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753B1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 휨 보정 스트레인부가 구비된 본딩 툴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 휨 보정 스트레인부가 구비된 본딩 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753B1
KR101206753B1 KR1020120069198A KR20120069198A KR101206753B1 KR 101206753 B1 KR101206753 B1 KR 101206753B1 KR 1020120069198 A KR1020120069198 A KR 1020120069198A KR 20120069198 A KR20120069198 A KR 20120069198A KR 101206753 B1 KR101206753 B1 KR 101206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ding
tool
bonding tool
joined
s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봉
하성규
홍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에스티젯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에스티젯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에스티젯텍
Priority to KR1020120069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Flexible Display Panel)을 본딩하는 본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잘 휘어지는 특성이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을 본딩할 때 휘어짐 상태를 보정한 후 본딩할 수 있거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을 얼라인(Align)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의 유도 방지 및 휨을 보정할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 휨 보정 스트레인부가 구비된 본딩 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딩 툴 장치는 접합 대상물에 하중을 작용시켜서 상기 접합 대상물의 피접합부를 접착하기 위한 본딩 툴 장치에 있어서, 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접합 대상물의 피접합부를 가압하도록 이동되는 본딩 툴과; 상기 본딩 툴에 설치되어 본딩 툴의 이동과 연동되며, 상기 본딩 툴이 상기 접합 대상물의 피접합부에 가압하기 위해 진행 중일 때 상기 피접합부를 가압하기 전에 상기 접합 대상물을 평평하게 가압하는 스트레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 휨 보정 스트레인부가 구비된 본딩 툴 장치{Bonding tool apparatus}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Flexible Display Panel)을 본딩하는 본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잘 휘어지는 특성이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을 본딩할 때 휘어짐 상태를 보정한 후 본딩할 수 있거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을 얼라인(Align)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의 유도 방지 및 휨을 보정할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 휨 보정 스트레인부가 구비된 본딩 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Flexible Display Panel)은 잘 휘어지는 특성이 있어 정렬(Align)이 용이하지 않으며, 정렬이 이루어진 후에도 휘어지는 특성으로 인해 본딩 시 오차 발생의 여지가 있다.
즉, 종래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에 대상부품(FPCB, TAB, Drive IC)을 본딩 할 때에 잘 휘어지는 특성으로 인해 유동이 발생하고, 위치가 변동되어 본딩의 어려움이 있었다.
<참조문헌>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457642호(2004.11.18.)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888056호(2009.03.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을 얼라인(Align)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의 유도 방지 및 휨을 보정하거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에 대상부품(FPCB, TAB, Drive IC)을 본딩(Bonding)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의 유동 방지 및 휨을 보정하여 본딩할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 휨 보정 스트레인부가 구비된 본딩 툴 장치를 제공하려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접합 대상물에 하중을 작용시켜서 상기 접합 대상물의 피접합부를 접착하기 위한 본딩 툴 장치에 있어서,
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접합 대상물의 피접합부를 가압하도록 이동되는 본딩 툴;
상기 본딩 툴에 설치되어 본딩 툴의 이동과 연동되며, 상기 본딩 툴이 상기 접합 대상물의 피접합부에 가압하기 위해 진행 중일 때 상기 피접합부를 가압하기 전에 상기 접합 대상물을 평평하게 가압하는 스트레인(straighten)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 휨 보정 스트레인부가 구비된 본딩 툴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딩(Bonding) 설비는 높은 정밀도(accuracy)를 요구하는 설비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 휨 보정 스트레인부가 구비된 본딩 툴 장치를 사용하면, 본딩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의 휨을 보정하고, 유동을 방지하기 때문에 높은 본딩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을 얼라인(Align)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의 유도 방지 및 휨을 보정할 수 있어 얼라인이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 휨 보정 스트레인부가 구비된 본딩 툴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A의 확대도,
