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818A - 전기 자동차 배터리 충전 및 과금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 배터리 충전 및 과금 시스템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818A
KR20190115818A KR1020180038986A KR20180038986A KR20190115818A KR 20190115818 A KR20190115818 A KR 20190115818A KR 1020180038986 A KR1020180038986 A KR 1020180038986A KR 20180038986 A KR20180038986 A KR 20180038986A KR 20190115818 A KR20190115818 A KR 20190115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user
vehicle
information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한
강수혁
권태양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8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5818A/ko
Publication of KR20190115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818A/ko

Link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G06K2209/1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ultimedia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은 사용자의 차량에 부착된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여 차량 번호판 정보를 생성하는 LPR 시스템, 상기 차량 번호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차량 번호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관리 서버,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차량의 충전에 따른 충전 요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충전하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 요금을 산정하고, 상기 산정된 충전 요금을 상기 사용자에게 청구하는 과금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 배터리 충전 및 과금 시스템 및 방법{Electric car Battery Charging and Cost Calculat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아파트나 오피스텔과 같은 공동주택 환경에서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에 따른 충전 및 과금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계적인 환경 규제 강화와 에너지 절감 추세에 따라 세계각국에서는 친환경적인 전기 자동차의 개발과 보급이 점차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는 한번 충전으로 주행할 수 있는 거리가 가솔린 차량에 비해 짧아서 자주 충전을 해주어야 하므로,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충전할 수 있도록 많은 충전소가 적재적소에 설립될 필요성이 있다.
한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도심에서 출퇴근용으로만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매일 퇴근한 후 가정에서 충전을 시키는 방식으로 운행을 한다면 도심 내에 충전시설이 미비하더라도 별다른 불편없이 사용이 가능할 수도 있으나, 이는 자신의 집안의 콘센트와 전기차를 직접 전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단독주택 거주자의 경우에만 가능하고, 아파트나 오피스텔과 같은 공동주택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방식을 통해 충전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동주택 환경에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이 도입될 경우, 공동주택 환경의 전기를 이용하여 개인의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는 것이므로 개인에 대한 과금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KR 제10-144861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KR 제10-1208320호
본 발명의 목적은 공동주택 환경에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이 도입될 경우 전기 자동차를 보유한 개인이 충전에 사용한 전기에 대한 효과적인 과금을 통하여 편리성과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은 사용자의 차량에 부착된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여 차량 번호판 정보를 생성하는 LPR 시스템, 상기 차량 번호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차량 번호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관리 서버,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차량의 충전에 따른 충전 요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충전하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 요금을 산정하고, 상기 산정된 충전 요금을 상기 사용자에게 청구하는 과금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LPR 시스템 및 충전부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차량 번호판 정보에 포함된 차량 번호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차량 번호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완료하고, 인증 결과를 상기 충전부에 송신하는 인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충전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충전에 필요한 충전 정보나 결제에 필요한 결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의 차량의 배터리에 전기를 공급하여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장치, 상기 결제 정보에 따라 상기 과금 서버를 통해 산정된 충전 요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부, 및 상기 인증부의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결제 처리부에 의해 결제가 수행되면 상기 충전장치를 활성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충전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의 충전 용량, 충전 시간 및 충전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 정보는 결제 방식 및 결제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결제 방식에 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세대 관리비에 합산하여 결제하는 방식 또는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결제 수단을 통해 결제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기 전까지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부로부터 상기 인증결과를 수신하면 상기 입력부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LPR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부착된 번호판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LPR 시스템이 설치된 곳의 환경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부착된 번호판을 인식하고, 상기 차량 번호판 정보를 생성하는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차량 번호판 정보는 상기 차량 번호 정보 및 전기차 로고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입력부의 잠금상태 여부에 따른 상기 충전부의 이용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차종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를 보유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모니터링 결과를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과금 서버는 상기 충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충전 요금을 산정하고, 상기 결제 