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196B1 - 모터 사이클 및 이를 위한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모터 사이클 및 이를 위한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196B1
KR101207196B1 KR1020100082542A KR20100082542A KR101207196B1 KR 101207196 B1 KR101207196 B1 KR 101207196B1 KR 1020100082542 A KR1020100082542 A KR 1020100082542A KR 20100082542 A KR20100082542 A KR 20100082542A KR 101207196 B1 KR101207196 B1 KR 101207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socket
vehicle
lens
bul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2541A (ko
Inventor
다카시 스마다
도모노리 하야시
데츠 호리우치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97095A external-priority patent/JP52386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97094A external-priority patent/JP5235179B2/ja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22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using immovably-mounted light sources, e.g. fixed flashin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9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built in the vehicle body
    • B60Q1/2623Details of the fastening means
    • B60Q1/2626Screw-nut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9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built in the vehicle body
    • B60Q1/2638Positioning the device housing by indexing means separate from the fastening means, e.g. pins,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5Direction indicators
    • B62J6/055Electrical means, e.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3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 F21S41/331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the reflector consisting of complete annular areas
    • F21S41/333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the reflector consisting of complete annular areas with discontinuity at the junction between adjacent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모터 사이클은, 시트와, 차량의 후측을 향해 갈수록 폭이 점차 줄어들도록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시트의 하측의 주위를 덮는 사이드 커버를 포함한다. 리어 윙커는 상기 사이드 커버의 차폭 방향의 좌측 및 우측 부분에 장착된다. 각 리어 윙커는 상기 사이드 커버에 장착되는 베이스 부재와, 벌브, 그리고 이 벌브를 덮는 렌즈를 포함한다. 좌우의 리어 윙커는 상기 사이드 커버에 마련된 오목부에 배치된다. 좌우의 리어 윙커 각각은, 차량의 상측으로부터 바라본 벌브의 축선을 포함하는 평단면도에서, 상기 렌즈가 상기 사이드 커버의 곡면과 겹치지 않도록 거의 전체적으로 상기 오목부로부터 노출되는 방식으로, 상기 사이드 커버에 장착된다.

Description

모터 사이클 및 이를 위한 차량용 램프{MOTORCYCLE AND LAMP FOR VEHICLE THEREFOR}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9년 8월 27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9-197095호와 2009년 8월 27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9-197094호를 35 USC 119에 따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들 특허 출원의 내용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방향 지시등을 구비한 모터 사이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원형의 오목부가 각 리어 사이드 커버에 마련되어 있고 이 오목부에 방향 지시등이 배치되어 있는 모터 사이클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3877824호를 참조하라. 일본 특허 제3877824호에서는, 방향 지시등이 오목부의 후단보다도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모터 사이클은 이하의 문제점을 갖는다. 방향 지시등이 오목부에 배치되고 리어 사이드 커버에 근접 배치되므로, 방향 지시등의 리어 사이드 커버로부터의 돌출감을 없애고 리어 사이드 커버에 일체적인 외관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지만, 방향 지시등이 경량으로 그리고 컴팩트하게 만들어진다면, 방향 지시등의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좌측에 배치된 방향 지시등을 차량의 우측 후방으로부터 바라보는 경우에는, 방향 지시등이 오목부 내에 가려져, 차량 좌측의 방향 지시등의 시인성을 확보하기가 곤란해진다. 따라서, 방향 지시등이 경량이고 컴팩트하더라도, 방향 지시등의 시인성을 확보하면서, 차량의 외관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플렉터에 배치된 소켓에 벌브를 사전에 조립함으로써 유닛화되는 종래의 차량용 램프에 대한 구성도 공지되어 있다. 벌브를 리테이너 클립에 의해 리플렉터에 고정하여, 벌브 및 소켓을 리플렉터에 장착한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71723호를 참조하라.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차량용 램프에서는, 벌브 및 소켓을 리플렉터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로서 리테이너 클립을 필요로 하여, 구성 부품의 수가 증가된다. 따라서, 조립성 및 유지 보수성에 관한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은, 모터 사이클에 있어서, 소형의 방향 지시등이 적용될 수 있고, 방향 지시등의 시인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차량의 외관성이 향상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와, 차량의 후측을 향해 갈수록 폭이 점차 줄어들도록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시트의 하측의 주위를 덮는 바디 커버, 그리고 이 바디 커버의 차폭 방향의 좌측 및 우측 부분에 장착되는 방향 지시등을 포함하고, 각 방향 지시등은 바디 커버에 장착되는 베이스 부재와, 광원, 그리고 이 광원을 덮는 렌즈를 포함하는 것인 모터 사이클이 제공된다. 좌우의 방향 지시등은 바디 커버에 마련된 오목부에 배치되며, 이 경우에 좌우의 방향 지시등 각각은, 차량의 상측으로부터 바라본 광원의 축선을 포함하는 평단면도에서, 렌즈가 바디 커버의 곡면과 겹치지 않도록 거의 전체적으로 오목부로부터 노출되는 방식으로, 바디 커버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각 방향 지시등이 오목부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렌즈의 거의 모든 부분이 광원의 축선을 포함하는 평단면도에서 바디 커버와 겹치지 않고, 렌즈가 바디 커버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게 되는 일은 없다. 그 결과, 방향 지시등과 바디 커버가 일체감을 갖도록 방향 지시등을 오목부에 배치함으로써, 방향 지시등의 시인성이 확보될 수 있고, 소형의 방향 지시등이 채용될 수 있으며, 차량의 외관성이 향상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렌즈의 거의 전체가 오목부로부터 노출되므로, 각 방향 지시등의 시인성, 예를 들어 차량의 우측 후방에서 바라본 좌측의 방향 지시등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에서, 베이스 부재는, 바디 커버에 장착하는 베이스부와, 광원 및 리플렉터를 수용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하고, 베이스부 및 케이스부의 일부가 오목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베이스부 및 케이스부의 일부가 오목부에 배치되므로, 베이스부 및 케이스부가 눈에 잘 띄지 않도록, 베이스부 및 케이스부의 바디 커버로부터의 돌출량을 억제함으로써, 각 방향 지시등을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방향 지시등을 진흙, 작은 돌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방향 지시등의 모든 부분이 바디 커버의 차폭 방향의 최대 폭에 대해 내측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렌즈 및 베이스 부재가 바디 커버의 오목부로부터 노출되는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방향 지시등은 바디 커버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 또는 렌즈를 케이스부에 고정하는 체결 부재가 마련될 수 있고, 이 체결 부재는 오목부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체결 부재는 오목부로부터 노출되므로, 방향 지시등이 바디 커버의 오목부에 배치되는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체결 부재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으며, 방향 지시등의 유지 보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체결 부재는 방향 지시등의 하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체결 부재는 방향 지시등의 하면에 체결되고, 이에 따라 체결 부재가 차량의 외측으로부터 보기 어려운 위치에 마련되므로, 방향 지시등의 외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와 렌즈는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케이스부와 리플렉터는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리플렉터와 렌즈는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일체화되므로, 방향 지시등이 바디 커버의 오목부에 배치되더라도, 리플렉터의 유효 반사면이 충분하게 확보될 수 있으며, 방향 지시등의 충분한 시인성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방향 지시등이 바디 커버의 오목부에 배치되는 경우에, 방향 지시등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리플렉터 및 방향 지시등을 대형화할 필요가 없으며, 외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오목부는 베이스부를 수용하는 제1 오목부와, 케이스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2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오목부와 제2 오목부는 베이스부와 케이스부의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 오목부와 제2 오목부는 베이스부와 케이스부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므로, 제1 오목부와 제2 오목부의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고, 이로써 오목부를 보기가 어려워지며, 그 결과 차량의 외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바디 커버의 일부를 차량의 바깥쪽으로 팽출시킨 팽출부가, 제1 오목부의 후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렌즈만을 바디 커버의 곡면으로부터 떨어져 있게 할 수 있어, 방향 지시등의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사이클에서는, 각 방향 지시등이 오목부에 배치되더라도, 렌즈의 거의 모든 부분이 광원의 축선을 포함하는 평단면도에서 바디 커버와 겹치지 않는다. 