도 3은 도 1의 A의 분리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 휨 보정 스트레인부가 구비된 본딩 툴 장치의 동작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 휨 보정 스트레인부가 구비된 본딩 툴 장치의 주요부의 동작관계도.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Flexible Display Panel)을 본딩하는 본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잘 휘어지는 특성이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을 본딩할 때 휘어짐 상태를 보정한 후 본딩할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 휨 보정 스트레인(straighten)부가 구비된 본딩 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 휨 보정 스트레인부가 구비된 본딩 툴 장치(이하, '본딩 툴 장치(100)'라 한다)는 접합 대상물에 하중을 작용시켜서 상기 접합 대상물의 피접합부를 접착하기 위한 본딩 툴 장치에 있어서, 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접합 대상물의 피접합부를 가압하도록 이동되는 본딩 툴과; 상기 본딩 툴에 설치되어 본딩 툴의 이동과 연동되며, 상기 본딩 툴이 상기 접합 대상물의 피접합부에 가압하기 위해 진행 중일 때 상기 피접합부를 가압하기 전에 상기 접합 대상물을 평평하게 보정하도록 가압하는 스트레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딩 툴은 상기 접합 대상물의 피접합부를 가압하는 툴; 및 상기 툴과 결합되며, 상기 스트레인부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과 상기 스트레인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결합홀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가이드홀을 형성한 툴 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레인부는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로부터 연장되며 몸통부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두부로 이루어진 고정부와; 상기 몸통부의 직경과 대응되는 내주면을 갖으며 상기 두부에 의해 고정부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이탈방지부와, 상기 이탈방지부로부터 연장되되 내주면은 상기 두부를 가이드하고 하부는 상기 접합 대상물을 가압하는 가압편으로 이루어진 가압부와;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과 상기 가이드홀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고, 일측은 상기 툴 블럭의 결합홀과 가이드홀 사이의 경계단에, 타측은 상기 이탈방지부의 표면에 지지되어 상기 가압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레인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본딩 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딩 툴 장치(100)는 접합 대상물(200)에 하중을 작용시켜서 상기 접합 대상물(200)의 피접합부(201)를 대상부품(FPCB, TAB, Drive IC)과 본딩하기 위한 구성으로, 특히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이 휘어져 있더라도 이를 평평하게 보정하고 본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딩 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딩 툴(10)과 스트레인부(5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딩 툴(10)은 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접합 대상물(200)의 피접합부(201)를 가압하도록 이동되는 구성으로, 툴(11) 및 툴 블럭(12)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수단은 통상의 실린더 등과 같은 구성으로, 본딩 툴(10)이 접합 대상물(200)의 피접합부(201)를 가압하도록 한다.
툴(11)은 상기 접합 대상물(200)의 피접합부(201)를 가압하는 구성으로 피접합부(201)에 접촉되는 부위는 평탄도가 우수해야 하고, 히터 등에 의해 표면이 가열되는 구성이다.
툴 블럭(12)은 상기 툴(11)과 결합되며, 상기 스트레인부(50)와 결합되기 위해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홀(13)과, 상기 스트레인부(5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결합홀(13)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가이드홀(14)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결합홀(13)과 가이드홀(14)의 경계에는 경계단(15)이 형성되어 있다.
스트레인부(50)는 상기 본딩 툴(10)에 설치되어 본딩 툴(10)의 이동과 연동되며, 상기 본딩 툴(10)이 상기 접합 대상물(200)의 피접합부(201)에 가압하기 위해 진행 중일 때 상기 피접합부(201)를 가압하기 전에 상기 접합 대상물(200)을 평평하게 보정하도록 가압하는 구성으로, 고정부(20)와 가압부(30)와 스프링(40)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도 스트레인부(5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본딩 툴(10)에 설치된다.
