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783B1 - The complex execution method which dismantling work of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constructs of new building simultaneously - Google Patents

The complex execution method which dismantling work of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constructs of new building simultaneous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783B1
KR101205783B1 KR1020120061097A KR20120061097A KR101205783B1 KR 101205783 B1 KR101205783 B1 KR 101205783B1 KR 1020120061097 A KR1020120061097 A KR 1020120061097A KR 20120061097 A KR20120061097 A KR 20120061097A KR 101205783 B1 KR101205783 B1 KR 101205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structure
wall
retaining wall
existing underground
exi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0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정호
이종의
이일재
조현진
Original Assignee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1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78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7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02D5/06Fitted piles or oth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losing gaps between two sheet piles or between two walls of shee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PURPOSE: A composite construction method for simultaneously dismantling an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building a new underground structure is provided to improve cost-efficiency by using an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when a new underground structure is built. CONSTITUTION: A composite construction method for simultaneously dismantling an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building a new underground structure is as follows. The ground portion of an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is dismantled(a). Earth retaining walls(10) for building a new underground structure are installed(b). The skeleton portions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re crushed(c). Columns(20) of a new underground structure are installed(d). Horizontal skeleton members of a first floor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re dismantled, and rakes(50) are installed in a first basement floor(e). Horizontal skeleton members of a first floor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are installed, and the rakes are removed(f). The processes are repeated.

Description

지하구조물의 철거와 신축을 동시에 진행하는 복합 시공방법{The complex execution method which dismantling work of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constructs of new building simultaneously}The complex execution method which dismantling work of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constructs of new building simultaneously}

본 발명은 기존 지하구조물을 철거하고 그 위치에 신규 지하구조물을 구축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 지하구조물의 철거공사를 진행하면서 동시에 역타공법에 의하여 신규 지하구조물을 구축하는 공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 단축과 공사비 절감을 할 수 있는, 지하구조물의 철거와 신축을 동시에 진행하는 복합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of dismantling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s and constructing new underground structures at the locatio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of constructing new underground structures by reverse drilling method while proceeding with the demolition of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lex construction method for simultaneously removing and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s, which can shorten air and reduce construction costs by allowing it to proceed.

최근 도심지에서는 노후화된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건축물을 철거하고 신규 건축물을 구축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도심지의 노후 건축물들은 대부분이 지하 1층 내지 4층 정도의 지하구조물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존 건축물 부지에 신규 건축물을 구축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상기의 지하구조물을 포함한 기존 건축물의 철거가 선행되어 왔다.Recently, there have been frequent cases of demolishing ag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nd constructing new ones. However, most of the old buildings in the city center have underground structures of about 1 to 4 stories underground, and in order to construct new buildings on such existing building sites, the demolition of existing buildings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structures has been preceded. .

즉, 종래에 지하구조물을 가진 건축물이 존치된 부지에서 신규 지하구조물을 구축하고자 할 때는 먼저, 지상 건축물을 철거한 후 기존지하구조물에 흙막이 벽체를 설치하고, 내부에 센터파일을 설치하는 단계, 흙막이 벽체와 센터파일 사이의 지상 1층에 버팀대를 설치한 후 지상 1층 수평골조를 해체하는 단계, 이와 같이 지상 1층 부터 최하층까지 버팀대를 설치하면서 순차로 각 지하층의 수평골조를 해체한 후 양질의 토사를 반입하여 되메우기를 하는 단계, 되메우기가 완료되면 흙막이벽과 센터파일을 인발한 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신규 지하구조물의 신축공사가 진행된다. 또 다른 종래의 시공방법은, 토압지지에 지장이 없는 범위내에서 철거대상인 노후건물의 1층부터 지하 각층의 슬래브를 파취하여 개구부를 형성하는 제 1단계;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철거장비를 해당 위치까지 내려보내는 제2 단계; 기존건물의 기둥과 이를 지지하는 기초가 존치된 상태에서 철거장비를 매개로 최하부층의 기초슬래브를 철거하고 개구부를 통해 철거잔재를 반출한 후, 이 부위를 포함하여 최하부층의 일정깊이를 양질의 토사로 되메우는 제3 단계; 상기 3단계 실시후 직상부층(되메우기 상부층)의 거더와 슬래브를 철거하고 개구부를 통해 철거잔재를 반출한 후, 이 부위를 포함하여 그 상부층의 일정깊이를 양질의 토사로 메우는 제4단계; 상기 제4 단계를 반복하여 1층바닥 슬래브까지 철거, 반출하고, 이 부위를 포함하여 그 상부층을 양질의 토사로 되메우기 하는 제 5단계를 거쳐 기존 건물을 철거한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신규 지하구조물의 신축공사를 진행하게 된다.That is, when a new underground structure is to be constructed at a site where a structure having an underground structure exists in the past, first, the ground structure is to be demolished, and then, the existing wall structure is installed with a wall of mud, and a center pile is installed therein. Disassemble the horizontal frame on the ground floor on the ground floor between the wall and the center pile, and then disassemble the horizontal frame on the ground floor on the ground floor. After the backfill is completed, the backfill is completed. After the backfilling is completed, the retaining wall and the center pile are drawn, and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is newly constructed. Another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 includes a first step of forming an opening by dividing a slab of each floor from the first floor of the deteriorated building to be removed within a range free from earth pressure support; A second step of sending down the demolition equipment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rough the opening; In the state where the pillars of the existing building and the supporting base exist, the foundation slab of the lowermost layer is demolished through the demolition equipment and the demolition residue is taken out through the opening. A third step of backfilling with soil; A fourth step of dismantling the girder and the slab of the upper layer (backfill upper layer) and carrying out the demolition residue through the opening after performing the third step, and filling a predetermined depth of the upper layer including this portion with high quality soil; Repeating the fourth step, demolish and take out the first floor floor slab, and remove the existing building through the fifth step of filling the upper layer with high quality earth and sand, including this part, and then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in a conventional manner. New construction will be carried out.

