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698B1 - 단열 종이 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 Google Patents

단열 종이 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698B1
KR101207698B1 KR1020117004012A KR20117004012A KR101207698B1 KR 101207698 B1 KR101207698 B1 KR 101207698B1 KR 1020117004012 A KR1020117004012 A KR 1020117004012A KR 20117004012 A KR20117004012 A KR 20117004012A KR 101207698 B1 KR101207698 B1 KR 101207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ontainer
wall
paper
heat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3297A (ko
Inventor
칭-웬 창
Original Assignee
리치 컵 바이오-케미컬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치 컵 바이오-케미컬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리치 컵 바이오-케미컬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10033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022Foaming unrestricted by cavity walls, e.g. without using moulds or using only internal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4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the preformed part being a lining
    • B29C44/146Shaping the lining before 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15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joining, lining o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29C48/154Coating solid articles, i.e. non-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 B65D81/387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e.g. laminated or foam filling betwee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ompres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2Cellular or porous
    • B32B2305/022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7/00Animal or vegetable based
    • B32B2317/12Paper, e.g.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3/00Packaging equipment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Packages (AREA)
  • Wrapper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종이 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 입자에 접착제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폴리화합물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b) 폴리화합물재료를 압출기를 통해 가열 및 압출하여 박막을 형성하고 박막을 종이의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 (c) 박막이 코팅된 종이를 라미네이팅 롤러로 냉각 및 라미네이팅하는 단계; (d) 박막이 코팅되어 있지 않은 종이의 다른 한 면에 스프레이, 롤링 또는 컬러인쇄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코팅 발포 재료를 도포하고 건조한 다음 이를 감아서 반제품으로 자르고 다시 종이 용기를 형성하거나; 종이 용기를 성형한 후 발포 재료를 종이 용기의 외벽에 도포하는 단계; (e)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발포 재료를 가열하여 제품을 발포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발포 성형의 균일도와 생산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불량품의 생산을 감소시키며, 제조한 제품은 환경보호, 단열 및 보온 등 여러 가지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단열 종이 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METHOD FOR MAKING HEAT-INSULATIVE PAPER CONTAINERS AND THE PRODUCTS}
본 발명은 종이 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단열 종이 용기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하여 얻은 단열 종이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상 용품의 가공영역에 속한다.
출원인은 이전 특허에서 단열 표면을 가지는 종이 용기의 개량 제조법을 공개하였다. 그 중에서 단열 보온하는 발포층은 액상 접착제와 열 발포입자분말을 혼합하여 종이 용기나 반제품 판지 위에 발라 종이 용기를 형성한 후 100~140℃되는 가열온도로써 발포 성형하여 상기 발포층이 상기 종이 용기의 외벽에 결합하도록 하여 보온, 단열, 데지 않도록 방지하는 효과를 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이 용기의 내막 측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으로 덮여져 있으므로 상기 내막이 발포 성형시 온도가 높아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가열온도 및 사용하는 복합페인트를 한정하고 이를 조절한 후에야 상기 단열 종이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문서의 기재에 의하면 단열 종이 용기의 발포층은 대부분 저용점(低熔点) 열가소성 합성수지이며 밀도가 다름에 따라(0.91~0.95g/3) 발포 성형하기 전에 덮이는 두께도 다르고 약 105~135℃에서 발포 성형효과에 도달한다. 그러나 상기 발포 성형 용점에 도달하는 시간은 약 2~4분이며, 다시 말하면 발포 성형 시간이 길고 경제성이 없다.
1. 상기 단열 종이 용기의 제조가 복합페인트의 종류의 제한을 받으므로 상기 복합페인트가 높은 온도에서 발포 성형하거나 발포 성형하는 시간이 길게 되면 상기 발포층은 발포 성형하기 전에 벌써 종이 용기의 내막을 파괴하여 종이 용기가 변형되고 내막이 독성을 생성하게 된다.
2. 일반적인 종이 용기의 내막은 모두 폴리에틸렌으로 덮여져 있으므로 종이 용기의 침투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폴리에틸렌은 전자레인지 또는 오븐에서 조리하는데 사용할 수 없고 파괴당하기만 하면 즉시 독성을 생성하므로 환경보호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상 보안성도 떨어진다.