고정부(20)는 상기 결합홀(13)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몸통부(21)와, 상기 몸통부(21)로부터 연장되며 몸통부(21)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두부(22)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가압부(30)는 상기 몸통부(21)의 직경과 대응되는 내주면(34)을 갖으며 상기 두부(22)에 의해 고정부(20)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이탈방지부(31)와, 상기 이탈방지부(31)로부터 연장되되 내주면(33)은 상기 두부(22)를 가이드하고 하부는 상기 접합 대상물(200)을 가압하는 가압편(32)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러한 가압부(30)는 툴(11)에 비해 본딩 툴(10)의 하강 방향을 기준으로 아래에 위치해 있다.
스프링(40)은 상기 고정부(20)의 외주면과 상기 가이드홀(14)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고, 일측은 상기 툴 블럭(12)의 결합홀(13)과 가이드홀(14) 사이의 경계단(15)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이탈방지부(31)의 표면에 지지되어 상기 가압부(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스프링(40)은 본딩 툴(10)이 접합 대상물(200)을 향하여 하강할 때 툴(11) 보다 앞서 접합 대상물(200)과 접촉되는 가압부(30)가 가이드홀(14)의 내측으로 이동될 때는 수축되다가, 본딩 툴(10)의 상승하면 즉, 접합 대상물(200)과 접촉이 해제되면 이탈방지부(31)를 두부(22)에 밀착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딩 툴 장치(100)는 도 7과 같이 동작되고, 도 4 내지 도 6과 같은 순서로 동작 된다.
즉, 도 4와 같이 가압수단에 의해 본딩 툴 장치(100)가 하강하면 먼저 스트레인부(50)가 접합 대상물(200)과 접촉하고, 도 5와 같이 접합 대상물(200)의 휘어짐을 보정한 후, 툴(11)이 접합 대상물(200)을 본딩 한다. 여기서 접합 대상물(200)은 ACF(이방전도성 필름)과 가열된 툴(11)을 이용하여 대상부품(FPCB, TAB, Drive IC 등)과 접합되는데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은 대상부품과 ACF의 도시를 생략한 것은 발명의 요지만을 부각시키기 위해서이다.
이상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딩 툴 장치 200: 접합 대상물
201: 피접합부 300: 백업부
10: 본딩 툴 11: 툴
12: 툴 블럭 13: 결합홀
14: 가이드홀 15: 경계단
20: 고정부 21: 몸통부
22: 두부 30: 가압부
31: 이탈방지부 32: 가압편
40: 스프링 50: 스트레인부

Claims (3)

  1. 접합 대상물(200)에 하중을 작용시켜서 상기 접합 대상물(200)의 피접합부(201)를 접착하기 위한 본딩 툴 장치(100)에 있어서,
    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접합 대상물(200)의 피접합부(201)를 가압하도록 이동되는 본딩 툴(10);
    상기 본딩 툴(10)에 설치되어 본딩 툴(10)의 이동과 연동되며, 상기 본딩 툴(10)이 상기 접합 대상물(200)의 피접합부(201)에 가압하기 위해 진행 중일 때 상기 피접합부(201)를 가압하기 전에 상기 접합 대상물(200)을 평평하게 보정하도록 가압하는 스트레인부(50);를 포함하되,
    상기 본딩 툴(10)은 상기 접합 대상물(200)의 피접합부(201)를 가압하는 툴(11); 및
    상기 툴(11)과 결합되며, 상기 스트레인부(5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13)과 상기 스트레인부(5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결합홀(13)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가이드홀(14)을 형성한 툴 블럭(12);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인부(50)는 상기 결합홀(13)에 결합되는 몸통부(21)와, 상기 몸통부(21)로부터 연장되며 몸통부(21)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두부(22)로 이루어진 고정부(20)와;
    상기 몸통부(21)의 직경과 대응되는 내주면을 갖으며 상기 두부(22)에 의해 고정부(20)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이탈방지부(31)와, 상기 이탈방지부(31)로부터 연장되되 내주면은 상기 두부(22)를 가이드하고 하부는 상기 접합 대상물(200)을 가압하는 가압편(32)으로 이루어진 가압부(30)와;
    상기 고정부(20)의 외주면과 상기 가이드홀(14)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고, 일측은 상기 툴 블럭(12)의 결합홀(13)과 가이드홀(14) 사이의 경계단(15)에, 타측은 상기 이탈방지부(31)의 표면에 지지되어 상기 가압부(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 휨 보정 스트레인부가 구비된 본딩 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부(5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본딩 툴(1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 휨 보정 스트레인부가 구비된 본딩 툴 장치.
