한 사용자의 단말로서, 전기차 충전 시스템(100)이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이 사전 설치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충전 카드 및 전기차 충전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충전 관리 서버(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제3 통신부(131), 제3 출력부(132) 및 제3 제어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통신부(131)는 적어도 하나의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130)의 제3 통신부(131)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충전 관리 서버(1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주로 충전 카드 및 전기차(140) 충전과 관련된 다양한 메시지/데이터/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3 출력부(132)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수단(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 오디오 모듈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시각적/청각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130)의 제3 출력부(132)는 카드 정보, 카드 잔액 정보, 카드 비밀번호 정보, 전기차(140) 충전 상태 정보 등 카드 및 전기차(140) 충전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3 입력부(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3 제어부(133)는 충전기(110)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제어하여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충전기(110)의 동작을 주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제3 제어부(133)'로 대체되어 설명될 수 있다. 제3 제어부(133)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3 제어부(133)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소프트웨어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에 대한 신규 카드 발급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특히, 전기차 충전기 회원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 정보를 입력하여 충전기 이용 회원 가입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은 전기차 충전기 회원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UI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회원 정보를 입력받은 사용자 단말은, 해당 정보가 포함된 회원 가입 및 카드 발급 요청을 충전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201).
충전 관리 서버는 수신한 회원 정보를 충전기 이용 회원으로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고, 해당 회원에 대한 카드 번호(예를 들어, 16자리)를 생성하여 신규 카드를 발급할 수 있다(S202). 이때 발급되는 카드는 잔액의 충전 및 소모가 가능한 충전식 RFID 카드에 해당할 수 있다. 해당 카드 잔액의 충전 및 소모는, 실시예에 따라 자유롭게 가능하거나 특정 조건 하에 제한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이렇게 발급된 신규 카드는 실물 카드 형태로 제작되어 추후 사용자에게 배송되어 사용될 수 있다.
충전 관리 서버는 신규 카드 발급과 함께 해당 카드에 대한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S202). 충전 관리 서버는 카드에 대한 비밀번호는,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액수만큼 카드 잔액을 충전함으로써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제1 실시예에 따를 때, 충전 관리 서버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초기 비밀번호 값(예를 들어, '0001')에 대응하는 액수만큼 카드 잔액(예를 들어, 1원)을 충전함으로써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초기 비밀번호는 회원별로 모두 동일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초기 발급된 신규 카드의 잔액 역시 모두 동일한 액수로 충전되어 사용자에게 배송될 수 있다.
카드 발급이 완료되면, 충전 관리 서버는 카드 발급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203). 이때, 충전 관리 서버는 실물 카드가 사용자에게 도착하기까지의 예상 시간 정보도 함께 전송해줄 수 있다.
실물 카드를 수령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변경하고자 하는 비밀번호가 포함된 비밀번호 변경 요청을 충전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204). 이후, 사용자는 실물 카드에 잔액을 충전하거나 소모함으로써 충전 관리 서버에 변경 요청한 비밀번호와 동일한 값으로 잔액을 변경할 수 있다.
카드의 충전 및 소모에 사용되는 카드 충전기/결제기(예를 들어, T머니 잔액 충전기/결제기 등)는 충전 관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카드에 대한 잔액 충전 및 소모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동작을 통해 충전 관리 서버는 카드 잔액의 변경을 인식할 수 있다(S205). 충전 관리 서버는 카드 잔액의 변경을 인식하면, 기존에 사용자 단말로부터 변경 요청된 비밀번호와 변경된 카드 잔액을 비교할 수 있으며, 두 값이 상호 매칭되는 경우에 한해 변경 요청된 비밀번호(또는 변경된 카드 잔액)로의 카드 비밀번호 변경을 완료할 수 있다(S206).
마지막으로, 비밀번호 변경이 완료되면, 충전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비밀번호의 변경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207).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에 대한 신규 카드 발급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특히, 전기차 충전기 회원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 정보를 입력하여 충전기 이용 회원 가입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은 전기차 충전기 회원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UI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회원 정보를 입력받은 사용자 단말은, 해당 정보가 포함된 회원 가입 및 카드 발급 요청을 충전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301).