따라서, 렌즈가 바디 커버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게 되는 일은 없을 것이다. 그 결과, 방향 지시등과 바디 커버가 일체감을 갖도록 방향 지시등을 오목부에 배치함으로써, 방향 지시등의 시인성이 확보될 수 있고, 소형의 방향 지시등이 채용될 수 있으며, 차량의 외관이 향상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렌즈의 거의 모든 부분이 오목부로부터 노출되므로, 각 방향 지시등의 시인성, 예를 들어 차량의 우측 후방에서 바라본 좌측의 방향 지시등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 및 케이스부의 일부가 오목부에 배치되므로, 베이스부 및 케이스부가 눈에 잘 띄지 않도록, 베이스부 및 케이스부의 바디 커버로부터의 돌출량을 억제함으로써, 각 방향 지시등을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방향 지시등을 진흙, 작은 돌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렌즈 및 베이스 부재가 바디 커버의 오목부로부터 노출되더라도, 방향 지시등은 바디 커버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체결 부재는 오목부로부터 노출되므로, 체결 부재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어, 방향 지시등의 유지 보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체결 부재는 차량의 외측으로부터 보기 어려운 곳인 방향 지시등의 하면에 마련되므로, 방향 지시등의 외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와 렌즈는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일체화되므로, 리플렉터의 유효 반사면이 충분하게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방향 지시등이 바디 커버의 오목부에 배치되는 경우에, 방향 지시등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리플렉터 및 방향 지시등을 대형화할 필요가 없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오목부와 제2 오목부는 베이스부와 케이스부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므로, 제1 오목부와 제2 오목부의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고, 오목부는 보기 어려워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차량의 외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렌즈만을 바디 커버의 곡면으로부터 떨어져 있게 할 수 있어, 방향 지시등의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에 대해, 구성 부품의 수를 줄여서, 조립성과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벌브와, 벌브 삽입용 관통 구멍이 형성된 리플렉터, 그리고 벌브 지지용 소켓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리플렉터의 후측의 외측면에 있어서, 관통 구멍의 주위에, 리플렉터와 일체로 성형되는 리플렉터 맞물림부가 마련되고, 소켓에는 리플렉터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소켓 맞물림부가 마련되는 것인 차량용 램프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리플렉터와 일체로서 성형되는 리플렉터 맞물림부가 소켓의 소켓 맞물림부에 직접 부착된다. 따라서, 소켓을 리플렉터에 고정시키기 위한 전용 고정 부재가 불필요해져서, 구성 부품의 수가 줄어들 수 있고, 조립성 및 유지 보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 맞물림부는 리플렉터의 후측의 외측면에 형성되므로, 리플렉터 맞물림부는 리플렉터의 반사를 방해하지 않을 것이며, 그 결과 리플렉터의 반사 면적의 감소가 방지될 수 있고, 리플렉터를 대형화하지 않고서도, 발광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램프를 소형화하면서, 리플렉터의 충분한 발광 면적과 충분한 조사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벌브와 소켓을 일체로 조립한 상태에서, 리플렉터의 후측으로부터 벌브를 삽입 구멍에 삽입하여, 리플렉터의 오목부 내에 배치할 수 있고, 소켓 맞물림부를 리플렉터 맞물림부에 끼워 맞출 수 있으며, 소켓을 회동시켜 소켓 맞물림부와 리플렉터 맞물림부를 서로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벌브가 조립되어 있는 소켓의 소켓 맞물림부가 리플렉터 맞물림부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소켓을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벌브 및 소켓을 리플렉터에 고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립성 및 유지 보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의 후측의 외측면에 있어서 관통 구멍의 주위에, 관형의 리플렉터 관형부가 리플렉터에 마련될 수 있고, 리플렉터 맞물림부가 리플렉터의 관형부의 외주벽에 마련될 수 있으며; 소켓은 벌브를 지지하는 제1 관형부와, 제1 관형부의 외주측에 제2 관형부를 구비할 수 있고, 제2 관형부의 내주벽에 소켓 맞물림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리플렉터 관형부의 외주벽에는 리플렉터 맞물림부가 마련되고 리플렉터 맞물림부는 제2 관형부의 내주벽에 있는 소켓 맞물림부와 맞물리므로, 리플렉터 관형부의 관통 구멍의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고, 리플렉터의 반사 면적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으며, 발광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관형부의 외주측에서 제2 관형부의 내주벽에 소켓 맞물림부가 마련되므로, 벌브를 지지하는 제1 관형부의 크기를 확보하면서, 소켓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관형부와 제2 관형부는 내측과 외측에 동축 형태로 마련되므로, 벌브의 유지와 소켓의 리플렉터와의 맞물림도 또한 동축 관계로 이루어질 수 있고, 벌브는 양호한 위치 정확성을 갖고서 리플렉터에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소켓의 후측 단부에는 제1 관형부와 제2 관형부에 의해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고, 이 단차부에 벌브 단자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소켓의 후측 단부에 형성된 단차부에 벌브 단자가 배치되므로, 소켓의 전후 방향의 크기 감소가 도모될 수 있고, 램프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 맞물림부 및 소켓 맞물림부가 돌출부와 이 돌출부와 맞물리는 절취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절취부는 돌출부의 통과를 허용하는 통로부와,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리플렉터 관형부와 소켓 사이에 밀봉 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밀봉 부재에서 발생한 탄성에 의해 수용부에 유지되는 것인,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리플렉터 관형부와 소켓 사이에 마련된 밀봉 부재를 이용하여, 돌출부를 수용부에 유지시키고, 이에 의해 소켓과 리플렉터를 서로 맞물리게 할 수 있으므로, 구송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돌출부가 밀봉 부재의 탄성에 의해 수용부에 유지될 수 있으므로, 소켓과 리플렉터는 강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의 반사면을 덮는 렌즈가 마련될 수 있고, 리플렉터와 렌즈는 서로에 대해 부착 및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렌즈와 리플렉터는 나사 등과 같은 임의의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예를 들어 접착제를 이용해 또는 용착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부착 및 고정될 수 있으므로, 고정구에 의해 리플렉터의 발광 면적이 감소되는 일은 없어지며, 리플렉터의 발광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모터 사이클일 수 있고, 램프는 방향 지시등(윙커)일 수 있으며, 방향 지시등은 모터 사이클의 바디 커버에 형성된 오목부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모터 사이클에 있어서, 램프는 차량의 외관에 큰 영향을 미치며,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모터 사이클의 램프는 제3자로부터의 시인성을 충분하게 실현하는 것이 요구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리플렉터의 충분한 발광 면적과 충분한 조사 면적을 확보하면서, 램프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 사이클의 바디 커버에 마련된 오목부에 방향 지시등이 배치되는 구성에서는, 방향 지시등의 양호한 시인성이 확보되고, 램프가 차량의 외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는, 리플렉터와 일체로서 성형되는 리플렉터 맞물림부가 소켓의 소켓 맞물림부에 직접 부착된다. 이로써, 전용 고정 부재의 필요성이 없어질 수 있고, 구성 부품의 수가 줄어들 수 있으며, 조립성 및 유지 보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 맞물림부는 리플렉터의 후측의 외측면에 형성되므로, 리플렉터 맞물림부는 리플렉터에서의 반사를 방해하지 않을 것이며, 그 결과 리플렉터의 반사 면적의 감소가 없어질 수 있고, 리플렉터를 대형화하지 않고서도, 발광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램프를 소형화하면서, 리플렉터의 충분한 발광 면적과 충분한 조사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소켓 맞물림부를 리플렉터 맞물림부에 끼워 맞춰, 소켓을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벌브 및 소켓을 리플렉터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고, 조립성 및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리플렉터 관형부의 외주벽에는 리플렉터 맞물림부가 마련되고 리플렉터 맞물림부가 제2 관형부의 내주벽에 있는 소켓 맞물림부와 맞물리므로, 리플렉터 관형부의 관통 구멍의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리플렉터의 반사 면적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발광 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관형부의 외주측에서 제2 관형부의 내주벽에 소켓 맞물림부가 마련되므로, 벌브를 지지하는 제1 관형부의 크기를 확보하면서, 소켓을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관형부와 제2 관형부는 내측과 외측에 동축 형태로 마련되므로, 벌브의 유지와 소켓의 리플렉터와의 맞물림이 동축 관계로 이루어지고, 그 결과 벌브는 리플렉터에 대하여 양호한 위치 정확성을 갖고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소켓의 후측 단부에 있는 단차부에 벌브 단자가 배치되므로, 소켓의 전후 방향의 크기 감소가 실현될 수 있고, 램프가 보다 소형화될 수 있다.