이와 같이 종래에는 기존 지하구조물이 존치되어 있는 부지에 신규 지하구조물을 신축하고자 하는 경우에 기존 지하구조물을 모두 철거하여 나대지(裸垈地, 부지에 아무런 구조물이 구축되지 아니한 빈 공터의 대지를 말한다)처럼 조성한 후 신규 지하구조물을 신축할 수 밖에 없다는 사고의 제한으로 인하여, 상기의 단계별 작업에 의한 공사기간의 증가와 더불어, 지하구조물의 기존 공간을 흙으로 메웠다가 신규 지하구조물의 신축을 위해 이를 다시 굴토해야 한다는 작업의 비효율성이 야기되어 왔다.
As described above, when a new underground structure is newly constructed at a site wher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s exist, all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s are to be removed and the land is laid down (말한다 地, which means a vacant lot lot where no structures are constructed on the site).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accident that there is no choice but to construct new underground structures after construction, the existing space of underground structures is filled with soil and then rebuilt for the construction of new underground structures. The inefficiency of the work to be vomit has been caused.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 건축물의 지상부만을 철거한 상태에서 역타공법을 적용함으로써 기존 지하구조물의 철거와 신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를 단축하고, 신규건축물을 신축하는 데에 기존 지하구조물을 활용함으로써 경제성을 높이고 주변의 건축물 등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복합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applying the reverse drilling method in the state of removing only the ground portion of the existing building by allowing the demolition and construction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t the same time to shorten the air, new construction new construc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omplex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increase economics and minimize the impact on surrounding buildings by utilizing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s.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 지하구조물을 철거하고 신규 지하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a)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상부를 철거하는 단계; b) 신규 지하구조물의 구축을 위한 흙막이 벽체를 시공단계; c) 신규 지하구조물의 기둥 위치에 간섭되는 기존 지하구조물의 골조부위 등을 파쇄하는 단계; d) 신규 지하구조물의 기둥을 설치하는 단계; e)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상 1층 수평골조부재 철거 및 지하 1층에 레이커를 설치하는 단계; f) 신규 지하구조물의 지상 1층 수평골조부재를 시공한 후 상기 레이커를 제거하는 단계; g) 상기 e)단계와 f)단계를 반복 시행하여 기존 지하구조물에 대한 철거를 완료하면서, 기존 지하구조물 부분에 대한 신규 지하구조물의 구축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철거와 신축을 동시에 진행하는 복합 시공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 removing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building a new underground structure, a) removing the ground portion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b) constructing a wall for the construction of new underground structures; c) crushing the frame parts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s, etc., which interfere with the position of the pillars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s; d) installing pillars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e) dismantling the horizontal ground member on the ground floor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installing a raker on the ground floor; f) removing the raker after constructing the first-level horizontal frame member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g) repeating the steps e) and f) to complete the demolition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including the step of completing the construction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for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portion, the underground structure A composite construction method is provided for simultaneously dismantling and building a house.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흙막이 벽체는, ㈎ 기존 지하구조물의 수평골조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설치하고, 옹벽의 주변부를 성토하여 시공장비의 반입 및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단계; ㈏ 옹벽의 배면에 임시 흙막이 벽체를 설치하고, 이를 레이커로 지지시키는 단계; ㈐ 상기 ㈎ 단계에서 성토되었던 토사를 제거한 후, 상기 옹벽 등 흙막이 벽체의 위치에 간섭되는 기존 지하구조물의 골조부위를 파쇄하는 단계; ㈑ 레이커를 해체하면서 임시 흙막이 벽체의 주변부에 대하여 다시 성토한 후, 임시 흙막이 벽체를 제거하는 단계; ㈒ 흙막이 벽체를 시공한 후 성토된 토사를 다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철거와 신축을 동시에 진행하는 복합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aining wall, ㈎ the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horizontal frame member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to fill the periphery of the retaining wall to secure the loading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and work space step; (B) installing a temporary retaining wall on the back of the retaining wall and supporting it with a raker; 토 crushing the frame part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which interferes with the position of the retaining wall such as the retaining wall after removing the soil which has been filled in the step ㈎; (B) refilling the perimeter of the temporary retaining wall while dismantling the raker and then removing the temporary retaining wall; ㈒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earthen wall wall to remove the soil sediment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ruction, including, a composite construction method for proceeding the demolition and expansion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t the same time is provided.

본 발명은 기존 건축물의 지상부만을 철거한 상태에서 역타공법을 적용함으로써 기존 지하구조물의 철거와 신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를 단축하고, 신규건축물을 신축하는 데에 기존 지하구조물을 활용함으로써 경제성을 높이고 주변의 건축물 등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air by applying the reverse drilling method in the state of removing only the ground portion of the existing building at the same time to reduce the air and new construction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by utilizing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in the construction of new buildings It can increase and minimize the influence on surrounding build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시공방법의 순서
도 2는 기존 지하구조물의 슬래브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을 때 가능한 동바리의 설치 방법
도 3은 상부층 동부리와 하부층 동바리의 위치가 다를 때 동바리의 설치 방법
도 4는 기존 지하구조물에 이중슬래브가 있을 때 동바리의 설치 방법
도 5는 인접대지와의 고저차로 인해 대지 내의 지상부에 옹벽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옹벽을 제거하고 흙막이 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의 순서
도 6은 흙막이 벽체가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과 중복되는 경우의 시공방법
도 7은 흙막이 벽체가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과 약간 떨어져 있을 경우의 시공방법
도 8은 흙막이 벽체가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 외측으로 충분히 떨어져 있을 경우의 시공방법
1 is a sequence of 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method of installing the copper bar available when the opening is formed in the slab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Figure 3 is a method of installing the club when the location of the upper and eastern floor and the lower floor copper club is different
4 is a method of installing a copper bar when there is a double slab in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5 is a sequence of a method of removing the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when the retaining wall is installed in the ground part of the site due to the elevation difference between adjacent lands.
6 is a construction method in the case where the retaining wall overlaps the basement outer wall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7 is a construction method when the retaining wall is slightly away from the basement outer wall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8 is a construction method when the retaining wall is far enough to the outside of the basement outer wall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scured or obscured by describing the known configuration in detail, the description of the known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상부를 철거하는 단계; b) 신규 지하구조물의 구축을 위한 흙막이 벽체(10)를 시공단계; c) 신규 지하구조물의 기둥(20) 위치에 간섭되는 기존 지하구조물의 골조부위 등을 파쇄하는 단계; d) 신규 지하구조물의 기둥(20)을 설치하는 단계; e)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상 1층 수평골조부재(3) 철거 및 지하 1층에 레이커(50)를 설치하는 단계; f) 신규 지하구조물의 지상 1층 수평골조부재(30)를 시공한 후 상기 레이커(50)를 제거하는 단계; g) 상기 e)단계와 f)단계를 반복 시행하여 기존 지하구조물에 대한 철거를 완료하면서, 기존 지하구조물 부분에 대한 신규 지하구조물의 구축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래에서는 상기 각 단계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에서 수평골조부재라 함은 보와 슬래브를 총칭하는 용어이고, 레이커(raker)라 함은 대각선 방향의 버팀대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1 illustrates 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a) removing the ground portion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b) construction step of the retaining wall (10) for the construction of a new underground structure; c) crushing the frame portion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etc., which interferes with the position of the pillar 20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d) installing the pillars 20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e) dismantling the ground first-level horizontal frame member 3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installing the raker 50 on the first underground floor; f) removing the raker 50 after constructing the ground-level horizontal frame member 30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g) repeating the steps e) and f) to complete the demolition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completes the construction of a new underground structure for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portion. Hereinafter, 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ere, the horizontal frame member is a term for the beam and slab collectively, and the raker is a term for the brace in the diagonal direction.

a)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상부를 철거하는 단계;
a) removing the ground portion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기존 지하구조물의 상부에 건축물 등 지상부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지상부에 대한 철거를 먼저 선행한다. 다만 인접대지와의 고저차로 인하여 옹벽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옹벽은 본 단계에서는 그대로 존치시키고, 다음 단계의 흙막이 벽체(10) 시공과 함께 철거시킨다.
If there is a ground part such as a building on top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the removal of the ground part is preceded first. However, if the retaining wall is installed due to the elevation difference with the adjacent site, the retaining wall is left as it is in this step, and removed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10 of the next step.