충전 관리 서버는 수신한 회원 정보를 충전기 이용 회원으로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고, 해당 회원에 대한 카드 번호(예를 들어, 16자리)를 생성하여 신규 카드를 발급할 수 있다(S302). 이때 발급되는 카드는 잔액의 충전 및 소모가 가능한 충전식 RFID 카드에 해당할 수 있다. 해당 카드 잔액의 충전 및 소모는, 실시예에 따라 자유롭게 가능하거나 특정 조건 하에 제한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이렇게 발급된 신규 카드는 실물 카드 형태로 제작되어 추후 사용자에게 배송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충전 관리 서버는 비밀번호 입금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303). 즉, 실물 카드 수령 뒤 사용자가 직접 카드 잔액을 변경함으로써 비밀번호를 변경했던 제1 실시예와는 다르게, 본 실시예의 경우 신규 카드 발급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잔액을 입금받아 비밀번호를 설정한 뒤 실물 카드를 배송할 수 있다. 비밀번호 요청 시, 충전 관리 서버는 비밀번호를 입금받기 위한 가상 계좌를 생성한 뒤 해당 가상 계좌의 가상 계좌 번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비밀번호 값에 대응하는 잔액을 발급받은 수신한 가상 계좌 번호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금할 수 있다(S304). 본 동작을 위해, 충전 관리 서버는 금융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금융 서버와 통합된 서버로 사전 구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충전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가상 계좌로 입금된 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 충전 관리 서버는 입금액을 카드 잔액으로 충전하고, 충전한 잔액 값을 카드 비밀번호로 설정할 수 있다(S305). 또한, 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충전 관리 서버는 입금자명이 번호로 구성된 경우, 해당 번호를 긴급 비밀번호로 설정할 수 있다. 긴급 비밀번호는, 카드의 도용/분실/해킹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사용자가 모르는 번호로 비밀번호가 변경된 경우, 사용자의 본인 인증/확인 및 비밀번호 변경을 위해 사용되는 긴급 비밀번호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긴급 비밀번호는 충전 관리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술한 문제 발생 시 충전기에 의해 활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충전 관리 서버는 카드 발급 완료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306).
비밀번호 설정까지 완료되어 발급된 신규 카드는 실물 카드로 제작되어 사용자에게 배송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카드의 잔액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경우, 비밀번호 카드를 설정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유닛의 도입이 불필요하여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이 높게 유지되고, 시스템 초기 구축에 들어가는 비용이 최소화되며,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쉽고 자유롭게 설정/변경이 가능하므로 보완성이 높게 유지된다는 장점도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는 사용자 설정과 같은 특정 조건 하에서 사용자별로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적용되거나, 운영 정책에 따라 제1 및 제2 실시예 중 어느 하나만 도입되어 배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를 이용한 충전기 사용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충전기는 카드를 인식하여 해당 카드에 대한 카드 번호 및 잔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01).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기는 구비된 카드 인식부를 이용하여 태깅/접속된 카드의 카드 번호 및 잔액을 인식할 수 있다. 카드 인식부에 대한 설명은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충전기는 카드 번호 및 잔액 정보가 포함된 충전기 이용 회원 인증 요청을 충전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402).
다음으로, 충전 관리 서버는 수신한 카드 번호에 대하여 기설정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잔액을 비교하고, 상호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3).
만일, 기설정된 비밀번호와 잔액이 상호 매칭됨을 확인한 경우, 충전 관리 서버는 사용자가 충전기 이용 회원임을 인증하는 승인 메시지를 충전기로 전송할 수 있다(S404). 승인 메시지를 수신한 충전기는 전기차 충전부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전기차에 대한 충전을 시작할 수 있다(S405).