  3. 삭제
KR1020120069198A 2012-06-27 2012-06-27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 휨 보정 스트레인부가 구비된 본딩 툴 장치 KR101206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198A KR101206753B1 (ko) 2012-06-27 2012-06-27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 휨 보정 스트레인부가 구비된 본딩 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198A KR101206753B1 (ko) 2012-06-27 2012-06-27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 휨 보정 스트레인부가 구비된 본딩 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6753B1 true KR101206753B1 (ko) 2012-11-30

Family

ID=47565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198A KR101206753B1 (ko) 2012-06-27 2012-06-27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 휨 보정 스트레인부가 구비된 본딩 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7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942B1 (ko) 2013-05-15 2014-10-06 비아이 이엠티 주식회사 에스에스디용 케이스의 평탄도 보정장치 및 보정방법
CN112289185A (zh) * 2020-10-26 2021-01-2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模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1748A (ja) 1997-10-07 1999-04-23 Ricoh Co Ltd バンプ形成方法及び装置
JP2004214389A (ja) 2002-12-27 2004-07-29 Shibuya Kogyo Co Ltd ボンディ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1748A (ja) 1997-10-07 1999-04-23 Ricoh Co Ltd バンプ形成方法及び装置
JP2004214389A (ja) 2002-12-27 2004-07-29 Shibuya Kogyo Co Ltd ボンディング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942B1 (ko) 2013-05-15 2014-10-06 비아이 이엠티 주식회사 에스에스디용 케이스의 평탄도 보정장치 및 보정방법
CN112289185A (zh) * 2020-10-26 2021-01-2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模组
CN112289185B (zh) * 2020-10-26 2021-11-2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模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103B1 (ko) 열 압착 본딩 장치
KR101206753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 휨 보정 스트레인부가 구비된 본딩 툴 장치
KR20180040349A (ko) 본딩 헤드와 스테이지 사이의 평행도 보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칩 본더
TW201616585A (zh) 安裝用頭及使用其之安裝裝置
JP6639915B2 (ja) 半導体実装装置および半導体実装方法
US10126183B2 (en) Actuator for force sensor and method of assembling a force-sensing system
JP5550430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実装方法
US10383270B2 (en) Component crimping device and component crimping method
JP4659634B2 (ja) フリップチップ実装方法
JP5009738B2 (ja) 加圧装置および加圧方法
JP2018029171A5 (ko)
KR20140131645A (ko) 두 개 이상의 태그의 접점이 중첩된 듀얼 패널용 본딩 장치
CN110544655B (zh) 绑定装置及绑定方法
JP4548509B2 (ja) プリント基板製造装置
CN106661848B (zh) 焊接单元
KR101679953B1 (ko) 본딩장치 및 본딩방법
WO2006064595A1 (ja) 熱圧着ツール及び熱圧着装置
US10126578B2 (en) Bonding apparatus and bonding method of flexible display module
JP2012054416A5 (ja) 基板貼り合わせ装置、押圧装置、貼り合わせ方法、及び、積層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1937701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저추력 압착본딩장치
JP2008300508A (ja) 圧着装置および電子装置の製造方法
JP2010283131A (ja) 基板圧着装置および基板圧着方法
JP2014091271A (ja) 部品加圧装置および方法
CN104507256A (zh) 一种柔性电路板异型钢片的压合工装和方法
JP2018174307A (ja) 圧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