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953B1 - 본딩장치 및 본딩방법 - Google Patents

본딩장치 및 본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9953B1
KR101679953B1 KR1020150015137A KR20150015137A KR101679953B1 KR 101679953 B1 KR101679953 B1 KR 101679953B1 KR 1020150015137 A KR1020150015137 A KR 1020150015137A KR 20150015137 A KR20150015137 A KR 20150015137A KR 101679953 B1 KR101679953 B1 KR 101679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heating
pressing
unit
fp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4517A (ko
Inventor
박영환
Original Assignee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5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953B1/ko
Priority to US15/009,871 priority patent/US9893032B2/en
Publication of KR20160094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953B1/ko
Priority to US15/860,208 priority patent/US2018012276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 H01L24/75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bump connectors or layer conn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48Manufacture or treatment of parts, e.g. containers, prior to assembly of the devices, using process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5Flexible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9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2Details related to mechanical or acoustic processing, e.g. drilling, punching, cutting, using ultrasound
    • H05K2203/0278Flat pressure, e.g. for connecting terminals with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1Treatm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e.g. heating, cooling, roughening
    • H05K2203/111Preheating, e.g. before sold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된 이방성 전도체를 통해 FPC 필름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본딩하기 위한 본딩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유닛과, 패널 지지유닛의 상측 영역에 배치되며 이방성 전도체 상부에 놓여진 FPC 필름의 압착영역을 디스플레이 패널쪽으로 가압 및 가열하는 가열 겸용 가압유닛과, 패널 지지유닛에 이웃하게 배치되어 FPC 필름을 지지하는 필름 지지유닛 필름 지지유닛에 마련되며 가열 겸용 가압유닛에 의한 압착영역의 가열 시 FPC 필름에 마련되는 더미 전극(dummy lead)과 리얼 전극(real lead)사이의 온도 편차 발생을 방지하도록 FPC 필름을 예열하는 필름 예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딩장치 및 본딩방법{FOG Bonding device and methode the same}
본 발명은, 본딩장치 및 본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FPC 필름(FLEXIBLE PRINTED CIRCUIT FILM)을 본딩하는 본딩장치 및 본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의 평판디스플레이의 제조에 있어서, 본딩(Bonding) 공정은 COG(Chip On Glass) 본딩공정과 FOG(Film On Glass) 본딩공정으로 나누어진다.
COG 본딩공정은, 패널(Panel)에 드라이버IC 등의 칩(Chip)을 본딩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COG 본딩공정은, COG용 칩이 놓일 패널의 위치에 이방성 도전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부착하고 COG용 칩을 가압착과 본압착을 거쳐 본딩한다.
이러한 COG용 칩의 본딩이 이루어지면, 패널에 대한 COG용 칩의 압흔 검사와 크랙검사를 진행한다.
한편 FOG 본딩공정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 필름을 패널에 본딩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FOG 본딩공정은, FPC 필름이 부착될 패널의 위치에 이방성 전도체를 부착하고 FPC 필름을 가압 및 가열하여 FPC 필름을 패널에 본딩한다.
그런데 FPC 필름을 가압 및 가열 시 FPC 필름에 마련된 더미 전극(dummy lead)과 리얼 전극(real lead) 사이에 온도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더미 전극과 리얼 전극이 마련된 FPC 필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FPC 필름(F)에 마련되는 더미 전극(dummy lead, D)과 리얼 전극(real lead, R)의 길이에 차이가 있으므로, FPC 필름(F)의 압착영역(가압 및 가열하는 영역, G)에 가해진 열이 리얼 전극(R)을 따라 비압착영역으로 열전도되어 열손실이 발생된다.