방식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세대 관리비에 합산하여 결제하는 방식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세대 관리비에 상기 충전 요금을 합산하여 청구하고, 상기 사용자의 전력 요금에 합산하여 결제하는 방식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속한 세대가 사용한 전력 사용량에 따른 전력 요금에 상기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 충전에 사용한 전력에 따른 충전 요금을 합산하여 청구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과금 서버는 상기 결제 방식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결제 수단을 통해 결제하는 방식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에 따라 상기 충전 요금을 청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은 사용자의 차량에 부착된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여 차량 번호판 정보를 생성하는 LPR 시스템, 상기 차량 번호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차량 번호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관리 서버,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차량의 충전에 따른 충전 요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충전하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 요금을 산정하고, 상기 산정된 충전 요금을 상기 사용자에게 청구하는 과금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LPR 시스템 및 충전부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차량 번호판 정보에 포함된 차량 번호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차량 번호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완료하여 제1 인증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 번호판 정보에 전기차 로고 정보가 포함되어있으면 상기 사용자의 차량이 전기 자동차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인증을 완료하여 제2 인증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인증결과 및 상기 제2 인증 결과를 상기 충전부에 송신하는 인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충전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충전에 필요한 충전 정보나 결제에 필요한 결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의 차량의 배터리에 전기를 공급하여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장치, 상기 결제 정보에 따라 상기 과금 서버를 통해 산정된 충전 요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부, 및 상기 인증부의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결제 처리부에 의해 결제가 수행되면 상기 충전장치를 활성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의 충전 용량, 충전 시간 및 충전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 정보는 결제 방식 및 결제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기 전까지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부로부터 상기 제1 인증결과 및 상기 제2 인증결과를 수신하면 상기 입력부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LPR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부착된 번호판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LPR 시스템이 설치된 곳의 환경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부착된 번호판을 인식하고, 상기 차량 번호판 정보를 생성하는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방법에 있어서, 차량 번호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에 포함된 입력부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충전 정보 및 결제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의 충전에 따른 충전 요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충전 요금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충전 정보를 토대로 산정되고, 상기 충전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의 충전 용량, 충전 시간 및 충전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촬영한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부착된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여 차량 번호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차량 번호판 정보에 포함된 차량 번호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차량 번호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완료하여 제1 인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번호판 정보에 전기차 로고 정보가 포함되어있으면 상기 사용자의 차량이 전기 자동차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인증을 완료하여 제2 인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기 전까지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인증 결과 및 상기 제2 인증 결과를 수신하면 상기 입력부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결제 정보에 포함된 결제 방식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세대 관리비에 합산하여 결제하는 방식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세대 관리비에 합산하여 결제하는 방식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세대 관리비에 상기 충전 요금을 합산하여 청구하고, 상기 사용자의 전력 요금에 합산하여 결제하는 방식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가 속한 세대가 사용한 전력 사용량에 따른 전력 요금에 상기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 충전에 사용한 전력에 따른 충전 요금을 합산하여 청구하고,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결제 수단을 통해 결제하는 방식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에 따라 상기 충전 요금을 청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동주택 환경에서 차량의 운행 종료 후 주차 상태에서 공동주택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를 충전한 개인에 대하여 효과적인 과금을 통하여 편리성과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PR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전기차 로고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부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그에 따른 과금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인증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시스템(1)은 LPR 시스템(10), 관리 서버(20), 충전부(30) 및 과금 서버(40)를 포함한다.
LPR(License Plate Recognition) 시스템(10)은 차량 번호판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아파트나 오피스텔과 같은 공동주택 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LPR 시스템(10)은 공동주택 환경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자동차 충전 구역에서 차량이 출입 또는 주차되는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PR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 2를 참조하면, LPR 시스템(10)은 카메라(110), 카메라 제어부(130) 및 인식부(150)를 포함한다.