b) 신규 지하구조물의 구축을 위한 흙막이 벽체(10)를 시공하는 단계;
b)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10 for building a new underground structure;

기존 지하구조물 지하외벽(1)과의 관계를 고려하면서 흙막이 벽체(10)를 시공한다. 상기 흙막이 벽체(10)는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1)과의 관계에 따라 그 구조가 달리질 수 있다. 상기 지하외벽(1)과의 관계에 따른 흙막이 벽체(10)의 구조와, 상기 옹벽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서의 흙막이 벽체(10) 시공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에 관하여는 뒤에서 별도로 설명하기로 한다.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basement outer wall (1) constructs the retaining wall (10). The retaining wall 10 may have a different structure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underground outer wall 1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The structure of the retaining wall 10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basement outer wall 1 and the concret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10 in the case where the retaining wall is installed will be described later.

c) 신규 지하구조물의 기둥(20) 위치에 간섭되는 기존 지하구조물의 골조부위 등을 파쇄하는 단계;
c) crushing the frame portion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etc., which interferes with the position of the pillar 20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신규 지하구조물의 기둥(20)은 기존 지하구조물이 존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시공되므로, 기존 지하구조물의 골조 등은 상기 기둥(20)이 설치되는 위치에 간섭될 수 있다. 따라서 신규 지하구조물의 기둥(20)이 설치되는 위치의 기존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기초 등 골조부위를 파쇄함으로써 다음 단계의 신규 지하구조물용 기둥(20)의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파쇄시키는 규모는 현장타설 말뚝을 시공하기 위한 케이싱의 크기 이상이 되어야 한다.Since the pillar 20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is construc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exists, the framing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may interfere with the position where the pillar 20 is installed. Ther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pillar 20 can be performed by crushing the skeleton part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such as slab, foundation, etc. at the position where the pillar 20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is installed. The crushing scale should be at least as large as the casing for constructing the cast-in-place pile.

이와 더불어 기존 지하구조물이 토압을 지지하는데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기존 지하구조물의 중앙부를 일부 철거하여 철거폐기물 및 토공 반출구로 사용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s can be used as demolition waste and earthwork outlets by partially removing the central part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s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supporting earth pressure.

한편, 본 단계의 진행중 기존 지하구조물의 일부 골조부위를 파쇄함으로써, 파쇄되지 아니하고 존치된 나머지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이 문제될 수 있다. 설령 구조적으로는 상기의 존치된 나머지 구조물의 안정성이 확보된다고 하더라도 기존 지하구조물의 상부에 천공장비 등 시공장비가 운영되는 경우, 상기 시공장비의 하중에 의해 존치된 나머지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단계를 시행하기 전 또는, 본 단계와 동시에, 또는 본 단계를 진행한 후 기존 지하구조물의 수평골조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40)을 설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by crushing a portion of the existing structure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during this step,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remaining structure that is not fractured may be a problem. Even if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remaining structure is secured even when construction equipment such as drilling equipment is oper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remaining structure maintained by the load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There may be cases. Therefore, the step of installing the support means 40 for supporting the horizontal frame member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before the step, or at the same time, or after the step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지지수단(40)은 동바리 등의 통상적인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동바리의 기성품은 통상적으로 1층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제작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동바리의 설치 위치는 개구부가 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수가 작용할 수 있다.
The support means 40 may use a conventional means such as clubbing. The ready-made articles of the said copper group are normally manufactured by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one floor. On the contrary,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pper bar may be various openings such as an opening.

도 2 내지 4는 지지수단(40) 중 하나인 동바리를 설치할 때의 변수들에 따른 설치방법을 보여주고 있다.2 to 4 show the instal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variables when installing the copper bar, which is one of the support means (40).

도 2는 기존 지하구조물의 슬래브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가능한 방안을 보여주고 있다. 이 경우에는 복수 개의 동바리를 볼트(41) 등으로 연결하여 슬래브를 지지한다.Figure 2 shows a possible solution when the opening is formed in the slab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In this case, the slabs are support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pper rods with a bolt 41 or the like.

도 3은 기존 지하구조물의 개구부 가장자리에 동바리를 설치하기 위해 개구부를 피해 설치하는 경우처럼 상부층 동바리 위치와 하부층 동바리 위치가 다를 때의 동바리 설치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이 때에는 개구부가 있는 층의 동바리를 개구부를 피해 슬래브 끝단에 설치하고, 개구부가 있는 층의 바로 아랫층과 윗층 동바리 위치와 개구부가 있는 층의 동바리 위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 각재(42) 등을 동바리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한다. 상기 각재(42) 등은 상부로부터 전해지는 축력을 하부로 전달해 준다. FIG. 3 illustrates a method of installing a club when the position of the upper layer and the lower layer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such as the case in which the opening is installed to the edge of the opening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Just downstairs in this layer when the Shore of the layer in which the opening away from the opening, and installed in the slab end, with an opening and Upstairs A horn member 42, which can include both the copper bar position and the copper bar position of the layer having an opening, is installed at the top or bottom of the copper bar . The lumber 42 or the like transmits the axi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기존 지하구조물의 하부층에 기초 등이 설치되면서 중공층이 포함되는 구조인 이중슬래브(이를 '중공형 슬래브'라고 부르기도 한다)가 시공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이중슬래브의 상부층과 하부층은 그 두께가 일반적인 단일 슬래브층에 비해 매우 얇기 때문에 구조적 강성이 그다지 크지 아니하다. 이러한 이중슬래브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상부층과 하부층 사이에 하중을 전달시켜주는 구조체가 없기 때문에 상기 이중슬래브 상에 동바리를 설치하게 되면 상부층 또는 하부층이 붕괴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와 같이 이중슬래브의 부위에서 동바리를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에 대응하는 방안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의하면 이중슬래브의 직상부 또는 직하부에 긴 받침철골(43)을 설치하고, 상기 받침철골(43) 상에 동바리가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동바리에 전달된 하중은 받침철골(43)을 통해 이중슬래브가 아닌 구간으로 전달되고 점으로 가해지는 하중이 균등하게 분산됨으로써 상부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As the foundation is installed on the lower layer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 double slab (sometimes called a 'hollow slab'), which is a structure including a hollow layer, may be constructed. The upper and lower layers of such a double slab are not very large in structural stiffness because their thickness is very thin compared to a general single slab layer. Since the structure of such a double slab generally does not have a structure that transmits a load between the upper layer and the lower layer, when the copper bar is installed on the double slab, the upper layer or the lower layer may collapse. 4 shows a method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 copper bar is to be installed at the portion of the double slab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FIG. 4, a long supporting steel frame 43 is installed at the upper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of the double slab, and a copper bar is installed on the supporting steel frame 43. The load transmitted to the copper bar is transmitted to the section other than the double slab through the supporting steel 43, and the load applied to the point is evenly distributed so that the upper load can be safely supported.