이러한 열손실은 FPC 필름(F)의 본딩 시 FPC 필름(F)의 압착영역(G)에서 더미 전극(D)과 리얼 전극(R)의 온도가 서로 다르게 되는 더미 전극(D)과 리얼 전극(R)의 온도 편차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FPC 필름(F)의 압착영역(G)에서 더미 전극(F)과 리얼 전극(R)의 온도 편차는 본딩 불량을 유발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32378호 (세광테크 주식회사), 2006.09.28.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FPC 필름의 가열압착 시 리얼 전극을 통한 열손실을 방지함으로써 압착영역에서 더미 전극과 리얼 전극 간의 온도 편차를 방지할 수 있는 본딩장치 및 본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된 이방성 전도체를 통해 FPC 필름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본딩하기 위한 본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유닛; 상기 패널 지지유닛의 상측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이방성 전도체 상부에 놓여진 상기 FPC 필름의 압착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쪽으로 가압 및 가열하는 가열 겸용 가압유닛; 상기 패널 지지유닛에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FPC 필름을 지지하는 필름 지지유닛; 및 상기 필름 지지유닛에 마련되며, 상기 가열 겸용 가압유닛에 의한 상기 압착영역의 가열 시 상기 FPC 필름에 마련되는 더미 전극(dummy lead)과 리얼 전극(real lead)사이의 온도 편차 발생을 방지하도록 상기 FPC 필름을 예열하는 필름 예열부를 포함하는 본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필름 예열부는,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의 발열온도를 조절하는 예열온도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예열부의 예열온도는 상기 가열 겸용 가압유닛의 가열온도 보다 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이방성 전도체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는 이방성 전도체 부착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패널 지지유닛 상에 안착시키는 패널 안착단계; FPC 필름을 필름 지지유닛 상에 안착시키며, 상기 FPC 필름의 압착영역을 상기 이방성 전도체 상부에 위치시키는 필름 안착단계; 상기 필름 지지유닛에 안착된 상기 FPC 필름을 예열하는 필름 예열단계; 및 상기 FPC 필름의 압착영역을 가열 및 가압하는 필름 압착단계를 포함하는 본딩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필름 예열단계에서 상기 FPC 필름의 예열온도는 상기 필름 압착단계의 상기 FPC 필름의 가열온도 보다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 겸용 가압유닛에 의한 FPC 필름의 압착영역의 가열 시 FPC 필름에 마련된 더미 전극(dummy lead)과 리얼 전극(real lead)사이의 온도 편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FPC 필름을 예열하는 필름 예열부를 구비함으로써, 본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본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더미 전극과 리얼 전극이 마련된 FPC 필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딩장치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FPC 필름이 필름 지지유닛에 지지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본딩장치에 따른 본딩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딩장치 및 본딩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딩장치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FPC 필름이 필름 지지유닛에 지지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본딩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P, 이하 “패널”)에 부착된 이방성 전도체(H)를 통해 FPC 필름(F)을 패널(P)에 본딩한다.
이러한 본딩장치는, 패널(P)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유닛(110)과, 패널 지지유닛(110)의 상측 영역에 배치되며 이방성 전도체(H) 상부에 놓여진 FPC 필름(F)의 압착영역(G)을 패널(P)쪽으로 가압 및 가열하는 가열 겸용 가압유닛(120)과, 패널 지지유닛(110)에 이웃하게 배치되어 FPC 필름(F)을 지지하는 필름 지지유닛(130)과, 필름 지지유닛(130)에 마련되며, 가열 겸용 가압유닛(120)에 의한 압착영역(G)의 가열 시 FPC 필름(F)에 마련되는 더미 전극(dummy lead, D)과 리얼 전극(real lead, R) 간의 온도 편차 발생을 방지하도록 FPC 필름(F)을 예열하는 필름 예열부(131)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방성 전도체(H)는 FPC 필름(F)의 리얼 전극(real lead, R)과 패널(P)의 패드(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 볼(미도시)을 함유한 접착용 열경화성 수지를 의미한다.
패널 지지유닛(110)은 패널(P)을 지지한다. 이러한 패널 지지유닛(110)은 패널(P)이 놓여지는 베이스 플레이트(111)를 구비한다.