카메라(110)는 LPR 시스템(10)이 설치된 곳으로 출입 또는 주차하는 차량을 촬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메라(110)는 LPR 시스템(10)이 설치된 곳으로 출입 또는 주차하는 차량의 전·후면에 부착된 번호판을 촬영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메라(110)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시(flash)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제어부(130)는 카메라(110)가 출입 또는 주차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보다 선명하게 촬영하도록 카메라(110)를 제어한다. 이때, 카메라 제어부(130)는 LPR 시스템(10)이 설치된 곳의 환경에 따라 카메라(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PR 시스템(10)이 설치되는 전기 자동차 충전 구역이 야외인 경우, 시간대(예를 들어, 밤이나 새벽 등)나 날씨(흐린 날, 눈오는 날 등)에 따라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되는 차량에 대한 영상의 선명도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제어부(130)는 환경에 따라 카메라(110)의 게인(gain), 셔터 스피드(shutter speed), 노출도(exposure) 및 밝기(bright) 등을 제어하여 촬영 영상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다.
인식부(150)는 카메라(110)가 촬영한 촬영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판을 인식한다. 인식부(150)는 촬영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기 위하여 우선 차량 번호판에 해당하는 후보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후보 영역의 이미지 패턴을 분석해 패턴에 대응하는 차량 번호 텍스트를 생성함으로써 차량 번호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식부(150)는 촬영 영상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가우시안 스무딩(Gaussian smoothing)이나 필터링(filtering)을 수행하거나, 촬영 영상에 이진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흑백 영상으로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 인식부(150)를 통하여 생성되는 차량 번호판 정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번호 정보와 전기차 로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LPR 시스템(10)은 LPR 시스템(10)이 설치된 곳으로 출입 또는 주차하는 차량 각각에 대한 차량 번호판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차량 번호판 정보를 관리 서버(2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LPR 시스템(10)은 관리 서버(20)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하여 추가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LPR 시스템(10)과 관리 서버(20)가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은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등의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이나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일 수 있다.
여기서, 유선 통신은 USB(universal serial bus),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는 LPR 시스템(10)으로부터 생성된 차량 번호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차량 번호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거나, 충전부(30)의 이용현황을 모니터링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20)는 통신부(210), 인증부(250), 저장부(230) 및 모니터링부(27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LPR 시스템(10) 및 충전부(30)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구성으로서,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관리 서버(20)와 LPR 시스템(10) 및 충전부(30)가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인증부(250)가 인증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란 사용자가 별도의 단말기를 통하여 관리 서버(20)에 등록 및 저장시킨 정보로서 차량 정보 및 사용자가 속한 세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 번호 정보 및 차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세대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거주하는 동, 호수 및 사용자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정보는 차량을 보유한 사용자가 속한 세대의 세대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인증부(250)는 LPR 시스템(10)으로부터 수신한 차량 번호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및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인증부(250)가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인증부(250)는 수신한 차량 번호판 정보와 저장부(230)에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이때, 수신한 차량 번호판 정보에 포함된 차량 번호 정보와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차량 번호 정보를 비교하여 차량 번호 정보가 서로 일치하면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완료하고, 제1 인증 결과를 생성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인증부(250)는 LPR 시스템(10)으로부터 수신한 차량 번호판 정보에 전기차 로고 정보가 포함되어있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차량이 전기 자동차인 것으로 판단되면 인증을 완료하고, 제2 인증 결과를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증부(250)가 사용자 및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실시 예가 모두 수행되는 경우 동시에 또는 이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어느 하나의 실시 예만을 통해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인증부(250)는 상술한 실시 예에 따라 인증을 완료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 결과인 제1 인증 결과와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인증 결과인 제2 인증결과를 후술할 충전부(30)에 송신한다.