또한, 밀봉 부재를 이용해 돌출부를 수용부에 유지시키면서, 소켓과 리플렉터를 서로 맞물리게 할 수 있으므로, 구성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돌출부가 밀봉 부재의 탄성에 의해 수용부에 유지될 수 있으므로, 소켓과 리플렉터는 강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렌즈와 리플렉터는 나사 등과 같은 임의의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고서 부착 및 고정되므로, 고정구의 존재로 인하여 리플렉터의 발광 면적이 감소되는 일은 없어질 수 있고, 리플렉터의 발광 면적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모터 사이클용 램프에서는, 충분한 발광량을 확보하면서,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 사이클의 바디 커버에 마련된 오목부에 방향 지시등이 배치되는 구성에서는, 방향 지시등의 시인성이 향상되고, 방향 지시등이 차량의 외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용 가능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 있는 여러 변경 및 수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므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특정예는 단지 예시로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단지 예로서 주어지며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첨부 도면을 통해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소형의 방향 지시등을 적용할 수 있으면서도, 방향 지시등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고, 차량의 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모터 사이클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차량 좌측에 있는 리어 윙커를 위에서 바라본 평단면도이다.
도 3은 차량 좌측에 있는 리어 윙커를 차량 좌측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차량 좌측에 있는 리어 윙커를 위에서 바라본 분해 평면도이다.
도 5는 리어 윙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차량 좌측에서 바라본 리플렉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리어 윙커의 후단측에서 바라본 리플렉터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리어 윙커의 전단측에서 바라본 소켓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리어 윙커의 후단측에서 바라본 소켓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제2 관형부의 내주측에서 바라본 소켓 맞물림부의 도면이다.
도 11은 차량 좌측의 사이드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2의 선 ⅩⅡ-ⅩⅡ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사이클을 도면을 참조로 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하, 전후 및 좌우의 방향은 운전자로부터 바라본 방향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모터 사이클의 좌측면도이다. 모터 사이클(10)은, 바디 프레임(11)과, 바디 프레임(11)의 앞쪽 부분에 있는 헤드 파이프(11a)에 장착되는 프론트 포크(12)와, 프론트 포크(12)의 하단에 장착되는 전륜(13)과, 프론트 포크(12)에 연결되는 핸들바(14)와, 바디 프레임(11)의 후부에 상하로 스윙 가능하게 장착되는 파워 유닛(15)과, 파워 유닛(15)의 후부에 장착된 후륜(16)과, 파워 유닛(15)의 후단부와 바디 프레임(11)의 후부 사이에 걸쳐 배치된 리어 쇽업소버 유닛(17)과, 바디 프레임(11)의 후측 상부에 장착된 수납 박스(18), 그리고 수납 박스(18)의 상측에 배치되며 수납 박스(18)를 개폐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시트(19)를 주 구성 요소로서 포함하는 스쿠터 타입의 모터 사이클이다.
파워 유닛(15)은, 앞쪽 부분에 있는 수냉식 엔진(21)과 뒤쪽 부분에 있는 동력 전달 기구(22)로 구성된다. 엔진(21)은, 그 실린더 헤드가 전방을 향해 있는 상태로,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또한, 모터 사이클(10)의 바디 프레임(11)은 바디 커버(30)로 덮혀 있다. 바디 커버(30)는, 헤드 파이프(11a)의 앞쪽 부분을 덮는 프론트 커버(31)와, 운전자의 다리의 앞쪽을 덮는 레그 쉴드(32)와, 운전자의 발을 올려놓는 스텝 플로어(33)와, 스텝 플로어(33)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플로어 사이드 커버(34)와, 플로어 사이드 커버(34)의 하측 가장자리 사이의 공간을 덮는 언더 커버(35)와, 수납 박스(18)의 전반부의 주위를 덮는 시트 하부 커버(36)와, 수납 박스(18)의 후반부의 주위와 차체의 후부를 덮는 리어 커버(37), 그리고 시트 하부 커버(36)에 연속하여 후방으로 연장되고 리어 커버(37)에 연결되는 좌우의 사이드 커버(38)(차체 커버)를 포함한다. 좌우의 사이드 커버(38)는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으로서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시트(19)의 하측의 공간 주위를 덮는다.
레그 쉴드(32)의 내측에는 점화 키 실린더(41)가 배치되고, 스텝 플로어(33)의 아래에는 연료 탱크(42) 및 연료 펌프(43)가 배치된다. 바디 프레임(11)의 후부의 상단부에는 트레이(도시 생략됨)가 마련된다. 이 트레이에는 라디에이터용 저장 탱크(44), 배터리(45) 및 제어 유닛(46)이 배치된다.
또한, 핸들바(14)의 중앙부는 핸들바 프론트 커버(56F)와 핸들바 리어 커버(56R)로 덮이고, 핸들바 리어 커버(56R)에는 차폭 방향으로 좌우 한 쌍을 이루어 배열된 프론트 윙커(55)가 설치된다.
사이드 커버(38)의 후부의 차폭 방향 중앙에는 테일 램프(9)가 마련되고, 사이드 커버(38)에 연속하여 후륜(16)의 상측을 덮는 리어 휀더(8)가 테일 램프(9)의 하측에 장착된다. 리어 휀더(8)에 번호판(7)이 부착된다.
또한, 테일 램프(9)보다 앞쪽에는, 차폭 방향으로 좌우 한 쌍을 이루어 배열된 방향 지시등으로서의 리어 윙커(60)가 좌우의 사이드 커버(38)에 각각 부착된다. 리어 윙커(60)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발광면이 차량의 후측을 향해 있는 상태로 배치된다.
도 1에는, 핸들 그립(23), 브레이크 바(24), 계기(25), 미러(26), 헤드 램프(27), 경적(28), 프론트 휀더(29), 파워 유닛 장착 행거(21A), 엔진 시동용 킥 페달(47), 에어 클리너(48), 카뷰레터(49), 엔진 냉각용 라디에이터(57), 엔진용 배기관(58), 배기용 머플러(59), 메인 스탠드(39), 캐리어(54) 및 헬멧(He)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 2는 차량 좌측에 있는 리어 윙커(60)를 위에서 바라본 평단면도이다. 도 3은 차량 좌측에 있는 리어 윙커(60)를 차량 좌측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차량 좌측에 있는 리어 윙커(60)를 위에서 바라본 분해 평면도이다. 도 5는 리어 윙커(60)의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리어 윙커(60)는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되고, 좌우의 리어 윙커(60)는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 좌측에 있는 리어 윙커(60)를 설명할 것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윙커(60)는, 중공의 반타원구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 부재(61)의 일단부에 있어서 개구를 덮는 거의 반구 형상의 렌즈(62)가 베이스 부재(61)에 부착되어 등실(63)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는다.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광원으로서의 벌브(64)와, 벌브(64)를 지지하는 소켓(70)과, 소켓(70)의 후부를 덮는 방수 커버(65), 그리고 벌브(64)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마련된 리플렉터(90)가, 등실(63)에 수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윙커(60)는, 차체의 좌측면에서 돌출하도록 사이드 커버(38)에 고정되고, 리어 윙커(60)의 전단에 마련된 발광면으로서의 렌즈(62)가 차량의 후측을 향해 있도록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어 윙커(60)는, 리어 윙커(60)의 전단 부분에 있는 렌즈(62)가 차량의 후측을 향해 있고, 차량의 후측으로부터 보여질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렌즈(62) 측을 리어 윙커(60)의 전측이라 하고, 베이스 부재(61) 측을 리어 윙커(60)의 후측이라 한다.
벌브(64)는, 소켓(70)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지지되는 통부(64A)와, 통부(64A)로부터 리어 윙커(60)의 전단측을 향해 연장되며 필라멘트를 갖는 발광부(64B)를 포함한다. 벌브(64)의 중심을 통과하며 후방으로 연장되는 광축(C)은 리어 윙커(60)의 광축과 일치한다. 통부(64)의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볼록부(64C)가 통부(64A)의 2곳에 마련되어 있다.
소켓(70)은, 통부(64A)에 끼워 맞추어 벌브(64)를 지지하는 제1 관형부(71)와, 제1 관형부(71)의 외주측에 원기둥 형상으로 형상된 제2 관형부(72)를 구비한다. 제1 관형부(71)와 제2 관형부(72)는 일체로 형성되고, 동축으로 마련된다. 제1 관형부(71)에는 통부(64A) 삽입용의 관통 구멍(73)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구멍(73)은 그 내주면에, 벌브(64)의 볼록부(64C)와 맞물리는 맞물림 홈(73A)이 마련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관형부(72)는, 소켓(70)의 전단측에서 제1 관형부(71)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소켓(70)은 합성 수지로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관형부(72)는 그 후단측에, 제1 관형부(71)의 외주면의 위로 돌출하는 돌출부(74)가 마련된다. 돌출부(74)는 제1 관형부(71)의 외주면에 있어서 대향하는 2곳에 마련되어 있고, 각 돌출부(74)와 제1 관형부(71)의 사이에는 중공의 단자 수용부(75)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수용부(75)는 그 후단측에 개구(75A)가 마련되어 있고, 벌브(64)에 접속되는 단자가 개구(75A)를 통해 단자 수용부(75)에 수용된다.