반대로, 기설정된 비밀번호와 잔액이 상호 비매칭됨을 확인한 경우, 충전 관리 서버는 사용자가 충전기 이용 회원이 아님을 알리는 거절 메시지를 충전기로 전송할 수 있다. 거절 메시지를 수신한 충전기는 해당 사용자의 전기차에 대한 충전을 거절할 수 있다. 만일, 제2 실시예에서 제안된 긴급 비밀번호가 별도로 설정되어 있던 경우에, 충전기는 긴급 비밀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UI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UI를 통해 긴급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본인 인증을 수행한 뒤, 비밀번호 변경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비밀번호 변경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변경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카드에 대한 잔액을 충전하거나 소모함에 따라 비밀번호가 변경되었으나, 변경된 비밀번호가 전기차 충전 시스템 상에 반영되지 않은 경우를 전제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충전기는 카드를 인식하여 충전기 이용 회우너 인증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S501). 본 단계는 도 4의 S402 단계에 대응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충전 관리 서버는 카드 번호에 대하여 기설정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잔액을 비교할 수 있으며, 상호 비매칭됨을 확인할 수 있다(S502).
다음으로, 충전 관리 서버는 비밀번호의 재입력 요청 메시지인 NACK(negative acknowledgement)을 충전기로 전송할 수 있다(S503).
다음으로, 충전기는 비밀번호 재입력 UI를 제공할 수 있으며(S504), UI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변경된 비밀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S505).
다음으로, 충전기는 변경된 비밀번호가 포함된 비밀번호 업데이트 요청을 충전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506).
마지막으로, 충전 관리 서버는 수신한 비밀번호로 비밀번호를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업데이트된 비밀번호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S507).
추가로, 본 순서도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S504 단계에서 앞서 상술한 긴급 비밀번호가 활용될 수 있다. 비밀번호 변경에 앞서서 비밀번호 입력자가 사용자 본인인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충전기는 S504 단계 전 긴급 비밀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UI를 출력하여 긴급 비밀번호의 입력을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긴급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 본인임을 인증할 수 있다. 충전기는, 긴급 비밀번호가 정확히 입력된 경우에 한해 S504 단계 및 이후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긴급 비밀번호가 정확한지 여부는, 충전기가 충전 관리 서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변경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잔액 변동 알림 메시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충전 관리 서버는 카드 잔액의 변동을 인식할 수 있다(S601).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 관리 서버는 카드 잔액을 충전한 카드 충전기 또는 카드 잔액을 소모한 카드 결제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카드의 잔액 변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다. 특히, 전기차에 충전 청구 금액이 카드 잔액으로 지불되는 경우, 충전 관리 서버는 충전기로부터 전기차 충전 청구 금액만큼의 잔액 차감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요청을 기초로 카드에 대한 잔액 및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충전 관리 서버는 카드 잔액이 변동되었음을 알리는 잔액 변동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602). 잔액 변동 알림 메시지는 도 7의 예시와 같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잔액 변동 알림 메시지는 카드 잔액이 변동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림과 동시에, 변동된 카드 잔액을 확인할 수 있는 링크(710)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링크(710)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 수신 시, 사용자 단말은 카드의 현재 잔액을 확인할 수 있는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과 연결되어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변경된 비밀번호를 인지할 수 있다. 나아가, 잔액 변동 알림 메시지는, 만일 카드가 분실되어 타인에 의해 도용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바로 고객 센터로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고객 센터 연락처 정보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다음으로, 충전 관리 서버는 잔액 변동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 시점부터 기설정된 응답 시간으로 설정된 타이머를 카운트할 수 있다(S603). 만일, 타이머 만료 전(즉, 기설정된 응답 시간 내)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변동된 잔액으로 비밀번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604). 이렇듯 기설정된 응답 시간을 별도 설정하는 이유는, 카드가 타인에 의해 도용되어 잔액이 사용됨에 따라 카드 비밀번호가 바뀌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장치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기설정된 응답 시간 내 사용자 단말로부터 별도의 응답(예를 들어, 잔액 확인 링크 연결, 카드 사용 취소 요청, 고객 센터로의 전화 연결, 카드 비밀번호 변경 요청 등)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충전 관리 서버는 변동된 잔액으로 비밀번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충전 관리 서버는 비밀번호 업데이트 완료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비밀번호 업데이트를 완료할 수 있다(S605).