모니터링부(270)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1)에 포함되는 충전부(30)의 이용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충전부(30)의 이용현황은 예를 들면, 입력부(310)의 잠금상태 여부, 충전장치(350)에 별도로 결속된 잠금장치의 해제 여부, 잔존 충전 시간 및 충전 종료 시간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부(270)는 모니터링된 충전부(30)의 현황을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란 전기 자동차를 보유한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기로서,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등의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상술한 모니터링부(270)는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사용자들 중에서 저장부(230)에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차종 정보를 통해 전기 자동차를 보유한 것으로 판단되는 사용자에게만 모니터링 결과를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전기 자동차를 보유한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충전부(30)의 이용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의 사용자 단말기는 관리 서버(2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공동주택의 외부 환경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거주하는 세대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집에서도 실시간으로 충전부(30)의 이용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충전부(3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결제 및 충전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부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 5를 참조하면, 충전부(30)는 입력부(310), 제어부(330), 충전장치(350) 및 결제 처리부(370)를 포함한다.
입력부(3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충전에 필요한 충전 정보나 결제에 필요한 결제 정보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하여 예를 들면 버튼,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310)는 충전 정보를 입력받으면 이를 과금 서버(40)로 전송하여 충전에 따른 충전 요금을 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받는 충전 정보는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의 충전 용량, 충전 시간, 충전 방식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충전 방식에 대한 정보는 급속 충전 또는 완속 충전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받는 결제 정보는 예를 들어 결제 방식, 결제 수단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제 방식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세대 관리비 또는 전력 요금에 합산하여 결제하는 방식 및 후술할 결제 처리부(370)를 통하여 사용자가 보유한 결제 수단을 통해 현장에서 결제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입력부(31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TSP)의 형태로 구현되어 입력과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관리 서버(20)에 포함된 인증부(250)의 인증 결과에 따라 입력부(310)를 활성화하고,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후술할 충전장치(350)를 활성화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부(310)는 전기 자동차가 아닌 자동차가 충전 구역 내에 주차되거나, 공동주택의 세대원이 아닌 사용자(즉, 인증부(250)를 통하여 인증에 실패한 경우)인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을 이용하지 못하도록 평소에는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인증부(250)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제어부(330)를 통하여 잠금 해제됨으로써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는 입력부(310)를 통하여 충전 및 결제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평소에는 충전장치(350)의 전원을 차단하였다가, 입력부(310)를 통해 충전 정보 및 결제 정보가 입력되어 후술할 결제 처리부(370)에 의해 결제가 수행되면 그에 따라 차단된 전원을 해제하여 충전장치를 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의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서 충전장치(350)에 별도의 잠금장치가 결속된 경우라면, 제어부(330)는 입력부(310)를 통해 충전 정보 및 결제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만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사용자의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인증이 완료된 전기 자동차에 대하여 충전을 시작하거나 또는 충전이 완료되면 상술한 입력부(310)가 다시 잠금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충전장치(350)는 공동주택 환경에 구비된 전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에 공급하여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충전장치(350)는 충전케이블, 계량기나 차단부와 같이 전기 자동차 충전에 필요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충전장치(350)는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하여 수반될 수 있는 공지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제 처리부(370)는 사용자가 입력부(310)를 통하여 선택한 결제 방식 및 결제 수단에 따라 과금 서버(40)를 통해 산정된 충전 요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합산 결제 방식을 선택한 경우 결제 처리부(370)는 과금 서버(40)에 사용자에 청구되는 전력 요금 또는 세대 관리비에 충전 요금이 합산되어 청구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현장 결제 방식을 선택한 경우 결제 처리부(370)는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에 따라 충전 요금에 대한 결제가 수행되도록 한다. 