가열 겸용 가압유닛(120)은, 패널 지지유닛(110)의 상측 영역에 배치되며, 이방성 전도체(H) 상부에 놓여진 FPC 필름(F)의 압착영역(G)을 패널(P)쪽으로 가압 및 가열한다. 여기서 FPC 필름(F)의 압착영역(G)이란 가열 겸용 가압유닛(120)에 의해 가열압착되는 부분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 겸용 가압유닛(120)은, FPC 필름(F)의 압착영역(G)을 가압 및 가열하는 가압 헤드부(121)와, 가압 헤드부(121)를 FPC 필름(F)의 압착영역(G)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헤드 이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가압 헤드부(121)는 FPC 필름(F)의 압착영역(G)을 가압 및 가열한다. 이러한 FPC 필름(F)의 가열압착을 위해 가압 헤드부(121)에는 가열부(미도시)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 헤드부(121)가 FPC 필름(F)의 압착영역(G)을 가열하는 가열온도는 대략 섭씨 250도 정도이다. 물론 이러한 가열온도는 패널(P) 및 FPC 필름(F)의 스펙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헤드 이동부(미도시)는 가압 헤드부(121)를 FPC 필름(F)의 압착영역(G)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헤드 이동부에 의해 가압 헤드부(12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FPC 필름(F)의 압착영역(G)을 압착 및 압착해제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 겸용 가압유닛(120)은, 가압 헤드부(121)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쿠션시트(123)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쿠션시트(123)는 가압 헤드부(121)의 가압 시 FPC 필름(F)의 압착영역(G)에 균일한 압력이 인가되도록 한다.
한편, 필름 지지유닛(130)은 패널 지지유닛(110)에 이웃하게 배치되어 FPC 필름(F)을 지지한다. 이러한 필름 지지유닛(130)에는 FPC 필름(F)을 예열하는 필름 예열부(131)가 마련된다.
필름 예열부(131)는, 가열 겸용 가압유닛(120)에 의한 압착영역(G)의 가열 시 FPC 필름(F)의 리얼 전극(real lead, R)을 통한 열손실에 의해 압착영역(G)에서 더미 전극(dummy lead, D)과 리얼 전극(real lead, R) 간에 온도 편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FPC 필름(F)의 비압착영역을 예열한다.
이러한 필름 예열부(131)를 통한 예열을 통해 리얼 전극(real lead, R)의 온도가 예열전보다 상승하고, 그에 따라 가열 겸용 가압유닛(120)에 의한 FPC 필름(F)의 압착영역(G)의 가열 시 FPC 필름(F)의 압착영역(G)에 전달된 열이 리얼 전극(real lead, R)을 통해 FPC 필름(F)의 비압착영역으로 전도되는 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필름 예열부(131)는, 발열부(132)와, 발열부(132)의 발열온도를 조절하는 예열온도 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발열부(132)는 전열선(electrothermal wire)으로 마련되는데,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발열수단이 본 발명의 발열부(132)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필름 예열부(131)의 예열온도는 가열 겸용 가압유닛(120)의 가열온도 보다 낮게 형성함으로써, FPC 필름(F)의 압착영역(G)이 가열 겸용 가압유닛(120)의 압착 전에 리얼 전극(real lead, R)을 통한 열전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예열온도는 대략 섭씨 50도 정도인데,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 FPC 필름(F)의 스펙 및 가열 겸용 가압유닛(120)의 압착 시 압착영역(G)에서 더미 전극(dummy lead, D)과 리얼 전극(real lead, R)사이의 온도 편차 발생을 방지하는 최적의 예열온도가 실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본딩장치에 따른 본딩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지금부터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본딩장치에 의한 본딩방법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딩방법은, 이방성 전도체(H)를 패널(P)에 부착하는 이방성 전도체 부착단계(S110)와, 패널(P)을 패널 지지유닛(110) 상에 안착시키는 패널 안착단계(S120)와, FPC 필름(F)을 필름 지지유닛(130) 상에 안착시키며 FPC 필름(F)의 압착영역(G)을 이방성 전도체(H) 상부에 위치시키는 필름 안착단계(S130)와, 필름 지지유닛(130)에 안착된 FPC 필름(F)을 예열하는 필름 예열단계(S140)와, FPC 필름(F)의 압착영역(G)을 가압 및 가열하는 필름 압착단계(S150)를 포함한다.