3. 일반적인 단열 종이 용기의 외벽의 발포층은 저용점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사용하므로 발포 성형시간이 길며 종이 용기의 내막을 파괴하기 쉽고 독성을 생성한다.
4. 상기 단열 종이 용기는 대부분 저용점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사용하므로 만일 내막을 내열성 재료로 덮이게 하면, 가열하여 발포 성형할 경우 상기 내막을 파괴하지 않지만 발포 성형시간이 너무 길어져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원가가 높아지므로 경제적인 효과나 이익이 없게 된다.
5. 일반적인 단열 종이 용기의 발포층은 레드 오븐으로 가열하여 발포 성형하므로 전체적인 발포 성형이 균일하지 못하며 울퉁불퉁하여 평탄하지 못하는 현상을 쉽게 초래하며 불량률을 증가시킨다.
상기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방안을 사용한다.
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입자에 접착제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폴리화합물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b. 폴리화합물재료를 압출기에 투과하여 가열 및 압출하여 박막을 형성하고 상기 박막을 종이의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
c. 박막이 코팅된 종이를 라미네이팅 롤러로 냉각 및 라미네이팅하는 단계;
d. 박막이 코팅되어 있지 않은 종이의 다른 한 면에 스프레이, 롤링 또는 컬러인쇄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발포재료를 도포하고 건조한 다음 감아서 반제품으로 자르고 다시 종이 용기를 형성하거나; 종이 용기를 성형한 후 발포재료를 종이 용기의 외벽에 도포하는 단계;
e.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발포재료를 가열발포 성형하여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열 종이 용기의 제조방법.
더 좋은 기술효과를 얻기 위해 상기 제조방법에서 상기 종이는 양면에 폴리화합물재료를 코팅시켜 종이 용기를 형성할 수 있다.
a 단계의 상기 접착제는 지성의 폴리우레탄 레진(PU)으로써 그 사용량은 폴리화합물재료 총 중량의 5%~20%를 차지한다.
e 단계의 상기 가열 발포 성형 온도는 80 내지 200℃ 또는 그 이상이고 상기 가열 발포 성형 시간은 1~5초이다.
e 단계의 상기 가열발포 성형은 가열장치를 상기 종이 용기 외벽에 감싸고 상기 발포재료를 직접 접촉 또는 가까운 거리에서 비접촉으로 순간 가열함으로써 상기 발포재료를 순간 쾌속 발포 성형한 후 상기 종이 용기와 가열장치를 분리시키거나,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종이 용기의 내벽에 들어가 상기 내벽과 가까운 거리에서 비접촉 순간 가열을 진행함으로써 상기 외벽의 발포 재료가 내벽이 열을 전달받아 순간 쾌속 발포 성형 한 후 상기 종이 용기와 가열장치를 분리시킨다.
e 단계의 상기 가열장치의 내벽은 상기 종이 용기의 외벽의 형태와 대응되게 제조하여 상기 종이 용기의 발포재료의 외벽을 감쌀 수 있거나, 상기 가열장치의 외벽을 상기 종이 용기의 내벽의 형태와 대응되게 제조하여 상기 종이 용기의 내벽에 위치할 수 있고, 그 중에서 상기 가열장치에는 핫라인, 원적외선 램프 및 열 매질 유도 에너지원이 설치되어 있다.
생산효율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가열장치는 종이 용기 형성기 생산라인(기존 설비)의 종이 용기(62, 62′)가 형성된 제일 마지막 단계 뒤에 설치되어 상기 종이 용기가 자동적으로 외벽을 감싸거나, 내벽에 들어가거나 또는 동시에 내벽 및 외벽을 감싸거나 들어가도록 하여 자동화 쾌속 생산 효과를 달성한다.
1.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 입자에 접착제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폴리화합물재료를 형성하고 압출기를 투과하여 가열 및 압출하여 박막을 형성한다. 상기 박막을 종이에 표면 라미네이팅하여 코팅시키고 라미네이팅 롤러로 냉각 및 누름으로써 상기 종이의 표면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 박막층으로 덮이도록 한다. 또한 다른 한 면에는 스프레이, 롤링 또는 컬러인쇄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발포 재료를 도포하고 건조한 다음 감거나 반제품으로 자른 후 다시 종이 용기를 형성한다. 스프레이, 롤링 또는 컬러인쇄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발포재료를 도포하고 건조한 다음 다시 발포재료를 이미 형성된 종이 용기의 외벽에 도포하고 상기 도포하는 발포재료의 종류에 의해 순간 가열 발포 성형에 필요한 온도를 선택한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 박막층은 발포재료가 가열 발포 성형시 견딜 수 있는 온도가 200℃이상에 달함으로써 상기 도포하는 발포재료가 순간 가열하여 발포층을 형성하는 발포 성형시간을 단축시키며 또한 상기 종이 용기의 내벽에 덮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 박막층이 파괴되지 않도록 하여 환경보호 및 무독성 안전효과를 달성한다.