d) 신규 지하구조물의 기둥(20)을 설치하는 단계;
d) installing the pillars 20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기존 지하구조물의 골조부위를 파쇄하여 형성시킨 개구부를 통해 현장타설 말뚝에 의한 신규 지하구조물의 기둥(20)을 설치한다. 신규 지하구조물의 깊이는 기존 지하구조물의 깊이보다 더 깊은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기둥(2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기존 지하구조물의 깊이 이하의 토사부분에 대한 추가적인 천공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천공장비를 이용하여 신규건축물의 기초저면 이하로 하중을 받기 위한 근입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천공하여 철골 기둥을 근입시킨 후 기초저면 이하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The pillar 20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is installed by the cast-in-placement pile through the opening formed by crushing the frame part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Since the depth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is generally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in order to install the pillar 20, additional drilling of the soil part below the depth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may be required. In this case, the drilling equipment is used to drill enough steel to secure the indentation length to receive the load below the base of the new building, and the concrete column is poured after the foundation of the steel column.

e)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상 1층 수평골조부재(3) 철거 및 지하 1층에 레이커(50)를 설치하는 단계;
e) dismantling the ground first-level horizontal frame member 3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installing the raker 50 on the first underground floor;

신규 지하구조물의 지상 1층 수평골조부재(30)를 시공하기 위해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상 1층 수평골조부재(3)를 철거한다. 기존 지하구조물의 수평골조부재(3)를 철거하면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1)이 배면토압을 지지할 수 있는 능력이 저하된다. 설령 상기 수평골조부재(3)가 철거되는 잠시 동안에는 배면토압을 지지한다고 하더라도 다음 단계에서의 신규 지하구조물의 지상 1층 수평골조부재(30)를 시공하는 과정 중에 지하외벽(1)이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상 1층 수평골조부재(3)를 철거하기 전, 또는 직후, 또는 이와 병행하여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하 1층 슬래브(4)와 지하외벽(1) 사이에 레이커(50)를 설치하여 상기 지하외벽(1)의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한다. 예컨대 기존지하구조물 지상 1층 수평골조부재(3)를 제거함으로써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1)이 토압을 지지할 수 없게 된다면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상 1층 수평골조부재(3)를 제거하기 전에 레이커(5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레이커(50)는 다음 단계에서 시공될 신규 지하구조물의 지상 1층 수평골조부재(30)와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In order to construct the ground-level ground frame member 30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the ground-level ground frame member 3 of the existing ground structure is demolished. When the horizontal frame member 3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is demolished, the ability of the underground outer wall 1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1 to support the back ground pressure is reduced. Even if the horizontal frame member 3 is dismantled for a while, even if the back soil pressure is supported, the underground outer wall 1 may become unstable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first-level horizontal frame member 30 above ground in the next step. There is. Therefore, before or after dismantling the ground-level horizontal frame member 3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 raker 50 is disposed between the underground first-floor slab 4 and the underground outer wall 1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Installed to reinforce the bearing capacity for earth pressure of the basement outer wall (1). For example, if the underground outer wall 1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1 cannot support the earth pressure by removing the ground structure 1 above ground structure member 3 before removing the ground 1 layer horizontal frame member 3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raker 50. At this time, the raker 50 should be arrang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irst floor horizontal frame member 30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to be constructed in the next step.

f) 신규 지하구조물의 지상 1층 수평골조부재(30)를 시공한 후 상기 레이커(50)를 제거하는 단계;
f) removing the raker 50 after constructing the ground-level horizontal frame member 30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상 1층 수평골조부재(3)에 대한 철거가 완료되면, 신규 지하구조물의 지상 1층 수평골조부재(30)를 시공한다. 새로이 구축된 상기 지상 1층의 수평골조부재(30)는 흙막이 벽체(10)에 대한 버팀태 기능을 겸하게 된다. 따라서 지상 1층 수평골조부재(30)의 구축이 완료되면 지하 1층 슬래브(4)에 설치하였던 레이커(50)를 제거한다. 이때 기존 지하구조물의 외벽은 상기 b)단계에서 구축된 흙막이 벽체(10)와의 관계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합벽하거나 철거하도록 한다.
When the demolition of the ground first-level horizontal frame member 3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is completed, the ground first-level horizontal frame member 30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is constructed. The horizontal skeleton member 30 of the newly constructed ground floor 1 serves as a support function for the retaining wall 10. Therefore, when the construction of the ground skeleton member 30 above ground is completed, the raker 50 installed on the first basement slab 4 is removed. At this time, the outer wall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is to be merged or demolished as described below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retaining wall (10) built in step b).

g) 상기 e)단계와 f)단계를 반복 시행하여 기존 지하구조물에 대한 철거를 완료하면서, 기존 지하구조물 부분에 대한 신규 지하구조물의 구축을 완료하는 단계;
g) repeating the steps e) and f) to complete the demolition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completing the construction of a new underground structure for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portion;

상기 e)단계에서의 기존 지하구조물의 수평골조부재 철거 및 차하층 슬래브에 레이커를 설치하는 공정과 f)단계에서의 신규 지하구조물의 수평골조부재 시공 및 상기 레이커를 제거하는 공정에 대한 일련의 작업과정을 반복하여 기존 지하구조물의 철거와 동시에 신규 지하구조물이 구축될 수 있도록 한다.A series of operations for dismantling the horizontal frame member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in step e) and installing the raker on the lower slab, and constructing the horizontal frame member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in step f) and removing the raker. The process is repeated so that new underground structures can be built at the same time as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s are demolished.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신규 지하구조물은 기존 지하구조물보다 더 깊게 구축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기존 지하구조물의 깊이 이하 부분에 대하여는 추가적인 굴토 및 수평골조부재의 구축등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추가적인 시공은 나대지에 지하구조물을 구축하는 것과 특별히 다르지 아니하므로 통상적인 역타 시공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is generally built deeper than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build additional crypts and horizontal frame members for the portion below the depth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However, this additional construction is not particularly different from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on bare ground, so the conventional reverse construction method can be applied.

다음으로는, 상기 b)단계에서 흙막이 벽체(10)를 시공함에 있어, 인접대지와의 고저차로 인하여 지상부에 옹벽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10 in the step b) will be described in the case where the retaining wall is provided in the ground portion due to the elevation difference with the adjacent ground.