본 순서도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S805 단계는, 카드에 대한 잔액 변동 전에 사용자 단말로부터 카드의 비밀번호 변경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 한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동작 역시 카드가 타인에 의해 도용됨에 따라 사용자와 의지와 다르게 비밀번호가 변경됨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장치에 해당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잔액 변경을 통해 비밀번호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변경하고자 하는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은 변경 예정 비밀번호를 충전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카드 잔액이 변경 예정 비밀번호와 동일해지도록 잔액을 충전 또는 소비할 수 있으며, 충전 관리 서버는 변동된 카드 잔액이 변경 요청된 비밀번호와 상호 매칭됨을 확인하면, 비밀번호의 변경을 완료할 수 있다. 만일, 카드의 비밀번호 변경 요청이 별도로 수신되지 않았음에도, 카드에 대한 잔액의 변동이 인식된 경우, 충전 관리 서버는 카드 무단 사용, 도용, 분실 등의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해당 카드에 대한 사용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변경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비밀번호 변경 요청을 충전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충전 관리 서버는 비밀번호 변경을 위한 가상 계좌를 개설/생성하고, 해당 계좌의 가상 계좌 번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가상 계좌번호에 대한 비밀번호를 입금할 수 있다. 충전 관리 서버는 입금액을 카드 잔액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입금액의 충전에 따라 변경된 최종 카드 잔액을 새로운 비밀번호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3 내지 제5 실시예는 사용자 설정과 같은 특정 조건 하에서 사용자별로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적용되거나, 운영 정책에 따라 특정 실시예 하나만 도입되어 배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나 단말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앞서 설명한 기능들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0)

  1.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의 인증 방법에 있어서,
    충전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카드 발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충전 관리 서버가 카드 번호를 생성하여 카드를 발급하고, 상기 카드의 잔액으로 상기 카드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충전 관리 서버가 카드 발급 완료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충전기가 상기 충전 관리 서버로 상기 카드 번호 및 카드 잔액이 포함된 충전기 이용 회원 인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충전 관리 서버가 상기 카드 잔액과 상기 카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상호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호 매칭되는 경우, 상기 충전 관리 서버가 승인 메시지를 상기 충전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호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충전 관리 서버가 거절 메시지를 상기 충전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의 인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의 잔액으로 상기 카드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관리 서버가, 기설정된 초기 비밀번호로 상기 카드의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상기 초기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액수만큼 상기 카드의 잔액을 충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의 인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의 잔액으로 상기 카드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관리 서버가 상기 카드의 초기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잔액 입금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요청하는 단계; 및
    입금받은 금액을 상기 카드의 잔액으로 충전하고, 충전된 잔액을 상기 카드의 초기 비밀번호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의 인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상기 승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카드 번호에 대응하는 전기차에 대해 충전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거절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카드 번호에 대응하는 전기차에 대해 충전을 거절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의 인증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관리 서버가,
    상기 카드에 대한 잔액의 변동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카드의 비밀번호를, 변동된 잔액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의 인증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의 비밀번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카드에 대한 잔액의 변동 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카드의 비밀번호 변경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 한해 수행되는,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의 인증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의 비밀번호 변경 요청을 수신하지 않았음에도 상기 카드에 대한 잔액의 변동이 인식된 경우, 상기 충전 관리 서버가 상기 카드에 대한 사용을 정지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의 인증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에 대한 잔액의 변동을 인식한 경우, 상기 충전 관리 서버가 카드 잔액 변동 알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기설정된 시간으로 설정된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카드의 비밀번호를, 상기 변동된 잔액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타이머 만료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에 한해 수행되는,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의 인증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에 대한 잔액의 변동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기가 상기 전기차에 대한 충전 완료에 따라 상기 전기차 충전에 대한 청구 금액만큼의 잔액 차감을 상기 충전 관리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관리 서버가 상기 청구 금액만큼 상기 카드의 잔액을 차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의 인증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절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충전기가 상기 카드의 비밀번호 재설정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충전기가 상기 비밀번호 재설정 UI를 통해 변경된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충전기가 상기 변경된 비밀번호가 포함된 비밀번호 업데이트 요청을 상기 충전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충전 관리 서버가 상기 변경된 비밀번호로 상기 카드의 비밀번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의 인증 방법.