여기서, 결제 수단은 현금 및 신용카드와 같이 널리 알려진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과금 서버(40)는 충전 정보 및 결제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전기 자동차 충전에 따른 충전 요금을 산정하고, 산정된 충전 요금을 사용자에게 청구한다. 산정된 충전 요금을 사용자에게 청구함에 있어서, 과금 서버(40)는 결제 정보에 포함된 결제 방식에 대한 정보에 따라 청구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과금 서버(40)는 결제 방식에 대한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세대 관리비에 합산하여 결제하는 방식인 경우, 과금 서버(40)는 사용자가 속한 세대의 세대 관리비에 산정된 충전 요금을 합산하여 사용자에게 청구한다. 이 경우, 과금 서버(40)는 사용자가 거주하는 공동주택 환경에 별도로 포함된 세대 관리비 처리 시스템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충전 요금이 합산된 세대 관리비를 청구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과금 서버(40)는 결제 방식에 대한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전력 요금에 합산하여 결제하는 방식인 경우, 과금 서버(40)는 사용자가 속한 세대가 사용한 전력 사용량에 따른 전력 요금에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 충전에 사용한 전력에 따른 충전 요금을 합산하여 사용자에게 청구한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과금 서버(40)는 결제 방식에 대한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전력 요금에 합산하여 결제하는 방식인 경우 과금 서버(40)는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에 따라 충전 요금을 청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그에 따른 과금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S410 단계는 차량 번호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및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S410 단계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S420 단계는 S410 단계를 통해 사용자 및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1)에 포함된 입력부(310)를 활성화한다. 즉, 입력부(310)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기 전까지 잠금상태를 유지하다가 S410 단계를 통해 생성된 제1 인증 결과 및 제2 인증 결과를 수신하면 입력부(310)의 잠금상태를 해제한다.
S430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충전 정보 및 결제 정보에 따라 차량의 충전에 따른 충전 요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다. 여기서, 충전 요금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충전 정보를 토대로 산정될 수 있으며, 충전 정보는 사용자의 차량의 충전 용량, 충전 시간 및 충전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인 S430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결제 정보에 포함된 결제 방식에 대한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세대 관리비 또는 전력 요금에 합산하여 결제하는 방식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301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S4301 단계를 통해 합산하여 결제하는 방식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세대 관리비 또는 전력 요금에 합산되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세대 관리비 또는 전력 요금에 상기 충전 요금을 합산하여 청구할 수 있다(S4302a 단계).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세대 관리비에 합산하여 결제하는 방식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세대 관리비에 충전 요금을 합산하여 청구하고, 사용자의 전력 요금에 합산하여 결제하는 방식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속한 세대가 사용한 전력 사용량에 따른 전력 요금에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 충전에 사용한 전력에 따른 충전 요금을 합산하여 청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S4301 단계를 통해 사용자가 보유한 결제 수단을 통해 결제하는 방식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에 따라 충전 요금을 청구할 수 있다.(S4302b 단계).
S440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충전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차량을 충전한다. 한편, S440 단계는 입력된 정보(즉, 충전 정보 및 결제 정보)에 따라 결제가 수행되면 충전장치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결제가 수행된 경우에만 사용자가 충전장치를 이용해 충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인증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510 단계는 카메라(110)가 촬영한 촬영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고, 차량 번호판 정보를 생성한다.
S520 단계는 S510 단계를 통해 생성된 차량 번호판 정보에 포함된 차량 번호 정보와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차량 번호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면 사용자가 정당한 세대원인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완료하여 제1 인증 결과를 생성한다.