도 5는 인접 대지와의 고저차로 인하여 대지 내의 지상부에 옹벽(2)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로서, 상기 옹벽(2)을 제거하고 신규 흙막이 벽체(10)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하여 각 시공단계를 순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상기의 시공방법은, ㈎ 기존 지하구조물의 수평골조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40)을 설치하고, 옹벽(2)의 주변부를 성토하여 시공장비의 반입 및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단계; ㈏ 옹벽(2)의 배면에 임시 흙막이 벽체(60)를 설치하고, 이를 레이커(70)로 지지시키는 단계; ㈐ 상기 ㈎ 단계에서 성토되었던 토사를 제거한 후, 상기 옹벽(2) 등 흙막이 벽체(10)의 위치에 간섭되는 지하구조물의 골조부위를 파쇄하는 단계; ㈑ 레이커(70)를 해체하면서 임시 흙막이 벽체(60)의 주변부에 대하여 다시 성토한 후, 임시 흙막이 벽체(60)를 제거하는 단계; ㈒ 흙막이 벽체(10)를 시공한 후 성토된 토사를 다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는 상기 각 단계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5 is a case in which the retaining wall 2 is installed in the ground portion of the site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adjacent lands, and each construction step is sequentially performed with respect to a method of removing the retaining wall 2 and constructing a new mud wall 10. Is showing. The construction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i) installing a support means (40) for supporting the horizontal frame member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filling the periphery of the retaining wall (2) to secure the loading and construction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B) installing a temporary retaining wall (60) on the back of the retaining wall (2) and supporting it with a raker (70); 토 crushing the framing sit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which interferes with the position of the retaining wall (10), such as the retaining wall (2) after removing the soil that has been filled in the ㈎ step; (B) removing the temporary retaining wall (60) after the raker (70) is refilled with respect to the periphery of the temporary retaining wall (60). ㈒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10) to remove the soil piled up again; is made, including. Hereinafter, 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기존 지하구조물의 수평골조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40)을 설치하고, 옹벽(2)의 주변부를 성토하여 시공장비의 반입 및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단계;
지지 Installing a support means 40 for supporting the horizontal frame member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filling the periphery of the retaining wall (2) to secure the loading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and work space;

옹벽(2)을 철거하기 위해서는 옹벽(2) 배면의 토압을 지지할 수 있는 임시 흙막이 벽체(60)가 필요하다. 또 상기 임시 흙막이 벽체(60)는 옹벽(2)의 배면에 설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옹벽(2)의 전면에 천공기 등의 시공장비를 운용할 수 있는 작업공간이 요구된다. 아울러, 상기 작업공간은 적어도 옹벽(2)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작업공간은 옹벽(2)의 주변부를 성토함으로써 확보할 수 있다.In order to remove the retaining wall 2, a temporary retaining wall 60 capable of supporting the earth pressure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2 is required. In addition, the temporary retaining wall (60) should b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2). For this purpose, a work space for operating construction equipment such as a perforator is required in front of the retaining wall (2). In addition, the workspace should be located at least at the same height as the top of the retaining wall 2. Such a work space can be secured by filling the periphery of the retaining wall 2.

한편 옹벽(2) 주변부에 대한 성토는 기존 지하구조물의 수평골조부재에 하중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기존 지하구조물에 대하여는 상기 성토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수단(40)의 설치작업이 상기 성토작업 전에 미리 선행되어야 한다. 상기 지지수단(40)의 설치방법은 앞서 도 3 내지 5와 관련하여 설명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Meanwhile, the fill of the retaining wall 2 periphery acts as a load on the horizontal frame member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Therefore, for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support means 40 capable of supporting the load generated by the fill is to be preceded before the fill work. Since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support means 40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옹벽(2)의 배면에 임시 흙막이 벽체(60)를 설치하고, 이를 레이커(70)로 지지시키는 단계;
(B) installing a temporary retaining wall (60) on the back of the retaining wall (2) and supporting it with a raker (70);

상기 성토에 의해 확보된 작업공간을 이용하여 임시 흙막이 벽체(60)를 설치함으로써, 옹벽(2)을 제거하였을 때 상기 옹벽(2)에 가해지던 토압을 상기 임시 흙막이 벽체(60)가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임시 흙막이 벽체(60)는 특별히 한정될 필요는 없으나 임시적인 구조체에 불과한 것이므로, 환경의 보전을 위하여 사후 제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인발 및 제거가 용이한 H파일과 토류판으로 구성되는 구조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By installing the temporary retaining wall 60 using the work space secured by the fill, the temporary retaining wall 60 can receive the earth pressure applied to the retaining wall 2 when the retaining wall 2 is removed. do. The temporary retaining wall 60 need not be particularly limited, but is only a temporary structure, and thus, it is preferable to remove it afterwards for the preservation of the environmen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construct the structure consisting of H-pile and earth plate which are easy to draw and remove.

임시 흙막이 벽체(60)에 대한 시공이 완료되면, 상기 임시 흙막이 벽체(60)와 지상 1층 슬래브 사이에 레이커(70)를 설치한다. 상기 레이거는 임시 흙막이 벽체(60)를 지지시켜 배면토압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한다. 상기 레이커(70)는 향후의 단계에서 시행되는 옹벽(2) 등 흙막이 벽체(10)의 위치와 간섭되는 기존 지하구조물의 골조부위를 파쇄하는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배치한다.
When the construction of the temporary wall 60 is completed, the raker 70 is installed between the temporary wall 60 and the ground floor slab. The raker supports the temporary retaining wall 60 to secure stability against the earth pressure. The raker 70 is dispos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crushing the frame portion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that interferes with the position of the retaining wall 10 such as the retaining wall 2 to be carried out in a future step.

㈐ 상기 ㈎ 단계에서 성토되었던 토사를 제거한 후, 상기 옹벽(2) 등 흙막이 벽체(10)의 위치에 간섭되는 기존 지하구조물의 골조부위를 파쇄하는 단계;
토 crushing the framing site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that interferes with the position of the retaining wall (10), such as retaining wall (2) after removing the soil sediment in the ㈎ step;

임시 흙막이 벽체(60) 및 레이커(70)의 설치가 완료되어 상기 임시 흙막이 벽체(60)가 배면토에 대한 지지력을 충분히 확보하게 되면, 상기 옹벽(2)은 별다른 횡하중을 받지 않게 되므로 철거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옹벽(2) 주변부를 성토하여 확보하였던 작업공간 역시 더 이상 필요하지 아니하다. 따라서 임시 흙막이 벽체(60)의 충분한 지지력이 확인되면, 상기 성토되었던 토사를 제거함과 아울러 옹벽(2)과 함께 흙막이 벽체(10)의 위치에 간섭되는 지하구조물의 골조부위를 파쇄하여 철거한다.
When installation of the temporary retaining wall 60 and the raker 70 is completed and the temporary retaining wall 60 sufficiently secures the bearing capacity for the backing soil, the retaining wall 2 is not subjected to a special lateral load, and thus can be removed. Done. In addition, the work space secured by filling the periphery of the retaining wall 2 is no longer needed. Therefore, when sufficient supporting force of the temporary retaining wall (60) is confirmed, while removing the soil sediment and the retaining wall (2) together with the retaining wall (2) to destroy the framing sit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nterfered with the position of the retaining wall (10).

㈑ 레이커(70)를 해체하면서 임시 흙막이 벽체(60)의 주변부에 대하여 다시 성토한 후, 임시 흙막이 벽체(60)를 제거하는 단계;
(B) removing the temporary retaining wall (60) after the raker (70) is refilled with respect to the periphery of the temporary retaining wall (60).