KR1020210106456A 2021-08-12 2021-08-12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의 인증 보안 강화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324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456A KR102324912B1 (ko) 2021-08-12 2021-08-12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의 인증 보안 강화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CT/KR2022/011545 WO2023018104A1 (ko) 2021-08-12 2022-08-04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의 인증 보안 강화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456A KR102324912B1 (ko) 2021-08-12 2021-08-12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의 인증 보안 강화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912B1 true KR102324912B1 (ko) 2021-11-11

Family

ID=78516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456A KR102324912B1 (ko) 2021-08-12 2021-08-12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의 인증 보안 강화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24912B1 (ko)
WO (1) WO20230181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104A1 (ko) * 2021-08-12 2023-02-16 에스케이시그넷 주식회사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의 인증 보안 강화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7597A (ko) * 2010-04-21 2011-10-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자동차 공유 장치, 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공유 방법
KR20120012652A (ko) * 2010-08-02 2012-02-10 (주)브이이엔에스 전기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그 충전방법
KR20120075508A (ko) * 2010-11-19 2012-07-09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482B1 (ko) * 2016-09-02 2018-12-07 주식회사 케이티 전기차를 충전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261441B1 (ko) * 2018-02-28 2021-06-07 박지호 차량 충전 방법, 단말기 및 서버
KR102324912B1 (ko) * 2021-08-12 2021-11-11 (주)시그넷이브이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의 인증 보안 강화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7597A (ko) * 2010-04-21 2011-10-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자동차 공유 장치, 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공유 방법
KR20120012652A (ko) * 2010-08-02 2012-02-10 (주)브이이엔에스 전기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그 충전방법
KR20120075508A (ko) * 2010-11-19 2012-07-09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104A1 (ko) * 2021-08-12 2023-02-16 에스케이시그넷 주식회사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의 인증 보안 강화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8104A1 (ko)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0427B2 (en) Credit payment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mobile terminal peer-to-peer
US11227279B2 (en) Credit payment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card emulation of mobile terminal
CN100419737C (zh) 应用鉴别系统、安全设备和终端设备
KR101129318B1 (ko) 생체인식 카드를 활용한 공용시설물에 대한 대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04471599A (zh) 使用移动通信装置进行金融交易的方法及系统
EP2690840B1 (en) Internet based security information interac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190105776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전자 키 관리 방법
AU20192373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osite-key based blockchain device control
CN102959554A (zh) 用于存储状态恢复的存储设备和方法
KR102324912B1 (ko)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의 인증 보안 강화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33381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카드 결제 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2010256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execution of a function protected by authentification of a user, in particular for the access to a resource
US20130036160A1 (en) License issuing system, client terminal, server, and license issuing method
JP2022054439A (ja) 中央銀行デジタル通貨のための決済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1176560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TM access during outages
CN110191123B (zh) 一种线上办卡方法、客户端及系统
US20220078800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tm access during outages
KR102406519B1 (ko) 하이패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WO2019237258A1 (zh) 数字货币交互方法,数字货币物理载体,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02693506B (zh) 一种支持移动交易业务流程运行的设备和方法
CN102187345A (zh) MIDlet签名和撤销
KR20190064792A (ko) 원격 결제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결제 방법
EP3965039A1 (en) Electronic currency offline payment method and payment collection method
KR20220041692A (ko)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를 위한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110112795A (ko) 생체인식 카드를 활용한 공용시설물에 대한 대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