통부(64A)의 외주면과 접촉하게 되는 마이너스 단자(51)가 일측의 단자 수용부(75)에 수용되는 한편, 통부(64A)의 후단과 접촉하게 되는 플러스 단자(52)가 타측의 단자 수용부(75)에 수용된다. 소켓(70)의 후단에는, 후단부를 우묵하게 함으로써 형성되는 단자 홈(76)이 마련되고, 마이너스 단자(51) 및 플러스 단자(52)는 단자 홈(76)을 지나, 각 단자 수용부(75)의 내부로 통해 관통 홈(73) 안으로 연장되어, 통부(64A)에 각각 전기 접속된다.
마이너스 단자(51)는 관통 홈(73)의 내면에 형성된 홈부(73B)를 통해 소켓(70)의 전단측으로 연장된다. 플러스 단자(52)는 통부(64A)의 후단과 접촉을 이루도록 구부러져 있고, 플러스 단자(52)의 탄성이 벌브(64)를 전단측을 향해 압박한다. 다시 말하자면, 벌브(64)는, 볼록부(64C)가 맞물림 홈(73A)과 맞물린 상태에서, 플러스 단자(52)에 의해 전단측을 향해 압박됨으로써, 소켓(70)에 고정된다. 조립 시에, 볼록부(64C)는 맞물림 홈(73A)과 맞물리고, 이에 의해 벌브(64)와 소켓(70)은 사전에 서로 조립되어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자 수용부(75)의 내부의 후단측에는, 제1 관형부(71)를 반경방향으로 한 단계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 후크부(77)가 형성된다. 마이너스 단자(51)와 플러스 단자(52)는 각각 클로부(51A 및 52A)를 구비하고, 클로부(51A 및 52A)가 후크부(77)에 걸려서, 마이너스 단자(51)와 플러스 단자(52)가 단자 수용부(75)의 내에 고정된다.
또한, 제2 관형부(72)의 돌출부(74)는 제1 관형부(71)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이에 의해 돌출부(74)의 후단측에는 제2 관형부(72)의 내주측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단차부(78)가 형성되어 있다. 마이너스 단자(51)와 플러스 단자(52)는 단차부(78)의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 단자부(51B 및 52B)(벌브 단자)를 각각 구비하고, 마이너스 단자(51) 및 플러스 단자(52)를 바디 프레임(11)측에 마련된 제어 회로(도시 생략)에 접속하는 배선(66)이 단자부(51B 및 52B)에 각각 접속된다. 이와 같이 소켓(70)의 후단부에 형성된 단차부(78)에 단자부(51B 및 52B)가 배치됨으로써, 단자부(51B 및 52B)는 소켓(70)의 전후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을 것이고, 그 결과 마이너스 단자(51) 및 플러스 단자(52)를 구비한 소켓(70)이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 커버(65)는, 제1 관형부(71)의 외주에 끼워 맞춰지는 끼워 맞춤부(65A)와, 돌출부(74)를 외측에서 덮는 아암부(65B)를 구비하고, 소켓(70)의 후단부를 덮도록 장착된다. 또한, 배선(66)의 통과를 허용하는 배선 구멍(65C)이 끼워 맞춤부(65A)에 형성된다. 방수 커버(65)는 엘라스토머로 형성된다.
리플렉터(90)는 대략 포물면 형상의 오목부(90A)를 갖는 리플렉터 본체부(91)를 포함한다. 리어 윙커(60)의 후단측을 향해 벌브(64)의 축선 방향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되는 리플렉터 관형부(92)가, 리플렉터 본체부(91)의 대략 포물면 형상의 면의 정점 부분에 세워져 있다. 리플렉터 관형부(92)에는 벌브(64) 삽입용의 관통 구멍(93)이 형성된다. 리플렉터 관형부(92)는 관통 구멍(93)의 주위에 형성된다.
리플렉터 관형부(92)의 후단에는, 리플렉터 관형부(92)의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리플렉터 맞물림부(94)가 복수 마련되어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플렉터 맞물림부(94)가 소켓(70)의 제2 관형부(72)의 전단 부분에 맞물리는 과정을 통해, 리플렉터(90)가 소켓(70)에 고정된다. 여기서, 리플렉터(90)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고; 구체적으로 리플렉터 본체부(91), 리플렉터 관형부(92) 및 리플렉터 맞물림부(94)는 수지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리플렉터 본체부(92)와 소켓(70)의 사이에는, 탄성의 판형 밀봉 부재(79)가 개재된다. 리플렉터 관형부(92)와 소켓(70)의 사이의 간극은 밀봉 부재(79)로 밀봉되어, 유닛은 방수성을 갖게 된다.
발광부(64B)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면(91A)이, 리플렉터 본체부(91)의 대략 포물면 형상의 오목부(90A)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오목부(90A)의 중앙에 배치된 발광부(64B)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반사면(91A)에 의해 배광되어, 리어 윙커(60)의 전단으로부터 차량 후측을 향해 투광된다.
또한, 리플렉터 본체부(91) 및 리플렉터 관형부(92)의 외표면은, 반사면(91A)의 후측에서 외측면(91B)을 구성한다. 리플렉터 본체부(91)의 전단 부분에는, 외측면(91B)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95)가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부(95)는 외측면(91B)의 전체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다. 플랜지부(95)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환형 벽부(96)가 플랜지부(95)에 세워져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플렉터 본체부(91)의 후단측에는, 외측면(91B)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맞물림 돌기(97)가 형성된다. 맞물림 돌기(97)는 후술하는 맞물림 볼록부(69)(도 3 참조)와 맞물린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91B)에 있어서 맞물림 돌기(97)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보스부(98)가 마련된다. 보스부(98)에는 암나사부(98A)가 형성된다. 리플렉터(90)를 베이스 부재(61)에 고정하는 나사(99)(체결 부재)가 암나사부(98A)에 죄어진다.
반구형 렌즈(62)는 그 볼록한 곡면부가 리어 윙커(60)의 전단측을 향하게 한 상태로 장착되고, 반사면(91A)을 덮는다. 렌즈(62)의 후단에는, 리플렉터 본체부(91)의 벽부(96)의 외주면에 외측으로부터 맞물리는 환형의 렌즈측 맞물림부(62A)가 형성된다. 또한, 렌즈측 맞물림부(62A)의 외주면에는, 렌즈(62)의 후단의 주연부로부터 한 단계 우묵하게 들어간 단차부(62B)가 마련된다.
렌즈(62)는, 렌즈측 맞물림부(62A)가 리플렉터 본체부(91)의 플랜지부(95)에 접하고 벽부(96)와 맞물리는 과정을 통하여 위치 설정된다. 렌즈측 맞물림부(62A)를 플랜지부(95) 및 벽부(96)에 용착함으로써, 렌즈(62)를 고정한다. 리어 윙커(60)를 조립하기에 앞서, 사전에 렌즈(62) 및 리플렉터(90)를 용착에 의해 유닛화하여 리플렉터 유닛(100)을 구성한다.
또한, 조립하여 리어 윙커(60)를 구성한 이후에는, 단차부(62B)의 단차가 메워지도록 단차부(62B)가 베이스 부재(61)의 전단과 맞물린다. 그 결과, 렌즈(62)와 베이스 부재(61) 사이의 이음부가 눈에 잘 띄지 않게 되어, 외관성의 향상이 보장될 수 있다. 여기서, 렌즈(62)는 투광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61)는, 벌브(64), 소켓(70), 방수 커버(65) 및 리플렉터(90)를 수용하는 케이스부(61B)와, 케이스부(61B)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베이스부(67)를 포함한다. 베이스부(67)는 리어 윙커(60)를 사이드 커버(38)에 부착하는 데 사용된다. 베이스부(67)에는, 배선(66)을 사이드 커버(38)에 형성된 배선 구멍(38B)에 통과시키기 위한 배선 구멍부(67A)와, 암나사부(67B)가 마련되어 있다. 사이드 커버(38)측으로부터 암나사부(67B)에 죄어지는 고정 나사(38A)에 의해, 리어 윙커(60)가 사이드 커버(38)에 고정된다. 또한, 베이스 부재(61)는, 배선 구멍부(67A)의 단부에 마련된 위치 설정용 돌기(67C)를 사이드 커버(38)의 배선 구멍(38B)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위치 설정된다.