필름 안착단계(S130)에서는 FPC 필름(F)의 압착영역(G)이 이방성 전도체(H) 상에 정위치되도록 FPC 필름(F)을 이방성 전도체(H)에 얼라인한다.
필름 예열단계(S140)에서는 필름 지지유닛(130)에 안착된 FPC 필름(F)을 예열한다. 이때 FPC 필름(F)의 예열온도는 필름 압착단계(S150)의 FPC 필름(F)의 가열온도 보다 낮게 형성함으로써, FPC 필름(F)의 압착영역(G)이 가열 겸용 가압유닛(120)의 압착 전에 리얼 전극(real lead, R)을 통한 열전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한다.
필름 압착단계(S150)에서는 가압 헤드부(121)가 하강하여 FPC 필름(F)의 압착영역(G)을 가압 및 가열한다. 이때 FPC 필름(F)은 필름 예열부(131)에 의해 예열된 상태(리얼 전극(R)의 온도가 예열전보다 상승한 상태)이므로 가열 겸용 가압유닛(120)의 의한 FPC 필름(F)의 압착영역(G)의 가열 시 FPC 필름(F) 압착영역(G)에 전달된 열이 리얼 전극(real lead, R)을 통해 FPC 필름(F)의 비압착영역으로 전도되는 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필름 압착단계(S150)에서 리얼 전극(real lead, R)에 의한 열손실이 최소화되어 더미 전극(dummy lead, D)과 리얼 전극(real lead, R) 간에 온도 편차가 발생되지 않고, 그에 따라 필름 압착단계(S150)에서 압착영역(G)의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됨으로서 본딩품질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본딩장치는, 가열 겸용 가압유닛(120)에 의한 FPC 필름(F)의 압착영역(G)의 가열 시 FPC 필름(F)에 마련된 더미 전극(dummy lead, D)과 리얼 전극(real lead, R)사이의 온도 편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FPC 필름(F)을 예열하는 필름 예열부(131)를 구비함으로써, 본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 패널 지지유닛 111: 베이스 플레이트
120: 가열 겸용 가압유닛 121: 가압 헤드부
123: 쿠션시트 130: 필름 지지유닛
131: 필름 예열부 132: 발열부
P: 패널 H: 이방성 전도체
F: FPC 필름 G: 압착영역
D: 더미 전극 R: 리얼 전극

Claims (5)

  1.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된 이방성 전도체를 통해 FPC 필름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본딩하기 위한 본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유닛;
    상기 패널 지지유닛의 상측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이방성 전도체 상부에 놓여진 상기 FPC 필름의 압착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쪽으로 가압 및 가열하는 가열 겸용 가압유닛;
    상기 패널 지지유닛에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FPC 필름을 지지하는 필름 지지유닛; 및
    상기 필름 지지유닛에 마련되며, 상기 가열 겸용 가압유닛에 의한 상기 압착영역의 가열시, 상기 압착 영역 외의 비압착 영역을 예열하여 상기 FPC 필름에 마련되는 더미 전극(dummy lead)과 리얼 전극(real lead)사이의 온도 편차 발생을 방지하는 필름 예열부를 포함하는 본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예열부는,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의 발열온도를 조절하는 예열온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본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예열부의 예열온도는 상기 가열 겸용 가압유닛의 가열온도 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딩장치.
  4. 이방성 전도체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는 이방성 전도체 부착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패널 지지유닛 상에 안착시키는 패널 안착단계;
    FPC 필름을 상기 패널 지지유닛의 이웃에 배치된 필름 지지유닛 상에 안착시키며, 상기 FPC 필름의 압착영역을 상기 이방성 전도체 상부에 위치시키는 필름 안착단계;
    상기 필름 지지유닛에 안착된 상기 FPC 필름 중 상기 압착 영역 외의 비압착 영역을 예열하는 필름 예열단계; 및
    상기 FPC 필름의 압착영역을 가열 및 가압하는 필름 압착단계를 포함하는 본딩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예열단계에서 상기 FPC 필름의 예열온도는 상기 필름 압착단계의 상기 FPC 필름의 가열온도 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딩방법.