S530 단계는 S510 단계를 통해 생성된 차량 번호판 정보에 전기차 로고 정보가 포함되어있으면 사용자의 차량이 전기 자동차인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인증을 완료하여 제2 인증 결과를 생성하고, 인증을 완료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공동주택 환경에 포함된 세대원인지 여부와 관계 없이 충전을 허용하고자 하는 경우라면, S520 단계가 생략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세대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S520 단계를 생략하고, 차종 정보를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S530 단계만을 수행함으로써 공동주택 환경에 포함된 세대원이 아니더라도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사용자의 차량에 부착된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여 차량 번호판 정보를 생성하는 LPR 시스템;
    상기 차량 번호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차량 번호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관리 서버;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차량의 충전에 따른 충전 요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충전하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 요금을 산정하고, 상기 산정된 충전 요금을 상기 사용자에게 청구하는 과금 서버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LPR 시스템 및 충전부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차량 번호판 정보에 포함된 차량 번호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차량 번호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완료하고, 인증 결과를 상기 충전부에 송신하는 인증부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충전에 필요한 충전 정보나 결제에 필요한 결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의 차량의 배터리에 전기를 공급하여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장치;
    상기 결제 정보에 따라 상기 과금 서버를 통해 산정된 충전 요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부; 및
    상기 인증부의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결제 처리부에 의해 결제가 수행되면 상기 충전장치를 활성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의 충전 용량, 충전 시간 및 충전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 정보는 결제 방식 및 결제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방식에 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세대 관리비에 합산하여 결제하는 방식 또는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결제 수단을 통해 결제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인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기 전까지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부로부터 상기 인증결과를 수신하면 상기 입력부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PR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부착된 번호판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LPR 시스템이 설치된 곳의 환경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부착된 번호판을 인식하고, 상기 차량 번호판 정보를 생성하는 인식부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번호판 정보는 상기 차량 번호 정보 및 전기차 로고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입력부의 잠금상태 여부에 따른 상기 충전부의 이용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차종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를 보유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모니터링 결과를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서버는 상기 충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충전 요금을 산정하고, 상기 결제 방식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세대 관리비에 합산하여 결제하는 방식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세대 관리비에 상기 충전 요금을 합산하여 청구하고,
    상기 사용자의 전력 요금에 합산하여 결제하는 방식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속한 세대가 사용한 전력 사용량에 따른 전력 요금에 상기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 충전에 사용한 전력에 따른 충전 요금을 합산하여 청구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서버는 상기 결제 방식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결제 수단을 통해 결제하는 방식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에 따라 상기 충전 요금을 청구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
  13. 사용자의 차량에 부착된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여 차량 번호판 정보를 생성하는 LPR 시스템;
    상기 차량 번호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차량 번호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관리 서버;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차량의 충전에 따른 충전 요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충전하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 요금을 산정하고, 상기 산정된 충전 요금을 상기 사용자에게 청구하는 과금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LPR 시스템 및 충전부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차량 번호판 정보에 포함된 차량 번호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차량 번호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완료하여 제1 인증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 번호판 정보에 전기차 로고 정보가 포함되어있으면 상기 사용자의 차량이 전기 자동차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인증을 완료하여 제2 인증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인증결과 및 상기 제2 인증 결과를 상기 충전부에 송신하는 인증부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충전에 필요한 충전 정보나 결제에 필요한 결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의 차량의 배터리에 전기를 공급하여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장치;
    상기 결제 정보에 따라 상기 과금 서버를 통해 산정된 충전 요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부; 및
    상기 인증부의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결제 처리부에 의해 결제가 수행되면 상기 충전장치를 활성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의 충전 용량, 충전 시간 및 충전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 정보는 결제 방식 및 결제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기 전까지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부로부터 상기 제1 인증결과 및 상기 제2 인증결과를 수신하면 상기 입력부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LPR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부착된 번호판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LPR 시스템이 설치된 곳의 환경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부착된 번호판을 인식하고, 상기 차량 번호판 정보를 생성하는 인식부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
  16.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방법에 있어서,
    차량 번호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에 포함된 입력부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충전 정보 및 결제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의 충전에 따른 충전 요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요금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충전 정보를 토대로 산정되고,
    상기 충전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의 충전 용량, 충전 시간 및 충전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을 촬영한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부착된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여 차량 번호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차량 번호판 정보에 포함된 차량 번호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차량 번호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완료하여 제1 인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번호판 정보에 전기차 로고 정보가 포함되어있으면 상기 사용자의 차량이 전기 자동차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인증을 완료하여 제2 인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기 전까지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인증 결과 및 상기 제2 인증 결과를 수신하면 상기 입력부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결제 정보에 포함된 결제 방식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세대 관리비에 합산하여 결제하는 방식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세대 관리비에 합산하여 결제하는 방식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세대 관리비에 상기 충전 요금을 합산하여 청구하고,
    상기 사용자의 전력 요금에 합산하여 결제하는 방식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가 속한 세대가 사용한 전력 사용량에 따른 전력 요금에 상기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 충전에 사용한 전력에 따른 충전 요금을 합산하여 청구하고,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결제 수단을 통해 결제하는 방식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에 따라 상기 충전 요금을 청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및 과금 방법.