베이스 부재(61)의 전단 부분에는, 베이스 부재(61)의 판 두께를 내주측에서 한 단계 축소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장착 단차부(68)가 마련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단차부(68)의 후측에는 나사(99) 삽입용 구멍(61A)이 마련되고, 나사 삽입용 구멍(61A)에 대향하는 베이스 부재(61)의 내주면에는, 리플렉터(90)의 맞물림 돌기(97)와 맞물리는 맞물림 볼록부(69)가 형성된다. 맞물림 볼록부(69)는, 맞물림 돌기(97)의 전면에 접하여 리플렉터(90)의 전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전벽부(69A)와, 맞물림 돌기(97)의 양측면에 접하여 리플렉터(90)의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측벽부(69B)를 구비한다.
맞물림 돌기(97)와 맞물림 볼록부(69)가 서로 맞물려 있고 플랜지부(95)가 장착 단차부(68)에 접해 있는 상태에서, 나사(99)를 구멍(61A)을 통해 리플렉터(90)의 암나사부(98A)에 죄는 과정을 통하여, 리플렉터(90)가 베이스 부재(61)에 고정된다.
또한, 나사(99)는 도 3의 하측에, 구체적으로는 리어 윙커(60)의 하면(60A)에 마련된다. 이로써, 모터 사이클(10)을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 나사(99)가 쉽게 보이지 않게 되어, 모터 사이클(10)의 외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차량 좌측에서 바라본 리플렉터(90)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리어 윙커(60)의 후단측에서 바라본 리플렉터(90)의 정면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플렉터 맞물림부(94)는 리플렉터 관형부(92)의 외주벽(92A)의 후단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기둥형 돌기부이며, 리플렉터 관형부(92)의 둘레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을 두고 4곳에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플렉터 맞물림부(94)는 리플렉터 관형부(92)의 외주벽(92A) 상의 4곳에 마련되며, 이 4곳은 약 90°의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리플렉터 맞물림부(94)는, 그 기둥 형상의 축선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반원 형상이도록 형성된다. 리플렉터 맞물림부(94)는, 볼록한 곡면으로서 형성되는 곡면부(94A)와, 평탄한 평탄부(94B)를 구비한다. 곡면부(94A)는 그 볼록한 부분이 리어 윙커(60)의 전단측을 향해 있는 상태로 배치되고, 평탄부(94B)는 리플렉터 관형부(92)의 후단과 동일 평면 상에 있도록 형성된다.
도 8은 리어 윙커(60)의 전단측에서 바라본 소켓(70)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리어 윙커(60)의 후단측에서 바라본 소켓(70)의 정면도이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구멍(73)의 내주면에는, 관통 구멍(73)의 축선 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2개의 도입 홈(73C)이 형성되어 있다. 도입 홈(73C)은 관통 구멍(73)의 후측에 형성된 2개의 맞물림 홈(73A)에 각각 연속해 있다. 벌브(64)의 볼록부(64C)가 도입 홈(73C)을 통해 맞물림 홈(73A)에 맞물린다. 보다 구체적으로, 볼록부(64C)를 도입 홈(73C)에 통과시키면서 통부(64A)를 관통 구멍(73)에 삽입하는 과정을 통하여, 벌브(64)가 고정된다. 그 후에, 벌브(64)를 도 8에서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볼록부(64C)와 맞물림 홈(73A)이 맞물리게 한다.
도 5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형부(71) 및 제2 관형부(72)의 전단 부분에 대해 후방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바닥부(80)가, 소켓(70)의 반경방향으로 제1 관형부(71)와 제2 관형부(72)의 사이에 형성된다. 바닥부(80)는 제1 관형부(71)의 외주측에 전체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다. 환형 밀봉 부재(79)가 바닥부(80)에 마련된다.
또한, 제2 관형부(72)의 내주벽(72A)에는, 내주벽(72A)을 외주측으로 파들어가는 것에 의해 형성된 홈 형상의 소켓 맞물림부(81)가 마련된다. 리플렉터 맞물림부(94)와 소켓 맞물림부(81)가 맞물림으로써, 리플렉터(90)가 소켓(70)에 고정된다.
소켓 맞물림부(81)는 제2 관형부(72)의 내주벽(72A)의 둘레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4곳에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켓 맞물림부(81)는 리플렉터 관형부(94)의 레이아웃에 대응하여 4곳에 마련되며, 이 4곳은 약 90°의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도 10은 제2 관형부(72)의 내주측에서 바라본 소켓 맞물림부(81)의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소켓 맞물림부(81)는 4곳에 마련되며, 소켓 맞물림부(81)는 모두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점에서, 여기서는 한 곳의 소켓 맞물림부(81)를 설명한다.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맞물림부(81)는 제2 관형부(72)의 전단 부분에 형성되고, 홈 형상으로 절취된 절취부(86)를 구비한다. 절취부(86)는, 제2 관형부(72)의 전면(72B)에 개구되어 바닥부(80)까지 연장되는 종방향 통로부(82); 종방향 통로부(82)로부터 바닥부(80)를 따라 제2 관형부(72)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통로부(83); 및 횡방향 통로부(83)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 수용부(84)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자면, 소켓 맞물림부(81)는, 도 1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통로부(82)와, 종방향 통로부(82)의 하부로부터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통로부(83)를 구비하는 대략 L자형의 홈이다. 또한, 대략 L자형의 홈은 반경방향에서의 깊이가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된다.
돌기 수용부(84)는 횡방향 통로부(83)의 전벽(83A)을 전면(72B)측을 향해 절취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전면(72B)측을 향해 곡면 형상으로 우묵하게 들어가 있는 곡면형 맞물림부(84A)를 구비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플렉터 맞물림부(94)는 종방향 통로부(82)의 개구를 통해 종방향 통로부(82)에 들어가고, 횡방향 통로부(83)를 통과하여 돌기 수용부(84)에 도달하며, 곡면형 맞물림부(84A)에 맞물린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플렉터 맞물림부(94)가 종방향 통로부(82)에 들어갈 때, 리플렉터 관형부(92)의 선단이 바닥부(80)와의 사이에서 밀봉 부재(79)를 압축하고, 이에 의해 전벽(83A)과 밀봉 부재(79) 사이의 간극이 넓어져서, 리플렉터 맞물림부가 횡방향 통로부(83)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그 후에, 리플렉터 맞물림부(94)는, 그 곡면부(94A)가 밀봉 부재(79)의 압축에 기인하는 탄성에 의해 전벽(83A)에 밀어붙여진 상태로, 횡방향 통로부(83)를 통과하고, 돌기 수용부(84)에 맞물린다.
또한, 리플렉터 맞물림부(94)는 밀봉 부재(79)의 탄성에 의해 돌기 수용부(84)에 밀어붙여진 상태로 맞물리므로, 리플렉터(90)는 소켓(70)에 강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 맞물림부(94)는 밀봉 부재(79)에 의해 돌기 수용부(84)에 밀어붙여지므로, 리플렉터 맞물림부(94)와 돌기 수용부(84) 사이의 덜거덕거림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소켓(70)의 하부, 즉 조립된 상태의 소켓(70)에 있어서 리어 윙커(60)의 하면측에 상당하는 부분에는, 제2 관형부(72)의 전면(72B)을 후단측을 향해 한 단계 우묵하게 함으로써 형성된 물빠짐 홈(85)이 마련되어 있다. 물빠짐 홈(85)에 의해, 소켓(70)과 리플렉터(90) 사이의 공간에 침입한 물이 하방으로 빠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관형부(72)의 후면(72D)에는, 소켓 맞물림부(81)와 연통하는 형빼기 구멍(81A)이 형성되어 있다. 형빼기 구멍(81A)은, 소켓(70)을 수지로 성형할 때에, 소켓 맞물림부(81)를 캐비티로서 성형하는 데 사용되는 형을 빼내기 위한 구멍이다.
또한, 마이너스 단자(51)와 플러스 단자(52)는 소켓(70)의 후단부를 우묵하게 함으로써 형성된 단자 홈(76)을 통과하므로, 소켓(70)은 전후 방향의 길이가 축소될 수 있다.
이제, 리어 윙커(60)의 조립 절차를 후술한다.
우선,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너스 단자(51), 플러스 단자(52) 및 밀봉 부재(79)가 소켓(70)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벌브(64)를 소켓(70)에 조립한다. 그 결과, 벌브(64) 및 소켓(70)이 서로에 대해 일체로 장착된 벌브 유닛체(110)가 조립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벌브(64)는 볼록부(64C)를 도입 홈(73C)에 삽입하여 회전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맞물림 홈(73A)에 맞물리게 되고, 이 때 벌브(64)는 플러스 단자(52)에 의해 맞물림 홈(73A)에 밀어붙여진 상태이다. 따라서, 벌브 유닛체(110)는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다.