기존 지하구조물을 철거하고 신규 지하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하여 필요한 흙막이 벽체(10)의 설치를 위해서는, 상기한 임시 흙막이 벽체(60)의 시공을 위한 작업공간과 동일, 유사한 작업공간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 임시 흙막이 벽체(60)의 주변부에 대한 성토가 다시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성토되는 토사는 임시 흙막이 벽체(60)의 배면토압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의 성토작업은 임시 흙막이 벽체(60)에 설치되었던 레이커(70)의 해체작업과 병행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레이커(70)의 해체는 임시 흙막이 벽체(60)의 지지력을 확인하면서 진행되어야 한다. 상기의 성토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성토된 토사가 임시 흙막이 벽체(60)의 배면토압을 지지하게 되므로, 더 이상 필요없게 된 임시 흙막이 벽체(60)를 제거한다. 이와 같이 임시 흙막이 벽체는 제거하는 것이 원칙이나, 환경보전상에 문제가 없는 구조 및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다음 단계에서 설치되는 흙막이 벽체와 합벽되어 구조적으로 활용되는 등 시공 경제적으로 유리한 경우에는 상기 임시 흙막이 벽체를 존치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install the retaining wall 10 necessary for removing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constructing a new underground structure, the same working space as that for the construction of the temporary retaining wall 60 is required. For this purpose, the filling of the periphery of the temporary retaining wall (60) must be made again. The soil to be deposited should be made to support the soil back pressure of the temporary wall (60). The filling work is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dismantling operation of the raker 70 that was installed in the temporary wall 60, the dismantling of the raker 70 must be carried out while confirming the supporting force of the temporary wall 60. When the filling work is completed, the landfill soil is to support the back soil pressure of the temporary wall wall 60, thereby removing the temporary wall wall 60 is no longer needed. In this way, the temporary barrier wall is to be removed, but it is composed of a structure and a material that does not have a problem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when the construction economically advantageous, such as used by structurally combined with the barrier wall to be installed in the next step, the temporary barrier wall Perhaps you can keep the wall.

㈒ 흙막이 벽체(10)를 시공한 후 성토된 토사를 다시 제거하는 단계
단계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10) to remove the soil piled up again

상기 ㈑ 단계에서의 성토에 의해 확보된 작업공간을 이용하여 기존 지하구조물 철거 및 신규 지하구조물 구축을 위한 흙막이 벽체(10)를 시공한다. 상기 흙막이 벽체의 구조는 제자리콘크리트 말뚝을 이용한 주열식 구조가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국한 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1)으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흙막이 벽체(10)를 시공하고 상기 이격공간내에 뒷채움(11)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주열식 구조보다는 H파일(12)과 토류판(13)에 의한 구조가 더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흙막이 벽체의 시공이 완료되면 상기의 작업공간 확보를 위해 재 성토하였던 토사를 다시 제거한다.
Using the work space secured by the fill in the step ㈑ constructs the wall 10 for the demolition of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s and the construction of new underground structures. The structure of the retaining wall is preferably a columnar structure using a concrete pile in plac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10 is slightly spaced apart from the basement outer wall (1)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the backfill 11 in the space is spaced rather than the H-row (12) The structure by the earth plate 13 will be more preferable. When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is completed, remove the reclaimed soil again to secure the work space.

상기의 ㈎ 내지 ㈒ 단계에 의해 흙막이 벽체(10)에 대한 시공이 완료되면 후속하여 앞서 설명한 c) 내지 g) 단계에 따라 기존 지하구조물의 철거와 신규 지하구조물의 구축을 진행하게 된다.
When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10 is completed by the steps ㈎ to 의, the demolition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are proceeded according to the steps c) to g) described above.

마지막으로,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1)의 위치에 따른 흙막이 벽체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Finally, the structure of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basement outer wall 1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통상적으로 흙막이 벽체가 시공된 후에는 상기 흙막이 벽체와 합벽하여 지하외벽을 구축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첫번째로,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1)과 새로이 시공되는 흙막이 벽체(10)에 합벽되어 시공되어야 할 신규 지하외벽이 서로 중복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신규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과 대지경계선 사이에 충분한 거리의 여유가 있다면, 지하외벽선을 변경하여 흙막이 벽체를 기존의 지하외벽으로부터 충분히 이격시켜 구축하고 상기 기존의 지하외벽을 철거하면 되는 것이나, 도심지에서는 대부분 건축면적을 최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신규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선을 기존 지하구조물의 외측으로 변경하기 어렵다. 그렇다고 하여 신규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선을 기존의 지하외벽 내측으로 변경하는 것은 신규 지하구조물의 건축면적을 감소시키게 되므로 이것 역시 경제적인 관점에서 시행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mud wall, the base wall to build the outer wall by combining with the mud wall. In this regard, firstly, a new basement outer wall to be constructed by combining with the basement outer wall 1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the newly constructed mud wall 10 may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if there is a sufficient distance between the basement outer wall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and the ground boundary lin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basement outer wall to construct the retaining wall far enough from the existing basement outer wall and to remove the existing basement outer wall. In most urban areas,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underground outer wall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to the outside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because most of the building area is utilized to the maximum. However, changing the underground outer wall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into the existing underground outer wall reduces the building area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which is also difficult to implement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도 6은 상기의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의 도 6에 따르면, 기존 지하외벽(1)과 합벽이 되도록 흙막이 벽체(10)를 시공하여 상기 기존 지하외벽(1)을 신규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14)으로 활용한다. 이러한 합벽구조는 신규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선을 변경하지 않아도 됨과 아울러 흙막이 벽체가 이중으로 설치되는 형상이 되어 구조적으로도 더욱 안정되게 토압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6 shows a structure applicable to the above case. According to FIG. 6, the earthquake wall 10 is constructed to be a combined wall with the existing underground outer wall 1 to utilize the existing underground outer wall 1 as the underground outer wall 14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The plywood structure does not have to change the underground outer wall line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and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earth pressure more structurally because the structure of the earth wall is doublely installed.

두번째로,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1)으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흙막이 벽체가 설치되어야 하나, 그렇다고 하여 흙막이 벽체에 합벽되어야 하는 신규 지하외벽을 설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Secondly, the earth wall should be installed slightly spaced apart from the basement outer wall 1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However, there is a case where a new underground outer wall that is to be joined to the earth wall may not be installed.

도 7은 상기와 같은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의 도 7에 따르면, 기존의 지하외벽(1)과 흙막이 벽체(10) 사이의 이격공간에 뒷채움(11)을 함으로써, 상기 기존의 지하외벽(1)과 흙막이 벽체(10)가 일체로 거동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뒷채움(11)은 빈 공간없이 철저히 시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토사보다는 소일시멘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7 shows a structure applicable to the above case. According to FIG. 7 above, by backfilling 11 the space between the existing underground outer wall 1 and the retaining wall 10, the existing underground outer wall 1 and the retaining wall 10 behave integrally. To do it. Therefore, the backfill 11 should be thoroughly performed without empty space, and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o use a soil cement rather than soil.