KR1020180038986A 2018-04-04 2018-04-04 전기 자동차 배터리 충전 및 과금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158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986A KR20190115818A (ko) 2018-04-04 2018-04-04 전기 자동차 배터리 충전 및 과금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986A KR20190115818A (ko) 2018-04-04 2018-04-04 전기 자동차 배터리 충전 및 과금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818A true KR20190115818A (ko) 2019-10-14

Family

ID=68171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986A KR20190115818A (ko) 2018-04-04 2018-04-04 전기 자동차 배터리 충전 및 과금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58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48659A (zh) * 2020-09-23 2022-03-29 湖南京能新能源科技有限公司 充电桩车位锁联动装置及扣费方法
KR102652701B1 (ko) * 2023-08-10 2024-03-29 (주)건일엠이씨 집합건물에서의 전기차량의 충전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320B1 (ko) 2010-11-19 2012-12-05 주식회사 이지빌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
KR101448612B1 (ko) 2013-11-09 2014-10-14 한찬희 전기자동차 충전에 따른 과금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320B1 (ko) 2010-11-19 2012-12-05 주식회사 이지빌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
KR101448612B1 (ko) 2013-11-09 2014-10-14 한찬희 전기자동차 충전에 따른 과금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48659A (zh) * 2020-09-23 2022-03-29 湖南京能新能源科技有限公司 充电桩车位锁联动装置及扣费方法
KR102652701B1 (ko) * 2023-08-10 2024-03-29 (주)건일엠이씨 집합건물에서의 전기차량의 충전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5864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ducting trusted remote payment transactions
US97041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payment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US20150143543A1 (en) Scalable secure execution
CN110660166B (zh) 充电桩共享方法、装置、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US20150154669A1 (en) Actual time based parking management methods, systems and processor-readable media
EP3718190A1 (en) Apparatus for directing power flow between multiple devices
CN108847046A (zh) 基于区块链技术的停车管理方法、设备和介质
KR101969752B1 (ko) 보안 터널을 이용하여 타겟 장치의 보안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14049689A (zh) 停车场停车收费管理方法、服务器及存储介质
CN111223244A (zh) 一种计费管理方法及装置
KR20190115818A (ko) 전기 자동차 배터리 충전 및 과금 시스템 및 방법
CN110349347A (zh) 一种车辆充电收费方法及装置
CN105512878B (zh) 移动终端实现电子支付的方法及其系统
WO2019009804A1 (en) PAYMENT PROCESSING
US20230101396A1 (en) Methods, systems, apparatuse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CN111626726A (zh) 生活缴费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861611A (zh) 基于区块链的资源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324912B1 (ko) 충전식 카드의 잔액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이용 회원의 인증 보안 강화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N109658083A (zh) 存储器、基于微信小程序的宽带缴费方法、装置和设备
CN112561533B (zh) 电子资源转移方法、物联网终端设备、电子设备及介质
CN108447133A (zh) 停车场车辆进出场控制方法和系统
CN114056170A (zh) 一种充电认证方法和充电系统
US11507949B2 (en) Post-paid process and system for multipurpose disconnected terminals
TWM618539U (zh) 車輛充電系統
CN111429129A (zh) 一种基于标识信息验证的业务处理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