2. 본 발명의 종이의 양면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 이 코팅된 종이로 먼저 종이 용기를 형성한 후, 종이 용기 표면에 직접 코팅될 수 없는 발포재료를 제공함으로써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표면을 통해 서로 결합하고 가열발포 성형을 제공함으로써 형성된 발포층이 내막을 파괴하지 않고 변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3. 본 발명은 상기 종이 용기 외벽에 도포한 발포재료는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종이 용기의 외벽 또는 내벽에 들어가도록 하여 상기 발포재료가 직접 접촉 또는 가까운 거리에서 비접촉 또는 종이 용기의 내벽과 가까운 거리에서 비접촉으로 순간가열하고 열전도방식을 통해 종이 용기의 외벽의 발포재료에 대해 순간 발포 성형 한 후 발포층을 형성하며 즉시 종이 용기와 가열장치를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종이 용기의 발포층이 빠른 속도로 발포 성형 되도록 하여 생산효율을 향상시킨다.
4. 본 발명의 단열 종이 용기는 상기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발포재료에 대하여 순간가열 발포 성형을 진행함으로써 상기 발포층의 형성시간을 1~5초 단축시킬 수 있으며 생산효율을 향상할 뿐만 아니라 불량률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조 프로세스 장치를 도시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완제품 또는 반제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조 프로세스 장치를 도시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완제품 또는 반제품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반제품을 도시한다.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완제품을 도시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종이 용기 외벽에 핫라인을 순간가열장치로써 이용하는 배치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종이 용기 외벽에 원적외선 램프를 순간가열장치로써 이용하는 배치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종이 용기 외벽에 열매질 유도 에너지원을 순간가열장치로써 이용하는 배치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종이 용기 내벽에 핫라인을 순간가열장치로써 이용하는 배치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종이 용기 내벽에 원적외선 램프를 순간가열장치로써 이용하는 배치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종이 용기 내벽에 열매질 유도 에너지원을 순간가열장치로써 이용하는 배치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종이 용기 내벽 및 외벽에 핫라인을 순간가열장치로써 이용하는 배치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종이 용기 내벽 및 외벽에 원적외선 램프를 순간가열장치로써 이용하는 배치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종이 용기 내벽 및 외벽에 열매질 유도 에너지원을 순간가열장치로써 이용하는 배치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 입자(1)에 접착제(2)(접착제는 지성의 폴리우레탄 레진(PU)이고 그 사용량은 폴리화합물재료 총 중량의 5%~20%를 차지한다)를 첨가하여 교반한(3) 후 폴리화합물재료를 형성하고 압출기(4)를 통해 가열 및 압출하여 박막(41)을 형성한다. 상기 박막(41)을 종이(6)에 표면 라미네이팅(5)하여 코팅시키고 라미네이팅 롤러(7)로 냉각 및 누름으로써 상기 종이(6)의 표면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 박막층(51)이 덮여지도록 한다. 또한 다른 한 면에는 스프레이(8), 롤링(8') 또는 컬러인쇄(8")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발포재료(80)를 도포하고 건조한 다음 감거나(60) 또는 반제품(61)으로 자른 후 다시 종이 용기(62)를 형성한다. 