이어서, 벌브 유닛체(110)는 리플렉터 유닛(100)에 조립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벌브(64)는 리플렉터(90)의 후측으로부터 관통 구멍(93)을 통과하여, 오목부(90A)에 배치된다. 또한, 리플렉터 맞물림부(94)는 소켓(70)의 종방향 통로부(82)(도 10 참조)에 삽입되고, 소켓 맞물림부(81)에 끼워진다. 또한, 밀봉 부재(79)는 리플렉터 관형부(92)에 의해 압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소켓(70)을 벌브(64)의 축선을 중심으로 도 8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 결과, 리플렉터 맞물림부(94)는 횡방향 통로부(83)를 통과하여 돌기 수용부(84)에 맞물리게 되고, 이에 의해 벌브 유닛체(110)와 리플렉터 유닛(100)은 일체로 조립된다. 리플렉터 맞물림부(94)가 소켓 맞물림부(81)에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소켓(70)을 회동시킨다고 가정하여 조립 작업을 설명하였지만, 소켓(70)과 리플렉터 맞물림부(94)가 서로에 대해 회동되면 충분하다. 따라서, 리플렉터 맞물림부(94)를 도 8의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방법도 채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플렉터(90)와 일체로 성형된 리플렉터 맞물림부(94)가 소켓(70)의 소켓 맞물림부(81)에 직접 맞물려 장착되므로, 소켓(70)을 리플렉터(90)에 고정하기 위한 전용 고정 부재가 불필요해지고, 이로써 구성 부품의 수가 줄어들 수 있다.
그 후에, 방수 커버(65)를 소켓(70)에 부착한다. 그리고 나서, 리플렉터(90)의 맞물림 돌기(97)를 베이스 부재(61)의 맞물림 볼록부(69)에 맞물리게 하고, 플랜지부(95)를 베이스 부재(61)의 장착 단차부(68)에 접촉시키며, 나사(99)를 베이스 부재(61)의 구멍(61A)을 거쳐 리플렉터(90)의 암나사부(98A)에 죄어, 리어 윙커(60)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제, 도 2,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리어 윙커(60)의 사이드 커버(38)에의 장착 상태를 후술한다. 사이드 커버(38)와 리어 윙커(60)는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의 리어 윙커(60) 및 사이드 커버(38)를 설명하고, 우측의 리어 윙커(60) 및 사이드 커버(38)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차량 좌측의 사이드 커버(38)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리어 윙커(60)를 차량의 후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도 2의 선 ⅩⅡ-ⅩⅡ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1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어진 리어 윙커(60)를, 도 11의 선 Ⅱ-Ⅱ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광축(C)을 포함하는 평면을 따라 리어 윙커(60) 및 사이드 커버(38)의 단면을 취함으로써 얻어진 평단면도이다.
사이드 커버(38)는 전체적으로 그 폭이 후측을 향해감에 따라 줄어들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어 윙커(60)의 부근에서, 사이드 커버(38)는 곡면(150)을 구비하고, 사이드 커버의 폭은 차량의 후측을 향해감에 따라 점차 감소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에서 보면, 곡면(150)은 차량의 상측을 향해감에 따라 폭이 줄어들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사이드 커버(38)의 차폭 방향의 최외측 부분인 커버 최대폭 부분(38C)이, 리어 윙커(60)보다 앞쪽에 위치해 있다. 도 2에서는, 사이드 커버(38)의 최대폭 위치를 나타내는 최대폭선(L)이 이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곡면(150)에는 차량의 내측을 향해 우묵하게 들어간 오목부(160)가 형성되어 있고, 리어 윙커(60)는 오목부(160)에 배치된다. 오목부(160)는 베이스부(67)가 장착되는 제1 오목부(161)와, 제1 오목부(161)에 연속하여 차량의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오목부(162)를 구비한다. 또한, 사이드 커버(38)는 오목부(160)의 후측에, 오목부(160)의 전방측의 전측 곡면(150A)보다 큰 각도로 차량의 내측을 향해 폭이 줄어들도록 만곡되어 있는 후측 곡면(150B)이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부(67)의 바닥면(67D)을 수용하는 판부(161A)가, 제1 오목부(161)의 바닥부에 마련되어 있다. 판부(161A)는 차폭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S)(도 2 참조)을 포함하는 수직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면을 형성한다. 곡면(150)은 후방으로 감에 따라 그리고 상방으로 감에 따라 폭이 줄어든다. 따라서, 제1 오목부(161)에는, 곡면(150)과 판부(161A)의 전측 가장자리부를 서로 연결하는 전벽부(163)와, 곡면(150)과 판부(161A)의 하측 가장자리부를 서로 연결하는 하벽부(16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 오목부(161)의 후부에는, 판부(161A)와 곡면(150)을 서로 연결하는 팽출부(165)가 마련되어 있다. 팽출부(165)는 사이드 커버(38)의 일부분을 차량의 외측을 향해 불룩하게 나오도록 만듦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판부(161A)에는, 고정 나사(38A) 삽입용의 나사 구멍(166)과 배선 구멍(38B)이 마련되어 있다. 나사 구멍(166)은 배선 구멍(38B)보다 앞쪽에 형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오목부(162)는, 하벽부(164)에 연속하여 차폭 방향의 외측을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고 제2 오목부(162)에 근접한 케이스부(61B)의 외주면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는 곡면부(162A)를 구비한다. 케이스부(61B)의 하면부에 있어서 베이스부(67)에 연속하는 부분은, 제2 오목부(162) 내에 배치된다. 다시 말하자면, 케이스부(61B)의 일부분이 제2 오목부(162) 내에 배치된다.
도 2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67)를 제1 오목부(161)에 끼워 넣음으로써, 리어 윙커(60)가 장착되고, 고정 나사(38A)에 의해 오목부(160)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 나사(38A)가 나사 구멍(166)에 맞물리고, 위치 설정용 돌기(67C)가 배선 구멍(38B)에 맞물려서, 리어 윙커(60)가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1 오목부(161)의 전벽부(163)는 베이스부(67)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부(67)를 제1 오목부(161)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하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 클리어런스(G)가 베이스부(67)와 전벽부(163)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67)와 하벽부(164)의 사이에도 클리어런스(G)가 마련되어 있다.
리어 윙커(60)는 광축(C)이 중심선(S)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리어 윙커(60)는 렌즈(62)의 전면이 차량의 후측을 똑바로 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C)에 대한 평단면도에서, 리어 윙커(60)는 렌즈(60)의 거의 전체가 곡면(150)과 중첩되지 않도록 오목부(160)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상태로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렌즈(62) 전체가, 광축(C)을 포함하는 단면에서 곡면(150)의 외측면의 윤곽선에 대해 차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해 있고, 오목부(160)의 후단(160A)에 대해 후측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렌즈(62)의 후측에는, 렌즈(62)를 가려서 보이지 않게 만드는 것이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어 윙커(60)가 오목부(160)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라도, 오목부(160)가 렌즈(62)의 후측에 존재하지 않고, 오목부(160)가 렌즈(62)를 가려서 보이지 않게 하지 않으며, 그 결과 렌즈(62)의 시인성이 오목부(160)에 의해 저하되는 일이 없다. 이로써, 리어 윙커(60)가 오목부(160)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리어 윙커(60)가 차량의 외관성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고, 이와 아울러 리어 윙커(60)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 보장된다.