한편, 대도심공사에서의 흙막이 벽체는 제자리콘크리트 말뚝을 이용한 주열식 공법이 주로 이용되는데, 이러한 주열식 공법을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 내부에 시공하게 되면, 상기 흙막이 벽체가 상기 기존의 지하외벽과 연결된 슬래브 등의 수평골조부재를 단절시키게 되어 기존의 지하외벽이 토압을 지지할 수 없게 될 뿐 아니라, 상기 지하외벽과 흙막이 벽체 사이에 대한 뒷채움 시공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 내부에 흙막이 벽체를 시공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주열식 공법에 의한 흙막이 벽체 구조보다는 H파일(12)과 이에 삽입되어 적층되는 토류판(13)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10)의 구조로 시공하는 것이 수평골조부재에 의한 지지구조의 단절을 최소화시키고 뒷채움을 충실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wall construction in the main city construction is mainly used in the column heating method using the in-situ concrete piles, when the construction of the heating method inside the basement outer wall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the wall is the existing underground outer wall and As the horizontal frame member such as the connected slab is disconnected, not only the existing underground outer wall cannot support the earth pressure, but also the backfilling between the underground outer wall and the retaining wall becomes difficult. Therefore, when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e earth wall inside the basement outer wall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rather than the earth wall structure by the main heating method, the soil wall using the H pile 12 and the earth plate 13 inserted and stacked therein ( The construction of 10) is more preferable in that it can minimize the disconnection of the supporting structure by the horizontal frame member and faithfully fill the back.

세번째로,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1)으로부터 외측으로 충분히 이격되어 흙막이 벽체가 시공되는 경우이다. 도 8은 상기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흙막이 벽체(10)와 신규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14)을 구축하고 기존의 지하외벽(1)을 철거하면 되는 것이므로 특별히 문제될 것은 없고, 단지 기존 지하구조물의 수평골조부재 철거단계에서 함께 지하외벽(1)에 대한 철거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만 기존 지하구조물에 어스앙카(5)등의 가시설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가시설에 의한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기존 지하구조물의 시공을 위하여 시공하였던 엄지말뚝(6)의 배치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흙막이 벽체(10)의 엄지말뚝(15)을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irdly, the case where the wall is constructed is sufficiently spaced outward from the basement outer wall 1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8 shows a structure applicable to the above case. In this case, since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e basement wall 14 and the basement outer wall 14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and to remove the existing basement outer wall 1, there is no particular problem, but only in the step of removing the horizontal frame member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Together, the demolition of the basement outer wall (1) should be made. However, if there are temporary facilities such as earth anchors (5) in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in order to avoid the interference by the temporary facilities, the wall of the wall at the same interval as the spacing of the thumb pile (6) construct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thumb pile 15 of 10).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hat it will be possible to carry out various modifications thereof.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1 :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 2 : 옹벽
3 :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상 1층 수평골조부재
4 :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하 1층 슬래브
5 : 어스앙카 6 : 기존 지하구조물의 엄지말뚝
10 : 흙막이 벽체 11 : 뒷채움
12 : H 파일 13 : 토류판
14 : 신규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 15 : 신규 지하구조물의 엄지말뚝
20 : 신규 지하구조물의 기둥
30 : 신규 지하구조물의 지상 1층 수평골조부재
40 : 지지수단 41 : 볼트
42 : 각재 43 : 받침철골
50, 70 : 레이커 60 : 임시 흙막이 벽체
1: basement outer wall of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2: retaining wall
3: Horizontal framework member on ground level 1 of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4: Basement 1 floor slab of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5: earth anchor 6: thumb pile of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10: retaining wall 11: backfill
12: H file 13: earth plate
14: basement outer wall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15: thumb pile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20: pillar of new underground structure
30: Horizontal framework member on the ground floor of new underground structure
40: support means 41: bolt
42: lumber 43: supporting steel frame
50, 70: Raker 60: Temporary wall

Claims (9)

기존 지하구조물을 철거하고 신규 지하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a)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상부를 철거하는 단계;
b) 신규 지하구조물의 구축을 위한 흙막이 벽체(10)를 시공단계;
c) 신규 지하구조물의 기둥(20) 위치에 간섭되는 기존 지하구조물의 골조부위 등을 파쇄하는 단계;
d) 신규 지하구조물의 기둥(20)을 설치하는 단계;
e)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상 1층 수평골조부재(3) 철거 및 지하 1층에 레이커(50)를 설치하는 단계;
f) 신규 지하구조물의 지상 1층 수평골조부재(30)를 시공한 후 상기 레이커(50)를 제거하는 단계;
g) 상기 e)단계와 f)단계를 반복 시행하여 기존 지하구조물에 대한 철거를 완료하면서, 기존 지하구조물 부분에 대한 신규 지하구조물의 구축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b)단계에서 흙막이 벽체(10)는,
㈎ 기존 지하구조물의 수평골조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40)을 설치하고, 옹벽(2)의 주변부를 성토하여 시공장비의 반입 및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단계;
㈏ 옹벽(2)의 배면에 임시 흙막이 벽체(60)를 설치하고, 이를 레이커(70)로 지지시키는 단계;
㈐ 상기 ㈎ 단계에서 성토되었던 토사를 제거한 후, 상기 옹벽(2) 등 흙막이 벽체(10)의 위치에 간섭되는 기존 지하구조물의 골조부위를 파쇄하는 단계;
㈑ 레이커(70)를 해체하면서 임시 흙막이 벽체(60)의 주변부에 대하여 다시 성토한 후, 임시 흙막이 벽체(60)를 제거하는 단계;
㈒ 흙막이 벽체(10)를 시공한 후 성토된 토사를 다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철거와 신축을 동시에 진행하는 복합 시공방법
In dismantling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s and building new ones,
a) removing the ground portion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b) construction step of the retaining wall (10) for the construction of a new underground structure;
c) crushing the frame portion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etc., which interferes with the position of the pillar 20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d) installing the pillars 20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e) dismantling the ground first-level horizontal frame member 3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installing the raker 50 on the first underground floor;
f) removing the raker 50 after constructing the ground-level horizontal frame member 30 of the new underground structure;
g) repeating steps e) and f) to complete the demolition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s, including completing the construction of new underground structures for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s;
In the step b) the retaining wall 10,
지지 Installing a support means 40 for supporting the horizontal frame member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filling the periphery of the retaining wall (2) to secure the loading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and work space;
(B) installing a temporary retaining wall (60) on the back of the retaining wall (2) and supporting it with a raker (70);
토 crushing the framing site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that interferes with the position of the retaining wall (10), such as retaining wall (2) after removing the soil sediment in the ㈎ step;
(B) removing the temporary retaining wall (60) after the raker (70) is refilled with respect to the periphery of the temporary retaining wall (60).
㈒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earth wall (10) to remove the soil sediment again; including the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ruction,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a composite construction method that proceeds simultaneously with the demolition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와 c)단계 사이, 또는 상기 c)단계와 병행하여, 또는 상기 c)단계와 d)단계의 사이에 기존 지하구조물의 수평골조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40)을 설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철거와 신축을 동시에 진행하는 복합 시공방법According to claim 1,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horizontal frame member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between step b) and c), or in parallel with step c), or between step c) and d) Complex construction method for simultaneously proceeding the demolition and expansion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installing 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는 철거 폐기물 및 토공 반출용 개구부의 형성을 위한 기존 지하구조물의 골조부위 파쇄공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철거와 신축을 동시에 진행하는 복합 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c) further comprises a step of crushing the skeleton part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for forming the demolition waste and the opening for earthwork removal. Construct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의 흙막이 벽체(10)는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1)에 합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철거와 신축을 동시에 진행하는 복합 시공방법The complex construction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taining wall 10 in step b) is joined to the basement outer wall 1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의 흙막이 벽체(10)는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1)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흙막이 벽체(10)와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1)의 이격된 공간은 뒷채움(11)됨으로써 상기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1)과 흙막이 벽체(10)가 일체로 거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철거와 신축을 동시에 진행하는 복합 시공방법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taining wall (10) in the step b) i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basement outer wall (1)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the outer wall (1) of the retaining wall (10) and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1) The spaced space is backfilled 11 so that the basement outer wall 1 and the retaining wall 10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integrally behav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흙막이 벽체(10)는 H파일(12)과, 상기 H파일(12) 사이에 적층되는 토류판(1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철거와 신축을 동시에 진행하는 복합 시공방법The soil wall (10) is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the H pile 12 and the earth plate (13) laminated between the H pile 12, the removal and expansion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t the same time Progressive composite construct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의 흙막이 벽체(10)는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1)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e)단계에는 기존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1) 철거공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철거와 신축을 동시에 진행하는 복합 시공방법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taining wall (10) in step b) is installed outside the basement outer wall (1)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the step e) the step of removing the basement outer wall (1)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further Composite construction method of simultaneously proceeding the demolition and expansion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nclud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흙막이 벽체(60)는 H파일(12)과, 상기 H파일(12) 사이에 적층되는 토류판(1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철거와 신축을 동시에 진행하는 복합 시공방법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mporary retaining wall 60 is composed of the H pile 12 and the earth plate 13 stacked between the H pile 12, demolishing and stretching the underground structure Simultaneous construction method
KR1020120061097A 2012-05-02 2012-06-07 The complex execution method which dismantling work of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constructs of new building simultaneously KR1012057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097A KR101205783B1 (en) 2012-05-02 2012-06-07 The complex execution method which dismantling work of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constructs of new building simultaneous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068 2012-05-02
KR1020120061097A KR101205783B1 (en) 2012-05-02 2012-06-07 The complex execution method which dismantling work of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constructs of new building simultaneous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5783B1 true KR101205783B1 (en) 2012-11-28