또는, 스프레이(8), 롤링(8') 또는 컬러인쇄(8")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발포재료(80)를 도포하고 건조한 다음 다시 발포재료(80)를 이미 형성된 종이 용기(62')의 외벽에 도포하고 상기 도포하는 발포재료(80)의 종류에 의해 순간가열발포 성형(H)에 필요한 온도를 선택한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 박막층(51)은 발포재료(80)가 가열발포 성형시 견딜 수 있는 온도가 200℃이상에 달함으로써 상기 도포하는 발포재료(80)가 순간 가열(H)하여 발포층(801)을 형성하는 발포 성형시간을 단축하며(도 2a에서와 같이), 또한 상기 종이 용기(62, 62')의 내벽에 덮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 박막층(51)이 파괴되지 않도록 하여 환경보호 및 무독성 안전효과를 달성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종이의 양면에 각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1, 1')에 접착제(2, 2')를 첨가하여 교반한(3, 3') 후 도 3에서와 같이 각각 압출기(4, 4')를 통과하여 박막(41, 41')을 표면라미네이팅(5, 5')하여 상기 반제품(61)의 양면에 코팅시켜 박막층(51, 51')을 형성하고 또 그 중의 한 면의 외벽에 발포재료(80)를 도포하는 동시에 건조시켜 다시 감거나(60) 반제품(61)으로 자른(도 4a) 후 다시 종이 용기(62)를 형성하거나(도4b 및 도 4c에서와 같이) 또는 직접 종이 용기(62')를 형성하거나(도4B 및 도 4C에서와 같이), 양면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1)이 코팅된 종이로 먼저 종이 용기(62)를 형성한 후, 종이 용기 표면에 직접 코팅될 수 없는 발포재료(80)를 제공함으로써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표면을 통해 서로 결합하고 가열 발포 성형(H)을 제공함으로써 형성된 발포층(801)이 내막을 파괴하지 않고 변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 및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이 용기(62, 62') 외벽에 도포한 발포재료(80)는 가열장치(9, 9')를 이용하여 상기 종이 용기(62)의 외벽(도 5a 내지 도 5c에서와 같이) 또는 내벽(도 6a 내지 도 6c에서와 같이)에 들어가도록 하여 상기 발포재료(80)가 직접 접촉 또는 가까운 거리에서 비접촉 또는 종이 용기(62, 62')의 내벽과 가까운 거리에서 비접촉하여 순간가열하고 열전도방식을 통해 종이 용기(62, 62')의 외벽의 발포재료(80)에 대해 순간발포 성형 한 후 발포층(801)을 형성하며 즉시 종이 용기(62, 62')와 가열장치(9, 9')를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종이 용기(62)의 발포층(801)이 빠른 속도로 발포 성형되도록 하여 생산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가열장치(9, 9')는 핫라인(91, 91')(도 5a와 도 6a에서와 같이), 원적외선 램프(92, 92)(도 5b와 도 6b에서와 같이) 또는 열매질 유도 에너지원(93, 93')(도 5c와 도 6c에서와 같이)을 설치할 수 있고 온도는 80 내지 200℃이상까지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가열장치(9, 9')의 가열위치는 상기 종이 용기(62)의 외벽의 형태 또는 내벽의 형태와 알맞게 제조하고 또한 상기 종이 용기(62)의 발포재료(80)의 외벽을 감싸 접촉 또는 가까운 거리의 비접촉 순간가열 발포 성형할 수 있고(도 5a 내지 도 5c에서와 같이) 또한 종이 용기(62)의 내벽에 위치하여 가까운 거리에서 비접촉으로 열을 전도함으로써 외벽의 발포재료(80)를 순간가열 발포 성형할 수 있고(도 6a 내지 도 6c에서와 같이) 형성된 발포층(801)이 내열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로 피복된 종이 용기(62, 62')의 내벽 또는 외벽의 박막층(51, 51')을 파괴하지 못하도록 한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장치(9, 9')는 종이 용기(62, 62')의 발포재료(80)의 외벽을 감싸고 동시에 종이 용기(62, 62')의 내벽에 위치할 수 있어 상기 발포재료(80)의 발포 성형효과를 더 빨리 향상시키며 생산효율을 향상시키는 목적을 달성하는 동시에 발포 성형의 균일도도 향상시킨다.