또한, 차폭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S)을 가로질러, 도 2에 화살표 X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차량의 우측 후방으로부터 좌측의 리어 윙커(60)를 바라본 경우에도, 렌즈(62)가 오목부(160)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되는 일은 없으며; 따라서, 좌측의 리어 윙커(60)가 차량의 우측 후방으로부터 보여질 수 있고, 리어 윙커(60)의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측 곡면(150B)이 중심선(S)측을 향해 더 기울어져 있으면, 리어 윙커(60)의 차량 우측 후방으로부터의 시인성이 더 향상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에서 보아도, 베이스부(67)를 제외한 리어 윙커(60)의 거의 전체가 노출되어 있고, 렌즈(62)의 상측과 하측이 오목부(160)에 의해 가려서 보이지 않게 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리어 윙커(60)가 오목부(160)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리어 윙커(60)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윙커(60)는 그 전체가 최대폭선(L)에 대해 내측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커버 최대폭 부분(38C)에 의해 리어 윙커(60)를 외력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리어 윙커(60)가 오목부(160)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사이드 커버(38)에 의해 리어 윙커(60)를 보호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플렉터(90)를 베이스 부재(61)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99)가 하면(60A)(도 3 참조)에 배치되어 있고, 나사(99)는 오목부(160)의 외측에 위치하여 노출되어있다. 따라서, 리어 윙커(60)가 오목부(160)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나사(99)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고, 그 결과 리어 윙커(60)의 유지 보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리어 윙커(60)가 오목부(160)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벌브(64)의 광축(C)을 포함하는 차량의 상측으로부터 바라본 평단면도에서, 렌즈(62)의 거의 모든 부분이 사이드 커버(38)와 겹치지 않고, 그 결과 렌즈(62)가 사이드 커버(38) 및 오목부(160)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리어 윙커(60)와 사이드 커버(38)가 일체감을 갖도록 각 리어 윙커(60)를 오목부(160)에 배치함으로써, 차량의 외관성이 향상되며, 이와 아울러 리어 윙커(60)의 시인성이 확보될 수 있고, 소형의 방향 지시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렌즈(60)의 거의 모든 부분이 오목부(160)로부터 노출되므로, 각 리어 윙커(60)의 시인성, 예를 들어 차량의 우측 후방으로부터 중심선(S)을 가로질러 바라보았을 때의 좌측 리어 윙커(60)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67) 및 케이스부(61B)의 일부가 오목부(160)에 배치되므로, 베이스부(67) 및 케이스부(61B)의 사이드 커버(38)로부터의 돌출량을 억제함으로써, 각 리어 윙커(60)를 사이드 커버(38)에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고, 오목부(160)에 의해 진흙, 작은 돌 등으로부터 리어 윙커(6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최대폭 부분(38C)에 의해 외력 등으로부터 리어 윙커(6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리어 윙커(60)가 오목부(160)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도, 사이드 커버(38)에 의해 리어 윙커(6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나사(99)가 오목부(160)로부터 노출되어 있으므로, 리어 윙커(60)가 사이드 커버(38)의 오목부(160)에 배치되더라도, 나사(99)는 외부에서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고, 나사(99)의 유지 보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나사(99)는 리어 윙커(60)의 하면(60A)에 체결되고, 이에 따라 나사(99)는 차량의 외측으로부터 보기 어려운 위치에 마련되므로, 리어 윙커(60)의 외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90)와 렌즈(62)는 용착에 의해 일체화되므로, 리어 윙커(60)가 사이드 커버(38)의 오목부(160)에 배치되더라도, 리플렉터(90)의 유효 반사면이 충분하게 확보될 수 있고, 리어 윙커(60)의 충분한 시인성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리어 윙커(60)가 오목부(160)에 배치되는 경우에, 리어 윙커(60)의 시인성 확보를 목적으로 리플렉터(90) 및 리어 윙커(60)를 대형화할 필요가 없으며, 리어 윙커(60)는 눈에 잘 띄지 않게 될 수 있고, 그 결과 외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오목부(161)와 제2 오목부(162)는 베이스부(67)와 케이스부(61B)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므로, 제1 오목부(161)와 제2 오목부(162)의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고, 오목부(160)는 보기 어려워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차량의 외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팽출부(165)가 제1 오목부(161)의 후부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렌즈(62)만을 사이드 커버(38)의 곡면(150)으로부터 떨어져 있게 할 수 있어, 리어 윙커(60)의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적용한 양태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렌즈(62)는 렌즈측 맞물림부(62A)가 플랜지부(95)와 벽부(96)에 용착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렌즈(62)는 접착체를 이용해 플랜지부(95)와 벽부(96)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벌브(64)는 필라멘트를 구비한 발광부(64B)가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리어 윙커(60)의 광원으로서 LED(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모터 사이클(10)의 그 밖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도 임의의 변경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리플렉터(90)와 일체로 성형되는 리플렉터 맞물림부(94)가 소켓(70)의 소켓 맞물림부(81)에 직접 장착된다. 따라서, 소켓(70)을 리플렉터(9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전용 고정 부재가 불필요해져서, 구성 부품의 수가 줄어들 수 있고, 조립성 및 유지 보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90)의 외측면(91B)의 외주벽(92A)에는 리플렉터 맞물림부(94)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리플렉터 맞물림부(94)가 반사면(91A)에서의 반사를 방해하지 않고, 리플렉터(90)의 반사 면적의 감소가 방지될 수 있으며, 리플렉터(90)를 대형화하지 않고서도 발광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리어 윙커(60)를 소형화하면서도, 리플렉터(90)의 충분한 발광 면적 및 충분한 조사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벌브(64)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의 소켓(70)의 소켓 맞물림부(81)를 리플렉터 맞물림부(94)에 끼워 맞추고 이 상태에서 소켓(70)을 회동시키는 것만으로도, 벌브(64) 및 소켓(70)이 리플렉터(90)에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조립성 및 유지 보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 관형부(92)의 외주벽(92A)에 리플렉터 맞물림부(94)가 마련되고, 이 리플렉터 맞물림부(94)는 제2 관형부(72)의 내주벽(72A)에 마련된 소켓 맞물림부(81)와 맞물린다. 이로써, 리플렉터 관형부(92)의 관통 구멍(93)의 직경을 최소화하여, 리플렉터(90)의 반사면(91A)의 반사 면적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발광 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관형부(71)의 외주측에서 제2 관형부(72)의 내주벽(72A)에 소켓 맞물림부(81)가 마련되므로, 벌브(64)를 지지하는 제1 관형부(71)의 크기를 확보하면서, 소켓(70)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관형부(71)와 제2 관형부(72)는 각각 내측과 외측에 동축 형태로 및 일체로 마련된다. 따라서, 제1 관형부(71)의 관통 구멍(73)에 의한 벌브(64)의 유지와, 제2 관형부(72)의 소켓 맞물림부(81)와 리플렉터 맞물림부(94)의 맞물림도 또한 동축 형태로 수행되고, 그 결과 벌브(64)는 리플렉터(90)에 대해 양호한 위치 정확성을 갖고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소켓(70)의 후단부에 형성된 단차부(78)에 단자부(51B 및 52B)가 배치되므로, 소켓(70)은 전후 방향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고, 리어 윙커(60)는 소형화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 맞물림부(94)가 밀봉 부재(79)의 탄성에 의해 돌기 수용부(84)에 유지될 수 있으므로, 소켓(70)과 리플렉터(90)는 강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 관형부(92)와 소켓(70)의 사이에 마련된 밀봉 부재(79)를 이용해 리플렉터 맞물림부(94)를 돌기 수용부(84)에 유지시킴으로써, 소켓(70)과 리플렉터(90)가 서로 맞물릴 수 있으므로, 구성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렌즈(62)와 리플렉터(90)는 나사 등과 같은 임의의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고서 용착에 의해 서로 부착 및 고정되므로, 고정구가 리플렉터(90)의 반사면(91A)과 간섭하여 발광 면적을 감소시키는 상황이 배제될 수 있고, 리플렉터(90)의 발광 면적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리어 윙커(60)의 충분한 발광 면적을 확보할 수 있고 리어 윙커(60)를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리어 윙커(60)가 모터 사이클(10)의 외관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아울러 충분한 발광량을 확보할 수 있고, 리어 윙커(60)의 시인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90)의 발광 면적 및 조사 면적을 확보하는 것을 통해 충분한 발광량을 확보하면서 소형화한 리어 윙커(60)는, 리어 윙커(60)가 눈에 잘 띄지 않도록 사이드 커버(38)의 오목부(160)에 마련되므로, 리어 윙커(60)가 차량의 외관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와 아울러 리어 윙커(60)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리어 윙커(60)가 오목부(160)에 마련되는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렌즈(62)가 오목부(160) 또는 사이드 커버(38)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되는 일이 없어, 리어 윙커(60)의 시인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실시한 양태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에서, 렌즈(62)는 렌즈측 맞물림부(62A)가 플랜지부(95) 및 벽부(96)에 용착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렌즈(62)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플랜지부(95) 및 벽부(96)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램프로서 모터 사이클(10)의 리어 윙커(60)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어 윙커(60)의 구성은 프론트 윙커(55)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은 모터 사이클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3개의 차륜, 4개의 차륜, 또는 그 이상의 차륜을 구비한 차량용 램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은 리어 윙커(60)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전조등, 안개등 등과 같은 그 밖의 램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변형을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듯이, 이러한 모든 수정은 이하의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되어 있다.