Family

ID=47565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097A KR101205783B1 (en) 2012-05-02 2012-06-07 The complex execution method which dismantling work of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constructs of new building simultaneous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783B1 (en)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073B1 (en) 2014-03-17 2015-01-13 주식회사 승일토건 Method for removing underground structure
JP2017008628A (en) * 2015-06-24 2017-01-12 大成建設株式会社 New building foundation structure
JP2017128951A (en) * 2016-01-21 2017-07-27 株式会社大林組 Inverted construction method
JP2018076693A (en) * 2016-11-09 2018-05-17 大成建設株式会社 Building reconstruction method
KR101994069B1 (en) * 2019-01-31 2019-06-27 김은영 the method of reconstruction of underground building
JP2019143302A (en) * 2018-02-16 2019-08-29 株式会社竹中工務店 Formation method
CN111501829A (en) * 2020-04-29 2020-08-07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Construction method of backfill type basement
KR20210013888A (en) * 2019-07-29 2021-02-08 유병훈 Top-down construction method with underground utility
KR102286236B1 (en) * 2020-10-29 2021-08-06 정희이앤지(주) Reinforcing method and system for a basement wall
KR102301605B1 (en) 2021-01-22 2021-09-10 차상호 A Method of Bottom-up Removal of Underground Structures
CN116240883A (en) * 2023-02-21 2023-06-09 中铁二局集团有限公司 Stirring pile construction method for penetrating existing undergroun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KR102664851B1 (en) * 2023-08-25 2024-05-13 김재승 Existing underground building demolition method using sheet pi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2595A (en) * 2000-03-22 2001-09-26 Kajima Corp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building fr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2595A (en) * 2000-03-22 2001-09-26 Kajima Corp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building frame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073B1 (en) 2014-03-17 2015-01-13 주식회사 승일토건 Method for removing underground structure
JP2017008628A (en) * 2015-06-24 2017-01-12 大成建設株式会社 New building foundation structure
JP2017128951A (en) * 2016-01-21 2017-07-27 株式会社大林組 Inverted construction method
JP2018076693A (en) * 2016-11-09 2018-05-17 大成建設株式会社 Building reconstruction method
JP2019143302A (en) * 2018-02-16 2019-08-29 株式会社竹中工務店 Formation method
JP7049854B2 (en) 2018-02-16 2022-04-07 株式会社竹中工務店 Forming method
KR101994069B1 (en) * 2019-01-31 2019-06-27 김은영 the method of reconstruction of underground building
KR102292152B1 (en) * 2019-07-29 2021-08-24 유병훈 Top-down construction method with underground utility
KR20210013888A (en) * 2019-07-29 2021-02-08 유병훈 Top-down construction method with underground utility
CN111501829A (en) * 2020-04-29 2020-08-07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Construction method of backfill type basement
CN111501829B (en) * 2020-04-29 2021-08-10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Construction method of backfill type basement
KR102286236B1 (en) * 2020-10-29 2021-08-06 정희이앤지(주) Reinforcing method and system for a basement wall
KR102301605B1 (en) 2021-01-22 2021-09-10 차상호 A Method of Bottom-up Removal of Underground Structures
CN116240883A (en) * 2023-02-21 2023-06-09 中铁二局集团有限公司 Stirring pile construction method for penetrating existing undergroun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KR102664851B1 (en) * 2023-08-25 2024-05-13 김재승 Existing underground building demolition method using sheet pi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783B1 (en) The complex execution method which dismantling work of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constructs of new building simultaneously
KR101014796B1 (en) Top-down underground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fabricated concrete column member as temporary bridge column
JP6274406B2 (en) Construction method of new underground structure with dismantling of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KR100967497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KR102301605B1 (en) A Method of Bottom-up Removal of Underground Structures
KR20120093547A (en) Top-down construction method of basement
JP6543176B2 (en) Building method
KR100960603B1 (en)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using phc pile
JP5937488B2 (en) Temporary support method for foundation
KR101182704B1 (en)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d structure using PHC pile
KR100849226B1 (en) C.i.p temporary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JP2000352296A (en) Method o constructing passage just under underground structure
KR20130021952A (en) Underground structure having slab beam with enhanced bearing power against earth pressure and construction methods of the same
KR101296856B1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wall of underground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200122037A (en)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exterio wall of undergound structure
JP2012233349A (en) Earth retaining method
JP2005002671A (en) Underpinning method and viaduct
JP6827256B2 (en) How to rebuild the building
JP6938198B2 (en) Construction method
JP4243069B2 (en) Construction method of earth retaining wall
JP2007224716A (en) Method for constructing earth retaining wall
JP6543177B2 (en) Building method
KR102601694B1 (en) Method for demolishing underground building
KR100515971B1 (en) Soil retaining method using H-pile having large section
JP6832761B2 (en) How to rebuild the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8