따라서 종이 용기(62, 62')의 발포재료(80)의 특성에 의하여 핫라인(91, 91')(도 5a와 도 6a에서와 같이), 원적외선 램프(92, 92')(도 5b와 도 6b에서와 같이) 또는 열매질 유도 에너지원(93, 93')(도 5c와 도 6c에서와 같이)을 가지는 상기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구성요소들을 서로 교대하면서 상기 종이 용기(62, 62')의 발포재료(80)에 대하여 순간가열 발포 성형을 진행함으로써 상기 발포층(801)의 형성시간을 1~5초 단축시킬 수 있으며 생산효율을 향상할 뿐만 아니라 불량률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9, 9')는 종이 용기 형성기 생산라인(기존 설비)의 종이 용기(62, 62')가 형성된 제일 마지막 단계 뒤에 설치할 수 있고 자동화 쾌속 생산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 입자
2: 접착제 3, 3': 교반 4, 4': 압출기
41, 41': 박막 5, 5': 표면 코팅
6: 종이 7, 7': 라미네이팅 롤러
51: 박막층 8: 스프레이 8': 롤링
8": 컬러인쇄 80: 발포재료 61: 반제품
62, 62': 종이 용기 H: 가열 발포 성형 801: 발포층
9, 9': 가열장치 91, 91': 핫라인 92, 92': 원적외선 램프
93, 93': 열매질 유도 에너지원

Claims (9)

  1. 종이의 한 면에 표면 라미네이팅하여 박막을 코팅시키고 다른 한 면에 스프레이, 롤링 또는 칼라인쇄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발포재료를 도포하고 건조한 다음 감은 후 반제품으로 자르고 다시 종이 용기를 형성하거나 또는 종이 용기를 투과성형한 후 발포재료를 종이 용기의 외벽에 도포하고 가열하여 발포재료가 상기 종이표면에서 직접 발포하게 함으로써 종이 용기의 외벽이 단열하는 효과를 달성하도록 하는 단열 종이 용기의 제조방법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 입자에 접착제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폴리화합물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폴리화합물재료를 압출기에 투과하여 가열 및 압출하여 박막을 형성하고 상기 박막을 종이의 표면에 코팅하여 종이 용기의 내벽으로 하는 단계;
    박막이 코팅된 종이를 라미네이팅 롤러로 냉각 및 라미네이팅하고,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종이 용기의 외벽의 상기 발포재료에 대해 접촉 또는 가까운 거리의 비접촉으로 순간가열하여 발포함으로써 상기 발포재료의 발포시간을 줄이고 균일도를 향상하며 고온가열로 인하여 상기 박막을 파괴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열 종이 용기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지성의 폴리우레탄 레진(PU)으로써 그 사용량은 폴리화합물재료 총 중량의 5%~20%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종이 용기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을 라미네이팅하여 종이의 두 개의 표면에 코팅하고, 그 중 어느 한 면의 외벽에 발포재료를 도포한 후 종이 용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종이 용기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발포 성형온도는 80 내지 200℃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종이 용기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발포 성형시간은 1~5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종이 용기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발포 성형은 가열장치를 상기 종이 용기 외벽에 감싸고 상기 발포재료를 직접 접촉 또는 가까운 거리에서 비접촉으로 순간 가열함으로써 상기 발포재료를 순간 쾌속 발포 성형한 후 상기 종이 용기와 가열장치를 분리시키거나,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종이 용기의 내벽에 들어가 상기 내벽과 가까운 거리에서 비접촉으로 순간가열을 진행함으로써 상기 외벽의 발포재료가 내벽이 열을 전달받아 순간 쾌속 발포 성형 한 후 상기 종이 용기와 가열장치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종이 용기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의 내벽은 상기 종이 용기의 외벽의 형태와 대응되게 제조하여 상기 종이 용기의 발포재료의 외벽을 감쌀 수 있거나, 상기 가열장치의 외벽을 상기 종이 용기의 내벽의 형태와 대응되게 제조하여 상기 종이 용기의 내벽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종이 용기의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에는 핫라인, 원적외선 램프 및 열매질 유도 에너지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종이 용기의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종이 용기 형성기 생산라인의 종이 용기가 형성된 제일 마지막 단계 뒤에 설치되어 상기 종이 용기가 자동으로 외벽을 감싸거나 내벽에 들어가거나 또는 동시에 내벽 및 외벽을 감싸거나 들어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종이 용기의 제조방법.