KR1020150015137A 2015-01-30 2015-01-30 본딩장치 및 본딩방법 KR101679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137A KR101679953B1 (ko) 2015-01-30 2015-01-30 본딩장치 및 본딩방법
US15/009,871 US9893032B2 (en) 2015-01-30 2016-01-29 Fog bond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US15/860,208 US20180122769A1 (en) 2015-01-30 2018-01-02 Fog Bond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137A KR101679953B1 (ko) 2015-01-30 2015-01-30 본딩장치 및 본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517A KR20160094517A (ko) 2016-08-10
KR101679953B1 true KR101679953B1 (ko) 2016-11-28

Family

ID=56553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137A KR101679953B1 (ko) 2015-01-30 2015-01-30 본딩장치 및 본딩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893032B2 (ko)
KR (1) KR1016799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6589A (zh) * 2018-12-19 2019-04-1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用于显示面板的接合装置以及显示面板的接合方法
KR102169281B1 (ko) * 2020-01-28 2020-10-23 (주)제이스텍 폴 및 패널이 열변형되지 않는 상하 히터가열을 포함한 하이브리드 레이저 본딩장치
CN115280906A (zh) * 2021-01-25 2022-11-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承载基板、绑定组件及其绑定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9555A (ja) 1999-04-13 2000-10-24 Advanced Display Inc 回路基板の接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7071B2 (ja) 1994-10-05 2002-03-18 日立電子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Tab−セル圧着装置及び圧着方法
US6646233B2 (en) * 2002-03-05 2003-11-11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oration Wafer stage for wafer processing apparatus and wafer processing method
JP2005005304A (ja) * 2003-06-09 2005-01-06 Seiko Epson Corp 半導体製造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632378B1 (ko) 2005-07-07 2006-10-11 세광테크 주식회사 인라인 자동 fog 본딩장치
JP5045184B2 (ja) * 2007-03-28 2012-10-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熱圧着装置
KR102047225B1 (ko) 2012-11-30 2019-1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Ncp 타입 접착수단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9555A (ja) 1999-04-13 2000-10-24 Advanced Display Inc 回路基板の接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93032B2 (en) 2018-02-13
KR20160094517A (ko) 2016-08-10
US20180122769A1 (en) 2018-05-03
US20160225736A1 (en) 201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5873B1 (ko) 전자부품 압착 장치 및 그 방법
KR101679953B1 (ko) 본딩장치 및 본딩방법
WO2015133446A1 (ja) 圧着ヘッド、それを用いた実装装置および実装方法
TWI296234B (en) Bond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JP2008286856A (ja) 圧接装置
JP2009260379A (ja) ボンディング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ボンディング方法
JP2006245554A (ja) 電気部品の実装方法
JP5008476B2 (ja) 電極接合ユニット及び電極接合方法
JP5406974B2 (ja) 熱圧着装置及び電気部品の実装方法
JP2006066566A (ja) ボンディング装置
JP2008283055A (ja) フレキシブル基板の実装方法およびフレキシブル基板の実装装置
JP2009032845A (ja) 熱圧着装置及び電気部品の実装方法
KR20070088960A (ko) 독립형 툴바를 구비하는 압착수단 및 이를 이용한 본딩장치
JP6826060B2 (ja) 圧着装置
JPH05315401A (ja) 電子部品の接続装置
JP5356873B2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及び実装方法
JP2007115892A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の製造装置
KR100987826B1 (ko) 자외선 경화제를 이용한 패턴 전극의 본딩시 기포 발생 억제 장치 및 기포 발생 억제 방법
JP2012079807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982318B2 (ja) 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2005086145A (ja) 熱圧着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H09212100A (ja) Ic部品の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への接合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9170587A (ja) 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101939279B1 (ko) 레이저 본딩장치 및 레이저 본딩방법
JP2007096188A (ja) 圧着装置および圧着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