10 : 모터 사이클
19 : 시트
30 : 바디 커버
38 : 사이드 커버(차체 커버)
51B, 52B : 단자부
60 : 리어 윙커(방향 지시등)
60A : 하면
61 : 베이스 부재
61B : 케이스부
62 : 렌즈
64 : 벌브(광원)
67 : 베이스부
70 : 소켓
71 : 제1 관형부
72 : 제2 관형부
72A : 내주벽
78 : 단차부
79 : 밀봉 부재
81 : 소켓 맞물림부
82 : 종방향 통로부
83 : 횡방향 통로부
84 : 돌기 수용부
86 : 절취부
90 : 리플렉터
90A : 오목부
91 : 리플렉터 본체부
91A : 반사면
91B : 외측면
92 : 리플렉터 관형부
92A : 외주벽
93 : 관통 구멍
94 : 리플렉터 맞물림부
99 : 나사(체결 부재)
150 : 곡면
160 : 오목부
161 : 제1 오목부
162 : 제2 오목부
165 : 팽출부
C : 광축

Claims (19)

  1. 시트;
    차량의 후측을 향해 갈수록 폭이 점차 줄어들도록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시트의 하측의 주위를 덮는 사이드 커버; 및
    이 사이드 커버의 차폭 방향의 좌측 및 우측 부분에 장착되는 방향 지시등으로서, 상기 사이드 커버에 장착되는 베이스 부재와, 광원, 그리고 이 광원을 덮는 렌즈를 각각 구비하는 것인 방향 지시등
    을 포함하는 모터 사이클로서,
    좌우의 방향 지시등은 상기 사이드 커버에 마련된 오목부에 배치되어 있고;
    좌우의 방향 지시등 각각은, 차량의 상측으로부터 바라본 광원의 축선을 포함하는 평단면도에서, 상기 렌즈가 상기 사이드 커버의 곡면과 겹치지 않도록 전체적으로 상기 오목부로부터 노출되는 방식으로, 상기 사이드 커버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사이드 커버에 장착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광원 및 리플렉터를 수용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일부가 상기 오목부 내에 배치되는 것인 모터 사이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지시등의 모든 부분이 상기 사이드 커버의 차폭 방향의 최대 폭에 대해 내측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인 모터 사이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 또는 상기 렌즈를 상기 케이스부에 고정하는 체결 부재가 마련되고, 이 체결 부재는 상기 오목부로부터 노출되는 것인 모터 사이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 또는 상기 렌즈를 상기 케이스부에 고정하는 체결 부재가 마련되고, 이 체결 부재는 상기 오목부로부터 노출되는 것인 모터 사이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방향 지시등의 하면에 체결되는 것인 모터 사이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와 상기 렌즈는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것인 모터 사이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와 상기 렌즈는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것인 모터 사이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베이스부를 수용하는 제1 오목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2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오목부와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는 것인 모터 사이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커버의 일부를 차량의 바깥쪽으로 팽출시킨 팽출부가, 상기 제1 오목부의 후부에 마련되는 것인 모터 사이클.
  12. 벌브와, 벌브 삽입용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리플렉터, 그리고 벌브 지지용의 소켓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리플렉터의 후측의 외측면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의 주위에, 상기 리플렉터와 일체로 성형되는 리플렉터 맞물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소켓에는 상기 리플렉터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소켓 맞물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리플렉터의 후측의 외측면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의 주위에, 관형의 리플렉터 관형부가 마련되고, 상기 리플렉터 맞물림부가 상기 리플렉터의 관형부의 외주벽에 마련되며; 상기 소켓은 상기 벌브를 지지하는 제1 관형부와, 이 제1 관형부의 외주측에 있는 제2 관형부를 구비하고, 이 제2 관형부의 내주벽에 상기 소켓 맞물림부가 마련되는 것인 차량용 램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벌브와 상기 소켓을 일체로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리플렉터의 후측으로부터 상기 벌브를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하고, 상기 리플렉터의 오목부 내에 배치하며; 상기 소켓 맞물림부를 상기 리플렉터 맞물림부에 끼워 맞추고, 상기 소켓을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소켓 맞물림부와 상기 리플렉터 맞물림부를 서로 맞물리게 하는 것인 차량용 램프.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후측 단부에는 상기 제1 관형부와 상기 제2 관형부에 의해 단차부가 형성되고, 이 단차부에 벌브 단자가 배치되는 것인 차량용 램프.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 맞물림부 및 상기 소켓 맞물림부는, 돌출부 및 이 돌출부와 맞물리는 절취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절취부는, 상기 돌출부가 통과할 수 있게 하는 통로부와,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플렉터 관형부와 상기 소켓 사이에 밀봉 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밀봉 부재에서 발생한 탄성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 유지되는 것인 차량용 램프.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의 반사면을 덮는 렌즈가 마련되고, 상기 리플렉터와 상기 렌즈는 서로에 대해 부착 및 고정되는 것인 차량용 램프.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모터 사이클이고, 상기 램프는 윙커이며, 이 윙커는 모터 사이클의 바디 커버에 형성된 오목부에 배치되는 것인 차량용 램프.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모터 사이클이고, 상기 램프는 윙커이며, 이 윙커는 모터 사이클의 바디 커버에 형성된 오목부에 배치되는 것인 차량용 램프.
KR1020100082542A 2009-08-27 2010-08-25 모터 사이클 및 이를 위한 차량용 램프 KR101207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97094 2009-08-27
JPJP-P-2009-197095 2009-08-27
JP2009197095A JP5238644B2 (ja) 2009-08-27 2009-08-27 自動二輪車
JP2009197094A JP5235179B2 (ja) 2009-08-27 2009-08-27 車両用灯火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541A KR20110022541A (ko) 2011-03-07
KR101207196B1 true KR101207196B1 (ko) 2012-12-03

Family

ID=43624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542A KR101207196B1 (ko) 2009-08-27 2010-08-25 모터 사이클 및 이를 위한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19244B2 (ko)
KR (1) KR1012071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2927A1 (zh) * 2011-06-02 2012-12-06 天津方合科技发展有限公司 近光带有明暗截止线的汽车前照灯led光学组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9310U (ko) * 1984-12-04 1986-06-25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1013U (ja) 1983-10-20 1985-05-20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灯具類におけるソケツト部のシ−ル構造
JPH0226091Y2 (ko) 1985-09-24 1990-07-17
JPS62105306A (ja) 1985-11-01 1987-05-1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鍔付電球の取付装置
US5955945A (en) * 1995-07-10 1999-09-21 Fuhrer; Kenneth Fail safe system for providing warning signals upon the failure of motorcycle brake or tail lights
JP3877824B2 (ja) 1997-02-13 2007-02-0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2005071723A (ja) 2003-08-21 2005-03-17 Honda Motor Co Ltd 車両用灯具
JP4344672B2 (ja) 2004-09-30 2009-10-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における車体カバー構造
JP2009166790A (ja) * 2008-01-18 2009-07-30 Yamaha Motor Co Ltd フラッシャーおよび鞍乗型車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9310U (ko) * 1984-12-04 1986-06-2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541A (ko) 2011-03-07
US8419244B2 (en) 2013-04-16
US20110051440A1 (en) 201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8509B2 (en) Vehicle motorcycle light unit having lens
JP2007280760A (ja) 車両用ヘッドライト装置
US20180093729A1 (en) Lighting device structure including auxiliary illumination
JP5005475B2 (ja) 車両のポジションランプ
JP2009166790A (ja) フラッシャーおよび鞍乗型車両
US8272753B2 (en) Indicator-integrated rearview mirror for vehicle
US9310043B2 (en) Vehicle turn signal light device structure having a light shielding plate
JP2012017088A (ja) 自動二輪車用テールランプユニット
JP2018152306A (ja) 鞍乗り型車両のヘッドライト構造
EP3689722B1 (en) Combination light
CN110937047B (zh) 鞍乘型车辆的灯体结构
JP4188131B2 (ja) 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
JP2005082051A (ja) ウインカ装置
KR101207196B1 (ko) 모터 사이클 및 이를 위한 차량용 램프
JP4594566B2 (ja) 自動二輪車のランプユニット
JP6025764B2 (ja) 自動二輪車用のリア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
EP2949554B1 (en) Mirror device including turn indicator lamp and motor vehicle including mirror device
JP2007149536A (ja) 車両用灯火装置
JP5235179B2 (ja) 車両用灯火器
JP5238644B2 (ja) 自動二輪車
JP5383518B2 (ja) 鞍乗型車両のバックミラー装置
JP5504016B2 (ja) ヘッドライト装置
JP6054656B2 (ja) 車両用灯火器
JPWO2018180432A1 (ja) 鞍乗型車両の灯火装置
JP2003081162A (ja) 自動二輪車用テールランプの周辺カバ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