KR1020117004012A 2008-08-28 2008-10-23 단열 종이 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12076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810147548A CN101659120B (zh) 2008-08-28 2008-08-28 隔热纸容器的制备方法及其产品
CN200810147548.3 2008-08-28
PCT/CN2008/001788 WO2010022548A1 (zh) 2008-08-28 2008-10-23 隔热纸容器的制备方法及其产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297A KR20110033297A (ko) 2011-03-30
KR101207698B1 true KR101207698B1 (ko) 2012-12-03

Family

ID=41720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012A KR101207698B1 (ko) 2008-08-28 2008-10-23 단열 종이 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8585946B2 (ko)
EP (1) EP2330054B1 (ko)
JP (1) JP5444351B2 (ko)
KR (1) KR101207698B1 (ko)
CN (1) CN101659120B (ko)
AU (1) AU2008361251B2 (ko)
BR (1) BRPI0822739A2 (ko)
CA (1) CA2735010C (ko)
CO (1) CO6351767A2 (ko)
DK (1) DK2330054T3 (ko)
EA (1) EA201170232A1 (ko)
ES (1) ES2540758T3 (ko)
HU (1) HUE025616T2 (ko)
MX (1) MX2011002180A (ko)
MY (1) MY154704A (ko)
NZ (1) NZ591270A (ko)
PL (1) PL2330054T3 (ko)
PT (1) PT2330054E (ko)
SI (1) SI2330054T1 (ko)
UA (1) UA104296C2 (ko)
WO (1) WO20100225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42475A (zh) * 2010-09-30 2012-05-09 宏基淋膜纸业有限公司 纸包材及其制成的纸容器
CN102717574A (zh) * 2012-06-15 2012-10-10 杨碧清 一种可以承载液体的保温复合纸容器
CN104416707B (zh) * 2013-08-20 2017-04-12 张静文 纸容器发泡装置
WO2015024199A1 (zh) * 2013-08-20 2015-02-26 Chang Ching-Wen 纸容器发泡装置
WO2015024197A1 (zh) * 2013-08-20 2015-02-26 Chang Ching-Wen 纸容器发泡装置
WO2015024192A1 (zh) * 2013-08-20 2015-02-26 Chang Ching-Wen 纸容器发泡装置
WO2015024246A1 (zh) * 2013-08-23 2015-02-26 Chang Ching-Wen 具隔热表层的容器的制法
WO2016000202A1 (zh) * 2014-07-01 2016-01-07 张开有 具滤网的容器及热结合装置
HK1247034A2 (zh) * 2018-05-04 2018-09-14 Shun Ming Daniel Wong 含有可氧化生物降解材料的一次性容器
US20210387446A1 (en) * 2018-09-21 2021-12-16 Kai-Yu Chang Paper container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7210244B2 (ja) * 2018-11-29 2023-01-23 東京インキ株式会社 マイクロ波発泡積層体、マイクロ波発泡包装体およびマイクロ波発泡包装体の製造方法
FR3099077B1 (fr) * 2019-07-23 2022-06-10 Gaztransport Et Technigaz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paroi pour une cuve é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1046A1 (en) 1999-08-23 2002-04-11 Fort Jam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heat-insulative foamed layer containers and making a web of heat-insulative foamed layer material
US20070166468A1 (en) 2006-01-13 2007-07-19 Rich Cup Bio-Chemical Technology Co., Ltd. Method to make vessel with heat insulation surface layer
KR100821164B1 (ko) 2007-11-06 2008-04-14 문홍주 단열용 커버재 및 단열용 커버재의 제조공정
JP2008105747A (ja) 2006-09-29 2008-05-08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紙製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8615A (en) * 1967-05-09 1972-04-25 Owens Illinois Inc Two-piece plastic containers having foamed thermoplastic side wal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060577A (en) * 1976-02-11 1977-11-29 Maryland Cup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seamless foam plastic cups from expandable sidewall blanks
US5127815A (en) * 1989-10-31 1992-07-07 Sekisui Kaseihin Kogyo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forming finished cups of expanded resin
JPH07100505B2 (ja) * 1992-09-22 1995-11-01 本州製紙株式会社 断熱性を有する紙容器の製造方法
JP2824895B2 (ja) * 1993-12-22 1998-11-18 株式会社日本デキシー 断熱性紙製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US5993705A (en) * 1997-05-30 1999-11-30 Fort James Corporation Methods for conveying containers through an oven to produce heat-insulative foamed layers therethrough
US6139665A (en) * 1998-03-06 2000-10-31 Fort James Corporation Method for fabricating heat insulating paper cups
US6852381B2 (en) * 2001-06-18 2005-02-08 Appleton Papers, Inc. Insulated beverage or food container
JP2004018101A (ja) * 2002-06-20 2004-01-22 Dainippon Printing Co Ltd 紙カ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540964C (en) * 2003-10-03 2012-12-11 Grupo Convermex, S.A.De C.V.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labeled, plastic foam containers, and product of same
JP4801408B2 (ja) * 2005-09-30 2011-10-26 東罐興業株式会社 カップ状紙容器
TWI271364B (en) 2005-12-13 2007-01-21 Rich Cup Bio Chemical Technolo Improved manufacturing method for paper container with heat insulating surface
CN100594111C (zh) * 2006-01-10 2010-03-17 晋溢生化科技股份有限公司 具隔热表层的容器制法
CN101249732A (zh) * 2008-04-11 2008-08-27 张锡卿 容器杯的制法及其结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1046A1 (en) 1999-08-23 2002-04-11 Fort Jam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heat-insulative foamed layer containers and making a web of heat-insulative foamed layer material
US20070166468A1 (en) 2006-01-13 2007-07-19 Rich Cup Bio-Chemical Technology Co., Ltd. Method to make vessel with heat insulation surface layer
JP2008105747A (ja) 2006-09-29 2008-05-08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紙製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21164B1 (ko) 2007-11-06 2008-04-14 문홍주 단열용 커버재 및 단열용 커버재의 제조공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54704A (en) 2015-07-15
KR20110033297A (ko) 2011-03-30
ES2540758T3 (es) 2015-07-13
EP2330054A4 (en) 2012-03-21
EP2330054B1 (en) 2015-04-29
WO2010022548A1 (zh) 2010-03-04
PT2330054E (pt) 2015-07-30
DK2330054T3 (da) 2015-06-22
CN101659120A (zh) 2010-03-03
CA2735010A1 (en) 2010-03-04
AU2008361251A1 (en) 2010-03-04
CO6351767A2 (es) 2011-12-20
MX2011002180A (es) 2011-03-30
AU2008361251B2 (en) 2013-07-18
EA201170232A1 (ru) 2011-10-31
US8585946B2 (en) 2013-11-19
CN101659120B (zh) 2012-09-05
HUE025616T2 (en) 2016-04-28
BRPI0822739A2 (pt) 2015-06-23
UA104296C2 (ru) 2014-01-27
SI2330054T1 (sl) 2015-08-31
NZ591270A (en) 2013-07-26
CA2735010C (en) 2014-01-21
US20110152049A1 (en) 2011-06-23
PL2330054T3 (pl) 2015-09-30
JP5444351B2 (ja) 2014-03-19
EP2330054A1 (en) 2011-06-08
JP2012500734A (ja)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698B1 (ko) 단열 종이 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US10449723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composite material
CN105396771B (zh) 一种易撕盖铝箔的制备方法
CA11199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laminated structure
KR102173380B1 (ko)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발포시트, 그 제조 방법, 성형품 및 상기 성형품의 제조 방법
CN103764300A (zh) 用于涂覆导电线材的装置
KR100908008B1 (ko) 발포시트 제조방법
KR101703894B1 (ko) 핫멜트 필름을 이용한 자동차 내장용 표피제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EP1002642B1 (en) Laminator
US6827894B1 (en) Process for forming composite insulator
CN106120148B (zh) 一种热成型保温吸音棉的制备方法
EP3131756B1 (en) A method of producing a heat-resistent polymer-coated oven board, an oven board obtainable by the method, a food tray and a food package
TWI326667B (ko)
KR20060021127A (ko) 복합기능성 방음보온단열판넬 및 그 제조방법
CN204936120U (zh) 稳态管制造设备
US20170259489A1 (en) Method for hot-forming a thermoplastic material and implementation facility
KR100564675B1 (ko) 식품 포장용 포장지 제조 방법
US9076350B2 (en) Food container for microwave use
KR100405295B1 (ko) 포장지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포장지와 포장용포대
WO2004070248A2 (en) Method and system to produce multilayered composite pipe
KR102600566B1 (ko) 생분해가 가능한 보온보냉파우치의 제조방법.
SU833911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теплоизол цион-НыХ издЕлий
CN116572540A (zh) 一种铝塑热复合膜生产设备及工艺
CN111976175A (zh) 电池用铝塑膜的制备方法及其铝塑膜
JPH02158320A (ja) 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